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179A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179A
KR20120037179A KR1020100098784A KR20100098784A KR20120037179A KR 20120037179 A KR20120037179 A KR 20120037179A KR 1020100098784 A KR1020100098784 A KR 1020100098784A KR 20100098784 A KR20100098784 A KR 20100098784A KR 20120037179 A KR20120037179 A KR 2012003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persimmon
cosmetic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연
박노우
손준호
박태순
김희정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영농조합법인바이오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영농조합법인바이오젠코스텍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7179A/ko
Publication of KR2012003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항아토피 및 항노화 효능이 우수한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그대로 함유하거나 피부 투과율이 우수하도록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Anti-atopy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ersimmon and ginsenge extract stabilized with nanoliposome}
본 발명은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항아토피 항노화 효능이 우수한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그대로 함유하거나 피부 투과율이 우수하도록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감과 인삼의 추출물질로 항아토피 항노화 향장소재를 개발하여 아토피 개선제, 피부 미백, 피부 노화 억제 기능이 있는 화장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과민성 염증 반응의 대표적 질환인 아토피(atopy)는 천식(asthma) 및 발진, 알레르기성 비염(rhinitis) 등과 함께 중요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공업화에 따른 급속한 발달과 가공 음식물의 섭취 급증으로 면역학적 과민 반응의 제 증상(가려움증 그리고 재채기, 콧물, 감기증세) 외에 심지어 동맥정염(sinusitis)이나 천식 그리고 아토피 같은 심각한 만성질환으로 연결되어 치료 및 완화제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의 식생활뿐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에도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아토피 치료는 많은 경우 대증요법에 의존하거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테로이드 계통을 포함한 치료제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증세를 완화시켜 주는 데 그치고 있을 뿐이고 근원적인 치료방법은 없어서, 아토피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대체 식품이나 의약품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아토피는 외피의 염증을 수반하는 부적절한 면역 반응의 만성 질환으로, 이 부적절한 면역반응은 T helper 2(Th2) 세포라 불리는 CD4+ T helper 세포에 의해 통제되는데, 이들 세포를 조절하는 또 다른 그룹의 Th2 effector로서 여러 가지 cytokine에 의해서 이들 세포의 성장과 사멸이 조절되며, 여기에는 JAK나 STAT 같은 인자들이 깊게 관여하고 있다. 특히 IL-4, IL-13 등이 IgE switching, 점액질 생산, 호산구의 활성화에 중요한 cytokine이기 때문에 이들의 발현 조절이 아토피의 target으로 매우 기대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토피와 함께 염두에 둔 노화는 그 원인과 기작이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이 피부 노화의 주원인의 하나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알려져 있다.
활성 산소종은 스트레스나 염증 반응 등에 의한 내적 요인에 의해 생성되지만 자외선이나 공해 등에 의한 외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피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변성시켜 피부 탄력을 저하시키고 비가역적인 피부 주름을 생성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성된 활성 산소종을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을 개발하거나 활성 산소종의 생성경로를 파악하여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부 노화 억제를 포함한 기능성 화장품은 2001년 현재 28억 달러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앞으로 매년 15%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새로운 Biotechnology 분야의 Bull market으로 자리매김될 것이므로, 이러한 BT 분야에서 기술적 비교우위를 선점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또한 다이어트 분야와 성형 등의 관련 산업과의 융합기술(Fusion Technology)의 적용도 가능하므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억제시키는 신물질의 탐색 및 개발은 새로운 틈새시장의 개발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피부 노화 억제제의 탐색 및 개발은 항산화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피부노화의 주요 진행 경로(pathway)를 차단하고 예상되는 세포노화 프로그램(cell senescence program)을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후보 물질들의 라이브러리를 천연물 화학을 이용하여 최소의 시간으로 확보 제시하고, 피부 노화를 억제시키는 천연후보물질에 대한 생화학적 근거를 다양한 cell-based high throughput in vitro in vivo 방법을 통하여 스크리닝(screening)하며, 아울러 피부 노화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여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천연물을 재료로 하여 다른 부작용은 없고 항아토피 효능과 항노화 효능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면서도 피부 침투율이 우수한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인 '바이오젠코스텍'은 2007년에 이미 대표이사인 '오광석' 명의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을 특허출원하여 등록까지 완료하였다(특허 제10-758960호). 