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485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485B1
KR101370485B1 KR1020100104158A KR20100104158A KR101370485B1 KR 101370485 B1 KR101370485 B1 KR 101370485B1 KR 1020100104158 A KR1020100104158 A KR 1020100104158A KR 20100104158 A KR20100104158 A KR 20100104158A KR 101370485 B1 KR101370485 B1 KR 10137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ridge portion
clutch means
bridg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140A (ko
Inventor
유스케 히로카와
토모노리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4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의 조립성의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하면서,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다.
벽부에서의 브릿지부의 유지부와는 반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를 프레임에 부착하면, 커버 플레이트의 기부는 벽부의 선단에 접하는데, 돌기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돌기를 가압하여 브릿지부를 벤딩시킬 수 있다. 브릿지부가 벤딩되며, 유지부의 접촉면이 클러치 플레이트의 기부에 접하여, 클러치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한, 브릿지부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러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도 접촉면과 기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므로, 클러치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를 구성하는 웨빙 벨트를 권취하여 격납하기 위한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75279호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가 작동하여 피니언(pinion)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과 일체인 걸림결합톱니가 클러치 플레이트(clutch plate)의 맞물림 클로(meshing claw)를 가압하여 클러치 플레이트의 아암부를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 클로가 락 베이스(lock base)에 형성된 널링홀(knurled hole)의 내주면인 널링면에 맞물려 들어가, 락 베이스와 피니언이 클러치 플레이트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락 베이스와 피니언이 클러치 플레이트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프리텐셔너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 피니언의 회전력이 락 베이스를 통해 스풀(spool)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해, 스풀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웨빙 벨트가 스풀에 권취되어, 웨빙 벨트가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힘이 증가한다.
그런데, 피니언의 회전을 락 베이스에게 전하려면, 널링홀의 널링면과 클러치 플레이트의 맞물림 클로와의 접촉 면적은 큰 편이 바람직하며, 이 의미에서 말하면, 널링홀로부터 클러치 플레이트의 맞물림 클로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클러치 플레이트의 변위는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러치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 등에,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하여 락 베이스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간섭하는 간섭편(片)을 설치하여, 간섭편이 클러치 플레이트에 간섭함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클러치 플레이트를 조립할 때에 클러치 플레이트가 간섭편에 간섭되어, 클러치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베이스 부재에 대한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의 조립성의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하면서,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양태 1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 웨빙 벨트의 기단(基端)측이 걸림고정된 스풀(spool)이 축 둘레 일방의 권취(卷取)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풀이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기단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동시에, 소정의 베이스 부재에 피(被)유지 부품이 설치된 웨빙 권취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된 한 쌍의 레그부(脚部)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선단(先端)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측으로 변형 가능한 브릿지부(bridge portion)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설치되고, 기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피유지 부품과 대향하고,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피유지 부품 사이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유지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부착되는 소정의 부재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 부재와,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개재(介在)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의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전하여, 상기 유지부의 선단을 상기 피유지 부품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撓曲)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양태 1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장치를 구성하는 소정의 베이스 부재에 피유지 부품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한 쌍의 레그부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선단은 브릿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는, 설치된 유지부의 기단은 브릿지부에 연결되고, 유지부의 선단은 피유지 부품과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브릿지부에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지부의 선단과 피유지 부품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러한 틈새가 형성됨으로써, 피유지 부품을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에 대한 소정 위치에서 유지부의 선단과 대향하도록 피유지 부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가압 부재를 베이스 부재 또는 베이스 부재가 부착되는 소정의 부재에 부착하면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가 대향한다.
여기서,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중 어느 일방에는 어느 타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설치된 부위에서는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사이에 돌출부가 개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사이에 돌출부가 개재하는 부위에서는 브릿지부는 돌출부 분만큼 가압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피유지 부품측으로 벤딩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의 선단이 피유지 부품에 접근하므로, 피유지 부품이 레그부의 선단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유지부의 선단에 간섭되어 피유지 부품의 변위가 방지 또는 억제된다.
