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908A - 웨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908A
KR20070090908A KR1020077012927A KR20077012927A KR20070090908A KR 20070090908 A KR20070090908 A KR 20070090908A KR 1020077012927 A KR1020077012927 A KR 1020077012927A KR 20077012927 A KR20077012927 A KR 20077012927A KR 20070090908 A KR20070090908 A KR 2007009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pool
connecting means
fram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다카마츠
마사키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9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웨빙 권취장치 (10) 에서, 록 멈춤쇠 (160) 의 축 (162) 의 다른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케이스 (70) 가 걸어맞춤 핀 (182, 184) 을 통해 프레임 (12) 에 고정된다. 즉, 걸어맞춤 핀 (182) 은 레그 플레이트 (16) 의 걸어맞춤 구멍 (186) 에 끼워맞춤되고, 걸어맞춤 핀 (184) 은, 걸어맞춤 핀 (182) 이 위치해 있는 측의 반대측인 랙 바 (68) 의 슬라이딩 궤적의 측방 및 걸어맞춤 핀 (182) 보다 랙 바 (68) 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더 변위된 위치에서 걸어맞춤 구멍 (188) 과 끼워맞춤 된다. 웨빙 권취장치 (10) 에 따라, 기어 케이스 (70) 가 레그 플레이트 (16) 에 대해 변위되려고 해도, 걸어맞춤 핀 (182, 184) 이 이에 저항하고, 기어 케이스 (70) 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프리텐셔너의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 부근에 제공되는 특정 부재의 지지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 벨트를 권취하고 수용하는 웨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긴 띠형상의 웨빙 벨트로 구속하는 시트 벨트 장치에는, 좌석의 측방에서 차체에 고정되는 웨빙 권취장치가 설치된다. 웨빙 권취장치는, 예컨대 그 축 방향이 대략 차량 종 방향으로 이어지는 스풀 (spool) 을 구비한다. 웨빙 벨트의 종방향 기단측은 스풀에 걸려져 있고, 웨빙 벨트는 스풀의 외주부 주위에 층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스풀 주위에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는 웨빙 벨트는 권출되고, 권취된 웨빙 벨트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 주위에 적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웨빙 권취장치가 제공되는 측의 시트 반대측에 제공되는 버클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웨빙 벨트의 소정의 영역에 제공되는 텅 (tungue) 플레이트에 의해, 웨빙 벨트가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적용된다.
웨빙 권취장치에는,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웨빙 벨트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확실하게 지탱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제공된다.
일본특허출원공보 (JP-A) 제 2000-302010 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 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웨빙 벨트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확실하게 지탱하기 위한 일 기구로서 록 기구가 있다.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는 경우, 록 기구는, 스풀의 축 방향 타단부측에 제공되는 멈춤쇠 (pawl) 가 웨빙 권취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래치트 (ratchet) 와 맞물리게 한다. 이와 같이, 웨빙 벨트가 권출될 때의 회전 방향인 권출 방향으로의 스풀의 회전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웨빙 벨트가 스풀에서 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급감속에 의해, 대략 차량의 전방 쪽으로 관성이동 하려고하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웨빙 벨트를 당겨도, 웨빙 벨트는 스풀에서 권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탑승자에 적용되는 웨빙 벨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확실하게 지탱되고, 대략 차량 전방 쪽으로의 차량 탑승자의 신체의 관성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JP-A 제 2000-313312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웨빙 벨트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확실하게 지탱하기 위한 기구로서 프리텐셔너 (pretensioner) 가 있다. 프리텐셔너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구비한다. 피스톤보다 더 바닥부 쪽에 있는 실린더의 측방은 가스 발생기에 연결된다. 차량의 급감속시에, 가스 발생기에 의해 단기간에 급격하게 발생되는 가스가, 피스톤보다 더 바닥부 쪽에 있는 실린더의 측방의 공간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은 실린더의 개방 단부측으로 이동한다.
랙 바 (rack bar) 가 피스톤과 일체로 제공된다. 피니언 기어가 랙 바에 대응하도록 동축으로 그리고 상대회전가능하게 스풀에 제공된다. 실린더의 개 방 단부측 쪽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랙 바가 피니언과 맞물리고, 전술한 권출 방향 반대인 권취 방향으로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권취 방향으로의 피니언의 회전은 클러치를 통해 스풀에 전달되고, 스풀은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되는 스풀에 의해, 스풀에서 권출되는 웨빙 벨트가 스풀에 권취된다. 이와 같이, 예컨대 "슬랙 (slack)" 등으로 불리는 웨빙 벨트의 느슨함이 해소되고, 웨빙 벨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신체는 확실하게 지탱될 수 있다.
JP-A 제 2000-302010 호에 개시된 웨빙 권취장치의 록 기구는, 프레임에 형성된 내부 래치트의 이빨과 맞물리는 멈춤쇠로 스풀을 잠그는 구조물이다. 대조적으로, 멈춤쇠를 스풀에 형성된 외부 래치트 이빨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스풀을 잠그는 구조도 구상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 멈춤쇠는 스풀의 래치트 이빨에 접근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멈춤쇠를 지지하기 위해서, 멈춤쇠를 직접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웨빙 권취장치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가 구상되었다.