본 발명의 기법은 이 선출원과 관련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일종의 용도발명이고 그 용도는 위 선출원과 전혀 상이하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등 추출물의 항아토피 항노화의 직접적 성능을 인식하고 발명적으로 성립시킨 기술임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은,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어떻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감 추출물은 감 폴리올추출물 또는 감 에탄올추출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인삼 추출물은 인삼 발효초고압추출물, 인삼 초고압추출물, 인삼 폴리올추출물, 홍삼 물추출물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6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장치에 통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주목한 인삼은 대표적인 자양강장제이다. 새로이 각광받는 인삼의 효능으로는 피부 세포 부활 작용, 피부 흡수 촉진 작용, 보습제 작용 등이 있으며 피부에 직접 바르게 되면 거칠어진 피부의 각질층을 깨끗이 해주어 탄력 있는 아름다운 피부를 만들 수 있다. 그럼에도 가공품 개발이 미흡하고, 재배농가 경영규모 영세화 및 노령화로 경쟁력 향상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일본, 러시아에 비해 단수 및 품질이 낮고 인삼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인접하고 있는 점도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기업의 이익 도모보다는 아토피로 고생하는 영유아, 청소년의 건강을 증진하고 소득 작목이 없는 농촌 지역에 새로운 활로를 일으키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감(persimmon)은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감나무과인 감나무 (Disopyros kaki Thunberg)의 열매이다. 감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맛이 매우 달고 가공, 저장이 쉬워 말려 먹거나 다른 음식에 넣어 먹기도 한다. 감의 영양 가치는 매우 높다. 수분이 83% 정도로 다른 과일에 비해 적은 편이며 당분이 14% 이상으로 대단히 많다. 당분의 대부분이 포도당과 과당이어서 소화 흡수가 잘된다. 감은 그 열매와 잎, 꼭지 등이 모두 여러 용도의 치료에 쓰이는 귀한 나무이다. 비타민A의 효과를 나타내는 카로틴도 많은데 비타민A 는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피부를 탄력 있고 강하게 하는 특성이 있는 영양소이다. 비타민C도 사과보다 6배나 더 많다. 그러나 다른 과일이 많이 가지고 있는 신맛이 적다. 다량의 비타민 C 때문에 콜라겐이라는 섬유 단백질을 합성해 혈관을 튼튼하게 해줌으로써 고혈압 등 혈관 계통의 질병과 심장병 등 순환기 계통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가 뛰어나다. 신맛을 내는 유기산인 구연산과 사과산이 겨우 0.2%밖에 안 들어 있기 때문이다. 감의 떫은맛을 내는 성분은 탄닌(tanin) 이다. 이 탄닌이 물에 잘 녹는 수용성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떫게 느껴진다. 그런데 단감, 곶감이 단맛을 갖는 것은 탄닌이 물에 안 녹는 불용성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이 탄닌은 많은 약리작용을 해서 감은 예로부터 설사를 멎게 하고 배탈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 외 탄닌의 역할은 지혈작용, 숙취 예방, 수렴 작용 등이 있다.
그러나 식품으로서의 감과 인삼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항아토피 등의 효능은 알려져 있지 않고 감을 항아토피 화장품에 적용한 예도 없다.
한편 화장품의 여러 가지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화장품은 수용성 성분, 유용성 성분, 분말과 액티브 성분 등 서로 용해되지 않는 다양한 물질을 혼합하여 제재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에멀전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많고, 다양한 사용 목적과 사용 방법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유화 기술이 필수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나노 기술은 피부흡수 성분을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 1크기인 나노 사이즈(10억분의 1m)로 만들어 피부흡수율을 높인 것이다. 기존의 로션이나 에센스크림 등의 문제는 에멀션 크기가 겉 피부세포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수십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세한 구멍(간극)보다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이상 크기 때문에 흡수가 잘 안 되는데, 그래서 개발된 게 나노화장품이다. 화장품 성분을 피부 간극보다 작게 만들면 피부 흡수율이 높아진다.
아래 도표는 Ultimizer의 원리를 응용한 나노에멀전의 제조를 예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현재 아토피 치료는 많은 경우 대증요법에 의존하거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스테로이드 계통을 포함한 치료제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증세를 완화시켜 주는 작용만이 있을 뿐이며 근원적인 치료방법이 없어서, 아토피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신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현재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는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감이나 인삼을 이용한 항아토피 및 항노화 성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제조업체는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물을 재료로 하여 다른 부작용은 없고 항아토피, 항노화 및 미백 효능이 우수하며 피부 침투율도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획득하는 게 가능해진다.
한편, 기존의 피부질환 치료제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막대한 외화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바,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도 수입 대체 효과와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성과를 거두게 할 것이다.
