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638A -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638A
KR20070104638A KR1020077019684A KR20077019684A KR20070104638A KR 20070104638 A KR20070104638 A KR 20070104638A KR 1020077019684 A KR1020077019684 A KR 1020077019684A KR 20077019684 A KR20077019684 A KR 20077019684A KR 20070104638 A KR20070104638 A KR 2007010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omposition
mass
external preparation
dioxid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245B1 (ko
Inventor
마사야 타나카
야스코 키구치
토시야 다이쿄
미츠요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7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과 상기 필수 성분, 칼슘 이온에 의해 겔을 형성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가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해 일정한 방법으로 흡수되어, 강력한 미용 및 의학적 효능을 갖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감된 생산 원가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paring carbon dioxid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미용 및 의학적 효능을 갖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유럽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피부, 피하 조직 및/또는 근육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한 흡수 후 대사작용을 활성화한다는 것이 탄산수 등에 대한 연구 결과로 알려져있다(Isao Nagakura; Carbon Dioxide, Life-Supporting Marvelous Substance, Published by Asahi Shimbun, 1988 참조).
일본에서도 인공 탄산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욕창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Toshinori Hiyoshi; About Treatment of Pressure Sores Using Bath Preparation of Artificial Carboneted Spring;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17(8): 605-609, 1989 참조). 최근 이산화탄소 또는 그 조제품의 제조용 조성물의 뛰어난 효능을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개발이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촉진되고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예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가 포함된 물-함유 점성 물질 내에 이산화탄소 기포가 들어가 있는 조성물(WO 99/024043)과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지속적인 흡수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물, 점증제 및 이산화탄소 기포로 형성된 조성물(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2000-319187)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런 기술에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경피 흡수용으로 물에 용해된 상당한 양의 분자 상태 이산화탄소는 기포 형태이기 때문에 한계를 갖는다.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경피성 흡수가 충분히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외용제에서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쉽게 유출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몇몇의 조성물들이 제안되었다. 수용성 산, 점증제 및 수용성 분산제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립 제재와, 여기서 점증제는 수용성 산 및 수용성 분산제와 혼합되며, 탄산염, 물 및 점증제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점성 제재로 형성되며, 사용 전에 점성 제재와 과립 제재가 혼합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WO 2002/080941 및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2004-307513); 최소한 물과 점증제에 의해 형성된 점성 제재에 기포가 없는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및 최소한 발효 미생물, 미생물의 대사 산물, 점증제, 물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이 있다(WO 2003/057228). 결과적으로, 사용 전 기포가 없는 제형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과 이로부터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품은 이산화탄소의 경피성 또는 경점막 흡수의 우수한 효율성을 지니고 있어 근래 주류가 되고 있다.
또한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흡수 방법은 이산화탄소의 투 여 전 또는 투여하는 동안에 이산화탄소의 경피성 또는 경점막 흡수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O 2004/078185); 최소한 산과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로 포화된 중합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주재료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재료로 포함되어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최소한 탄산염을 함유하는 반응물이 사용될 때, 상기 주재료와 접촉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이산화탄소는 기포가 없는 상태로 점성 제재에 충분히 녹아든다(WO 2004/004745); 또한 대기로부터 본체 표면을 에워싸는 봉합 덮개 부재(sealing enclosure member)와 봉합 덮개 부재의 내부에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위한 공급 장치 및 봉합 덮개 부재의 내부에서 이산화탄소의 경피성 또는 경점막 흡수를 돕는 흡수 보조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부 투여 장치가 제안되었다(WO 2004/002393).
상기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사용 전 제형인 수용성 산과 탄산염의 반응으로 생성된다. 하지만 가루 형태에서 바로 반응할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너무 빠르게 발생하고,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쉽게 유출되기 때문에 경피성 또는 경점막의 이산화탄소 흡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용성 산을 과립 제재에 넣고, 탄산염을 점성 제재에 넣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이 WO 2002/080941에 개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가 함께 섞였을 때, 과립 제재의 분해 속도와 이에 수반되어 점성 제재 속으로 용해되는 수용성 산의 속도가 적절하게 지연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발생 속도는 약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일정한 방식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수용성 산과 탄산염의 반응 속도가 점성 제재 내의 점증제에 의해 적절하게 지연된다.
약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이산화탄소를 어느 정도까지는 방지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의 자유 기포 생성은 아직까지 문제로 남겨져 있다. 또한, 약학적 기법은 과립 제재를 형성하는 수용성 산, 분산제, 결합제 및 용매를 필요로 하며, 과립 제재는 원하는 비율의 용매만을 함유하도록 건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용성 산과 탄산염의 반응 속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하기가 어렵고, 생성물을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립을 사용할 때, 점성 조성물 내에 일정한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또한, 하기의 문제점들도 아직 남겨져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접착성의 점액이고, 피부 또는 점막에서 제거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상처 표면 등에 발랐을 때, 종종 혈액 및/또는 삼출물에 용해되어 옷을 망칠 뿐 아니라, 상처 보호를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이산화탄소의 충분한 양을 함유하고 있으며,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한 지속적인 흡수로 미용 및 의학적 효능이 한층 강화되고, 더 나아가 절감된 생산 원가를 갖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물을 제외한 상기 성분(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및 점증제)들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분산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또는 탄산염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에 의해 점성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물을 제외한 성분들이 이산화탄소 외용제로 사용되기 전 물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수분 흡수 지지체 내에 함유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 점증제, 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제외한 상기 성분(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 점증제,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들이 과립 제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분산제가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이 과립 제재를 형성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이 점성 제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타라검(tara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재인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탄산칼슘, 황산칼슘, 구연산칼슘, 알긴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피로인산칼슘, 일염기성 인산칼슘 및 규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인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점증제와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가 알긴산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탄산염과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탄산칼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응고된 히드로겔 상태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 락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 결정 상태의 락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톤이 글루코노-델타-락톤(glucono-delta-lactone) 및/또는 판토락톤(pantolactone)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가 D,L- 또는 L-락티드(3,6-디메틸-1,4-디옥산-2,5-디온) 및/또는 D,L- 또는 L-글리콜리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산무수물이 무수프탈산(phthalicanhydride),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및 무수호박산(succinic anhydride)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함유하는 상처 및 화상 치료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함유하는 미용팩에 관한 것이다.
