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367A -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367A
KR20070105367A KR20077021462A KR20077021462A KR20070105367A KR 20070105367 A KR20070105367 A KR 20070105367A KR 20077021462 A KR20077021462 A KR 20077021462A KR 20077021462 A KR20077021462 A KR 20077021462A KR 20070105367 A KR20070105367 A KR 2007010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obilizer
starting means
lever
magne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2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710B1 (ko
Inventor
호르스트 존넨도르퍼
프란츠 비이트
Original Assignee
호르스트 존넨도르퍼
프란츠 비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르스트 존넨도르퍼, 프란츠 비이트 filed Critical 호르스트 존넨도르퍼
Publication of KR2007010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2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braking or blocking when leaving a particular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4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5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offset from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60B33/006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 B60B33/006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the swivel axis being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9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uated remotely, e.g. by cable or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y using form-fit, e.g. front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remotely, e.g. by cable or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anipulator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자기 영역을 통해 이모빌라이저의 작동 및 고정을 이루어지도록 한 이모빌라이저를 개시한다.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시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수단에 작용하며 상기 시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은 교란력의 영향을 보상하여 상기 시동수단의 유효한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 및 자력에 의해 시동수단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석, 이모빌라이저, 쇼핑 트롤리

Description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BLOCKING DEVICE FOR A SHOPPING CART}
본 발명은 조종가능한 롤러가 마련된 운송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운송 트롤리는 쇼핑센터에 의해 고객들이 허용가능한 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는 운송 트롤리가 허용가능한 지역 밖에서 사용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지된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이모빌라이저는 자력에 의해 작동된다.
자기 영역(magnetic zone)은 허용가능한 지역의 경계에서 지면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자기 영역을 지나서 이동할 때, 자력에 의해 기계적 절차를 시작하여, 결국엔 이모빌라이저를 작동시키는 주 시동수단이 작동된다.
매우 정교한 동작을 갖는 주 시동수단에서는 비교적 약한 자력이 작용한다.
물론, 이 매우 정교한 주 시동 수단은 진동에 민감하다. 따라서, 불편하게도 운송 트롤리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허용가능한 지역 내에서조차 매우 정교한 주 시동수단을 무심코 동작시키고, 또한 그로부터 이모빌라이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미공개된 독일 실용신안출원 DE 202005002714호는, 매우 정교한 주 시동수단 이 예를 들어 쇼핑 트롤리가 장애물(예컨데 선반 등)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이동 충격에 별로 민감하지 않도록 하는 문제를 다룬다. 독일 실용신안출원 DE 202005002714호에서 주 시동수단은 무게 중심이 회전 축에 위치하도록 선택되어, 단순한 이동 충격에 의해 토크(torque)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미공개된 독일 실용신안출원 DE 202005002713호는 자기 영역을 지날 때 분명히 작동하지만, 이후 다시 빠르게 초기위치로 귀환하여 마지막에 이모빌라이저를 작동시키는 나머지 기계적 절차가 아직 초기화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정교한 주 시동수단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상기한 두 문제들은 장치들을 분리함으로써 해결되었으며, 그에 따라 부품도 더욱 복잡해졌다.
또한, 정상 운전 중에, 예를 들어 쇼핑 트롤리가 울퉁불퉁한 지면에서 밀릴 때 발생하는 수많은 진동의 형태는 공진의 형태로 되고, 그로부터 정교한 주 시동 수단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허용가능한 지역 밖에 놓여 있어, 이모빌라이저가 작동되어 있었던, 쇼핑 트롤리를 고객이 허용가능한 지역으로 되돌릴 때, 쇼핑 트롤리는 종종 한쪽이 들어 올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자기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감소된 크기만큼 이모빌라이저에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주 시동수단이 개개의 충격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진동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된 이모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부가적으로 나머지 기계적 절차를 확실하게 개시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자기 영역을 지나갈 때 자력이 주 시동수단에 작용하는 시간 기간(time period)과 본질적으로 무관하게, 결국 이모빌라이저를 작동시키는 주 시동수단이 마련된 이모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이모빌라이저가 작동된 상태로, 허용가능한 지역 내로 다시 이송되어진 운송 트롤리에 대해, 쇼핑 트롤리의 한쪽이 들어올려 지더라도, 이모빌라이저가 다시 확실하게 작동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더 약한 자기장이 작동에 이용되기보다는 작동 해제에 이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로서, 상기한 목적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매우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매우 민감하고 확실하게 반응하며, 이모빌라이저의 작동 해제와 관련하여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는 한층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 시동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으로 충격 및 진동에 민감하지 않은 시동수단을 구성하는 역 관성부재들을 구비한 주 시동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동수단은 자기 영역을 지날 때 자력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시간 기간과 무관하게, 정교한 작동을 이루는 반응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을 안출하기 위한 고려사항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란력(disturbance force)과 시동력이 서로 다른 물리적 효과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였다.
