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19A -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 Google Patents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19A
KR20160026619A KR1020147034986A KR20147034986A KR20160026619A KR 20160026619 A KR20160026619 A KR 20160026619A KR 1020147034986 A KR1020147034986 A KR 1020147034986A KR 20147034986 A KR20147034986 A KR 20147034986A KR 20160026619 A KR20160026619 A KR 2016002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olvent
suspended
droplet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오케미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5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C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25Carbon oxides, e.g. Carbon diox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와,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20)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부(2)와,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용매(20)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부(4)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와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APPARATUS FOR PREPARING GAS FOR TRANSDERMAL ABSORPTION, METHOD FOR PREPARING GAS FOR TRANSDERMAL ABSORPTION, AND GAS FOR TRANSDERMAL ABSORPTION}
본 발명은 동물 또는 인간에게 이산화탄소를 경피흡수시키기 위한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피흡수용 기체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이산화탄소가 경피흡수에 의해 들어가면, 의료 및 미용면에서 다양한 증상이 개선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이산화탄소의 주된 작용 기작은 혈관 확장 작용 및 조직중 산소분압 증가 작용이다(비특허문헌 1 참조).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효과는 혈관 확장 작용을 반영하는 피부 발적 유무 및 정도에 따라서 예측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그 자체로는 거의 경피흡수되지 않는다. 그것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피부에 뿜어서 부착시켜도 혈관 확장 작용 등의 이산화탄소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으로부터 명백하다. 이산화탄소가 혈관 확장 작용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산화탄소는 물 등의 용매에 용해된 상태, 즉 용존(溶存; dissolved) 이산화탄소가 아니면 안된다(특허문헌 2). 즉, 이산화탄소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용액을 피부에 바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는 예를 들면 용매가 물인 경우 불과 0.1%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산수는 피부에 발라도 곧 흘러내려서 이산화탄소의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이미 피부에 부착되는 점성 조성물 중에서 이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다양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안한 바 있다(특허문헌 3~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는 이산화탄소를 한번에 넓은 범위의 피부로부터 경피흡수시키기 위해서, 체표면을 외기(外氣)로부터 밀봉할 수 있는 밀폐 포위재와, 이 밀폐 포위재의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밀폐 포위재의 내부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를 돕는 흡수 보조재를 구비한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특허문헌 8 참조).
또한, 기체성(gaseous)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경피흡수시키는 방법이 특허문헌 9~19에 개시되어 있다.
또, 이산화탄소와 용매(예를 들면 물)의 증기가, 가역 결합성 복합체(reversibly bound complex)를 형성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3 참조). 이 복합체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carbon dioxide-solvent complex)"라고 칭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31918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0-215606호 국제공개공보 제2002/80941호 국제공개공보 제2006/80398호 국제공개공보 제2003/57228호 국제공개공보 제2005/16290호 국제공개공보 제2004/4745호 국제공개공보 2004/00239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17118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0-2926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0-2926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7-25287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3461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26325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3461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1169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18362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18362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254726호
히요시 토시키, 인공 탄산천욕제에 의한 욕창(褥創; decubitus) 치료에 대하여, 소우고 리하 17(8), 605-9, 1989. K.I.Peterson, W.Klemperer, J.Chem.Phys. 1984, 80, 2439. P.A.Block, M.D.Marshall, L.G.Pedersen, R.E.Miller, J.Chem.Phys. 1992, 96, 7321.
본 발명은 의복 등이나 피부를 적시지 않고 의복 등으로 가려져 있는 피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에 의한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는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부와, 공급된 상기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상기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상기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1) 생성된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상기 용매의 부유(浮遊)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부 또한 구비하고 있고, 또는 (2) 생성되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은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과,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과, 공급된 상기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상기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상기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고, 추가로 (1) 생성된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 공정 , 또는 (2) 생성되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를 이용하고, 또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가, 이산화탄소 분자와 용매분자가 가역 결합하고 있는 점에서, 용존 이산화탄소와 동등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용존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경피흡수된다고 예상했다. 한편,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용매의 부유 액적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면, 이산화탄소가 부유 액적에 흡수되어서 용존 이산화탄소가 된다(특허문헌 9~19 참조).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용매의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에 의한 효과를 강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의 부유 액적이란,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가 대략 직경 100㎛ 이하인 용매의 미립자를 의미한다. 용매의 증기란, 용매분자가 기본적으로는 하나씩 흩어져 존재하고 있는 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에 의하면,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에서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부유 액적 제거부에 의해 용매의 부유 액적이 제거되므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에 의하면,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에서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이 혼입 방지 수단에 의해 방지되므로,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에 의하면, 용매의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을 거쳐서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부유 액적 제거 공정에 의해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므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에 있어서 생성되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혼입 방지 공정에 의해 방지하므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용매의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에 의하면, 용매의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산화탄소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에 의존하지 않고,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경피흡수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에 의한 효과를 간편하면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2) 이산화탄소가 광범위의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경피흡수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3) 의복과 피부를 적시지 않고 이산화탄소가 경피흡수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4) 이산화탄소가 의복 등으로 가려져 있는 피부로부터도 용이하게 경피흡수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치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10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1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치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제조장치]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는 크게 2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장치는 생성되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는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와,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부와,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부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유 액적 제거부는 크게 2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 제1 부유 액적 제거부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2 부유 액적 제거부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다. 흡착 수단은 화학 흡착제 또는 물리 흡착제이다.
제2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는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와,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부와,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생성되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혼입 방지 수단은,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이산화탄소 공급부, 및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용매 증기 생성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액화 이산화탄소를 기화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 용매 증기 생성부가 용매를, 그 온도에서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는 용매 증기 생성부가, 용매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은, 크게 2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 제1 방법은,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방법은, 생성되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은,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과,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과,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추가로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은 크게 2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 제1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은,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은,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흡착 공정은 화학 흡착제 또는 물리 흡착제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제2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은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과,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과,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고, 생성되는, 경피흡수용 기체에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혼입 방지 공정은,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 및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액화 이산화탄소를 기화하여 공급한다. 또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이, 용매를, 그 온도에서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이, 용매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흡착 공정은 화학 흡착제 또는 물리 흡착제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어느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이 가능한 한 적지 않으면 안되지만, 부유 액적이 완전히 배제될 필요는 없고, 이산화탄소가 부유 액적에 흡수되어서 용존 이산화탄소가 되는 비율이 작으면 된다. 부유 액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a) 항상 실온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것, (b) 용매의 증기압이 포화 증기압 이하인 것, (c) 용매 증기의 응결을 촉진하는 먼지 등의 고형물 미립자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액적이 지나치게 많으면, 이산화탄소 농도, 용매 증기압, 및 온도가 동일하더라도 혈류 증가 작용이 저하된다.
