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496B1 -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496B1
KR100958496B1 KR1020080016863A KR20080016863A KR100958496B1 KR 100958496 B1 KR100958496 B1 KR 100958496B1 KR 1020080016863 A KR1020080016863 A KR 1020080016863A KR 20080016863 A KR20080016863 A KR 20080016863A KR 100958496 B1 KR100958496 B1 KR 10095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composition
aging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541A (ko
Inventor
김광수
김영택
황지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 랩
(주)이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 랩, (주)이지코스 filed Critical (주)에이티 랩
Priority to KR102008001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저히 뛰어난 두피 내 콜라겐 생합성, 두피조직에 대한 남성호르몬 억제 작용으로 생리학적 상태를 정상화시킴과 동시에 두피 및 모발상태의 개선은 물론 탈모 방지와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가지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를 1:3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농축발효시킨 농축발효액 1~5중량%와, 천초, 백선피, 구맥, 신이화, 호두나무의 잎, 카밀레의 꽃, 네틀, 아이비의 근경, 호스테일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성성분의 숙성액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모, 발모, 농축발효액, 숙성액, 신이화, 구맥, 해양심층수, 아스타산틴산, 나노리포좀

Description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 FROM NATURAL ORIGIN INGRIDIENT FOR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EFFECT}
본 발명은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저히 뛰어난 두피 내 콜라겐 생합성, 두피조직에 대한 남성호르몬 억제 작용으로 생리학적 상태를 정상화시킴과 동시에 두피 및 모발상태의 개선은 물론 탈모 방지와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가지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유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혈액 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모유두에서의 콜라겐생성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및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고 여성의 탈모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보습, 남성호르몬 억제를 위한 여성호르몬을 주성분으로 한 제제나 혈압을 조절하는 고혈압 약이지만 복용하는 환자에게 털이 자라는 부작용에 착안해 개발된 미녹시딜(minoxidil)와 전립선비대증 치료에 사용하다 그 부작용에 착안해 만들어진 프로페시아 등이 판매되고 있으나, 정력 감퇴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있고 사용을 중지할 경우 그 효능 내지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고 사용 전 상태로 돌아간다는 단점이 있어 아직까지는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없는 상태이며, 모발 이식방법 등은 고비용적인 측면과 관리방법, 모근과 모낭을 활성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웰빙 바람이 불면서 한방 및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 식물추출물들을 이용한 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추출물들의 부패를 막기 위해 사용한 방부제로 인한 피부자극 등의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탈모방지효능이나 발모효능을 갖는 물질 등을 사용하는데 따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탈모증과 관련된 남성호르몬 작용을 억제하고 발모에 관련된 두피와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며 두피가려움과 비듬을 예방하고 피부자극이 없는 무방부제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의 효과를 갖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를 1:3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농축발효시킨 농축발효액 1~5중량%와, 천초, 백선피, 구맥, 신이화, 호두나무의 잎, 카밀레의 꽃, 네틀, 아이비의 근경, 호스테일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성성분의 숙성액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농축발효액은 상기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의 껍질, 과육 및 씨 전체를 분쇄한 분쇄물을 20~30℃에서 10~13일간 발효시킨 다음, 이를 여과한 여액을 15℃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30일간 숙성시키고 고형물의 농도가 20~30중량%가 되도록 감압농축한 농축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액은 상기 숙성성분을 48시간 동안 물로 가열 추출하여 10일간 1차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1차 여과 숙성액에 옥을 넣어 5일간 2차 탈취 숙성과정을 거친 숙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성액은 상기 숙성액 총중량에 대하여 해양심층수 1~5 중량%를 더 추가하여 혼합한 숙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나노리포좀화한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은 인지질 4.0중량%, 글루타치온 0.1중량%, 폴리솔베이트20 4.0중량%, 95%변성에탄올 2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아스타산틴산 1.0~5.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고압유화시켜 제조된 나노리포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저히 뛰어난 두피 내 콜라겐 생합성, 두피조직에 대한 남성호르몬 억제 작용으로 생리학적 상태를 정상화시킴과 동시에 두피 및 모발상태의 개선은 물론 탈모 방지와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가짐으로써 미용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를 1:3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농축발효시킨 농축발효액 1~5중량%와, 천초, 백선피, 구맥, 신이화, 호두나무의 잎, 카밀레의 꽃, 네틀, 아이비의 근경, 호스테일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성성분의 숙성액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보카도(avocado)와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활엽 관목인 상기 엘더(elder)를 발효 숙성시키면, 아보카도와 엘더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및 칼륨 등의 유효성분을 상당량 추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어떠한 용매를 쓰지 않아도 뛰어난 탈모 방지 및 발모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를 1:3~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의 껍질, 과육, 씨 전체를 사용하여 농축발효 및 숙성시킨 농축발효액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상기 농축발효액은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의 껍질, 과육 및 씨 전체(즉, 열매 자체)를 분쇄한 분쇄물을 20~30℃에서 10~13일간 발효시킨 다음, 이를 여과한 여액을 15℃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30일간 숙성시키고 고형물의 농도가 20~30%가 되게 감압농축하여 농축발효액을 제조한다. 