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898A -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898A
KR20070104898A KR1020077017720A KR20077017720A KR20070104898A KR 20070104898 A KR20070104898 A KR 20070104898A KR 1020077017720 A KR1020077017720 A KR 1020077017720A KR 20077017720 A KR20077017720 A KR 20077017720A KR 20070104898 A KR20070104898 A KR 2007010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object
fluororesin
polyimide
layer
polyimide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치사카 아오야마
타카노부 산다이지
카에 후지와라
켄지 히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에스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에스 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에스 티
Publication of KR2007010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03G15/2057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relat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eat element and lay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9Pressure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8Surface lay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이미드와 불소수지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성형되어 가열 경화된 관상 물체(31)로서, 상기 관상 물체(31)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 수지 입자는, 상기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 유동하여 석출되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하고 있다. 이 관상 물체(31)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불소 수지 입자를 첨가한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고, 가열하여 이미드화하고, 상기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하며, 냉각 후, 상기 금형과 관상 물체를 분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상 물체의 특히 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를 낮추고, 내구성이 높고, 제조 비용이 낮은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관상 물체, 화상 성형 장치, 폴리이미드

Description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TUBING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성형 장치에 있어서, 미정착의 토너상을 열 정착하기 위한 내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관상 물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상 물체의 내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를 낮추고, 내구성이 높은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내열성, 치수 안정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 뛰어 난 특성을 가져 전자·전기 기기나 절연 재료, 혹은 항공 우주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용도의 일례로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대전, 감광, 중간 전사 및 정착 등의 전자 사진 프로세스 중에서도 많은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부재로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복사기·레이저 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인쇄나 복사의 최종 단계에서는 종이를 비롯한 시트상 전사재 상의 토너상을, 가열 용융하여 전사재 상에 정착시키고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를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벨트로서 사용하는 일례를 들면, 특허문헌 1∼3 등에서 제안되어 있는 벨트 정착 방식이 있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복사지 상에 형성한 토너상을, 열 정착하기 위한 정착 벨트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용도에서는 정착 벨트(31)(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의 안쪽에 벨트 가이드(32)와 세라믹 히터(33)를 구비하고, 히터와 압접한 구동원을 가지는 가압 롤(34)과의 사이에 토너상을 형성한 복사지(37)를 순차 이송하면서 토너(38)를 가열 용융시켜 복사지 상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벨트 정착 방식에서는 매우 얇은 필름 상의 피막을 갖는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정착 벨트)를 통해, 히터가 실질적으로 직접 토너를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부가 순식간에 소정의 정착온도에 도달해 전원의 투입으로부터 정착 가능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없고, 또한 소비 전력도 작고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정착기의 가압 벨트로서 사용하는 일례가 특허문헌 4에 제안되어 있다. 이 정착 장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원(55)을 갖는 구동원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정착 롤(54)과, 이 롤에 압접한 가압 벨트(51)(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와, 이 가압 벨트의 안쪽에 배치된 압압 패드(53), 압압 가이드(52)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정착 롤의 표면에 가압 벨트을 압압하고, 정착 롤의 구동력에 의해 가압 벨트을 회전시켜, 이 끼움 접합부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 복사지(57)를 순차 이송하고 토너상(56)을 정착롤 표면에서 열 정착하는 방법이다. 이들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는, 일반적으로 극성 중합 용매 속에서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디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관상 물체를 성형하고, 이를 이미드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관상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허문헌 5∼6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성형 금형의 외면이나 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성형한 후, 가열 혹은 화학적으로 이미드화를 완결시켜,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관상 물체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정착 벨트 혹은 가압 벨트는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외면(토너와 접하는 면)에 불소 수지 등의 이형층이 형성된 2층 구조, 혹은 상기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와 불소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갖는 3층 구조의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OA 기기는 소형화, 고속화의 요구가 높고,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착 벨트 혹은 가압 벨트에서는 벨트 외면의 이형성과 함께, 내면의 운동 마찰 계수가 낮은 것, 혹은 높은 열전도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즉, 상기 도 6의 정착 벨트 혹은 도 7의 가압 벨트는, 각각 구동원을 가지는 가압 롤 혹은 정착 롤에 의해서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로 구동원을 가지는 롤과 벨트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구동 롤의 회전력은 그대로 벨트에 전해져, 비교적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러나, 구동 롤과 벨트의 사이에 복사지가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토너의 정착이 행해질 때는, 벨트로의 회전력은 구동 롤로부터 전사지를 통해 벨트로 전달되므로, 전사지와 벨트의 표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정착 혹은 가압 벨트의 최외층은 용융된 토너의 부착(오프셋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불소수지 등의 이형층이 적층되고 운동 마찰 계수도 낮아 잘 미끄 러지고, 또한 복사기나 프린터가 고속화될수록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와 같이 정착면(닙부)에서 슬립이 발생하면, 복사지와 벨트 표면의 미소한 슬립의 반복에 의해, 벨트 표면의 이형층이 복사지로 마모되게 되어 보풀이 일어 이형층 표면이 거칠게 되어, 오프셋의 원인이 된다.
또한, 폴리이미드 수지나 그 외면에 적층되어 있는 불소 수지는 원래 열 전도성이 낮고, 또한 다층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고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열 전도성이 부족한 것도 문제가 된다.