[상세한 설명]
(경피흡수용 기체)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는 이산화탄소를 15부피% 이상 함유하고, 용매의 증기압이 포화 증기압의 30% 이상이면 되고, 25℃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피흡수용 기체의 이산화탄소 함유량은 30부피%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부피%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매의 증기압은 포화 증기압의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자는,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 효율은 피부 온도가 25℃ 이하인 경우에 저하된다는 것을 해명하고 있다.
(부유 액적의 확인 방법)
다음의 (a), (b), 또는 (c)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 먼지 등이 적은 상태에서 미립자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b) 틴들(Tyndall) 현상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부유 액적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틴들 현상은 인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어두운 밀폐 용기 중에서 대상물에 광다발을 맞추고, 광이 지나는 길의 유무를 관찰한다. 광이 지나는 길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부유 액적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c) 종이와 같은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된 시트를 대상물에 노출시킨다. 부유 액적이 있으면, 상기 시트에 부유 액적이 흡착되어서 얼룩이 생긴다. 한편, 금속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된 시트는 부유 액적이 없어도, 용매의 증기가 접촉하면 상기 증기의 열을 빼앗아서 용매를 응결시키고, 부유 액적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에 얼룩을 만드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부유 액적의 정량)
부유 액적을 정량하는 방법으로는,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된 시트(예를 들면 거름종이)를 대상물에 일정시간 노출시키고, 흡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거름종이와 통기성이 없는 알루미늄 파우치의 합계 질량을 측정하여 제1측정값을 얻는다.
(2) 다음으로, 거름종이를 대상물에 일정시간 노출시킨 후, 즉시 알루미늄 파우치에 넣어서 밀봉한다. 그리고, 그 합계 질량을 측정하여 제2측정값을 얻는다. 한편, 부유 액적인 용매는 기화성이므로, 거름종이에 흡착된 부유 액적은 시간경과와 함께 거름종이로부터 기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부유 액적의 흡착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거름종이는 노출 후, "즉시" 알루미늄 파우치에 넣어서 밀봉하지 않으면 안된다.
(3) 한편, 거름종이는 용매의 증기(용매가 물인 경우는 수증기)도 흡착하므로, 기름종이를, 대상물과 동일한 온도에서의 습도를 가지는 용매의 증기에 일정시간 노출시킨 후, 즉시 알루미늄 파우치에 넣어서 밀봉한다. 그리고, 그 합계 질량을 측정하여 제3측정값을 얻는다.
(4) 그리고, 제2측정값과 제1측정값의 차이에서, 제3측정값과 제1측정값의 차이를 뺀다. 이로 인해, 거름종이에 흡착된 부유 액적의 질량이 구해진다.
(용매)
용매로는,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며, 상온에서 액체이고, 기화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용매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용매로는 물이 바람직하다. 물로는 수돗물, 증류수, 막 여과수, 이온 교환수, 전기 분해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2-페녹시에탄올 등의 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pH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7 미만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물이 알카리성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수중에서 중탄산 이온이나 탄산 이온 등으로 변환됨으로써 소비되므로,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의 생성량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물의 pH를 7 미만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것만으로도 되지만, 산성물질을 물에 용해시켜도 된다. 산성물질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물로서 산성 전기 분해수를 사용해도 된다.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원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액화 이산화탄소, 드라이아이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산과 탄산염의 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액화 이산화탄소는 수분 등의 불순물이 적고, 부유 액적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화 이산화탄소는 조절기(regulator)를 이용하여 감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절기에서는 통상, 저온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나오므로 가온(加溫)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
흡착제로는 화학 흡착제와 물리 흡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 흡착제로는 염화 칼슘, 황산 마그네슘, 5산화2인, 진한 황산, 또는 과염소산 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리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산화 알루미늄, 활성탄, 면, 또는 분자체(molecular siev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흡착제는 용매가 물인 경우는 물론, 용매가 알코올이나 유지(oil)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용매의 물성에 적응한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용매와 흡착제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합으로 한다.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a) 액화 이산화탄소를 조절기를 이용하여 감압한다. 액화 이산화탄소는 수분 등을 포함하지 않는, 순도가 높은 이산화탄소이므로, 기화했을 때에 부유 액적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b)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부유 액적을 제거한다. 이 부유 액적의 제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흡착 방법과 가열 방법이 있다.
(b-1) 흡착 방법
예를 들면, 소위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아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냉각하여 응결시키므로 부유 액적(백연(白煙))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드라이아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제에 노출시킨다.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에 포함되는 부유 액적이 흡착제에 흡착되어서 제거된다. 흡착제로는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미생물의 발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도, 드라이아이스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b-2) 가열 방법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가열하여 부유 액적을 증발시킨다. 구체적인 가열 방법으로는, (i) 적외선이나 원적외선 등의 열선을,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는 이산화탄소에 조사하는 방법, (ii)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전열 히터 등의 고온체에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가열 방법은 이산화탄소나 용매에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방법이 아니라면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온도는 실온 이상이면 되는데, 지나치게 고온이면,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인체 등에 화상을 일으키므로, 가열 후에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100℃ 이하, 더 나아가 5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피부 온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가 곤란하다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따라서, 가열 온도는, 가열 후에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25℃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a) 용매를, 그 온도에서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 되도록 가열한다. 가열원의 온도는, 용매 증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용매의 비점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원 온도의 상한은 용매가 분해되지 않는 온도인 것은 당연하지만, 용매의 비점보다 대략 50℃ 높은 온도까지 허용된다.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용매를 100℃ 이상 15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용매 증기의 증기압은, 그 온도에서 상기 용매의 포화 증기압 이하가 아니면 안된다.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습도 100% 이하이면 된다.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어도, 온도가 내려가면 포화 증기압도 내려가서, 용매 증기는 응결하여 부유 액적을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용매 증기는 온도가 내려가지 않도록, 얻어진 후에 더욱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120℃로 가열한 금속판에, 물을 상기 금속판의 4㎠당, 2분 간격으로 2초간 1㎖ 적하한다. 용매 증기는 밀폐 용기 내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매 증기가 식지 않도록, 상기 용기의 내벽 등의 온도를, 용매 증기의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는 용매 증기로부터 부유 액적을 흡착한다. 이것은 전술한 흡착제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이산화탄소와 용매 증기의 혼합)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이산화탄소와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용매 증기의 혼합은, 양자를 단순히 혼합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한편, 양자의 혼합은 밀폐 용기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한 후에 혼합 기체의 온도가 내려가면 용매 증기가 부유 액적을 발생하므로, 양자는 가열하면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용매 증기의 온도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가열 온도는 가열 후에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10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가열 후에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는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 용기 자체의 내벽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용기 외벽에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혼합 기체의 온도 저하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구성예]
(제1제조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이 장치(10A)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와, 용매 증기 생성부(2)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구비하고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공급부(1)는 액화 이산화탄소를 수용한 실린더(cylinder)(11)와, 조절기(12)와, 송출 튜브(13)를 구비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1)는 이산화탄소를 실린더(11)로부터, 조절기(12)에 의해 감압하고, 송출 튜브(13)를 통해서 용매 증기 생성부(2)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용매(20)를 저장한 탱크(21)와, 탱크(21) 내에 설치된 에어 스톤(22)과, 송출 튜브(23)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21)는 밀폐 용기이다. 에어 스톤(22)에는 송출 튜브(13)가 연결되어 있다. 용매(20)의 양은, 용매(20)의 액위(201)이 에어 스톤(22)보다 위쪽에 위치하면서, 송출 튜브(23)의 입구 단부(端部)(23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부유 액적 제거부(4)는 밀폐 용기(41)과, 밀폐 용기(41) 내에 설치된 히터(42)와, 송출 튜브(43)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튜브(23)는 밀폐 용기(41) 내에 연통(連通)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장치(10A)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이산화탄소 공급부(1)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에어 스톤(22)에 공급된다.