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서, 이산화탄소 발생 속도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조절되고,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여 미용 및 의학적 효능이 강화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해 일정한 방식으로 흡수된다. 또한, 절감된 생산 원가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와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않는 칼슘염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만들면 도포 후 특정 시간 내에 응고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피부나 점막에서 쉽게 제거될 뿐 아니라, 상처 표면 등에 도포한 경우에도 혈액 및/또는 삼출물에 용해되지 않아서 사용 중 또는 후에 옷을 망치지 않는다. 또한, 응고된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종결된 후에 상처 덮개로써 상처 표면을 보호한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필수 성분(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뿐만 아니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와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 관한 것이며, 이는 응고된 히드로겔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과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을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바람직하게 락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결정 상태의 락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상세한 예는 글루코노-델타-락톤(glucono-delta-lactone); 판토락톤; D,L- 또는 L-락티드(3,6-디메틸-1,4-디옥산-2,5-디온); D,L- 또는 L-글리콜리드; 무수프탈산(phthalicanhydride);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및 무수호박산(succinic anhydride)을 포함하고, 이러한 예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무수말레산과 무수호박산은 쉽게 가수분해되어 빠르게 산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산과 이산화탄소의 발생속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글루코노델타락톤(glucono-delta-lactone) 또는 D,L-락티드와 같이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시키는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산과의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탄산염의 예는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탄산칼륨, 중탄산칼륨, 포타슘세스퀴카보네이트(potassium sesquicarbonate),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sodium sesquicarbonate), 탄산리튬, 중탄산리튬, 리튬세스퀴카보네이트(lithium sesquicarbonate), 탄산세슘, 중탄산세슘, 세슘세스퀴카보네이트(cesium sesquicarbonate),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마그네슘, 중탄산칼슘, 탄산칼슘, 수산화탄산마그네슘 또는 탄산바륨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염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중탄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불용성 탄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증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및 무기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중성과 알칼리성 점증제는 하기 예들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고분자의 예는 아라비아고무, 카라기난, 갈락탄, 우뭇가사리, 모과씨앗, 구아검, 트래거캔스검, 만난, 로커스트빈검, 밀가루녹말, 쌀녹말, 타라검, 옥수수녹말 및 감자녹말과 같이 식물에서 유래한 고분자; 커드란, 크산탄검, 수시노글루칸, 덱스트란 및 폴루란과 같이 미생물에서 유래한 고분자; 알부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및 피브로인과 같은 단백질 고분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고분자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합성 고분자의 예는 에틸 셀룰로즈, 카복시 메틸 셀룰로즈와 이의 염, 카복시 메틸 에틸 셀룰로즈와 이의 염, 카복시 메틸 녹말과 이의 염, 크로스카 멜로즈와 이의 염, 셀룰로즈 결정,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 프탈레이트, 메틸 셀룰로즈 및 메틸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와 같은 셀룰로즈 고분자; 프리겔라티나이즈드 녹말, 부분 프리겔라티나이즈드 녹말, 카복시 메틸 녹말, 덱스트린 및 메틸 녹말과 같은 녹말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칼륨 및 알긴산 암모늄과 같은 알긴산 고분자; 소듐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및 히아루론산 나트륨과 같은 기타 다당류 고분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고분자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분자의 예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암모늄에틸 클로라이드 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분자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의 예는 수화 실리콘 디옥사이드(hydrated silicon dioxide), 콜로이달 알루미나(colloidal alumina),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라포나이트(laponite)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질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산성 점증제의 예는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알긴산, 펙트산 및 히알우론산이 천연 고분자로 포함된다; 카복시비닐 고분자가 반합성 고분자로 포함되고 경질 무수 규산이 무기물로 포함된다; 이러한 고분자 및 재료들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천연수, 상층수, 증류수 및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원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이다. 본 발명에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물과 접촉하면 점차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시키고, 산은 탄산염과 반응하여 점차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필수 성분인 점증제와 물에 의해 점성 제재가 형성된다.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의 가수분해 속도와 이에 수반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 속도가 물보다 점성물질 내에서 느려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점차적이고 끊임없이 생성된다. 이는 발생된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물을 제외한 성분(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및 점증제)(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 또는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고(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 이어서 최소한 점증제와 물에 의해 점성 제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립 제재는 가루, 미세 과립, 과립 및 결정 등의 고체 물질 또는 이러한 고체 물질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은 과립 물질로 형성되며, 이는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아래에서는, 과립 물질[A]) 및 물로 형성되며 통상의 기술에 따라 사전에 만들어졌다. 과립 물질[A]은 사용시 물과 혼합되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과립 물질[A]과 물은 사용 전에 접촉되지 않고, 사용시 과립 물질[A]과 물을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및 점증제가 간단히 혼합된다면, 과립물질[A]은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및 점증제는 가능한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점증제가 물에 용해되거나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과립물질[A]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과 섞이면 일명 "DAMA" 또는 "MAMAKO"를 형성한다. 상기 "DAMA" 또는 "MAMAKO"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지 않는 응집체로, 고체 점증제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다. 점증제가 물과 섞였을 때, 이러한 응집체의 표면은 용해되었거나 부풀어오른 점성 물질로 덮여있다.
상기 분산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가능한 물에 잘 녹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과립의 형태인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겔라티나이즈드 녹말 및 α-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녹말 유도체; 설탕, 글루코즈, 프룩토즈, 수크로즈, 락토즈, 자일리톨, D-소비톨 및 D-만니톨 등의 당 유도체; 폴루란 및 자탄검 등의 다당류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카멜로즈 칼슘, 카멜로즈 소듐 등의 셀룰로즈 유도체 및 그의 염;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합성 고분자; 및 요소 등; 이러한 재료의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증제가 물에 쉽게 용해되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의학 및 미용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분산제외의 다른 첨가물도 더해진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에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또는 탄산염이 과립 제재를 형성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이 점성 제재를 형성하며, 상기 점증제는 물속에 용해되거나 균일하게 분산된다.