아울러 바이오 소재 개발의 실패 요인 중 13?25%가 독성 및 안전성 문제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안정한 천연물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우수성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1. 감 및 인삼의 추출
가. Sample : D BG-40A (감 폴리올추출물)
(1) 감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하였다.
(2) 소독된 감 100g을 직경 1 x 1cm으로 자른 다음 400g의 1,3-butylene glycol과 증류수 600g에 넣고 7일간 상온(20~24℃) 침지하였다(10 part).
(3) 7일 후 400mash 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를 하였다.
(4) 필터하여 최종 완료된 원료는 당도(brix) 및 건조 잔량을 측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당도는 30.5Brix, 건조잔량은 0.87%로 나타났다.
나. Sample : D ET-70A (감 에탄올추출물)
(1) 감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하였다.
(2) 소독된 감 100g을 직경 1 x 1cm으로 자른 다음 70% ethanol(V/W) 1,000g에 넣고 48시간 동안 상온(20~24℃) 침지하였다(10 part).
(3) 48시간 후 400mash 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하였다.
(4) 필터한 에탄올 추출물을 환류 농축하여 285g의 농축물을 회수하였다.
(5) 회수한 농축물의 당도(brix) 및 건조잔량을 측정한 결과, 당도는 44brix, 건조잔량은 5.52%로 나타났다.
다. Sample : R Gin UHP-D10 (인삼 발효초고압추출물)
(1) 인삼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수분함량 15% 이하)하였다.
(2) 건조된 인삼분말 100g을 증류수 1000g에 saccharomyces 1 x 107 cells/ml로 접종하고 48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3) 48시간 동안 발효한 인삼발효물(1,000g)을 초고압추출기(1,000Mpa, 25℃)로 24시간 추출하였다.
(4) 1차 발효하고 2차로 초고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400mash 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하였다.
(5) 필터하여 최종 완료된 원료의 당도(brix) 및 건조 잔량을 측정한 결과, 당도는 32.5Brix이고 건조잔량은 0.0020%인 것으로 나타났다.
라. Sample : R Gin UHP-CO1 (인삼 초고압추출물)
(1) 인삼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수분함량 15% 이하)하였다.
(2) 건조된 인삼분말 100g을 증류수 1000g에 넣고 초고압추출기(1,000Mpa, 25℃)의 조건으로 24시간 추출하였다.
(3) 초고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400mash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하였다.
(4) 필터하여 최종 완료된 원료의 당도(brix) 및 건조 잔량을 측정하여 함량을 구한 결과, 당도는 45.8Brix이고 건조잔량은 0.0090%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 Sample : Gin BG-01A (인삼 폴리올추출물)
(1) 인삼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수분함량 15% 이하)하였다.
(2) 소독된 인삼 분말 100g을 400g의 1,3-butylene glycol과 증류수 600g의 혼합액에 넣고 7일간 상온(20~24℃) 침지하였다(10 part).
(3) 7일 후 400mash 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하였다.
(5) 필터하여 최종 완료된 원료는 당도(brix) 및 건조 잔량을 측정하여 함량을 구한 결과, 당도는 31Birx, 건조잔량은 0.53%로 나타났다.
바. Sample : R Gin W-1A (홍삼 물추출물)
(1) 인삼을 수세하고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건조하였다.
(2) 소독된 인삼을 3번의 증포를 반복하여 홍삼으로 제조하였다.
(3) 제조된 홍삼을 분쇄하였다.
(4) 건조된 홍삼분말 100g을 증류수 1000g에 넣고 7시간 동안 냉장 추출하였다(미생물의 오염 때문에 4C 추출).
(5) 7일 후 400mash 필터를 이용하여 1차 필터하고 0.45um을 이용하여 2차 필터하였다.
