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534A -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534A
KR20130057534A KR1020110123290A KR20110123290A KR20130057534A KR 20130057534 A KR20130057534 A KR 20130057534A KR 1020110123290 A KR1020110123290 A KR 1020110123290A KR 20110123290 A KR20110123290 A KR 20110123290A KR 20130057534 A KR20130057534 A KR 2013005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prout extract
sprout
formulation example
acai 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110B1 (ko
Inventor
최지은
이종석
박창훈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2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환경오염 등 노화를 촉진시키는 외부 유해 환경 인자에 대응하여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속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항노화 효과가 탁월하며,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containing Acaiberry extract and sprout ex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환경오염 등 노화를 촉진시키는 외부 유해 환경 인자에 대응하여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속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항노화 효과가 탁월하며,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의 관계는 많은 연구를 통해 잘 알려진 사실인데, 자유라디칼은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발생하여 생체구성 성분들을 산화적으로 손상시키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어 결국 노화와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자유라디칼들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또는 카탈레이즈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 글루타치온(glutathio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vitamin E) 또는 유비퀴논 (ubiquinone)과 같은 항산화 방어인자 등에 의하여 제거되고 있으나, 완벽히 제거되지 않고 있다. 제거되지 않은 자유라디칼은 세포 및 조직에 다량 축적되어 세포 내 DNA 및 단백질을 손상시켜 암, 다운증후군, 알츠하이머 등의 유전 질환을 야기할 뿐 아니라 세포 및 조직을 파괴시킴으로써 노화를 진행시킨다.
피부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뿐만 아니라 일광 및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광노화(photoaging)가 많이 진행된다. 특히 이러한 일광 및 자외선은 피부에 직접 닿을 경우 자유라디칼을 많이 발생시키며, 이러한 자유라디칼에 의해 피부의 항산화 방어체계는 손상을 받게 되어 주름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이완시키는 등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물질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을 이용하여 시험관내 (in vitro)에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는 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피부세포 또는 피부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계의 방어인자 활성을 측정하여 실제적인 보호효과를 측정하는 생체 내(in vivo) 시험 단계에는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들의 젊어 보이고자 하는 욕구, 노화를 늦추고 싶은 욕구와 화장품의 기대 효능은 증가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항노화 화장품들은 40대 이후 노화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관련 성분들 역시 보습, 탄력개선, 주름개선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항노화 성분 역시 레티놀, 비타민 류 등 합성 성분인 경우가 많다. 즉,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식물 성분의 조합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제품들은 아직 시장에 없다고 볼 수 있다.
아사이베리(Acaiberry)는 브라질의 열대 우림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식물의 열매로서 여러 세기동안 원주민들이 질병 해독제, 천연 최음제 및 에너지와 활력을 증가시키는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최근 아사이베리의 풍부한 항산화 효능 및 면역력 증진 특성이 알려지고 있다.
해바라기 씨는 비타민 E와 무기질이 풍부한 점이 알려져 있어, 해바라기 씨 자체에서 짜낸 식물성 오일 형태로 화장료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해바라기 씨앗이 싹을 틔운 상태의 새싹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화장료성분으로 이용된 바는 없다.