점증제와 물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았을 경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점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고, 경피성 또는 경점막을 통해 흡수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감소하거나,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피부 또는 점막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다. 그러므로 점증제와 물은 충분한 점성을 지닌 점성 제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시 과립 제재와 혼합되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의 혼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B])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B]); 및
(2) 점증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C])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C]);
점성 제재[B]의 경우에 점증제는 탄산염, 중성 또는 알칼리성의 점증제와 섞인 점성 제재에서 혼합되고, 이는 상기에 기재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는 점증제가 산성일 경우에, 점성 제재를 만드는 동안 탄산염이 점증제와 반응해서 이산화탄소가 발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점성 제재[C]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서 사용된 동일한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다(상기 중성 또는 알칼리성, 또는 산성 점증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 또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의 각각은 가급적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사용될 때, 모든 성분들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흡수 지지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을 제조할 때, 과립 물질[A]은 사용 전 물과 접촉하지 않는 지지체에 바람직하게 함유된다. 이러한 경우, 수분 흡수 지지체를 물에 담그거나 적셔주기만 하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상처 치료제 및 미용팩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를 상처에 직접 도포하면, 상처 삼출물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수분 흡수 지지체는 또한 상처 치료용 시트로 사용된다.
상기 수분 흡수 지지체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과립 물질[A]을 함유하고, 수분 흡수능을 보유하고, 피부에 적용될 수 있으면 사용가능하다. 수분 흡수 지지체는 직물, 부직포 및 스펀지 등이며, 특정 목적이나 적용 부위 등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 부직포는 가볍고, 과립 제재의 훌륭한 보유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시키고, 산은 탄산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동시에 산은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과 반응하여 칼슘 이온을 발생시키고, 칼슘 이온은 겔화제의 겔화를 유발하여 고체화된 히드로겔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로부터 획득된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위에 언급된 장점뿐만 아니라, 사용 후 피부 또는 점막으로부터 쉽게 제거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상처 표면 등에 발랐을 때, 조제약이 혈액 및/또는 삼출물에 거의 녹지 않고, 또한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종결된 후에는 상처 덮개로써 상처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미용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면 조제품은 사용 후 쉽게 제거되고 옷을 망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서 사용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은 또한 동일한 방식에 따라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의 필수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서,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는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타라검(tara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서,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은 탄산칼슘, 황산칼슘, 구연산칼슘, 알긴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피로인산칼슘, 일염기성 인산칼슘 및 규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칼슘염이 사용될 경우, 겔화제와 칼슘 이온의 반응 속도가 탄산염과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의 반응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발생 속도보다 빨라지게 되고,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짧은 시한 안에 응고된다.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반응의 중간에 종결되므로, 수용성 칼슘염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탄산염과 수용성 또는 미량 녹는 칼슘염의 예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며, 탄산칼슘은 동시에 이산화탄소와 칼슘 이온의 발생원이기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물을 제외한 성분(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거나(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이 과립 제재를 형성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이 점성 제재를 형성(아래에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은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해 사전에 만들어졌으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과립 제재[D])과 물로 형성된다. 과립 제재[D]는 사용시 물과 혼합되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과립 제재[D]와 물은 사용 전에 접촉되지 않고, 사용시 과립 제재[D]와 물을 혼합하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간단히 혼합된다면, 과립 제재[D]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은 가능한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에서, 분산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제재[D]에 첨가된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에서와 동일한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에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이 점성 제재를 형성한다. 상기 점증제는 물에 녹거나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립 제재와 상기 점성 제재의 화합물의 예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3) 탄산염, 점증제, 겔화제,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E])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E]);
(4) 점증제, 겔화제,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F])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 탄산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F]);
(5) 점증제,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G])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및 겔화제를 함유하는 형성된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G]);
(6) 탄산염, 점증제,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H])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 겔화제를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H]);
(7) 탄산염, 점증제, 겔화제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I])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I]);
(8) 점증제, 겔화제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J])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및 탄산염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J]);
(9)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K])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K]); 및
(10) 점증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 제재(아래에서는, 점성 제재[L])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을 함유하는 과립 제재(아래에서는, 과립 제재[L]);
중성 또는 알칼리성 점증제가 점성 제재 [E],[F],[G],[H],[I] 및 [K]을 형성하는 점증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성 제재[B]와 동일한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성 제재 [J] 또는 [L]을 형성하는 점증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를 위한 조성물[1]과 동일한 점증제(상기 중성 또는 알카리성, 또는 산성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이 수분 흡수 지지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때, 과립 제재[D]는 사용 전 물과 접촉하지 않은 수분 흡수 지지체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수분 흡수 지지체를 물에 담그거나 적셔주기만 하면,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상처 치료제 및 미용팩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를 상처에 직접 도포하면 상처 삼출물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분 흡수 지지체는 상처 치료용 시트로도 사용된다. 수분 흡수 지지체에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에 함유된 필수 성분의 혼합 비율을 전체 조성과 비교하여 아래에 나타내었다.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바람직하게 0.5 내지 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질량%, 탄산염은 바람직하게 0.3 내지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질량%, 점증제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질량%, 물은 바람직하게 60 내지 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3 질량%이다.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 함유된 필수 성분의 혼합 비율을 전체 조성과 비교하여 아래에 나타내었다.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바람직하게 0.5 내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질량%, 탄산염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질량%, 점증제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질량%, 물은 바람직하게 40 내지 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3 질량%, 겔화제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질량%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사용된 과립 제재는 믹서기를 사용해 각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 가루의 형태로 이용가능하고, 이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제조에 일반적이다. 또한, 의약품 제조용 미세 과립이나 과립은 통상적인 조립 기술에 따라 각 성분을 과립화하여 이용가능하다(예, 압축 성형 기술(compression molding technique), 압출 조립 기술(excruding granulation technique), 텀블링 조립 기술(tumbling granulation technique), 분무 조립 기술(spray granulation technique) 및 교란 조립 기술(agitating granulation technique) 등).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 사용된 점성 제재는 점증제, 물 및 다른 성분들을 외용제 및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해 녹이거나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에서, 일반적인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재료, 예를 들어 착색제, 분산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오일, 보습제, 알코올, 산화방지제, 봉쇄제, 착색방지제, 자외선 흡수/산란제, 비타민, 아미노산,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하제, 영양소, 염증 방지제, 혈관 확장제, 수축제, 안티 히스티민, 피지 저하제, 케라틴 제거/분해제, 지루 방지제 및 가려움 방지제 등은 필요시에 본 발명의 효능을 감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과립 제재 및 점성 제재에 첨가될 수 있고,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화장품 및 외용제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과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에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의 혼합비는 모든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된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것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과 점증제의 종류 및 점증제와 물의 혼합비에 따라 달라진다.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산의 당량과 탄산염의 염기 당량의 비율은 0.5 : 1 내지 40 : 1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조성에 대해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질량비는 60 p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또는 미용팩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외용제는 5분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한선은 없다. 사용 빈도는 하루에 한번 또는 며칠에 한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 제재와 물, 또는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적당한 용기, 또는 손바닥 또는 피부 또는 점막에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보존 방법으로, 과립 제재와 물, 또는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가 접촉되지 않아야 하며, 잘 닫힌 상태로 보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 용기의 재료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재료의 예는 플라스틱, 유리, 알루미늄, 종이, 다양한 고분자 및 이러한 재료들의 혼합물 등이고, 형태의 예는 컵, 튜브, 봉지, 병, 스틱 및 펌프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질량%는 특정하게 명시된 것이 아니라, 전체 조성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5.0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4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1.0 질량%) 및 점증제(카라기난, 5.0 질량%)의 혼합 가루를 물(정제수, 88.6 질량%)과 혼합하 여 얻는다.