이들 요구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7∼9 등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7은,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안쪽 표면을 거친면화하여 윤활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특허문헌 8은, 폴리이미드 전구체에 열 전도성 무기질 충전제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분말을 첨가하고, 250℃에서 가열하고, 그 후 외표면에 불소 수지를 코팅하여 피막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9는, 폴리이미드 전구체에 불소 수지 분말을 첨가한 것을, 원통 금형의 내주면에 도포하여 납작하게 하고, 가열하여 경화 반응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안의 특허문헌 7∼9는 모두 관상 물체 내면의 마찰 저항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표층의 종이와 접촉하는 면은 종래부터의 불소 수지층의 이형층을 그대로 채용하거나, 또는 개량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와 불소 수지 이형층을 갖는 2층 구조 혹은 폴리이미드층과 불소수지 층간에 프라이머층을 갖는 3층 구조로 특히 도 6의 정착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층 구조이므로 두께가 두꺼워 열 전도성이 저하하고, 또한, 그 제조 방법도 3종 류의 원료와, 3개의 각각 다른 공정이 필요해져 제조 공정이 번잡하고, 또한, 각 재료로 형성된 층간의 접착력에도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7-17874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3-2547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6-25896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1-13377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6-23770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156017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공개 2001-34114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공개 2001-040102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허공개 2001-05661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를 해결하고, 관상 물체의 내면이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지는 동시에 관상 물체 외면도 정착 벨트나 가압 벨트로서의 충분한 이형성을 가지고 내구성이 높고, 제조 비용이 낮은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상 물체는, 폴리이미드와 불소수지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성형되어 가열 경화된 관상 물체로서, 상기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 수지 입자는, 상기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 유동하여 석출하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과 용융 유동하는 불소수지입자와의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고, 가열하여 이미드화하고, 상기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하여, 냉각 후, 상기 금형과 관상 물체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수지입자를 상기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 유동하여 석출시키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미드화 완결 전의 관상 물체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미드화 완결 후의 관상 물체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FEP 첨가의 경우의 피막 형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FEP와 PTFE 혼합 첨가의 경우의 비교 형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캐스트 성형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스트 성형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외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내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외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용한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본 발명의 관상 물체의 기본적 성분은, 폴리이미드와 불소수지입자이다. 폴리이미드와 불소수지입자의 상용성(相溶性)이 없어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되고, 또한 상기 용융 석출면은 그 표면에 유동된 피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금형 외면에 캐스트 성형된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가열하여 이미드화시킬 때에,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한다. 이에 따라, 불소 수지 입자가 폴리이미드의 적어도 외 면에 용융 석출되고, 이에 따라 저마찰 계수를 갖는 내면과 높은 이형성을 갖는 외면 특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 피막면은, 불소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입자상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불소 수지 입자가 일부 잔존하고, 표면이 미세한 거품의 상태로서 관찰된다.
상기 불소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PETF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 물체의 표면에 석출된 불소 수지를 열적으로 유동시키고,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PFA나 FEP와 같은 열 가소성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불소 수지는, 융점 이상의 온도로 유동하고, 관상 물체의 내외면에 필름상의 피막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TFE 수지와 같이,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도 용융 점도가 높아 열유동하기 어려운 불소 수지를 혼합한 경우, 관상 물체의 내외 표면의 상태는, 폴리이미드가 바다 형상, 불소 수지 입자가 섬 형상으로 존재하는, 소위 바다 섬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중간 전사 벨트 등의 용도에 최적의 구조이다. 즉, 상기 전사 벨트는, 감광체로부터 토너상을 중간적으로 전사시켜, 그 후 토너상을 복사지에 재전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이고, 복사지에 재전사한 후 전사 벨트 표면에 미세하게 잔존하는 토너 분말을 블레이드로 긁어 제거하는 경우에, 블레이드와의 슬라이드 저항이 낮아 바람직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는, 열 경화성 수지이고,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과 불소 수지의 혼합 용액을, 예를 들면 금형의 외면 혹은 내면에 캐스팅 성형하고, 건조 및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결시켜, 관상 물체의 적어도 외면 또는 내외면에 불소 수지가 석출된 폴리이미드 불소 수지 복합 관상 물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관상 물체는, 그 피막이 공기에 접하는 면에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되기 쉽다. 즉, 불소 수지 분말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속에서는 혼합되어 분산된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가열 처리에 의해, 이미드화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까지 가열 처리함으로써, 용융된 불소 수지가 관상 물체의 두께 방향에서, 공기에 접하는 최외층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불소 수지가 상기 관상 물체 속에서 이동하는 현상의 상세한 메카니즘은 불명확하지만, 본 발명자 등은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계속한 결과, 상기의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과 불소 수지의 혼합 용액을 유리판 상에 흐르게 하고, 캐스팅 성형하여, 건조 및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결시키고, 폴리이미드 불소 수지 복합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유리면에 접촉하는 면에도,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관상 물체에 있어서 확인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 공기층에 전혀 접하지 않는 관상 물체의 내면에도, 불소 수지를 석 출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관상 물체의 양면에 불소 수지가 석출되는 현상은, 불소 수지의 종류의 차이나 이미드화 공정의 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다른 것을 찾아냈다.
즉, 불소 수지가 석출되는 현상은, 불소 수지의 융점과 폴리이미드 전구체의 이미드화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상세한 실험 결과에서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로서 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BPDA)과, 방향족 디아민으로서 파라페닐렌 디아민(PPD)을 이용한 강직 폴리이미드에, 불소 수지를 혼합한 경우,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가 불소 수지의 융점 미만에서는, 불소 수지는 관상 물체의 어느쪽 면에도 현저히 나타나지 않지만, 불소 수지의 융점 이상까지 온도를 올리면, 관상 물체의 내면, 외면의 양면에 불소 수지가 용융되어 석출되고, 낮은 마찰 저항을 갖는 관상 물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단체를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폴리이미드의 열수축률이 큰 것이 불소 수지를 용융 석출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을 찾아냈다. 즉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유리판 상에 캐스팅 성형하여 건조 후, 단계적으로 300℃까지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진행시킨 후, 냉각 후 폴리이미드 필름을 유리판에서 벗겨, 300℃에서 불소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면 400℃까지 가열했을 시의 열수축률이 큰 폴리이미드에 있어서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되기 쉽다.
