KR101172058B1 -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058B1
KR101172058B1 KR1020040025711A KR20040025711A KR101172058B1 KR 101172058 B1 KR101172058 B1 KR 101172058B1 KR 1020040025711 A KR1020040025711 A KR 1020040025711A KR 20040025711 A KR20040025711 A KR 20040025711A KR 101172058 B1 KR101172058 B1 KR 10117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green tea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472A (ko
Inventor
채병근
이준배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4002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05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노화 시 유발되는 피부의 주름 및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알리신(Allicin)이라는 유기유황 성분이 풍부한 마늘(Garlic), 카테킨(Catechin)이 풍부한 녹차(Green Tea), 리코펜(Lycopene)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풍부한 적토마토(Red Tomato) 및 레스페라트롤 (Resveratrol)을 풍부한 적포도주(Red Wine)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와 관련된 피부내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여 피부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마늘추출물 * 녹차추출물 * 적토마토추출물 * 적포도주추출물 * 알리신 * 카테킨 * 리코펜 * 베타카로틴 * 레스페라트롤 * 항산화 * 피부주름 개선 * 피부탄력 증진

Description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enhancing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동물에게서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 시 유발되는 피부의 주름 및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알리신(Allicin)이라는 유기유황 성분이 풍부한 마늘(Garlic), 카테킨(Catechin)이 풍부한 녹차(Green Tea), 리코펜(Lycopene)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풍부한 적토마토(Red Tomato) 및 레스페라트롤 (Resveratrol)을 풍부한 적포도주(Red Wine)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와 관련된 피부내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여 피부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노화와 산화작용과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잘 알려진 사실이며, 특히 피부노화로 유발되는 주름생성 및 탄력저하 현상도 이런 산화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있다. 같은 연령이라 할지라도 나이보다 훨씬 젊어 보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사람은 실제보다 훨씬 나이가 들어 보이는 경우도 있다.
피부주름 생성 및 탄력 저하와 같은 노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나이의 증가 등의 내인성 요인, 골격과 근육의 모양, 근육의 지속적인 이완과 수축에 의한 유전적인 요인, 환경오염물질, 스트레스 등에 의한 환경적인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피부 노화 현상으로 각질 형성 세포 및 섬유아 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으로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최근 연구를 통해 건강한 피부의 경우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로 대표되는 생체 항산화 방어인자에 의해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제거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거가 완전하지 않을 경우 활성산소(자유라디칼의 일종)에 의한 산화작용이 발생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피부주름 생성 및 탄력저하가 촉진된다. 이런 생체 산화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는 외적(공해, 스트레스) 및 내적요인(생체내 에너지 대사과정)에서 생성이 촉진되며, 지방질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라고 하는 해로운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상기 과산화 지질은 혈관에 작용해 동맥경화나 혈전증을 비롯해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킨다. 또한, 건강한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의 생성 능력 저하 및 이들 콜라겐 섬유들의 비정상적으 로 엄킴현상이 증가하여 피부 탄력이 현저히 저하시키며, 피부보습을 담당하는 히아루론산과 당단백질의 일종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생성량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응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AHA, 레티노산(Retinoic Acid), 레티놀(Retinol), 비타민류 등을 도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나, 이들은 피부 자극과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사용량에 제한과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인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는 되지 못한다. 또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식물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된 예는 많으나 효과가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기는 어렵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마늘(Garlic), 녹차(Green Tea), 적토마토(Red Tomato) 및 적포도주(Red Wine) 추출물에 대한 생체내 효능은 식품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성분들을 적절히 조합할 경우 항산화력의 상승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단독으로 상기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에 이용한 예는 있으나 이들 성분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항산화 효능의 극대화를 통한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증진에 응용한 예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유라디칼(활성산소 등)의 산화작용에 의한 피부주름 증가와 탄력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7년동안 약 100여종의 식물에서 생체내 항 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회복시켜주는 식물추출물을 연구한 결과, 알리신(Allicin)이 풍부한 마늘(Garlic), 카테킨(Catechin)을 다량 함유한 녹차(Green Tea), 리코펜(Lycopene)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을 다량 함유한 적토마토(Red Tomato)및 레스페라트롤(Resveratrol)이 풍부한 적포도주(Red Wine)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의 성분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항산화 효능의 상승효과를 보이며 특히,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에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자들의 폭 넓은 연구의 결과로써,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 중 선택된 3종 이상을 각각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4가지 추출물을 모두 함유할 경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추출물 0.001~20중량%, 녹차추출물 0.001~20중량%, 적토마토 추출물 0.001~20중량%, 적포도주 추출물 0.001~20중량%을 3종 이상 함유함으로써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여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증진 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 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마늘(Garlic), 녹차(Green Tea), 적토마토(Red Tomato), 및 적포도(Red Wine)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을 각각 0.001~20중량%의 양으로 3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마늘은 알리신(Allic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 물질은 혈전을 제거하기 때문에 모든 혈관 질환에 도움을 준다. 