[실시예 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5.0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0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1.0 질량%) 및 점증제(트라가칸스검, 4.0 질량%)의 혼합 가루를 물(정제수, 90.0 질량%)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5.0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0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1.0 질량%) 및 점증제(타라검, 4.0 질량%)의 혼합 가루를 물(정제수, 90.0 질량%)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4]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5.0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2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1.0 질량%) 및 점증제(카라기난, 2.0 질량%와 로커스트빈검, 1.0 질량%)의 혼합 가루를 물(정제수, 90.8 질량%)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5]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0.0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2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1.0 질량%), 점증제(카라기난, 2.0 질량%와 로커스트빈검, 2.0 질량%) 및 분산제(글루코즈, 20.0 질량%)의 혼합 가루를 물(정제수, 69.8 질량%)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제조
실시예 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4.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7 질량%) 및 점증제(알긴산나트륨, 2.1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를 함유하는 수분 흡수 지지체(3cm*3cm의 면 부직포)와 물(정제수, 0.65g, 92.9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7]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의 제조
실시예 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0.199g, 6.2 질량%)과 점성물질(3.0g)을 섞어 제조된다. 점성물질은 탄산염(탄산나트륨, 0.9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2.3 질량%와 알긴산나트륨, 1.8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3.8 질량%와 글리세린, 3.8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8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77.9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8]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의 제조
실시예 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6.2 질량%)과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9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23g)와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8 질량%와 알긴산나트륨, 3.3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5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5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89.3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9]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9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6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1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겔화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5 질량%)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않는 칼슘염(구연산칼슘, 1.1 질량%)의 혼합 가루와 물(정제수, 93.8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0]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10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6g)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점증제(겔화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8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 지않는 칼슘염(규산칼슘, 0.8 질량%) 및 분산제(락토즈, 16.6 질량%)의 혼합 가루와 물(정제수, 76.9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1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0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19 질량%과 탄산칼슘(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 0.27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1.22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48 질량%), 보존제(메틸파라벤, 0.05 질량%) 및 분산제(글루코즈, 4.85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를 함유하는 수분 흡수 지지체(3cm*3cm의 면 부직포)와 물(정제수, 0.5g, 90.91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1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0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19 질량%과 탄산칼슘(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 0.27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1.3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35 질량%), 보존제(메틸파라벤, 0.05 질량%) 및 분산제(글루코즈코즈, 4.85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05g)를 함유하는 수분 흡수 지지체(3cm*3cm의 면 부직포)와 물(정제수, 0.5g, 90.91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6g, 34.8 질량%)과 점성물질(3.0g)을 섞어 제조된다. 점성물질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7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6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타라검, 2.6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무수황산칼슘, 2.0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4.6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1.8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및 물(정제수, 52.6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4]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6g, 34.8 질량%)과 점성물질(3.0g)을 섞어 제조된다. 점성물질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7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6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로커스트빈검, 2.3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무수황산칼슘, 2.0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4.6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1.8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및 물(정제수, 52.9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5]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0g, 25.0 질량%)과 점성물질(3.0g)을 섞어 제조된다. 점성물질은 탄산염(탄산칼슘(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 2.3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7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카라기난, 3.0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3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0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61.3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0.4g, 11.8 질량%)과 점성물질(3.0g)을 섞어 제조된다. 점성물질은 탄산염(탄산칼슘(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 0.4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9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9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4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3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4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4.5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7]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6.5 질량%)과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8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63g)와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7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9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구연산 칼슘 사수화물, 0.8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8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2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69.9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8]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4.4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및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5.9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37g)와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4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알긴산 칼슘, 1.8 질량%) 및 물(정제수, 86.9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19]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19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4.5 질량%)과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4.5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3g)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9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규산칼슘, 1.4 질량%) 및 물(정제수, 88.1 질량%)을 충분히 혼합 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0]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0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0.7 질량%)과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피로인산칼슘, 1.6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86g)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8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7 질량%),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7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4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1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65.6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20.9 질량%)과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염기성 인산칼슘 이수화물, 0.8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83g)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8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7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7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5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1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66.1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1.7 질량%)과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일염기성 인산칼슘 일수화물, 0.9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43g)와 탄산염(탄산나트륨, 0.9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8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1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1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4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3.7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11.5 질량%), 탄산염(탄산나트륨, 1.7 질량%)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칼슘글루코네이트 일수화물, 0.8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49g)와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8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0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0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3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3.5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4]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4.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4.5 질량%)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칼슘 실리코네이트, 1.2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34g)와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9 질량%) 및 물(정제수, 88.3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5]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4.5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4.5 질량%)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알긴산칼슘, 1.2 질량%)의 혼합 가루로 형성된 과립 제재(0.36g)와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8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3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4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9.4 질량%)을 충분히 혼합한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2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6.0 질량%)의 1.6g과 점성 제재(25.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3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탄산칼슘, 0.7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8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6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5 질량%와 페녹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79.1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만든다.