국내특허출원 제2008-002954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공해 등의 피부 유해 인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조합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체가 피부 속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노화를 최대한 늦추며, 피부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사이베리; 및 해바라기 새싹 추출물, 서양유채싹 추출물, 브로콜리싹 추출물, 양배추 새싹 추출물, 빌베리싹 추출물, 빅트리싹 추출물 및 복숭아나무싹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노화, 항산화,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사이베리; 및 해바라기 새싹 추출물, 서양유채싹 추출물, 브로콜리싹 추출물, 양배추 새싹 추출물, 빌베리싹 추출물, 빅트리싹 추출물 및 복숭아나무싹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아사이베리 또는 새싹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용성 성분들을 먼저 추출하고, 여기에 에탄올을 더 첨가하여 유용성 성분을 추출한 후, 3일간의 숙성 과정과 제균 필터를 이용한 여과 과정을 거침으로써 아사이베리 또는 새싹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해바라기 새싹 추출물, 서양유채싹 추출물, 브로콜리싹 추출물, 양배추 새싹 추출물, 빌베리싹 추출물, 빅트리싹 추출물 및 복숭아나무싹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싹이 틔워진 어린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이다. 씨앗이 싹을 틔워 작은 식물 형태를 이루었을 때 물질을 추출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식물이 자라나는데 필요한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질 등 영양소를 가장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해바라기, 서양유채, 브로콜리, 양배추, 빌베리, 빅트리 및 복숭아 유래 화장료 성분으로서는 이용되는 것이 드물었던 새싹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사용하여 자외선, 외부 유해 성분들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산화 반응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2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01중량%미만에서는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취 등 화장품 변성의 우려가 있고 화장품 제형의 점도 조절이 쉽지 않으며 에멀젼 제형 제조시 전상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화장료 제형으로서 개발하기 어렵고 생산 경제성도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 중 1종을 함유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1.0:10.0~10.0:1.0이다. 이러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두 성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의 혼합비는 각 추출물 동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Anti-Sunburn Cell Complex)를 제조한다.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 콤플렉스는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영향으로 표피와 진피의 구조가 무너지고 결국은 자외선에 의해 촉진되는 피부노화인 광노화를 조기에 막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조합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근거한 조합으로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를 통해 피부 노화 및 항산화 측면에서 그 장기적인 효능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항산화,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예를 들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로션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 혹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및 가용화 젤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피부 속 산화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젊음을 지속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들의 상승 작용으로 자외선으로 대표되는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유발되는 피부손상을 강력히 억제하여 외부 유해 환경과 직접 맞서 싸우는 피부 조직의 건강을 지켜주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 또한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및 세포 내 항산화계 보호 효과가 뛰어나므로, 항산화 효능 및 항노화 효능을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항염, 항균 및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 참고예 1]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의 제조
아사이베리와 해바라기 새싹 추출물, 서양유채싹 추출물, 브로콜리싹 추출물, 양배추 새싹 추출물, 빌베리싹 추출물, 빅트리싹 추출물 및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건조중량 100g씩을 각각 플라스크에 넣고 100%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3-BG) 2ℓ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실험
아사이베리 추출물과 새싹 추출물 혼합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참고예 1에서 추출한 아사이베리 추출물 : 새싹 추출물의 비율을 1:1로 한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를 제조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능력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각 성분의 사용 가능한 범위가 이 비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조군으로는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비타민 C 50ppm 처리하였고, 또한 각 추출물 1종만을 처리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비교 하였다.
측정 방법은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방법에 의하였으며, 이때 시약은 모두 미국 시그마사(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 시약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시험관적인 방법(in vitro)으로 사용되고 있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에 사용하는 각 추출물과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의 농도는 각각 1 부피%, 0.1부피% 및 0.01 부피%로 하였다. 상기 농도의 추출물을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넣고 여기에 100μM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첨가하여 용액의 총 부피가 200㎕가 되게 하였다. 이것을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nm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추출물 및 비타민 C 어느 것도 처리하지 않은 웰을 사용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시험물질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50 ppm 1 부피% 0.1부피 % 0.01부피%
비타민 C 79.1 - - -
아사이베리 추출물 - 82.7 59.3 30.1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 79.9 51.6 22.0
서양유채싹 추출물 - 77.7 50.9 22.1
브로콜리싹 추출물 - 76.5 49.8 20.8
양배추새싹 추출물 - 78.1 51.2 22.3
빌베리싹 추출물 - 79.0 52.1 21.7
빅트리싹 추출물 - 75.8 48.2 19.9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77.1 50.1 19.7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 92.2 68.3 40.1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 91.8 66.7 39.9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 90.3 65.8 38.1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 90.8 63.5 37.8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 89.7 68.1 39.3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 88.8 69.1 38.4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 90.1 67.2 36.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 의 혼합물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는 비타민 C와 같이 뛰어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으며,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사람피부세포주에 대한 항산화계 보호효과 측정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독일암연구센터의 Dr. Fusenig로부터 분양받은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이다. 상기 세포주를 150X150 배양 플레이트에 6.0X106개로 분주하고 1일간 배양한 후, 이 세포를 10부피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Life Technologues社) 배지에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의 농도를 1 부피%, 0.1부피%, 0.01 부피%로 하여 각각 처리한 배지에 분주하고 37℃, 5% CO2조건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척용으로 1X 인산완충액(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미국 시그마社,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배양 후, 자외선B(UVB) 램프(Model:F15T8, UV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30mJ/㎠의 세기로 처리하고, 37℃, 5% CO2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하베스트(harvest)하여 항산화 방어인자 측정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의 농도는 10μM로 하였다.