(6) 필터하여 최종 완료된 원료는 당도(brix) 및 건조 잔량을 측정하여 함량을 구한 결과, 당도는 1.7Birx이고 건조잔량은 0.44%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방법
가. 항산화 실험
(1)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측정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반응에서 pyrogallol은 물에 존재하는 superoxide radical에 의해 자동산화가 일어나 갈색물질을 형성하여 이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하고, superoxide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 시 pyrogallol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superroxide 포착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SOD 유사활성은 Marlund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 용액 200 ㎕에 50 mM Tris-HCl buffer (pH 8.2) 2.6 ㎖와 1 mM 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Sigma, USA)가 포함된 7.2 mM pyrogallol (Sigma, USA) 200 ㎕를 가하여 420 nm에서 초기 3분간의 흡광도 차이를 UV spectrophotomerter (UVPC-1600 UV-VIS, Shimadzu, Japan)로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 대신 50 mM Tris-HCl buffer를 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흡광도 값의 증가 정도를 대조구로 하여 아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SOD-like activity (%) = (A-B)/A X 100
A : 시료액 대신 50 mM Tris-HCl buffer를 이용하여 측정한 흡광도 값의 변화
B : 시료 첨가 시 흡광도 값의 변화
(2)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은 yagi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5 ml에 10 mM L-DOPA (Sigma, USA) 0.2 ml 및 시료용액 0.1 m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Sigma, USA) 0.2 ml를 첨가하여 37℃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inhibitory activity (%) = 100-(A-B)/C X 100
A : 시료를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B : 효소대신 buffer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 (시료 자체의 흡광도)
C : 시료대신 buffer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
(3) DPPH 소거능 측정
각 시료의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 측정은 0.1 mM DPPH (Sigma, USA)/methanol 용액에 동량의 시료를 가하여 vortex mixer로 잘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그룹과 비교하여 DPPH radical 의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양성대조군으로는 α-tocopherol (Sigma, USA)을 사용하였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Sample O.D/Control O.D) X 100
Sample O.D = 시료를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Control O.D = 시료 대신 ethanol을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나. Melanin 생성량 측정
(1) 세포배양
쥐 유래 melanocyte인 B16F10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여,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BRL, Grand Island, USA), 1% penicillin/streptomycin (GibcoBRL) 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BRL) 배지를 이용하여, CO2 incubator (Sanyo, Japan, 5% CO2, 95% air, 37℃)에서 배양하였다.
(2)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B16F10 세포를 2 X 105 cells/well로 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 시료를 넣은 배지를 넣고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 후, 1%(w/v) Triton X-100 함유 한, 100 mM sodium phosphate (pH 6.8) 100 ㎕를 넣고 -80℃에서 30분 동안 방치하면서 세포 용해과정을 거친다. 이 후, 1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수거하고, 단백질 정량을 통해 100 ㎍에 해당하는 상층액에 100 mM sodium phosphate (pH 6.8)에 녹인 2 mg/ml L-DOPA (Sigma, USA) 80 ㎕를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90 nm에서 tyrosinase에 의해 DOPA로부터 형성되는 DOPA chrome의 양을 측정하여, 상대적 tyrosinase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3) Melanin 생성량 측정
B16F10 세포를 2 X 105 cells/well로 6 well plate에 넣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 시료를 넣은 배지를 넣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 후, 1%(w/v) Triton X-100 함유 한, 100 mM sodium phosphate (pH 6.8) 100 ㎕를 넣고 -80℃에서 30분 동안 방치하면서 세포 용해과정을 거쳤다. 이 후, 1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pellet을 수거하고, 10% DMSO 함유 1N NaOH 적정량 넣고 65℃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melanin을 녹여주었다. 405에서 용해된 melanin의 흡광도를 측정해 상대적 melanin 생성량으로 나타내었다.
다. 항노화, 탄력실험
(1) Elastase 활성 측정
Human leukocyte elastase (Sigma, USA)를 500 nM sodium acetate buffer (pH5.3)에 녹여서 1 unit/ml 용액을 만들고, elastase 기절 용액은 MeO-Succinyl-Ala-Ala-Pro-Val-pNa (Sigma, USA)를 DMSO에 녹여서 20 mM stock solution을 만든다. 각 시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elastase를 시료와 혼합한 후 10 ㎕를 96 well-plate에 분주한 후 10 mM sodium phospate buffer (pH6.8)에 녹인 200 μM p-nitroanilide (Sigma, USA)를 200 μM 첨가하고, 반응액은 37℃에서 20분 배양 후 410 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 = {1-(A-B)/C} X 100
A : 시료를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B : 효소대신 buffer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 (시료 자체의 흡광도)
C : 시료대신 buffer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
(2) MMP-1 (collagenase) 저해 효과 측정
(2-1) 세포배양 및 자외선 조사 (UVA irradiation)
Modern Tissue Technology (MTT, Korea)로부터 분양받은 Human dermal fibroblast (HDF-N)는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BRL, Grand Island, USA), 1% penicillin streptomycin (GibcoBRL, Grand Island, USA)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BRL, Grand Island, USA) 배지에서 37℃(5% CO2/60%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 배양기로 배양하였다.
Human dermal fibroblast를 100 mm culture dish에 1 X 106 cells/m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전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Sigma, St Louis, MI, USA)로 1회 세척하여 배지 내 serum을 제거 후, PBS를 세포가 살짝 잠길 정도로 넣어 준 상태에서 plate 뚜껑을 열고 6.3 J/cm2의 자외선(UVA)을 조사하였다.