(2) 에어 스톤(22)으로부터는 이산화탄소의 미세 기포가 용매(20) 중에 힘차게 방출된다. 그리고, 기포는 용매(20)의 액위(201)에 도달하여 파열되고, 이로 인해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부유 액적이 생성된다. 한편, 용매(20)는 기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증기도 생성된다.
(3) 탱크(21) 내에서는 이산화탄소와 용매(20)의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가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이 경피흡수용 기체에는 용매(20)의 부유 액적도 포함되어 있다.
(4) 경피흡수용 기체는 실린더(11)의 가스압에 의해, 송출 튜브(23)를 통해서 밀폐 용기(41) 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경피흡수용 기체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고, 이로 인해,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었던 부유 액적이 증발한다. 이 결과,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얻어진다.
(5)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송출 튜브(43)를 통하여 다음 단계의 용도로 쓰인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장치(10A)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탱크(21) 내의 용매(20)는 상온인 채로도 되지만, 탱크(2) 내에 가열부를 마련하여 가열해도 된다. 탱크(21)에 있어서 용매(20)를 가열해 두면, 부유 액적 제거부(4)의 밀폐 용기(41) 내에서의 부유 액적의 증발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또, 부유 액적 제거부(4)의 히터(42)의 온도는 용매(20)의 비점 부근이 바람직하고, 비점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히터(42)의 온도는 지나치게 높으면, 송출 튜브(43)로부터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지나치게 뜨거워져서 인체 등에 화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히터(42)의 온도는,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25℃~100℃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5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20)가 예를 들면 물인 경우에는, 히터(42)의 온도는 100℃~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히터(42)의 온도는 미리 올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탱크(21) 내에 있어서 부유 액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의 확인은, 송출 튜브(23)의 출구 단부(232)에 거름종이 등의 흡습 부재를 대고, 흡습 부재가 젖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탱크(21)는 밀폐 용기이므로, 탱크(21) 내의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는, 대략 모두가 일정시간 후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치환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특별히 설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부유 액적 제거부(4)는 동물 또는 인간에 대한 경피흡수용 기체의 투여부를 겸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밀폐 용기(41)의 일부를 고무 등으로 된 개폐 커버로 구성하여, 개폐 커버를 열어서 밀폐 용기(41) 내에 인체 등의 원하는 부위를 넣고, 개폐 커버를 닫고, 그 상태로 장치(10A)를 작동시킨다.
혹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통과한 경피흡수용 기체는, 그대로 인체 등의 원하는 부위에 세차게 내뿜어도 된다. 또는 인체 등의 원하는 부위를 밀폐 포위재로 밀폐하고, 그 밀폐 공간에, 부유 액적 제거부(4)를 통과한 경피흡수용 기체를 그대로 충전하고, 원하는 부위를 경피흡수용 기체에 노출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의 노출 시간은 1회당 5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10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출 시간에 상한은 없다. 한편, 부유 액적 제거부(4)를 통과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의복 등을 통과하여 경피흡수되고, 그때에 의복 등 및 피부를 적시지 않는다. 물론 경피흡수용 기체는 의복 등을 몸에 걸치고 있지 않은 인체의 부위에 사용해도 된다.
(제2제조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이 장치(10B)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와, 용매 증기 생성부(2)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구비하고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도 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 및 용매 증기 생성부(2)는 장치(10A)와 동일하다. 그리고, 부유 액적 제거부(4)는 통형상 용기(45)와, 용기(45)의 양단을 닫은 스폰지체(461, 462)와, 용기(45) 내에 충전된 흡착제(47)와, 송출 튜브(48)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튜브(23)는 스폰지체(461)를 관통하여 용기(45) 내에 연통하고 있다. 송출 튜브(48)는 스폰지체(462)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장치(10B)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이산화탄소 공급부(1)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에어 스톤(22)에 공급된다.
(2) 에어 스톤(22)으로부터는 이산화탄소의 미세 기포가 용매(20) 중에 힘차게 방출된다. 그리고, 기포는 용매(20)의 액위(201)에 도달하여 파열되고, 이로 인해,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부유 액적이 생성된다. 한편, 용매(20)는 기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증기도 생성된다.
(3) 탱크(21) 내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용매(20)의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이 경피흡수용 기체에는 생성된 부유 액적도 포함되어 있다.
(4) 경피흡수용 기체는 실린더(11)의 가스압에 의해, 송출 튜브(23)를 통해서 용기(45) 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는 부유 액적이 흡착제(47)에 흡착된다. 이 결과,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얻어진다.
(5)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송출 튜브(48)을 통하여 다음 단계의 용도로 쓰인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장치(10B)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흡착제(47)는 이산화탄소 및 용매(20)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용매(20)의 부유 액적을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이다. 흡착제(47)로는 전술한 흡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통형상 용기(45)는 밀폐 구조가 바람직하고, 횡단면 원형, 횡단면 직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부유 액적 제거부(4)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용기(45) 내에 구비해도 된다.
