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325B1 -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325B1
KR101315325B1 KR1020060060185A KR20060060185A KR101315325B1 KR 101315325 B1 KR101315325 B1 KR 101315325B1 KR 1020060060185 A KR1020060060185 A KR 1020060060185A KR 20060060185 A KR20060060185 A KR 20060060185A KR 101315325 B1 KR101315325 B1 KR 10131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tocopherol
selenium
co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820A (ko
Inventor
이화준
김용진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6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익산(Lipoic Acid), 토코페롤(Tocopherol), 코엔자임(Coenzyme) Q10, 셀레늄(Selenium) 및 비타민(Vitamin)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리포익산(Lipoic Acid), 토코페롤(Tocopherol), 코엔자임(Coenzyme) Q10, 셀레늄(Selenium) 및 비타민(Vitamin)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와 관련된 피부내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피부주름의 개선효과 및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리포익산 * 토코페롤 * 코엔자임 Q10 * 셀레늄* 비타민 C * 항산화 * 피부주름 개선 * 피부미백

Description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ntioxidant components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skin whitening}
도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리포익산(Lipoic Acid), 토코페롤(Tocopherol), 코엔자임(Coenzyme) Q10, 셀레늄(Selenium) 및 비타민(Vitamin)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리포익산(Lipoic Acid), 토코페롤(Tocopherol), 코엔자임(Coenzyme) Q10, 셀레늄(Selenium) 및 비타민(Vitamin)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와 관련된 피부내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피부주름의 개선효과 및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노화와 산화작용과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잘 알려진 사실이며, 특 히 피부노화로 유발되는 주름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 현상도 이런 산화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같은 연령이라 할지라도 나이보다 훨씬 젊어 보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사람은 실제보다 훨씬 나이가 들어 보이는 경우도 있다. 피부주름 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 현상과 같은 노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나이의 증가 등의 내인성 요인, 골격과 근육의 모양, 근육의 지속적인 이완과 수축에 의한 유전적인 요인, 및 환경오염물질, 스트레스 등에 의한 환경적인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피부 노화 현상으로 각질 형성 세포 및 섬유아 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으로 인한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최근 연구를 통해 건강한 피부의 경우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로 대표되는 생체 항산화 방어인자에 의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제거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거가 완전하지 않을 경우 활성산소(자유라디칼의 일종)에 의한 산화작용이 발생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피부주름 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현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생체 산화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는 외적요인(공해, 스트레스) 및 내적요인(생체내 에너지 대사과정)에서 생성이 촉진되며, 지방질과 결합하여 과산화 지질이라고 하는 해로운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상기 과산화 지질은 혈관에 작용하여 동맥경화나 혈전증을 비롯해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킨다. 또한, 건강한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의 생성 능력 저하 및 이들 콜라겐 섬유들의 비정상적인 엉킴현상이 증가하여 피부 탄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피부보습을 담당하는 히아루론산과 당단백질의 일종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생성량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HA, 레티노익산, 레티놀, 비타민류 등을 도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지만, 이들은 피부 자극과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사용량에 제한과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인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는 되지 못한다. 또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식물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된 예가 많이 있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비타민 C 등에 대한 연구는 식품분야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성분들을 적절히 조합할 경우 항산화력의 상승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또한 단독으로 상기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에 이용한 예는 있지만 이들 성분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항산화 효능의 극대화를 통한 피부 주름 및 미백효과 증진에 응용한 예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활성산소 등 자유라디칼의 산화작용에 의한 피부주름 증가와 국소적인 흑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각종 항산화 성분에 대해 연구를 하였고, 생체내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회복시켜주는 항산화성분들에 대한 연구 결과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적절히 조합할 경우 피부 주름 및 미백 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자들의 폭 넓은 연구의 결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상기 항산화 성분을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로 함유할 경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여줌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주름의 개선과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항산화 성분을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포익산(Lipoic Acid)은 대사의 필수 물질로서, 피루 브산이나 α-케토글루타르산의 완전한 산화적 탈탄산계에서는 티아민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조효소(CoA)로서 작용한다. 근래에는 다이어트 및 당뇨병 치료에도 그 효능이 입증되는 등 생리 활성물질로서 응용 영역이 매우 큰 소재이며, 화장품에서도 피부 주름 개선, 미백 등의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상기 리포익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토코페롤(Tocopherol)은 지용성 비타민의 하나로 식품에서는 네 종류의 토코페롤(α-, β-, γ-, δ-)과 네 종류의 토코트리에놀(α-, β-, γ-, δ-)형태로 나타나지만, 이 중 가장 흔하고 생체활성이 큰 것은 α-토코페롤로서 이것을 비타민 E로 통칭한다. 토코페롤의 인체내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항산화제로서 세포내에서 산화되기 쉬운 물질, 특히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막의 손상과 나아가서는 조직의 손상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토코페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엔자임(Coenzyme) Q10은 신체내의 다른 효소들과 함께 세포내로 들어온 영양소를 에너지화 하는 생화학 반응에 참여한다. 상기 물질은 심근세포나 근육세포와 같은 에너지 요구량이 많은 세포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강력한 항산화제로도 작용하여 불안정한 유해산소로부터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코엔자임 Q10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셀레늄(Selenium)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량원소(무기질)이다. 상기 영양소는 정상적인 산소대사 과정 중 생기는 자유라디칼로부터 세포를 지키는 항산화 효소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면역체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셀레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타민 C는 콜라겐 형성의 기본물질이기 때문에 조직의 성장과 보수에 필요하고, 골절의 치료에도 필수적이다. 또한, 잇몸을 튼튼하게 하고 부신기능을 좋게 하며, 철분의 흡수를 좋게 하고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 인체내의 산화형물질을 환원형으로 되돌려 준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항산화 성분들을 각각 0.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는 그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는 피부 부작용, 제형의 불안정화 등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비타민 C 및 그 혼합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 실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항산화 성분들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 방법은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 방법을 사용하고 사용된 시약은 모두 미국 시그마社(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시약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 존재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을 확인하는데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시험관적인 방법이다.