양태 2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 웨빙 벨트의 기단측이 걸림고정되고, 축 둘레 일방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기단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에 상기 권취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클러치 수단(clutch portion)과, 작동함으로써 상기 소정 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수단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와, 상기 프리텐셔너 및 상기 스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서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 일방을 향하여 세워설치된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 선단측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레그부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의 방향의 외력의 부여에 의해 벤딩 변형 가능한 브릿지부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설치되며, 기단측이 상기 브릿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이 상기 클러치 수단의 축방향 단부와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선단과 상기 클러치 수단의 축방향 단부 사이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유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 부재와,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의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전하여, 상기 유지부의 선단을 상기 클러치 수단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양태 2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면, 프리텐셔너에 의해 클러치 수단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수단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러치 수단이 스풀에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의 회전은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서 스풀에 전해져, 스풀이 강제적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풀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있는 웨빙 벨트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스풀에 권취되므로,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웨빙 벨트의 구속력이 증가한다.
그런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서는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 일방을 향하여 한 쌍의 레그부가 세워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 선단측은 브릿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부의 기단은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선단은 클러치 수단과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브릿지부에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지부의 선단과 클러치 수단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러한 틈새가 형성되므로, 클러치 수단을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유지부의 선단과 대향하도록 클러치 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가압 부재를 프레임에 부착하면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가 대향한다. 여기서,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중 어느 일방에는 어느 타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설치된 부위에서는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사이에 돌출부가 개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의 가압부와 브릿지부 사이에 돌출부가 개재하는 부위에서는 브릿지부는 돌출부 분만큼 가압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 수단측으로 벤딩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의 선단이 클러치 수단에 접근하기 때문에, 클러치 수단이 레그부의 선단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유지부의 선단에 간섭되어 클러치 수단의 변위가 방지 또는 억제된다.
양태 3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2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선단을, 상기 클러치 수단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벤딩된 곡면으로 하고 있다.
양태 3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유지부의 선단이 클러치 수단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벤딩된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부의 선단과 클러치 수단의 접촉은 선접촉이나 점접촉이 되어, 클러치 수단이 회전할 때에 유지부의 선단과 클러치 수단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양태 4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2 또는 양태 3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기부(基部)와,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기부로부터 세워설치된 벽부를 가지며,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상기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일방측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일방으로 하고,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타방측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타방으로 하며,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기부와는 반대측의 부분을 상기 브릿지부로 하여, 상기 관통 구멍의 내측에 상기 유지부를 설치하고 있다.
양태 4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레임에 케이스의 기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이 케이스의 내측에 클러치 수단이 수용된다. 여기서, 케이스의 벽부에는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이 벽부에 형성됨으로써, 벽부에서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일방측이 한 쌍의 레그부의 일방이 되고, 벽부에서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타방측이 한 쌍의 레그부의 타방이 되며, 벽부에서의 관통 구멍의 기부와는 반대측의 부분이 브릿지부가 되어, 관통 구멍의 내측에 유지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벽부로 한 쌍의 레그부 및 브릿지부를 구성하였으므로,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벽부와는 별도로 레그부나 브릿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레그부나 브릿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만, 케이스의 벽부로 한 쌍의 레그부 및 브릿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레그부나 브릿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양태 5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2 내지 양태 4 중 어느 하나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기부와,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기부로부터 세워설치된 벽부를 가지며,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브릿지부의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시키는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부여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가압 부재로 하고 있다.
양태 5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프레임에 케이스의 기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이 케이스의 내측에 클러치 수단이 수용되며, 이 케이스가 커버에 의해 덮인다.
