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739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739A
KR20070094739A KR1020077012842A KR20077012842A KR20070094739A KR 20070094739 A KR20070094739 A KR 20070094739A KR 1020077012842 A KR1020077012842 A KR 1020077012842A KR 20077012842 A KR20077012842 A KR 20077012842A KR 20070094739 A KR20070094739 A KR 20070094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nent
polycarbonat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376B1 (ko
Inventor
유스케 하야타
아키오 노데라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저온에 있어서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외관이 양호한 성형체를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a-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 내지 97질량% 및 (a-2) 지방산 폴리에스터 55 내지 3질량%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과, 그 100질량부당 (B) 고무상 탄성체 0.5 내지 20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B) 성분이 (a-1) 성분에 분산되어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에 있어서 높은 내충격성을 갖고, 기계적 물성, 유동성 향상 및 외관 불량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OA 기기, 정보·통신 기기, 가정 전화 기기 등의 전기·전자 기기나, 자동차 분야, 건축 분야 등에 이용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락트산 알로이(alloy)는, 폴리락트산이 식물 유래의 수지이기 때문에, 환경 부하 저감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이하, PC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유동성이 낮지만, 폴리락트산이 갖는 고유동성의 특성으로부터, 알로이화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동화에 유효하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그의 구조상, 폴리카보네이트와 알로이화하여 연소시키더라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적은 것으로 여겨져, OA 기기나 가전 등의 난연 규격이 필요한 분야에서도 그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는 수지이다.
종래의 PC/폴리에스터 알로이는,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지만 유동성이 부족하여, PC의 고유동화에는 일반적으로 스타이렌계 수지와의 알로이화나 가소제의 첨가 등이 행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PC/폴리에스터 알로이는, 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수지간의 에스터 교환 반응에 의해, 내충격성, 난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PC/폴리락트산 알로이도 마찬가지로 내충격성이 낮아, 개량의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알로이의 내충격성 향상에는, 고무상 탄성체의 첨가가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PC/폴리락트산 알로이에 아크릴 골격을 갖는 고무상 탄성체를 첨가하면, 폴리락트산과 아크릴의 친화성으로 인해, 고무상 탄성체가 폴리락트산에 분산되어, 높은 충격 특성과 고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충분하지는 않아, 저온에 있어서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PC/폴리락트산 알로이는 PC와 폴리락트산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진주 광택의 외관 불량 현상이 생긴다. 이 외관 불량은 진주 광택의 광택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고, 더욱이 성형품의 후처리 공정, 예컨대 도장이나 도금 공정에서 공정수가 늘어나는 등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고 제1995-6844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외관이 양호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한 비율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지방산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에, 고무상 탄성체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따라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A) (a-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 내지 97질량% 및 (a-2) 지방산 폴리에스터 55 내지 3질량%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과, 그 100질량부당 (B) 고무상 탄성체 0.5 내지 20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B) 성분이 (a-1)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a-1) 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상기 1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a-2) 성분의 지방산 폴리에스터가, 폴리락트산 및/또는 락트산류와 다른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공중합체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B) 성분의 고무상 탄성체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계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구조를 갖는 코어·쉘 고무 및 폴리에터 구조를 갖는 코어·쉘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무상 탄성체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OA 기기, 정보·통신 기기, 자동차 부품 또는 가정 전화 기기용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발명의 효과
고무상 탄성체를 PC 수지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PC 수지/지방산 폴리에스터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PC 수지 중에 분산된 고무상 탄성체에 의해 빛의 확산이 일어나기 때문에, 성형체의 외관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난연성도 향상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성분에 있어서의 (a-1) 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여러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가 적합하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할로젠 원자(예컨대, 염소, 불소, 브롬, 요오드)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각종 뷰틸기(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각종 펜틸기, 각종 헥실기, 각종 헵틸기, 각종 옥틸기)이다.
m 및 n은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고, m이 2 내지 4인 경우는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n이 2 내지 4인 경우는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Z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리덴기(예컨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에틸리덴기, 아이소프로필리덴기 등),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예컨대,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펜틸리덴기, 사이클로헥실리덴기 등), 또는 단일 결합, -SO2-, -SO-, -S-, -O-, -CO- 결합, 또는 다음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결합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2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3
상기 중합체는, 통상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가 페놀과, 포스젠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4
[식 중, R1, R2, Z, m 및 n은 상기 화학식 1과 같다.]