이러한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조립하는 단계에서, JP-A 제 2000-302010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프리텐셔너 부근에 이 지지 부재가 제공되면,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의 충격으로 인해 지지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약간 변위될 수 있다. 지지 부재의 이러한 변위로 프레임에 대한 멈춤쇠의 위치가 변하면, 멈춤쇠의 요동 축선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래치트 이빨에 대한 멈춤쇠의 원활한 접근 및 이격이 방해되 고, 멈춤쇠와 래치트 이빨과의 맞물림이 영향을 받는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텐셔너의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 부근에 제공되는 특정 부재의 지지 위치의 변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는,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풀로서, 웨빙 벨트의 종 방향 단부측이 걸려져 있으며, 스풀의 축 주위의 일 방향인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스풀; 적어도 스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프리텐셔너로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풀에 연결되고 권취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며,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프리텐셔너; 스풀의 축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의 일 측에 제공되며, 특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연결 수단 중 하나는 스풀의 축 방향 및 슬라이딩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궤적의 일 측에 제공되고,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는 연결 수단 중 하나가 위치해 있는 측의 슬라이딩 궤적 반대측, 및 연결 수단 중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위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에 따라, 그 종 방향 단부측이 스풀에 걸어져 있는 긴 띠형상의 웨빙 벨트가 권출되어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적용되면, 웨빙 벨트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구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면, 프리텐셔너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시킨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하면, 슬라이딩 부재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풀은 권취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풀이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웨빙 벨트는 스풀에 권취되고, 웨빙 벨트로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힘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급감속에 의해 대략 차량 전방 쪽으로 관성이동하려고하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스풀의 축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의 측방에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한 쌍의 연결 수단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지지 부재는 프레임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에 웨빙 권취장치를 구성하는 특정 부재가 지지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 수단 중 하나는, 스풀의 축 방향 및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의 일 측에 제공된다. 대조적으로, 한 쌍의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는, 연결 수단 중 하나가 위치해 있는 측의 반대측인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의 측방, 및 연결 수단 중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연결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충격이 지지 부재에 가해져도, 한 쌍의 연결 수단은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확실하게 연결하고 지탱한다.
이와 같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충격이 가해져도, 프레임에 대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특정 부재의 위치 관계에는 큰 변화가 없고, 전술한 충격은 특정 부재를 사용하는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는 프레임에 대한 지지 부재의 조립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특정 부재의 지지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부내의 기계적인 강도가 특별히 향상되지 않아도, 한 쌍의 연결 수단으로 이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더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웨빙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 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 (10) 의 전체적인 구조를 기술할 것이다.
웨빙 권취장치 (10) 의 전체전인 구조가 도 3 의 분해 사시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 (10) 는 프레임 (12) 을 구비한다.
프레임 (12) 은, 예컨대 그 두께 방향이 실질적으로 차량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플레이트형상의 백 플레이트 (back plate) (14) 를 구비한다. 웨빙 권취장치 (10) 는 예컨대, 센터 필라 (center pillar) 의 하단부 부근에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백 플레이트 (14) 에 의해 차체에 장착된다.
레그 플레이트 (16) 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종 방향을 따라, 백 플레이트 (14) 의 횡 방향 일단부로부터, 차량의 횡 방향 (실질적으로 차량의 좌우 방향) 에서 안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레그 플레이트 (18) 는, 백 플레이트 (14) 의 횡 방향 타단부로부터, 레그 플레이트 (16) 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레그 프레이트 (16) 와 레그 플레이트 (18) 사이에 스풀 (24) 이 제공되어 있다. 스풀 (24) 은, 그 축 방향이 레그 플레이트 (16) 와 레그 플레이트 (18) 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풀 (24) 에는 삽입통과 구멍 (26)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 (26) 의 양 단부는 스풀 (24) 의 외주부에 개방되어 있고, 이 개구부의 형상은 스풀 (24) 의 축 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이다. 삽입통과 구멍 (26) 은 스풀 (24) 의 축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 (28) 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긴 띠형상의 웨빙 벨트 (30) 의 종 방향 기단측 삽입 구멍 (26) 의 일 개방 단부로 삽입된다.
웨빙 벨트 (30) 의 종 방향 기단측에는, 횡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 (26) 을 관통한 관부 (32) 의 내측에 스토퍼 축 (34) 을 배치하여, 웨빙 벨트 (30) 가 선단측으로 당겨질 때에, 삽입통과 구멍 (26) 에서 웨빙 벨트 (30) 의 기단측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삽입통과 구멍 (26) 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 웨빙 벨트 (30) 는, 스풀의 축선 주위의 일 방향인 권취 방향으로 스풀 (24) 이 회전하기 때문에, 스풀 (24) 의 외주부에서 그 기단측부터 층상으로 권취되어 수용된다.
한편, 관통 구멍 (28) 의 내측에, 그 종 방향이 스풀 (24) 의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로드형상의 비틀림 축 (36) 이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축 (36) 은, 축선 주위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레그 플레이트 (18) 측 스풀 (24) 의 내측에서, 스풀 (24)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 축 (36) 의 단부는 레그 플레이트 (18) 측에서 레그 플레이트 (18) 를 관통하여 프레임 (12) 밖으로 돌출된다.