또한, 양태 1―5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피유지 부품(상기 클러치 수단)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틈새의 상기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커버가 돌출부를 통해 브릿지부를 가압하여 브릿지부를 벤딩시키므로,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커버와는 별도로 가압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을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이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 클러치 수단 등의 피유지 부품의 변위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관통 구멍의 개구 방향을 따라 본 도면으로서, (a)는 브릿지부에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커버에 브릿지부가 가압되어 브릿지부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스풀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피니언 및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관통 구멍의 개구 방향을 따라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의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는 프레임(1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대략 평판 형상의 배면판(14)를 구비하고 있다. 배면판(14)의 폭방향 일단부로부터는 배면판(14)의 두께 방향 일방측을 향하여 평판 형상의 레그판(16)이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에 대하여, 배면판(14)의 폭방향 타단부로부터는 배면판(14)으로부터의 레그판(16)의 연장되어 나오는 방향을 향하여 레그판(18)이 연장되어 나와 있어, 프레임(12)은 전체적으로 배면판(14)의 폭방향으로 레그판(16)과 레그판(18)이 대향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12)의 레그판(16)과 레그판(18) 사이에는 스풀(20)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0)은 레그판(16)과 레그판(18)의 대향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풀(20)에는 긴 띠 형상의 웨빙 벨트(도시 생략)의 길이 방향 기단측이 걸림고정되어 있다. 웨빙 벨트는 스풀(20)로부터 프레임(12)의 상측(도 3의 상측)으로 빠져 있어, 스풀(20)이 그 중심 축선 주위의 일방인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20)의 외주부(外周部)에 웨빙 벨트가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권취되어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20)에는 관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2)은 단면 형상이 스풀(20)에 대하여 대략 동축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22)의 내측에는 비틀림 샤프트(24; torsion shaft)가 배치된다. 비틀림 샤프트(24)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인 막대 형상의 샤프트 본체(26)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 본체(26)의 축방향 레그판(16)측의 단부에는 스풀측 연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측 연결부(28)는 외주 형상이 샤프트 본체(26)의 외주 형상보다 충분히 크며, 또한, 그 형상은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별 형상 등 비(非)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스풀측 연결부(28)에 대응하여 스풀(20)의 레그판(16)측에는 내주 형상이 스풀측 연결부(28)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끼움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삽입 구멍은 관통 구멍(22)과 연통하고 있어, 관통 구멍(22) 내에 배치된 비틀림 샤프트(24)는 스풀측 연결부(28)가 이 끼움삽입 구멍에 끼워지며, 이것에 의해, 스풀(20)에 대하여 비틀림 샤프트(24)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스풀(20)과 비틀림 샤프트(24)가 연결된다.
또한, 스풀(20)의 레그판(18)측의 단부 근방에는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은 내경(內徑) 치수가 관통 구멍(22)의 내경 치수보다 크고, 관통 구멍(22)에 대하여 동축의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22)의 레그판(18)측의 단부가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의 바닥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는 락 기구를 구성하는 락 베이스(32)가 장착된다. 락 베이스(32)는 래칫부(34; ratchet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부(34)는 외주 형상이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의 내주 형상보다 충분히 큰 외부 톱니의 래칫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스풀(20)의 레그판(18)측의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락 베이스(32)의 스풀(20)측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끼움삽입부가 락 베이스(32)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락 베이스(32)의 끼움삽입부는 외주 형상이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의 내주 형상과 대략 동일한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서의 관통 구멍(22)과는 반대측의 개구단으로부터 락 베이스(32)의 끼움삽입부가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 끼움삽입된다. 스풀측 연결부(28)와 스풀측 연결부(28)가 끼움삽입되는 끼움삽입 구멍과는 달리,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의 내주 형상 및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 끼워넣어지는 락 베이스(32)의 끼움삽입부의 외주 형상은 원형이므로,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 락 베이스(32)의 끼움삽입부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도, 스풀(20)에 대하여 락 베이스(32)는 동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또한, 락 베이스(32)의 축방향 중간부로부터 스풀(20)측에는 끼움결합 구멍(36)이 스풀(20)에 대하여, 락 베이스(32)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락 베이스(32)의 축방향 중간부로부터 스풀(20)과는 반대측에는 널링홀(38)이 스풀(20)에 대하여, 락 베이스(32)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결합 구멍(36)과 널링홀(38)은 서로 연통하고 있어, 비틀림 샤프트(24)의 샤프트 본체(26)가 통과하고 있다. 상기 끼움결합 구멍(36)의 내주부로부터는 끼움결합 구멍(36)의 중심측을 향하여 복수의 끼움결합편(4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결합 구멍(36)에 대응하여 비틀림 샤프트(24)에는 끼움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결합부(42)는 샤프트 본체(26)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샤프트 본체(26)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끼움결합 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 돌기(44)는 끼움결합 구멍(36)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끼움결합편(40) 사이의 공극(空隙)에 대응하고 있어, 끼움결합 돌기(44)가 끼움결합편(40) 사이의 공극에 끼워넣어져, 비틀림 샤프트(24)에 대한 락 베이스(32)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끼움삽입부가 락 베이스 장착구멍(30)에 끼움삽입된 락 베이스(32)는 스풀(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스풀(20)의 끼움삽입 구멍에 스풀측 연결부(28)가 끼워넣어진 비틀림 샤프트(24)는 스풀(2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틀림 샤프트(24)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된 락 베이스(32)는, 비틀림 샤프트(24)를 통해 스풀(2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스풀(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락 베이스(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락 기구나 비틀림 샤프트(24)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거나 웨빙 벨트가 급격하게 인출(引出)되어 스풀(20)이 급격하게 권취 방향과는 반대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하면, 레그판(18)의 근방에서 스풀(20)의 중심 축선과 동일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 폴(lock pawl; 도시 생략)이 요동되어, 이 락 폴이 락 베이스(32)에서의 래칫부(34)의 외부 톱니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락 베이스(32)의 인출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 락 베이스(32)는 비틀림 샤프트(24)를 통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락 베이스(32)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됨으로써, 스풀(20)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며, 스풀(20)로부터의 웨빙 벨트의 인출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 벨트를 장착하고 있는 탑승자의 신체를 강하게 구속한다.