항산화 방어인자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레이즈(catalase)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을 각각 측정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는 McCord의 방법〔J. Biol . Chem. (1969) 244: 6049-6055〕으로 측정하였고, 카탈레이즈는 Budhuin의 방법〔Biochem . J. (1964) 92:179-184〕으로 측정하였으며, 글루타치온은 Akerboom의 방법〔Methods in Enzymology (1981) 77:373-382〕에 준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세포 내 항산화계의 활성은 UVB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활성을 100로 환산하여 이 값과 비교한 활성으로 표시하였고 다음의 수학식 2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2
또한, UVB를 조사한 군과 비교한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를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내 항산화계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 결과를 %로 표시하였고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실험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카탈라제 글루타치온
대조군 100 100 100
UVB 처리군 54.9 73.2 62.8
비타민 C (10 uM) 81.2 84.9 83.7
시험물질 처리농도 (부피%) 1 0.1 0.01 1 0.1 0.01 1 0.1 0.01
아사이베리 추출물 82.9 82.1 72.9 85.1 76.9 73.9 84.3 83.1 66.9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83.1 83.9 60.9 77.2 76.0 74.8 79.6 83.4 75.0
서양유채싹 추출물 81.9 82.1 59.9 78.0 75.2 69.8 77.1 81.1 70.0
브로콜리싹 추출물 82.6 81.0 58.8 79.2 77.0 72.1 80.2 82.8 69.8
양배추새싹 추출물 83.0 81.9 59.0 80.3 75.1 71.9 81.3 80.9 72.3
빌베리싹 추출물 82.9 80.1 58.1 77.8 77.5 70.8 83.0 82.4 71.8
빅트리싹 추출물 81.2 80.3 57.1 82.0 74.5 74.1 81.5 79.9 68.3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81.8 81.0 57.7 81.1 77.7 75.2 79.8 82.7 69.0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90.5 88.9 81.8 92.1 85.7 79.0 91.0 86.4 77.1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89.9 90.1 80.2 90.8 84.0 81.2 90.8 87.0 78.0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90.8 89.2 79.9 91.2 85.9 79.8 91.7 85.9 76.5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88.3 88.9 81.2 91.8 86.2 80.2 89.9 84.9 75.9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87.9 87.9 82.0 92.8 79.9 81.9 90.2 86.0 78.9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89.2 90.0 81.3 91.0 81.5 82.0 89.1 83.9 74.9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90.1 89.2 80.2 89.0 83.0 80.3 90.4 84.0 77.5
㈜ 상기 데이터는 4회 측정값의 평균치이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는 널리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이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보호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나아가 항노화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가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항산화계 보호작용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무모생쥐피부에 대한 항산화계 보호효과 측정
약 10주령의 무모생쥐(female 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자외선(UVB)을 조사한 피부의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감소에 대한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의 피부 항산화계 보호효과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실시예 1~7 및 비교예 1~10을 제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크림이고, 비교예 2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타민 C 5중량%를 함유하는 크림이며, 비교예 3~10은 추출물 1종만을 함유하는 크림이다.
