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950B1 -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950B1
KR101517950B1 KR1020140065534A KR20140065534A KR101517950B1 KR 101517950 B1 KR101517950 B1 KR 101517950B1 KR 1020140065534 A KR1020140065534 A KR 1020140065534A KR 20140065534 A KR20140065534 A KR 20140065534A KR 101517950 B1 KR101517950 B1 KR 10151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rgeon
skin
mucus
effect
a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최수연
이누림
김효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4006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인 철갑상어(sturgeon)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효과, 피부 미백효과, 피부 보습효과, 피부장벽기능 회복효과, 아토피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mucus from sturgeon}
본 발명은 철갑상어(sturgeon)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갑상어의 표피, 알집 및 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 이다.
피부노화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chronological aging)와 광노화(phtoaging)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Gilchrest BA: J. Am . Acad . Dermatol.,21, 610-613(1989)]. 내인성 노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노화현상이다[Braverman IM 등: J. Invest . Dermatol., 78, 434-443(1982)]. 광노화는 피부가 광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피부의 외양 또는 기능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Ridder GM등: J. Am . Acad . Dermatol., 25, 751-760(1991)]. 이외에도, 피부노화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성산소종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 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며,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가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활성산소종 뿐만 아니라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 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노출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자외선에 의해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MMP의 활성만을 단순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멜라닌은 색소 세포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의 작용에 의해 타이로신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어 도파크롬(dopachrome) 등을 거처 생성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내 호르몬 분비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멜라닌이 과잉생산되면 기미, 주근깨 등을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멜라닌 과잉생산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 아스코르빈산(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일본특개평 6-192062), 코직산(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일본특개평 4-93150) 및 식물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성분은 화장품 제형 중에서 안정성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가 발생하거나, 생체 수준에서의 효능, 효과가 불분명하거나 또는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생체성분 즉, 물이나 전해질 등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수분 손실(Trans Epidermal Water Loss : TEWL)이라 하며, 이러한 경피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편,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 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은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하지만,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각질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링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되는 것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외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일어나 피부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화장품에는 피지와 유사한 성분이나 천연보습인자(NMF) 성분 또는 폴리올과 같은 보습제 등이 첨가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올로서 수산기(OH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리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을 나타내나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할 때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수산기(OH기)가 2개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은 피부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천연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능력이 있다고 하나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각질층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은 피지성분과 아미노산, 젖산, 요소 및 무기염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보습인자(NMF)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피부 외용제에서 천연보습인자와 같이 안전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하고, 보습효과가 높은 물질의 개발이 화장품에서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아토피 알러지를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70%에서 아토피의 병력이 있었으며,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에서 호발하고, 특히 다른 알러지 질환인 알러지성 비염, 천식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유전적 요인에 의한 질병이나 면역 질환 중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는 높은 약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약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고,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사용 중지에 의하여 리바운드(약물의 사용정지 후에 일어나는 극적인 환부의 병세악화)가 생기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부작용의 대책으로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호르몬을 포함하지 않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완치가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제 또는 치료제 개발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한편, 철갑상어(sturgeon)는 철갑상어목 경골어류강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약 25종(Acipenser naccarii, Acipenser guldenstadtii, Acipenser baerii 등)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에 두루 서식한다. 몸은 긴 원통 모양이고 주둥이가 길며 뾰죽하다. 몸은 5개의 세로줄이 있는 판 모양의 단단한 비늘로 싸여 있다. 철갑상어는 뼈와 연골 그리고 지느러미 등에는 황산콘드로이친, 콜라겐, 유기칼륨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어린이와 여성들의 골격강화 또는 노인성 골다공증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철갑상어의 알은 단백질과 비타민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노화방지에 탁월하며 피부 친화력이 우수해 흡수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노화방지 효능이 있는 오메가3(Omega3)와 같은 필수 지방산 등 다양한 영양 성분과 보습성분으로 피부를 건강하게 해준다. 다만, 아직까지 철갑상어 점액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키는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5952호는 "상어 연골추출물과 비타민 케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어 연골추출물과 비타민 K 유도체인 폴리펩타이드피토나디온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철갑상어의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피부장벽기능 회복용, 아토피 개선용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5255호는 "캐비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좀의 유액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중에 레시틴 1.00~5.00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0~15.00중량%, 에탄올 5.00~50.00중량%, 캐비어 추출물 5.00~50.00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2.00~6.00중량%, 디이에이-세틸포스 페이트 0.20~0.70중량% 및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0.10중량%를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고압하에서 유화시켜 얻어지는 캐비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좀의 유액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철갑상어의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피부장벽기능 회복용, 아토피 개선용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바 없다.