또한 마늘을 섭취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체내 유해 화학물질을 감소시키며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갱년기 장애, 노화방지, 피부미용에 효과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알리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한편, 녹차에는 노화와 발암성분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 효능이 비타민C 보다 40배~100배 강력한 카테킨(Catechin)을 차엽 중에 다량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암작용과 항균작용을 지니며, 특히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 생성을 저하하는 작용을 지닌다. 또한, 녹차는 혈관 벽에서 콜레스테롤을 취하여 간에 회수함으로써 인체에 좋은 작용을 하는 HDL-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데 비해 몸에 해로운 작용을 하는 LDL-콜레스테롤을 선택적으로 감소시켜 동맥경화나 심장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녹차추출물은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드(epigallocatechin-gal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적토마토는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며, 그 중에서도 리코펜(Lycopene, 적색소)과 베타카로틴(β-Carotene, 생체에서 비타민A로 바뀜)이 풍부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다. 특히, 붉은빛을 띠는 리코펜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DNA의 손상을 줄여주고 항암작용 및 피부노화도 막아준다. 따라서, 파란색보다 붉은색을 지닌 것이 건강에 더 유익하다. 상기 리코펜은 베타카로틴의 약 두 배 정도의 항산화 효능을 지니며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적토마토 추출물은 리코펜 및 베타카로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적포도주는 폴리페놀(Polyphenol)의 일종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놀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 역할을 수행하며, 항암, 노화방지, 비만억제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포도의 껍질, 씨에 많이 분포하며 오래전부터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된 비타민 C나 E 보다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 적포도주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마늘, 녹차, 적토마토, 및 적포도주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에서 기술한 마늘, 녹차, 적토마토, 적포도주에서 추출한 추출물 중 3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물질들을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능에 상승작용이 있으며,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방지용 및 피부탄력 강화용 조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피부세포에 미치는 독성 측정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하기 표 1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하기 표 1의 조성물의 농도대로 성분을 처리, 3일 후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피부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농도(ppm) 세포수(%)
마늘추출물(A) 100 101
10 97
대조군 100
녹차추출물(B) 100 100
10 101
대조군 100
적토마토 추출물(C) 100 98
10 101
대조군 100
적포도주 추출물(D) 100 99
10 101
대조군 100
PP Complex 1
(A+B+C)
100 100
10 98
대조군 100
PP Complex 2
(A+B+D)
100 99
10 100
대조군 100
PP Complex 3
(A+C+D)
100 102
10 100
대조군 100
PP Complex 4
(B+C+D)
100 101
10 99
대조군 100
PP Complex
(A+B+C+D)
100 99
10 100
대조군 1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추출물, 적포도주추출물 및 PP Complex(상기의 원료 중 3종 또는 4종 동량의 부피비로 혼합한 조성물)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세포에 독성을 주지 않는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 및 PP Complex의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 실험
측정 방법은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 방법으로 하였으며, 상 기 방법에서 시약은 모두 미국 시그마社(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 시약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 존재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을 확인하는데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시험관적인 방법이다.
DPPH측정에 사용된 추출물의 농도는 5부비%, 1부피%, 0.1부피%, 0.01부피%로 하였으며, 먼저 96 well plate에 넣고 5mM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총 부피를 200㎕로 하게 넣어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관찰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은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 100 - B / A * 100
A :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well의 흡광도
B :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 well의 흡광도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함량 5.0부피% 1.0부피% 0.1부피% 0.01부피%
마늘추출물(A) 78.4 45.8 18.4 10.8
녹차추출물(B) 85.6 54.2 32.8 22.1
적토마토 추출물(C) 83.7 48.7 27.0 16.7
적포도주 추출물(D) 80.5 49.3 28.6 15.3
PP Complex 1
(A+B+C, 1:1:1)
94.5 80.5 48.0 27.4
PP Complex 2
(A+B+D, 1:1:1)
92.8 80.4 45.1 25.1
PP Complex 3
(A+C+D, 1:1:1)
89.7 75.3 40.5 20.6
PP Complex 4
(B+C+D, 1:1:1)
96.6 85.9 50.6 28.3
PP Complex
(A+B+C+D, 1:1:1:1)
98.9 88.7 54.3 30.4
