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262A -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262A
KR20070087262A KR1020077018515A KR20077018515A KR20070087262A KR 20070087262 A KR20070087262 A KR 20070087262A KR 1020077018515 A KR1020077018515 A KR 1020077018515A KR 20077018515 A KR20077018515 A KR 20077018515A KR 20070087262 A KR20070087262 A KR 20070087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recording
cdps
ds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583B1 (ko
Inventor
타카오 아이치
카즈야 사카모토
켄타로 야노
후미히로 고토
아키토시 야마다
루리코 미카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36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04N1/32379Functions of a still picture terminal memory associated with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3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 데이터의 인쇄처리와 관련된 DPOF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매체를 가지고, 프린터와의 접속시에, 프린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기능들과 관련되어 있는 취득된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인쇄처리와 관련된 CDPS 작업 명령을 설정하며, DPOF와 CDPS 명령에 의거하여 프린터에 대한 인쇄조건을 설정하며, 인쇄 지시를 송신한다. 프린터는 상기 지정된 인쇄조건에 따라,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디지털 카메라, 포토 다이렉트 인쇄, DPOF, CDPS, 기능정보 취득

Description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IMAGE SUPPLY DEVICE,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공급장치로부터의 기록 지시에 따라 화상을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화상을 촬상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촬상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인쇄되어 사진으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촬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PC(컴퓨터)에 임시로 다운로드하고, 그 PC에 의해 화상처리를 실행한 다음, 상기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PC로부터 컬러 프린터에 출력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보통의 관행이다.
이에 비해, 최근에는 PC를 통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컬러 프린터에 직접 전송하도록 하여 인쇄할 수 있는 컬러 인쇄시스템, 컬러 프린터, 즉,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되어 촬상된 화상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촬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소위 포토 다이렉트(PD : Photo-direct) 프린터 등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시스템은 DPOF를 사용하여 인쇄할 화상이나, 인쇄할 부수 등을 지정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는 인쇄할 화상(화상들)의 선택 정보와 그 절차 등을,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저장하고, 기억매체를 장착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프린터에 접속되거나, 기억매체 자체가 프린터에 장착됨으로써, 어떠한 PC를 통하지 않고도 원하는 인쇄 조건하에서 인쇄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억매체에 보유된 내용은 인쇄할 화상 정보와, 용지 크기, 매수 등의 인쇄 조건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는 보통 오프라인(프린터에 접속되지 않음)에서 DPOF 파일을 생성하므로, 상기 DPOF에 의해 설정되는 인쇄조건에 따른 인쇄처리가 그 접속된 프린터에 의해 실현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 때문에, DPOF에 의해 설정되는 인쇄 조건하에서는 인쇄처리가 종종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기록조건과, 화상공급장치와 접속되어 기록처리에 사용되는 기록장치의 기능을 사용하는 또 다른 기록조건을 이용하여 기록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록장치와 직접 통신하며,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공급장치로서, 기억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판독수단과, 상기 기록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록장치가 가지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기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2 기록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상기 제2 기록조건을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도면 전반을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상 공급측과 화상 출력측의 자원을 공통으로 이용함으로써, 호환성 장치 및 비호환성 장치와의 다이렉트 인쇄처리를 이행함에 있어서, 짧은 개발 기간, 낮은 비용, 자원 삭감, 높은 신뢰성 등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apability(기능) 정보와 각종 지시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교환되므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으로의 용이한 이식이 확보되므로, 용이한 표준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장치간의 통신 절차는 범용 파일 및 서식을 이용하여 이행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절차층이 그 상부층에서 규정됨으로써,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무관하게 통신 절차를 규정할 수 있다.
명세서에 병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렉트 프린터장치(이하, "PD 프린터"라 함)(1000)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PD 프린터(1000)는,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일반적인 PC 프린터로서의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로부터 직접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고,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는, 하부 케이스(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를 외장부재로서 가지고 있다. 하부 케이스(1001)는 PD 프린터(1000)의 대략 하반부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002)는 본체의 대략 상반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케이스를 조합함으로써, 후술하는 기구들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중공체 구조가 형성된다. 본체의 상부면 및 전면에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배출 트레이(1004)의 일 단부는 하부 케이스(10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레이(1004)의 회전은 하부 케이스(100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이 때문에, 프린터가 인쇄 동작을 실행하도록 할 때에는, 배출 트레이(1004)가 전면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개구부를 열리게 한다. 그 결과,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쇄 용지가 배출될 수 있고, 배출 트레이(1004)에 차례로 쌓일 수 있다. 배출 트레이(1004)는 2개의 보조 트레이 1004a 및 1004b를 수납하고 있다. 이들 보조 트레이가 필요에 따라 인출되면, 인쇄 용지의 적재 면적은 3단계로 확대/축소될 수 있다.
액세스 커버(1003)의 일 단부는 상부 케이스(10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액세스 커버(1003)가 열리면,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헤드 카트리지(도시되지 않음), 잉크 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세스 커버(1003)가 개폐되면, 커버(1003)의 뒷면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의 개 폐 상태가 검출된다.
상부 케이스(1002)의 상부면에는 전원 키(1005)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02)의 우측에는, 액정 표시기(1006), 각종 키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1010)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패널(10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면번호 1007은 인쇄 용지를 장치 본체 내에 자동적으로 급송하는 자동 급송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008은 인쇄헤드와 인쇄 용지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지간격 선택 레버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009는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어댑터를 수납하는 카드 슬롯을 나타낸다. 이 어댑터를 통해,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직접 페치(fetch)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이 메모리 카드(PC)로서, 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이용 가능하다. 도면번호 1011은, PD 프린터(1000)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사용자가 PC 카드에 기억된 화상에서 인쇄할 화상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1프레임에 대한 화상, 인덱스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뷰어(액정 표시부)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012는 디지털 카메라(후술함)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USB 단자를 나타낸다. 또한, 이 PD 프린터(1000)의 뒷면에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USB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 패널(1010)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부(1006)는 표시부(1006)의 좌우측에 인쇄되는 항목명에 관련된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여기에 인쇄되는 항목은, 예를 들어, 인쇄할 화상의 선두 사진번호나 지정된 프레임 번호(시작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인쇄할 화상의 최후 사진번호(종료), 인쇄 부수(부수), 인쇄처리에 사용되는 인쇄 용지(인쇄 시트)의 종류(용지 종류), 인쇄 용지당 인쇄할 사진 매수 설정(레이아웃), 인쇄 품질의 지정(품질), 촬영한 날짜를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날짜 인쇄), 보정 후에 사진을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화상 보정), 인쇄처리에 필요한 인쇄 용지 매수의 표시(용지 매수) 등을 포함한다. 이들 항목은 커서 키(2001)를 사용하여 선택 또는 지정된다. 도면번호 2002는 모드 키를 나타낸다. 이 키가 눌러질 때마다, 인쇄 종류(인덱스 인쇄, 전체 프레임 인쇄, 1 프레임 인쇄 등)가 전환될 수 있고, 선택된 인쇄 종류에 따라 LED(2003) 중에서 대응하는 LED가 점등된다. 도면번호 2004는 프린터의 유지보수(예를 들어, 인쇄헤드의 클리닝 등)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지보수 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2005는 인쇄처리의 시작이 지시되거나, 유지보수 설정이 확립될 때에 눌러지는 인쇄시작 키이다. 도면번호 2006은 인쇄처리 또는 유지보수처리가 취소될 때에 눌러지는 인쇄취소 키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도 3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상기 도면에서와 공통인 부품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면번호 3000은 제어기(제어보드)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001은 ASIC(전용 커스텀 LSI)을 나타낸다. ASIC(300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면번호 3002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로서, CPU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각종 제어처리와, 휘도신호(RGB)로부터 농도신호(CMYK)로의 변환, 스케일링, 감마 변환, 에러확산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도면번호 3003은 메모리로서, DSP(3002)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3003a와, 실행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AM 영역과,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지고 있다. 도면번호 3004는 프린터 엔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엔진이 프린터에 탑재되어 있다. 도면번호 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를 접속하는 포트(port)로서의 USB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006은 뷰어(1011)를 접속하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008은 USB 허브(USB HUB)를 나타낸다. PD 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할 때, USB 허브(3008)는 PC(30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그대로 통과하게 하여, 그 데이터를 USB(3021)를 통해 프린터 엔진(3004)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프린터에 접속된 PC(3010)는 프린터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 신호 등을 교환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프린터가 일반적인 PC 프린터로서 기능함). 도면번호 3009는 전원(3019)에 의해 상용 AC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커넥터를 나타낸다. PC(3010)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이다. 도면번호 3011은 전술한 메모리 카드(PC 카드)를 나타내 고, 3012는 디지털 카메라(이하, "DSC : Digital Still Camera"라고 함)를 나타낸다.
이 때, USB(3021) 또는 IEEE1284 버스(3022)를 통해, 이 제어기(3000)와 프린터 엔진(3004) 사이에서 신호가 교환된다.
도 4는 ASIC(30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도면번호는 전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번호 4001은, 삽입된 PC 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PC 카드(3011)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PC 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02는 프린터 엔진(3004)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IEEE1284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 IEEE1284 인터페이스(4002)는, 디지털 카메라(3012) 또는 PC카드(30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인쇄될 경우에 사용되는 버스이다. 도면번호 4003은 PC(301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디지털 카메라(3012)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05는 제어 패널(1010)로부터 각종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1006)에 출력하는 제어 패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06은 뷰어(1011) 상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뷰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07은 각종 스위치, LED(4009)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08은 DSP(3002)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CPU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4010은 이들 인터페이스들을 상호 접속하는 내부 버스(ASIC 버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의 대표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에 접속될 수 있는 일부 모델의 디지털 카메라는 표시부(2700)(후술함)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번호 3100은 DSC(3012) 전체를 제어하는 CPU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3101은 CPU(3100)의 처리 시퀀스를 기억하고 있는 ROM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3102는 CPU(310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을 나타내고, 도면번호 3103은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군을 나타낸다. 스위치군(3103)은 각종 스위치, 커서 키 등을 포함한다. 도면번호 2700은, 촬상된 화상을 확인하고, 각종 설정을 행할 때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정 표시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105는 주로 렌즈 및 그 구동계를 포함하는 광학부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106은 CCD소자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7은 CPU(3100)의 제어하에서 광학부(36)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3108은 기억매체(3109)(컴팩트 플래시™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등)를 접속하는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10은 PC 또는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USB 인터페이스(USB 슬레이브측)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PD 프린터(1000)와 DSC(3012)를 접속하여 인쇄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예시한다. 본 실시예는, 이 PD 프린터(1000) 등의 화상출력장치가 각 제조업체의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전화(휴대 전화), 메모리장치 등의 장치(DSPD : Digital Still Photography Devices)와 접속하도록 하고, 이러한 장치들로부터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할 수 있는 PD 프린터를 제공하 는 것을 그 목적으로서 가지며,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와, 이러한 DSPD의 일례인 DSC(3012)를 접속하여 인쇄처리가 실행될 경우의 통신 규약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PD 프린터와 DSC간의 통신제어를 범용 파일 및 범용 서식을 이용하여 행하고,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CDPS(Canon Direct Print Service)를 제안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DSC와 화상출력장치 사이에서 각종 통신 아키텍처(예를 들어, USB 상의 Still Image Class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Mass Storage Class나 Bluetooth 상의 OBEX, UPnP 등)에 의한 배치를 행하기 위하여, 인쇄 서비스 기능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인쇄 서비스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실행 기능의 집합체이며,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고 있지 않다.