본 발명은 철갑상어(sturgeon)의 표피, 알집 및 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피부장벽기능 회복, 아토피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갑상어(sturgeon)의 표피, 알집 및 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철갑상어의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효과, 피부 미백효과, 피부 보습효과, 피부장벽기능 회복효과, 아토피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어류의 피부는 바깥층의 표피와 안층의 진피로 나누어진다. 비늘은 진피 내에 있는데, 각질이며 투명하고, 또 성장함에 따라 커지므로 비늘의 나이테로 물고기의 나이를 추측할 수 있다. 비늘의 표면에 해당하는 표피와 진피 사이에는 색소세포가 있고, 비늘의 안쪽인 진피와 근육 사이에는 광채세포(光彩細胞)가 있다.
한편, 철갑상어의 표피에는 점액선에서 분비되는 점조성이 풍부한 액체, 즉 점액이 있는데, 이러한 점액은 표피를 보호하고 세균감염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철갑상어의 표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은 전혀 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철갑상어는 경골어류로 강바닥의 모래와 자갈에 알을 낳아 체외수정을 한다. 봄과 여름철 수온이 올라가는 시기에 산란을 하며, 매년 산란을 하지 않고, 일생에 몇번만 산란을 한다. 철갑상어의 알은 철갑상어의 배를 갈라 얇은 막으로 쌓여있는 알집으로부터 채취할 수 있다. 철갑상어 알의 크기는 종에 따라 또는 암컷의 크기에 따라 다르나 대게 1.9~4.0 mm로 침성 부착란이다. 알은 동물극에 밝은 띠를 가지며 510개의 난공이 있어 수정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고, 3개의 층(내부 난황, 외부 난황, 점액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갑상어의 알은 캐비어(caviar)라고 하며 맛이 고소하고, 독특한 향을 내어 세계 진미로 꼽히고 있다. 또한, 철갑상어의 알은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조절해주고,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등의 성분으로 노화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철갑상어의 알은 점액이 제거된 알만을 이용하는 것이 대다수이며, 현재까지 철갑상어의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은 전혀 개시된 바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장벽기능 회복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개선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철갑상어로부터 수득된 점액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또한,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철갑상어(sturgeon)의 표피, 알집 및 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효과, 피부 미백효과, 피부 보습효과, 피부장벽기능 회복효과, 아토피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소재인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철갑상어 표피로부터 점액 수득]
철갑상어를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고 건강한 철갑상어만 선별하여 70% 에탄올로 깨끗이 소독하고 정확하게 점액을 얻기 위해 무게를 측정하였다.
무게를 측정한 철갑상어를 망에 넣어 10분간 분비된 점액을 수집하고 다시 먹이를 준 후 12시간 회복기를 주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점액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점액은 냉장보관하였다.
한편, 철갑상어 표피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철갑상어 표피 점액'이라고 지칭한 후,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철갑상어 알집 및 알로부터 점액 수득]
산란기가 다가온 철갑상어의 배를 수술적 방법으로 갈라 알집을 꺼내었다. 그 후, 알집과 알을 분리한 후, 알집 및 알로부터 점액을 수득하였다. 수집한 점액은 냉장보관하였다.