상기 테스트 결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성분으로서 BPDA와 방향족 디아민 성분으로서 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로부터 제작한 필름의 열수축률은 0.9%이고, PMDA와 ODA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전구체에서 얻어진 필름의 열수축률은 0.09%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수축률의 값과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되는 현상의 관계는, 300℃∼40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클수록 폴리이미드 피막 중에서 불소 수지가 석출되기 쉬운 현상을 찾아냈다.
상기 열 수축률의 상세한 테스트 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열수축률의 측정은 시마즈제작소사 제 “TMA-50”를 이용했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상기 모노머로부터 얻어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유리판 상에 이미드화 완결 시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흐르게 하여 150℃의 온도로 40분 건조후 200℃에서 40분, 다시 250℃에서 20분, 300℃에서 20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을 길이 10㎜ 폭 3.5㎜의 직사각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한 쪽에 2.0g의 하중을 걸어 “TMA-50”에 장착하였다. 열수축의 상태는 실온으로부터 40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관찰하여 300℃에서 400℃에 있어서의 열 수축율을 산출했다.
또한, PTFE(융점 : 327℃)보다도 융점이 낮은 FEP(융점: 250℃)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 실험한 결과에서는,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가 300℃의 온도에서, 관상 물체의 내외면에 불소 수지(FEP)가 석출되고, 또한 그 표면은 열 유동하여 피막의 상태를 형성하고, 낮은 마찰 저항을 갖는 관상 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 물체의 내외면에 불소 수지가 석출되는 현상은, 불소 수지의 융점, 폴리이미드 전구체의 이미드화 온도 등을 선정하고, 소정의 조 건으로 설정함으로써, 관상 물체의 양면에 불소 수지를 석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관상 물체는, 단체층이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다층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층의 경우, 내층은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외층보다도 그 존재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폴리이미드층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관상 물체의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나 불소 수지의 종류나 혹은 불소 수지의 혼합량을 바꾼 층으로 다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불소 수지를 혼합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이용해 금형으로 캐스트 성형한 후, 이미드 반응 시의 온도를 제어하고, 관상 물체의 외면에만 불소 수지를 용융 석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 전사 벨트 등의 용도와 같이, 외층의 표면만 마찰 특성을 양호하게 하면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는 질화붕소, 티탄산칼륨, 운모, 산화티탄, 활석, 탄산칼슘, 질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화규소, 규소, 질화규소, 실리카, 그라파이트, 카본 화이버, 금속분말, 산화베릴륨,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열전도성 필러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열 전도성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관상 물체 피막의 열전도성이 개선되어 고속 정착에 대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는 PTFE, PFA, FEP, CPTFE 등의 불소 수지를 단체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TFE, PFA, FEP는 내열성, 이형성이 뛰어나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를 혼합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에는 카본 블랙, 카본 화이버, 금속분말 등의 도전성 물질이나 대전 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도전성 혹은 대전 방지제를 혼합 분산한 불소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프로세스 중에서 발생하는 정전 오프셋 등에 의한 화질의 저하 혹은 화상 상 고스트(ghost)로 되는 상태를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의 혼합량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고형분에 대해 10∼90질량%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80질량%이다.
상기 불소 수지의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용융 석출되는 불소 수지가 적어 마찰 저항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적어지는 경향으로 되고, 또한 90질량%를 넘으면, 기계 강도가 낮아져, 관상 물체 표면의 평활성도 손상되어 깨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된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는 분말상이 혼합되기 쉬워 바람직한 형태이고, 평균 입경은 0.1∼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평균 입자 직경은, 0.5∼50㎛의 범위이다. 이러한 범위내이면 입자의 응집이 적어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이 O.1㎛ 미만이면 입자가 2차 응집하기 쉽고, 1OO㎛를 넘으면 관상 물체의 내면 혹은 외면에, 불소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요철이 생기기쉬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 분말의 평균 입경의 측정 방법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측정 장치(ASLD-2100:시마즈제작소사 제)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LA-920:호리바제작소사 제)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 입자의 크기를 맞추기 위해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과 불소 수지 입자의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기 전에, 상기 혼합 용액을 필터로 여과하고, 불소 수지 입자의 거칠고 큰 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관상 물체는, 폴리이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관상 물체이고, 불소 수지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여 심레스(seamless)상으로 캐스팅 성형 후, 가열 이미드화한 것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은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의 대략 같은 몰을 유기 극성 용매 속에서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의 대표예로는,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술폰 2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의 대표예로는,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1,5-디아미노나프탈렌, 3,3’-디클로로벤지딘, 3,3’-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디메틸-4,4’-비페닐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벤지딘, 3,3’-디메틸벤지딘, 4,4’-디아미노페닐술폰, 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m-크실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디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렌, 3-메틸헵타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및 방향족 디아민은,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까지 완성시켜 이들 전구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족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디아민의 조합 중에서는, 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파라페닐렌디아민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 전구체로부터 얻어진 폴리이미드는, 폴리머의 구조가 단단하고, 불소 수지의 용융 온도로 불소 수지를 외측으로 압출하기 쉬운 구조로 된다.