또한, 이와 같이, 락 베이스(32)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비틀림 샤프트(24)에서의 샤프트 본체(26)의 기계적 강도를 상회하는 힘으로 탑승자의 신체가 웨빙 벨트를 당기면, 스풀(20)을 통해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풀측 연결부(28)와, 락 베이스(32)를 통해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끼움결합부(42) 사이에서 샤프트 본체(26)에 비틀림 변형(torsional deformation)이 발생한다. 이 샤프트 본체(26)에서의 비틀림 변형 분만큼 스풀(20)은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풀(20)로부터의 웨빙 벨트의 인출을 허용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웨빙 벨트에 부여되는 인장 하중의 일부가 샤프트 본체(26)의 비틀림 변형에 제공되어, 인장 하중의 일부가 흡수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레그판(16)의 외측(레그판(16)의 레그판(18)과는 반대측)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케이스가 레그판(16)에 부착되어 있다. 스풀(20)의 레그판(16)측의 단부에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축부는, 이 스프링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 케이스 내에 설치된 스풀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에 대해, 레그판(18)의 외측(레그판(18)의 레그판(16)과는 반대측)에는, 베이스 부재로서의 케이스(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0)는 기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부(52)에는 1 내지 복수의 플러그 핀(plug pins)이나 끼움결합 클로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 수단이 레그판(18)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 수단이 레그판(18)에 형성된 끼움결합 구멍 등에 끼워넣어지거나, 압입(壓入)되어, 케이스(50)(나아가서는, 스풀(20))가 레그판(18)에 부착된다.
기부(52)에는 단부(54; 段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54)의 내주벽은 대체로 스풀(20)의 중심 축선을 곡율의 중심으로서 일정한 곡율 반경으로 벤딩되어 있다. 또한, 이 단부(54)의 바닥부에는 구멍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비틀림 샤프트(24)에 있어서 끼움결합 돌기(44)의 샤프트 본체(26)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샤프트 본체(26)에 대하여 동축으로 연장된 축부(56)가, 레그판(18)에 형성된 구멍부를 통과하여 단부(54)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부를 더 관통하고 있다.
이 단부(54)의 내측에는, 피유지 부품 또는 클러치 수단으로서의 클러치 플레이트(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60)는 링 형상의 기부(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의 축부(56)가 기부(62)를 통과하고 있다. 기부(62)의 내측에는 복수의 아암부(64)가 기부(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아암부(64)는, 기단부에 의해 기부(62)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각 아암부(64)의 선단측은 자유단이 되며, 기부(62)의 내주부를 따라 권취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아암부(64)의 각 선단으로부터는 락 베이스(32)측을 향하여 클러치 클로(66; clutch claw)가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들 복수의 클러치 클로(66)는 락 베이스(32)에 형성되어 있는 널링홀(38)로 들어간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내측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피니언(70)이 축부(5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70)은 외주 형상이 피니언 기어로 된 기어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어부(72)의 락 베이스(32)측에는 캠부(74)가 기어부(72)에 대하여 동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74)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걸림결합 톱니(7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결합 톱니(76)는 캠부(7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캠부(7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걸림결합 톱니(76) 사이에 상술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클러치 클로(66)가 끼워넣어진다.