즉, 예컨대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 중에 있어서, 공지된 산 수용체나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2가 페놀과 포스젠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가 페놀과 탄산 에스터 화합물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터 교환 반응 등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가 페놀로서는 다양한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통칭, 비스페놀 A]이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 이외의 2가 페놀로서는, 예컨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등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데케인 등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케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 2가 페놀로서는, 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페놀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탄산 에스터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아릴카보네이트,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다이에틸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알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2가 페놀의 1종을 이용한 호모폴리머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이용한 코폴리머일 수도 있다.
또한,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을 상기 2가 페놀과 병용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랜덤 분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도 있다.
그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분지제로 일컬어지고, 구체적으로는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α,α',α"-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1,3,5-트라이아이소프로필벤젠, 1-[α-메틸-α-(4'-하이드록시페닐)에틸]-4-[α', 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벤젠, 플루오로글리신, 트라이멜리트산, 이사틴비스(o-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예컨대 타플론(Taflon) FN3000A, FN2500A, FN2200A, FN1900A, FN1700A, FN1500[상품명, 이데미쓰고산(주)제]와 같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시판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상기 2가 페놀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독 중합체 외에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이하, PC-POS 공중합체로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PC-POS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고, 내충격성이 상승하는 동시에, 난연성도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PC-POS 공중합체 단독이 보다 바람직하다.
PC-POS 공중합체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의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부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의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5
[식 중, R1, R2, Z, m 및 n은 상기와 같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6
[식 중, R3, R4 및 R5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등) 또는 페닐기이며, p 및 q는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지만, p와 q의 합계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부의 중합도는 3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의 중합도는 2 내지 500이 바람직하다.
상기 PC-POS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부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PC-POS 공중합체는, 예컨대 미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부를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이하, PC 올리고머로 약칭한다)와, 폴리오가노실록세인부를 구성하는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예컨대,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폴리다이에틸실록세인 등의 폴리다이알킬실록세인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세인 등)을, 염화메틸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폼 등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비스페놀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촉매로서 트라이에틸아민이나 트라이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이용하여, 계면 중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고 제1969-3010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이나 일본 특허공고 제1970-2051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PC-POS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PC 올리고머는, 용제법, 즉 염화메틸렌 등의 용제 중에서 공지된 산 수용체,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가 페놀과, 포스젠 또는 탄산 에스터 화합물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 중에 있어서, 공지된 산 수용체나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하에서, 2가 페놀과 포스젠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또는 2가 페놀과 탄산 에스터 화합물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터 교환 반응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탄산 에스터화합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분자량 조절제로서는 후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C-POS 공중합체의 제조에 제공되는 PC 올리고머는, 상기 2가 페놀 1종을 이용한 호모폴리머일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이용한 코폴리머일 수도 있다.
또한,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을 상기 2가 페놀과 병용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랜덤 분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말단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도 적합하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7
[식 중, R6은 탄소수 1 내지 3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5에 있어서, R6은 탄소수 1 내지 35의 알킬기이며, 직쇄상의 것이라도 분지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결합의 위치는, p위치, m위치, o위치의 어느 것이나 좋지만 p위치가 바람직하다.
이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말단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가 페놀과 포스젠 또는 탄산 에스터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 중에 있어서, 트라이에틸아민 등의 촉매와 특정한 말단 정지제의 존재하에서, 2가 페놀과 포스젠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또는 2가 페놀과 다이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터 교환 반응 등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2가 페놀로서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같은 것이라도 좋고, 또는 다른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2가 페놀 1종을 이용한 호모폴리머라도, 2종 이상을 이용한 코폴리머라도 좋다.
또한,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을 상기 2가 페놀과 병용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랜덤 분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라도 좋다.
탄산 에스터 화합물로서는, 상기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아릴카보네이트나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다이에틸카보네이트 등의 다이알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말단 정지제로서는,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말단기가 형성되는 페놀 화합물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즉,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8
[식 중, R6은 탄소수 1 내지 3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알킬페놀로서는, 페놀, p-크레졸, p-tert-뷰틸페놀, p-tert-옥틸페놀, p-큐밀페놀, p-노닐페놀, 도코실페놀, 테트라코실페놀, 헥사코실페놀, 옥타코실페놀, 트라이아콘틸페놀, 도트라이아콘틸페놀, 테트라트라이아콘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알킬페놀은,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페놀 화합물 등을 병용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실질적으로 분자의 편말단 또는 양말단에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말단기를 갖는 것이다.