레그 플레이트 (18) 의 외측에 스프링 커버 (38) 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 (38) 는 레그 플레이트 (18)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상이다. 스프링 커버 (38) 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이나, 스프링 커버 (38) 또는 레그 플레이트 (18) 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맞춤 클로 (claw) 등의 끼워맞춤에 의해 레그 플레이트 (18) 에 고정된다.
스프링 커버 (38) 의 내측에 나선형 스프링 (40) 이 수용되어 있다. 나성형 스프링 (40) 은, 나선 방향 내측 단부가 나선 방향 외측 단부에 대해 상술한 권취 방향에 대향하는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변위함에 따라, 지지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의 스프링이다. 나선형 스프링 (40) 의 나선 방향 외측 단부는, 나선형 스프링 (40) 보다는 스프링 커버 (38) 의 개구부 측에 제공되어 있는 스프링 시트 (42) 에 걸려져 있다.
스프링 시트 (42) 는 스프링 커버 (38) 에 고정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 (40) 의 나선 방향 외측 단부는 스프링 시트 (42) 및 스프링 커버 (38) 를 통해 레그 플레이트 (18) (프레임 (12)) 에 연결된다. 또한, 나선형 스프링 (40) 의 나선 방향 내측 단부 부근에 어댑터 (44) 가 제공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 (40) 의 나선 방향 내측 단부는 어댑터 (44) 의 외주부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시트 (42) 를 관통하는 비틀림 바 (36) 의 레그 플레이트 (18) 측 단부는 어댑터 (44) 의 축 중심부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한편, 레그 플레이트 (16) 의 외측에는 프리텐셔너 (50) 가 제공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50) 는 실린더 (52) 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52) 는, 예컨대 금속 파이프의 축 방향 중간부에 설정되어 있는 만곡부 (54) 에서 적당히 만곡되어 형성되며, 내부의 연통을 유지하면서 그 단면 형상이 적절히 변형되도록 소성변형되어 있다. 실린더 (52) 는 만곡부 (54) 의 축 방향 일측 부분이 장착부 (56) 이다. 장작부 (56) 의 개방 단부에 가스 발생기 (58) 가 장착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 (58) 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가속도 센서 (비도시) 에 연결되어 있다.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는 경우의 가속도 (감속도) 를 가속도 센서가 검출하면, 가스 발생기 (58) 에 제공된 가스 발생제가 발화된다. 이로써, 가스 발생제가 극히 짧은 시간에 연소되어 순간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킨다.
실린더 (52) 는 장착부 (56) 가 위치하는 측의 만곡부 (54) 반대측이 실린더 본체 (60)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 (54) 는 소성변형되어 만곡되지만, 그 내부는 연통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장착부 (56) 에 장착된 가스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실린더 본체 (60) 의 바닥부에 공급된다. 또한, 실린더 본체 (60) 에는 피스톤 (62) 이 제공되어 있다.
피스톤 (62) 는, 그 외경이 실질적으로 실린더 본체 (60) 의 내경과 동일한 (엄밀히 말하면, 약간 더 작음)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이 실린더 본체 (60) 의 저부를 향하는 피스톤 (62) 의 단부면에는, 솔리드 실린더로 형성되어 있는 지탱부 (64) 가 피스톤 (62) 과 동축 및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탱부 (64) 의 외경은 피스톤 (62) 의 직경보다 작으며, 밀봉 부재 (66) 가 지탱부 (64) 의 외주부에 끼워져있다.
밀봉 부재 (66) 는 환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적이다. 피스톤 (62) 이 실린더 본체 (60)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밀봉 부재 (66) 는 지탱부 (64) 의 외주부 및 실린더 본체 (60) 의 내주부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되어 있으며, 지탱부 (64) 와 실린더 본체 (60) 사이의 영역을 밀봉한다. 그러므로, 실린더 본체 (60) 에 가스가 공급되고, 실린더 본체 (60) 의 내압이 상승할 때, 피스톤 (62) 은 실린더 본체 (60) 의 상단부 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지탱부 (64) 가 위치해 있는 측의 피스톤 (62) 반대측 (즉, 실린더 본체 (60) 의 개방 단부 측) 에는 슬라이딩 부재의 역할을 하는 랙 바 (68) 가 형성되어 있다. 랙 바 (68) 는 실린더 본체 (60) 의 개구 방향을 따라 긴 사각형 로드 형상이다. 랙 바 (68) 의 횡 방향 일단부에는 그 종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랙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 (60) 의 개방 단부 부근의 레그 플레이트 (16) 측에는, 지지 부재의 역할을 하는 기어 케이스 (70) 가 제공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 (70) 가 위치해 있는 측의 실린더 본체 (60) 반대측에는 커버 플레이트 (72) 가 제공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72) 는, 레그 플레이트 (16) 가 위치해 있는 측의 실린더 본체 (60) 반대측에서, 실린더 본체 (60) 로부터 돌출해나오는 랙 바 (68) 를 가릴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72) 의 형상은, 적어도 실린더 본체 (60) 의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해나오는 랙 바 (68) 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 (72) 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체결편 (74) 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72) 는, 나사 (76) 에 의해 레그 플레이트 (16) 에 체결되고 고정되는 이 체결편 (74) 에 의해 프레임 (12) 에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 (72) 에는, 실린더 본체 (60) 의 개방 단부 및 그 근방이 끼워지는 지탱부 (비도시)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 플레이트 (72) 는 실린더 본체 (60) 에 연결된다. 커버 플레이트 (72) 와 기어 케이스 (70) 사이에 피니언 (90) 이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90) 은, 랙 바 (68) 의 선단측에서 랙 이빨과 맞물리며, 레그 플레이트 (16) 및 기어 케이스 (70) 를 통과하는 비틀림 축 (36) 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랙 바 (68) 의 상승에 의해, 피니언 (90) 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90) 의 레그 플레이트 (16) 측에는 클러치 (92) 가 제공되어 있다. 클러치 (92) 는 비틀림 축 (36) 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비틀림 축 (36) 이 회전하여도, 클러치 (92) 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클러치 (92) 는 피니언 (90) 과 걸어맞춤되어 있고, 피니언 (90) 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토크로 인해, 클러치 (92) 의 일부가 변형되어 비틀림 축 (36) 에 연결된다.