또한, 걸림결합 톱니(76)의 권취 방향측의 면은 권취 방향에 대하여 캠부(74)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피니언(7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결합 톱니(76)의 경사면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클러치 클로(66)에 간섭하여, 클러치 클로(66)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아암부(64)가 기단측 둘레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요동하면, 클러치 클로(66)가 락 베이스(32)에 형성된 널링홀(38)의 내주면에 접근하여, 널링홀(38)의 내주면에 형성된 널링면에 클러치 클로(66)의 표면이 걸림결합된다(맞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피니언(70)이 클러치 플레이트(60)를 통해 락 베이스(32)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케이스(50)에는 벽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82)는 단부(54)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기부(52)로부터 레그판(18)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세워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벽부(82)에는 관통 구멍(84)이 벽부(8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벽부(82) 중 관통 구멍(84)으로부터 단부(54)의 둘레 방향을 따른 일방측이 레그부(92)로서 파악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벽부(82) 중 관통 구멍(84)으로부터 단부(54)의 둘레 방향을 따른 타방측이 레그부(94)로서 파악되는 구성이 되며, 벽부(82)에서의 관통 구멍(84)의 기부(52)와는 반대측에서 레그부(92)와 레그부(94)를 연결하는 부분이 브릿지부(96)로서 파악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레그부(92)와 레그부(94) 사이에는 유지부(98)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98)는 연결편(100)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98)는 길이 방향이 기부(52)에 대한 벽부(82)의 세워설치된 방향을 따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단부는 단부(54)의 둘레 방향을 따른 브릿지부(96)의 대략 중앙에서 브릿지부(96)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100)의 선단에는 유지편(102)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편(102)은 연결편(100)의 선단부로부터 기부(5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기부(52)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기부(52)의 반경 방향을 따른 치수가 증가하여, 기부(52)의 반경 방향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편(102)의 연결편(100)과는 반대측의 단면은 접촉면(104)으로 되어 있다. 접촉면(104)은 접촉면(104)보다 연결편(100)측의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단부(54)의 반경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벤딩되어 있으며, 접촉면(104)의 일부(접촉면(104)에서의 단부(54)의 반경 방향 중앙측)는 기부(52)로부터 벽부(82)의 세워설치된 방향을 따라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와 대향하고 있다. 기부(52)로부터 벽부(82)의 세워설치된 방향을 따른 접촉면(104)의 설정 위치는, 단부(54) 내에 배치된 클러치 플레이트(60)에서의 스풀(20)과는 반대측의 단면과 접촉면(104) 사이에 틈새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브릿지부(96)의 유지부(98)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돌출부로서의 돌기(10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06)는, 브릿지부(96)의 유지부(98)와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폭 치수가 점차 짧아지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브릿지부(96)의 유지부(98)와는 반대측의 면(즉, 기부(52)에 대한 벽부(82)의 세워설치된 방향측의 벽부(82)의 단부)으로부터 돌기(106)의 선단까지의 돌기(106)의 높이는, 상술한 클러치 플레이트(60)에서의 스풀(20)과는 반대측의 단면과 접촉면(104) 사이의 틈새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의 케이스(50)의 측방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프리텐셔너(110)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텐셔너(11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실린더(11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12)는 축방향이 프레임(12)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레그판(18)의 두께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실린더(112)의 축방향 상단부에는 가스 발생기(114)가 장착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114)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ECU)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제어장치가 가스 발생기(114)에 대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면, 가스 발생기(114) 내에 설치된 가스 발생제가 연소된다. 가스 발생제는 연소되어 순식간에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한 가스는 실린더(112)의 축방향 상단으로부터 실린더(112) 내로 공급되어, 실린더(112)의 내압을 상승시킨다. 실린더(112)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피스톤이 수용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실린더(112)의 내압이 상승하면 피스톤이 실린더(112)의 축방향 하단측을 향하여 슬라이딩이동(하강)한다.