(2-2) MMP-1 발현저해 측정
HDF 세포에 UVA를 조사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배지를 200 ㎕씩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4℃에서 overnight하여 coating하였다. PBS-T로 세척하고 3% BSA/PBS로 37℃, 2시간 동안 blocking 한다. PBS-T로 세척 후, mouse monoclonal anti-MMP-1 (Santa Cruz Biotechnology, Inc.)을 1:3000으로 blocking solution (3% BSA)에 희석하여 100 ㎕ 씩 분주하고 37℃,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T로 세척 후, Anti-mouse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Bethyl Laboratories, Inc.)를 1:3000으로 blocking solution에 희석하여 100 ㎕ 씩 분주하고 37℃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PBS-T로 세척한 다음 MTT solution 100 ㎕를 첨가하여 발색시켰다. 15분 후, 1 N HCl을 50 ㎕ 첨가하여 반응을 완전히 중지시키고, ELISA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 Hyaluronidase 저해 활성
Hyaluronidase 활성은 hyaluronic acid가 hyaluronidase와 반응하고 남는 hyaluronic acid를 침전시켜 측정하여 hyaluronidase의 활성을 결정하였다.
Hyaluronidase (Sigma, USA)를 차가운 20 mM sodium phosphate, 77 mM sodium chloride, 0.01%(w/v) BSA (pH 7.0) solution에 5 units/ml로 만들어 125 ㎕ 넣고, 농도별 시료를 넣은 후, 최종 양을 20 mM sodium phosphate, 77 mM sodium chloride, 0.01%(w/v) BSA (pH 7.0) solution을 이용하여 맞춰준다.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300 mM sodium phosphate (pH 5.35)에 녹인 0.03%(w/v) hyluronic acid (Sigma, USA)를 37℃로 데워놓았다가 250 ㎕씩 넣어준다. 뒤집어 가면서 섞은 다음, 37℃에서 45분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125 ㎕에, 24 mM Sodium Acetate, 79 mM Acetic Acid, 0.1% (w/v) BSA (pH 3.75) containing 1:1 HCl:H2O solution 625 ㎕와 섞어준 후, 10분간 방치하고, 침전되어 나오는 hyaluronic acid를 600 nm에서 측정하였다.
마. 참고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①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폴리솔베이트 20, 에탄올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장치에 5회 통과시켜 크기를 작게 한 것이다.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고압 유화시켜 폐쇄된 이중층 구조의 나노리포좀을 만든다.
② 표 1의 A상을 95℃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이를 40℃까지 냉각하여 B상을 혼합한다. 이를 압력 1200바, 유속 500 m/s의 조건하에서 고압 유화장치에 5회 통과시켜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③ 상기 감 및 인삼 추출물은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60중량%를 첨가한다.
④ 감 및 인삼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로 함유된다.
3. 실험 결과
가. 항산화 실험
(1)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
일반적으로 실험에 사용한 모든 감, 인삼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이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감 폴리올 추출물인 DBG-40A의 경우 60 mg/ml에서 50.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DBG-40A, RGinW-1A와 RGinUHP-CO1의 경우는 낮은 농도에서도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Figure pat00003

(2) Tyrosinase 저해활성
Tyrosinase에 대한 추출물들의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조제한 후, L-tyrosine을 이용하여 tyrosinase의 활성 억제율을 알아보았다. 각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였으나, RGinUHP-CO1이 100 mg/ml의 농도에서 4.32%를 억제하여 눈에 띄는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Figure pat00004

(3) DPPH 소거능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여 인삼 및 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인삼 및 감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감 에탄올 추출물인 DET-70A와 인삼초고압추출물인 RGinUHP-CO1이 약 5 ㎎/㎖ 농도에서 EC50을 나타내어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감 폴리올 추출물인 DBG-40A와 홍삼 물추출물인 RGinW-1A는 약 20 ㎎/㎖ 정도에서 EC50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인삼폴리올추출물인 GinBG-01A와 인삼발효초고압추출물인 RGinUHP-D10은 100 ㎎/㎖의 농도정도에서 EC50를 나타내어 소거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양성 대조군을 사용된 α-tocopherol이 약 20 ㎍/㎖에서 EC50을 나타낸 것에 비해서 미비하나 인삼 및 감 추출물이 α-tocopherol이 단일물질인 것을 감안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나. Melanin 생성량 측정
(1) Viability 측정
인삼 및 감 추출물의 쥐 유래 melanocyte인 B16F10 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농도별 추출물을 처리하여 MTT assay로 생존율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추출물이 0.1 ㎎/㎖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07

(2) 세포 내 Trytosinase 활성 측정
Tyrosinase는 피부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melanosome에서 tyrosine을 산화시켜 DOPA를 만들고 다시 DOPA를 산화시켜 DOPA chrome을 만드는 DOPA oxidase로 작용하여 멜라닌 polymer를 합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작용한다. 그러므로 tyrosinase 활성억제제는 피부 내에서 멜라닌 polymer 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생성단계에서 tyrosinase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 산물인 DOPA chrome의 저해 정도를 확인하는 L-DOPA oxidase 방법을 채택하였다.