한편, 철갑상어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이라고 지칭한 후,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점액 수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철갑상어 표피 점액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점액을 수득하였다.
한편,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점액을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이라고 지칭한 후,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NBT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레티놀 및 부틸히드록시 톨루엔(butyl hydroxytoluene, BHT)과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샘플로 하고,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하였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키고, 이 활성산소가 NBT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 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서, 바이엘 병에 0.05M Na2CO3 2.4 ㎖, 3mM 크산틴 용액 0.1 ㎖, 3mM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용액 0.1 ㎖,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용액 0.1 ㎖ 및 0.7mM NBT 용액 0.1 ㎖를 가하고 여기에 각각의 시료용액 0.1 ㎖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크산틴옥시다제 용액 0.1 ㎖를 가하여 교반한 후, 25℃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6mM CuCl2 0.1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 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하였다. 또한,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크산틴옥시다제 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수학식 1]
억제율(%) = 〔1-(St-So)/(Bt-Bo)〕×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처리농도(%) 항산화효과(%)
철갑상어 표피 점액 0.1 86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0.1 91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0.1 88
레티놀 0.1 88
BHT 0.1 84
NBT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표피 점액의 항산화 효과는 86%,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의 항산화 효과는 91%,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의 항산화 효과는 88%로 레티놀 및 BHT의 항산화 효과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녹차 추출물 및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고,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디(4-터트-오틸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프리 라디칼(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디(4-터트-오틸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프리 라디칼(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Aldrich Chem. Co., MW=618.76) 0.1mM 용액으로서 61.88 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 ㎖로 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0.1 mM DPPH 용액 0.15 ㎖와 시료용액 0.15 ㎖를 각각 가하고 빠르게 교반한 후, 25℃에서 10분간의 배양하였다. 그 후, 560 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0.1 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억제율(%) = 〔1-(St-So)/(Bt-Bo)〕×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처리농도 (%) 항산화 효과 (%)
철갑상어 표피 점액 0.01 52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0.01 81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0.01 72
녹차 추출물 0.01 40
비타민 E 0.01 88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표피 점액,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및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은 0.01% 농도에서 녹차 추출물 및 비타민 E의 항산화 효과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MMP -1) 저해 평가 in vitro ]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레티놀 및 녹차 추출물을 비교샘플로 하고,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저해 활성을 생화학적 모델에서 측정하였다. 정제된 콜라게나제 및 이의 기질인 플루오레세인에 접합된 콜라겐과 젤라틴의 이용을 기초로 하였다.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컴으로부터 정제된 콜라게나제를 상기 EnzChek (상표명)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내에 공급하였다. 돼지 피부로부터 정제하고 플로오레세인에 접합된 DQ-콜라겐과 반응 완충액{0.05M 트리스-HCl, 0.15M NaCl, 5mM CaCl2 및 0.2mM 나트륨 아지드(pH 7.6)}은 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몰큘라 프로브스)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철갑상어 점액은 상기 반응 완충액 내에 용해시켜 0.04, 0.02%(w/v)로 시료를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각 시료는 25 ㎍/㎖의 DQ-콜라겐 및 0.1 U/㎖의 콜라게나제와 함께 실온에서 15분, 45분, 12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콜라게나제와 DQ-콜라겐 혼합물에 상응하는 대조용 혼합물(control)도 동일하게 항온처리하였고, 각각의 실험 조건에서 Blank, 이하 '효소 비함유 blank'이라 칭하는 샘플은 DQ-콜라겐의 존재 및 콜라게나제의 부재하에서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3회 수행하였으며, 15분, 45분, 120분 경과 후 DQ-콜라겐의 분해에 상응하는 신호는 형광측정기(여기:485 nm, 방출 505 nm)로 측정하였다. 그 후, '효소 비함유 blank' 형광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샘플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샘플당 형광 단위 및 대조군에 대한 변이율(%)로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3과 같았다.