실시예, 비교예 공히 유상성분을 70~75℃에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상성분을 70~75℃에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으며, 70~75℃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혼합된 수상성분을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된 유상성분을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든 후 28-30℃까지 냉각하였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유상 성분 스테아릭액시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오일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액시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폴리데센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메도우폼시드오일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데실코코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비타민 C - 5.0 - - - - - - - - - - - - - - -
아사이베리 추출물 - - 1.0 - - - - - - - 0.5 0.5 0.5 0.5 0.5 0.5 0.5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 - 1.0 - - - - - - 0.5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 - - 1.0 - - - - - - 0.5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 - - 1.0 - - - - - - 0.5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 - - 1.0 - - - - - - 0.5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 - - 1.0 - - - - - - 0.5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 - - 1.0 - - - - - - 0.5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 - - 1.0 - - - - - - 0.5
상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7 및 비교예 1~10을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하루 1회 4일간 도포하였다. 시험기간동안 조사한 자외선 B의 양은 Waldmann UV800(Herbert Waldmann GmbH&E Phillips TL/12 lamp emitting 280-305nm)을 이용하여 총 400mJ/㎠으로 하였다. 무모생쥐의 등 피부 부위를 적출(biopsy)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상기 실험예 2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그 결과는 상기 시험예 2에서 기술한 수학식 2 및 3에 의해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나타내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카탈라제 글루타치온
대조군(비처리군) 100 100 100
비교예 1 72.9 74.2 70.1
비교예 2 80.3. 81.0 82.2
비교예 3 84.9 82.5 85.1
비교예 4 82.7 81.3 83.0
비교예 5 83.4 83.0 84.2
비교예 6 80.9 82.1 82.0
비교예 7 81.3 79.9 83.5
비교예 8 85.0 82.0 84.9
비교예 9 81.9 79.1 80.8
비교예 10 83.0 81.0 82.0
실시예 1 95.1 89.9 95.9
실시예 2 94.9 90.1 94.0
실시예 3 93.8 91.2 92.9
실시예 4 94.1 89.3 91.5
실시예 5 95.3 91.4 94.3
실시예 6 89.9 88.9 92.0
실시예 7 91.7 92.0 96.1
㈜ 상기 데이터는 4회 측정값의 평균치이다.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는 항산화 효과가 널리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이 자외선에 의해 감소 되어진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보호함으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나아가 항노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아사이베리, 새싹 추출물의 복합체인 안티 선번셀 콤플렉스가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항산화 효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4]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 측정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을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엘라스타아제와 기질은 미국 시그마알드리치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매하였고(Cat.No. E0127),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하기의 시험방법으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작용을 시험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서 10mg/L Tris-HCL 완충액(pH 8.0)으로 조제한 것에 하기 표 5에 나타낸 시험물질 50μL 및 20㎍/mL 엘라스타아제·타입 III 용액 50μL를 혼합하였다. EGCG 250μM 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인 비처리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후, 상기 완충액으로 조제한 0.4514㎎/mL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100μL를 첨가하고, 25℃에서 15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파장 415㎚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작용의 계산방법은 하기 수학식 4과 같으며,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A: 실험시료 무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B: 실험시료 무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C: 실험시료 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D: 실험시료 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시험물질 억제정도(%)
비처리군 0
EGCG 65
아사이베리 추출물 53.4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52.1
서양유채싹 추출물 49.0
브로콜리싹 추출물 51.8
양배추새싹 추출물 50.0
빌베리싹 추출물 48.1
빅트리싹 추출물 47.9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50.8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70.9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68.7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67.2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66.0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69.9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66.9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68.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정도가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EGCG와 비교하여서도 거의 대부분 EGCG 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5] 콜라게나아제 ( MMP -1) 저해능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저해능을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CO2 5%, 37℃ 배양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시험물질을 30 ㎍/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3,3',5,5'-tetramethylbenzidine, sigma)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한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5
화합물 발현정도(%)
비처리군 100
레티노익산 75
아사이베리 추출물 58.8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59.3
서양유채싹 추출물 56.9
브로콜리싹 추출물 51.2
양배추새싹 추출물 52.0
빌베리싹 추출물 51.7
빅트리싹 추출물 51.8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50.9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73.8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72.9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69.9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71.2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72.0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71.9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71.0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가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서도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비슷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
하기 표 7 및 표 8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제형예6 제형예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사이베리 추출물 1.0 1.0 1.0 1.0 1.0 1.0 1.0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0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1.0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1.0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1.0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1.0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1.0)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1.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0.1
배합성분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비교제형예7 비교제형예8 비교제형예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사이베리 추출물 - 2.0 - - - - - -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 - 2..0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 - 2..0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 - 2..0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 - 2..0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 - 2..0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 - 2..0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 - 2..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0.1