이 (a-1)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그 점도 평균 분자량이 통상 10,000 내지 40,000이다. 이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나 기계적 성질이 충분하고, 또한 이 점도 평균 분자량이 4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4,000 내지 25,000이며, 기계적 물성 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00 내지 22,000이다.
한편, 점도 평균 분자량(Mv)은, 우벨로데형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이용하여, 20℃에서의 염화메틸렌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 점도[η]를 구하고, [η]=1.23×10-5Mv0.83의 식에 의해 산출한 값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성분에 있어서의 (a-2) 성분의 지방산 폴리에스터로서는,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류와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통상 락타이드라고 일컬어지는 락트산의 환상 2량체로부터 개환 중합에 의해 합성되고, 그의 제조방법은 미국특허 제1,995,970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2,362,511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2,683,136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락트산과 그 밖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공중합체는, 통상 락타이드와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환상 에스터 중간체로부터 개환 중합에 의해 합성되고, 그의 제조방법은 미국특허 제3,635,956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3,797,499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다.
개환 중합에 의하지 않고, 직접 탈수 중축합에 의해 락트산계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락트산류와 필요에 따라 다른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을,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특히 페닐에터계 용매의 존재하에서 공비(共沸) 탈수 축합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비에 의해 추출한 용매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실질적으로 무수 상태로 한 용매를 반응계로 되돌리는 방법에 의해서 중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적합한 중합도의 락트산계 수지가 얻어진다.
원료의 락트산류로서는, L-락트산, D-락트산, 그의 혼합물 또는 락트산의 2량체인 락타이드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락트산류와 병용할 수 있는 다른 하이드록시카복실산류로서는, 글라이콜산, 3-하이드록시뷰티르산, 4-하이드록시뷰티르산, 4-하이드록시발레르산, 5-하이드록시발레르산, 6-하이드록시카프론산 등이 있고, 또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환상 에스터 중간체, 예컨대 글라이콜산의 2량체인 글라이콜라이드나 6-하이드록시카프론산의 환상 에스터인 ε-카프로락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락트산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적당한 분자량 조절제, 분지제, 그 밖의 개질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락트산류 및 공중합체 성분으로서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류는, 어느 것이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얻어진 락트산계 수지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a-2) 성분의 지방산 폴리에스터는 분자량이 큰 것이 열적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 폴리에스터로서는, 내구성, 강성 및 생물적 분해성의 면에서, 폴리락트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수지 혼합물에 있어서, (a-1) 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a-2) 성분의 지방산 폴리에스터의 함유 비율은 질량비로 45:55 내지 97:3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90:10의 범위이다.
(a-1) 성분과 (a-2) 성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및 성형 안정성이 양호하다. 또한, (a-1) 성분에의 고무상 탄성체의 분산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B) 성분의 고무상 탄성체는 PC 수지에 분산시켜,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합하는 것이다.
이 고무상 탄성체는, PC 수지 중에 선택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 PC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계 공중합체나, 폴리아마이드 구조, 폴리에터 구조 등을 쉘에 갖는 코어·쉘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고무상 탄성체의 형상 안정성의 면에서,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계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마이드 구조를 갖는 고무상 탄성체로서는, 하드 세그먼트로서 폴리아마이드, 예컨대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66, 폴리아마이드 12 등을 사용하 고,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폴리에터, 예컨대 PEG, PPG, PMEG 등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고무상 탄성체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nm이다. 고무상 탄성체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분산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에 대한 향상 효과가 크다.