실험샘플 저해율 (%)
처리농도 (%) 0.02 처리농도 (%) 0.04
철갑상어 표피 점액 62 79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77 85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73 88
레티놀 82 87
녹차 추출물 55 70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저해 활성 평가결과, 처리농도 0.04%로 처리시 철갑상어 표피 점액은 79%,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은 85%,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은 88%로 레티놀 및 녹차 추출물의 저해 효과에 비하여 동등 이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철갑상어 표피 점액 0.02% 처리시 62%의 저해율을, 0.04% 처리시 79%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철갑상어 점액은 투여량 의존성으로 항콜라게나제/젤라티나제 활성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자외선 조사 후 철갑상어 점액에 의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MMP -1) 발현억제 평가]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실시하였다. 비교샘플로는 레티놀을 이용하였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 J/㎠의 에너지로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MMP-1 (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mg/ml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처리농도 (%) MMP-1 발현억제율(%)
대조군 - -
철갑상어 표피 점액 0.1 82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0.1 79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0.1 85
레티놀 0.1 80
자외선 조사 후 철갑상어 점액에 의한 MMP-1 발현억제 평가 실험결과, 시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철갑상어 표피 점액은 82%,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은 79%,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은 85%의 억제율을 보여,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MMP-1 발현억제율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을 비교 샘플로 하고,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 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이디티에이(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나이드(PMSF)} 1 ㎖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 (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 (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3]
저해율 (%) = [(A-B)/A]×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시료명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IC50)
철갑상어 표피 점액 0.08%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0.07%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0.05%
하이드로퀴논 0.06%
알부틴 0.31%
상백피 추출물 0.12%
유용성 감초 추출물 0.04%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철갑상어 표피 점액의 IC50값은 0.08%,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은 0.07%,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은 0.05%로 기존의 미백제인 하이드로퀴논,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6: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의 항염증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사람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 ㎕의 PBS를 넣었다. 상기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 (Model : F15T8, UV B 15 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각각의 철갑상어 점액을 처리한 후,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써 철갑상어 점액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를 판단하였다. IL-1α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IL-1α의 생성율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1-(St-Bo)/(Bt-Bo)〕X 100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 생성량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 생성량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IL-1α 생성량
시료명 처리농도 (%)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
철갑상어 표피 점액
0.01 31
0.02 64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0.01 45
0.02 77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0.01 53
0.02 82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실험결과,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의 생성을 철갑상어 표피 점액은 0.02% 농도에서 64%,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은 0.02% 농도에서 77%,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은 0.02% 농도에서 82% 억제하여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의 점액은 자외선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철갑상어(sturgeon) 표피 점액,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상기 실시에 3에서 수득한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을 각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7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형태의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7과 같이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지 않는 일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비교예 1이라고 지칭하였다.
원료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스테아릴 알콜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2 2
유동파라핀 5 5 5 5
철갑상어 표피 점액 5 - - -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 5 - -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 - 5 -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글리세린 4 4 4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주) 단위: 중량%
[ 실험예 7: 피부 미백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상기 비교예 1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시험 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 및 피부색의 변화를 크로마메타(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 시험 후 피부 밝기-시험 전 피부 밝기)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 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하여 하기 등급 분류에 따라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 효능 정도를 다음의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매우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부색의
밝기 변화
(Δ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평균값 3.5 2.6 2.7 2.8 1.8 2.8 2.8 2.8 1.9
피부 미백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한 크림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8: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의 크림을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4 내지 5의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는 제품 사용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 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n=10, p<0.05).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사용 전 2개월
사용 후
평균 잔주름 깊이 0.23 0.21 0.22 0.20 0.22 0.19 0.22 0.21
유의차 0.016 0.011 0.008 0.114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크림(실시예 4 내지 6)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눈 주위 피부에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9 : 아토피 개선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4 및 6에서 제조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토피가 있는 실험자(3세~40세) 20명을 대상으로 이중 10명에게는 아토피 피부 부위에 상기 실시예 4 및 6의 크림을, 나머지 10명에게는 상기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4주간 도포하였다. 제품 도포 전(0주), 제품 도포 4주 후에 피험자의 시험 부위의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면역글로불린(IgE) 변화, 산호성 백혈구(Eosinophil) 변화 및 수분함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는 4주동안 육안으로 관찰한 후, 경미한 증상의 경우 10, 중등도 증상인 경우 30, 심한 증상인 경우 50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면역글로불린(IgE) 변화는 ELISA kit(Yamasa,Tokyo, Japan)를 이용하여 총 IgE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산호성 백혈구 변화는 혈구 자동 측정기를 이용하여 카운팅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수분함유량은 수분측정기(Corneometer 82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4주간 시험에 참여한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이상반응은 없었으며, 하기 표 10은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비교한 것이다(n=20, p<0.05).