용기(45) 내에 충전된 흡착제(47)는 부유 액적의 흡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적절히 새로운 흡착제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기타는, 장치(1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3제조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이 장치(10C)는 이산화탄소 공급부(6)와, 용매 증기 생성부(7)와,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공급부(6)는 액화 이산화탄소를 수용한 실린더(61)와, 조절기(62)와, 송출 튜브(63)를 구비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6)는 이산화탄소를 실린더(61)로부터 조절기(62)에 의해 감압하고, 송출 튜브(63)을 통해서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7)는 용매(20)를 저장한 탱크(71)와, 탱크(71)로부터의 용매(20)의 송출 양태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72)과, 송출 튜브(73)와, 용매(20)를 기화시키기 위한 시트형상 히터(74)를 구비하고 있다.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는 밀폐 용기(81)와, 송출 튜브(8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용기(81) 내의 바닥면 위에는 시트형상 히터(74)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형상 히터(74)의 위쪽에는 송출 튜브(73)의 출구 단부(731)가 위치하고 있다. 또, 용기(81) 내에는 송출 튜브(63)의 출구 단부(631)도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장치(10C)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용매 증기 생성부(7)가 작동한다. 즉, 탱크(71) 내의 용매(20)가 송출 튜브(73)의 출구 단부(731)로부터, 시트형상 히터(74) 위에 적하된다. 한편,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는 용매(20)를 기화시키는 온도로 미리 올려 둔다. 용매(20)의 적하 양태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단위 시간당 소정량이 되도록 조절 유닛(72)에 의해 조절되어 있다. 그 결과, 적하된 용매(20)는 순식간에 기화되어서 증기가 되고, 부유 액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는 용기(81) 내의 용매(20)의 증기압이,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에서 용매(20)의 포화 증기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용기(81) 내에 있어서,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가 생성된다.
(2) 이산화탄소 공급부(6)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송출 튜브(63)를 통해서 용기(81) 내에 공급된다. 실린더(61)에는 액화 이산화탄소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3) 그리고, 용기(81) 내에 있어서,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와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4)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송출 튜브(82)을 통하여, 다음 단계의 용도로 쓰인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장치(10C)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의 밀폐 용기(81) 내에는 기체가열용의 히터(83)를 마련해도 된다. 히터(83)의 온도는 실온 이상, 특히 40℃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히터(83)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송출 튜브(82)로부터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지나치게 뜨거워져서 인체 등에 화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히터(83)의 온도는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25℃~100℃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5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20)가, 예를 들면, 물인 경우에는 히터(83)의 온도는 100℃~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히터(83)의 온도는 미리 올려 둔다.
시트형상 히터(74)로는, 예를 들면 금속이나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열판의 이면(裏面)에 전열선을 구비하고 있는 일반적인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히터(74)의 온도는 용매(20)의 비점 부근이 바람직하고, 비점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히터(74)의 온도는 지나치게 높으면, 송출 튜브(82)로부터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지나치게 뜨거워져서 인체 등에 화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히터(74)의 온도는 얻어지는, 경피흡수용 기체의 온도가 25℃~100℃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5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20)가, 예를 들면, 물인 경우에 히터(74)의 온도는 100℃~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20)의 적하 양태로는 다음과 같은 구체예가 있다. 즉, 용매(20)가 물이며, 히터(74)가 120℃로 설정된 금속판인 경우에는, 히터(74)의 4㎠당, 1분 간격 으로 1㎖의 용매(20)를 2초간 적하한다.
이산화탄소는, 용기(81) 내에서의 용매(20)의 증기압이 히터(74)의 온도에서 용매(20)의 포화 증기압의 30% 이상이 되었을 때에 용기(81) 내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81) 내에서의 용매(20)의 증기압은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포화 증기압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용기(81) 내에서의 용매(20)의 증기압이 포화 증기압을 초과하면, 용기(81) 내에 있어서 용매(20)의 부유 액적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용기(81) 내에서의 농도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 되도록 용기(81) 내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81) 내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상한은 없다.
장치(10C)에서는 용매 증기의 생성과, 용매 증기와 이산화탄소의 혼합을, 1개의 용기(81)에서 실시하고 있지만, 부유 액적이 발생되지 않으면 각각 다른 용기에서 실시해도 된다.
용기(81)는 동물 또는 인간에 대한 경피흡수용 기체의 투여부를 겸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용기(81)의 일부를 고무 등으로 된 개폐 커버로 구성하고, 개폐 커버를 열어서 용기(81) 내에 인체 등의 원하는 부위를 넣고, 개폐 커버를 닫고, 그 상태로 장치(10C)를 작동시킨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의 일예에 관한 것이다.
(제조장치)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치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이 장치(100A)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와, 용매 증기 생성부(2)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구비하고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도 겸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1)는 액화 이산화탄소를 수용한 실린더(11)와, 조절기(12)와, 송출 튜브(13)를 구비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1)는 이산화탄소를 실린더(11)로부터 조절기(12)에 의해 감압하고, 송출 튜브(13)를 통해서 용매 증기 생성부(2)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송출 튜브(13)는 내부 직경 5㎜의 실리콘 송출 튜브이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용매(20)를 저장한 탱크(21)와, 탱크(21) 내에 설치된 에어 스톤(22)과, 조인트(23A) 및 송출 튜브(23B)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21)는 폴리프로필렌제로, 직방체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세로 17㎝, 가로 12㎝, 높이 6㎝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에어 스톤(22)은 직방체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탱크(21)의 바닥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있으며, 세로 100㎜, 가로 15㎜, 높이 20㎜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에어 스톤(22)에는 탱크(21)의 측벽을 관통한 송출 튜브(13)가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23A)는 탱크(21)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고 있고, 플라스틱제이며, 길이 25㎜, 내부 직경 2㎜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송출 튜브(23B)는 조인트(23A)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연결하고 있고, 내부 직경 5㎜의 실리콘 송출 튜브이다. 용매(20)의 양은 용매(20)의 액위(201)이 에어 스톤(22)보다 위쪽에 위치하면서, 조인트(23A)의 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부유 액적 제거부(4)는 밀폐 용기(41)와, 밀폐 용기(41) 내에 설치된 히터(42)와, 송출 튜브(43)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튜브(23B)는 밀폐 용기(41) 내에 연통하고 있다.
(작동 조건)
·용매(20)… 탈이온수 500㎖
·히터(42)의 온도… 105℃
·용기(41)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75%
·부유 액적 제거부(4)에서의 가열 시간… 10분간
(작동)
장치(100A)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이산화탄소 공급부(1)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에어 스톤(22)에 공급된다.