상기 발효 조건을 20~30℃에서 10~13일간으로 하는 것은, 열매의 발효능력에 관계있는 것으로서 20℃ 미만인 경우 발효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발효로 발효가 중단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에서 10∼13일간 발효시키면 발효가 완료된다. 발효가 완료되면, 직사광선을 피하고 온도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15℃의 항온에서 30일간 숙성시킨다. 이는 숙성되어가는 발효액이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산화되기 쉽고, 발효액이 시간, 온도, 빛 등에 따라 물성이 잘 변하는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오랜 기간 동안 숙성시키기 적절하지 못하므로 유효성분 추출을 위해서는 숙성온도를 지속적으로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간은 30일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숙성단계를 통하여 발효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알콜을 마일드하게 하여 알콜로 인해 피부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위해성을 예방하고 향기로운 추출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숙성과정을 거친 추출물은 추출물의 고형물 농도가 20~30중량% 정도로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는데, 이는 조성물을 제조할 때 농축하지 않은 추출물을 과량 투입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을 없애고, 총조성물 중량% 대비 소량의 농축발효추출물을 투입하여도 본 발명이 갖고자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효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상기 농축발효추출물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가 바람직하며, 1중량% 미만일 때는 탈모 방지 및 발모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비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의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제품의 안정성 면에서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천초, 백선피, 구맥, 신이화, 호두나무의 잎, 카밀레의 꽃, 네틀, 아이비의 근경, 호스테일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성성분의 숙성액을 포함한다.
상기 숙성액에 사용하는 허브는 상기 농축발효액과의 상호 효능이 상승작용 을 하는 것들을 사용하며, 허브를 48시간 동안 물로서 가열 추출하여 10일간 1차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1차 여과 숙성액에 옥을 넣어 5일간 2차 탈취 숙성과정을 거친 후 숙성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여과 숙성액을 옥을 넣는데, 이는 10일간 숙성을 하여도 없어지지 않는 허브의 거친 잔향들을 없애 조성물 사용시 느끼는 관능의 불쾌함을 없애기 위함이다. 옥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숙성시 살균및 부패방지의 효과가 있으며, 탈취효과가 있다는 문헌에 따른 것이다(AESPRO,2006년 3월호 12P).
상기 숙성액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가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로서의 효능 발현이 미약한 단점이 있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비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의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제품의 안정성 면에서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성액 총중량에 대하여 해양심층수 1~5%를 더 추가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숙성액인 것이다. 이는 해양심층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이 자연적인 방부 역할을 하여 숙성액의 안정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해양심층수의 사용량이 숙성액 총중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방부의 역할을 하지 못하며,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을 제조할시 킬레이트화 되는 부작용에 노출되어 제품의 안정성에 위험을 초래한다.
한편, 아스타산틴산은 갑각류와 연어 등에 포함된 붉은색 색소로 항염증, 동맥경화, 면역재생, 당뇨병억제, 혈압강하, 눈의 기능향상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노화나 암의 원인이 되는 유해 활성산소를 없애는 기능이 뛰어난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상기 발효농축액과 상기 숙성액과 함께 상호 효능을 상승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은 아스타산틴산, 인지질, 글루타치온, 폴리솔베이트20, 글리세린 및 에탄올로 구성되는 리포좀을 고압유화장치에 7회 통과시켜 크기를 작게 한 나노리포좀이다. 상기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중량에 0.1중량%~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 미만일 경우 발효농축액과 숙성액과의 상호 상승효능이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비해 그 상호 상승효능이 미미하여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은 인지질 4.0중량%, 글루타치온 0.1중량%, 폴리솔베이트20 4.0중량%, 95%변성에탄올 2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아스타산틴산 1.0~5.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껍질, 과육, 씨)를 1:1 비율로 칭량하여 분쇄한 후 양조통에 넣고 25℃에서 11일간 발효시킨 후, 200메쉬 여과포(창계상공사)로 여과하고 15℃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30일간 숙성시켰다. 이 숙성물을 감압증발 기(Tokyo Rikakikai Co., Rorary vacuum evaporator)로 고형물의 농도가 20~30% 정도로 농축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여 농축발효액을 얻었다.