상기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을 반응시키는 유기극성 용매로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 N-디에틸포름아미드, N, N-디에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르트리아미드, 피리딘, 디메틸테트라메틸렌술폰, 테트라메틸렌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극성 용매는 페놀, 크실렌, 헥산, 톨루엔 등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은, 상기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을 유기 극성 용매 속에서 통상은 90℃ 이하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용매 중의 고형분 농도는, 최종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사양이나 가공 조건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는데 10∼30질량%이다.
또한, 유기 극성 용매 속에서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방향족 디아 민을 반응시키면, 그 중합 상황에 따라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는데, 사용에 있어서는 소정의 점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조 조건이나 작업 조건에 의해서 통상 1∼5000포이즈의 점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관상 물체의 적어도 외면에 불소 수지층을 석출시킬 수 있는 온도는,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는, 혼합한 불소 수지의 융점보다 1O℃ 이상 높은 온도로 이미드화를 완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상 물체의 내외면에 불소 수지를 석출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가열 시간은,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가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에 도달하고 나서 30분 이내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30분 이상의 가열 시간이 되면, 불소 수지의 열분해나, 폴리이미드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관상 물체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소정의 외경(관상 물체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의 금형 표면에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도포하고, 외측에 다이스를 이용해 캐스트 성형하고, 가열 장치로 인도해, 100∼150℃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중합 용매를 건조시키고, 그 후, 이미드화 반응을 진행시켜, 최종적으로는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소정 시간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성시킨다. 그 후 냉각하여, 상기 금형으로부터 관상 물체를 떼어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불소 수지(PTFE) 분말을 혼합하고, 캐스트 성형하여, 폴리이미드의 이미드화 온도가 300℃ 일 때의 관상 물체(10)의 개략 확대 단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단계까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층(11)의 내부에 불소 수지 분말(12)이 분산되어 있고, 표층면은 거의 폴리이미드층으로 덮여 있다. 이 단계에서는 물의 접촉각도 낮다. 15는 금형이다.
다음에, 이미드화 온도를 400℃로 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 분말은 용융하여, 폴리이미드 표면으로부터 스며나오도록 공기측 표면층에 석출된다. 13은 용융하여 스며나오는 불소 수지이다. 14는 금형측의 내표면측에 용융하여 석출한 불소 수지이다. 이 상태가 되면 물의 접촉각은 높아진다. 불소 수지는 폴리이미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비상용으로 바다 섬 구조(바다가 폴리이미드, 섬이 불소수지)이고, 또한 용융된 불소 수지는 폴리이미드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석출된다.
도 3은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FEP(융점 260℃) 입자만을 단독으로 혼합하여, 캐스트 성형하고, 폴리이미드의 이미드화 온도를 400℃로 하였을 때의 관상 물체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층(21)의 내부에 FEP 분말(22)은 분산되어 있고, 외표층면에 FEP가 용융 유동하여 석출되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23)을 형성하고 있다. 30은 내표면에 용융 석출된 FEP 수지이다. 28은 금형이다.
도 4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PTFE(융점 327℃) 입자와 FEP(융점 260℃) 입자를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캐스트 성형하여, 폴리이미드의 이미드화 온도를 400℃로 했을 때의 관상 물체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층(21)의 내부에 FEP 분말(22)과 PTFE 분말(24)이 분산되어 있고, 표층면에 FEP와 PTFE가 용융 유동하여 석출되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23, 25)을 형성하고 있다. 28은 금형이다.
본 발명은,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 수지 입자는,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하여 석출되고, 이 용융 석출된 불소 수지는 폴리이미드와 일체화하고, 또한 상기 관상 물체 표면에서 유동된 피막을 형성하므로, 관상 물체 내면의 운동 마찰 계수가 낮고, 또한 관상 물체의 외면도 불소 수지 피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된 토너의 이형성도 높고, 종래의 정착 벨트와 같이 불소 수지 이형층을 별도 공정에서 새롭게 성형할 필요도 없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부재나 전사 벨트, 혹은 중간 전사 겸 가열 정착 벨트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불소 수지 입자를 첨가한 혼합 용액을 성형 금형 외면 또는 내면에 도포하고,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여, 가열하여 이미드화하고, 상기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함으로써,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 불소 수지 입자를 관상 물체의 적어도 외면에 용융하여 석출시킬 수 있다. 폴리이미드 기재의 한쪽면 혹은 양면에 불소 수지가 용융 석출된 구조의 성형물은 필름상에서는 내열 슬라이드 재료나 이형성 필름, 혹은 튜브 형상으로는 불소 수지의 화학적인 안정성 및 폴리이미드의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고 있어 의료용 분야의 카테터(catheter)나 체내에 삽입하는 의료용 각종 튜브 등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은 「BPDA」로 약기하고, 파라페닐렌 디아민은 「PPD」로 약기하고,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은「PMDA」로 약기하고,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는 「ODA」로 N-메틸-2-피롤리돈은「NMP」로 약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관상 물체의 운동 마찰 계수 및 이들 재료로 얻은 필름의 순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도 12에 도시한다)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은 JISK7125에 준하여 행했다. 수평 테이블(64) 상에 폭 80㎜ 길이 200㎜의 크기의 시험 필름(62)을 고정했다. 그 위에 폭 63㎜, 길이 63㎜(면적 4O㎠)의 크기로 고정한 시험 필름(62)과 동 재질의 시험 필름(61)을 포개고, 또한 그 위에 폭 63㎜, 길이 63㎜(면적 40㎠), 무게 200g의 추(63)를 놓고, 포갠 시험 필름을 1OO㎜/분의 속도로 수평으로 미끄러지게 해, 그 하중(운동 마찰력)을 측정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 운동 마찰 계수를 계산했다. 65는 와이어, 66은 풀리, 67은 인장 시험기의 로드 셀로 Z의 방향으로 감아 올린다.