또한, 실제의 화상 데이터와 장치들간의 통신제어는 범용 파일 및 범용 서식을 이용하여 행해지므로(예를 들어, XML 서식을 이용하여 기술됨),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DSC와 화상출력장치를 접속하는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그 조작은 DSC 및 화상출력장치의 어느 한 쪽의 조작부(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스위치 및 액정 표시기나, 프린터의 제어 패널)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전체 시스템에서는, 두 장치가 유사한 기능을 가질 경우, 두 장치 중에서 하나의 장치는 그 조작을 다른 장치가 실행할 것을 지시하도록 정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디스커버리 처리(이행 처리, 후술함) 후에, 조작부와 다른 기능들을 두 장치 중에서 어떻게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이 채택됨으로써, 범용성을 확장시킨 다.
[통신 개요 설명]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화상출력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간의 통신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때, DSC(3012)와 PD 프린터(1000)는 USB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그들간의 통신은 PTP를 사용하고 있다. 이 USB 접속에서는, PD 프린터(1000)가 호스트측으로 작용하고, DSC(3012)가 슬레이브측으로 작용한다.
이하, 이 절차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여기서, DSC(3012)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며, 인쇄처리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인쇄조건을 설정하고, 인쇄시작 지시를 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1) 우선, DSC(3012)와 PD 프린터(1000)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2) PD 프린터(1000)의 USB 호스트 제어기(USB 태스크)는 DSC(3012)를 인식하고, Image Class/PTP에서 접속을 확립한다. 이 상태는 도 6의 "통신 확립"(600)에 해당한다.
(3)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해 규정된 통신 규약(CDPS)으로 제어를 이행하기 위한 처리(601)가 시작된다. 이 때, DSC(3012) 및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양자 사이에서 CDPS 서비스가 이행될 수 있는지 확인된다. 상기 서비스가 이행될 수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가 "표준" 또는 "확장" 절차 중 어느 절차에 의해 이행되는지 결정된다(610). 또한, 이 처리(601)에서는, 인쇄화상의 결정, 인쇄조건의 설정, 인쇄시작 지시의 발행 등을 위해,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어느 쪽이 사용되는지에 대해 결정된다.
(4) 상기 처리(601)의 결과, "표준" 절차(602)에서 서비스가 이행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는 DSC(3012)에 "프린터 측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지한다(603). 보다 구체적으로, 용지 크기, 용지 종류, 인쇄 품질, 레이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조합 등이 통지된다.
(5) DSC(3012)는 603에서 수신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UI 메뉴를 생성하여, 표시부(2700)에 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인쇄화상의 설정 및 사진선택(이하, 전반적으로 "작업(job)"이라 함)을 UI 메뉴를 통해 행한다(611).
(6) 이와 같이, "작업" 설정을 완료하고 나서, 사용자가 DSC(3012)에서 인쇄시작 지시를 발행하면,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작업"을 송신한다(604).
(7) PD 프린터(1000)는 604에서 수신된 "작업"의 내용에 따라 자신을 설정하고, 필요한 화상 파일을 DSC(3012)로부터 취득하여(605), 사진을 인쇄한다(613).
(8) "작업"의 실행 도중에 PD 프린터(10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는 발생한 에러의 내용을 DSC(3012)에 통지하여, 사용자가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606)(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계속/중지"를 선택함). 사용자가 DSC(3012)의 UI를 사용하여 취할 조치를 결정하면(612), 결정된 내용은 PD 프린터(1000)에 송신되어 해당하는 에러 처리(614)를 실행한다.
(9) 이와 같이, 화상 파일의 전달과 인쇄처리(→에러 송수신)을 반복하여 "작업"이 완료되면, DSC(3012)는 다시 "작업" 설정 상태로 설정된다.
(10) 상기 610에서, CDPS "확장 절차"에서 서비스가 이행되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에는, 각 제조업체에 고유한 절차 및 "확장" 처리가 실행된다. "확장 절차"에서의 처리는 각 제조업체에 의해 지정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층 구조]
도 7은 DSC(3012)와, 대표적인 화상출력장치인 PD 프린터(1000)가 접속될 때의 기능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면번호 700 및 703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나타내고, 도면번호 701 및 702는 USB와 블루투스(Bluetooth)가 일례인 물리층을 나타낸다. DSC(3012) 및 PD 프린터(1000)는, 각각 어플리케이션 700 및 703을 실장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CDPS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층 701 및 702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시스템은 프로토콜층의 PTP, BIP 및 MSC(Mass Storage Class) 상의 파일 시스템 등의 아키텍처의 실장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인쇄 서비스 기능의 실체는 어플리케이션 700 및 703에 존재하고, 상기 인쇄 서비스 기능은 CDPS로부터 각각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모듈에서 실행된다.
이와 같이,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는 어떠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무관하게 이행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기능]
도 8은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가 일체형 시스템으로서 간주될 경우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계층 구조가 상기 시스템은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정한 후, DSPD 및 화상출력장치의 "기능"에 대한 비의존성을 실현하도록, 보다 높은 레벨의 요소(오브젝트)가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SC와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각종 기능이 분리되거나 제한적으로 할당되지 않으며, 전체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에 대해 필요한 기능적인 구성 및 오브젝트가 정의된다. 이하,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기능이 크게 4개의 기능(800∼803)으로 분류된다.
<CDPS 초기화처리(CDPS 초기화)(800)>
CDPS 초기화처리(800)는 다른 CDPS의 기능에 앞서 최초로 기동된다. 이 처리는 CDPS 모드로의 이행(표준/확장) 등을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를 "Service Discovery(서비스 디스커버리)"(804)로서 각 기능에 송신한다. 이 처리는 상기 도 6의 601에 해당한다.
<조작 제어(조작 제어기)(801)>
사용자(812)와 상호 작용하는 UI의 관리(조작 제어기)(801)는, CDPS 초기화 처리(800)로부터의 "Service Discovery"(804)를 수신하고 나서 기동된다. 이 조작 제어기(801)는 인쇄 제어(인쇄 제어기)(803)로부터, 인쇄장치(810)(프린터 엔진(3004))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서비스 "Service"(807)를 취득하고, 기억 제어(기억 제어기)(802)로부터, 기억장치(811)에 의해 보유된 화상정보 리스트 "Data List"(예를 들어, PC 카드(3011))를 취득한다. 조작 제어기(801)는 이들 "Service"(807) 및 "Data List"(805)의 기술에 의거하여 UI 메뉴를 생성한다. 조작 제어기(801)는 이와 같이 생성된 UI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출력설정 지시 "Job"(808)을 생성하고,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한다.
<기억 제어(기억 제어기)(802)>
기억 제어기(802)는 사진화상을 보유하는 기억매체(예를 들어, PC 카드(3011))를 관리한다. 이 기억 제어기(802)는 CDPS 초기화처리(800)로부터 "ServiceDiscovery"(804)를 수신하고 나서 기동된다. 기억 제어기(802)는 조작 제어기(80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기억장치(811)에 보유된 화상정보 리스트 "DataList"(805)를 생성하여,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한다. 또한, 기억 제어기(802)는 인쇄 제어기(80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기억장치(811)에 보존된 화상 파일 "JobData"(806)를 인쇄 제어기(803)에 출력한다.
<인쇄 제어(인쇄 제어기)(803)>
인쇄 제어기(803)는 사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810)를 관리한다. 이 인 쇄 제어기(803)는 CDPS 초기화처리(800)로부터 "ServiceDiscovery"(804)를 수신하고 나서 기동되고, 인쇄장치(81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서비스 "Service"(807)를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한다.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출력설정 지시 "Job"(808)을 취득하고 나서, 인쇄 제어기(803)는 그 "Job"(808)의 기술에 의거하여, "DataList"(805)에 기재된 기술방법을 이용하여 기억 제어기(802)에 대해 기억장치(811)에 보존된 화상 파일 "JobData"(806)를 요구하고, 그 화상 파일을 취득한다. 인쇄장치(801)는 처리될 수 있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장치(810)에 출력함으로써, 화상을 인쇄한다.
도 9는 도 8의 각 기능에 의한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1에서, CDPS 초기화처리(800)는 시스템이 CDPS 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각 기능에"ServiceDiscovery"(804)를 송신함으로써, 각 기능을 기동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2로 진행하고,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장치(810)가 제공할 수 있는 인쇄 서비스 "Service"(807)를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한다.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조작 제어기(801)는 기억 제어기(802)로부터 기억장치(811)에 보유된 화상정보 리스트 "DataList"(805)를 취득한다. 단계 S4로 진행하여, 조작 제어기(801)는 "Service"(807) 및 "DataList"(805)에 의거하여 인쇄 설정용의 UI를 구성 및 표시한다. 조작 제어기(801)는 이 UI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812)의 지시에 의거하여, 인쇄해야 할 화상과, 그 인쇄 모드의 선택 등을 지정하는 인쇄설정 지시 "Job"(808)을 생성하고, 생성된 "Job"(808)을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한다. 단계 S5로 진행하여, 인쇄 제어기(803)는 "Job"(808)의 기술에 따라 인쇄장치(810)의 인쇄 설정을 행한다. 인쇄 제어기(803)는 기억 제어기(802)에 대하여, "DataList"에 기재된 기술방법을 이용하여, 기억장치(811)에 보유되어 있고 인쇄 처리에 필요한 화상 파일 "JobData"(806)를 요구하고, 그 화상 파일을 취득한다. 그 다음,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장치(81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인쇄 제어기(803)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810)에 출력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단계 S7에서는, 인쇄처리의 종료 지시가 지시되었는지 검사된다. 종료 지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인쇄처리의 종료 지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술한 기능의 위치(DSC(3012) 또는 PD 프린터(1000))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계층구조와, 4개의 기능 800 내지 803과, 상기 4개의 기능 사이에서 교환되는 5개의 정보군 804 내지 808은 CDPS 기본 구성을 형성한다.