[제조예 2]
신이화 20kg을 물 100kg에 넣고 48시간동안 물로 가열 추출하여 10일간 1차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1차 여과 숙성액에 옥을 넣어 5일간 2차 탈취 숙성과정을 거친후 35kg의 숙성액을 얻었다.
[제조예 3]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행하여 얻은 숙성액에 해양심층수를 700g을 더 추가하고 혼합하여 해양심층수가 추가된 숙성액을 얻었다.
[제조예 4]
신이화 10kg과 구맥 10kg을 물 100kg에 넣고 48시간동안 물로 가열 추출하여 10일간 1차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1차 여과 숙성액에 옥을 넣어 5일간 2차 탈취 숙성과정을 거친 후 37kg의 숙성액을 얻었다.
[제조예 5]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행하여 얻은 숙성액에 해양심층수를 740g을 더 추가하고 혼합하여 해양심층수가 추가된 숙성액을 얻었다.
[제조예 6]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에탄올, 글리세린 및 폴리솔베이트20으로 구성되는 리포좀을 고압유화장치에 7회 통과시켜 크기를 작게 한 것이다.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고압 유화시켜 폐쇄된 이중층 구조의 나노리포좀을 만들었다. 하기 표 1의 A상을 95℃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켰다. 이를 40℃까지 냉각하여 B상을 넣고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압력 1200 bar, 유속500m/s의 조건하에서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 M210EH, Microfluidies, USA)에 7회 통과시켜, 아스타산틴산을 안정화시킨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을 얻었다. 1회 통과하여 얻은 리포좀의 크기는 약 133nm이지만, 7회째의 크기는 약 75nm로 나타났다.
[표 1]
phase 원료명 함량(중량%)
A 인지질 4
글루타치온 0.1
95% 변성에탄올 20
글리세린 30
폴리솔베이트 20 4
B 아스타산틴산 1
정제수 잔량
100
[제조예 7]
제조예 6에서 아스타산틴산의 함량이 5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하게 행하여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실시예 1]
하기 표 2의 조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헤어토닉을 제조하여, 이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실시예 1로 하였다.
[표 2]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 실시예 1
A HCO-60 2.0 2.0 2.0 2.0 2.0 2.0
Crillet 3 0.5 0.5 0.5 0.5 0.5 0.5
Crillet 1 0.5 0.5 0.5 0.5 0.5 0.5
B EtOH 1.0 1.0 1.0 1.0 1.0 1.0
Fragranc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C 제조예 1의 농축발효액 1.0 1.0 1.0 1.0 1.0 1.0
제조예 2의 숙성액 10 - - - 10 10
제조예 3의 숙성액 - 10 - - - -
제조예 4의 숙성액 - - 10 - - -
제조예 5의 숙성액 - - - 10 - -
제조예 6의 나노좀 1.0 1.0 1.0 1.0 - -
제조예 7의 나노좀 - - - - 0.1 -
D Sodium Citrate 0.6 0.6 0.6 0.6 0.6 0.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실시예 2]
하기 표 3의 조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헤어샴푸를 제조하여, 이를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실시예 2로 하였다.
