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80B1 -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80B1
KR102150680B1 KR1020190034864A KR20190034864A KR102150680B1 KR 102150680 B1 KR102150680 B1 KR 102150680B1 KR 1020190034864 A KR1020190034864 A KR 1020190034864A KR 20190034864 A KR20190034864 A KR 20190034864A KR 102150680 B1 KR102150680 B1 KR 10215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owers
extract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주)우리꽃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꽃연구소 filed Critical (주)우리꽃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3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매화꽃, 도화꽃, 벚꽃, 목련꽃, 국화꽃, 진달래꽃, 구절초꽃, 아카시아꽃, 병풀 및 녹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및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s with the effect of antioxidant}
본 발명은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작용이 탁월하여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및 안티에이징에 도움을 주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와 산화작용과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잘 알려진 사실이며, 특히 피부노화로 유발되는 주름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 현상도 이런 산화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같은 연령이라 할지라도 나이보다 훨씬 젊어 보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사람은 실제보다 훨씬 나이가 들어 보이는 경우도 있다.
피부주름 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 현상과 같은 노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나이의 증가 등의 내인성 요인, 골격과 근육의 모양, 근육의 지속적인 이완과 수축에 의한 유전적인 요인, 및 환경오염물질, 스트레스 등에 의한 환경적인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피부 노화 현상으로 각질 형성 세포 및 섬유아 세포의 분열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으로 인한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최근 연구를 통해 건강한 피부의 경우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로 대표되는 생체 항산화 방어인자에 의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제거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거가 완전하지 않을 경우 활성산소(자유라디칼의 일종)에 의한 산화작용이 발생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피부주름 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현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생체 산화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는 외적요인(공해, 스트레스) 및 내적요인(생체내 에너지 대사과정)에서 생성이 촉진되며, 지방질과 결합하여 과산화 지질이라고 하는 해로운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상기 과산화 지질은 혈관에 작용하여 동맥경화나 혈전증을 비롯해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킨다. 또한, 건강한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의 생성 능력 저하 및 이들 콜라겐 섬유들의 비정상적인 엉킴 현상이 증가하여 피부 탄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피부 보습을 담당하는 히아루론산과 당단백질의 일종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생성량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HA, 레티노익산, 레티놀, 비타민류 등을 도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지만, 이들은 피부 자극과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사용량에 제한과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인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는 되지 못한다. 또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식물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된 예가 많이 있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13892호의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9672호의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973호의 미세녹조류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 및 미백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325호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등이 있다.
한편, 평균적으로 사람의 모발의 개수는 약 10만에서 12만 개이다. 모발은 발생, 성장, 퇴화, 휴지기라는 라이프 사이클이 있으며 휴지기에 돌입한 머리카락이 보통 하루에 50~100개 정도 빠지는 것이 정상이다. 모발은 일정기간 자라면 빠지고 새로운 모발이 난다. 손톱이나 발톱과는 달리 '자라고-쉬고-빠지고'하는 주기를 가지는 것이다.
털갈이를 하는 동물의 경우 전체 털의 모주기(毛週期)가 동일하기 때문에 털이 동시에 빠지고 새로 나는 이른바 털갈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모발은 각각 독자적인 모주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털갈이 없이 항상 일정한 모발 수를 유지하게 된다.
인간 모발의 경우는 3년 자란 후 빠지고 다시 그 자리에서 3개월 후 새로 모발이 난다. 모발은 약 8만 개가 있으며 이 중 하루에 70여 개가 빠지며 3개월 전에 빠진 70여 개의 모발은 새로 자라나게 되어 모발은 항상 8만개를 유지한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노화에 따른 영향이 탈모에 가장 밀접하게 작용을 한다. 과거 탈모는 유전에 의한 것이라 인식되었지만 최근 탈모는 노화의 한 현상이고 그 시기가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앞당겨진다는 점이 큰 문제이다.