교란력은 시동수단의 모든 부품의 질량과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반면, 시동력은 자력을 갖는 개별의 부품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교란력은 현재 시동수단의 모든 부품에 작용하고, 대조적으로 자력은 시동수단의 오직 하나의 부품에만 작용한다.
또 다른 고려사항은, 두 몸체가 일시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호 대향하여 서로 가깝게 이동할 때와, 심지어는 상기 일시적으로 작용하는 힘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조차도, 두 몸체는 서로 맞물림(interlock) 또는 압력 맞춤(force fit)에 의해 여전히 서로 연결된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런 맞물림 또는 압력 맞춤은 기계적 수단 또는 자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작동해제의 목적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모빌라이저와 관련된 물체 부품에 관한 고려사항은, 이모빌라이저 내에 위치하는 자석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효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발견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들 고려사항들은 청구항 및 종속항들에서 구체화된 해결책에 도달하였다.
확률상 발생하는 교란력은 서로 소멸시키거나 시동수단의 어떠한 상당한 이동을 초래하지 않으며, 고의에 의해 발생된 자력은 이모빌라이저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시동수단의 부품들 상에 구체적으로 작용한다.
시동수단의 이러한 정교하게 이동된 부품들은 규정된 시간, 명확히 말하면 이모빌라이저가 자력의 영향 영역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을 때도, 바람직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남는다.
예를 들어 이것은, 자기 영역이 이모빌라이저 시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자기 영역을 다른 속도들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모빌라이저의 작동은 정교하게 발생된 자력이 작용하는 시간 기간과 대체적으로 무관하다.
이모빌라이저 내부의 기계적 절차(sequence)의 적절한 개선은 이모빌라이저가 작동되자마자 시동수단이 다시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한다.
이 초기 위치에서, 주 시동수단은 다시 한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다시 한번 이모빌라이저 내에서 기계적 절차를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고, 그리고 이것은 이모빌라이저의 작동 해제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이모빌라이저의 개선은 작동 중인 이모빌라이저가, 작동을 유도하는 동일 자력원에 의해, 다시 작동 해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자력원은 허용가능한 지역의 경계를 한정하는 자기 영역으로부터, 또는 허가된 사람(예컨데 슈퍼마켓 직원)에 의해 사용되는 자기 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허용가능한 지역의 외부에 이모빌라이저가 작동 중인 상태로 위치해 있는 쇼핑 트롤리가 자기 영역을 지나서 허용가능한 지역 안으로 다시 이동되는 순간 즉시, 그리고 아무런 문제없이 누구나에 의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허가된 사람은 비접촉식으로 작동하는 자기 수단을 사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소정의 위치에서 이모빌라이저의 작동을 해제시킬 수 있어, 매우 쉽게 쇼핑 트롤리를 되돌려 놓을 수 있다.
이모빌라이저의 작동 해제는 작동시보다 약한 자기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쇼핑 트롤리의 한쪽이 들어 올려진 경우에, 이모빌라이저가 작동된 상태로 허용가능한 지역으로 다시 이송된 운송 트롤리 상에서 이모빌라이저의 작동이 분명히 다시 해제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의 부분 측면도,
도 2는 지면에 결합된 자석을 지나 이동한 후의 시동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영구자석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플랩이 회동되면서 볼이 홈을 따라서 채널 안으로 굴러 갈 수 있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볼이 채널을 통해 굴러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볼이 드라이버에 의해 채널을 따라서 이동되어 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따른 이모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이모빌라이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와 도 10은 작동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른 이모빌라이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는 다수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도면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모빌라이저(1)의 롤러(2)는 조종 샤프트(L)(steering shaft)를 통해 쇼핑 트롤리에 연결되는데, 이는 간결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는다. 롤러(2)는 드라이버(2a)를 구비하며, 드라이버(2a)의 기능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주 시동수단(3)은 이모빌라이저의 내부에 제공되며, 자기영역의 영향을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주 시동수단(3)은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2개의 레버 암(4a,4b)이 마련된 레버(4)를 구비한다.