(2) 에어 스톤(22)으로부터는 이산화탄소의 미세 기포가 용매(20) 중에 힘차게 방출된다. 그리고, 기포는 용매(20)의 액위(201)에 도달하여 파열되고, 이로 인해,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부유 액적이 생성된다. 한편, 용매(20)는 기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증기도 생성된다.
(3) 탱크(21) 내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용매(20)의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이 경피흡수용 기체에는 용매(20)의 부유 액적도 포함되어 있다.
(4) 경피흡수용 기체는 실린더(11)의 가스압에 의해, 송출 튜브(23B)를 통해서 밀폐 용기(41) 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경피흡수용 기체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고, 이로 인해,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 액적이 증발한다. 이 결과,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얻어진다. 한편, 용기(41) 내에 있어서 온도는 42℃이며, 습도는 90%였다.
(5)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송출 튜브(43)를 통하여 다음 단계의 용도로 쓰인다.
이상과 같이, 장치(100A)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부유 액적의 확인)
용기(41) 내를 손전등으로 비추었지만, 틴들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부유 액적은 존재하고 있지 않았다.
(부유 액적의 정량)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부유 액적의 질량은 0㎎이었다.
(1) 먼저, 직경 90㎜의 거름종이(JIS-P-3801 규격품)와 비통기성의 밀폐식 알루미늄 파우치(세로 11㎝, 가로 11㎝)의 합계 질량을 측정하여 제1측정값을 얻었다.
(2) 다음으로, 거름종이를 핀셋으로 집어서, 용기(41) 내에 30초간 노출시킨 후, 즉시 용기(41) 내에서 알루미늄 파우치에 수납하고, 완전히 밀봉했다. 그리고, 그 합계 질량을 측정하여 제2측정값을 얻었다.
(3) 한편, 용기(41) 내의 온도 및 습도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상기 (2)과 동일하게 하여 제3측정값을 얻었다.
(4) 그리고, 제2측정값과 제1측정값의 차이에서, 제3측정값과 제1측정값의 차이를 뺌으로써 거름종이에 흡착된 부유 액적의 질량을 구했다.
(시험 조건)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의 효과를 구하는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했다. 즉, 남성 피험자가 양말을 벗고 바지를 무릎까지 걷어 올리고, 의자에 걸터앉아서 양쪽 다리를 위쪽이 열린 용기 내에 집어 넣었다. 다음으로, 양쪽 다리 및 용기의 위쪽 개구(開口)를 덮도록 고무 시트를 얹어서 용기를 반밀폐 상태로 했다. 그리고, 송출 튜브(43)를 통해서 온 경피흡수용 기체를 용기 내에 충만시키고 5분간 그 상태를 유지했다. 즉, 남성 피험자의 양쪽 다리를 경피흡수용 기체에 5분간 노출시켰다.
(효과 판정)
남성 피험자의 발등의 혈류량의 증감율을 구함으로써 효과를 판정했다. 혈류량의 측정은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제품명 "OMEGAZONE OZ-1" 오메가 웨이브사 제품)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먼저, 시험 전의 혈류량을 측정했다. 다음으로, 시험 후, 용기로부터 다리를 꺼내어 1분 후 및 2분 후의 혈류량을 측정했다. 표 1은 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1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1의 장치(100A)를 이용했지만, 히터(42)에 통전(通電)하지 않고 이용했다. 또, 하기의 점만 실시예 1과 다르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부유 액적의 확인)
용기(41) 내에 있어서, 송출 튜브(23B)로부터 큰 방울의 액적이 샤워처럼 분출하고, 용기(41)의 바닥부에 단시간에 낙하하여 바닥부를 적셨다.
(부유 액적의 정량)
직경 90㎜의 거름종이(JIS-P-3801 규격품)를 핀셋으로 집어서 송출 튜브(23B)의 앞 10㎝의 거리에 30초간 노출시켰다. 부유 액적의 질량은 41㎎이었다.
(효과 판정)
시험 후의 혈류량의 측정은 1분 후만 실시했다. 표 1은 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고찰)
실시예 1에서는 1분 후의 혈류량이 17.5% 증가하고, 피험자의 다리는 전혀 젖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에서는 왼쪽 다리의 혈류량이 약간 늘어났지만, 오른쪽 다리의 혈류량은 약간 감소했다. 이것은 측정 정밀도의 오차라고 생각되며, 실제로 혈류량의 변화는 없었다고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에 의하면 이산화탄소의 작용을 강하게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2~10]
본 실시예는 제1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의 다른 예에 관한 것이다.
(제조장치)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 장치(100B)는 이산화탄소 공급부(1)와, 용매 증기 생성부(2)와, 부유 액적 제거부(4)를 구비하고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2)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도 겸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1) 및 용매 증기 생성부(2)는 장치(100A)와 동일하다. 그리고, 부유 액적 제거부(4)는 통형상 용기(45)와, 용기(45)의 양단을 닫은 스폰지체(461, 462)와, 용기(45) 내에 충전된 흡착제(47)와, 조인트(46A)와, 조인트(48A) 및 송출 튜브(48B)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튜브(23B)는 스폰지체(461)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조인트(46A)를 통하여 용기(45) 내에 연통하고 있다. 송출 튜브(48B)는 스폰지체(462)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조인트(48A)에 연결되어 있다. 통형상 용기(45)는 플라스틱제이며, 횡단면원형을 가지고 있고, 길이 15㎝, 직경 8㎝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스폰지체(461, 462)는 합성 수지의 발포체이며, 두께 1㎝, 직경 8㎝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작동 조건)
용매(20)의 종류 및 온도, 흡착제(47)의 종류, 및 용기(45)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은 표 2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Figure pct00002
(작동)
장치(100B)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이산화탄소 공급부(1)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에어 스톤(22)에 공급된다.
(2) 에어 스톤(22)으로부터는 이산화탄소의 미세 기포가 용매(20) 중에 힘차게 방출된다. 그리고, 기포는 용매(20)의 액위(201)에 도달하여 파열되고, 이로 인해,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부유 액적이 생성된다. 한편, 용매(20)는 기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탱크(21) 내에서는 용매(20)의 증기도 생성된다.
(3) 탱크(21) 내에서는 이산화탄소와 용매(20)의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이 경피흡수용 기체에는 용매(20)의 부유 액적도 포함되어 있다.
(4) 경피흡수용 기체는 실린더(11)의 가스압에 의해 송출 튜브(23B)를 통하여 용기(45) 내에 공급된다. 한편, 가스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그리고,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는 부유 액적이 흡착제(47)에 흡착된다. 이 결과,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얻어진다.