[DSC 및 PD 프린터에 의한 CDPS 구성]
도 10은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CDPS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양자가 전술한 4개의 기능 800 내지 804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억장치(811)와 인쇄장치(810)는 논리적으로 이 CDPS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고, 이들 장치가 어느 쪽에 접속되어 있는지는 확정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CDPS는,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가 물리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 접속된 후,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CDPS Initialize)처리(800)는, 나머지 3개의 기능 801 내지 803과, 기억장치 811 및 810의 처리기능의 각각을 DSC(3012) 및 PD 프린터(1000) 중의 어느 쪽이 담당 및 관리할지에 대해 쌍방향으로 결정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CDPS에서의 기능 할당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에서, DSC(3012)는 그 기능 800 내지 803의 지원 레벨을 PD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 단계 S12로 진행하여,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수신된 각 기능의 지원 레벨과 PD 프린터(1000) 자신의 지원 레벨을 비교하고, 보다 높은 가용성을 갖는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기능이 어느 쪽에 실장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각 기능이 DSC(3012) 또는 PD 프린터(1000)의 어느 쪽에 할당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PD 프린터(1000)는 상기 결정된 담당 정보와 관리 정보를 DSC(3012)에 송신한다. 단계 S14로 진행하여, DSC(3012)와 PD 프린터(1000)는 자신이 담당하도록 결정된 기능을 각각 기동한다. 단계 S15에서, CDPS가 시작된다.
"확장 절차"가 실행될 경우에는, 단계 S12에서,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양자가 확장 절차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된 후에 실행된다. 그러나, 후속 상호작용은 각 제조업체에 고유한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각 기능은 반드시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양자에 의해 지원될 필요는 없지만, DSC(3012) 또는 PD 프린터(1000)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지원되어야 한 다. 특히, CDPS 초기화처리(800)와 관련하여, DSC(3012)가 CDPS 초기화처리(800)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인터페이스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는,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가 이 시스템으로 하여금 CDPS 모드로 이행하도록 한다.
[CDPS 구성예-1]
도 12는 USB 상의 이미지 클래스(Image Class)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를 통해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가 접속될 경우의 CDPS의 구성예 1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10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 12의 도면번호는 공통인 부품을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액정 표시기(2700)를 포함하는 DSC(3012)와, 액정 뷰어(1011)가 부착되지 않은 PD 프린터(1000)가 접속되어 있는 겨우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즉, 이 예에서는, DSC(3012)가 CDPS 초기화처리(800),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를 포함하고, PD 프린터(1000)는 도 10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을 포함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는 DSC(3012)의 대응하는 것과 각 기능의 할당 및 관리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한다. 이에 응답하여, DSC(3012)는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음(액정 표시기(2700) 있음 등)을 PD 프린터(1000)에 통보한다.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는 이들 지원 레벨을 PD 프린터(1000)의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액정 뷰어 없음 등)과 비교하고, 아래와 같은 시스템 구 성을 결정한다. 그 다음,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에 대해 "CDPS 이행 OK"가 응답되며, 아래의 결정 내용이 DSC(3012)에 송신된다.
(1) DSC(3012)는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PD 프린터(1000)는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 및 관리한다.
(3) 기억장치(811)는 DSC(3012)에 장착되어 있고, DSC(3012)의 기억 제어기(802)는 이 기억장치(811)를 관리한다.
(4) 인쇄장치(810)(프린터 엔진(3004))는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 처리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는, DSC와 PD 프린터가 무선 LAN(Wireless LAN)의 TCP/IP 등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CDPS 구성예-2]
도 13은 USB 상에서 이미지 클래스(Image Class)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을 통해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접속되어 있을 때의 CDPS의 구성예 2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10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 13의 도면번호는 공통의 부품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액정 표시기(2700)를 포함하지 않는 DSC(3012)와, 액정 뷰어(1011)가 부착되어 있는 PD 프린터(1000)가 접속되어 있거나, DSC(3012)가 CDPS 초기화처리(80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때, PD 프린터(1000)는 도 10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 을 포함한다.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가 DSC(3012)의 대응하는 것과 각 기능의 할당 및 관리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할 경우에 대해 검토하면, DSC(3012)는 CDPS 초기화처리(800)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이것에 응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PD 프린터(1000)의 PTP Wrapper 층은 아래와 같이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에 대하여 "CDPS 이행 OK"를 응답한다.
(1) PD 프린터(1000)는 조작 제어기(801), 기억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 모두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기억장치(811)는 DSC(3012)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기억 제어기(802)는 표준 PTP를 통해 이 기억장치(811)에 대한 화상 액세스를 관리한다.
(3) 인쇄장치(810)는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가 이것을 관리한다.
여기서, DSC(3012)가 CDPS 초기화처리(800)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뿐만 아니라, DSC(3012)가 표시기(2700)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DSC(3012)의 표시기(2700)의 해상도와 조작성이 PD 프린터(1000)의 뷰어(1011)나, 그 뷰어(1011)를 사용하는 UI에 비해 뒤떨어진다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가 판단한 경우에도, 도 13에 도시된 구성이 결정된다.
[CDPS 구성예-3]
도 14는 MSC(Mass Storage Class)를 통해 접속시의 CDPS의 구성예 3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10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 14의 도면번호는 공통인 부품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액정 표시기(2700)를 포함하지 않는 DSC(3012)가 액정 뷰어(1011)가 부착된 PD 프린터(1000)에 MSC로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는 DSC(3012)의 대응하는 부분과, 각 기능의 할당 및 관리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한다. 그러나, 표준 단독 벌크(bulk only)인 MSC는 DSC(3012)와 양방향으로 정보를 교환하기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PD 프린터(1000)의 Mass Storage Class Wrapper 층(820)은 아래와 같이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처리(800)에 대해 "CDPS 이행 OK"라고 응답한다.
(1) PD 프린터(1000)는 조작 제어기(801), 기억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 모두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기억장치(811)는 DSC(3012)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기억 제어기(802)는 표준 MSC인 이 기억장치(811)에 대한 화상 액세스를 관리한다.
(3) 인쇄장치(810)는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가 상기 인쇄장치를 관리한다.
[CDPS 출력 절차]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출력 절차는 아래의 2개의 절차를 가지고 있 다.
<표준 절차>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는, 아래의 기능 및 정보에 따른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ㆍCDPS 초기화 기능
ㆍ조작 제어기 기능
ㆍ기억 제어기 기능
ㆍ인쇄 제어기 기능
ㆍ서비스 디스커버(Service Discover) 정보
ㆍ서비스 정보
ㆍ작업(Job) 정보
ㆍ작업 데이터(Job Data) 정보
<확장 절차>
각 제조업체 고유의 사양에 의거하여 각종 서식의 출력에도 대응 가능한 절차가 아래의 서식에 대해 정의되어 있다.
ㆍXHTML
ㆍSVG
ㆍ고유 서식
[CDPS 기능 설명]
본 실시예의 CDPS에서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양자의 PTP의 상위층이 임의로 어플리케이션을 취급할 수 있도록, 즉,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예를 들어, 인쇄처리가 오브젝트의 교환 등의 여러 가지 PTP 프로토콜의 교환을 필요로 함)을 모델링할 수 있도록,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인쇄 서비스 기능이 제공된다. 도 7의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층 700 및 703은, 기본적으로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인쇄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여 다이렉트 인쇄를 이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서비스 기능은 필수 기능(도 15a)과 옵션 기능(도 15b)을 포함하고, CDPS를 지원하는 장치는 이들 중에서 모든 필수기능을 준비해야 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서비스 기능의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이들 기능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a) CDPS_ServiceDiscovery(초기화)
이 기능은 CDPS로의 이행을 행한다. 이 기능의 반환값은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CDPS의 "표준" 또는 "확장" 절차를 지시하고, 어느 절차가 선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다. 여기서, CDPS_ServiceDiscovery 기능만이 "확장" 절차에서 사용된다.
(b) CDPS_Service(프린터 →조작 제어기)
이 기능은 PD 프린터의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를 파라미터로서 통지한다. PD 프린터의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가 인수(argument)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c) CDPS_PageStart(프린터 →조작 제어기)
이 기능은 (각 페이지마다) 인쇄 시작을 통지한다. 그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이며,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d) CDPS_PageEnd(프린터 →조작 제어기)
이 기능은 (각 페이지마다의 용지를 배출시에) 인쇄 종료를 통지한다. 그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이며,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e) CDPS_JobEnd(프린터 →조작 제어기)
이 기능은 인쇄 작업의 종료를 통지한다. 그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이며,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f) CDPS_Error(프린터 →조작 제어기)
이 기능은 에러(Warning/Fatal)를 통지한다. 그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이며,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g) CDPS_JobData(프린터 →기억장치)
이 기능은 기억장치로부터 화상(예를 들어, JPEG 데이터)을 취득한다. 취득할 화상 데이터의 핸들명을 기재한 스크립트는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와 화상 데이터 자체이다.
(h) CDPS_DataList(프린터 →기억장치)
이 기능은 기억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예를 들어, JPEG 데이터)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PD 프린터의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가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화상 데이터 리스트를 기재한 스크립트이다.
(i) CDPS_Job(조작 제어기 →프린터)
이 기능은 인쇄 명령을 프린터에 통지한다. 인쇄 명령을 기재한 스크립트는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j) CDPS_JobAbort(조작 제어기 →프린터)
이 기능은 인쇄 중지 명령을 프린터에 통지한다. 프린터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는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k) CDPS_JobContinue(조작 제어기 →프린터)
이 기능은 인쇄 재개 명령을 프린터에 통지한다. 프린터 기능을 기재한 스크립트는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실패("TRUE" 또는 "FALSE")를 나타낸다.
이들 기능들은 CDPS에서의 필수 기능이다.
본 실시예의 CDPS는 도 1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옵션 기능으로서 CDPS_PartialJobData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이 CDPS_PartialJobData는 프린터가 기억장치로부터 부분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JPEG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취득할 부분 화상 데이터의 핸 들명을 기재한 스크립트가 인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와 화상 데이터 자체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과 함께, DPOF 파일을 수신하고, 그 DPOF 파일을 해석하여, 그 DPOF에 의해 지시되는 인쇄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DPOF 지시 명령이 준비되어 있다.
[스크립트 서식의 설명]
이하, 전술한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 기능에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내용과, 다른 기능에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서식에 대해 설명한다.
<각종 기능 명령의 서식>
(1)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스크립트의 서식
(CDPS_ServiceDiscovery)
이 서식은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 기능에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내용(UniCode로 기술됨)을 기술되며, CDPS 모드로 이행될 때에 사용된다. 이 스크립트에 의해, 서로의 키워드가 상호 인식된다.