레그 플레이트 (16) 의 측방에는 록 기구 (120) 가 제공되어 있다. 록 기구 (120) 는 센서 홀더 (122) 를 구비한다. 센서 홀더 (122) 는 부분적으로 레그 플레이트 (16) 측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그 플레이트 (16) 로 개방되는 센서 홀더 (122) 의 일부 내에 커버 플레이트 (72) 가 위치 하고 있다.
센서 홀더 (122) 는, 센서 홀더 (122) 의 외주부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레그 플레이트 (16) 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형 튜브형상의 돌출부가, 레그 플레이트 (16) 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상태로, "플러그 핀" 을 돌출부에 압입함으로써, 레그 플레이트 (16) 에 고정된다.
레그 플레이트 (16) 가 위치해 있는 측의 센서 홀더 (122) 반대측에는 센서 커버 (124) 가 제공되어 있다. 센서 커버 (124) 의 외주부 등에는 끼워맞춤 클로 등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 커버 (124) 는 센서 홀더 (122) 의 소정의 영역과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클로에 의해 센서 홀더 (122) 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커버 (124) 에는 관형 축 수용부 (비도시) 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홀더 (122) 를 관통하는 비틀림 축 (36) 의 타단부는 센서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센서 홀더 (122) 와 센서 커버 (124) 사이에는 제 2 회전체의 역할을 하는 V 기어 (126) 가 제공되어 있다. V 기어 (126) 는, 그 외주부에 래치트 이빨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트 휠이며, 비틀림 축 (136) 에 동축 및 일체로 고정된다. V 기어 (126) 의 센서 커버 (124) 측에는 제 1 회전체의 역할을 하는 센서 기어 (128) 가 제공되어 있다.
센서 기어 (128) 의 본체 (130) 가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비틀림 축 (36) 이 그 본체를 동축으로 통과한다. 센서 기어 (128) 의 본체 (130) 는 비틀림 축 (36)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본체 (130) 의 일부에는 리턴 스프링 (132) 의 일단부가 걸려져 있다. 리턴 스프링 (132) 은 헬리컬 장력 스프링이고,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는 센서 커버 (124) 에 걸려져 있다. 센서 기어 (128) 가 권출 방향으로 비틀림 축 (36) 주위를 회전할 경우, 리턴 스프링 (132) 은 센서 기어 (128) 를 권취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V 기어 (126) 의 센서 기어 (128) 측에는 토크 전달 수단의 역할을 하는 W 멈춤쇠가 제공되어 있다. W 멈춤쇠 (134) 는, 스풀 (24) 의 축 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스풀 (24) 에 평행한 축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V 기어 (126) 에 지지되어 있다.
W 멈춤쇠 (134) 는 V 기어 (126) 에 대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W 멈춤쇠 (134) 는 V 기어 (126) 에 대해 V 기어 (126) 의 회전 반경 외측으로 변위한다. 이 변위에 의해, W 멈춤쇠 (134) 는 센서 기어 (128) 의 본체 (130)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 (비도시) 에 걸어맞춤된다. W 멈춤쇠 (134) 가 본체 (130) 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 권출 방향으로의 V 기어 (126) 의 토크는 W 멈춤쇠 (134) 를 통해 센서 기어 (128) 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서 기어 (128) 는 V 기어 (126) 와 함께 권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W 멈춤쇠 (134) 의 측방에는 센서 스프링 (136) 이 제공되어 있다. 센서 스프링 (136) 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센서 스프링의 일단부는 W 멈춤쇠 (134) 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스프링 (136) 의 타단부는 V 기어 (126) 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스프링 (136) 은 V 기어 (126) 에 대해 비틀림 축 (36) 주위의 권취 방향으로 W 멈춤쇠 (134) 를 탄성지지한다.
V 기어 (126) 가 위치해 있는 측의 W 멈춤쇠 (134) 반대측에는 W 매스 (mass) (138) 가 제공되어 있다. W 매스 (138) 는, 그 두께 방향이 비틀림 축 (36) 의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플레이트 부재이고, W 멈춤쇠 (134) 의 웨이트 (자중 (deadweight)) 로서 장착되어 있다.