(5)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는 송출 튜브(48B)를 통하여 다음 단계의 용도로 쓰인다.
이상과 같이, 장치(100B)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부유 액적의 정량)
송출 튜브(48B)를 통해서 온 경피흡수용 기체를, 바닥에 체크 밸브를 가지는 비닐 봉지에, 체크 밸브를 통하여 도입했다. 비닐 봉지는 길이 80㎝, 폭 20㎝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직경 90㎜의 거름종이(JIS-P-3801 규격품)를 핀셋으로 집어서, 비닐 봉지 내의 바닥부에서 30초간 노출시켰다. 부유 액적의 질량은, 실시예 4에서는 8㎎이며, 실시예 7에서는 7㎎이며,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0㎎이었다.
(시험 조건 1)
남성 피험자의 왼팔에, 바닥에 체크 밸브를 가지는 비닐 봉지를 씌웠다. 비닐 봉지는 길이 80㎝, 폭 20㎝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송출 튜브(48B)를 통해서 온 경피흡수용 기체를, 체크 밸브를 통하여 비닐 봉지 내에 도입했다. 그리고, 소정시간만큼 왼팔을 노출시켰다. 그 후, 전술한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를 이용하여 왼팔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노출 전에 측정한 혈류량과 비교했다. 표 2는 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시험 조건 2)
피험자는 오랜 세월, 다리의 냉증으로 고민하고 있는 47세의 여성이다. 체크 밸브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제의 봉지에 피험자의 오른쪽 다리를 스타킹을 신은 채로 넣었다. 한편, 봉지는 길이 80㎝, 폭 20㎝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피험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위에서, 봉지의 입구를 천 벨트로 묶어서 봉지를 밀폐했다. 다음으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경피흡수용 기체를 체크 밸브를 통하여 봉지 내에 주입했다. 그리고, 10분간 오른쪽 다리를 노출시켰다.
주입으로부터 약 1분 후, 피험자는 오른쪽 다리 전체에 아주 강한 온감(溫感)을 얻었지만, 스타킹은 전혀 젖지 않았다. 봉지를 제거한 후에도, 피험자는 오른쪽 다리에 몇 시간 온감을 느꼈다. 피험자는, 왼쪽 다리의 냉증에는 개선을 느끼지 않았다. 이렇게 하여, 피험자는 1일 1회 10분간, 경피흡수용 기체에 대한 노출을 5일간 계속했다. 그 결과, 피험자는 오른쪽 다리의 냉기를 느끼지 않게 되어서, 냉증이 개선되었다.
[비교예 2~5]
본 비교예는 장치(100B)와 비교하여 부유 액적 제거부(4)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장치를 이용했다. 또, 하기의 점만 실시예 2~10과 다르고, 그 외에는 실시예 2~10과 동일하다.
(작동 조건)
용매(20)의 종류 및 온도, 흡착제(47)의 종류, 및 용기(45)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은 표 2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부유 액적의 정량)
실시예 2~10과 동일하게 해서 측정했다. 부유 액적의 질량은, 비교예 2에서는 42㎎이고, 비교예 3에서는 46㎎이었다.
(시험 조건 1)
송출 튜브(23B)를 통해서 온 경피흡수용 기체를, 체크 밸브를 통하여 비닐 봉지 내에 도입했다. 그 외에는 실시예 2~10의 경우와 동일하게 했다. 표 2는 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는 제2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장치)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치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이 장치(100C)는 이산화탄소 공급부(6)와, 용매 증기 생성부(7)와,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6)는 액화 이산화탄소를 수용한 실린더(61)와, 조절기(62)와, 송출 튜브(63A) 및 분출부(63B)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튜브(63A)는 분출부(63B)에 연결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공급부(6)는, 이산화탄소를 실린더(61)로부터 조절기(62)에 의해 감압하고, 송출 튜브(63A) 및 분출부(63B)을 통하여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송출 튜브(63A)는 내부 직경 3㎜의 놋쇠 파이프이며,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의 상자체(81A)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분출부(63B)는 내부 직경 3㎜의 놋쇠 파이프를, 용매 증기 생성부(7)의 시트형상 히터(74)를 둘러싸도록 환상(環狀)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분출부(63B)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정사각형을 가지고 있고, 그 한 변은 17㎝이다. 또, 분출부(63B)에는 직경 1㎜의 상향 분출구(630)가 1㎝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매 증기 생성부(7)는 용매(20)를 저장한 탱크(71)와, 탱크(71)로부터의 용매(20)의 공급 양태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72)과, 송출 튜브(73)와, 용매(20)를 기화시키기 위한 시트형상 히터(74)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유닛(72)은 개폐 시간 및 개폐 간격을 자동조절할 수 있는 전동 밸브를 가지고 있다. 시트형상 히터(74)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의 상자체(81A)의 바닥면 중앙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3㎝의 깊이로 설치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봤을 때 정사각형을 가지고 있고, 한 변 15㎝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송출 튜브(73)는 내부 직경 3㎜의 스테인리스 파이프이고, 시트형상 히터(74)의 중앙의 위쪽까지 연장되며, 아래쪽을 향하여 90도 구부러져 있다.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는 위쪽이 열린 상자체(81A)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81A)는 스테인리스제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 정사각형을 가지고 있고, 높이 40㎝, 한 변 35㎝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상자체(81A) 위쪽 개구는 고무 커버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또, 상자체(81A)의 4개의 측벽에는 시트형상 히터(83)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 조건)
·용매(20)… 탈이온수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 105℃
·송출 튜브(73)로부터의 용매(20)의 공급 양태… 30초마다 1㎖를 단속적으로 적하
·시트형상 히터(83)의 온도… 50℃
·상자체(81A)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75%
(작동)
장치(100C)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용매 증기 생성부(7)가 작동한다. 즉, 탱크(71) 내의 용매(20)가 송출 튜브(73)의 출구 단부(731)로부터 시트형상 히터(74) 위에 적하된다. 한편, 시트형상 히터(74)는 105℃로 미리 올려 둔다. 용매(20)의 적하 양태는 30초마다 1㎖가 단속적으로 적하되도록, 조절 유닛(72)에 의해 조절되고 있다. 그 결과, 적하된 용매(20)는 순간적으로 증발하여 증기가 되고, 부유 액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는, 상자체(81A) 내의 용매(20)의 증기압이,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에서 용매(20)의 포화 증기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자체(81A) 내에 있어서,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가 생성된다.