운동 마찰 계수μD= FD/FP
FD: 운동 마찰력(N)
FP:미끄럼 편의 질량에 의해서 생기는 법선력(= 1.96N)
(2) 접촉각의 측정
쿄와계면화학(協和界面化學)(주) 제 “FACE CA-Z” 측정기를 이용해, 23℃의 순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했다.
(실시예 1)
(1)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작
BPDA l00질량부에 대해 PPD 39질량부를 플라스크 속에서 NMP에 용해(모노머 농도 18.2질량%)하여, 23℃의 온도로 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회전 점도는 1200포이즈였다. 또한, 회전 점도는 온도 23℃에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다. 다음에,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평균 입자 직경 3.0㎛의 PTFE 분말(융점 327℃:듀퐁사 제 상품명“Zonyl MP1100”)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20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고, 또한 평균 입자 직경 35㎛의 FEP 분말(융점 260℃:듀퐁사 제 상품명“532-8110”)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4.0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후 250메시의 스테인레스 철망을 이용해 거친 이물을 여과하고, 불소 수지 분말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2) 관상 물체의 제작
외경이 24㎜, 길이 500㎜의 알루미늄제 금형의 표면에 산화규소 코팅제를 디핑법에 의해 코팅하여 소성하고, 산화규소막을 피복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불소수지 분말 혼합 폴리이미드 전 구체 용액(4)에 금형(1)을 선단으로부터 400㎜ 부분까지 침지하여, 도포한 후, 내경 25㎜의 링 형상 다이스(2)를 상기 금형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주행시키고, 상기 금형의 표면에 500㎛의 두께의 캐스트막(3)을 성형했다.
그 후, 상기 금형(1)마다 120℃의 오븐에 넣어 60분간 건조후, 200℃의 온도까지 40분간 승온시키고, 동 온도로 20분간 유지하여, 최종 이미드화 처리로서 250℃의 온도로 10분간 가열한 후, 400℃의 온도까지 15분 승온시키고, 동 온도로 10분간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료시켜, 실온(25℃)으로 냉각 후, 금형으로부터 관상 물체를 떼어냈다.
얻어진 관상 물체의 두께는 55㎛이고 양 단부를 컷하여, 길이 240㎜(A4 사이즈)로 하여 내경 24㎜의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내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후의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디지털 현미경(키엔스사 제 VHX-100)에 의한 1000배의 외면 관찰 사진을 도 9에 도시한다. 외면의 희고 반점상으로 보이는 부분이 PTFE 수지 입자이고, 그 주위에 유동하는 듯한 상태로 석출되는 부분이 FEP 수지이다. 전체로서 불소 수지 피막면은, 불소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입자상 모양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관상 물체의 내면의 동 사진을 도 10에 도시한다. 검은 반점상으로 보이는 부분은 PTFE 수지가 석출된 것이고, 주위의 희게 보이는 부분은 FEP 수지가 용융하여 유동하는 부분이다.
이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도 6에 도시하는 매분 10매의 정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 벨트로서 장착하여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조건에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불소 수지 분말을 혼합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내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후의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조합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불소 수지 분말로서 평균 입자 직경 35㎛의 FEP 분말(듀퐁사 제 상품명“532-8110”)만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23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여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형의 표면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도포하고, 캐스트 성형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미드화 처리를 실시하고, 최종 이미드화 처리로서 250℃의 온도로 10분 가열한 후, 300℃의 온도까지 5분 승온시켜 350℃의 온도로 15분간 가열하고, 냉각하여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매분 10매의 정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 벨트로서 장착하여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도 6에 있어서, 31은 정착 벨트(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 32는 벨트 가이드, 33은 세라믹 히터, 34는 구동원을 가지는 가압 롤, 35는 서미스터, 36은 가압 롤의 코어드 바(cored bar), 37은 복사지, 38은 정착 전의 토너상, 39는 정착후의 토너상, N은 닙 점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조합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불소 수지 분말로서 평균 입자 직경 28㎛의 PFA 수지 분말(미츠이듀퐁플루오로케미컬 사제 상품명 PFAMP102)만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중의 고형분에 대해 24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고 혼합하여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형 표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캐스트 성형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400℃로 처리하여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단, 상기 금형은 외경 30㎜의 금형을 사용했다.
이 관상 물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매분 6매의 정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가압 벨트로서 장착하여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도 7에 있어서, 51은 가압 벨트, 52는 압압 가이드, 53은 압압 패드, 54는 정착 롤, 55는 열원, 56은 정착전의 토너상, 57은 복사지이다.
(실시예 4)
PMDA 100질량부에 대해 ODA 75질량부를 플라스크 속에서 NMP에 용해(모노머 농도 18.0질량%)하고, 23℃의 온도로 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회전 점도는 1500포이즈였다. 회전 점도는 온도 23℃에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다. 다음에 평균 입자 직경 35㎛의 FEP 분말(융점 270℃ 듀퐁사 제 상품명“532-8110")만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26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고 혼합하여 불소 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형의 표면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액상 성형했다. 그 후 120℃의 오븐에서 60분간 건조하여, 200℃까지 20분간 승온시키고, 동 온도로 20분간 가열하여, 최종 이미드화 처리로서 250℃의 온도로 10분 가열한 후, 400℃의 온도까지 10분 승온시켜 400℃의 온도로 10분간 가열하고, 냉각하여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매분 6매의 정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 벨트로서 장착하여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최종 이미드화 온도를 25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내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조정한 불소수지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300㎜ 사각(세로: 300㎜, 가로: 300㎜) 유리판 상에 80㎛의 두께가 되도록 캐스트 성형하여, 표 1의 최고 이미드화 온도로 이미드화를 완성시켜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었다. 그 후, 각 필름의 순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5)
도 8에 도시하는 관상 물체의 성형 장치를 이용해, 폴리이미드 전구체의 토출 슬릿 부분(72)의 내경이 230.2㎜이고, 토출 슬릿 개구폭 1.4㎜의 토출구를 갖는 토출 슬릿 헤드(70)를 상기 성형 장치에 장착했다. 또한 성형 금형(71)으로서 외경 229㎜, 길이 500㎜의 알루미늄제 금형을 준비하고, 금형 표면에 산화규소 코팅제를 디핑법에 의해 코팅하여 소성하고, 산화규소막으로 피복한 금형을 이용해, 금형의 상단이 토출 슬릿부의 안쪽에 오도록 설치했다. 상기 금형의 평균 표면 거칠기도는 (Rz)2.2㎛였다.