CanonDirectPrintService(UILevel=X)(디바이스 정보, UI 레벨 정보(X) = 0 내지 4) CanonDirectPrintService(HostUI)(호스트(PD 프린터)의 UI가 사용될 경우) 또는 CanonDirectPrintService(DeviceUI)(장치(DSC) 측의 UI가 사용될 경우)
(2) CDPS_PageStart, CDPS_PageEnd, CDPS_JobEnd, CDPS_DataList, CDPS_JobAbort 및 CDPS_JobContinue에서의 스크립트 서식
<?XML version="1.0" encoding=UTF-16"?>
<!ELEMENT command("CDPS_PageStart"|"CDPS_PageEnd"|
"CDPS_JobEnd"|"CDPS_JobAbort"|"CDPS_JobContinue")>
(3) CDPS_Service의 스크립트 서식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Service)>
<capabiliby>
<--프린터 capability(기능)를 기술-->
</capability>
(4) CDPS_Job의 스크립트 서식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Service)>
<job>
<capability>
<--프린터 capability(PrintMode)를 기술-->
</capability>
<printlist>
<--화상 파일 핸들, 날짜 등의 부가 정보를 기술-->
</printlist>
</job>
(5) CDPS_Error의 스크립트 서식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Error)>
<!ELEMENT status ("fatal"|"warning")>
<!ELEMENT reason ("printer_occupied"|"printer_busy"|"ink_low"| "lever_Error"|"load_Error"|... )>
여기서, "status"는, 이 에러가 작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에러인지 아닌지를 기재한다. 예를 들어, "fatal"은 복귀 불가능한 에러를 나타내고, "warning"은 복귀 가능한 에러를 나타낸다. 또한, "reason"은 그 에러의 원인을 기재한다.
(6) CDPS_JobData 및 CDPS_PartialJobData의 스크립트 서식
<?XML version="1.0" encoding=UTF-16"?>
<!ELEMENT command ("CDPS_JobData"|
"CDPS_PartialJobData")><image (#PCDATA )>
<offset (#PCDATA )>
<size (#PCDATA )>
여기서, "image"는 파일의 핸들명을 기재하고, "offset"은 선두로부터의 오프셋의 바이트 수를 기재하며, "size"는 취득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기재한다. 그러나, CDPS_JobData의 경우, 옵션 기능인 부분 취득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 "offset" 및 "size"가 무효로 된다.
<Capability의 서식>
이하, CDPS_Service 및 CDPS_Job 기능에서 사용되는 <capability>의 서식을 설명한다.
<capability>
<-- [협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항목] -->
<!ELEMENT quality ("draft"|"normal"|"fine")><!ELEMENT paper_size ("L"|"2L"|"card"|"4x6"|"A4"|"letter"|...)>
<!ELEMENT paper_type ("plain"|"photo")>
여기서, "quality"는 인쇄 품질을 나타내고, "빠름(draft)", "보통" 및 "미세함(fine)" 중에서 하나를 지정한다. "paper_size"는 용지 크기(L, 2L, 카드, 4x6, A4, 레터 크기 등)를 나타내고, "paper_type"는 용지 종류를 나타내며, "보통 용지(plain)" 및 "사진 전용지 (photo)" 중에서 하나를 지정한다.
<-- [협상을 필요로 하는 항목] -->
<!ELEMENT image_type ("bmp"|"jpeg"|"tiff"
|...)><!ELEMENT date ("on"|"off")>
<!ELEMENT file_name ("on"|"off")>
<!ELEMENT image_optimize ("on"|"off")>
<size_per_page (#PCDATA)>
<!ATTLIST layout L ("borderless"|"1x1"|ㆍㆍㆍ|
"index(3x5)")"borderless" 2L ("borderless"|"1x1"
|ㆍㆍㆍ|"index(5x7)")"borderless"...>
이 때, "image_type"는 지원되고 있는 화상 서식을 나타낸다. "date"는 날짜 인쇄기능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file_name"은 파일명 인쇄기능의 온/오프를 나타내고, "image_optimize"는 화상 보정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size_per_page"는 판독 가능한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layout"는 각종 용지 종류에 대하여 이용 가능한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option>
<!ATTLIST vendor image_optimize ("DiPS"|"auto"|ㆍㆍㆍ)
"auto"trimming_x (#PCDATA) "0"
trimming_y (#PCDATA) "0"
*trimming_w (#PCDATA) "0"
trimming_h (#PCDATA) "0"
...>
</option>
</capability>
여기서, 이 "option"으로 둘러싸인 필드는 각 제조업체에 고유한 프린터 capability(기능)를 나타내며, 제조업체명과 함께 그 내용을 기재한다.
<Job 서식>
이하, CDPS_Job 기능에서 사용되는 <job>의 서식에 대해 설명한다.
<job>
<capability>
<--전술한 Capability 서식-->
</capability>
<printlist>
<image (#PCDATA)>
<date (#PCDATA)>
<file_name (#PCDATA)>
<--상기 화상, 데이터 및 file_name을 반복함-->
</printlist>
</job>
여기서, "capability"로 둘러싸인 필드는 이 필드를 뒤따르는 화상의 인쇄설정을 나타낸다. 또한, "printlist"로 둘러싸인 필드는 이 작업에서 인쇄할 화상, 부가 정보(날짜, 파일명) 등을 나타낸다.
<Job 서식의 실제 예>
이하, 이 Job 서식의 실제 예를 설명한다.
(A) L판의 사진용지에 Handle1의 화상을 날짜와 함께 테두리 없는 스타일로 인쇄함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용지 크기(L 판)
<papertype("Photo")>:사진 용지
<date("on")>:날짜 인쇄 = ON
<layout("borderless")>:테두리없음 인쇄
</capability>
<printlist>
<image ("handle1")>:핸들1의 화상
<date ("2002/05/30")>:날짜(2002년 5월30일)
</printlist>
</job>
(B) L판의 사진용지에 2 ×2의 레이아웃으로 핸들 1 내지 핸들 6의 6개의 화상을 인쇄함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용지 크기(L 판)
<papertype("Photo")>:사진 용지
<date("off")>:날짜 인쇄 = OFF
<layout("2x2")>:레이아웃 2 ×2
</capability>
<printlist>
<image ("handle1")>
<image ("handle2")>
<image ("handle3")>
<image ("handle4")>
<image ("handle5")>
<image (" handle6")>:핸들1 내지 핸들6의 화상 지정
</printlist>
</job>
(C)핸들1로 지정되는 DPOF 파일에 의한 화상 선택 및 용지 크기/레이아웃 설정에 의거하여 인쇄함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printlist>
<image ("handle1")>:핸들1 = DPOF 파일
</printlist>
</job>
(D) L판의 사진 용지에 2 ×2의 레이아웃으로 핸들 1에 의해 지정되는 DPOF 파일에 의한 사진선택 및 설정에 의거하여 인쇄함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용지 크기(L판)
<papertype("Photo")>:사진 용지
<date("off")>:날짜인쇄 = OFF
<layout("2x2")>:레이아웃 2 ×2
</capability>
<printlist>
<image ("handle1")>:핸들1 = DPOF 파일
</printlist>
</job>
[CDPS "표준" 절차의 흐름 설명]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의 기본적인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전술한 기능 800 내지 803 사이에서 교환되는 CDPS 기능이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시계열적으로 리스트되어 있다. 도 16에서, 점선 상의 위치 "A", "B", "C" 및 "D"는 대표적이라고 생각되는 기능 할당의 분할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 8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면번호는 공통인 부품을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PD 프린터(1000)의 전술한 CDPS 초기화처리(800)가 CDPS 모드로의 이행을 DSC(3012)에 통지하면(804), 그 통지에 응답하여, DSC(3012)는 DSC(3012)에 의해 지원되는 레벨("표준", "확장" 및 지원되는 기능)을 PD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821). 이들 레벨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는 전술한 기능 800 내지 803의 각각을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어느 것이 이행할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DSC(3012)에 송신한다(822).
도면번호 823은,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기억 제어기(802)로 송신되는 기억장치(8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리스트의 요구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824는, 그 요구에 응답하여, 기억 제어기(802)에 의해 기억장치(811)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기억 제어기(802)는 리스트 데이터를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한다(805). 인쇄할 인쇄 모드와 화상은 사용자(81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어,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되는 인쇄 작업을 생성한다(825). 조작 제어기(801)는, 생성된 UI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812)의 지시에 의거하여, 출력설정 지시 "CDPS_Job"을 생성하여,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한다(808). 인쇄 제어기(803)는 기억 제어기(802)에 대해 그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826). 그 결과, 기억장치(811)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827), 인쇄처리에 필요한 화상 파일 "JobData"가 기억 제어기(802)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된다(806). 인쇄 제어기(803)는 화상처리 등을 실행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810)에 송신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한다(828).
인쇄처리 도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러 정보가 인쇄 제어기(803)로부터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된다(829). 사용자가 이 에러에 대하여 "인쇄 중지" 또는 "인쇄 계속"을 지시하면(831), 그 지시에 따라, 예를 들어, "인쇄 중지" 명령이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된다(이 명령은 도 15a에 도시됨)(830).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 작업의 종료를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한다(832).