인삼 및 감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해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감 추출물인 DBG-40A와 DET-70A는 tyrosinase 활성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인삼 추출물은 모두 큰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였다. 특히 0.1 ㎎/㎖의 농도에서, GinBG-01A는 약 30%, RGinW-1A, RGinUHP-D10과 RGinUHP-CO1는 약 40%의 큰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그래프 1.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측정(Inhibitory effect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Cells were seeded at 2 X 105 cells/well. After 24 hours,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and cultured for 48 hours. Then, tyrosinase activity was measured at 490 nm.)
(3) 세포 내 melanin 생성량 측정
인삼 및 감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세포의 신호전달경로를 통하여 간적ㅂ적으로 tyrosinase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대하여 인삼 및 감 추출물이 억제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48 시간이 지난 후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활성의 결과와 유사하게 감 추출물의 경우는 melanin 생성 감소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인삼추출물은 melanin 생성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0.1 ㎎/㎖에서 30~40%로 멜라닌 생성량 감소가 더욱 현저하였다.
Figure pat00009
그래프 2. 세포 내 melanin 생성량 측정(Effect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Cells were seeded at 2 X 105 cells/well. After 24 hours,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and cultured for 48 hours. Then, melanin contents were measured at 405 nm.)
다. 항노화, 탄력실험
(1) Elastase 활성 측정
Elastase는 진피 내 피부탄력을 유지하는 기질 단백질인 elastin의 분해에 관여하며, collagen을 분해할 수 있는 비 특이적 가수분해 효소이다. 또한 체내의 elastin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의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활성이 높아져 조직파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elastase를 저해하는 물질은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인삼 및 감 추출물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그중 인삼폴리올 추출물과 인삼발효초고압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elastase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홍삼물추출물은 높은 저해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다른 추출물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도 활성을 보이는 특징이 있었다.
Figure pat00010

(2) MMP-1 저해 효과 측정
피부 광노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MMP-1의 발현은 UVA에 의해 세포에서 JNK/p38 활성도가 증가하고 전사인자인 activator protein-1 (AP-1)의 활성도가 증가되는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MMP-1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에서 교원질의 결핍을 초래한다고 알려져있다. 이러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인삼과 감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섬유아세포에 6.3 J/cm2 UVA를 조사하고 추출물을 첨가하여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 MMP-1 발현 저해 효과를 ELISA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100 ㎍/㎖의 농도에서 감 폴리올 추출물(DBG-40A)은 60%의 뛰어난 MMP-1 발현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인삼발효초고압추출물(RGinUHP-D10)과 인삼초고압추출물(RGinUHP-CO1)은 40%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감 에탄올 추출물(DET-70A)과 홍삼추출물(RGinW-1A)는 10 ㎍/㎖의 농도에서 40%의 저해활성을, 인삼폴리올추출물(GinBG-01A)은 10 ㎍/㎖의 농도에서 50%의 MMP-1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그래프 3. MMP-1 저해 효과 측정(The effect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on the production of MMP-1 by the 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persimmon and ginseng extracts for 24 h.)