상기의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및 적포도주 추출물은 각각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이 있었으며, 이러한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지니며 특히, 이들 추출물을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PP Complex)가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추출물, 적포도주추출물 및 PP Complex의 사람 세포주의 항산화 방어물질 활성 증가 작용 실험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으로 150X150 culture plate에 6.0X106개로 분주하고, 1일간 배양한 후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를 5.0부피%, 1.0부피%, 0.1부피%로 하여 시험시료를 처리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Life Technologues社) 배지를 사용하고,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척용으로 1X PBS buffered saline(Sigma Co.)을 사용하였다. 시험시료를 넣고 1일간 배양한 후 UVB를 30mJ/㎠의 세기로 처리하고 37℃, 5% CO2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수확하여 항산화 방어인자 측정에 사용하였다. 측정하는 항산화 방어인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레이즈(catalase)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으로써,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는 McCord의 방법(J. Biol. Chem. 1969; 244: 6049-6055), 카탈레이즈는 Budhuin의 방법(Biochem. J. 1964; 92: 179-184), 글루타치온은 Akerboom의 방법(Methods in Enzymology 1981; 77 : 373-38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항산화 방어인자 회복 효과는 UVB를 조사하지 않은 실험군(Control)의 활성 을 100%로 환산하여 이 값과 비교한 활성을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함량 SOD catalase GSH
대조군(control) 100.0 100.0 100.0
UVB 처리군 45.6 70.3 62.8
마늘추출물(A) 5.0부피% 73.2 77.2 81.8
1.0부피% 70.3 75.0 74.8
0.1부피% 48.6 69.8 65.3
녹차추출물(B) 5.0부피% 72.9 78.4 84.6
1.0부피% 65.8 75.9 77.2
0.1부피% 54.3 71.5 69.5
적토마토추출물(C) 5.0부피% 74.3 80.4 80.9
1.0부피% 67.8 75.8 72.7
0.1부피% 55.6 70.5 65.7
적포도추추출물(D) 5.0부피% 71.8 78.5 83.5
1.0부피% 68.4 77.1 81.6
0.1부피% 50.4 68.2 66.4
PP Complex 1
(A+B+C)
5.0부피% 91.7 92.0 90.6
1.0부피% 87.6 88.5 86.7
0.1부피% 62.6 74.0 71.8
PP Complex 2
(A+B+D)
5.0부피% 91.2 93.2 91.5
1.0부피% 85.4 89.2 87.1
0.1부피% 63.5 72.0 69.4
PP Complex 3
(A+C+D)
5.0부피% 90.3 90.0 91.7
1.0부피% 79.6 84.3 85.8
0.1부피% 59.5 70.4 70.0
PP Complex 4
(B+C+D)
5.0부피% 92.3 94.0 91.4
1.0부피% 88.9 88.3 87.6
0.1부피% 65.6 75.4 74.9
PP Complex
(A+B+C+D)
5.0부피% 94.5 97.0 96.0
1.0부피% 89.6 93.0 91.4
0.1부피% 67.8 79.4 77.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및 적포도주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감소되어진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회복시켜줌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특히 이들 추출물을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PP Complex)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섬유 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하기 표 4에 기재된 물질들을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3일째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배지를 각 well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well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 온도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를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15380858-pat00001


실험군 농도(ppm) 세포수(%)
마늘추출물(A) 100 123
10 115
녹차추출물(B) 100 138
10 120
적토마토 추출물(C) 100 132
10 117
적포도주 추출물(D) 100 124
10 114
PP Complex 1
(A+B+C)
100 160
10 125
PP Complex 2
(A+B+D)
100 154
10 128
PP Complex 3
(A+C+D)
100 147
10 125
PP Complex 4
(B+C+D)
100 164
10 128
PP Complex
(A+B+C+D)
100 173
10 136
대조군 - 10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및 적포도주 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조성을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한 PP complex는 모두 일관성 있게 시험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를 유액타입의 크림제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함량;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늘추출물 - - - 1.0 - - -
녹차추출물 - - - - 1.0 - -
적토마토추출물 - - - - - 1.0 -
적포도주추출물 - - - - - - 1.0
PP Complex 1.0 - - - - - -
PP Complex 4 - 1.0 - - - - -
식물성 경화유 1.5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린산 0.6 0.6 0.6 0.6 0.6 0.6 0.6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세테아닐 알콜 2.0 2.0 2.0 2.0 2.0 2.0 2.0
아라키딜 베헤닐알콜 1.0 1.0 1.0 1.0 1.0 1.0 1.0
세틸아릴알콜&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2.0 2.0 2.0 2.0 2.0 2.0
PEG-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롤올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1.5 1.5 1.5 1.5 1.5 1.5 1.5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사이클로메디콘 6.0 6.0 6.0 6.0 6.0 6.0 6.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0.1

[시험예 5] 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과 주름개선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콜라겐 합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의 등부위에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를 일주일 동안 도포한 후 생검하여 피부 콜라겐 합성 정도를 콜라겐 면역조직염색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로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질적인 주름생성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 35마리를 항온 항습실에서 키운 후, 각 군당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었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조성물을 각각 8주 동안 매일 100㎕씩 등 부위에 도포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등 부위의 레플리카(replica)를 뜬 다음, 화상분석기(visiometer; SV6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평균 주름의 깊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5를 도포한 곳에서는 비교예 1을 도포한 군보다 각각 20%, 36%, 39%, 28% 정도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실시예 1~2를 사용하였을 때는 73%, 64%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3가지 이상의 추출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훨씬 그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2~5를 도포한 곳에서 비교예 1을 도포한 군보다 평균 주름의 깊이가 개선되었으며, 특히 3가지 이상의 추출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1~2의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4에 비해 아주 우수하게 개선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사람에서의 주름개선 효과