코어·쉘 타입의 고무상 탄성체는, 코어(심)와, 쉘(껍데기)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코어 부분은 연질인 고무 상태이고, 그 표면의 쉘 부분은 경질인 수지 상태이며, 고무상 탄성체 자체가 분말상(입자 상태)인 그래프트 고무상 탄성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B) 성분의 고무상 탄성체는, PC 수지 및 지방산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과 용융 블렌딩한 후에도, 그 입자 상태는 대부분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여, PC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이 PC 수지 중에 분산된 고무상 탄성체에 의해 빛이 확산되기 때문에, 진주 광택 발생 등의 외관 불량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고무상 탄성체에 (a-2) 성분에 분산될 수 있는 고무상 탄성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무상 탄성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알킬이나 메타크릴산알킬, 다이메틸실록세인을 주체로 하는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그래프트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 스타이렌 등의 바이닐계 단량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고무상 탄성체의 배합량은, (a-1) 성분에 분산될 수 있는 고무상 탄성체에 대하여, 200질량% 이하의 비율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고무상 탄성체의 배합량은, (A) 성분의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질량부이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폴리락트산의 유동성 향상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1) 성분, (a-2) 성분 및 (B) 성분과,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배합 및 혼련은,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 예컨대 리본 블렌더(ribbon blender), 헨셀 믹서(Henschel mixer), 뱀버리 믹서(Bambury mixer), 드럼 텀블러(drum tumbler),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코니더(cokneader), 다축 스크류 압출기 등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한편, 용융 혼련시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통상 220 내지 26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온도도, 통상 220 내지 26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PC-2; PC-PDMS(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공중합체의 제조]
(1) PC 올리고머의 제조
400L의 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60kg의 비스페놀 A를 용해시켜,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실온으로 유지한 이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38L/시간의 유량으로, 또한 염화메틸렌을 69L/시간의 유량으로, 내경 10mm, 관 길이 10m의 관형 반응기에 오리피스 판을 통해서 도입하고, 이것에 포스젠을 병류하여 10.7kg/시간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3시간 연속적으로 반응시켰다.
여기서 이용한 관형 반응기는 2중관으로 되어 있고, 쟈켓 부분에는 냉각수를 통해서 반응액의 배출 온도를 25℃로 유지했다.
또한, 배출액의 pH는 10 내지 11이 되도록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반응액을 정치함으로써 수상을 분리, 제거하여 염화메틸렌상(220리터)을 채취하여, PC 올리고머(농도 317g/리터)를 얻었다.
얻어진 PC 올리고머의 중합도는 2 내지 4이며, 클로로폼에이트기의 농도는 0.7몰/L였다.
(2) 반응성 PDMS의 제조
1,483g의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96g의 1,1,3,3-테트라메틸다이실록세인 및 35g의 86질량% 황산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7시간 교반했다.
그 후, 오일상을 분리하고, 25g의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1시간 교반했다.
여과한 후, 150℃, 3torr(400Pa)에서 진공 증류하여, 저비점물을 제거하고 오일을 얻었다.
60g의 2-알릴페놀과 0.0014g의 염화백금-알콜레이트 착체로서의 백금의 혼합물에, 상기에서 얻은 오일 294g을 90℃의 온도에서 첨가했다.
이 혼합물을 90 내지 11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3시간 교반했다.
생성물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고, 80질량%의 수성 메탄올로 3회 세정하여, 과잉의 2-알릴페놀을 제거했다.
그 생성물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 중에서 115℃의 온도까지 용제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말단 페놀의 반응성 PDMS는 NMR의 측정에 의해, 다이메틸실란옥시 단위의 반복수는 30이었다.
(3) PC-PDMS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2)에서 얻은 반응성 PDMS 138g을 염화메틸렌 2L에 용해시켜, 상기 (1)에서 얻은 PC 올리고머 10L를 혼합했다.
거기에, 수산화나트륨 26g을 물 1L에 용해시킨 것과, 트라이에틸아민 5.7ml를 가하여, 500rpm으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상기 반응계에 5.2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L에 비스페놀 A 600g을 용해시킨 것, 염화메틸렌 8L 및 p-tert-뷰틸페놀 96g을 가하고, 500rpm으로 실온에서 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염화메틸렌 5L를 가하고, 또한 물 5L로 수세, 0.03몰/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L로 알칼리 세정, 0.2몰/L 염산 5L로 산 세정, 및 물 5L로 수세 2회를 순차적으로 행하고, 최후에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여, 플레이크상의 PC-PDMS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PC-PDMS 공중합체를 12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했다. 점도 평균 분자량은 17,000이며, PDMS 함유율은 4.0질량%였다. 한편, PDMS 함유율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구했다.