[실시예 27]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2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6.0 질량%)의 0.80g과 점성 제재(12.5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1.9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탄산염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47.0 질량%) 및 물(정제수, 45.1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만든다.
[실시예 28]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의 제조
실시예 2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0.07g, 4.5 질량%)과 점성 제재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물(85.8 질량%), 중탄산나트륨(1.0 질량%), 알긴산나트륨(2.9 질량%),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2.9 질량%) 및 1,2-펜탄디올(2.9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만든다.
[실시예 29]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29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D,L-락티드, 2.1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겔화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5 질량%)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구연산칼슘, 1.1 질량%)의 혼합 가루와 물(정제수, 93.8 질량%)을 혼합하여 만든다.
[실시예 30]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30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L-글리콜리드로 바꾼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든다.
[실시예 3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3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판토락톤, 2.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점증제(겔화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8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규산칼슘, 0.8 질량%) 및 분산제(락토즈, 16.6 질량%)의 혼합 가루와 물(정제수, 76.9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3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무수프탈산, 2.3 질량%), 탄산염(중탄산나트륨, 0.6 질량%), 점증제(겔화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8 질량%),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규산칼슘, 0.8 질량%) 및 분산제(락토즈, 16.6 질량%)의 혼합 가루와 물(정제수, 76.9 질량%)을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3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무수말레산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는다.
[실시예 34]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제조
실시예 3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무수호박산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는다.
[실시예 35]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3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0.4g, 11.8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6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4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 룰로즈, 0.4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1 질량%)와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2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4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4.7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3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판토락톤, 1.2g, 28.6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3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6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2.5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5.0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1.9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60.7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7]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3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D,L-락티드, 0.3g, 9.1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6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2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4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5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76.7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8]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3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D,L-락티드, 0.4g, 11.8 질량%)와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6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4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4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1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2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4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4 질량%) 및 물(정제수, 74.7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39]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39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무수프탈산, 0.2g, 6.3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7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3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6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5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79.1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40]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40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무수말레산, 0.05g, 1.6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7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4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9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7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83.2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4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4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무수호박산, 0.1g, 3.2 질량%)과 점성 제재(3.0g)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7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4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8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6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81.8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4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4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D,L-락티드, 2.0 질량%와 무수말레산, 0.6 질량%)과 점성 제재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7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4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9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7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82.2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실시예 4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제조
실시예 43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글루코노-델타-락톤, 5.0 질량%와 무수호박산, 0.5 질량%)과 점성 제재를 혼합하여 얻는다. 점성 제재는 탄산염(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의 역할도 수행)(탄산칼슘, 0.7 질량%와 중탄산나트륨, 0.5 질량%), 점증제(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0.5 질량%), 겔화제(점증제 역할도 수행)(알긴산나트륨, 3.4 질량%), 분산제(1,3-부틸렌글리콜, 6.8 질량%), 보존제(펜틸렌글리콜, 2.6 질량%와 펜옥시에탄올, 0.5 질량%) 및 물(정제수, 79.5 질량%)을 충분히 혼합하여 얻는다.
[비교예 1]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
(과립 제재의 제조)
WO 99/024043에 기재된 실시예 3에 따라, 비교예 1의 과립 제재(다공성 원주 형 과립)는 물을 용매로 사용한 습식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60 질량%의 락토즈(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2.68 질량%), 20 질량%의 구연산(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89 질량%), 10 질량%의 덱스트린(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45 질량%) 및 10 질량%의 감자 전분(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45 질량%)이 사용된다.
(점성 제재의 제조)
WO 99/024043에 기재된 실시예 3에 따라, 3.0 질량%의 중탄산칼슘(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2.87 질량%); 0.1 질량%의 뽕나무 뿌리 추출물, 인삼 뿌리 추출물, 들깨추출물, 지치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각각 전체 조성과 비교하여 0.10 질량%); 및 3.0 질량%의 1,2-펜탄디올(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2.87 질량%)을 88.50 질량%의 정제수(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84.55 질량%)에 녹이고, 3.0 질량%의 알긴산나트륨(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2.87 질량%)와 2.0 질량%의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1.91 질량%)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녹이면서, 용액을 60℃까지 승온한다. 상기 용액을 밤새 방치하여 실온까지 식히면, 비교예 1의 점성 제재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를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비교예 2]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
(과립 제재의 제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비교예 2의 과립 제재(다공성 원주형 과립)는 물을 용매로 사용한 습식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60 질량%의 락토즈(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2.31 질량%), 20 질량%의 구연산(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77 질량%), 10 질량%의 덱스트린 및 10 질량%(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38 질량%)의 감자 전분(전체 조성과 비교하면 0.38 질량%)이 사용된다.
(점성 제재의 제조)
0.96 질량%의 중탄산나트륨과 2.88 질량%의 1,2-펜탄디올을 87.50 질량%의 정제수에 녹이고, 2.88 질량%의 알긴산나트륨와 1.92 질량%의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결과 혼합물을 밤새 방치하여 비교예 2의 점성 제재를 얻는다.
상기 과립 제재와 점성 제재를 혼합함으로써 비교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의 실험예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다.
[실험예 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28세 여성 대상의 왼쪽 팔뚝에 바르고, 하기 평가 항목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비교 평가는 그 결과로부터 수행되었고, 표 1에 나타내었다.
-과립 제재의 용해도
평가 ◎: 쉽게 녹음, ○: 녹음, △:약간 녹음, ×:녹지 않음
-제재의 흐름
평가 ◎: 흐름 없음, ○: 약간 흐름, ×:흐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도포 부위의 발적 또는 미백과 같은 반응)
평가 ◎: 두드러지게 반응함, ○: 적당하게 반응함, △:약간 반응함,
×: 반응하지 않음
-비교 평가
매우 좋음: 모든 항목이 "◎"일 경우.