상기 표 5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대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40명을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1군으로 20명씩 2조로 나누어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visiometer (SV6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표 6 의 결과는 도포 8주 후의 각각의 parameter 값에서 도포 전 parameter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 8주후 임상결과 R1 R2 R3 R4 R5
비교예 1 0.28 0.27 0.22 0.04 0.04
실시예 1 -0.22 -0.20 -0.18 -0.06 -0.05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치
R4 :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사람 피부 섬유 아세포에서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 생성 측정
상기의 추출물과 PP Complex가 사람 피부에서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트로포엘라스틴과 피브릴린의 생성을 증가시키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사람 피부에서 분리한 섬유 아세포를 24well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well에 5x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부착시킨 세포에 시험물질을 하기 표 7의 농도대로 처리한 후, 2일이 지난 다음 배지를 수확(harvest)했다. 수확한 배지 중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을 정량하는 방법은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군을 100으로 보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군 농도(ppm) 트로포엘라스틴 생성량(%) 피브릴린생성량(%)
마늘추출물(A) 100 127 124
10 116 116
녹차추출물(B) 100 138 135
10 121 123
적토마토 추출물(C) 100 132 130
10 122 117
적포도주 추출물(D) 100 127 121
10 114 112
PP Complex 4
(B+C+D)
100 154 148
10 139 132
PP Complex
(A+B+C+D)
100 165 158
10 140 134
대조군 - 100 100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험물질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이 많이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PP-Complex 및 PP-Complex 4는 상기원료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큰 상승효과를 보여주었다.
[시험예 8] 인체에서 피부 탄력 개선 측정
상기 표 5의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2개조로 나누고, 각 조에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외용제를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Cutometer SEM 575의 △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다. 상기 R8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
비교예 1 0.11
실시예 1 0.48
도포군 응답자 수(인)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 1 1 2 3 4
실시예 1 4 6 1 0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P Complex가 함유된 실시예 1의 물질을 도포한 군에서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 피부탄력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PP Complex가 함유된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피부탄력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마늘(Garlic), 녹차(Green Tea), 적토마토(Red Tomato), 적포도주(Red Wine)에서 추출한 추출물 중 3종 이상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각각의 구성성분에 비해 훨씬 우수하며, 또한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및 적포도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또는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서,
    상기 각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알리신(Allicin)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추출물은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또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마토 추출물은 리코펜(Lycopene) 또는 베타카로틴(β-Carotene)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주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추출물, 녹차추출물, 적토마토 추출물, 적포도주 추출물이 1:1:1:1의 비로 혼합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내 항산화 효과 증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40025711A 2004-04-14 2004-04-14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11A KR101172058B1 (ko) 2004-04-14 2004-04-14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11A KR101172058B1 (ko) 2004-04-14 2004-04-14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472A KR20050100472A (ko) 2005-10-19
KR101172058B1 true KR101172058B1 (ko) 2012-08-10

Family

ID=3727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711A KR101172058B1 (ko) 2004-04-14 2004-04-14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982A1 (en) 2005-09-08 2007-03-15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KR101252553B1 (ko) * 2006-04-28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958611A1 (en) * 2006-12-20 2008-08-20 DSMIP Assets B.V. Oral composition containing EGCG and lycopene
KR101141343B1 (ko) * 2008-07-21 2012-05-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508622B1 (ko) * 2014-10-02 2015-04-07 주식회사 더마랩 그린토마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N109157502B (zh) * 2018-10-15 2021-06-25 中赛干细胞基因工程有限公司 基于干细胞提取物的美容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359446B1 (ko) * 2019-04-25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테아플라빈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360B1 (ko) * 2000-09-06 2003-02-19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360B1 (ko) * 2000-09-06 2003-02-19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 Papers 147(2), pp. 137-145, (200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472A (ko)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02B1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658582A (zh) 包含未成熟水果混合提取物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15325B1 (ko)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930873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7534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