[표 3]
성분명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 실시예 2
A Micolin ES-43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Micolin S-43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Micopol CDE 3.60 3.60 3.60 3.60 3.60 3.60
Glycerin 1.40 1.40 1.40 1.40 1.40 1.40
B Purified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P.G 1.00 1.00 1.00 1.00 1.00 1.00
EDTA-2Na 0.20 0.20 0.20 0.20 0.20 0.20
Germall 115 0.10 0.10 0.10 0.10 0.10 0.10
C 제조예 1의 농축발효액 1.0 1.0 1.0 1.0 1.0 1.0
제조예 2의 숙성액 10 - - - 10 10
제조예 3의 숙성액 - 10 - - - -
제조예 4의 숙성액 - - 10 - - -
제조예 5의 숙성액 - - - 10 - -
제조예 6의 나노좀 1.0 1.0 1.0 1.0 - -
제조예 7의 나노좀 - - - - 0.1 -
D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실험예 1] 5알파 - 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실험
5알파(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실험에 사용된 5α-리덕타아제는 쥐의 간(adult, Sprague-Dawley, male rat(8-10weeks old), liver)에서 얻었으며, 단백질 정량을 통하여 일정량의 단백 현탁액(protein suspension)을 준비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효소반응용액(enzyme reaction solution)을 준비하였다. 5α-리덕타아제의 반응기질(substrate)로는 방사선 표지(radio labeled)된 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반응용액 : 단백질현탁액 : 추출물 = 70 : 20 : 10의 비율로 2분간 항온조(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반응 용매를 날려 보내고 남은 물질을 전개 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램(TLC)에 전개하고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conversion rate)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대조군(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5α-리덕타아제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억제율 평가 계산 방법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억제율(%) = [(A-B)/A] x 100
여기서, A =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추출물 미 첨가시)이고, B =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추출물 첨가시)이다.
억제율 계산방법에 의한 실험결과는 표 4 내지 6과 같다.
[표 4] 제조예 1로서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
농축발효액농도 0.5% 1% 5% 6%
억제력(%) 60.2 87.2 100 100
[표 5] 제조예 2로서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
숙성액농도 5% 10% 30% 50%
억제력(%) 38.5 86.7 98.5 100
[표 6] 제조예 4로서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
숙성액농도 5% 10% 30% 50%
억제력(%) 42.3 87.1 97.6 100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4를 대상으로 하여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실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에 설명한 방법으로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을 평가하였다. 억제율 평가 계산방법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억제율(%) = [(A-B)/A] x 100
여기서, A =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40중량% 에탄올 수용액)이고, B =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각 실시예 및 비교예)이며,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은 80% 이상의 결과가 있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실시예 1의 헤어토닉의 5α-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력 시험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실시예 1의 헤어토닉의 5α-리덕타아제 활성억제력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실시예 1
억제력(%) 100 100 100 100 100 95.5
상기 표 7에 의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실시예 모두에서 본 발명이 갖고자 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실시예 1에서 볼 수 있듯이 아산타산틴산 리포좀이 발효농축액과 숙성액과의 상호상승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비듬균 생장 억제능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실시예 1을 대상으로 모발 및 두피에 존재하여 모낭의 영양분을 그 먹이로 생육하여 탈모의 원인을 야기하는 비듬균인 Pityrosporium ovale(이하 P. ovale)에 대한 생육 저해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균주는 ATCC14521의 균주를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미리 제조한 비듬균 평판배지에 P. ovale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48시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P. ovale균을 백금이를 이용하여 희석액에 진하게 풀어서 108CFU/ml농도의 현탁액을 만든다. 균 현탁액을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비듬균 배양배지에 골고루 접종하고 배지 중앙에 멸균 disk를 얹는다. 경수를 이용하여 50%로 희석한 시료 60㎕를 디스크에 떨어뜨린 후, 37℃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다.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을 측정한 후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하여 성장 지지대(Inhibition zone ; 저지환)를 구하였다.
[수학식 3]
Inhibition Zone (W) = (T-D) / 2
W : 성장저지대의 폭(mm)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mm)
D : 시료의 지름(mm)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실시예 1의 항진균효과의 결과 대표적인 비듬균으로 알려진P. ovale에 대하여 약 12.35mm를 나타내어 높은 항진균 효과를 보였으며, 그 결과를 표 8과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8] 항진균 시험 결과
시료구분 시료접종량 Disk 직경 성장저지대의 폭
실시예 1 60㎕ 8.0mm 12.5mm
실시예 2 60㎕ 8.0mm 12.3mm
실시예 3 60㎕ 8.0mm 12.4mm
실시예 4 60㎕ 8.0mm 12.4mm
실시예 5 60㎕ 8.0mm 12.5mm
비교실시예 1 60㎕ 8.0mm 12.0mm
[실험예 3]콜라겐 생합성 효과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실시예 1의 헤어토닉을 사용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실험하였다. 먼저, T-75 플라스크에 배양되어진 섬유아세포를 PBS로 2∼3회 세척하고, 트립신을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린 후,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Heraeus; Labofuge 400R)하여 세포를 모았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모아진 세포에 10㎖의 DMEM(10% FBS)을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준다.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104ea/well 정도의 세포를 96well의 각 well에 200㎕씩 분주 한다. 37℃, 5% CO2에서 배양하면서 well 면적의 약 50%정도의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FBS10%)으로 교환해 준다.