DPPH측정에 사용된 물질의 농도는 5.0 부피%, 1.0 부피%, 0.1 부피%, 및 0.01 부피%로 하여 먼저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5mM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총 부피를 200㎕로 하게 넣어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nm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관찰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은 하기 수학식 1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 100 - B / A X 100
A :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성분 5.0 부피% 1.0 부피% 0.1 부피% 0.01 부피%
리포익산 (A) 78.4 45.8 18.4 10.8
토코페롤 (B) 85.6 54.2 32.8 22.1
코엔자임 Q10 (C) 83.7 48.7 27.0 16.7
셀레늄 (D) 80.5 49.3 28.6 15.3
비타민 C (E) 75.2 50.2 20.0 15.3
A+B, 1:1 92.8 80.4 45.1 25.1
A+C, 1:1 91.5 75.3 40.5 20.6
A+D, 1:1 92.3 85.9 50.6 28.3
A+E, 1:1 92.9 88.7 54.3 30.4
B+C, 1:1 93.5 89.7 52.6 29.4
B+D, 1:1 95.5 85.4 55.3 31.1
B+E, 1:1 93.9 87.2 55.4 32.6
C+D, 1:1 94.2 88.5 56.6 32.5
C+E, 1:1 93.1 88.4 54.7 33.5
D+E, 1:1 92.1 89.7 52.6 29.4
A+B+D, 1:1:1 95.5 85.4 55.3 31.1
A+B+D, 1:1:1 98.2 87.2 55.4 32.6
A+B+C+D, 1:1:1:1 98.1 88.5 56.6 32.5
A+B+C+E, 1:1:1:1 98.9 88.7 56.8 33.5
A+B+C+D+E, 1:1:1:1:1 97.9 89.7 53.8 35.5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및 비타민 C는 각각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이 있었으며, 이러한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지니고, 특히 이들 성분들을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람 피부 섬유 아세포에서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 생성 측정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항산화 성분이 사람 피부에서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트로포엘라스틴과 피브릴린의 생성을 증가시키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사람 피부에서 분리한 섬유 아세포를 24웰 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다음, 부착시킨 세포에 시험물질을 하기 표 2의 농도대로 처리한 후, 2일이 지난 다음 배지를 수확(harvest)했다. 수확한 배지 중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을 정량하는 방법은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군을 100으로 보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ppm) 트로포엘라스틴
생성량(%)
피브릴린생성량
(%)
리포익산 (A) 100 127 124
10 116 116
토코페롤 (B) 100 138 135
10 121 123
코엔자임 Q10 (C) 100 132 130
10 122 117
셀레늄 (D) 100 127 121
10 114 112
비타민 C (E) 100 123 125
10 110 111
A+B, 1: 1 100 155 158
10 140 134
A+B+C, 1: 1:1 100 165 158
10 143 136
A+B+C+D, 1:1:1:1 100 170 153
10 142 137
대조군 - 100 10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험물질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이 많이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각각의 시험물질들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상기 원료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큰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크림제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리포익산 (A) - - - - 1.00 - - - -
토코페롤 (B) - - - - - 1.00 - - -
코엔자임 Q10 (C) - - - - - - 1.00 - -
셀레늄 (D) - - - - - - - 1.00 -
비타민 C (E) - - - - - - - - 1.00
A+B, 1:1 1.00
A+B+C, 1:1:1 1.00
A+B+C+D, 1:1:1:1 1.0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테아닐 알콜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시험예 3] 사람에서의 주름생성 개선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30대 여성 100명을 각각 20명씩 5개조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중 하나를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모사판(replica)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노화도 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수치는 도포 8주 후 각각의 변수(parameter)값에서 도포 전 변수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4에서 R1은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는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는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는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는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각의 주름 윤곽을 뺀 차이값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R1 R2 R3 R4 R5
실시예 1 -0.18 -0.13 -0.06 -0.05 -0.04
실시예 2 -0.19 -0.16 -0.07 -0.06 -0.05
실시예 3 -0.25 -0.19 -0.1 -0.09 -0.07
비교예 1 0.06 0.05 0.02 -0.01 0.00
비교예 2 -0.10 -0.07 -0.4 -0.03 -0.03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3이 비교예 1~2에 비해 더 우수한 피부주름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측정
인간 멜라노마 세포인 HM3KO 세포(Y. Funasaka, Department of dermatology, Kob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1 Kusunoki-cho 7-chrome, Chuo-ku, Kobe 650, Japan)를 우태아혈청이 10% 들어간 최소 필수배지 (Minimum Essential Medium ; MEM)에 넣어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를 세포수가 각 플라스크 당 3 × 105이 되게 75 플라스크에 깔고, 하룻밤 동안 세포가 기벽에 붙기를 기다린 다음 세포가 잘 붙은 것을 확인한 후, 배지를 하기 표 5의 시험물질이 10ppm 들어 있는 새배지로 갈아주었다. 대조구는 DMSO가 들어 있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이런 식으로 2~3일에 한번씩 시료가 들어 있는 새배지로 갈아주면서 세포가 플라스크에 꽉 찰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녹여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멜라닌생성억제율(%) = 100 - (각 시험물질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험물질 멜라닌생성억제율 (%)
리포익산 (A) 15.2
토코페롤 (B) 12.3
코엔자임 Q10(C) 14.7