시료명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IgE 변화
(㎍/㎖)
산호성 백혈구
변화
(개수)
수분함유량
(%)
실시예 4 37.48 29.19 434.3 318.4 312 246 15.87 26.88
실시예 5 37.48 29.43 431.2 307.9 311 235 14.21 24.78
실시예 6 37.66 28.77 447.5 311.4 317 241 16.42 28.42
비교예 1 37.77 33.06 446.5 366.5 321 281 16.31 18.03
아토피 개선 효과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표피 점액을 함유한 실시예 4 내지 6의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에서 아토피 피부 진단 기준이 되는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혈액에서의 IgE 및 산호성 백혈구의 변화 및 수분함유량이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어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2 내지 5: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1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 다음, 가)상을 나)상에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그 후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상의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11과 같은 조성으로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지 않는 일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각각 비교예 2 내지 5라고 지칭하였다.
원료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스테아릴 알콜 8 8 8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
알콜에스테르
3 3 3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2 2 2 2 2
철갑상어
표피 점액
5 - - - - - -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 5 - - - - -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 - 5 - - - -
글리세린 - - - - 5 - -
Na-히알루론산염 - - - - - 5 -
1,3-부틸렌글라이콜 - - - - - -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주)단위: 중량%
[ 실험예 10 : 피부 보습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7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박부에 상기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2 내지 5를 각각 바르고, 약 90분 후에 바르기 전과 바른 후의 보습 능력을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 820)로 보습효과(△Hydration)를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보습제 종류 철갑상어 표피 점액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 철갑상어 표피, 알집 및 알 점액 - 글리세린 Na-히아루론산염 1,3-부틸렌글라이콜
보습효과
(△Hydration)
17 18 18 5 10 13 9
피부 보습효과 측정 실험결과,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크림(실시예 7 내지 9)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11 :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7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철갑상어(sturgeon) 점액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mal Water Loss)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40대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각 시료를 바르고 눈가에서 3 cm 우측으로 1 cm 아래로 떨어진 부위를 바르기 전과 바른 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의 경피수분손실량을 테와미터(TewameterR, 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13은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2 내지 5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것이다(단위: g/m2/h).