도 17은 DSC(3012)가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 제어기(802)를 담당하고, PD 프린터(1000)가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기능 할당의 분할 위치는 상기 도 16의 "C"이다. 여기서, 이 경우에는 PTP 접속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DSC(3012)의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가 사용될 경우에는, TCP/IP 접속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는, 기능 800 내지 803 중에서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 제어기(802)를 DSC(3012)가 이행하고, 인쇄 제어기(803)를 PD 프린터(1000)가 이행한다는 점을 통지한다(822). 그 결과,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 할당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정된다. 도 17에서, 도 16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면번호는 공통인 처리를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DSC(3012)의 기억장치(811)가 Mass Storage(대용량 기억장치)로서 사용되고, PD 프린터(1000)가 조작 제어기(801), 기억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기능 할당의 분할 위치는 상기 도 16의 "A"이다. 이 때, 이 경우에는 PTP 접속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DSC(3012)의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 제어기(80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TCP/IP 접속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는 기능 800 내지 803의 전부를 PD 프린터(1000)가 이행한다는 점을 통지한다(822). 그 결과,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 할당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정된다. 도 18에서, 도 16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면번호는 공통인 처리를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DSC(3012)의 자원이 완전히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PTP 등의 다른 접속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DSC(3012)가 CDPS 초기화기능(800)(CDPS Initialize)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CDPS에 대해 비호환인 모델)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전술한 CDPS에서의 서비스 기능 명령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PTP에 의한 인쇄 서비스 기능의 구현예]
<CDPS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 기능>
도 19는 CDPS 디스커버리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와 DSC(3012)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시스템이 PTP로 돌입하면, PD 프린터(1000)는 DSC(3012)에 대하여 GetDeviceInfo를 전송하여(1400), DSC(301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오브젝트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 이 명령에 응답하여, DSC(3012)는 DeviceInfo Dataset을 이용하여, 자신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 PD 프린터(1000)는 OpenSession을 이용하여, DSC(3012)를 자원(resource)으로서 할당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오브젝트에 핸들을 할당하거나, 특별한 초기화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의 시작 요구를 발행한다(1402). DSC(3012)가 긍정응답(OK)을 반송하면, PTP 통신이 시작된다.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스크립트 서식의 모든 핸들(기억장치 ID: FFFFFF, 오브젝트 타입 : 스크립트)을 송신할 것을 요구하면(1403), DSC(3012)는 보유하고 있는 모든 핸들 리스트를 반송한다(1404). PD 프린터(1000)는 i번째 오브젝트 핸들의 정보를 취득한다(1405, 1406). 이 오브젝트가 DSC(3012)의 식별을 나타내는 키워드(예를 들어, "(Macro(매크로))")를 포함하고 있으면, PD 프린터(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의 전송이 지시된다(SendObjectInfo)(1407). 이 지시에 응답하여 긍정응답(OK)을 수신하면, PD 프린터(1000)는 SendObject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DSC(3012)에 전송한다. 여기서, 이 오브젝트는 전술한 키워드에 대한 응답 키워드로서 예를 들어, "(Polo(폴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PD 프린터(1000)와 DSC(3012) 양자는 서로 접속 상대를 인식할 수 있고, 그 후, CDPS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을 교환할 수 있는 트랜스포트층은 키워드를 신뢰성있게 교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CDPS에 고유 명령 등을 추가하지 않고도, 키워드가 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전술 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키워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키워드를 이용한 협상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스크립트 서식의 최초의 핸들(i=1)에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로의 장치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20은 CDPS_ServiceDiscovery 절차의 후속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는, 지원하고 있는 "표준 절차" 및 "확장 절차"를 통지하기 위하여, SendObjectInfo(1501)를 이용하여, 송신할 오브젝트 정보의 존재를 DSC(3012)에 통지한다. 이 명령에 응답하여, DSC(3012)로부터 긍정응답(OK)을 수신하면, PD 프린터는 SendObject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전송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DSC(3012)에 송신하고(1502), 그 다음, ObjectData를 이용하여,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절차와 관련된 정보("표준"/"확장")를 전송한다(1503). DSC(3012)는 GetObject 동작을 기동하기를 원한다는 것(푸시 모드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1504). 이 메시지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가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GetObjectInfo)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면(1505), DSC(3012)는 ObjectInfoDataset을 이용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1506). 그 오브젝트 정보를 지정하여 오브젝트 정보 자체가 요구되면(1507), DSC(3012)는 Object Dataset에 의해, DSC(3012)가 사용하는 절차("표준", "확장" 등)를 PD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1508). 이 경우의 반환값은 "표준" 또는 "확장"이다.
이와 같이, DSC(3012)는 PD 프린터(1000)의 화상 인쇄모드를 지정할 수 있 다.
<CDPS_Service(표준)>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프린터 기능 통지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할 오브젝트 정보의 존재를 통지하고(1600), SendObject와 ObjectData를 이용하여 프린터 기능을 DSC(3012)에 통지한다. 그 결과, DSC는 프린터 기능을 취득한다(1601).
<CDPS_JobData(표준)>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보유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할 경우(CDPS_JobData)의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DSC(3012)(또는 기억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요구하면(1800), DSC(3012)는 그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Object Dataset)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1801). 그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PD 프린터(1000)가 취득 요구(GetObject)를 발행하면(1802), DSC(3012)는 그 요구된 화상 파일(Object Dataset)을 PD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1803). 이와 같이,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원하는 화상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이 때, 이 경우의 반환값은, "Data_Size"와 "Image_Data"이다.
<CDPS_PageStart(표준)>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인쇄시작 통지처리의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할 오브젝트 정보(인쇄 시작 메시지)의 존재를 통지하고(1700), SendObject와 ObjectData를 이용하여, 인쇄 시작을 DSC(3012)에 통지한다(1701).
<CDPS_PageEnd(표준)>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1페이지에 대한 인쇄처리를 통지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PD 프린터(1000)가 송신할 오브젝트 정보(인쇄 종료 메시지)의 존재를 DSC(3012)에 통지하고(1910), SendObject와 ObjectData를 이용하여, 1페이지에 대한 인쇄 종료를 DSC(3012)에 통지한다(1911).
<CDPS_JobEnd(표준)>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종료를 통지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는 1페이지에 대한 인쇄처리의 종료를 DSC(3012)에 통지하고(1920), 인쇄 작업의 종료를 DSC(3012)에 통지한다(1921).
<CDPS Error(표준)>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에러 상태 등을 통지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는 SendObjectInfo를 이용하여, 송신할 오브젝트 정보(에러 정보)의 존재를 DSC(3012)에 통지한다(1930). DSC(3012)로부터 긍정응답(OK)을 수신하면, PD 프린터(1000)는 SendObject 및 ObjectData를 이용하여 에러 등의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1931).
<CDPS Job(표준)>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가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시작을 통지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RequestObjectTransfer를 송신하여, DSC(3012)가 지시를 발행할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2200). 이 명령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가 GetObjectInfo를 발행하면(2201), DSC(3012)는 전송할 오브젝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이 정보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가 오브젝트 정보를 요구하면(GetObject : 2203), DSC(3012)는 Object Dataset(인쇄 지시)을 전송함으로써(2204),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명령을 발행한다.
<CDPS_JobAbort(표준)>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가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중지 명령(CDPS_JobAbort)을 발행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DPS_JobContinue(표준)>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가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재개 명령(CDPS_JobContinue)을 발행하도록 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에서, 도 27과 동일한 절차가 실행된 후,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Object Dataset(인쇄 중지 지시)를 발행하고(도 28의 2301),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Object Dataset(인쇄 재개 지시)를 발행한다(도 29의 2401).
<CDPS_PartialJobData(표준)>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가 DSC(3012)(기억장치)에 보유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할 경우의 부분 화상 취득 통신 절차(옵션)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DSC(3012)에 의해 보유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요구하면(2420), DSC(3012)는 그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Object Dataset)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2421). 그 다음, PD 프린터(1000)는 그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취득 요구(GetObject)를 발행한다(2422). 전술한 것과 같이, 이 부분 화상 취득기능은 원하는 화상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바이트 수(offset)와, 취득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size)를 지정하므로, DSC(3012)는 그 요구된 화상 파일(Object Dataset)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PD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2423). 이와 같이,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원하는 부분 화상 데이 터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 경우의 반환값은 "Data_Size"와 "Image_Data"이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가 DSC(3012)(기억장치)에 의해 보유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하도록 하는 부분 화상 취득 기능을 수신할 경우의 DSC(3012) 또는 기억장치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21에서는, <image (#PCDATA)>에 포함된 화상 파일의 핸들명이 취득된다. 처리흐름은 단계 S22로 진행하여, "offset"에 의해, 선두로부터의 오프셋의 바이트 수를 취득한다. 단계 S23에서는, "size"에 의해, 취득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가 취득된다. 그 다음, 처리흐름은 단계 S24로 진행하여, 기억장치(811)의 지정된 화상 파일의 오프셋 위치로부터, 지정된 바이트 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처리흐름은 단계 S25로 진행하여, 판독된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처인 PD 프린터(1000) 또는 인쇄 제어기에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물리층의 USB 상에 PTP 아키텍처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다른 아키텍처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MSC 아키텍처]
이하, MSC(Mass Storage Class)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7의 가장 좌측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DSC(3012)의 UI 대신에, PD 프린터(1000)의 UI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조작 제어기(801), 기억 제어 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는 모두 PD 프린터(1000)에 할당된다. 기본적으로, PD 프린터(1000)의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상 파일의 Open, Read, Close와, 디렉토리 조작(파일 조작) 등에 의해, 전술한 명령 GetJobData, GetPartialJobData 및 GetDataList(File 시스템에 의함)가 실행된다.
<CDPS_ServiceDiscovery(표준/확장)>
이 경우, PD 프린터(1000)는 DSC(3012)에 대하여 CDPS_ServiceDiscovery를 전송한다. DSC(3012)가 전술한 CDPS 초기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이 명령에 대한 응답이 반송되지 않으면, PD 프린터(1000)는 자동적으로 "표준"으로 수신이 확립된 것으로 판정하여 MSC "bulk only(단독 벌크)"를 시작한다. 그리고, PD 프린터(1000)는 조작 제어기(801), 기억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를 관리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CDPS_GetPartialData를 "supported(지원됨)"으로 설정한다.
<CDPS_JobData(표준)>
PD 프린터(1000)는 인쇄 명령에 의해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는 DSC(3012)에 대하여 "Recieve Command(명령 수신)"을 발행하고, 그 명령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Image Data"를 PD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 실제로는, PD 프린터(1000)에 구축된 파일 시스템을 통해, 기억장치(811)의 화상 데이터가 SCSI 명령을 이용하여 취득된다. 여기서, 이 때의 반환값은 "Data_Size"와 "Image_Data"이다.
<CDPS_PartialJobData(옵션)>
이 절차는 전술한 "CDPS_JobData"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부분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여기서, 이 경우의 반환값도 "Data_Size"와 "Image_Data"이다.
[블루투스 아키텍처(Bluetooth Architecture)]
이하,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7의 가장 우측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층의 상위 통신층으로서 2개의 장치간의 세션을 확립하여 오브젝트를 교환할 수 있는 Bluetooth Still Image Profile을 이용하여, 상위 어플리케이션층의 결정이 기술되어 있다.
이 Bluetooth Still Image Profile의 경우에는, 전술한 접속과 함께, DSC(호스트) →PD 프린터(슬레이브) 방향의 또 다른 접속이 형성되고, DSC로부터 일반적인 "PutImage" 명령을 발행함으로써, 정보가 전송된다.
편의상,
접속 1 : PD 프린터(호스트) →DSC(슬레이브)
접속 2 : PD 프린터(슬레이브) →DSC(호스트)라고 가정한다.
이하, 블루투스에서의 각 서비스 기능의 프로토콜을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43에 도시된 서비스 기능은 상기 도 19 내지 도 30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CDPS_ServiceDicovery(표준/확장)>
도 32는 블루투스에서의 CDPS로의 이행 절차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서와 같이, 키워드(매크로, 폴로)에 의해 접속 상대가 인식된다. DSC(3012)는 이 키워드와 함께, UI의 지원 레벨을 통지한다(3200). 이 지원 레벨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는 DSC 및 PD 프린터(1000) 중의 하나에서 사용될 UI의 정보를 키워드에 부가하여 DSC(3012)에 통지한다(3201).
<CDPS_ServiceDiscovery(표준/확장)>
도 33은 블루투스에서의 CDPS로의 이행 절차의 프로토콜의 후속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CDPS 모드에서의 통신이 확립된다. 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PD 프린터는 프린터가 지원하는 절차("표준", "확장")를 DSC(3012)에 통지하고(3202), DSC(3012)는 DSC가 지원하는 절차(예를 들어, "표준")를 PD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3203).
<CDPS_Service(표준)>
도 34는 블루투스에서의 PD 프린터(1000)의 기능의 통지 절차의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PD 프린터(1000)는 PD 프린터(1000)의 기능을 DSC(3012)에 통지한다(3204).