한편, 센서 기어 (128) 의 본체 (130) 에는 걸어맞춤 클로 (140) 가 제공되어 있다. 걸어맞춤 클로 (140) 는, 비틀림 축 (36) 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축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 (130) 에 지지되어 있다.
걸어맞춤 클로 (140) 아래에는 가속도 검출 수단의 역할을 하는 가속도 센서 (142) 가 제공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142) 에 대응하여, 센서 홀더 (122) 에는, 센서 커버 (124)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상 하우징부 (144) 가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가속도 센서 (142) 의 일부는 하우징부 (144) 에 수용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142) 는 기부 (146)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146) 는, 대체로 그 두께 방향이 수직 방향인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 (146) 의 상단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상에는 관성체의 역할을 하는 경구 (148) 가 배치되어 있다. 경구 (hard ball) (148) 위쪽에는 센서 클로 (150) 가 제공되어 있다.
센서 클로 (150) 는, 기부 (146) 의 외주부로부터 상방으로 직립하게 서있는 수직벽 (152) 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경구 (148) 가 기부 (146) 의 곡면상에서 회전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인해, 센서 클로 (150) 가 밀어올 려 진다. 경구 (148) 에 의해 센서 클로 (150) 가 밀어올려 지기 때문에, 센서 클로 (150) 는 걸어맞춤 클로 (140) 와 걸어맞춤되고 걸어맞춤 클로 (140) 를 회전시킨다.
V 기어 (126) 는, 센서 클로 (150) 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하는 걸어맞춤 클로 (140) 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클로 (140) 는 V 기어 (126) 와 맞물린다. 걸어맞춤 클로 (140) 가 V 기어 (126) 와 맞물리기 때문에, 권출 방향으로의 V 기어 (126) 의 토크가, 걸어맞춤 클로 (140) 에, 나아가서는 센서 기어 (128) 에 전달되고, 센서 기어 (128) 는 리턴 스프링 (132) 의 턴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권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록 기구 (120) 는, 록킹 수단 및 청구항에서 "특정 부재" 로 언급하는 구조물의 역할을 하는 록 멈춤쇠 (160) 를 구비한다. 록 멈춤쇠 (160) 는 축 (162) 을 구비한다. 축 (162) 의 축 방향은 스풀 (24) 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 이다. 축 (162) 의 일단부는 레그 플레이트 (18) 에 형성되어 있는 축 수용 구멍 (비도시)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162) 의 축 방향 타단부는 기어 케이스 (70) 에 형성되어 있는 축 수용 구멍 (164)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 (70) 에는, 연결 수단의 역할을 하는 걸어맞춤 핀 (182) 이 레그 플레이트 (16) 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 (70) 를 스풀 (24) 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걸어맞춤 핀 (182) 은, 프리텐셔너 (50) 의 랙 바 (68) 의 슬라이딩 궤적 (S) 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 (70) 에는, 연결 수단의 역할을 하는 걸어맞춤 핀 (184) 이 레그 플레이트 (16) 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핀 (184) 은, 사이에 프리텐셔너 (50) 의 랙 바 (68) 의 슬라이딩 궤적 (S) 을 두면서, 걸어맞춤 핀 (182) 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핀 (184) 은, 걸어맞춤 핀 (182) 보다, 프레임 (12) 의 상측 쪽으로 더 변위되도록, 즉 피스톤 (62) 이 실린더 본체 (60) 의 상단부측 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랙 바 (68) 의 슬라이딩 방향측으로 더 변위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걸어맞춤 핀 (182, 184) 에 대응하여, 걸어맞춤 구멍 (186, 188) 이 각각 레그 플레이트 (16) 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구멍 (186) 에 끼워맞춤되는 걸어맞춤 핀 (182) 과 걸어맞춤 구멍 (188) 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핀 (184) 에 의해, 기어 케이스 (70) 가 레그 플레이트 (16) 에 고정된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타단부가 상술한 기어 케이스 (70) 에 지지되어 있는 축 (162) 의 축 방향 타단부에는, 멈춤쇠부 (166) 가 형성되어 있다. 멈춤쇠부 (166) 는 그 두께 방향이 축 (162) 의 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플레이트형상의 부재이다. 멈춤쇠부 (166) 의 외주부에는 외부 래치트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축 (162) 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른 멈춤쇠부 (166) 의 측방에는 록 베이스 (170) 가 제공되어 있다. 록 베이스 (170) 는 삽입부 (172) 를 구비한다. 삽입부 (172) 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 (24) 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그리고 동축으로, 스풀 (24) 의 관통 구멍 (28) 의 타단부에 끼워맞춤삽입된다.
비틀림 축 (36) 은,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삽입부 (172), 나아가서는 록 베이스 (172) 를 동축으로 통과한다. 삽입부 (172), 나아가서는 록 베이스 (170) 는, 비틀림 축 (36) 에 대해서 일체 및 동축으로 회전한다.
