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91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914A
KR20070086914A KR1020077015280A KR20077015280A KR20070086914A KR 20070086914 A KR20070086914 A KR 20070086914A KR 1020077015280 A KR1020077015280 A KR 1020077015280A KR 20077015280 A KR20077015280 A KR 20077015280A KR 20070086914 A KR20070086914 A KR 2007008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r
hoist
drive sheave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유무라
다카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카 및 균형추가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승강된다. 각 권상기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어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카 및 균형추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비상 정지 장치와는 상이한 조건에서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1대의 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보다 많은 승객을 보다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카를 대형화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대토크·대출력의 대형의 권상기가 필요하게 되고, 제작 비용 및 양중(lifting)·고정 비용 등이 높게 된다.
또한, 권상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2대의 권상기로 1대의 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에서는, 카 및 균형추에 각각 동활차(fall blocks)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2대의 권상기에 생기는 속도차에 의한 단점이 해소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제 1995-42063 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및 균형추에 동활차를 마련했으므로, 주 로프로서 엔드리스 로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엔드리스 로프는 1개의 로프의 양 단부를 서로 접속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이음매(joint)의 단차를 없애는 것이 어렵다. 또한, 2대의 권상기에 마련된 브레이크의 동작 타이밍이나 제동력에 개체차가 있기 때문에, 비상 정지시에 2개의 구동 시브의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커지고, 로프 위치가 이동해서 이음매가 구동 시브나 동활차를 통과하고, 카에 진동이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복수의 권상기를 이용하면서, 비상 제동시라도 로프 위치의 이동이 작고, 안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와,
카 및 균형추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비상 정지 장치와는 다른 조건에서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 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갖는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주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갖는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권상기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권상기 브레이크중 어느 하나가 제동 동작하면 다른 권상기 브레이크도 제동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복수의 권상기로 하나의 카를 움직이고, 권상기는 브레이크를 구비하지 않고, 승강체에 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 1 배선 예를 나타내는 배선도,
도 7은 도 5의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 2 배선 예를 나타내는 배선도,
도 8은 도 5의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 3 배선 예를 나타내는 배선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 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승강체인 카(4)는 카 가이드 레일(2)에 따라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제 2 승강체인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에 따라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승강체 본체인 균형추 본체(16)와, 균형추 본체(16)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로프 접속 부재)(17)와, 균형추 본체(16)와 요동 부재(17)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8)를 갖고 있다. 균형추 본체(16)는 요동 부재(17)로부터 접속 부재(18)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다.
접속 부재(18)의 상단부는 요동 부재(17)의 요동 중심, 즉 요동 축(17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축(17a)은 균형추 본체(16)의 두께 방향에 평행, 수평이다. 접속 부재(18)의 하단부는 균형추 본체(16)의 상부의 중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18)의 상단부에는 요동 부재(17)의 요동 상태를 검출하는 요동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요동 검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엔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6, 7)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권상기(6)는 제 1 구동 시브(8)와 제 1 권상기 본체(9)를 갖고 있다. 제 1 권상기 본체(9)는 제 1 구동 시브(8)를 회전시키는 제 1 전동기와, 제 1 구동 시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 1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권상기(7)는 제 2 구동 시브(10)와 제 2 권상기 본체(11)를 갖고 있다. 제 2 권상기 본체(11)는 제 2 구동 시브(10)를 회전시키는 제 2 전동기와, 제 2 구동 시브(10)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 2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구동 시브(8, 10)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12)가 감아 걸려있다. 카(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12)에 의해 승강로(1)내에 현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권상기(6, 7)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카(4)와는 역방향으로 승강한다.
주 로프(12)는 요동 축(17a)의 일 측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12a)와, 요동 축(17a)의 타 측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12b)를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는 요동 축(17a)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로프 단부(12a) 및 제 2 로프 단부(12b)를 균형추(5)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는 이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4)의 상부에는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밸런스 풀리(13)가 마련되어 있다. 밸런스 풀리(13)에는 주 로프(12)의 중간부가 감아 걸려있다.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제어 장치(19)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9)는 요동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요동 부재(17)의 요동을 상쇄하도록, 즉 요동 부재(17)를 수평으로 되돌리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를 제어한다.
카(4)의 하부에는 카(4)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예를 들면 정격 속도의 1.4배)에 도달했을 때에 카(4)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20)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카(4)에는 비상 정지 장치(20)와는 다른 조건에서 카(4)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로서의 한쌍의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가 탑재되어 있다.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는 카 가이드 레일(2)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카(4)를 제동한다. 또한,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승강로(1)내의 최상층 부근 및 최하층 부근에는 종단층 감속 장치(terminal slowdown device) 및 오버런 제한 장치(overrun limiting device)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상 승강로(1)내의 최상층 부근 및 최하층 부근에서는, 카(4)는 미리 설정된 속도 곡선에 따라 감속 정지된다. 그러나,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카(4)의 속도가 속도 곡선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제어 장치(19)내의 안전 회로가 차단되어, 제어 장치(19)에서 비상 정지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에 의해, 카(4)가 강제적으로 비상 정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동기 운전하도록 제어 장치(19)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시브(8, 10)의 제작 오차, 카(4)의 가감속 및 제동시 등에 발생하는 구동 시브(8, 10)와 주 로프(12)와의 사이의 미소한 미끄러짐, 및 권상기 본체(9, 11)의 토크 변동 등에 의해, 카(4)에 대하여 제 1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와, 제 2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와의 사이에는 근소한 오차가 생긴다. 이러한 근소한 주행 거리의 오차는 스케일 타입(scale-type)의 밸런스 기구로서 작용하는 요동 부재(17)의 요동(경사)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비상시에 권상기 브레이크를 동작시켜서, 동작 타이밍이나 제동력에 차이가 있으면,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와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와의 사이에는 단시간에 큰 주행 거리의 오차가 발생하고, 스케일 타입의 밸런스 기구에서는 전부 흡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비상시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는 동작시키지 않고,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만을 동작시켜, 카(4)를 강제적으로 비상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카(4)가 제동해도 주 로프(12)와 카(4)와의 사이에 승강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카(4)는 안정되게 정지할 수 있다. 특히, 한쌍의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도록 하면,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를 보다 확실하게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의 구성의 일부를 비상 정지 장치(20)와 공용해도 좋다.