<CDPS_JobData(표준)>
도 35는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명령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가 DSC(301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프린터(1000)는 화상 파일을 지정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DSC(3012)에 대해 요구한다(3205). DSC(3012)는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3206). 이 경우의 반환값은 "Data Size"와 "Image Data"이다.
<CDPS_PageStart(표준)>
도 36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시작을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통지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한 것이며, 인쇄 시작은 Image Object Data를 이용하여 통지된다.
<CDPS_PageEnd(표준)>
도 37은 블루투스에서의 1페이지에 대한 인쇄 종료를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통지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린터는 Image Object Data를 이용하여 인쇄 종료를 통지한다.
<CDPS_JobEnd(표준)>
도 38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작업의 종료를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통지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린터는 Image Object Data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종료를 통지한다.
<CDPS_Error(표준)>
도 39는 블루투스에서의 프린터 에러를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통지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프린터(1000)는 Image Object Data를 이용하여 프린터 에러를 통지한다.
<CDPS_Job(표준)>
도 40은 블루투스에서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명령을 발행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DSC(3012)는 지시를 발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3210). 그 다음, DSC(3012)는 프린터(1000)에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3211).
<CDPS_JobAbort(표준)>
도 41은 블루투스에서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중지 명령을 발행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DSC(3012)는 지시를 발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3210). 그 다음, DSC(3012)는 프린터(1000)에 인쇄 중지 지시를 발행한다(3212).
<CDPS_JobContinue(표준)>
도 42는 블루투스에서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재개 명령을 발행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DSC(3012)는 지시를 발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프린터(1000)에 통지한다(3210). 그 다음, DSC(3012)는 프린터(1000)에 인쇄 계속 지시를 발행한다(3213).
<CDPS_PartialJobData(옵션)>
도 43은 PD 프린터(1000)가 인쇄 명령에 의거하여 DSC(3012)로부터 부분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의 반환값은 "Data Size"와 "Image Data"이다. 프린터(1000)는 i번째 핸들의 화상 파일의 속성을 요구하고(3214), 그 화상 파일의 부분 화상을 요구한다(3215). 이 요구에 응답하여, DSC(3012)는 요구된 화상 파일 데이터를 프린터(1000)에 전송한다(3216).
도 44a 내지 도 44c는 전술한 각종 제어 기능을 어떻게 할당할지를 결정함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지원 레벨을 설명하는 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4a는 조작 제어기(801)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 고, 도 44b는 기억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며, 도 44c는 인쇄 제어기(803)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DSC(3012)는 지원 레벨 "0" 내지 "4"를 설정할 수 있고, PD 프린터(1000)는 지원 레벨 "1" 내지 "3"을 설정할 수 있다.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동일한 지원 레벨을 가지면, 어느 기능이 우선적으로 사용될지는 판단하는 측의 재량에 맡겨진다.
예를 들어, 도 44a의 조작 제어기(801)의 지원 레벨에서는,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의 사용을 요청하는 것이고, 레벨 "3"은 뷰어와 조작 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조작 버튼만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레벨 "1"은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0"은 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44b의 기억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에서는,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의 사용을 요청하는 것이고, 레벨 "3"은 핸들 기능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화상 파일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레벨 "1"은 기억장치(811)를 액세스하는 기능만이 지원됨을 나타내며, 레벨 "0"은 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44c에 도시된 인쇄 제어기(803)의 지원 레벨에서는,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의 사용을 요청하는 것이고, 레벨 "3"은 렌더링 기능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계조처리만 지원됨을 나타내고, 레벨 "1"은 JPEG 복호 기능만이 지원됨을 나타내며, 레벨 "0"은 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PD 프린터(1000) 및 DSC(3012)의 기능들이 비교되고, 기 능들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기능이 각 기능에 대해 판단되어, 상기 도 12 내지 도 14,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기능 할당이 이행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DSC(3012)와 PD 프린터(1000)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시스템에 대해 예시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시스템에서는, DSC(3012)에 기억된 DPOF 파일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때, 이 DPOF 파일은 DSC(3012)의 표시부(2700)에 표시되는 내용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 및 스위치(3103)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PC(3010)와 DSC(3012)가 접속된 상태에서, PC(3010)에서의 조작에 의거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이 DPOF 파일은 메모리 카드(3019)에 화상 데이터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도 45는 전술한 DPOF 파일의 데이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의 경우, 인쇄할 화상은 아래와 같이 2라인으로 기술되어 있다:
../DCIM/105GANON/IMG_0572.JPG
../DCIM/105GANON/IMG_0573.JPG
이것은, 디렉토리 "DCIM"이 서브 디렉토리 "105GANON"을 포함하고, 그 서브 디렉토리의 파일명 "IMG_0572.JPG"나 "IMG_0573.JPG"를 갖는 화상 데이터가 인쇄할 화상으로서 지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46은 제1실시예에 따른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발행할 경우, DSC(3012)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400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DPOF 파일이 생성된다. 처리흐름이 단계 S401로 진행하여, 생성된 DPOF 파일이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다. 이 때, 이 DPOF 파일은 보통, DSC(3012)가 오프라인(PC나 프린터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인 동안에 생성된다. 단계 S402에서는, DSC(3012)가 프린터와 접속되어 있는지 검사된다. 단계 S402에서 "예"이면, 처리흐름은 단계 S403으로 진행하여 접속된 프린터가 전술한 CDPS와 호환 가능한지를 검사한다. 단계 S403에서 "아니오"이면, 처리흐름은 단계 S407로 진행하여,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되어 있는 DPOF 파일이 프린터에 전송되고, 그 DPOF 파일에 의거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단계 S403에서, 프린터가 CDPS와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면(이 경우에는 전술한 PD 프린터(1000)가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함), 처리흐름은 단계 S404로 진행하여, CDPS 초기화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프린터로부터 Capability를 취득한다. 처리흐름은 단계 S405로 진행하여, 접속된 PD 프린터(1000)의 기능을 참조하여, DPOF 파일에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인쇄방법을 지정한다. 이 인쇄방법은 예를 들어, 인쇄처리에 사용되는 용지 종류, 인쇄 품질, 레이아웃 인쇄 등을 포함한다. 인쇄방법의 지정 입력이 완료되고 나서, 조작 버튼(3103)을 이용하여 인쇄 시작 지시가 발행되면, 처리흐름은 단계 S406으로 진행하여,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DPOF 파일에 의해 선택되는 화상과, 그 인쇄방법을 지시하는 내용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함으로써, 인쇄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단계 S405에서는, 프린터의 기능과 함께, 디폴트 인쇄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어, 여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이 DSC(3012)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면, 사용자는 출력할 사진과 인쇄 매수를 설정하고, 그것을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한다. 집에 돌아오고 나서, 사용자는 접속된 프린터의 기능에 맞게 인쇄방법을 설정하여 사진을 인쇄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DSC(3012)는 기억된 화상 정보로부터 DPOF 파일에 의해 지정된 화상과, 그 접속된 프린터에 대응하는 인쇄방법을 상기 프린터에 보내기만 하면 되므로, DSC(3012)의 구성이 간략화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
본 실시예에서는, CDPS의 인쇄 지정 명령인 CDPS_job에서 인쇄처리에 사용되는 DPOF 파일이 지정되므로, CDPS 인쇄 지정만을 전달함으로써, 인쇄방법 설정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해, 화상의 선택과 그 인쇄방법간의 관계가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6에 도시된 순서도에서와 대략 마찬가지로 DSC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지만, 단계 S406에서의 처리가 약간 상이하다. 즉, 단계 S406에서는, 단계 S405에서 입력된 인쇄 지시에 의거하여 CDPS 명령이 생성되고, 화상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들에 인쇄할 DPOF 파일이 설정된다.
이하, 이러한 명령의 실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L판의 용지에 2 ×2의 레이아웃으로 핸들1에 의해 지정되는 DPOF 파일에 의거하여 인쇄하는 CDPS_job의 예를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의 우측의 구문은 < >에서 기술되는 명령을 나타낸다.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 : 용지 크기(L판)
<papertype("Photo")> : 사진용지
<date("off")> : 날짜 인쇄 = OFF
<layout("2x2")> : 레이아웃 2 ×2
</capability>
<printlist>
<image ("handle1")> : 핸들1 = DPOF 파일
</printlist>
</job>
전술한 명령 시퀀스에서는, <capability>가 레이아웃을 제외한 용지 크기, 용지 종류 및 날짜인쇄를 지정하고, 레이아웃은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에 의거하여 DSC(3012)에 의해 생성되어, CDPS의 명령에 대응한다. DPOF 파일에 의해 인쇄할 화상이 지정된다(<image("handle1">:핸들1 = DPOF 파일).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CDPS는 DPOF 파일과 용이하게 관련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 때, 제1실시예는 PD 프린터(1000)가 이 DPOF 파일의 복호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DPOF 파일"의 필드는 그 DPOF 파일의 파일명이나, 디렉토리 정보를 기술할 수도 있다.
DPOF 파일 자체는 화상 파일이 아니다. 프린터 등의 재생장치가 화상 파일로서 송신된 정보가 DPOF 파일인 것으로 인식하면, DPOF 파일을 복호하여, 그 파일에 기술된 화상 지정 정보로서 파일명을 인식한다.
*프린터는 카메라에 대해 핸들 리스트를 요구하여, 복호된 파일명에 대응하는 핸들을 인식한다.
그리고, 프린터는 인쇄할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인식된 핸들명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대해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SC(3012)가 DPOF 파일을 해석하고, 전술한 CDPS에 의거하여 명령 시퀀스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이 경우의 처리에 대해 도 4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때, 도 46의 도면번호와 동일한 도 47의 도면번호는 공통인 처리를 나타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7에서, 단계 S400 내지 단계 S405와, 단계 S407은 도 46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단계 S405에서, 접속된 프린터(1000)와 호환 가능한 인쇄방법이 입력 및 지정될 경우에는, 처리흐름은 단계 S416으로 진행하여,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되어 있는 DPOF 파일이 판독 및 해석된다. 그리고, 그 DPOF 파일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지정 정보를 CDPS 명령 시퀀스에 포함시켜서 구성되는 CDPS 작업 명령이 생성된다. 그 다음, 처리흐름은 단계 S418로 진행하여, 그 CDPS 작업 명령에 의거하여 PD 프린터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
이하, 이러한 명령의 실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의 우측의 구문은 < >에서 기술되는 명령을 나타낸다.
이하, L판의 용지에 2 ×2의 레이아웃으로 핸들1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DPOF 파일에 의해 특정됨)을 인쇄하는 CDPS_job의 예를 설명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 : 용지 크기(L판)
<papertype("Photo")> : 사진 용지
<date("off")> : 날짜 인쇄 = OFF
<layout("2x2")> : 레이아웃 2 ×2
</capability>
<printlist>
<image ("handle1")> : DPOF 파일에서 1번째로 지정된 화상의 핸들
<image ("handle2")> : DPOF 파일에서 2번째로 지정된 화상의 핸들
ㆍㆍㆍ
<image ("handleN")> : DPOF 파일에서 N번째로 지정된 화상의 핸들
</printlist>
</job>
이 경우, 프린터는 CDPS 명령만을 지원하면 되므로, 프린터의 구성은 간략화될 수 있다.