이 피스톤에는 도시하지 않는 랙 바(rack bar)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피스톤이 하강하면 랙 바가 피니언(70)의 기어부(72)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프리텐셔너(110)의 실린더(112)에 대응하여 레그판(18)에는 홀더(120)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20)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레그부(122)(도 1에서는 일방의 레그부(122)만을 도시)를 가지며, 전체적으로는 레그판(18)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120)의 양 레그부(122) 사이를 실린더(112)가 통과한 상태에서 각 레그부(122)가 레그판(18)에 형성된 부착 구멍(124)을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120)가 레그판(18)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홀더(120)와 레그판(18)에 의해 실린더(112)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실린더(112)의 레그판(18)과는 반대측에는, 커버로서 가압 부재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3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평판 형상의 기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32)는 레그판(18)과 대향하고 있으며, 이 기부(132)의 레그판(18)측에 상기의 피니언(70)이나 클러치 플레이트(60), 프리텐셔너(110)의 랙 바 등이 배치되어 있다. 기부(132)의 외주부로부터는 레그편(134)이 연장되어 나와 있고, 이 레그편(134)의 선단측이 나사(136)에 의해 레그판(18)에 고정되며, 이것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30)가 레그판(18)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130)는 나사(136)에 의해 레그편(134)이 레그판(18)에 체결고정된 상태로 케이스(50)를 구성하는 벽부(82)의 선단부(벽부(82)의 기부(5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하도록(바람직하게는 압입접촉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30)의 형상, 특히,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른 기부(132)로부터 레그편(134)의 레그판(18)에 대한 체결 고정 부분까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가 프리텐셔너(110)의 가스 발생기(114)에 대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가스 발생기(114) 내에 설치된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면 순식간에 가스를 발생시켜, 이 가스가 실린더(112)의 내압을 상승시킨다. 실린더(112)의 내압이 상승함으로써 피스톤이 하강하면, 피스톤과 일체인 랙 바가 하강하여 피니언(70)의 기어부(72)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7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70)에서의 캠부(74)의 걸림결합 톱니(76)의 경사면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클러치 클로(66)에 간섭하고, 클러치 클로(66)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가압된 클러치 플레이트(60)는 아암부(64)가 기단측 둘레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요동하여, 락 베이스(32)에 형성된 널링홀(38)의 내주면에 접근한다. 널링홀(38)의 내주면에 접근한 클러치 클로(66)의 표면은 널링홀(38)의 내주면인 널링면에 맞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피니언(70)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을 통해 락 베이스(3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권취 방향으로의 피니언(70)의 회전이 클러치 플레이트(60)를 통해 락 베이스(32)에 전해져, 락 베이스(32)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락 베이스(32)는, 비틀림 샤프트(24)에 의해 스풀(2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스풀(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락 베이스(32)에 부여된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비틀림 샤프트(24)를 통해 스풀(20)에 전해져, 스풀(20)을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스풀(2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된 웨빙 벨트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스풀(20)에 권취되어, 탑승자의 신체가 더욱 강하게 구속된다.
그런데,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136)에 의해서 커버 플레이트(130)의 레그편(134)이 레그판(18)에 조립되면, 기부(132)가 케이스(50)를 구성하는 벽부(82)의 선단부(벽부(82)의 기부(5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한다(바람직하게는 가압접촉한다).
여기서, 케이스(50)의 벽부(82)에 있어서, 브릿지부(96)의 유지부(9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돌기(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132)가 벽부(82)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30)가 레그판(18)에 조립되면, 기부(132)가 돌기(106)를 레그판(18)측(도 2b의 화살표 F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기부(132)로부터의 가압력을 돌기(106)가 받으면, 양단이 레그부(92)와 레그부(94)에 지지되어 있는 브릿지부(96)는 그 중간부가 레그판(18)측으로 변위하여, 브릿지부(96) 전체적으로는 기부(132)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벤딩된다. 이와 같이 브릿지부(96)가 벤딩되어,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근한다.
여기서, 브릿지부(96)로부터의 돌기(106)의 돌출 치수는, 브릿지부(96)가 벤딩되기 전 상태에서 기부(52)로부터의 벽부(82)의 세워설치된 방향(즉,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른 접촉면(104)과 클러치 플레이트(60)에서의 스풀(20)과는 반대측의 단면과의 틈새의 크기(간격)와 동일하다.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30)의 기부(132)가 벽부(82)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레그판(18)에 조립되면, 브릿지부(96)에 있어서 돌기(106)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브릿지부(96)로부터의 돌기(106)의 돌출 치수 분만큼 레그판(18)측으로 변위한다.