콜라겐 합성능 측정키트 (Procollagen Type-I C-peptide EIA kit (Takara, MK 101))를 사용하였다.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법을 위하여 100㎕의 Ab-POD conjugate 용액을 하나의 웰에 옮겨 분주하고, 20㎕의 세포배양액 또는 표준용액을 첨가한다. 호일 등으로 96well 플레이트를 싸서 37℃에서 3시간 정도 배양한다. 3 시간 경과 후 각 well에 들어있는 용액을 모두 걷어 내고 PBS로 4번 정도 씻어준다. 세척 단계 후에 100㎕의 기질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여 20∼30℃에서 15분간 배양한다. 최종 단계로 반응종료용액 인 1N H2SO4를 100㎕ 첨가하여 부드럽게 섞어준다. ELISA l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게 되는데 반응종료용액이 첨가되어진 플레이트를 약 1시간 정도 실온에서 보관한 후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표시하였으며 세포증식능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그 증강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실시예 1에서 볼 수 있듯이 아산타산틴산 리포좀이 발효농축액과 숙성액과의 상호상승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In-vivo 평가방법을 이용한 발모의 효과 확인실험
실시예 1의 헤어토닉과 실시예 6의 헤어샴푸 조성물을 전국에서 탈모증세가 심한 사람 10명을 대상으로 1일 1회 샴푸후 타월드라이 후에 헤어토닉을 탈모가 진행된 두피에 골고루 바르고 마사지한 후 모발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도록 해서 3개월간 사용 후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와 도 3 내지 도 5(10명 중 3명만의 예임)에 나타내었으며 발모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표 9] 발모효과 확인시험 결과
증상 사용 전 사용 3개월 후
발모효과 10명 탈모 고민 10명 발모효과 발현
피부자극 or 부작용 없음 없음
실험대상자를 10명으로 하여 임상결과 10명 모두에게서 탈모가 현저히 줄어 들면서 발모효과가 나타났으며,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3개월간 전혀 없었다. 도 3내지 도 5는 실험대상자 10명 중 3명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실험대상자 1(남, 38세, 탈모 시기는 2002년부터 스트레스성탈모진행, 식구 중 대머리는 없음, 특이사항은 스트레스에 민감하고 신장 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었음, 탈모가 시작된 후 특별히 치료받거나 탈모 및 발모제품을 사용하지 않았음.)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1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a는 실험대상자 2(남, 23, 전두 탈모, 탈모 시기는 어릴 적부터 원형탈모 증상 있었음, 본격적인 탈모는 고등학교 3학년부터 임, 식구 중 대머리는 없음, 특이 사항은 큰 병을 앓은 적은 없지만 몸이 몹시 허약하고, 스트레스에 민감하고 장 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었음, 탈모가 시작된 후 H 부속병원에서 1년여 동안 약물과 고주파 치료함. 치료 후 솜털이 나기 시작하다가 두피가 붉어지고 머리가 다시 빠졌다고 함.)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2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는 실험대상자 3(남, 33세, 남성형 탈모, 탈모 시기는 10여 년 전부터 시작, 식구 중 자신과 아버지만 탈모 있음, 특이 사항은 두피는 지성이며 머리카락에 힘이 없고, 모병원에서 2005년 1월부터 두피주사(매주 1회), 바르는 약, 내복약을 3개월 이상 받았으나 진전이 없었음, 두피는 지성이고 모낭충 검사시 음성이었 음, 두피의 현미경적 소견은 각질이 많이 침착되어 있었고 머리카락이 몹시 가늘어져 있었음.)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3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들을 함유한 샴푸, 헤어토닉에 배합한 조성물이 두피 내 남성호르몬의 감소, 콜라겐 생합성 및 항산화, 항염 효과를 발휘하여 두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자극이나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 대한 P. ovale균의 생장 저해 정도를 시험한 결과의 사진.
도 2는 콜라겐 생합성능 비교그래프.
도 3a는 실험대상자 1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1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
도 4a는 실험대상자 2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2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
도 5a는 실험대상자 3의 두발을 촬영한 사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대상자 3의 3개월 후 두발을 촬영한 사진.