DPOF 파일에 기술된 인쇄 설정이 CDPS 스크립트에 기술된 인쇄 설정과 상이할 경우에는, DPOF 파일이나 CDPS 중의 어느 지시가 우선적으로 사용될지에 대해 지정될 수도 있다.
DPOF 파일이 우선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사진을 촬영하여 인쇄방법을 지정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인쇄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반대로, CDPS에 의거한 설정이 우선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프린터의 기능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4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상기 도 46의 순서도의 단계 S404 이후의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단계 S404에서, CDPS 호환성이 확인되고, CDPS 초기화처리가 실행된 후에는, 단계 S480에서, DPOF 파일에 의거한 지시나, capability에 의거하여 설정된 인쇄방법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하여 인쇄처리를 행할지에 대하여 판정된다. CDPS나 DPOF가 사용되는 것은 디폴트로서 설정되거나, 조작 버튼(3103)을 사용하여 표시부(2700)의 메뉴 화면 등에서 지정될 수도 있다.
한편, DPOF가 해석되고, DPOF의 내용에 따라, DPOF에 의한 지시나, capability에 의거하여 CDPS에 의해 판정되는 인쇄방법 중의 어느 하나가 단계 S480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DPOF에 따라 인쇄할 화상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클 경우에는, 처리흐름이 단계 S482로 진행하고, DPOF에 따라 인쇄할 화상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작을 경우에는, 처리흐름이 단계 S481로 진행한다. 이것은 CDPS에서 한번에 인쇄할 화상의 수가 제한될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capability에서 기술된 프린터의 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인쇄 조건을 DPOF가 포함할 경우에는, 처리흐름은 단계 S481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흐름이 단계 S482로 진행한다. 이것은 DPOF와 CDPS를 대조하도록 하는 변환처리가 수행될 경우에 효과적이다.
인쇄처리가 CDPS를 이용하여 이행될 경우에는, 처리흐름은 단계 S482로 진행하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방법을 지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상기 단 계 S405에서와 같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CDPS 스크립트가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되어 있는 DPOF 파일과 불일치하는지에 대해 검사한다. 불일치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흐름이 단계 S484로 진행하여, CDPS에 DPOF 파일을 내장하여 형성(전술한 제1 또는 제2실시예)되는 CDPS 명령을 생성한다. 단계 S485에서는, 그 명령에 의거한 인쇄 지시가 프린터에 대해 발행된다.
한편, 단계 S483에서, 일부 불일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흐름이 단계 S486으로 진행하여, 표시부(2700)에 그 불일치를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단계 S487에서는, CDPS에 의해 지정된 내용과, DPOF 파일에 의해 지정된 내용 중의 하나가 선택될 때까지 제어 대기상태로 된다. 선택 후에는, 단계 S488에서, 상기 선택된 인쇄 지시 내용이 설정된다.
단계 S480에서, DPOF 파일을 사용하여 인쇄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처리흐름이 단계 S481로 진행하고, 그 DPOF 파일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원래 기억되어 있던 DPOF 파일의 인쇄 설정 내용과, 프린터에 접속하여 입력되는 항목에 의거한 인쇄 설정 내용간의 불일치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는 화상의 인쇄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DPOF에 의거하여 인쇄처리가 실행될 경우에는, DPOF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DSC(3012)의 표시부(27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반대로, CDPS만의 인쇄조건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진행중인 경우에는, CDPS에 의거하여 실행함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부(2700)에 표시될 수도 있 다. 또한, DPOF와 CDPS의 양자의 인쇄조건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진행중일 경우에는, DPOF와 CDPS의 양자에 의거하여 실행함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는 1페이지가 인쇄될 때마다 전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페이지(또는 화상)마다의 상이한 인쇄 조건에도 대응할 수 있다.
현재의 인쇄처리에서 사용되는 인쇄 조건에 DPOF의 내용이 반영되는지를 사용자가 식별하도록 하는 표시가 표시부(27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49a 및 도 49b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a는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DSC(3012)는 DPOF 파일(490)을 기억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접속하게 되고, 이들 장치가 CDPS 호환 가능한 장치인 것으로 판단된 후, PD 프린터(1000)의 인쇄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새로운 인쇄방법 지시에 의거하여, CDPS 작업 명령(491)이 생성된다. DPOF 파일(490)과 CDPS 작업 명령(491)을 조합한 서식의 인쇄 지시는 PD 프린터(1000)에 전송된다.
PD 프린터(1000)에서는, CDPS 해석기(492)(프린터가 CDPS와 호환 가능하므로 통상적으로 구비됨)와 DPOF 해석기(493)가 DSC(3012)로부터 전송된 내용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의거한 인쇄처리가 실행된다.
도 49b는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9a에서와 같이, DPOF 파일(490)이 DSC(3012)에 기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DSC(3012)가 PD 프린터(1000)에 접속하게 되고, 이들 장치가 CDPS 호환 가능한 장치인 것으로 판정된 후, PD 프린터(1000)의 인쇄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새로운 인쇄방법 지시에 의거하여, CDPS 명령 시퀀스(491)가 생성된다. PD 프린터(1000)에 인쇄 지시를 송신할 때에는, PD 프린터(1000)가 DPOF 해석기(493)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DSC가 DPOF 파일(490)을 해석하여, DPOF 파일(490)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핸들을 CDPS 명령 시퀀스에 내장하여 형성되는 CDPS 작업 명령 491a를 생성하고, 그 CDPS 작업 명령 491a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DPOF 해석기(493)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CDPS 해석기(492)(프린터가 CDPS 호환 가능하므로 통상적으로 구비됨)는 DSC(3012)로부터 송신된 내용을 해석하므로,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한다.
도 50은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PD프린터(1000)에서의 인쇄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때, DSC의 접속시의 초기의 통신 확립처리는 이미 완료되어 있다.
단계 S511에서, DPOF 파일이나, DPOF를 포함하는 CDPS 스크립트나, CDPS 스크립트는 접속된 DSC(3012)로부터 취득된다. 처리흐름은 단계 S512로 진행하여, 단계 S511에서 취득된 파일 또는 스크립트를 해석함으로써, 인쇄조건과, 인쇄할 화상의 핸들을 취득한다. 단계 S513에서는, 그 핸들에 의해 표시되는 데이터(화상 데이터)가 요구된다(이 처리는 GetObject 명령에 의해 이행될 수 있음). 이 요구에 응답하여 송신된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어(단계 S514), 인쇄처리가 실행된다(단 계 S515). 전술한 처리가 모든 요구에 대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될 때까지, 단계 S512 및 후속 단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전술한 처리의 결과, 디지털 카메라가 프린터와 직접 통신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의도한 화상만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리더기, 프린터 등)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나,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예를 들어, 복사기, 팩스장치 등) 중에서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이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매체(또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에 의해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이행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 의해 실행되는 실제 처리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서 이행될 수도 있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 또는 접속되는 기능 확장카드나 기능 확장부의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기능 확장카드나 기능 확장부에 배치된 CPU 등에 의해 실행되는 실제 처리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이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기억매체에 적용될 경우, 그 기억매체는 전술한 순서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D 프린터가 USB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DSC가 슬레이브로서 설정된다. 인쇄 동작에 앞서, PD 프린터와 DSC 사이에서 포토 다이렉트 인쇄처리에 필요한 기능이 분담 및 할당되어, 최적의 인쇄모드나, DSC 측에서 의도한 인쇄모드를 결정하여 인쇄처리를 행한다. 기능을 할당할 때, 예를 들어, DSC(3012)가 CDPS 자체를 지원하고 있지 않으면, 도 11의 단계 S11에서, DSC(3012)의 기능 800 내지 803의 지원 레벨을 PD 프린터(1000)에 통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DSC(3012)의 기능 800 내지 803의 지원 레벨이 0으로 판정되고, 이들 기능 800 내지 803이 모두 PD 프린터(1000) 측에 의해 지원되면, CDPS 비호환성 DSC(3012)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CDPS 자원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다이렉트 인쇄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지원 레벨을 0으로 판단함"에 대한 이 처리는 도 7의 어느 계층에서나 이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공급측과 화상 출력측의 자원을 공통으로 이용함으로써, 호환성 장치 및 비호환성 장치와의 다이렉트 인쇄처리를 이행함에 있어서, 짧은 개발 기간, 낮은 비용, 자원 삭감, 높은 신뢰성 등이 기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D 프린터가 USB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DSC가 슬레이브로서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인 기능 할당이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으면, 어느 장나 호스트/슬레이브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Capability(기능) 정보와 각종 지시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교환되므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으로의 용이한 이식이 확보되므로, 용이한 표준화를 가능하게 한다.