[ 시험예 6] 피부 탄력 향상 효능 확인
사람에서의 피부 탄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의 제형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40대의 건강한 여성 160명을 각각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의 16개 군에 대해 10명씩 1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 왼쪽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의 결과값은 Cutometer SEM 575의 Δ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 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
제형예 1 0.64
제형예 2 0.63
제형예 3 0.56
제형예 4 0.58
제형예 5 0.55
제형예 6 0.60
제형예 7 0.53
비교제형예 1 0.10
비교제형예 2 0.39
비교제형예 3 0.33
비교제형예 4 0.34
비교제형예 5 0.30
비교제형예 6 0.34
비교제형예 7 0.37
비교제형예 8 0.35
비교제형예 9 0.29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7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성이 증가되었으며, 추출물 1종만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2~9를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피부 탄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7] 피부 주름 개선 효능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사람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40대의 건강한 여성 160명을 각각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의 16개 군에 대해 10명씩 1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피부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의 값은, 도포 12주 후의 각각의 변수(parameter)값에서 도포 전 변수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 8주 후
임상 결과
R1 R2 R3 R4 R5
제형예 1 0.79 0.66 0.83 0.61 0.59
제형예 2 0.76 0.67 0.84 0.70 0.65
제형예 3 0.69 0.61 0.79 0.56 0.47
제형예 4 0.68 0.59 0.77 0.42 0.45
제형예 5 0.71 0.55 0.81 0.41 0.49
제형예 6 0.72 0.63 0.88 0.40 0.44
제형예 7 0.66 0.60 0.79 0.33 0.41
비교제형예 1 0.27 0.26 0.21 0.03 0.03
비교제형예 2 0.43 0.39 0.52 0.34 0.26
비교제형예 3 0.38 0.40 0.49 0.28 0.27
비교제형예 4 0.42 0.35 0.39 0.22 0.21
비교제형예 5 0.44 0.33 0.41 0.29 0.30
비교제형예 6 0.31 0.41 0.43 0.25 0.28
비교제형예 7 0.42 0.44 0.49 0.24 0.22
비교제형예 8 0.39 0.38 0.41 0.24 0.21
비교제형예 9 0.39 0.37 0.44 0.21 0.19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값
R4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예 1~7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8]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를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160명을 각각 제형예 1~7 및 비교제형예 1~9의 16개 군에 대해 10명씩 1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제형예 1 62 68 74 57
제형예 2 61 69 71 57
제형예 3 54 64 69 53
제형예 4 57 63 70 52
제형예 5 61 65 68 51
제형예 6 59 65 71 52
제형예 7 57 61 70 49
비교제형예 1 30 32 32 15
비교제형예 2 44 50 51 42
비교제형예 3 49 51 52 31
비교제형예 4 46 47 44 33
비교제형예 5 41 44 49 35
비교제형예 6 48 51 48 31
비교제형예 7 48 51 50 33
비교제형예 8 48 50 44 32
비교제형예 9 44 48 43 29
상기 표 11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0%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감소하는 반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7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대부분 30% 이상의 피부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형예 1~7의 경우 추출물 1종만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2~9의 경우에 비해 수분증가율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과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9]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본 발명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12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5 ppm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를 하고,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0
아사이베리 추출물 162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69
서양유채싹 추출물 150
브로콜리싹 추출물 168
양배추새싹 추출물 146
빌베리싹 추출물 139
빅트리싹 추출물 141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59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190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188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173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177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183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181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180
상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10]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13 및 14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형예 8~14 및 비교제형예 10~18의 16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에서 비교제형예 10는 음성대조군으로서 비히클(vehicle)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5의 결과는 장벽 손상 전과 장벽 손상 후의 처리전 차이를 100%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배합성분 제형예 8 제형예 9 제형예 10 제형예 11 제형예 12 제형예 13 제형예 14
정제수 69 69 69 69 69 69 69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아사이베리 추출물 1.0 1.0 1.0 1.0 1.0 1.0 1.0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0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1.0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1.0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1.0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1.0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1.0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1.0
배합성분 비교제형예 10 비교제형예 11 비교제형예 12 비교제형예 13 비교제형예 14 비교제형예 15 비교제형예 16 비교제형예 17 비교제형예 18
정제수 69 69 69 69 69 69 69 69 69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아사이베리 추출물 - 2..0 - - - - - -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 - 2..0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 - 2..0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 - 2.0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 - 2..0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 - 2..0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 - 2..0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 - 2..0
시험군 TWEL 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제형예 8 100 80.1 61.3 43.9 38.1 27.1 20.9
제형예 9 100 81.8 63.9 48.1 40.8 30.1 25.1
제형예 10 100 87.1 67.0 50.2 49.1 31.1 28.2
제형예 11 100 81.9 65.0 49.3 48.8 32.8 26.2
제형예 12 100 89.0 69.2 51.9 47.9 30.8 27.2
제형예 13 100 83.0 66.6 51.3 47.1 31.7 24.8
제형예 14 100 88.8 70.2 53.3 51.0 32.9 25.0
비교제형예 10 100 121.4 112.7 98.3 70.5 62.3 43.5
비교제형예 11 100 110.0 108.0 91.6 61.8 51.2 36.8
비교제형예 12 100 109.8 107.7 93.8 63.0 52.8 37.7
비교제형예 13 100 118.1 102.0 94.4 64.9 53.8 34.4
비교제형예 14 100 106.7 104.4 94.0 65.1 52.0 38.0
비교제형예 15 100 108.1 106.2 95.1 62.2 54.8 39.7
비교제형예 16 100 108.2 109.1 92.2 68.8 53.1 39.6
비교제형예 17 100 106.2 106.1 93.0 63.0 51.1 38.0
비교제형예 18 100 105.8 105.2 97.1 62.4 58.3 39.0

상기 표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5~21 및 비교제형예 19~28]
하기 표 16및 17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제형예 15~21 및 비교제형예 19~28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형예 15~21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를 배합시킨 것이고, 비교제형예 19는 여드름 피부 개선의 유효성분을 전혀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고, 비교제형예 20은 항균력에 대한 기준으로 삼을 표준물질로서, 여드름 치료제로 많이 사용하는 에리스롬마이신(erythromycin)을 함유시킨 것이다.