다음에 실시예 1에서 조합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평균 입자 직경 3.0㎛의 PTFE 분말(융점 327℃:듀퐁사제 상품명“Zonyl MP1100”)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23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후 250메시의 스테인레스 철망을 이용해 거친 이물을 여과하고, PTFE 분말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그 후 상기 PTFE 분말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에 다시 산성 카본블랙(미쓰비시화학(주)제, 상품명 「MA78」, DBP 흡수량: 70㎤, 비표면적 10O㎡/g당 휘발분: 2.6중량%)을 폴리이미드 수지에 대해 14.5질량% 첨가하여 폴리이미드, PTFE, 및 카본 블랙의 3성분을 혼합 분산시킨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제작했다.
그 후 상기 PTFE 혼합 전구체 용액(74)을 저장 탱크(73)에 투입하고, 슬러리 펌프(77)를 회전시켜, 소정량의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분기 유닛(78)에서 24개소로 분배하고, 배관(79, 80)(다른 배관은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 토출 슬릿 헤드(70)의 배관 커넥터에 접속하여, 토출 슬릿 개구부까지 압송하였다. 동시에 금 형을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상승시켜 금형(71)의 최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50㎜의 위치가, 토출 슬릿부를 통과한 시점에서 슬러리 펌프(77)로부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압송시켜, 금형(71)의 외표면에 600㎛의 두께로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81)을 캐스트 성형했다. 75는 송액(送液) 파이프, 76은 밸브이다. 슬러리 펌프(77)의 압송 속도와, 금형(71)의 상승 속도는 미리 실험에 의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점도, 금형(71)의 외경, 액상 성형 두께 등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하여 소정의 조건을 설정했다. 금형(71)의 최하단부로부터 50㎜의 위치가 토출 슬릿부를 통과한 시점에서 슬러리 펌프로부터의 압송을 정지하고, 금형(71)의 표면에 약 400㎜의 길이로 액상 성형을 완료시켰다. 그 후, 상기 금형을 그대로 오븐에 넣어 120℃에서 60분간 건조후, 200℃의 온도까지 40분간 승온시키고 동 온도로 20분간 유지했다. 이어서 300℃까지 20분간 승온시켜 30분간 유지하고 또한 340℃까지 15분간 승온하여, 동 온도로 20분간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료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냉각후, 금형으로부터 형을 꺼내 폴리이미드 수지 관상 물체를 제작했다.
이 관상 물체의 두께는 57㎛이고, 인가 전압 500v에 있어서의 부피 저항율은 1.1×1O8Ω·㎝이었다. 또한 전구체 용액에 혼합한 상기 PTFE 수지는 관상 물체의 내외면에 용융 석출되었는데, 운동 마찰 계수의 데이터에서는 내면보다도 외면에 많이 석출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 관상 물체에 대해서, 디지털 현미경(키엔스사 제 VHX-100)에 의한 1000배 의 외면의 관찰 사진을 도 11에 도시한다. 희게 반점상으로 보이는 부분이 PTFE 수지 입자이고, 불소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입지상 모양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관상 물체의 운동 마찰 계수 및 접촉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이 관상 물체를 풀 컬러의 탠덤(tandem)형 레이저 빔 프린터의 중간 전사 벨트로서 사용한 결과, 벨트 표면에 형성한 컬러 토너상을 복사지에 전사한 후, 전사 벨트 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우레탄 고무제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와 전사 벨트 표면의 슬라이드 저항이 낮게 잔존하는 토너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어, 선명한 화상과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졌다. 또한 상기 관상 물체의 내면에는 불소 수지의 석출이 적으므로, 전사 벨트의 내면에 배치하는 구동 롤 사이에서 슬립도 없고 확실한 회전을 전달할 수 있어, 토너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화상이 흐릿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부피 저항율은, JISC2151의 방법에 따라서, 어드밴티스트사 제의 디지털 초고저항/미소 전류계 R8340/R8340A를 사용하여, 인가 시간 30초로 측정했다.
(실시예 6)
(1) 다층 구조 관상 물체의 1층째(내층)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조제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질화붕소 분말(미츠이화학(주) MBN-010T)을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에 대해 30질량% 혼합하여 질화붕소 분말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금형의 표면에, 링형상 다이스를 이용해 이미드화 후의 피막 두께가 35㎛가 되도록 도포하여 캐스트 성형하고, 120℃에서 건조 후 250℃의 온도로 이미드화의 중간 처리를 행하고, 질화붕소 분말이 혼합된 폴리이미드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관상 물체의 1층째의 피막 성형을 행했다.