장치간의 통신 절차는 범용 파일 및 서식을 이용하여 이행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절차층이 그 상부층에서 규정됨으로써,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무관하게 통신 절차를 규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록시스템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장치가 서로 접속되므로, 그 장치들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상 지원되는 사양을 이용하여 정보가 변경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이들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어야 하는 기능 정보는 "파일 전달"이나 "오브젝트 전달"에 의해 이행되므로,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은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화상공급장치로서는 디지털 카메라외에도, PDA, 휴대전화, 텔레비전, 비디오장치, 화상기억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범용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USB, IEEE1394외에도, 인터넷 등에 대한 접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하여, 아래의 청구범위가 만들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 패널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ASI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 통신절차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를 실장한 PD 프린터와 디지털 카메라의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서비스 기능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인쇄처리까지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의 서비 스 기능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 및 DSC가 접속되고 나서 CDPS가 시작할 때까지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의 기능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의 기능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의 기능 할당의 또 다른 예로서, DSC가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취급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기능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과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의 할당 일례와,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의 할당의 또 다른 예와,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9는 CDPS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CDPS에서 카메라에 의해 사용되는 절차들을 통지(CDPS_ServiceDiscovery)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1은 CDPS에서의 프린터 기능의 통지(CDPS_Service)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CDPS에서 PD 프린터가 화상 파일을 취득하도록 하는 기능(CDPS_JobData)의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CDPS에서 PD 프린터가 카메라에 대해 인쇄처리의 시작을 지시하도록 하는 기능(CDPS_PageStart)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4는 CDPS에서 PD 프린터가 카메라에 대해 1페이지에 대한 인쇄 종료 명령을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CDPS_PageEnd)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5는 CDPS에서 PD 프린터가 카메라에 대해 인쇄 작업 종료 명령(CDPS_JobEnd)을 발행하도록 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6은 CDPS에서 PD 프린터가 카메라에 대해 에러 상태를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CDPS_Error)의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7은 CDPS에서 조작 제어기가 인쇄 제어기에 대해 인쇄 명령을 발행(CDPS_Job)하도록 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8은 CDPS에서 조작 제어기가 인쇄 제어기에 대해 인쇄 중지 명령을 발행(CDPS_JobAbort)하도록 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9는 CDPS에서 조작 제어기가 인쇄 제어기에 대해 인쇄 재개 명령을 발행(CDPS_JobContinue)하도록 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0은 CDPS에서 인쇄 제어기가 기억장치에 대해 부분 화상 취득 명령을 발행(CDPS_PrintJobData)하도록 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1은 CDPS에서의 부분 화상 취득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32는 블루투스에서의 CDPS로의 이행 명령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3은 블루투스에서의 CDPS로의 이행 명령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4는 블루투스에서의 프린터 기능 통지처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5는 블루투스에서의 기억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의 통 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6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시작 통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7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종료 통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8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작업 종료 통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9는 블루투스에서의 프린터 에러 통지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0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명령 발행처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1은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중지 명령 발행처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2는 블루투스에서의 인쇄 작업 재개 명령 발행처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3은 블루투스에서의 부분 화상 취득처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4a 내지 도 44c는 각종 제어기능(조작 제어기, 기억 제어기 및 인쇄 제어기)을 어떻게 할당할지를 결정할 때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DSC 및 PD 프린터의 지원 레벨을 설명하는 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5는 DPOF 파일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DSC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DSC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DSC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9a 및 도 49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의한 인쇄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9)

  1. 기록장치와 직접 통신하며,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공급장치로서,
    메모리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판독수단;
    상기 기록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록장치가 가지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기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2 기록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상기 제2 기록조건을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는 DPOF 파일이고,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DPOF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조건은 XML로 기술된 커멘드로 지정되고, 상기 커멘드의 기록해야 할 화상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술하는 부분에 상기 DPOF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가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간의 공통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는 통신이 개시된 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5. 기록장치와 직접 통신하며,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메모리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판독단계;
    상기 기록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록장치가 가지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단계;
    상기 취득단계에 의해 취득한 상기 기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 터의 기록에 관한 제2 기록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2 기록조건을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는 DPOF 파일이고,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DPOF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조건은 XML로 기술된 커멘드로 지정되고, 상기 커멘드의 기록해야 할 화상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술하는 부분에 상기 DPOF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가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조건은,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간의 공통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는 통신이 개시된 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의 제어방법.
  9.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가 직접 통신하며,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여 기록을 수행하는 기록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매체;
    상기 기록장치와의 접속에 의해 상기 기록장치가 가지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기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관한 제2 기록조건으로서, 상기 제1 기록조건을 기술한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2 기록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수단이 설정한 상기 제2 기록조건을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송신수단이 송신한 상기 제2 기록조건에 따라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KR1020077018515A 2002-11-29 2003-11-26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KR100915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8783 2002-11-29
JP2002348783A JP4250408B2 (ja) 2002-11-29 2002-11-29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729A Division KR20050084044A (ko) 2002-11-29 2003-11-26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262A true KR20070087262A (ko) 2007-08-27
KR100915583B1 KR100915583B1 (ko) 2009-09-07

Family

ID=324629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515A KR100915583B1 (ko) 2002-11-29 2003-11-26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KR1020057009729A KR20050084044A (ko) 2002-11-29 2003-11-26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729A KR20050084044A (ko) 2002-11-29 2003-11-26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02049B2 (ko)
EP (1) EP1572465B1 (ko)
JP (1) JP4250408B2 (ko)
KR (2) KR100915583B1 (ko)
CN (1) CN100356311C (ko)
AU (1) AU2003283837B2 (ko)
CA (1) CA2501023C (ko)
RU (1) RU2293027C2 (ko)
WO (1) WO2004050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847B2 (ja) * 2002-06-04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3728277B2 (ja) * 2002-06-0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4250408B2 (ja) 2002-11-2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4455073B2 (ja) * 2003-02-1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125172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36771B2 (ja)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3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接続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62971B2 (en) * 2004-01-21 2009-07-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fluid cartridge
US7604322B2 (en) * 2004-01-21 2009-10-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hotofinishing system with drier
US7377995B2 (en) 2004-05-12 2008-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durable tissue
JP4726239B2 (ja) * 2004-08-25 2011-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262186B2 (ja) * 2004-10-21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367941B2 (ja) * 2005-01-2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中継装置、画像供給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4683642B2 (ja) * 2006-02-20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画像印刷装置及びそれらからなる画像印刷システム
JP4777106B2 (ja) * 2006-03-22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の制御方法
KR100765782B1 (ko) * 2006-04-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XHTML-Print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823266B1 (ko) 2006-04-13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XHTML-Print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906476B1 (ko) 2006-06-01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XHTML-Print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JP4222393B2 (ja) * 2006-08-09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システム
JP4908967B2 (ja) * 2006-08-1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転送方法
US9516178B2 (en) * 2006-09-20 2016-12-06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ple media format support for printers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JP2009190252A (ja) * 2008-02-14 2009-08-27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591552B2 (ja) * 2008-06-10 2010-12-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049900B2 (ja) * 2008-06-30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設定装置、画像出力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1439B2 (ja) * 2008-11-13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15570B2 (ja) * 2009-06-16 2013-01-0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カメラ
US8107175B2 (en) * 2009-10-02 2012-01-31 Nikon Corporation Wide-angle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de-angle lens
JP5366756B2 (ja) * 2009-10-19 2013-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743675B2 (ja) * 2010-05-13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320226A1 (en) * 2011-06-14 2012-12-20 Chee Meng Chen Stationary printing apparatus with camera
WO2013016409A1 (en) 2011-07-26 2013-01-31 Magna Electronics Inc. Vision system for vehicle
JP6333017B2 (ja) * 2014-03-28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6371717B2 (ja) 2014-07-01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51303B (zh) * 2015-07-17 2023-03-1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组织病理学图像的配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594A (en) 1983-04-02 1992-08-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at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3150430B2 (ja) * 1992-06-29 2001-03-26 東京電子設計株式会社 プリンタ制御コード変換装置
US6055361A (en) 1995-06-22 2000-04-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control with monitor function
JP3747108B2 (ja) * 1996-02-02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96855A (zh) 1996-06-25 1998-10-2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打印设备和打印系统
JP3767043B2 (ja) 1996-09-30 2006-04-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6115137A (en) * 1996-12-06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digital camera, and printing apparatus
US6940541B1 (en) * 1997-04-04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parameter compensation by a host camera
US7212229B2 (en) * 1997-04-04 2007-05-01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amera providing image processing for an attachable printer
JPH10304187A (ja) * 1997-04-28 1998-11-13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US5937144A (en) * 1997-05-06 1999-08-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Rasterized proxy of a vector image
JPH11143652A (ja) 1997-11-11 1999-05-28 Fuji Xerox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031623A (en) * 1997-12-11 2000-02-29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system with evolving printer
JPH11254780A (ja) * 1998-03-10 1999-09-21 Olympus Optical Co Ltd 印刷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撮像機能付き印刷システム
JP2000118086A (ja) 1998-10-14 2000-04-25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指定処理方法
JP2000151756A (ja) 1998-11-13 2000-05-30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方法
US6476930B1 (en) * 1998-12-04 2002-11-05 Ricoh Corporation Output processing and merging of hybrid electronic documents
JP3416552B2 (ja) * 1999-01-25 2003-06-16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端末能力交換方法
US6850273B1 (en) * 1999-02-03 2005-02-01 Fuji Photo Film Co., Ltd. Digital camera recording image frame and printing information files on a recording medium
JP2001147790A (ja) 1999-11-22 2001-05-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1150745A (ja) * 1999-11-30 2001-06-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6711637B2 (en) 2000-01-11 2004-03-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1238105A (ja) 2000-02-21 2001-08-31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印刷システム
JP2001268305A (ja) * 2000-03-16 2001-09-28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画像データの変換方法
JP2001287414A (ja) * 2000-04-05 2001-10-16 Sony Corp データ変換装置及び方法、印刷装置及び方法、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データ伝送方法
JP2001290612A (ja) 2000-04-07 2001-10-19 Nec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
US7038714B1 (en) 2000-05-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a digital printer that uses a digital camera image display
JP4196522B2 (ja) 2000-05-23 2008-1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送信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送信方法、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982800B1 (en) * 2000-07-05 2006-0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management within a photoprinter
JP3941907B2 (ja) 2000-07-28 2007-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情報処理装置、処理条件チェック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45653B2 (ja) 2000-08-08 2010-04-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765075B2 (ja) 2000-08-30 2006-04-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の離型方法と成形用金型装置
JP2002144681A (ja) 2000-11-15 2002-05-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JP4620877B2 (ja) * 2001-01-18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579902B2 (ja) * 2001-01-25 2004-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JP4239590B2 (ja) 2001-02-20 2009-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配信システムおよび印刷配信プログラム
JP2002268842A (ja) 2001-03-09 2002-09-20 Canon Inc 印刷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854817B2 (ja) 2001-04-19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326433A (ja) 2001-05-07 2002-11-12 Canon Inc 画像制御方法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3840091B2 (ja) * 2001-10-31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と記録装置と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848130B2 (ja) * 2001-10-31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と記録装置と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890222B2 (ja) * 2001-11-22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印刷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160998A1 (en) * 2002-02-22 2003-08-2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4013349A (ja) * 2002-06-04 2004-01-15 Canon Inc 撮像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JP4027161B2 (ja) * 2002-06-04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2004082528A (ja) * 2002-08-27 2004-03-18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
US20040095469A1 (en) * 2002-11-18 2004-05-20 Fu-Chang Lin Digital camera capable of generating print data
JP4250408B2 (ja) 2002-11-2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85137A (ja) 2004-07-02
JP4250408B2 (ja) 2009-04-08
CN1708408A (zh) 2005-12-14
CA2501023C (en) 2010-02-02
AU2003283837A1 (en) 2004-06-23
EP1572465A1 (en) 2005-09-14
WO2004050374A1 (en) 2004-06-17
RU2293027C2 (ru) 2007-02-10
KR100915583B1 (ko) 2009-09-07
AU2003283837B2 (en) 2008-11-20
US20060044395A1 (en) 2006-03-02
EP1572465A4 (en) 2007-04-04
US7502049B2 (en) 2009-03-10
CA2501023A1 (en) 2004-06-17
KR20050084044A (ko) 2005-08-26
EP1572465B1 (en) 2016-03-23
RU2005112716A (ru) 2006-01-20
CN100356311C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583B1 (ko)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KR100729683B1 (ko)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8957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US920398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system
US7719706B2 (en) Direct printing authorization in a digital camera
KR100670214B1 (ko)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035832B2 (en)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4266948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その制御方法
JP4367902B2 (ja) 記録システム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と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12118A (ja)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制御方法
KR20050038614A (ko)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