제형예 15~21 및 비교제형예 19~28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6및 17의 A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해조에서 B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킨 다음, B상을 A상에 첨가하여 혼합가용화 시켰다. 여기에 C상의 성분들을 표 16 및 17에 기재된 배합비율에 따라 첨가하여 혼합 균일화시킨 다음 여과시켜 본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구분 제형예 15 제형예 16 제형예 17 제형예 18 제형예 19 제형예 20 제형예 21
A 탈이온수(Deioniz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B 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PEG-6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0.4 0.4 0.4 0.4 0.4 0.4 0.4
향료(perfume) 0.04 0.04 0.04 0.04 0.04 0.04 0.04
C 아사이베리 추출물 2.5 2.5 2.5 2.5 2.5 2.5 2.5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2.5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2.5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2.5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2.5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2.5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2.5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2.5
에리스롬마이신 - - - - - - -
구분 비교제형예 19 비교제형예 20 비교제형예 21 비교제형예 22 비교제형예 23 비교제형예 24 비교제형예 25 비교제형예 26 비교제형예 27 비교제형예 28
A 탈이온수(Deioniz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B 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PEG-6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향료(perfume)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C 아사이베리 추출물 - - 5.0 - - - - - -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 - - 5.0 - - - - - -
서양유채싹 추출물 - - - - 5.0 - - - - -
브로콜리싹 추출물 - - - - - 5.0 - - - -
양배추새싹 추출물 - - - - - - 5.0 - - -
빌베리싹 추출물 - - - - - - - 5.0 - -
빅트리싹 추출물 - - - - - - - - 5.0 -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 - - - - - - - - 5.0
에리스롬마이신 - 5.0 - - - - - - - -
[ 시험예 11]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제형예 15~21 및 비교제형예 19~28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여드름 원인 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ATCC 6919: 배지-BHI 브로쓰(broth)>에 대하여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 시험 균액 준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BHI 브로쓰에 접종하여 혐기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2) 희석 용액 준비
BHI 브로쓰(pH 6.8) 또는 LB 브로쓰(pH 4.5) 15ml에 상기 시험 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3) 시료 준비
제형예 15~21 및 비교제형예 19~28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원액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4) 항균력 시험
1) 96웰의 세포배양관(96 well plate) 1번 행에 출발 농도에 맞도록 시료를 넣고 희석용액으로 총량을 200μl씩을 넣는다.
2)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μ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μ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다.