탈모증은 기본적으로 모발에너지를 만드는 기능, 즉 모발 에너지 사이클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해 모근에 에너지 부족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에너지의 생성을 방해한다고 알려진 남성호르몬(Androgen)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은 모낭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5 알파-리덕타아제의 작용으로 그 활성도가 보다 증가한 DHT(Dihydrotestosterone)로 변하게 된다. 활성화된 DHT는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모발의 성장기를 단축하고, 모낭의 크기를 위축시킴으로써 모발을 점차 가늘게 만들며 결국에는 탈모를 유발한다.
탈모가 진행되면 모근에 존재하는 모유두가 작아지고 모발의 굵기도 가늘어지며 동시에 모주기가 짧아진다. 즉3년 자란 후 빠져야 할 털이 1년 자란 후 빠지게 되면 계산적으로 하루에 210여 개가 빠지게 된다. 탈모가 계속 진행되면 모발은 솜털로 변하며 모주기는 더욱 짧아져 조금 자란 후 빠지게 되므로 모발이 가늘어지고 길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남성호르몬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를 적용한다면 탈모가 예방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의학계에서는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탈모에 효과적인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1997년 FDA에서 탈모치료제로 인정받은 남성호르몬 억제제인 프로페시아와 역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이면서 탈모예방에 효과적인 두타, 그리고 외용제이면서 항고혈압제인 미녹시딜(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4: 150: 186~194)은 가장 대표적인 탈모예방 및 발모제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탈모예방제나 발모제를 적용할 경우 체내 항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각종 부작용이 관찰되곤 하는데 대표적으로 성기능 감소나 알레르기, 우울증, 국소염증 등의 예기 하지 않은 각종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탈모는 복합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호르몬 억제 등의 협소적인 치료는 근시안적인 처방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종 천연물들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양모용 조성물들이 제안되었는바,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9704에는 들국화의 일종인 구절초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촉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5-0019672 A KR 10-0889973 B1 KR 10-1315325 B1 KR 10-0839704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및 안티에이징에 도움을 주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매화꽃, 도화꽃, 벚꽃, 목련꽃, 국화꽃, 진달래꽃, 구절초꽃, 아카시아꽃, 병풀 및 녹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매화꽃 10~15중량%, 도화꽃 10~15중량%, 벚꽃 10~15중량%, 목련 3~7중량%, 국화꽃 10~15중량%, 진달래꽃 1~5중량%, 구절초꽃 1~5중량%, 아카시아꽃 3~7중량%, 녹차 9~13중량% 및 잔부의 병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은, 천연 컴플렉스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천연 컴플렉스를 분말화하는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천연 컴플렉스에 물을 가하고, 70~80℃에서 10~20시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로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팩, 팩 베이스,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및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유효성분으로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탈모 예방, 발모 촉진,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매화꽃, 도화꽃, 벚꽃, 목련꽃, 국화꽃, 진달래꽃, 구절초꽃, 아카시아꽃, 병풀 및 녹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항산화에 좋은 꽃 8종, 즉 매화꽃, 도화꽃, 벚꽃, 목련꽃, 국화꽃, 진달래꽃, 구절초꽃, 아카시아꽃과, 재생에 좋은 자연원료인 병풀, 진정에 좋은 자연원료인 녹차를 포함하는 것인데, 이는 1종의 꽃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병풀, 녹차만을 사용할 경우, 우수한 항산화, 탈모 예방, 발모 촉진,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10종의 천연 컴플렉스를 모두 사용해야만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배합비는 반드시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매화꽃 10~15중량%, 도화꽃 10~15중량%, 벚꽃 10~15중량%, 목련 3~7중량%, 국화꽃 10~15중량%, 진달래꽃 1~5중량%, 구절초꽃 1~5중량%, 아카시아꽃 3~7중량%, 녹차 9~13중량% 및 잔부의 병풀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합비는 그 항산화, 탈모 예방,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은, 천연 컴플렉스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천연 컴플렉스를 분말화하는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천연 컴플렉스에 물을 가하고, 70~80℃에서 10~20시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즉, 먼저 상기 천연 컴플렉스를 배합비에 따라 혼합한 후, 건조한다. 이때, 상기 건조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공지된 천연재를 건조하는 방법에 의하는 정도면 족하다. 아울러, 건조 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천연 컴플렉스를 분말화한다. 