셀레늄 (D) 3.45
비타민 C (E) 14.8
A+B, 1:1 25.8
A+C, 1:1 22.8
A+D, 1:1 23.5
A+E, 1:1 26.1
B+C, 1:1 23.5
B+D, 1:1 26.4
B+E, 1:1 21.9
C+D, 1:1 26.5
C+E, 1:1 25.9
D+E, 1:1 21.7
A+B+D, 1:1:1 30.5
A+B+D, 1:1:1 29.3
A+B+C+D, 1:1:1:1 35.1
A+B+C+E, 1:1:1:1 33.5
A+B+C+D+E, 1:1:1:1:1 36.5
[시험예 5]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 - 2 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고, 시험물질들을 도포하여 두 달 후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물질들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피부 외용제를 아침, 저녁 2회씩 매일 바르게 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피부의 명암를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태우지 않은 한국인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험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표 6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L* = 도포 후 두달 후의 L*값 - 도포 개시할 때 L*값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시험 물질 미백 효과 (△L)
실시예 1 2.82
실시예 2 3.04
실시예 3 3.55
비교예 1 1.27
비교예 2 1.67
비교예 3 1.82
비교예 4 1.79
비교예 5 1.20
비교예 6 2.01
상기 표 6 및 하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이 비교예 1~6에 비해 인체 임상실험결과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리포익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셀레늄,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거나 항산화와 관련된 피부내 방어인자의 활성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피부주름의 개선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삭제
  2. 리포익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60060185A 2006-06-30 2006-06-30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1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85A KR10131532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85A KR10131532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20A KR20080001820A (ko) 2008-01-04
KR101315325B1 true KR101315325B1 (ko) 2013-10-07

Family

ID=392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185A KR10131532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46A (ko) 2015-06-12 2016-12-21 안지정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007414B1 (ko) 2019-01-11 2019-08-05 박순애 천연 혼합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680B1 (ko) 2019-03-27 2020-09-02 (주)우리꽃연구소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69B1 (ko) * 2008-12-10 2016-08-08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882A (ko) * 1999-12-28 2001-07-07 서경배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10079464A (ko) * 2001-07-23 2001-08-22 박찬구 노화방지 항산화 제제 조성물
KR100392948B1 (en) * 2002-08-14 2003-07-28 Amko Bio Technology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soap
KR20040005407A (ko) * 2002-07-10 2004-01-16 이명석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882A (ko) * 1999-12-28 2001-07-07 서경배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10079464A (ko) * 2001-07-23 2001-08-22 박찬구 노화방지 항산화 제제 조성물
KR20040005407A (ko) * 2002-07-10 2004-01-16 이명석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0392948B1 (en) * 2002-08-14 2003-07-28 Amko Bio Technology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so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46A (ko) 2015-06-12 2016-12-21 안지정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007414B1 (ko) 2019-01-11 2019-08-05 박순애 천연 혼합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680B1 (ko) 2019-03-27 2020-09-02 (주)우리꽃연구소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20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rencini et al. Active ingredients against human epidermal aging
US9000049B2 (en) Combination of lycopene, polyphenol, and vitamins for the care of keratin materials
KR101517950B1 (ko)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60928A (ko)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5325B1 (ko)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51284A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66822A (ko)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8270A (ko)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89551B1 (ko) 복합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KR102337308B1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100670237B1 (ko) 홍화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1562368B1 (ko) 생체모방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626A (ko) 발레클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Heo et al. Pre-Clinical evaluation of proprietary lutein, zeaxanthin, and rosemary formulation for its dermal protective activity in male swiss albino mice
KR100431503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프럭토스1,6-디포스페이트 및 그의 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14632045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KR20130057534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73776A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487A (ko)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