3) 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최소저지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한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를 아래 표 18에 나타내었다. MIC는 제형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항목 pH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형예 15 5.7 10 ppm
제형예 16 5.7 12 ppm
제형예 17 5.7 10 ppm
제형예 18 5.7 10 ppm
제형예 19 5.7 11 ppm
제형예 20 5.7 12 ppm
제형예 21 5.7 13 ppm
비교제형예 19 5.7 최고 농도(항균력 없음)
비교제형예 20 5.7 > 100 ppm
비교제형예 21 5.7 18 ppm
비교제형예 22 5.7 19 ppm
비교제형예 23 5.7 15 ppm
비교제형예 24 5.7 16 ppm
비교제형예 25 5.7 10 ppm
비교제형예 26 5.7 12 ppm
비교제형예 27 5.7 12 ppm
비교제형예 28 5.7 11 ppm
MIC에서 ppm 농도가 작을수록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에 대하여 유효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형예 15~21의 경우 공지의 여드름 치료제인 에리스롬마이신을 사용한 비교제형예 20 보다 ppm 농도가 현저하게 작게 나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험균에 대하여 훨씬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12] 염증 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이용하여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해 세포에 잔존하는 시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현탁액을 96 웰의 세포배양관의 각 웰에 100μl를 넣어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어,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염증 개선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배양된 대식세포 5x104 세포/ml에 LPS를 1%(w/v)로 함유하는 RPMI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실험물질을 100μl 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본 발명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를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블랭크(Blank) 100%
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5.0%
아사이베리 추출물 31.0%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30.0%
서양유채싹 추출물 31.0%
브로콜리싹 추출물 33.0%
양배추새싹 추출물 33.0%
빌베리싹 추출물 31.0%
빅트리싹 추출물 33.0%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31.0%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28.0%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27.0%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27.0%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30.0%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31.0%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29.0%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30.0%
상기 표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결과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과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피부 염증 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13] 세포 재생 효과( Cell Proliferation assay )
시험 물질의 세포 재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 10000세포수/웰,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6000 세포수/웰로 96-웰 플레이트에 심었다. 물질을 처리하기 전에 배지를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1% 함유된 배지에 표 20에 따른 시험물질을 2ug/ml 씩 녹인 후 처리하였다. 이때 10% FBS가 함유된 배지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물질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 후, WST-1을 100㎕/웰로 처리하였다. WST-1을 처리하고 3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3시간 동안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1% FBS 처리군을 100%로 하여 세포 증식율을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세포 증식율(%)
인간각질형성세포 인간섬유아세포
대조군(비처리군) 10 12
1% FBS 100 100
양성대조군(10% FBS) 168 151
아사이베리 추출물 128 121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31 123
서양유채싹 추출물 118 119
브로콜리싹 추출물 115 116
양배추새싹 추출물 121 119
빌베리싹 추출물 123 120
빅트리싹 추출물 119 118
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9 118
아사이베리 추출물 +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1:1) 145 140
아사이베리 추출물+서양유채싹 추출물 (1:1) 142 135
아사이베리 추출물+브로콜리싹 추출물 (1:1) 143 136
아사이베리 추출물+양배추새싹 추출물 (1:1) 141 131
아사이베리 추출물+빌베리싹 추출물 (1:1) 135 140
아사이베리 추출물+빅트리싹 추출물 (1:1) 136 138
아사이베리추출물+복숭아나무싹 추출물 (1:1) 135 137
표 20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두 가지 세포 실험군에 대해 1% FBS 대비 유의적인 세포 재생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 추출물은 해바라기새싹 추출물, 서양유채싹 추출물, 브로콜리싹 추출물, 양배추새싹 추출물, 빌베리싹 추출물, 빅트리싹 추출물 및 복숭아나무싹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8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을 1:10~10:1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항산화계 보호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항산화계 보호능은 상기 아사이베리 및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방어인자 활성 보호능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3290A 2011-11-24 2011-11-24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90A KR101860110B1 (ko) 2011-11-24 2011-11-24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90A KR101860110B1 (ko) 2011-11-24 2011-11-24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34A true KR20130057534A (ko) 2013-06-03
KR101860110B1 KR101860110B1 (ko) 2018-05-21

Family

ID=4885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90A KR101860110B1 (ko) 2011-11-24 2011-11-24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970B1 (ko) * 2019-11-14 2020-09-21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3876671A (zh) * 2021-11-19 2022-01-04 广州兰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油菜芽提取物的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3249A1 (en) * 2006-01-19 2007-07-26 Mary Kay,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kakadu plum extract and acai berry extra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970B1 (ko) * 2019-11-14 2020-09-21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3876671A (zh) * 2021-11-19 2022-01-04 广州兰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油菜芽提取物的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110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9600A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51284A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21755A (ko)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10B1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6303B1 (ko)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2056585B (zh) 用于改善皮肤皱纹或皮肤增白的皮肤外用组合物
KR102337308B1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080001820A (ko)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9726A (ko)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522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20004620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