일측의 레버 암(4a)에는 무게추(6)가 장착되고, 타측의 레버 암(4b)은 말단부가 블록(7)(block) 형태로 이루어진다.
암(4b)에 형성된 블록(7)은 정지위치에 있는 볼(10)을 지지한다. 볼(10)의 정확한 기능은 아래의 본문에서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 하나의 레버(8)는 레버 암(4a)의 후방에 위치된다. 영구 자석(9)은 레버(8)의 말단에 위치된다. 레버(8)는 도면에 도시할 수는 없지만 회전축(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도시할 수는 없지만, 톱니 장치(12)를 통해 레버 암(4a)에 연결된다.
한편으로 무게추(6)의 질량과, 다른 한편으로 영구 자석(9)의 질량뿐만 아니 라, 레버(8)와 레버 암(4a) 사이의 톱니 장치(12)는, 회전 가속과 병진 가속의 영향에 보상효과를 나타낸다. 가속시 발생하는 회전축(5)에 대한 레버(4)의 모멘트(moments)는 샤프트(5a)에 대한 레버(8)의 모멘트에 의해 상당수는 보상되며, 따라서 시동수단(3)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무게추(6)는 영구 자석(9)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무게추(6)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9)의 이러한 인력(引力)은 영구 자석(9)이 무게추(6)를 영구 자석(9) 쪽으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에, 시동수단에 대한 교란을 감쇄시키는 또 다른 효과를 갖는다.
이 인력은 노선의 영역에서 금속 부품들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줄여준다. 영구 자석(9)에 무게추(6)가 직접적으로 근접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이들 두 부품 사이에 자력이 작용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으면, 만일 무게추(6)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구 자석(6)과 노선상에 위치된 금속 부품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의 결과로 영구 자석(6)이 이모빌라이저의 의도하지 않은 개시를 일으킬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금속 부품의 한 예로는 맨홀 덮개가 있다.
도 2는 지면에 결합된 자석(11)을 지나서 이동한 후의 시동 부재(4)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석(11)의 극성은 자석(11)과 영구 자석(9)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하도록 배열된다. 자석(11)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영구 자석(9)과 자석(11) 사이의 반발력은 상술한 무게추(6)와 영구 자석(9) 사이의 인력을 극복할 만큼 충분히 강하다.
영구 자석(9)과 자석(11) 사이의 이러한 반발력은 회전축(5a)을 중심으로 레버(8)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다소 회전시키게 된다.
레버(8)의 이러한 회전은 톱니 장치(12)를 통해서, 회전축(5)에 대한 레버(4)(레버 암(4a)(4b)을 구비하는)의 역회전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블록(7)이 회동하게 되고, 볼(10)은 구속이 해제된다.
레버(4)의 회전은 고정 부재에 레버 암(4a)이 도달되도록 하며, 이 고정부재는 회동 지점에 레버 암(4a)을 고정시켜 소정의 개시지점에 전체 시동수단을 고정시킨다.
레버 암(4a)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마찰 또는 인터로크(interlock), 예들 들어 경사면 또는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ner) 형태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6)는 자석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물질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 고정부재는 영구 자석(13)이다.
이 영구 자석(13)에 의해 무게추(6)가 끌어 당겨짐에 따라, 전체 시동수단도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결국, 볼(10)은, 상기 볼(10)이 휠(wheel; 2)과 로커(rocker; 14) 사이의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위치까지 예정된 경로를 따를 정도의 충분한 시간을 갖게 된다.