래치트부 (174) 가 삽입부 (172) 의 레그 플레이트 (16) 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래치트부 (174) 는 삽입부 (172) 에 대해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치트부 (174) 의 외주부에는 래치트 이빨이 띄엄띄엄 형성되어 있다.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축 (162) 에 의해, 록 멈춤쇠 (160) 의 멈춤쇠부 (166) 의 래치트 이빨이 래치트부 (174) 의 래치트 이빨과 맞물린다. 멈춤쇠부 (166) 와 래치트부 (174) 가 서로 맞물리는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트부 (174) 및 나아가서는 록 베이스 (170) 의 권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멈춤쇠부 (166) 에 대응하여, 센서 기어 (128) 의 본체 (130) 에는, 연결 부재의 역할을 하는 가압부 (168) 가 제공되어 있다. 가압부 (168) 는 걸어맞춤 클로 (140)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클로 (140) 가 경구 (148) 에 의해 밀어올려져 회전될 때, 가압부 (168) 는, 걸어맞춤 클로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멈춤쇠부 (166) 를 가압하고, 록 멈춤쇠 (160) 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
본 웨빙 권취장치 (10) 에서는, 스풀 (24) 상에서 권취 상태에 있는 웨빙 벨트 (30) 가 나선형 스프링 (40) 의 지지력에 저항하면서 벨트의 선단측으로 당겨질 때, 웨빙 벨트 (30) 가 권출되면서, 스풀 (24) 이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권출되는 웨빙 벨트 (30) 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주위에 적용된다. 예컨대, 차량 시트의 측방에 제공되어 있는 버클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웨빙 벨트 (30) 의 종 방향 중간부에 제공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에 의해, 웨빙 벨트 (30) 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적용되는 상태로 설정되고, 차량 탑승자의 신체는 웨빙 벨트 (30) 에 의해 구속된다.
웨빙 벨트 (30) 의 이러한 적용 상태에서, 차량이 급감속 상태에 들어가고, 차량의 이러한 급감속 상태를 프리텐셔너 (50) 의 가속도 센서가 검출하면, 가스 발생기 (58) 가 작동하고, 가스 발생기 (58) 에 제공된 가스 발생제가 점화된다. 발화된 가스 발생제는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연소되어 순간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가스 발생기 (58) 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장착부 (56) 로부터 실린더 본체 (60) 의 내부에 공급되고, 실린더 본체 (60) 의 내부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킨다. 실린더 본체 (60) 의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피스톤 (62) 이 상승하고, 이에 수반하여, 랙 바 (68) 가 상승한다. 상승하는 랙 바 (68) 는 권취 방향으로 피니언 (90) 을 회전시킨다.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90) 에 의해, 클러치 (92) 의 일부가 변형 되고, 피니언 (90) 이 비틀림 축 (36) 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비틀림 축 (36) 에 연결되는 피니언 (90) 에 의해, 피니언 (90) 의 토크가 비틀림 축 (36) 에 전달되고, 비틀림 축 (36) 및 나아가서는 스풀 (24) 이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풀 (24) 에 의해, 웨빙 벨트 (30) 가 권취되고, 웨빙 벨트 (30) 의 미미한 슬랙 등이 해소된다. 이와 같이,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웨빙 벨트 (30) 의 구속력이 증가하고,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실질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관성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급감속에 대한 상술한 상태에서, 경구 (148) 가 흔들리면, 경구 (148) 에 의해 센서 클로 (150) 는 밀어올려 진다. 이와 같이 밀어올려 지는 센서 클로 (150) 는, 센서 기어 (128) 의 걸어맞춤 클로 (140) 와 걸어맞춤되고, 걸어맞춤 클로 (140) 를 회전시킨다. 회전에 의해, 걸어맞춤 클로 (140) 는 V 기어 (126) 와 맞물린다.
한편,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실질적으로 차량의 전방으로 관성적으로 이동하면, 웨빙 벨트 (30) 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급격하게 권출된다. 이와 같이 웨빙 벨트 (30) 가 급격하게 권출되면, 스풀 (24) 및 나아가서는 V 기어 (126) 가 권출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게 된다.
V 기어 (126) 가 권출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게 되면, W 멈춤쇠 (134) 는 V 기어 (126) 와 함께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W 멈춤쇠 (134) 에는 W 매스 (138) 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관성으로 인해, W 멈춤쇠 (134) 는 회전없이 그 위치에 머물려고 한다. 이와 같이,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V 기어 (126) 와 멈춰있으려고 하는 W 멈춤쇠 (134) 사이에서, 센서 스프링 (136) 의 지지력에 저항하는 상대 이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W 멈춤쇠 (134) 가 V 기어 (126) 에 대해 상대이동함으로써, W 멈춤쇠 (134) 는 센서 기어 (128) 와 걸어맞춤된다. W 멈춤디 (134) 가 센서 기어 (128) 와 걸어맞춤됨으로써, 센서 기어 (128) 는 W 멈춤쇠 (134) 를 통해 V 기어 (126) 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멈춤쇠 (140) 또는 W 멈춤쇠 (134) 를 통해 센서 기어 (128) 가 V 기어 (126) 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웨빙 벨트 (30) 가 권출되고, 스풀 (24) 이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센서 기어 (128) 는 V 기어 (126) 와 함께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센서 기어 (128) 가 리턴 스프링 (132)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면서 주어진 각만큼 권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 클로 (140) 와 일체인 가압부 (168) 는, 록 멈춤쇠 (160) 의 멈춤쇠부 (166) 를 밀게되고, 축 (162) 주위로 멈춤쇠부 (166) 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멈춤쇠부 (166) 가 축 (162) 주위를 회전할 때, 멈춤쇠부 (166) 는 록 베이스 (170) 의 래치트부 (174) 와 맞물리고, 권출 방향으로의 록 베이스 (170) 및 나아가서는 스풀 (24) 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관성이동 하려고하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웨빙 벨트 (30) 에 의해 확실하게 구속되고 지탱될 수 있다.