(2) 다층 구조 관상물의 2층째(외층)에 이용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조제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평균 입자 직경 3.0㎛의 PTFE 분말(융점, 327℃:SUMMIT PREC1SION POLYMERS CORPORATION 제 “SP-Powdered PTFE”)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중의 고형분에 대해 70질량%와, 카본 화이버(쇼와전공사 제“VGCF-H”)를 5질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후 250메시의 스테인레스 철망을 이용해 거친 이물을 여과하고, 불소 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3) 다층 구조 관상 물체의 2층째(외층)의 성형 및 이미드화의 완결
상기 (1)항에서 제작한 1층째의 관상 물체의 표면에 상기 (2)항에서 조제한 불소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이미드화 후의 피막 두께가 20㎛가 되도록 링 형상 다이스를 이용해 캐스트 성형하고, 120℃의 온도로 건조한 후, 250℃의 온도로 일차 이미드화 처리를 행하고, 또한 400℃의 온도까지 15분 승온하여, 동 온도로 20분간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료시키고, 폴리이미드에 질화붕소 분말을 혼합한 내층과,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에 불소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를 혼합한 외층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 상 물체의 내경은 24㎜이고 총 두께는 54㎛이고, 1층째와 2층째는 이미드화에 의해서 강고하게 접착되어 박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한, 관상 물체의 외면에는, 혼합한 불소수지가 용융하여 석출되고, 불소 수지의 뛰어난 이형성 및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관상 물체의 내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이 관상 물체는 1층째와 2층째가 이미드화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이고, 1층째(내층)는 관상 물체로서 필요로 되는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2층째(외층)는 다량으로 혼합한 불소수지가 용융하여 석출되고, 충분한 두께의 이형층을 얻을 수 있어 뛰어난 내구성이 얻어졌다.
또한, 1층째에 혼합한 질화붕소와, 2층째에 혼합한 카본 화이버에 의해서 관상 물체의 두께 방향의 열 전도성이 개량되고, 동시에 최외층에 석출된 불소 수지층의 표면 저항은 800Ω/□이고, 매분 14매의 정착이 가능한 도 6에 도시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 하나의 정착 벨트로서 장착하고,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오프셋의 발생도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실시예 7)
(1) 다층 구조 관상 물체의 1층째(내층)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조제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평균 입자 직경 3.0㎛의 PTFE 분말(융점 327℃:듀퐁사제 상품명“ZonyL MP1100”)을 15질량% 혼합하여 불소 수지와 폴리이미드 전구체의 혼합 용액을 조합했다. 이어서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금형의 표면에 링 형상 다이스를 이용해 이미드화 후의 피막 두께가 35㎛이 되도록 도포하고, 캐스트 성형하여, 120℃에서 건조후 250 ℃의 온도로 이미드화의 중간 처리를 하여, 상기 혼합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1층째의 피막을 성형했다.
(2) 다층 구조 관상물의 2층째(외층)에 이용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작
실시예 1에서 조제한 BPDA/PPD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단체 용액에 평균 입자 직경 3.0㎛의 PTFE 분말(융점 327℃:SUMMIT PRECISlON POLYMERS CORPORATION 제“SP-Powdered PTFE”)을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중의 고형분에 대해 55질량%, 카본 화이버(쇼와전공사 제“VGCF-H”)를 5질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후 250메시의 스테인레스 철망을 이용해 거친 이물을 여과하고, 불소 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준비했다.
(3) 다층 구조 관상 물체의 2층째(외층)의 성형, 및 이미드화의 완결
상기 (1)항에서 제작한 1층째의 관상 물체의 표면에 상기 (2)항에서 조합한, 불소 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 혼합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이미드화 후의 피막 두께가 20㎛이 되도록, 링 형상 다이스를 이용해 캐스트 성형하고, 120℃의 온도로 건조한 후, 250℃의 온도로 일차 이미드화 처리를 행하고, 다시 400℃의 온도까지 15분 승온하고, 동 온도로 20분간 가열하여 이미드화를 완료시켜, 폴리이미드에 불소수지를 혼합한 내층과,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에 불소 수지 분말과 카본 화이버를 혼합한 외층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를 얻었다. 이 관상 물체의 내경은 24㎜이고 총 두께는 55㎛이고, 1층째와 2층째는 이미드화에 의해서 강고 하게 접착되었다. 또한, 관상 물체의 외면, 및 내면에도 불소 수지가 용융하여 석출되고, 불소 수지의 뛰어난 이형성 및 낮은 마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관상 물체의 내외면의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이 관상 물체의 최외층에 석출한 불소 수지층의 표면 저항은 815Ω/□이고, 도 7에 도시하는 정착 장치를 장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가압 벨트로서 이용하여, 화상 정착을 한 결과, 오프셋의 발생도 없어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표 1>
Figure 112007055984743-PCT00001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 물체는, 운동 마찰 계수가 낮고, 필름상 성형물의 접촉각도 낮았다. 또한, 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한 관찰 결과로부터, 폴리이미드 관상 물체의 표면에 불소 수지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 벨트로서 장착하고, 화상 정착을 행한 결과,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Claims (15)

  1. 폴리이미드와 불소수지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성형되어 가열 경화된 관상 물체로서,
    상기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 수지 입자는, 상기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 유동하여 석출되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물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피막면은, 불소 수지 입자에 기인하는 입자형상 모양을 가지는 관상 물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상 물체는, 폴리이미드와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단체층인 관상 물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상 물체는,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내층, 또는, 외층보다도 불소 수지의 존재량이 적은 내층과, 상기 내층보다도 불소 수지의 존재량이 큰 외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상 물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와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의 불소 수지 입자의 존재량은, 10∼90질량%인 관상 물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PETF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수지인 관상 물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의 평균 입자 직경은, O.1∼1OO㎛인 관상 물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가열 이미드화한 폴리이미드인 관상 물체.