드라이버(2a)가 볼(10)과 접촉하도록 휠(2)이 충분히 회전하자마자, 휠을 회전시킨다는 의미에서, 볼(10)은 실질적으로 연결수단으로서 작용을 하고, 로커(14)를 이동시키며, 이제는 톱니 장치(16) 쪽으로 캐취(catch; 15)를 민다. 캐취(15)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하우징의 일부분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프링(14b)은 부품(part; 14a)이 로커(14)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소정 크기로 확실하게 압축응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로커(14)는 이 위치에서 고정부재(17)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고정 부재(17)는 로커(14)가 연결된 볼(10)에 의해 휠(2)의 회전방향으로 다시 한번 구동되어 졌을 때, 로커(14)를 다시 해제하는 특성이 있다.
이런 기능은 누름 버튼(pushbutton)을 재차 누르는 것에 의해 팁(tip)이 하우징으로 다시 되돌아 가는 볼펜의 동작과 같다.
캐취(catch)(15)와 톱니 장치(16)는 휠의 샤프트(L)둘레로의 조정각도가 초기에 한 방향으로만 변경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어떤 조종각도에 도달되어 지자마자, 이 조종각도는 고정된 상태로 된다.
만약 이모빌라이저가 쇼핑 트롤리의 전륜 축과 후륜 축에 각각 설치된 경우에, 조종 각도들이 고정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을 이루게 된다면, 쇼핑 트롤리는 더 이상 정상적인 직선 이동이 불가능하다.
도 3은 영구자석(1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6)는, 볼(10)이 휠(2)과 로커(14) 사이에서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정도의 시간을 볼(10)에 주도록, 영구 자 석(13)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시동수단(3)이 도 1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는 것은 이모빌라이저의 작동에도 중요하다. 따라서, 이것이 이모빌라이저의 작동과 고정을 교대로 실시하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이다.
무게추(6)는 시동수단(3)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구 자석(13)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로커(14)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무게추(6)를 압축하고, 영구 자석(13)으로부터 로커(14)를 해제시키는 레버(18)가 제공된다.
레버(18)는 샤프트(18a) 둘레로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레버(18)의 투시도는 로커(14)용 드라이버(14c)와 접촉하고 있는 슬롯 링크(18b)를 보여준다.
레버(18)가 무게추(6)를 영구자석(13)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지도록 밀어서 자력이 더 이상 무게추(6)를 유지할 정도가 되지 않도록 로커(14)를 이동하여 레버(18)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시동수단(3)과 이에 연결된 모든 부품들은, 그것들이 지면에 배치된 자석을 지나가기 전에 놓여있었던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도 2 참조).
도 4는 일단 플랩(7)이 회동되어지면 볼(10)이 홈(19)을 따라서 채널(20) 안으로 굴러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볼(10)이 채널(20)을 통해 굴러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볼(10)은, 볼(10)이 롤러(2)의 드라이버(2a)와 로커(14) 사이의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다.
도 6은 볼(10)이 드라이버(2a)에 의해 채널(21)을 따라서 이동되어 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드라이버(2a)는 간결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채널(21)의 깊이는 롤러(2)의 드라이버(2a)가 고정되도록 볼(10)이 채널(21) 밖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널은 휠(2)의 회전 포인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드라이버(2a)는 볼(10)이 채널(21)에 위치될 때만 볼(10)과 접촉되며, 만약 그렇치 않다면, 휠(2)이 회전하는 동안, 드라이버(2a)는 이모빌라이저의 다른 어떤 부품들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볼(10)은 로커(14)의 에지(adge; 14d)를 타격하여 이동된 휠(2)로부터 발생하는 힘을 로커(14)에 전달한다.
이것은 대단히 큰 힘이 로커(14)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로커(14)의 이동은 또한 레버(18)의 이동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레버(18)는 영구 자석(13)으로부터 자기 몸체(6)를 해제(고정 해제)한다. 그리고 나서 시동수단(3)은 초기 위치를 취할 수 있는데, 이 초기위치에서 특히 블록(7)은 볼(10)이 홈(19)을 따라 채널(20) 안으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볼(10)은 볼(10)이 구경(aperture)(22)에 도달할 때까지, 휠(2)의 드라이브(2a)에 의해 채널(21)에서 더욱더 멀리 이동되어, 이 구경(22)을 통해 다시 채널(21)을 이탈할 수 있다.
볼(10)은 블록(7)과 동일한 방식으로 초기 위치에 놓이게 된다.