좋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이 "◎" 또는 "○"이고, 최소한 다른 항목의 하나가 "◎"일 경우.
좋지 않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이 "×"일 경우.
실시예 번호 1 2 3 4 5 6
외용제의 양(g) 5.0 5.0 5.0 5.0 5.0 0.7
도포범위(cm2) 25 25 25 25 25 9
과립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흐름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는 피부의 반응
비교 평가 매우 좋음 좋음 좋음 매우 좋음 매우 좋음 좋음
[실험예 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의 평가
실시예 7, 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에서 대상을 39세 여성으로 교체하고, 하기의 도포 상태를 추가 항목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되었다.
-도포 상태
평가 ◎: 적용 부위의 표면이 부드럽게 도포
○: 적용 부위의 표면이 약간 부드럽게 도포
△: 적용 부위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도포
×: 발라지지 않음
실시예 번호 7 8
외용제의 양(g) 3.0 3.0
도포범위(cm2) 25 25
과립 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도포 상태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흐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
비교 평가 매우 좋음 매우 좋음
[실험예 3]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평가
실시예 9 내지 1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30세 여성 대상의 왼쪽 팔뚝에 발라졌으며, 다음의 평가 항목에 대한 육안과 촉각 평가가 실시되었다. 이어서 비교 평가가 그 결과로부터 수행되었고, 표 3에 나타내었다.
-과립 제재의 용해도 및 분산력
평가 ◎: 거의 완전히 녹거나 분산될 수 있음
○: 제재의 절반 이상이 녹거나 분산될 수 있음
△: 제재의 1/4 이하가 녹거나 분산될 수 있음
×: 거의 녹지 않거나 퍼지지 분산될 수 있음
-도포 상태
평가 ◎: 적용 부위의 표면이 부드럽게 도포
○: 적용 부위의 표면이 약간 부드럽게 도포
△: 적용 부위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도포
×: 발라지지 않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도포 부위의 발적 또는 미백과 같은 반 응)
평가 ◎: 두드러지게 반응함, ○: 적당하게 반응함, △:약간 반응함,
×:반응하지 않음
-30분 후 겔화 상태
평가 ◎: 전체가 겔화됨, ○: 표면만 겔화됨, ×:겔화되지 않음
-30분 후 박리
평가 ◎: 쉽게 벗겨짐
○: 한 장 이상의 박막으로 벗겨짐
△: 벗겨질 수는 있으나, 끈적거리는 풀 또는 약한 박막 상태임
×: 벗겨지지 않음
-비교 평가
매우 좋음: 모든 항목이 "◎"일 경우.
좋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이 "◎" 또는 "○"이고, 최소한 다른 항목의 하나가 "◎"일 경우.
좋지 않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이 "×"일 경우.
실시예 번호 9 10 11
외용제의 양(g) A 0.8 1.3 0.55
B 0.8 1.3 0.55
도포범위(cm2) A 9 9 9
B 9 9 9
과립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도포 상태 A
B -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
30분 후 겔화 상태 A
B -
30분 후 박리 A
B -
비교 평가 좋음 좋음 매우 좋음
A: 혼합 후 즉시 도포
B: 혼합하고 5분 후 도포
[실험예 4]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히드로겔 평가
실시예 1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물에 적셔 30세 여성 대상의 팔뚝에 발랐다. 도포 부위의 피부는 5분 후 발적을 나타냈으며, 혈관 확장 효과가 분명히 관측되었다. 부직포 표면은 손가락과 닿았을 때 습기가 있었다. 10분 후, 히드로겔이 표면에 형성되었고 손가락이 닿아도 젖지 않았다.
[실험예 5]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1]의 상처 치료
실시예 1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을 물에 적셔 28세 여성의 오른쪽 집게 손가락의 작은 상처에 발랐다. 20분 후, 상처는 완전히 아물었다.
[실험예 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의 평가[2-2]
실시예 13 내지 25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는 표 4,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13 14 15 16 17 18 19
외용제의 양(g) A 1.5 1.5 1.5 1.5 1.5 1.5 1.5
B 1.5 1.5 1.5 1.5 1.5 1.5 1.5
도포범위(cm2) A 9 9 9 9 9 9 9
B 9 9 9 9 9 9 9
과립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도포 상태 A
B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
30분 후 겔화 상태 A
B
30분 후 박리 A
B
비교 평가 좋음 좋음 좋음 매우 좋음 좋음 좋음 좋음
A: 혼합 후 즉시 도포
B: 혼합하고 5분 후 도포
실시예 번호 20 21 22 23 24 25
외용제의 양(g) A 1.5 1.5 1.5 1.5 1.5 1.5
B 1.5 1.5 1.5 1.5 1.5 1.5
도포범위(cm2) A 9 9 9 9 9 9
B 9 9 9 9 9 9
과립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도포 상태 A
B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
30분 후 겔화 상태 A
B
30분 후 박리 A
B
비교 평가 좋음 매우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A: 혼합 후 즉시 도포
B: 혼합하고 5분 후 도포
[실험예 7] 미용상 효능 평가의 예
실시예 26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 26.6g을 28세 여성, 또는 41세 여성 또는 49세 남성 대상의 얼굴에 각각 도포한다.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좋은 분산력을 보이며, 얼굴 전체에 균일한 두께로 발라지고 전혀 흐르지 않았다. 상기 조제품은 도포시 뛰어난 청량감을 주며, 10분 정도 유지되는 피부 발적을 유발한다. 30분 후, 굳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히드로겔 박막을 형성하고 얼굴에서 쉽게 벗겨진다.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모든 대상들의 피부를 더 하얗고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8] 실시예 27의 평가
실시예 27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 13.30g을 28세, 30세 또는 41세 여성 대상의 얼굴 절반에 각각 도포한다.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좋은 분산력을 보이며, 얼굴 절반의 전체에 균일한 두께로 발라지고 전혀 흐르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13.45g가 비교예 1(0.60g의 과립 제재와 12.85g의 점성 제재가 혼합됨)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고, 각 대상의 반대쪽 얼굴 절반에 도포되었다.