상기 분말화는 추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것이므로, 그 입도는 제한하지 않으며, 예시적으로 20~200mesh 정도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분말화된 천연 컴플렉스에 추출용매인 물을 5~20부피배로 가하고, 70~80℃에서 10~2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압 농축 후 필요에 따라 건조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감압농축 및 건조방법은 이미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팩, 팩 베이스,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지는군 중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외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헤어 관련 제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우수한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 항산화의 작용을 통해 건강한 모발 및 두피를 갖도록 하며, 피부 관련 제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우수한 항산화 및 안티에이징 작용을 통해 건강한 피부를 갖도록 해주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항산화, 발모 촉진, 탈모 예방,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성분 이외의 조성물 잔여 성분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일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목서의 발효 추출물 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더 포함할 경우, 더욱 우수한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및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목서의 꽃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목서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조 중량으로써, 매화꽃 120g, 도화꽃 120g, 벚꽃 120g, 목련꽃 50g, 국화꽃 120g, 진달래꽃 30g, 구절초꽃 30g, 아카시아꽃 50g, 병풀의 잎 250g 및 녹차의 잎 110g을 준비한 후, 이를 혼합하고 100mesh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리고 이에 10부피배의 물을 가하고, 75℃에서 15시간 추출한 후, 와트만(whatman)#3 여과지로 여과 후,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에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10:1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서,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목서의 꽃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이 분쇄물 100g에 70% 에탄올 0.7L를 첨가하여 3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3 여과지로 여과 후,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목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 추출물에 정제수를 1:10 중량비로 투입하고, 유산균 종균을 1%(v/v)로 접종한 후, 이에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5g/ℓ만큼 투입하고, pH 6.0, 37℃에서 5일간 발효한 후,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멸균(121℃, 15분, 15기압)한 후, 50~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60℃에서 감압농축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살균처리한 후, 동결건조하여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눔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1)
건조 중량으로써, 매화꽃 120g, 벚꽃 120g, 국화꽃 120g, 구절초꽃 30g, 병풀 250g을 준비한 후, 이를 혼합하고 100mesh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리고 이에 10부피배의 물을 가하고, 75℃에서 15시간 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건조 중량으로써, 도화꽃 120g, 목련꽃 50g, 진달래꽃 30g, 병풀 250g 및 녹차 110g을 준비한 후, 이를 혼합하고 100mesh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리고 이에 10부피배의 물을 가하고, 75℃에서 15시간 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프리 라디칼 소거 효능 실험
시료의 프리 라디칼 소거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Fujita 등의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안정한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라디칼(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을 사용하였다.(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stable free radical, Nature, 29, pp1199-1200, 1958) 0.2mM 의 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 용액 1㎖에 시료를 각 농도별로 2㎖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25nm에서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였다. 하기 수학식1과 같이 프리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프리라디칼 소거능(%)=[1-(A-A')/(B-B')]×100
A: 시료를 첨감한 반응용액의 525nm에서의 흡광도.
A':DDPH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525nm에서의 흡광도.
B: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525nm에서의 흡광도.
B': 시료와 DDPH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525nm에서의 흡광도.
(실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의 저해효과(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실험
시료의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저해활성를 측정하였다. 0.1M 포타슘 인산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1.0㎖, 0.3mg/㎖ L-티로신(tyrosine) 수용액 1.0㎖, 1250 유닛(unit)/㎖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0.1 ㎖를 혼합 한 후 여기에 시료를 농도에 따라 각각 0.2㎖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80nm에서 측정하여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학식 2]
티로시나제 억제율(%)=[(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75nm에서의 흡광도.
B: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75nm에서 흡광도.