시동수단(3)이 다시 작동될 때, 로커(14)가 이동함으로써 로커(14)가 다시 작동 해제하는 위치를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17)가 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절차가 다시 시작된다.
또한, 캐취(15)는 이제는 더 이상 톱니 장치(17)에 맞물리지 않는다. 휠은 다시 한번 샤프트(L) 둘레로 자유롭게 조종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이모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캐취(15)와 톱니 장치(16)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모빌라이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모빌라이저는 비작동 상태에 있으며, 자석(22)의 자기 영향권에 들어간다. 말단에 자석(14c)이 부착된 레버(14b)는 로커(14)에 위치된다.
자석(22)은 도 2에서 알려진 자석(11)보다 더 약한 자기 영역을 갖는다. 약한 자석(22)의 힘은 영구 자석(9)에 작은 영향만을 나타냄으로 결과적으로, 레버(4)(5) 및 블록(7)의 미세한 휨은 볼(10)을 방출하지 않는다.
자석(14c)은 자석(9)으로부터 상당히 멀리 이동되어져서 레버들(4 및 8)의 더욱 강한 회전운동을 초래하는 어떠한 힘(forces)도 생기지 않는다.
이모빌라이저가 자석(22)을 지나갈 때, 이모빌라이저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도 9와 도 10은 작동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른 이모빌라이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작동된 상태에 있을 때, 자석(14c)은 이모빌라이저 내의 다른 위치에 놓여진다.
비록 자석(14c)이 자석(9)에 상당히 근접하여 자석(9)이 더 이동되어, 도 10에 보여진 최종위치에 놓여지게 됨에도 불구하고 자석(22)는 다시 한번 레버들(4 및 8)(도 9참조)의 약간의 빗나감만을 발생시킨다.
이는 레버들(4 및 8)이 상당히 휘여지게 되어 블록(7)이 볼(10)을 방출하게 한다(도 10 참조).
비작동시에 상당히 약한 자기장에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의 특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지역 내에 약한 세기의 자기 영역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자기 영역들은 아직도 작동된 상태에 있는 이모빌라이저가 이 자기 영역들을 지날 때, 이 이모빌라이저를 작동 해제시킨다.
이와 같은 약한 세기의 자기 영역은, 예를 들어, 쇼핑 트롤리용 집합소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이는집합소로부터 끌어 내어진 모든 쇼핑 트롤리가 이 자기 영역을 지나고, 그에 따라 아직 작동된 상태에 있는 어떤 이모빌라이저도 비작동 상태로 확실히 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약한 자기 영역이, 허용가능한 영역 내에 있지만 비허용가능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강한 자기장을 가진 영역에 아주 근접하여 있을 때, 이 약한 자기 영역은 비허용가능 영역으로부터 허용가능 영역으로 다시 운반되어지고 있는 이들 운송 트롤리의 이모빌라이저를 보다 신뢰할 수 있게 작동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작동상태에 있는 모든 이모빌라이저는 강한 자기 영역에 의해 작동 해제된다. 그러나, 이모빌라이저들 중의 하나가 강한 자기장을 통과한 후에도 어떤 이유에서 인지 아직 작동 해제가 되지 않았다면, 그때는 이 이모빌라이저는 약한 자기 영역을 통과하자마자 작동해제된다.
작동상태의 이모빌라이저가 상당히 약한 자기장에 의해 작동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모빌라이저는 또한, 한쪽이 들려져서 외부로부터 다시 운반되어 온 쇼핑 트롤리가 허용가능 영역의 경계와 강한 자기장을 갖는 영역을 통과할 때, 종종 작동 해제된다.