1H-NMR에서 1.7ppm에 보이는 비스페놀 A의 아이소프로필의 메틸기의 피크와, 0.2ppm에 보이는 다이메틸실록세인의 메틸기의 피크의 강도비를 기초로 하여 구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각 성분을 배합하고, 벤트식 2축 압출 성형기[기종명: TEM35, 도시바기계(주)제]에 공급하여, 240℃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렛화했다. 한편,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안정제로서 인계 산화방지제[아사히덴카공업(주)제, 상품명: 아데카스탑(Adekastab) PEP36] 및 페놀계 산화방지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주)제, 상품명: 이르가녹스(Irganox) 1076]를 각각 0.1질량부 배합했다.
수득된 펠렛을 100℃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성형 온도 240℃, 금형 온도 40℃에서 사출 성형하여 시험편을 수득했다. 수득된 시험편을 이용하여, 성능을 하기 각종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용한 배합 성분 및 성능 평가 방법을 다음에 나타낸다.
[배합 성분]
(a-1) 성분:
(PC-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FN1700A[이데미쓰고산(주)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점도 평균 분자량=17,500, 분자 말단은 p-tert-뷰틸페놀 잔기]
(PC-2): 폴리카보네이트-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PDMS)(제조예 1 참조)
(a-2) 성분:
(PLA): 폴리락트산; H100[미쓰이화학(주)제]
(B) 성분:
고무상 탄성체-1: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실리콘 엘라스토머; SRK-200[미쓰비시레이온(주)제]
고무상 탄성체-2: 아크릴/뷰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W450A[미쓰비시레이온(주)제]
[성능 평가 방법]
(1) 굴곡 탄성율
ASTM D-790에 준거하여, 시험편으로서 두께 4mm의 것을 이용하여, 23℃에서 측정했다. 단위: MPa
(2) 유동성(SFL)
성형 온도 260℃, 금형 온도 40℃, 두께 2mm, 폭 10mm, 사출 압력 7.85MPa에서 측정했다. 단위: cm
(3) 산소 지수(LOI)
ASTM D286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단위: %
(4) 성형품 외관
100×100×2mm 사각판을 성형하여, 육안 관찰했다. 유동 불균일이 적은 것을 ○, 유동 불균일이 없는 것을 ◎로 했다.
(5) IZOD(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에 준거하여, 시험편으로서 두께 3.18mm의 것을 이용하여, 23℃ 및 -30℃에서 측정했다. 단위: kJ/m2
Figure 112007041405252-PCT00009
표 1로부터 이하의 것이 밝혀졌다.
(1) 실시예 1 내지 4
PC 수지/폴리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에 있어서 PC 수지에 고무상 탄성체를 분산시킴으로써, PC 수지/폴리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이 수지 혼합물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아크릴 구조의 고무상 탄성체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것 외에 PC 수지 중에 분산된 고무상 탄성체에 의해 빛의 확산이 일어나, 진주 광택의 외관 불량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PC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실리콘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난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투과형 현미경 사진을 촬영한 바, 폴리락트산 중에는 고무상 탄성체가 분산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고무상 탄성체-1이 PC 수지에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2) 비교예 1
고무상 탄성체를 첨가하지 않으면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낮고, 진주 광택의 외관 불량이 생기게 된다. 또한, 유동성도 낮다.
(3) 비교예 2
아크릴 구조의 고무상 탄성체는 폴리락트산에 분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시예 4와 비교하면, 유동성, 강성이 저하되고, 저온에서의 내충격성도 낮다.
(4) 비교예 3
(a-1) 성분과 (a-2) 성분의 수지 혼합물에 있어서의 PC 수지의 배합량이 50질량%보다 적으면 고무상 탄성체를 배합한 것에 의한 내충격성 향상 효과가 낮다.