본 웨빙 권취장치 (10) 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 이에 랙 바 (68) 의 슬라이딩 궤적 (S) 을 두면서, 기어 케이스 (70) 를 레그 플레이트 (16) 에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 핀 (182, 184) 이 양측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어 케이스 (70) 가 레그 플레이트 (16) 의 횡 방향 (레그 플레이트 (16) 가 백 플레이트 (14) 에서 이어져나오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 에 대해 외력을 받는 경우, 걸어맞춤 구멍 (186, 188) 에 끼워맞춤되는 걸어맞춤 핀 (182, 184) 이 이 외력에 완강하게 저항한다.
또한, 걸어맞춤 핀 (184) 은, 걸어맞춤 핀 (182) 보다, 랙 바 (68) 의 슬라이딩 방향측으로 더 변위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어 케이스 (70) 가 랙 바 (68) 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외력을 받는 경우, 걸어맞춤 구멍 (186, 188) 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 핀 (182, 184) 은 이 외력에 완강하게 저항한다.
이와 같이, 예컨대, 프리텐셔너 (50) 가 작동되고, 랙 바 (68) 가 급격하게 상승할 때의 충격이 기어 케이스 (70) 에 전달되고, 이 충격에 의해 레그 플레이트 (16) 의 횡 방향 또는 랙 바 (68) 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기어 케이스 (70) 가 변위되려고 하는 경우, 걸어맞춤 구멍 (186, 188) 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 핀 (182, 184) 이 기어 케이스 (70) 의 변위에 완강하게 저항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기어 케이스 (70) 에 지지되고 있는 록 멈춤쇠 (160) 의 축 (162) 을 지지하는 위치의 변화가 방지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축 (162) 에 장력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축 (162) 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에에서는, 접근 및 이격 방향으로 멈춤쇠부 (166) 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축 (162) 의 지지 위치의 변화를 방지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멈춤쇠부 (166) 가 회전하지않는 상태에서의 래치트부 (174) 와 멈춤쇠부 (166)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의 변화를 방지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트부 (174) 에 대한 멈춤쇠부 (166) 의 상대 위치 관계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멈춤쇠부 (166) 가 접근 및 이격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멈춤쇠부 (166) 가 래치트부 (174) 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맞물려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맞물림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걸어맞춤 핀 (182) 과 걸어맞춤 핀 (184) 사이의 위치 관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기어 케이스 (70) 또는 걸어맞춤 핀 (182, 184) 의 기계적인 강도가 특별히 향상되지 않아도, 레그 플레이트 (16) 에 대한 기어 케이스 (70) 의 변위를 방지하거나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 수지 등과 같은, 금속 재료의 강도보다 기계적인 강도가 비교적 더 낮은 재료로 걸어맞춤 핀 (182, 184) 및 기어 케이스 (70) 를 형성할 수 있다. 재료비 및 기계가공비를 줄일 수 있고, 구조물을 더 가볍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의 역할을 하는 기어 케이스 (70) 가 록 멈춤쇠 (160) 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가 지지하는 부재는 록 멈춤쇠 (160) 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부재일 수 있 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웨빙 권취장치는 프레임에 대한 지지 부재의 조립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특정 부재의 지지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부재의 기계적인 강도가 특별히 향상되지 않아도, 쌍을 이루는 연결 수단에 의해 이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더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4)

  1. 프레임 (12) 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풀 (24) 로서, 웨빙 벨트 (30) 의 종 방향 단부측이 걸려져 있으며, 스풀의 축선 주위의 일 방향인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스풀;
    적어도 스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 (68) 를 구비하는 프리텐셔너 (50) 로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풀에 연결되고 권취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며,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프리텐셔너;
    스풀의 축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 (S) 의 측방에 제공되며, 특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70); 및
    연결 수단 중 하나는 스풀의 축 방향 및 슬라이딩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궤적의 일 측에 제공되고,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 수단 중 하나가 위치해 있는 측의 슬라이딩 궤적 반대측, 및 상기 연결 수단 중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위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수단 (182, 184) 을 포함하는 웨빙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182, 184) 은 지지 부재 (70) 와 일체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의 걸어맞춤 핀이고, 상기 걸어맞춤 핀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 (186, 188) 과 각각 끼워맞춤됨으로써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의 걸어맞춤 핀이고, 상기 걸어맞춤 핀은, 지지 부재를 통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 (186, 188) 에 각각 끼워맞춤됨으로써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지지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를 고정시키는 웨빙 권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기계적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기계적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8. 프레임 (12) 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풀 (24) 로서, 웨빙 벨트 (30) 의 종 방향 단부측이 걸려져 있으며, 스풀의 축선 주위의 일 방향인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스풀 (24);
    적어도 스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 (68) 를 구비하는 프리텐셔너 (50) 로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풀에 연결되고 스풀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차량의 급감속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프리텐셔너;
    스풀의 축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궤적 (S) 의 일 측에서, 프레임에 장착되며 특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70); 및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장착시키는 2 이상의 연결 수단 (182, 184) 을 포함하는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지지 부재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웨빙 권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중 하나는 스풀의 축 방향 및 슬라이딩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궤적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 수단 중 하나가 위치해 있는 측의 슬라이딩 궤적 반대측, 및 상기 연결 수단 중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위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웨빙 권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 (182, 184) 은 지지 부재 (70) 와 일체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의 걸어맞춤 핀이고, 상기 걸어맞춤 핀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 (186, 188) 과 각각 끼워맞춤됨으로써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의 걸어맞춤 핀이고, 상기 걸어맞춤 핀은, 지지 부재를 통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 (186, 188) 과 각각 끼워맞춤됨으로써 지지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기계적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기계적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웨빙 권취장치.