본 발명은 쇼핑 트롤리나 다른 운송 트롤리가 허용가능한 지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 어느 곳이라도 산업상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시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수단에 작용하며, 상기 시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은,
    교란력의 영향을 보상하여 상기 시동수단의 유효한 작동을 방지하는 수단(4a, 4b, 6, 8, 9), 및
    자력에 의해 시동수단(3)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8, 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은,
    일 축(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레버(4)와, 둘 중 어느 하나에 무게추(6)가 구비되는 2개의 레버 암(4a, 4b) 및,
    타 축(5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단일 암 레버(8)에 부착된 영구 자석(9)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4)와 상기 단일 암 레버(8)에 작용된 힘이 서로를 보상하여 상기 시동수단(3)의 어떤 유효한 작동도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레버(4)와 단일 암 레버(8)가 서로 작동 연결되며,
    상기 영구 자석(9)이 결합된 상기 단일 암 레버(8)에 작용하는 힘은 시동수 단(3)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은,
    자석에 반응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및
    영구 자석(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은 초기 위치로 상기 시동수단(3)을 이동시키는 힘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은, 힘 조절(force fitting) 또는 잠금식(interlock) 고정부재(13)가 레버 암(4a)을 고정함에 따라, 초기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이모빌라이저(1)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몸체(6)를 고정하는 추가의 영구 자석(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모빌라이저(1)의 추가 구성요소들이 특정한 상태를 취했을 때, 시동수단(3)의 고정 상태를 종결시키는 수단(14c,1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수단(3)의 고정 상태는 확실하게 제어된 메카니즘(14c,18)에 의해 종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1)는 자력에 의해 작동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1)는, 상기 이모빌라이저(1)를 작동시킬 수 있는 힘과 상응하는 자력에 의해서 작동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1)는, 상기 이모빌라이저(1)를 작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자력보다 약한 자력에 의해서 작동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1)는 자석(14d)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14d)이, 상기 이모빌라이저(1)가 작동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시동수단(3)이 시동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14d)의 자기장이 상기 영구 자석(9) 상에 작용하고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자기장을 보조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KR20077021462A 2005-02-18 2006-02-18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 KR100928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02713 2005-02-18
DE202005002714.6 2005-02-18
DE202005002714 2005-02-18
DE202005002710 2005-02-18
DE202005002711 2005-02-18
DE202005002713.8 2005-02-18
DE202005002710.3 2005-02-18
DE202005002711.1 2005-02-18
DE202005015212 2005-09-26
DE202005015212.9 2005-09-26
DE200520015689 DE202005015689U1 (de) 2005-02-18 2005-10-05 Wegfahrsperre für Einkaufswagen
DE202005015689.2 2005-10-05
PCT/DE2006/000306 WO2006086977A2 (de) 2005-02-18 2006-02-18 Wegfahrsperre für einkaufsw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367A true KR20070105367A (ko) 2007-10-30
KR100928710B1 KR100928710B1 (ko) 2009-11-27

Family

ID=36699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1462A KR100928710B1 (ko) 2005-02-18 2006-02-18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
KR20077020653A KR100913404B1 (ko) 2005-02-18 2007-09-10 운송 트롤리용 이모빌라이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0653A KR100913404B1 (ko) 2005-02-18 2007-09-10 운송 트롤리용 이모빌라이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016444B2 (ko)
EP (2) EP1848622B1 (ko)
KR (2) KR100928710B1 (ko)
AT (1) ATE517014T1 (ko)
BR (2) BRPI0608187B1 (ko)
CA (2) CA2597233C (ko)
DE (3) DE202005015689U1 (ko)
DK (1) DK1848623T3 (ko)
ES (1) ES2629701T3 (ko)
HK (1) HK1131947A1 (ko)
MX (2) MX2007009882A (ko)
PL (2) PL1848622T3 (ko)
WO (2) WO20060869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3000C (en) 2006-05-23 2013-08-13 Horst Sonnendorfer Immobilizer for shopping carts
DE202006016479U1 (de) * 2006-05-23 2007-10-04 Sonnendorfer, Horst Wegfahrsperre für Einkaufswagen
DE202008005185U1 (de) 2008-04-14 2009-08-27 Sonnendorfer, Horst Transportwagen mit Wegfahrsperre
CN101758844B (zh) * 2010-03-09 2013-09-18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新型手推车
US9333823B2 (en) 2013-12-23 2016-05-10 Hossein Shahroodi Gravitationally aligning whee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4140A (en) * 1959-09-14 1960-12-13 Gilbert Florence Anti-theft device for carts
US3031037A (en) * 1960-09-12 1962-04-24 Stollman Irving Caster structure
US3117655A (en) * 1961-02-13 1964-01-14 Faultless Caster Corp Magnetic lock for a caster assembly
US3495688A (en) * 1968-10-16 1970-02-17 Elmer H Isaacks Shopping cart wheel lock
US4591175A (en) * 1982-10-18 1986-05-27 Kart Guard Internationale, Inc. Shopping cart anti-theft apparatus
US4577880A (en) * 1984-01-06 1986-03-25 Bianco Eric L Theft prevention apparatus for shopping carts
GB9104555D0 (en) * 1991-03-05 1991-04-17 Gray Andrew P 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devices
ATE125502T1 (de) * 1991-09-13 1995-08-15 Mubir Ag Masch & App Blockiervorrichtung an rollen für von hand bewegte transportwagen mit einem die fahrbahn nur bei bedarf berührenden tastfühler.