Claims (6)

  1.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를 1:3 ~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농축발효시킨 농축발효액 1~5중량%와,
    천초, 백선피, 구맥, 신이화, 호두나무의 잎, 카밀레의 꽃, 네틀, 아이비의 근경 및 호스테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숙성성분의 숙성액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발효액은 상기 아보카도 열매와 엘더 열매의 껍질, 과육 및 씨 전체를 분쇄한 분쇄물을 20~30℃에서 10~13일간 발효시킨 다음, 이를 여과한 여액을 15℃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30일간 숙성시키고 고형물의 농도가 20~30중량%가 되도록 감압농축한 농축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액은 상기 숙성성분을 48시간 동안 물로 가열 추출하여 10일간 1차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1차 여과 숙성액에 옥을 넣어 5일간 2차 탈취 숙성과정을 거친 숙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액은 상기 숙성액 총중량에 대하여 해양심층수 1~5중량%를 더 추가하여 혼합한 숙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나노리포좀화한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타산틴산 리포좀은 인지질 4.0중량%, 글루타치온 0.1중량%, 폴리솔베이트20 4.0중량%, 95%변성에탄올 2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아스타산틴산 1.0~5.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고압유화시켜 제조된 나노리포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0080016863A 2008-02-25 2008-02-25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KR10095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63A KR100958496B1 (ko) 2008-02-25 2008-02-25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63A KR100958496B1 (ko) 2008-02-25 2008-02-25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41A KR20090091541A (ko) 2009-08-28
KR100958496B1 true KR100958496B1 (ko) 2010-05-17

Family

ID=4120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63A KR100958496B1 (ko) 2008-02-25 2008-02-25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179B1 (ko) * 2015-05-13 2015-09-03 주식회사 제이코스메틱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20240006925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간기능 개선, 휴지기 또는 생장기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40006905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면역력 개선, 원형 및 감염성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40006920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남성형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205A1 (en) * 2010-10-05 2012-04-12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ivy derived nanoparticles
KR101733552B1 (ko) * 2013-05-22 2017-05-12 김성욱 나팔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658333B1 (ko) 2016-03-31 2016-09-20 주식회사 뮤제코스메틱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2136838B1 (ko) 2017-11-25 2020-08-13 주식회사 파머스그레인코리아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07195B1 (ko) * 2018-11-30 2020-05-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음양곽 추출물, 패랭이 꽃 추출물 및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62791B1 (ko) * 2019-09-20 2021-06-08 김학기 한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15645327B (zh) * 2022-10-19 2024-03-19 上海瑞帝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护作用的西洋接骨木发酵液及其制备工艺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218A (ko) * 1997-07-22 1999-02-18 김동희 생약 탈모 방지액
JP2000204022A (ja) 1999-01-08 2000-07-25 Taisho Pharmaceut Co Ltd ミノキシジル含有外用組成物
JP2001097828A (ja) 1999-10-01 2001-04-10 Noevir Co Ltd 毛髪用化粧料
US20070110705A1 (en) 2003-12-05 2007-05-17 Emmanouel Marinos Composition comprising urginea maritima or drimia maritima, laurus nobilis, adiantum capillus-veneris, and persea americana and its use against hair greasiness, hair loss and for promoting hair grow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218A (ko) * 1997-07-22 1999-02-18 김동희 생약 탈모 방지액
JP2000204022A (ja) 1999-01-08 2000-07-25 Taisho Pharmaceut Co Ltd ミノキシジル含有外用組成物
JP2001097828A (ja) 1999-10-01 2001-04-10 Noevir Co Ltd 毛髪用化粧料
US20070110705A1 (en) 2003-12-05 2007-05-17 Emmanouel Marinos Composition comprising urginea maritima or drimia maritima, laurus nobilis, adiantum capillus-veneris, and persea americana and its use against hair greasiness, hair loss and for promoting hair grow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179B1 (ko) * 2015-05-13 2015-09-03 주식회사 제이코스메틱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WO2016182225A1 (ko) * 2015-05-13 2016-11-17 주식회사 제이코스메틱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20240006925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간기능 개선, 휴지기 또는 생장기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40006905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면역력 개선, 원형 및 감염성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40006920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다모에프엔비 남성형 탈모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41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496B1 (ko)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EP2654765B1 (fr)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maca riche en polyphenols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4942322B2 (ja) 皮膚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214B1 (ko) 두피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3130B1 (ko)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70035554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및 항염증 조성물
KR102150680B1 (ko)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20120105922A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CN116249514A (zh) 包含奶蓟花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生发的组合物
JP2005220100A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20030055950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