30분 후, 실시예 27과 비교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각 대상의 얼굴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실시예 27의 조제품은 히드로겔 박막처럼 굳어졌고, 얼굴에서 쉽게 벗겨져 세안이 요구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비교예 1의 조제품은 고 점성의 유체이고, 조제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몇 분 동안 얼굴을 세안해야만 한다. 비교예 1을 도포한 얼굴 절반과 비교하여, 실시예 27을 도포한 얼굴은 피부 수분감, 피부의 쳐짐, 얼굴이 작아보이게 만드는 효과, 미백 효과, 브라이트닝 효과, 맑기, 부드러움 및 피부의 좋은 질감의 항목이 모든 대상에게서 더욱 뛰어났다.
[실험예 9]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동일 양을 도포한 경우의 비교 실험
이산화탄소 외용제 3.14g(아래에서는, 실시예 외용제 1A)은 실시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고,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3.14g(아래에서는, 비교예 외용제 1A)은 비교예 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다(0.14g의 과립 제재와 3g의 점성 제재). 얻어진 두 개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41세 여성 대상의 왼쪽 팔뚝에 서로 3cm 떨어져서 동일한 두께와 범위로 도포하였다. 3분 후, 도포 부위의 피부는 실시예 외용제 1A와 비교예 외용제 1A에서 모두 발적을 보였으나, 실시예 외용제 1A는 조금 강한 발적을 나타냈다. 5, 10, 15, 20분 및 30분 후, 도포 부위의 피부는 두 이산화탄소 외용제에서 모두 발적을 나타냈으나, 모든 경우 실시예 외용제 1A가 좀 더 강한 발적을 보였다.
[실험예 10]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1]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동일 양(이론상)이 생성되었을 경우의 비교 실험
이산화탄소 외용제 1.50g(아래에서는, 실시예 외용제 4B; 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양 7.86mg이 발생)은 실시예 4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고, 이산화탄소 외용제 1.56g(아래에서는, 비교예 외용제 2B; 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양 7.86mg이 발생)은 비교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다(0.06g의 과립 제재와 1.50g의 점성 제재).
상기에서 얻어진 두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29세 여성 대상의 오른쪽 대퇴부에 서로 3cm 떨어져서 동일한 두께로 도포했다. 3분 후, 도포 부위의 피부는 실시예 외용제 4B와 비교예 외용제 2B에서 모두 발적을 나타냈지만, 5분이 지난 후, 10, 15분, 20분 및 30분 후의 모든 지점에서 실시예 외용제 4B는 비교예 외용제 2B보다 두드러지게 강한 발적을 보였다.
0.015g의 중탄산나트륨과 전체 중탄산나트륨과 반응하는 충분한 양의 글루코노-델타-락톤 또는 산이 있기 때문에, 실시예 외용제 4B와 비교예 외용제 2B는 이론적으로 동일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선행 기술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제조를 위한 조성물은 이산화탄소 발생원의 양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경피상으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증가하고 오래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실험예 11]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1-2]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동일 양(이론상)이 생성되었을 경우의 비교 실험
이산화탄소 외용제 1.57g(아래에서는, 실시예 외용제 28C; 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양 7.86mg이 발생)은 실시예 28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다. 이어서, 비교예 외용제 2B의 1.56g(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양 7.86mg이 발생)이 비교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다. 두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29세 여성 대상의 오른쪽 대퇴부에 서로 3cm 떨어져서 동일한 두께로 도포했다. 3분 후, 도포 부위의 피부는 두 외용제에서 모두 발적을 나타냈다. 하지만, 상기 실험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5분마다 관측했을 때, 실시예 외용제 28C는 비교예 외용제 2B보다 두드러지게 강한 발적을 보였다.
[실험예 12]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2-2]의 평가
실시예 35 내지 41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35 36 37 38 39 40 41
외용제의 양(g) A 1.5 1.5 1.5 1.5 1.5 1.5 1.5
B 1.5 1.5 1.5 1.5 1.5 1.5 1.5
도포범위(cm2) A 9 9 9 9 9 9 9
B 9 9 9 9 9 9 9
과립제재의 용해도 또는 분산력
도포 상태 A
B × ×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피부의 반응
30분 후 겔화 상태 A
B 1) 1)
30분 후 박리 A
B 1) 1)
비교 평가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A: 혼합 후 즉시 도포
B: 혼합하고 5분 후 도포
1) 히드로겔화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조제품이 발라지지 않는다.

Claims (21)

  1.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물을 제외한 성분들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탄산염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에 의해 점성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제외한 성분들이 이산화탄소 외용제로 사용되기 전 물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수분 흡수 지지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6.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점증제, 물, 칼슘 이온에 의해 겔 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물을 제외한 성분들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 및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에 의해 과립 제재가 형성되고, 최소한 점증제와 물에 의해 점성 제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카라기난(carageenan), 타라검(tara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탄산칼슘, 황산칼슘, 구연산 칼슘, 알긴산 칼슘, 글루콘산 칼슘, 피로인산 칼슘, 일염기성 인산칼슘 및 규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2.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와 칼슘 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겔화제가 알긴산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3. 제 6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염과 불용성 또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칼슘염이 탄산칼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응고된 히드로겔 상태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 락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후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 결정 상태의 락 톤,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 및 산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이 글루코노-델타-락톤 및/또는 판토락톤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의 고리형 이분자체가 D,L- 또는 L-락티드(3,6-디메틸-1,4-디옥산-2,5-디온) 및/또는 D.L- 또는 L-글리콜리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이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산 및 무수호박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함유하는 상처 및 화상 치료용 재료.
  21.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함유하는 미용팩 재료.