이 때문에, 레그판(18)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한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60)가 단부(54)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즉, 커버 플레이트(130)의 기부(132)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러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변위가 규제됨으로써, 피니언(7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기어부(72)(피니언(70))의 걸림결합 톱니(76)의 경사면과 클러치 플레이트(60)의 클러치 클로(66)의 걸림결합 부분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판(18)에 커버 플레이트(130)를 조립하기 전 상태에서는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이 클러치 플레이트(60)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50)의 단부(54) 내로의 클러치 플레이트(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30)나 케이스(50)의 부품 치수에 오차가 발생하여도, 벽부(82)로부터 돌기(106)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커버 플레이트(130)를 레그판(18)에 조립했을 때에는 기부(132)에 의해 돌기(106)를 가압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50)의 래틀링(rattling) 등의 발생을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해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30)나 케이스(50)의 부품 치수에 오차가 발생하여도, 케이스(50)의 래틀링 등의 발생을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해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으므로, 커버 플레이트(130)나 케이스(50)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자유도도 향상된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하는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은, 상기와 같이, 접촉면(104)보다 연결편(100)측의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단부(54)의 반경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둘레로 벤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와 유지부(98)의 접촉면(104)과의 접촉은 선접촉이 되어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60)가 회전할 때에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와 유지부(98)의 접촉면(104)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와 유지부(98)의 접촉면(104)과의 접촉이 선접촉이 되도록 접촉면(104)을 벤딩시켰지만,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와 유지부(98)의 접촉면(104)과의 접촉이 점접촉이 되도록 접촉면(104)을, 예를 들면 구면 형상으로 벤딩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케이스(50)의 벽부(82)에 관통 구멍(84)를 형성함으로써,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를 형성하였지만, 벽부(82)와는 별도로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를 케이스(50)에 설치해도 되고, 케이스(50)와는 별도의 부재로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를 구성해도 된다. 그렇지만,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를 케이스(50)의 일부로서 구성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벽부(82)를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로 함으로써, 레그부(92, 94) 및 브릿지부(96)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커버 플레이트(130)의 기부(132)가 돌기(106)를 가압하는 구성이었지만, 커버 플레이트(130)와는 별도로 돌기(106)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을 레그판(18)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렇지만, 케이스(50)를 덮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130)로 돌기(106)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106)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커버 플레이트(130)와는 별도로 설치하면, 커버 플레이트(130)를 설치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가압 부재를 부착하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지만, 커버 플레이트(130)로 돌기(106)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압 부재를 부착하는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106)를 브릿지부(96)(즉, 벽부(82))에 형성한 구성이었지만, 커버 플레이트(130)의 기부(132)에서의 브릿지부(96)와 대향하는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가 브릿지부(96)를 가압하여 벤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도 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릿지부(96)를 벤딩시켜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을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촉시킴으로써, 클러치 플레이트(60)의 변위를 규제하는 구성이었다. 그렇지만, 브릿지부(96)가 벤딩된 상태에서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을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브릿지부(96)가 벤딩되기 전 상태에 비하면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은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근하고 있어, 이와 같이, 접촉면(104)과 기부(62)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만으로도 클러치 플레이트(60)의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관점으로부터는, 브릿지부(96)가 벤딩됨으로써,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근하여 접촉면(104)과 기부(62)의 간격이 좁아지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단, 브릿지부(96)가 벤딩된 상태에서 유지부(98)의 접촉면(104)이 클러치 플레이트(60)의 기부(62)에 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피니언(70)의 회전력을 스풀(20)에 전하기 위한 클러치 플레이트(60)의 유지에 본 발명을 적용한 구성이지만, 양태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관점으로부터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웨빙 권취 장치(10)의 락 기구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부품, 특히, 작동할 때에 회전하는 회전체의 유지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10 : 웨빙 권취 장치 12 : 프레임
20 : 스풀 50 : 케이스
60 : 클러치 플레이트(피유지 부품, 클러치 수단)
82 : 벽부 84 : 관통 구멍
92 : 레그부 94 : 레그부
96 : 브릿지부 98 : 유지부
104 : 접촉면 106 : 돌기(돌출부)
110 : 프리텐셔너
130 : 커버 플레이트(가압 부재, 커버)

Claims (10)

  1.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 웨빙 벨트(webbing belt)의 기단(基端)측이 걸림고정된 스풀(spool)이 축 둘레 일방의 권취(卷取)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풀이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기단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에 피(被)유지 부품이 설치된 웨빙 권취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된 한 쌍의 레그부(脚部)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선단(先端)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측으로 변형 가능한 브릿지부(bridge portion)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설치되고, 기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피유지 부품과 대향하고,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피유지 부품 사이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유지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부착되는 부재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 부재와,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개재(介在)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의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전하여,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피유지 부품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撓曲)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피유지 부품에 접촉하는, 웨빙 권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틈새의 상기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와 동일한, 웨빙 권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피유지 부품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벤딩된 곡면으로 한, 웨빙 권취 장치.