라.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통한 보습 실험
Hyaluronidase는 mucopolysaccharide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써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작용 이외에 모세혈관 투과성에 관여하며 급성부종을 야기하는 기염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hyaluronidase의 활성저해제는 항알레르기 작용과 보습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어져 저해 물질이 항염증 약물 및 화장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 및 감 추출물에서 hyaluronidase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들은 농도가 증가에 따라 의존적으로 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감폴리올추출물 (DBG-40A)는 9 ㎎/㎖, 감에탄올추출물 (DET-70A)는 8 ㎎/㎖, 인삼폴리올추출물 (GinBG-01A)는 10 ㎎/㎖에서 EC50을 나타내어 뛰어난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감폴리올추출물은 100 ㎎/㎖의 농도에서는 95.1%의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에 비해, 홍삼물추출물 (RGinW-1A)은 50 ㎎/㎖, 인삼발효초고압추출물(RGinUHP-D10)은 40 ㎎/㎖, 인삼초고압추출물(RGinUHP-CO1)은 100 ㎎/㎖의 농도에서 EC50을 보여 뚜렷한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Figure pat00012

4. 결론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AD)은 습진, 천식, 알레르기 등을 잘 일으키는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되며, 영유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작용이 없는 AD의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질인 감의 용매별 추출물 DBG-40A (감 폴리올추출물), DET-70A (감 에탄올추출물) 그리고 인삼의 용매별 추출물 RGinUHP-D10 (인삼 발효초고압추출물), RGin UHP-CO1 (인삼 초고압추출물), GinBG-01A (인삼 폴리올추출물), RGin W-1A (홍삼 물추출물)을 이용하여 AD관련 항산화 활성 (SOD 유사활성측정, Tyrosinase 저해 활성측정, DPPH 소거능 측정)과 hyaluronidase (HAase) 활성 및 항노화 (Elastase 활성 측정, MMP-1 저해효과 측정), 미백 정도(Melanin 생성량 측정, Tyrosinase 저해 측정)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항아토피 효과 : 아토피는 면역계통의 이상에서 비롯된다. 주요 원인으로 지목받는 것은 활성산소다. 활성산소란 외부에서 우리 몸으로 세균이 침투했을 때 이를 녹이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면역체계에 꼭 필요한 물질이지만 과잉될 경우 문제를 불러오게 된다. 우리 몸의 정상적인 세포까지 녹여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아토피가 나타나게 된다. 과잉된 활성산소로 인해 피부 보습층이 파괴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외부자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되어서다. 그 결과 가려움증과 발진, 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런 활성산소의 과잉을 막는 것이 바로 항산화효소다. 항산화효소는 체내에 과잉된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아토피의 치료는 이런 항산화효소의 양을 늘려주는 것에 중점을 둔다.
AD와 관련, 감,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SOD 유사 활성에서는 감과 인삼 추출물 모두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BG-40A의 경우 60 mg/ml의 농도에서 50.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활성 억제율 확인 결과 RGinUHP-CO1을 제외하고 모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 측정 결과 DET-70A와 RGinUHP-CO1이 5 mg/ml에서, DBG-40A와 RGinW-1A가 20 mg/ml에서 EC50를 나타내어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Hyaluronic acid (HA, 히알루론산)는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에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특히 피부에 많이 존재하여 피부를 탄력 있게 만들고 볼륨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HA가 부족하게 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이 없고 주름이 지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의 상태는 피부 보호막 기능이 약해져 외부자극이나 알러지 물질에 쉽게 노출되어 민감하게 반응한다. 각질층은 생체 보호막으로 그 기능이 약화되면 피부 수분 손실을 일으키거나 외부 자극에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를 만든다. 체내의 구성성분인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hyaluronidase는 염증 발생 시 활성화되어 조직의 구조를 파괴하고 염증계 세포의 투과성을 항진시킨다. 그러므로 hyaluronidase의 활성을 저해하면 염증 완화를 통해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AD와 관련, 감, 인삼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BG-40A (EC50: 9 mg/ml), DET-70A (EC50: 8 mg/ml), GinBG-01A EC50: 10 mg/ml)이 뛰어난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DBG-40A는 100 mg/ml의 농도에서 95.1%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2. 항노화 효과 : 피부주름의 발생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콜라겐)의 결핍을 들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의 감소를 보이며 분해도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노화의 원인인 UV에 의해 collagenase와 같은 MMP 발현으로 인하여 collagen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나타난다. 따라서 추출물의 collagenase 활성 저해능력을 실험하여 피부 주름개선 물질의 효력을 뒷받침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인삼과 감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UVA를 조사한 후 MMP-1 발현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DBG-40A는 100 μg/ml에서 60%의 MMP-1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RGinUHP-D10과 RGinUHP-CO1은 100 μg/ml에서40%, DET-70A와 RGinW-1A는 10 μg/ml에서 40%, GinBG-01A는 10 μg/ml에서 50%의 MMP-1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의 진피조직에는 collagen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elastin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그물망 구조가 깨지면서 피부가 처지고 주름이 생기면서 피부노화가 발생한다. 탄력섬유인 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진 elastase는 건강한 피부에서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피부 염증반응 시에는 elastase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elastase는 탄성 섬유단백질인 elastin을 분해시켜 피부의 진피조직의 그물망을 끊어 줌으로서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Elastase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Elastase 활성 저해능력을 실험하여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물질의 효력을 뒷받침할 수 있다.