KR1020077012927A 2004-11-11 2005-11-11 웨빙 권취장치 KR20070090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8114A JP2006137290A (ja) 2004-11-11 2004-11-11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4-00328114 2004-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908A true KR20070090908A (ko) 2007-09-06

Family

ID=3633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27A KR20070090908A (ko) 2004-11-11 2005-11-11 웨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16309A1 (ko)
EP (1) EP1824712A4 (ko)
JP (1) JP2006137290A (ko)
KR (1) KR20070090908A (ko)
CN (2) CN100358755C (ko)
TW (1) TW200626399A (ko)
WO (1) WO2006052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186B2 (ja) * 2005-11-30 2011-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079402A (ja) * 2009-10-06 2011-04-21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581144B2 (ja) * 2010-08-03 2014-08-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518654B2 (ja) * 2010-09-17 2014-06-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1962005A (zh) * 2010-10-14 2011-02-0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卷收器支架
DE102011101965B4 (de) * 2011-05-18 2022-07-14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mit Steuerverzahnung
JP5819331B2 (ja) * 2013-01-15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714617B2 (ja) * 2013-01-22 2015-05-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3004211B4 (de) * 2013-03-12 2023-01-26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CN104554134B (zh) * 2013-10-09 2017-03-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装置及安全带卷收器
US10829085B2 (en) * 2018-02-18 2020-11-1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4230A (en) * 1975-04-19 1976-10-29 Takata Kk Seat belting device
US4384804A (en) * 1981-02-12 1983-05-24 Morris Township, Morris County Integral plastic fastener
US4603819A (en) * 1984-02-22 1986-08-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US5297752A (en) * 1992-09-28 1994-03-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an automatic belt tension reducer
CN1088167A (zh) * 1993-09-06 1994-06-22 王士敏 汽车座椅安全带卷收器
US5484190A (en) * 1993-11-03 1996-0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lock
US5487515A (en) * 1993-11-23 1996-0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lock bar actuator
US5495994A (en) * 1994-09-0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JP3617859B2 (ja) * 1994-11-14 2005-02-09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プリテンショナ
US5660346A (en) * 1995-12-20 1997-08-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JP4467688B2 (ja) * 1999-01-19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US7124974B2 (en) * 1999-02-26 2006-10-24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JP3709300B2 (ja) * 1999-04-16 2005-10-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490630B2 (ja) * 1999-04-16 2004-01-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ー
JP4136181B2 (ja) * 1999-04-30 2008-08-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用プリテンショナー
JP4153129B2 (ja) * 1999-07-14 2008-09-1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DE10139816C2 (de) * 2001-08-14 2003-12-18 Breed Automotive Tech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JP3886828B2 (ja) * 2002-03-12 2007-02-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JP3934483B2 (ja) * 2002-05-21 2007-06-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EP1433674B1 (en) * 2002-12-24 2005-11-09 Delphi Korea Co., Ltd.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JP4295552B2 (ja) * 2003-05-16 2009-07-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37290A (ja) 2006-06-01
US20080116309A1 (en) 2008-05-22
TW200626399A (en) 2006-08-01
EP1824712A4 (en) 2008-12-31
EP1824712A1 (en) 2007-08-29
CN2841427Y (zh) 2006-11-29
WO2006052020A1 (en) 2006-05-18
CN100358755C (zh) 2008-01-02
CN1772537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908A (ko) 웨빙 권취장치
AU2007221950B2 (en) Webbing retractor, method of controlling webbing retractor, and vehicle
US7562840B2 (en) Webbing take-up device
EP1679238B1 (en) Webbing retractor
US20080203210A1 (en) Webbing retractor
US8448889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519638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1620391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16360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8590824B2 (en) Seatbelt retractor
JP4364237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130233958A1 (en) Webbing retractor
JP200918452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86687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JP581345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3798394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
JP4364236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364235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7177949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512500B2 (ja) 回転部材のガタ止め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177848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
JP649807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370485B1 (ko) 웨빙 권취 장치
JP2018127035A (ja) 回動部材支持構造
JP550113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