KR1020077019684A 2005-01-28 2006-01-2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KR101333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2094 2005-01-28
JP2005022094 2005-01-28
PCT/JP2006/301228 WO2006080398A1 (ja) 2005-01-28 2006-01-26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38A true KR20070104638A (ko) 2007-10-26
KR101333245B1 KR101333245B1 (ko) 2013-11-26

Family

ID=3674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684A KR101333245B1 (ko) 2005-01-28 2006-01-26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849472B1 (ko)
JP (1) JP4595058B2 (ko)
KR (1) KR101333245B1 (ko)
CN (1) CN101132801B (ko)
HK (1) HK1117396A1 (ko)
TW (1) TWI387458B (ko)
WO (1) WO20060803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36A (ko) * 2014-07-11 2018-08-20 아이비티제이 코., 리미티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501A1 (ja) 2007-10-25 2009-04-30 Neochemir Inc. 筋力増強のための二酸化炭素供給手段の使用、及びそれによる家畜の肉量増量方法
JP5662693B2 (ja) * 2010-03-29 2015-02-04 株式会社コーセー 冷感組成物
JP2012097013A (ja) * 2010-11-01 2012-05-24 Nisshin Kagaku Kk 血行促進エアゾール組成物
EP2692348A4 (en) 2011-03-29 2014-09-03 Neochemir Inc ANTITUMOR AGENT CONTAINING CARBON DIOXIDE AS ACTIVE INGREDIENT
FR2974499B1 (fr) * 2011-04-27 2013-09-13 Oreal Masque cosmetique occlusif a degagement gazeux
TW201311257A (zh) * 2011-07-15 2013-03-16 Neochemir Inc 以二氧化碳為有效成分之骨折治療劑、骨成長促進劑或骨疾治療及預防劑
WO2013031030A1 (en) * 2011-09-01 2013-03-07 L'oreal Cosmetic sheet
TW201420130A (zh) 2012-09-26 2014-06-01 Neochemir Inc 溶解有二氧化碳之液狀藥劑及其投藥方法
KR20160026619A (ko) 2013-07-04 2016-03-09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JP5531177B1 (ja) * 2013-08-09 2014-06-25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6077663B2 (ja) * 2013-08-29 2017-02-0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水不溶性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水不溶性成形体
AU2014318702B2 (en) * 2013-09-11 2019-11-21 Aim Targeted Therapies, Inc. Hypertonic antimicrobial therapeutic compositions
JP5721899B1 (ja) * 2013-12-27 2015-05-20 株式会社コア 二酸化炭素生成外用材及びその使用方法
JP5888566B2 (ja) * 2014-02-03 2016-03-22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5760280B1 (ja) * 2014-05-12 2015-08-05 株式会社東洋新薬 発泡性皮膚外用剤
JP6152368B2 (ja) * 2014-05-22 2017-06-21 株式会社アイビーティジェイ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用パック
JP6108363B2 (ja) * 2015-02-04 2017-04-05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US20180021482A1 (en) * 2015-02-27 2018-01-2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Medical/cosmetic material and adhesion preventing material
CN107249651A (zh) * 2015-02-27 2017-10-13 大日精化工业株式会社 医疗用材料和防粘连材料
US20180185414A1 (en) * 2015-06-12 2018-07-05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alcium salt composition and filaggrin production promoter using the same
JP6844451B2 (ja) * 2017-06-29 2021-03-17 日油株式会社 皮膚化粧料
EP3669883A4 (en) 2017-08-17 2021-04-14 Masaya Tanaka CARBON DIOXIDE FORMULA FOR EXTERNAL USE
CN112535642B (zh) * 2020-12-03 2021-12-10 广州市瑞芬化妆品有限公司 一种能发出声音的保湿修护diy软膜及其使用方法
CN112723355B (zh) * 2020-12-28 2023-09-01 辽宁科技大学 一种小型气体发生装置及二氧化碳的高效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1417A (en) * 1965-10-05 1969-04-29 Gen Foods Corp Beverage product and process
JPS60215606A (ja) * 1984-04-12 1985-10-29 Kao Corp パツク剤
JPH0639373B2 (ja) * 1985-09-30 1994-05-25 ア−ス製薬株式会社 発泡性入浴剤
JP2950758B2 (ja) * 1994-07-27 1999-09-20 レンゴー株式会社 気相中で用いる二酸化炭素ガス発生剤
AU753760B2 (en) * 1997-11-07 2002-10-3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Viscous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dioxide
CO5200756A1 (es) * 1999-11-03 2002-09-27 Sca Hygiene Prod Zeist Bv Productos superabsorbentes neutralizantes de alcalis
EP1259282A4 (en) * 2000-02-28 2007-05-23 Capnia Inc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NSCUTANEOUS INFUSION OF CARBON DIOXIDE FOR LOCAL PAIN TREATMENT AND THE TREATMENT OF OTHERS
JP2002128636A (ja) * 2000-10-23 2002-05-09 Pola Chem Ind Inc 除去容易なパック化粧料
TWI327474B (en) * 2001-04-06 2010-07-21 Neochemir Inc Kit for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36A (ko) * 2014-07-11 2018-08-20 아이비티제이 코., 리미티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17396A1 (en) 2009-01-16
CN101132801B (zh) 2011-02-23
TW200800238A (en) 2008-01-01
EP1849472B1 (en) 2016-08-10
EP1849472A1 (en) 2007-10-31
JP4595058B2 (ja) 2010-12-08
EP1849472A4 (en) 2011-03-09
TWI387458B (zh) 2013-03-01
JPWO2006080398A1 (ja) 2008-06-19
WO2006080398A1 (ja) 2006-08-03
KR101333245B1 (ko) 2013-11-26
CN101132801A (zh)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245B1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제조용 조성물
KR100802888B1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US6187290B1 (en) Physiologically acceptable foamable formulation and foam
US5686094A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xerostomia
ES2700869T3 (es) Composición liofilizada
US5102666A (en) Calcium polycarbophil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 and method
JP3583166B2 (ja) 損傷皮膚修復用粉末製剤
JPH0791397B2 (ja) 柔軟な親水性ゲ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と使用法
JP3064417B2 (ja) 放出制御性製剤及び方法
CN105640916A (zh) 兼具抗菌、护肤消炎作用的聚维酮碘泡腾片及其生产工艺
RU2249467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материал и издел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US20080213402A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Carbon Dioxide External Preparation
JP2012149024A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KR100978905B1 (ko) 창상용 외용제
JP4130181B2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KR20050106494A (ko)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방법 및 미용방법 및치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