(2) 이산화탄소 공급부(6)가 작동하여 기체성 이산화탄소가 상자체(81A) 내에 공급된다. 실린더(61)에는 액화 이산화탄소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3) 그리고, 상자체(81A) 내에 있어서,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와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용매 증기가 혼합되고, 양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가 생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생성된 경피흡수용 기체는 부유 액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장치(100C)에 의하면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다.
(부유 액적의 정량)
거름종이를 핀셋으로 집어서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8) 내에 30초간 노출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 부유 액적의 질량은 0㎎이었다.
(시험 조건)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효과 판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6]
장치(100C)를 이용했지만, 탱크(71)로부터는 용매(20)를 공급하지 않고, 상자체(81A) 내에 용매(20)를 100㎖ 넣어 두었다. 따라서, 부유 액적을 발생시켰다. 그 외에는 하기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작동 조건)
·용매(20)… 탈이온수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 105℃
·송출 튜브(73)로부터의 용매(20)의 공급 양태… 급수하지 않음
·시트형상 히터(83)의 온도… 50℃
·상자체(81A)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75%
(부유 액적의 확인)
상자체(81A) 내에 다량의 흰 안개 형상의 부유 액적이 인정되었다.
(부유 액적의 정량)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부유 액적의 질량은 33㎎이었다.
(시험 조건)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효과 판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7]
장치(100C)를 이용했지만,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지 않았다. 그 외에는 하기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작동 조건)
·시트형상 히터(74)의 온도… 105℃
·송출 튜브(73)로부터의 용매(20)의 공급 양태… 30초마다 1㎖를 단속적으로 적하
·시트형상 히터(83)의 온도… 50℃
·상자체(81A)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0%
(부유 액적의 확인)
상자체(81A) 내를 손전등으로 비추었지만, 틴들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부유 액적의 정량)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부유 액적의 질량은 0㎎이었다.
(시험 조건)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효과 판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결과)
실시예 11 및 비교예 6, 7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고찰)
·실시예 11에 있어서, 혈류량 평균 증가율은 1분 후에는 42.6%, 2분 후에는 37.0%였다. 따라서, 실시예 11은 혈류량 증가 작용이 강할 뿐만 아니라, 혈류량 증가 작용의 지속성도 양호했다. 또, 피험자의 다리는 전혀 젖지 않았다.
·비교예 6에서는 대량의 부유 액적이 발생하여, 상자체(81A)의 내벽 등에 다량의 결로가 인정되며, 습도는 95%가 되고, 온도는 45℃에 달했다. 피험자의 다리는 증기로 전체가 젖고, 피험자는 견디기 힘든 뜨거움을 느꼈지만 참았다. 혈류량 평균 증가율은 1분 후에는 24.5%에 머물렀다. 또, 2분 후에는 -1.6%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고온의 부유 액적에 의한 피부 온도의 급상승의 리바운드 현상이라고 추측되었다.
·비교예 7에서는 가열 수증기만이 발생하고, 부유 액적은 발생하지 않았다. 상자체(81A) 내의 온도는 38℃로 상승했다. 그 결과, 혈류량 평균 증가율은 1분 후에는 36.8%였지만, 2분 후에는 19.2%에 머물렀다. 피험자의 다리는 전혀 젖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1은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에 의한 효과를 강하게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지속성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12]
상자체(81A)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30%로 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했다.
(부유 액적의 확인)
상자체(81A) 내를 손전등으로 비추었지만, 틴들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부유 액적의 정량)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부유 액적의 질량은 0㎎이었다.
(결과)
실시예 12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고찰)
실시예 12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30%에 지나지 않았지만, 혈류량 평균 증가율은, 1분 후에는 42.1%, 2분 후에는 29.2%였다. 따라서, 실시예 12는 이산화탄소의 경피흡수에 의한 효과를 강하게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지속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는, 용매의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크다.
1, 6: 이산화탄소 공급부
2, 7: 용매 증기 생성부
4: 부유 액적 제거부
42: 히터(가열 수단)
47: 흡착제(흡착 수단)
74: 시트형상 히터(가열 수단)
8: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

Claims (22)

  1.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부와,
    공급된 상기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상기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상기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부를 포함하고, 추가로
    (1) 생성된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상기 용매의 부유(浮遊)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부,
    또는
    (2) 생성되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액적 제거부가,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액적 제거부가,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이, 화학 흡착제 또는 물리 흡착제인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입 방지 수단이, 상기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 및 상기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용매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상기 용매 증기 생성부인,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액화 이산화탄소를 기화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상기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가, 상기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증기 생성부가, 상기 용매를, 그 온도에서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증기 생성부가, 상기 용매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11. 기체성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체성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과,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가능하면서 기화성인, 용매의 증기를 생성하는 용매 증기 생성 공정과,
    공급된 상기 이산화탄소와 생성된 상기 용매 증기를 혼합하여 기체성 상기 이산화탄소-용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를 생성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생성 공정을 포함하고, 추가로
    (1) 생성된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로부터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을 제거하는 부유 액적 제거 공정,
    또는
    (2) 생성되는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상기 용매의 부유 액적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혼입 방지 공정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이,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액적 제거 공정이, 상기 경피흡수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공정이, 화학 흡착제 또는 물리 흡착제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입 방지 공정이, 상기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 및 상기 부유 액적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용매 증기를 생성하는 상기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인,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액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상기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증발시키는 가열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 공정이, 상기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이, 상기 용매를, 그 온도에서 포화 증기압 이하의 증기압이 되도록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증기 생성 공정이, 상기 용매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유 액적을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22. 제11항 내지 제20항에 중 어느 한 항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용 기체.