  9.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과 용융 유동하는 불소 수지 입자의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고,
    가열하여 이미드화하고, 상기 이미드화의 최고 온도를 불소 수지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하고,
    냉각 후, 상기 금형과 관상 물체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관상 물체의 표층 근방에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불소 수지 입자를 상 기 관상 물체의 외면 또는 내외면에 용융 유동하여 석출시키고, 부분적 또는 전면에 불소 수지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기 전에, 미리 금형 외면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해 두고,
    이미드화하기 전 또는 완결 후에, 상기 혼합 용액을 금형 외면에 도포하여 소정의 두께로 캐스트 성형하는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와 불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층의 불소 수지 입자의 존재량은, 10∼90질량%인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PETF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수지인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100㎛인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가열 이미드화한 폴리이미드인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과, 파라페닐렌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가열 이미드화한 폴리이미드인 관상 물체의 제조 방법.
KR1020077017720A 2005-02-21 2006-02-20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4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4426 2005-02-21
JPJP-P-2005-00044426 2005-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898A true KR20070104898A (ko) 2007-10-29

Family

ID=3691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720A KR20070104898A (ko) 2005-02-21 2006-02-20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49211A1 (ko)
EP (1) EP1852751A1 (ko)
KR (1) KR20070104898A (ko)
CN (1) CN101120289A (ko)
WO (1) WO2006088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467A1 (ja) * 2007-04-27 2008-11-13 I.S.T. Corporation コーティング用塗料、積層体および円筒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437179B1 (ko) * 2008-09-03 2014-09-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무솔기 벨트
JP4685172B2 (ja) * 2009-01-20 2011-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102010062097A1 (de) * 2010-11-29 2012-05-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feste Fluidkapselung
CN106537259B (zh) * 2014-08-07 2019-11-05 株式会社I.S.T 低摩擦构件、图像形成装置和低摩擦覆膜形成剂
JP6141377B2 (ja) * 2015-10-07 2017-06-07 株式会社森清化工 パーフルオロゴム成形体
JP6681212B2 (ja) * 2015-11-30 2020-04-15 株式会社潤工社 ポリウレタンチューブ
US9937662B2 (en) 2016-09-01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pe memory thermal interface materials
US9873774B1 (en) * 2016-09-01 2018-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pe memory thermal interface materials
JP2018120121A (ja) * 2017-01-26 2018-08-02 株式会社東芝 定着装置
JP7131117B2 (ja) * 2018-06-21 2022-09-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ベルトおよび定着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CN110292663A (zh) * 2019-06-28 2019-10-01 脉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一种医疗管材的制备方法及医疗管材
US20220332916A1 (en) * 2019-08-08 2022-10-2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Flame-retardant polyimide shaping material and shaped body
CN112574565B (zh) * 2020-12-08 2023-04-25 黄山金石木塑料科技有限公司 低热膨胀芳香类冷压型聚酰亚胺树脂及其合成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538A (en) * 1978-12-21 1980-12-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am-extrusion of aromatic polyimide and polyamide resins, and shaped articles formed using such method and apparatus
JPS6225030A (ja) * 1985-07-25 1987-02-03 Ube Ind Ltd ポリイミド粉末の連続成形法
US5083168A (en) * 1988-11-15 1992-01-2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fixing heater for use in the same
US5411779A (en) * 1989-07-21 1995-05-02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site tubular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471288A (en) * 1993-03-05 1995-11-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film
JP2516310B2 (ja) * 1993-04-16 1996-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管状物
JP3054010B2 (ja) * 1993-11-15 2000-06-19 株式会社アイ.エス.テイ ポリイミド複合管状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1133776A (ja) * 1997-10-30 1999-05-21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98411A (ja) * 1999-04-15 2000-10-24 Canon Inc ハード定着ロー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定着装置
US6927006B2 (en) * 2001-09-07 2005-08-09 Xerox Corporation Fuser member having fluorocarbon outer layer
JP2004355004A (ja) * 2003-05-28 2004-12-16 Xerox Corp フューザ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9211A1 (en) 2008-06-26
WO2006088189A1 (ja) 2006-08-24
CN101120289A (zh) 2008-02-06
EP1852751A1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4898A (ko) 관상 물체 및 그 제조 방법
JP5491031B2 (ja) ポリイミド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ポリイミドワニスの製造方法、及び定着ベルト
JP2007030501A (ja) ポリイミド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200278B2 (ja) 発熱定着ベルト及び画像定着装置
JP2009109997A (ja) 画像定着装置
JP2006256323A (ja) 管状物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2223A (ja) 発熱定着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定着装置
JP2009156965A (ja) ポリイミド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及び定着ベルト
JP2009092785A5 (ko)
JP2009109998A (ja) 発熱定着ロールおよび画像定着装置
JP2014122350A (ja) 半導電性ポリイミド樹脂ベルト及び半導電性ポリイミド樹脂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6259248A (ja) 転写定着ベルト
JP5129059B2 (ja) ポリイミド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768725B2 (ja) 無端状発熱体、発熱ベルト及び定着装置
JP2011209578A (ja) 管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0102A (ja) 管状物
JP2000147928A (ja) 複合管状物
JP5101137B2 (ja) ポリイミ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298617A (zh) 定影带
JP2004279458A (ja) 定着ベルト
JP2983484B2 (ja) 定着用フィルム
JP2006301196A (ja) 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7192985A (ja) 定着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5821A (ja) 定着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6160A (ja) 多層ポリイミド管状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管状物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