  5.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 웨빙 벨트의 기단측이 걸림고정되고, 축 둘레 일방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기단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에 상기 권취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클러치 수단(clutch portion)과,
    작동함으로써 상기 소정 방향으로 상기 클러치 수단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와,
    상기 프리텐셔너 및 상기 스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서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 일방을 향하여 세워설치된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 선단측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레그부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의 방향의 외력의 부여에 의해 벤딩 변형 가능한 브릿지부와,
    상기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 설치되며, 기단측이 상기 브릿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클러치 수단의 축방향 단부와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선단부와 상기 클러치 수단의 축방향 단부 사이에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유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 부재와,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가압부로부터의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전하여,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클러치 수단에 접근시키도록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빙 권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클러치 수단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벤딩된 곡면으로 한, 웨빙 권취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기부(基部)와,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기부로부터 세워설치된 벽부를 포함하고,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상기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일방측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일방으로 하고,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둘레 방향 타방측을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타방으로 하며, 상기 벽부에서의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기부와는 반대측의 부분을 상기 브릿지부로 하여, 상기 관통 구멍의 내측에 상기 유지부를 설치한, 웨빙 권취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기부와,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기부로부터 세워설치된 벽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프레임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브릿지부의 상기 유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브릿지부와 대향하며,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릿지부를 벤딩시키는 상기 가압력을 상기 브릿지부에 부여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가압 부재로 한, 웨빙 권취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는 상기 클러치 수단에 접촉하는, 웨빙 권취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한 쌍의 레그부의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가압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틈새의 상기 세워설치된 방향에서의 치수와 동일한, 웨빙 권취 장치.
KR1020100104158A 2009-10-29 2010-10-25 웨빙 권취 장치 KR101370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9034A JP5243388B2 (ja) 2009-10-29 2009-10-29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9-249034 200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40A KR20110047140A (ko) 2011-05-06
KR101370485B1 true KR101370485B1 (ko) 2014-03-06

Family

ID=4347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58A KR101370485B1 (ko) 2009-10-29 2010-10-25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7223B2 (ko)
EP (1) EP2316698B9 (ko)
JP (1) JP5243388B2 (ko)
KR (1) KR101370485B1 (ko)
CN (1) CN10205007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277A (ko) * 2002-07-11 2004-01-24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권취장치 및 클러치 기구
JP2004175279A (ja) * 2002-11-28 2004-06-24 Tokai Rika Co Ltd プリテンショナ装置
EP1679239A1 (en) * 2005-01-06 2006-07-12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7488B2 (ja) * 1999-02-16 2003-08-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607115B2 (ja) * 1999-04-16 2005-01-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60313052T2 (de) * 2003-09-16 2007-12-20 Autoliv Ifb India Pvt Ltd. Gurtbandspulenspannvorrichtung
JP2006213156A (ja) * 2005-02-03 2006-08-17 Tokai Rika Co Ltd 保持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126575B2 (ja) * 2007-05-01 2013-01-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ウェビング巻取り装置
CN201176149Y (zh) * 2008-02-22 2009-01-07 芜湖金安世腾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新型机动车用安全带卷收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277A (ko) * 2002-07-11 2004-01-24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권취장치 및 클러치 기구
JP2004175279A (ja) * 2002-11-28 2004-06-24 Tokai Rika Co Ltd プリテンショナ装置
EP1679239A1 (en) * 2005-01-06 2006-07-12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93420A (ja) 2011-05-12
US8657223B2 (en) 2014-02-25
EP2316698B9 (en) 2013-04-10
EP2316698B1 (en) 2012-06-20
EP2316698A1 (en) 2011-05-04
JP5243388B2 (ja) 2013-07-24
KR20110047140A (ko) 2011-05-06
CN102050075A (zh) 2011-05-11
US20110101143A1 (en) 2011-05-05
CN102050075B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528B1 (en) Webbing retractor
JP429555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8240591B2 (en) Webbing retractor, method of controlling webbing retractor, and vehicle
US8596567B2 (en) Seatbelt retractor
KR20070090908A (ko) 웨빙 권취장치
JPWO2010084687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416360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46050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9371054B2 (en) Webbing take-up device
KR101370485B1 (ko) 웨빙 권취 장치
JP545642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20130233958A1 (en) Webbing retractor
US20130126656A1 (en) Webbing retractor
JP510866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918452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2386889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20110137247A (ko) 웨빙권취장치
JP541949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2853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21310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249761B2 (ja) プリテンショナ
JP201014959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369720B1 (ko)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