(실험예 3)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실험
시료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0.267 M 트리스(Tris)액을 pH 8.0이 되도록 0.267M 염산(HCl)액으로 조정한 완충액 60㎕에 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품을 8.8mM로 한 기질액 20㎕, 각 시료를 정제수에 일정농도로 희석하여 제조한 시료를 각 100㎕를 넣어 혼합하고,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을 10㎍/㎖로 한 효소액 20㎕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파라-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생성량을 파장 410nm에서 흡광도 B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 60㎕에 기질액 20㎕, 정제수 20㎕, 각 시료를 정제수에 일정농도로 희석하여 제조한 시료 각 100㎕를 넣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득한 후 이를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 C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시료 대신 정제수 100㎕를 가지고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A를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및 검액 대신 정제수 120㎕를 넣어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색보정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D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3]
엘라스타제 억제율(%)=[(B-C)/(A-D)]×100
그리고 각 실험예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
구분
Inhibition(%)
Free radical Tyrosinase Activity Elastase Activity
실시예 1
(농도 10%)
99.118 50.125 86.024
실시예 2
(농도 10%)
99.287 53.258 88.253
비교예 1
(농도 10%)
91.125 43.215 50.125
비교예 2
(농도 10%)
92.853 44.251 62.135
상기한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2는, 프리 라디칼 소거율(%), 티로시나제 억제율(%) 및 엘라스타제 억제율(%)이 모두 우수하여,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천연 컴플렉스를 5종으로 제한한 비교예 1, 2의 경우 프리 라디칼 소거율(%), 티로시나제 억제율(%) 및 엘라스타제 억제율(%)이 모두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좋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모(毛) 유두 세포의 세포 성장 촉진 활성 실험
시료가 사람의 모(毛) 유두 세포의 세포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모 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Sciencell사, cat. no. 2400)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0% FBS (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배지인 MSC(Mesenchymal Stem Cell) 배지에 HHDPC를 0.25×104 cells/㎖이 되도록 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시료를 각각 1ug/㎖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5mg/㎖의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늄 브로마이드) 시약 20㎕를 상기 배양액에 넣고 37℃, 5% CO2 습윤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와 동일 조건이나 시료 대신 200㎕ 부피의 세포 배지를 처리한 배양 배지를 음성대조군으로, 10μM의 미녹시딜을 처리한 배양 배지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배양시, 살아있는 세포에는 보라색의 크리스탈이 형성된다. 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를 넣어 10분 동안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크리스탈을 녹인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양성대조군
세포성장률(%) 121.2 124.5 104.2 103.4 114.7
본 발명의 실시예 1, 2는 모 유두 세포 성장을 약 21.2%, 24.5% 향상시켰으며,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처리군보다 뛰어난 모 유두 세포 성장 촉진 활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1, 2의 모 유두 세포 성장률은 4.2% 및 3.4%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2와 같이, 천연 컴플렉스 10종을 모두 사용해야만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발모 촉진의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로션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함량의 원료를 통상의 로션의 제조방법에 따라 로션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제형예 1의 함량(중량%)
구분 함량
실시예 1 10
스쿠알란 3.50
세틸알코올 3.00
글리세린 3.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0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50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0
쉐어버터 0.50
카보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메칠파라벤 0.2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프로필파라벤 0.1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제형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실시예 2를 사용하였다.
(비교제형예 1 내지 3)
제형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각각 비교예 1, 2 및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5)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30대 이상 여성 25명(그룹당 5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제형예 1, 2, 비교제형예 1 내지 3을 12주간 한쪽 눈가주름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피부미세주름측정기(SV-600,C+K,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반대쪽 눈은 종래 사용하던 화장품을 그대로 사용토록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결과
구분 주름의 깊이 감소율(%)
제형예 1 5.1%
제형예 2 5.7%
비교제형예 1 2.4%
비교제형예 2 2.1%
비교제형예 3 -0.1%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예 1, 2는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3)
하기 표 5과 같은 함량의 원료를 통상의 샴푸의 제조방법에 따라 샴푸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제형예 2의 함량(중량%)
구분 함량
실시예 1 10
멘톨 0.28
폴리쿼터 0.28
글루카메이트 0.32
LES 50
코코베타인 20
케라틴 1
네추럴 베타인 1
D-판테놀 0.8
실크아미노산 0.8
티트리 오일 0.06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제형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실시예 2를 사용하였다.