KR1020147034986A 2013-07-04 2014-06-19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KR20160026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0896 2013-07-04
JPJP-P-2013-140896 2013-07-04
PCT/JP2014/066243 WO2015001964A1 (ja) 2013-07-04 2014-06-19 経皮吸収用気体製造装置、経皮吸収用気体製造方法、及び経皮吸収用気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19A true KR20160026619A (ko) 2016-03-09

Family

ID=5214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986A KR20160026619A (ko) 2013-07-04 2014-06-19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51411A1 (ko)
EP (1) EP3017803A4 (ko)
JP (1) JP6523165B2 (ko)
KR (1) KR20160026619A (ko)
CN (1) CN104661631A (ko)
RU (1) RU2015150680A (ko)
TW (1) TW201536270A (ko)
WO (1) WO2015001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683B2 (en) * 2017-12-29 2021-10-26 Koninklijke Philips N.V. Humidifier and airway pressure support system including same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606A (ja) 1984-04-12 1985-10-29 Kao Corp パツク剤
JPH07171189A (ja) 1993-12-17 1995-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0319187A (ja)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WO2002080941A1 (fr) 2001-04-06 2002-10-17 Masaya Tanaka Compositions destinees a preparer des agents exterieurs du dioxyde de carbone
WO2003057228A1 (fr) 2001-12-28 2003-07-17 Neochemir Inc. Compositions a base de dioxyde de carbone pour usage externe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04002393A1 (ja) 2002-07-01 2004-01-08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投与装置
WO2004004745A1 (ja) 2002-07-05 2004-01-15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剤及び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材料
WO2005016290A1 (ja) 2003-08-19 2005-02-24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ゲル調製用組成物と二酸化炭素外用ゲル
JP2006034614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6034613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WO2006080398A1 (ja) 2005-01-28 2006-08-03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JP2006263253A (ja)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7252871A (ja) 2006-03-23 2007-10-04 Yoshiharu Kato 炭酸ガス浴装置
JP2009011695A (ja) 2007-07-09 2009-01-2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183625A (ja) 2008-02-08 2009-08-20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183626A (ja) 2008-02-08 2009-08-20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254726A (ja) 2008-04-21 2009-11-05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10029265A (ja) 2008-07-25 2010-02-1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システム
JP2010029267A (ja) 2008-07-25 2010-02-1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536U (ko) * 1986-02-06 1987-08-14
JPH06254133A (ja) * 1993-03-03 1994-09-13 Aisin Seiki Co Ltd スチーム発生装置
WO2004078185A1 (ja) * 2003-03-04 2004-09-16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の経皮経粘膜吸収方法および美容方法、並びに治療方法
JP2006192256A (ja) * 2004-12-13 2006-07-27 San Stone:Kk 全身美容方法
TWI345451B (en) * 2007-10-25 2011-07-21 Neochemir Inc Use of means to supply carbon dioxide for increasing muscle force and a method to increase meat production of livestock thereby
WO2009126121A1 (en) * 2008-04-09 2009-10-15 Bio Bath Corporation Mobile apparatus for the dispers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pharmaceutical, medical or purified carbon dioxide gas
US20120116291A1 (en) * 2009-07-14 2012-05-10 Kuninobu Mogi Device for percutaneous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gas, method for percutaneous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gas, and envelope body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606A (ja) 1984-04-12 1985-10-29 Kao Corp パツク剤
JPH07171189A (ja) 1993-12-17 1995-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0319187A (ja)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WO2002080941A1 (fr) 2001-04-06 2002-10-17 Masaya Tanaka Compositions destinees a preparer des agents exterieurs du dioxyde de carbone
WO2003057228A1 (fr) 2001-12-28 2003-07-17 Neochemir Inc. Compositions a base de dioxyde de carbone pour usage externe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04002393A1 (ja) 2002-07-01 2004-01-08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投与装置
WO2004004745A1 (ja) 2002-07-05 2004-01-15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剤及び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材料
WO2005016290A1 (ja) 2003-08-19 2005-02-24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ゲル調製用組成物と二酸化炭素外用ゲル
JP2006034614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6034613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WO2006080398A1 (ja) 2005-01-28 2006-08-03 Neochemir Inc.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JP2006263253A (ja)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行促進装置
JP2007252871A (ja) 2006-03-23 2007-10-04 Yoshiharu Kato 炭酸ガス浴装置
JP2009011695A (ja) 2007-07-09 2009-01-2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183625A (ja) 2008-02-08 2009-08-20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183626A (ja) 2008-02-08 2009-08-20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09254726A (ja) 2008-04-21 2009-11-05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装置
JP2010029265A (ja) 2008-07-25 2010-02-1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システム
JP2010029267A (ja) 2008-07-25 2010-02-12 Shoichi Nakamura 炭酸ガス圧浴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Peterson, W.Klemperer, J.Chem.Phys. 1984, 80, 2439.
P.A.Block, M.D.Marshall, L.G.Pedersen, R.E.Miller, J.Chem.Phys. 1992, 96, 7321.
히요시 토시키, 인공 탄산천욕제에 의한 욕창(褥創; decubitus) 치료에 대하여, 소우고 리하 17(8), 605-9, 19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61631A (zh) 2015-05-27
JP6523165B2 (ja) 2019-05-29
US20160151411A1 (en) 2016-06-02
RU2015150680A (ru) 2017-08-09
JPWO2015001964A1 (ja) 2017-02-23
WO2015001964A1 (ja) 2015-01-08
EP3017803A4 (en) 2017-05-10
EP3017803A1 (en) 2016-05-11
TW201536270A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183A (ko) 개선된 약물 전달 장치 및 방법
HK10968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embran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CA2755580A1 (en) Tobacco-based nicotine aerosol generation system
US3482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porating volatile solutions of air treatment substances
AU2015288367B2 (en) Metal-organic framework materials in gases delivery systems
US2015029679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ositions Involving Chlorine Dioxide and Zeolite
KR20160026619A (ko)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장치, 경피흡수용 기체 제조방법, 및 경피흡수용 기체
NZ581196A (en) Gel humidifier with semi-permeable membrane for use with tobacco products
JP2007252777A (ja) 揮散性物質揮散調節材、揮散性物質揮散調節濾材、揮散性物質揮散制御方法および揮散性物質揮散制御装置
KR102614274B1 (ko) 전자 담배 장치의 작동 중 유기산 형성을 위한 증기-전 제제
KR20120083975A (ko) 과산화수소수 분해를 이용한 산소발생 가습기
TW201503883A (zh) 二氧化碳施與裝置
US8563046B2 (en) Compositions, systems, and/or methods involving chlorine dioxide (“ClO2”)
JP3149817U (ja) 蒸気を発生させる構造の簡易消臭・抗菌装置
JP6413141B2 (ja) 空気中の湿度を湿気中co2を除去しながら上昇させる加湿方法および加湿装置
CN108157394A (zh) 一种迷迭香型驱虫剂
JPH076909Y2 (ja) 人工呼吸器用加湿エレメント
JP3786244B2 (ja) ヒノキチオール含有の水蒸気を発生させ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ES2293835B1 (es) Catalizador mineralogico para el filtrado de humos y su proceso de fabricacion.
RU2329748C2 (ru) Способ употребления табака
JP2001095911A (ja) 薬剤発散具
WO2011152704A1 (en) Inhaler device and assembly of such an inhaler device and at least one carrier body
JPH1170156A (ja) フォルムアルデヒド中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