GB9607138D0 (en) * 1996-04-04 1996-06-12 Gray Andrew P 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devices
US6125972A (en) * 1997-04-17 2000-10-03 Carttronics Ll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for shopping carts and the like
GB0201244D0 (en) * 2002-01-19 2002-03-06 Clm Group Systems & Services L Locking device for a wheel of a moveable tro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8623B1 (de) 2011-07-20
CA2597233A1 (en) 2006-08-24
MX2007009879A (es) 2008-02-25
BRPI0608187B1 (pt) 2016-12-13
BRPI0608188B1 (pt) 2016-11-22
WO2006086977A3 (de) 2008-02-14
US8029005B2 (en) 2011-10-04
BRPI0608188B8 (pt) 2016-12-20
BRPI0608188A2 (pt) 2009-11-17
WO2006086975A2 (de) 2006-08-24
ATE517014T1 (de) 2011-08-15
MX2007009882A (es) 2008-02-25
KR20070102616A (ko) 2007-10-18
WO2006086975A3 (de) 2008-02-14
CA2597238A1 (en) 2006-08-24
EP1848622B1 (de) 2017-04-05
DE112006000982A5 (de) 2008-01-24
DE112006000961A5 (de) 2008-01-24
BRPI0608187A2 (pt) 2009-11-17
PL1848622T3 (pl) 2018-01-31
EP1848622A2 (de) 2007-10-31
KR100928710B1 (ko) 2009-11-27
DK1848623T3 (da) 2011-09-26
KR100913404B1 (ko) 2009-08-21
PL1848623T3 (pl) 2011-12-30
ES2629701T3 (es) 2017-08-14
HK1131947A1 (en) 2010-02-12
CA2597238C (en) 2011-05-24
DE202005015689U1 (de) 2007-02-15
EP1848623A2 (de) 2007-10-31
DE112006000961B4 (de) 2018-02-01
US20090121445A1 (en) 2009-05-14
US20080143498A1 (en) 2008-06-19
CA2597233C (en) 2014-02-11
WO2006086977A2 (de) 2006-08-24
US9016444B2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710B1 (ko) 쇼핑 카트용 잠금 장치
ITTO20000085A1 (it) Dispositivo di ritrazione della cintura di sicurezza di un veicolo.
US4103563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orienting a bicycle pedal
KR20210010642A (ko) 래칭 장치
JP2013539828A (ja) 慣性質量体および機械的ヒューズを備える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
CN107787389A (zh) 车门止动器和用于闭锁车门止动器的方法
US8800819B2 (en) Discharging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FR2538262A1 (fr) Voiture-jouet radioguidee
KR101398316B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손잡이
EP3044042B1 (en) Retractor with gimbaled vehicle sensor
JPS58169471A (ja) 短時間でロツク及びロツク解除でき、操作音の小さい安全ベルト用ワインダ
CN101500877B (zh) 用于购物推车的止动器
JP6215169B2 (ja) 引戸用の制動装置
EP1182310A2 (en) A handle arrangement
KR100461173B1 (ko) 차량 충돌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핸들 조립체
JPH11193113A (ja) 移動棚の安全装置
JPH05168662A (ja) 電動歩行機
JP5365892B2 (ja) 減速装置
JPH01125480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H08113451A (ja) エレベータ戸用引込まれ防止装置
CN201391559Y (zh) 多功能离合器
JPH10305706A (ja) キャスター収納装置
JPH0287656U (ko)
JPS62203853A (ja) ステアリングロツク
GB2262326A (en) Safety hand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