인삼 및 감 추출물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elast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GinBG-01A와 RGinUHP-D10은 100 μg/ml에서 각각 80.3%와 73.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낼 정도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elastase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3. 미백 효과: 하얀 피부가 미의 상징인 우리나라에서 과색소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미백제의 개발은 상업적으로 매우 큰 가치를 갖고 있다. 미백이라고 하면 검은 색소의 색소를 옅게 하거나, 색소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말한다. 미백 효과는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우선 생성된 멜라닝을 환원시키거나 멜라닌 생성의 주요 효소를 억제함으로서 가능할 것이다.
Tyrosinase는 색소 형성의 첫 단계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구리 이온이 효소의 작용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개발된 미백제는 주로 tyrosinase 효소의 억제 효과를 주효능을 연구하여 왔다. 인삼과 감 추출물로 미백 효과를 입증하기 전에 melanocyte 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추출물이 0.1 m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삼과 감 추출물이 melanoma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농도별로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인삼 추출물인 GinBG-01A, RGinW-1A, RGinUHP-CO1, RGinUHP-D10은 모두 큰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였다. 특히 0.1 mg/ml의 농도에서 GinBG-01A는 30%, RGinW-1A, RGinUHP-10, RGinUHP-CO1은 40%의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삼 및 감 추출물이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삼 추출물인 인삼 추출물인 GinBG-01A, RGinW-1A, RGinUHP-CO1, RGinUHP-D10은 모두 높은 melanin 생성 저해 활성을 보였다. 특히 0.1 mg/ml에서 인삼 추출물들은 30~40%의 melanin 생성 저해 능력을 나타내었다.
▶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인삼과 감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하여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고, hyaluron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elastase 활성 억제 및 MMP-1 저해 효과를 통해 노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melanin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기능까지 발휘함으로써 인삼과 감 추출물이 AD 치료물질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화장품으로서의 상업적 가치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Claims (7)

  1.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감 추출물은 감 폴리올추출물 또는 감 에탄올추출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인삼 추출물은 인삼 발효초고압추출물, 인삼 초고압추출물, 인삼 폴리올추출물, 홍삼 물추출물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은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6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장치에 통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98784A 2010-10-11 2010-10-11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7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84A KR20120037179A (ko) 2010-10-11 2010-10-11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84A KR20120037179A (ko) 2010-10-11 2010-10-11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179A true KR20120037179A (ko) 2012-04-19

Family

ID=4613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784A KR20120037179A (ko) 2010-10-11 2010-10-11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717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519A (ko) * 2014-01-28 2015-08-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원재료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실버화장품
KR20160000211A (ko) 2014-06-24 2016-01-0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케모카인의 조절을 통해 케모카인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16777B1 (ko) * 2016-04-12 2017-03-15 (주)지에프씨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우스 dk1를 이용한 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및 항주름용 조성물
JP2018528971A (ja) * 2015-09-23 2018-10-04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高麗人参由来のエクソソーム様ベジクルを含む美白用組成物
WO2022191793A1 (en) * 2021-03-08 2022-09-15 T.C. Ankara Universitesi Rektorlugu Anti-ageing dermocosmetic (cosmeceutical) produc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519A (ko) * 2014-01-28 2015-08-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원재료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실버화장품
KR20160000211A (ko) 2014-06-24 2016-01-0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케모카인의 조절을 통해 케모카인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18528971A (ja) * 2015-09-23 2018-10-04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高麗人参由来のエクソソーム様ベジクルを含む美白用組成物
KR101716777B1 (ko) * 2016-04-12 2017-03-15 (주)지에프씨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우스 dk1를 이용한 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및 항주름용 조성물
WO2022191793A1 (en) * 2021-03-08 2022-09-15 T.C. Ankara Universitesi Rektorlugu Anti-ageing dermocosmetic (cosmeceutical)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9589B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CN111317701B (zh) 一种皮肤屏障修护复合物、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JP5948374B2 (ja) 高麗人参果実アギタケ発酵液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893464A (zh) 一种阻断抑制还原黑色素的美白祛斑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0824595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7179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07B1 (ko) 항노화 효과를 갖는 미숙과 찔레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703909B (zh) 一种具有抗皱抗老化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US7794759B2 (en) Cell activator,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skin whitening agent, antioxidant agent, antiinflammatory agent, aromatase activity promoter, protease activity promoter,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food
US20230070929A1 (en)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 cake,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or nutricosmetic compositions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25994B1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496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4531A (ko)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688A (ko) 금매화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8810B1 (ko) 참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67277B1 (ko) 모링가 페레그리나 종자 케이크의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화장품 또는 뉴트리코스메틱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