(5) 비교예 4
고무상 탄성체의 배합량이 20질량부보다도 많으면 분산 불량으로 인해 성형품에 박리가 생기고, 강성도 현저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에 있어서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OA 기기, 정보·통신 기기, 가정 전화 기기 등의 전기·전자 기기나, 자동차 분야, 건축 분야 등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6)

  1. (A) (a-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5 내지 97질량% 및 (a-2) 지방산 폴리에스터 55 내지 3질량%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과, 그 100질량부당 (B) 고무상 탄성체 0.5 내지 20질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B) 성분이 (a-1)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1) 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2) 성분의 지방산 폴리에스터가, 폴리락트산 및/또는 락트산류와 다른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고무상 탄성체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계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구조를 갖는 코어·쉘 고무 및 폴리에터 구조를 갖는 코어·쉘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무상 탄성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OA 기기, 정보·통신 기기, 자동차 부품 또는 가정 전화 기기용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
KR1020077012842A 2004-12-08 2005-12-0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1275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5836A JP5177940B2 (ja) 2004-12-08 2004-12-08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JP-P-2004-00355836 200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739A true KR20070094739A (ko) 2007-09-21
KR101275376B1 KR101275376B1 (ko) 2013-06-14

Family

ID=3657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842A KR101275376B1 (ko) 2004-12-08 2005-12-0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03735B2 (ko)
JP (1) JP5177940B2 (ko)
KR (1) KR101275376B1 (ko)
CN (1) CN101076567B (ko)
DE (1) DE112005003036T5 (ko)
TW (1) TWI383022B (ko)
WO (1) WO20060620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183A (ko) * 2012-09-14 2015-05-2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2804B2 (ja) * 2008-05-07 2013-11-13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9193864B2 (en) * 2012-06-22 2015-11-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JP6098312B2 (ja) * 2013-04-10 2017-03-22 ユーエムジー・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2119444B1 (ko) 2014-10-31 2020-06-1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센터페시아용 내화학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6541082B2 (ja) * 2017-08-24 2019-07-10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9142A (en) * 1953-08-24 1956-03-20 Dow Chemical Co Method of preparation of moldable copolymers of styrene and acrylonitrile
IT1264508B1 (it) * 1993-05-24 1996-09-24 Enichem Spa Composizioni termoplastiche compatibili a base di poliesteri e policarbonati
JP3279768B2 (ja) * 1993-10-15 2002-04-30 三井化学株式会社 真珠光沢を有する樹脂組成物
JP3427864B2 (ja) * 1995-03-20 2003-07-2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外装部材
US5847011A (en) * 1995-12-05 1998-12-08 Mitsui Chemicals, Inc. Degradable copolymer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JP3458927B2 (ja) * 1995-12-27 2003-10-20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EP0896013A1 (en) * 1997-08-06 1999-02-10 Shimadzu Corporation Crosslinked polycarbonate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3783426B2 (ja) * 1997-08-27 2006-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化合物を含有する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DE19750627A1 (de) * 1997-11-14 1999-05-20 Basf Ag Schlagzäh modifizierte Polyester/Polycarbonat-Blends
JPH11279380A (ja) * 1998-03-27 1999-10-12 Daise Kogyo Kk 生分解性パール光沢プラスチック、生分解性パール光沢プラスチック製品及び生分解性パール光沢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
US6379802B2 (en) * 1998-06-22 2002-04-3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skin sheet for interior parts of automobi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skin sheet
JP3455964B2 (ja) * 2000-08-02 2003-10-14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0768628B1 (ko) * 2000-08-02 2007-10-18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수지조성물 및 그 용도
WO2002059205A1 (fr) 2001-01-26 2002-08-01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s de resines polycarbonates ignifuges et articles moules a partir de ces compositions
JP5302486B2 (ja) * 2001-01-26 2013-10-02 出光興産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4212841B2 (ja) * 2002-07-01 2009-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および成形品
ATE374226T1 (de) * 2002-07-29 2007-10-15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widrige polycarbonat-formmassen
JP4332382B2 (ja) * 2003-07-29 2009-09-16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378130B2 (ja) * 2003-07-29 2009-12-02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5120322A (ja) 2003-10-20 2005-05-12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456949B2 (ja) 2004-07-14 2010-04-28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5053507B2 (ja) * 2004-11-09 2012-10-17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6199743A (ja) * 2005-01-18 2006-08-03 Idemitsu Kosa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183A (ko) * 2012-09-14 2015-05-2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4075A1 (en) 2009-09-17
CN101076567A (zh) 2007-11-21
TW200626669A (en) 2006-08-01
DE112005003036T5 (de) 2007-10-25
CN101076567B (zh) 2011-08-03
US8003735B2 (en) 2011-08-23
WO2006062032A1 (ja) 2006-06-15
JP5177940B2 (ja) 2013-04-10
TWI383022B (zh) 2013-01-21
JP2006160919A (ja) 2006-06-22
KR101275376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7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101245408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303758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61997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4746891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502125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127537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474684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499386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US7217757B2 (en) Thermoplastic resin and formed product
US20030027928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4705822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68925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508649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421272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12216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462985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50739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27527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0525559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47830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S63268761A (ja) 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