(비교제형예 4 내지 6)
제형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각각 비교예 1, 2 및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6)
탈모증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35~50세까지의 탈모증이 있는 성인남녀 총 25명(그룹별 5명)을 대상으로 1일 1회, 그룹별로 상기 제형예 2, 비교제형예 4 내지 6의 샴푸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은 후, 그 결과를 관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효과의 판정은 세발시 일일 평균 탈모량, 육안판정소견 및 자각증상 개선 정도를 평가척도로써 5단계로 평가하고 종합적인 개선도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는데, 그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다.
실험예 2의 테스트 결과
구분 제형예 3 제형예 4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육안 3.7 3.8 2.6 2.4 2.0
자각증상 3.5 3.6 2.5 2.5 1.9
세발시 탈모수 3.9 3.9 2.5 2.4 1.8
종합개선 3.7 3.8 2.1 2.4 1.9
1: 악화, 2: 불변, 3: 조금 개선, 4: 중간 개선, 5:많이 개선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예 3, 4를 사용한 그룹이 육안, 자각증상, 탈모수, 종합개선에서 모두가 비교제형예 4 내지 6의 사용 그룹보다 현저히 좋은 점수를 받아 우수한 탈모 개선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 10~10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컴플렉스는 매화꽃 10~15중량%, 도화꽃 10~15중량%, 벚꽃 10~15중량%, 목련 3~7중량%, 국화꽃 10~15중량%, 진달래꽃 1~5중량%, 구절초꽃 1~5중량%, 아카시아꽃 3~7중량%, 녹차 9~13중량% 및 잔부의 병풀을 포함하고,
    목서의 발효 추출물 0.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목서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컴플렉스의 추출물은,
    천연 컴플렉스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천연 컴플렉스를 분말화하는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천연 컴플렉스에 물을 5~20부피배로 가하고, 70~80℃에서 10~20시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팩, 팩 베이스,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4864A 2019-03-27 2019-03-27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64A KR102150680B1 (ko) 2019-03-27 2019-03-27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64A KR102150680B1 (ko) 2019-03-27 2019-03-27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80B1 true KR102150680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64A KR102150680B1 (ko) 2019-03-27 2019-03-27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30B1 (ko) 2021-10-26 2022-03-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달래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6350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닥터오레고닌 진달래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04B1 (ko) 2007-02-01 2008-06-19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0889973B1 (ko) 2007-09-06 2009-03-24 조월순 미세녹조류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및 미백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11176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1049776B1 (ko) * 2011-02-21 2011-07-19 (주)메디웨이코리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315325B1 (ko) 2006-06-30 2013-10-07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50019672A (ko)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8512409A (ja) * 2015-03-16 2018-05-17 ザ ブーツ カンパニー ピーエルシー フリーラジカルに対する局所用化粧品組成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25B1 (ko) 2006-06-30 2013-10-07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39704B1 (ko) 2007-02-01 2008-06-19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0889973B1 (ko) 2007-09-06 2009-03-24 조월순 미세녹조류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및 미백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11176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049776B1 (ko) * 2011-02-21 2011-07-19 (주)메디웨이코리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20150019672A (ko)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8512409A (ja) * 2015-03-16 2018-05-17 ザ ブーツ カンパニー ピーエルシー フリーラジカルに対する局所用化粧品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30B1 (ko) 2021-10-26 2022-03-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달래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6350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닥터오레고닌 진달래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721B2 (en) Active ingredient that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or activity of fibroblasts
CN111317701B (zh) 一种皮肤屏障修护复合物、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958496B1 (ko)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21209A (ko) 노화방지와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보습화장료용 병풀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29748B1 (ko) 비타민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680B1 (ko)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0081B1 (ko) 복합 효소를 이용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6789A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3351B1 (ko)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73313A (ko) 유성온천수를 이용한 능이와 신이의 온천수발효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TW201420127A (zh) 白花蝴蝶蘭分生組織的萃取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4808A (ko) 콜라겐 천연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235B1 (ko)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633585B (zh) 具有防脱发、生发及黑发功效的外用护发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55950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