구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실시예 7 14.9 12.4 9.9 7.6
실시예 8 13.2 11.3 8.1 7.5
실시예 9 11.2 9.8 7.1 6.2
비교예 2 18.6 16.7 13.5 10.8
비교예 3 16.8 14.1 12.2 9.5
비교예 4 15.4 14.6 11.9 9.7
비교예 5 15.5 13.8 11.4 9.2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실험결과, 상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갑상어 점액을 함유하는 크림(실시예 7 내지 9)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철갑상어(sturgeon)의 표피로부터 수득된 철갑상어 표피 점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철갑상어의 알집 및 알로부터 수득된 철갑상어 알집 및 알 점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65534A 2014-05-30 2014-05-30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34A KR101517950B1 (ko) 2014-05-30 2014-05-30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34A KR101517950B1 (ko) 2014-05-30 2014-05-30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950B1 true KR101517950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534A KR101517950B1 (ko) 2014-05-30 2014-05-30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95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182A (ko) * 2015-06-16 2018-02-23 아시펜서 바이오테크 리미티드 철갑상어 어란 주머니 막-유래 오일
KR20190014376A (ko) 2017-08-02 2019-02-12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51704B1 (ko) * 2022-05-27 2022-10-07 이용광 수소수와 천연 재료 혼합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WO2023286964A1 (ko) * 2021-07-15 2023-01-1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캐비아 효소처리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2508983B1 (ko) * 2022-07-12 2023-03-10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09800B1 (ko) * 2022-07-12 2023-03-14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10795B1 (ko) * 2022-07-12 2023-03-16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27508B1 (ko) * 2022-05-03 2023-05-03 이용광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용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39555B1 (ko) * 2022-05-03 2023-06-02 이용광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55616B1 (ko) * 2022-05-03 2023-07-18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83992B1 (ko) * 2023-03-15 2023-10-05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제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71A (ko) * 2004-11-08 2006-05-11 주식회사 오비에스 캐비어 추출물, 음이온수 함유 나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JP2008127328A (ja) * 2006-11-21 2008-06-05 Atena:Kk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KR20130089137A (ko) * 2012-02-01 2013-08-09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71A (ko) * 2004-11-08 2006-05-11 주식회사 오비에스 캐비어 추출물, 음이온수 함유 나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JP2008127328A (ja) * 2006-11-21 2008-06-05 Atena:Kk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KR20130089137A (ko) * 2012-02-01 2013-08-09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182A (ko) * 2015-06-16 2018-02-23 아시펜서 바이오테크 리미티드 철갑상어 어란 주머니 막-유래 오일
KR102044343B1 (ko) 2015-06-16 2019-11-13 샤흐 캐비아 리미티드 철갑상어 어란 주머니 막-유래 오일
KR20190014376A (ko) 2017-08-02 2019-02-12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3286964A1 (ko) * 2021-07-15 2023-01-1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캐비아 효소처리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2527508B1 (ko) * 2022-05-03 2023-05-03 이용광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용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39555B1 (ko) * 2022-05-03 2023-06-02 이용광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55616B1 (ko) * 2022-05-03 2023-07-18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51704B1 (ko) * 2022-05-27 2022-10-07 이용광 수소수와 천연 재료 혼합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08983B1 (ko) * 2022-07-12 2023-03-10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09800B1 (ko) * 2022-07-12 2023-03-14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10795B1 (ko) * 2022-07-12 2023-03-16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83992B1 (ko) * 2023-03-15 2023-10-05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50B1 (ko)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223862T3 (es) Nuevos compuestos de la familia de las n-acilaminoamidas, composiciones que las comprenden y utilizaciones.
US6623769B1 (en) Administration of lycopene for combating skin/mucous membrane damage
JP2002193738A (ja) 皮膚老化の徴候を処置する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種のツツジ科植物の少なくとも1種の抽出物の使用
KR20120083943A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948374B2 (ja) 高麗人参果実アギタケ発酵液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60669B1 (ko)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030152597A1 (en) Use of at least one sapogenin for prevening the skin or ageing symptoms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77397B1 (ko) 레티놀 및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FR2755367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e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JP2011153090A (ja) 皮膚老化防止・改善剤
KR20080107565A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675702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возрастных нарушений кожи, содержащая ретинальдегид и экстракт Leontopodium alpinum
KR20090130743A (ko) 천선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또는 피부미백용화장료 조성물
WO2011113785A2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ng skin appearance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04426A1 (en) Skin-care agent containing pleurotus ferulae fruit body extract or pleurotus ferulae mycelium extract
US11110117B2 (en)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complex hyaluronic acid
KR20160132255A (ko) 천연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8810B1 (ko) 참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