또한, 비상시에는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를 병용해도 좋다. 이 경우,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가 동작하면서 권상기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도록 시퀸스 회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상기 브레이크가 없고,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만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통상의 각 층 정지시의 제동도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권상기 브레이크가 없으므로, 부품 개수가 적어지고, 시스템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하는 권상기는 2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고정 풀리(14, 15)의 위치에도 권상기를 배치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5)에는 비상 정지 장치(20)와는 다른 조건에서 카(4)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로서의 한쌍의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가 탑재되어 있다.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균형추(5)를 제동하고, 이것에 의해 카(4)를 제동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시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에 의해 카(4)가 강제적으로 비상 정지되므로,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차이에 의해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와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와의 주행 거리 차이가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정지 거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한쌍의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도록 하면,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를 보다 확실하게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상 제동 동작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이 카(4)내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밸런스 풀리 및 요동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1:1 로핑(roping) 방식에 의해 카(4) 및 균형추(5)가 현수되어 있다. 즉, 제 1 로프 단부(12a)는 카(4)의 상부에 접속되고, 제 2 로프 단부(12b)는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 로프(12)가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를 연속해서 통과하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는 반경 방향에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기계실 또는 승강로내)에는, 주 로프(12)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카(4)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로프 브레이크 장치(23)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23)는 모든 주 로프(12)를 동시에 파지하는 것에 의해 주 로프(12)의 이동을 제동하고, 이에 의해 카(4)를 제동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시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로프 브레이크 장치(23)에 의해 카(4)가 강제적으로 비상 정지되므로,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차이에 의해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와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와의 주행 거리 차이가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정지 거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제동시에는, 주 로프(12)가 파지되므로, 만일 권상기(6, 7)가 정지되지 않아도, 구동 시브(8, 10)는 주 로프(12)에 대하여 공전하는 것으로 되고, 카(4)를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2:2 로핑 방식에 의해 카(4) 및 균형추(5)가 현수되어 있다. 즉, 카(4)의 하부에는 한쌍의 카 현수 풀리(24a, 24b)가 탑재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현수 풀리(25)가 탑재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는 승강로(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주 로프(12)는, 제 1 로프 단부(12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카 현수 풀리(24a, 24b), 제 2 구동 시브(10), 제 1 구동 시브(8) 및 균형추 현수 풀리(25)에 감아 걸려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이여도, 비상시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로프 브레이크 장치(23)에 의해, 카(4)가 강제적으로 비상 정지되므로, 권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의 차이에 의해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와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와의 주행 거리 차이가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권상기 브레이크와는 무관계로 정지 거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시에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23)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를 병용해도 좋다. 이 경우, 로프 브레이크 장치(23)가 동작한 후에, 권상기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시퀸스 회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권상기(6)에는 2개의 제 1 권상기 브레이크(26, 27)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권상기(7)에는 2개의 제 2 권상기 브레이크(28, 29)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의 배선도이다.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는 브레이크 코일(26a, 27a, 28a, 29a)에의 통전에 의해 제동력을 해제하고, 브레이크 코일(26a, 27a, 28a, 29a)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전자 브레이크이다. 또한,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에는, 브레이크 코일(26a, 27a, 28a, 29a)에의 통전 상태의 감시를 실행하는 통전 감시부(통전 감시 회로)(26b, 27b, 28b, 29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에는, 브레이크 슈의 동작 위치를 감시하는 동작 감시부(동작 감시 회로)(26c, 27c, 28c, 29c)가 마련되어 있다.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에는 브레이크 슈가 제동 동작함으로써 개방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모든 통전 감시부(26b, 27b, 28b, 29b) 및 모든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30)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안전 회로(30)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중 어느 하나가 제동 동작하면 다른 것도 제동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30)는 통전 감시부(26b, 27b, 28b, 29b) 및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중 어느 하나라도 제동 동작을 검출하면, 모든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를 제동 동작시킨다.
또한, 브레이크 안전 회로(30)는 제어 장치(19)의 엘리베이터 안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상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안전 회로가 차단되었을 때에는, 모든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를 제동 동작시킨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중 어느 하나가 제동 동작하면, 1개의 브레이크 안전 회로(30)에 의해, 다른 것도 제동 동작되므로, 복수의 권상기(6, 7)를 이용하면서, 비상 제동시의 정지 거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에서는,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의 동작만을 브레이크 안전 회로(30)에서 감시했지만, 실시 형태 1의 카 탑재 브레이크 장치(21a, 21b), 실시 형태 2의 균형추 탑재 브레이크 장치(22a, 22b), 또는 실시 형태 3, 4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23) 등을 이용할 경우는, 이들에 관해서도 감시해서 제동 동작을 연동시켜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런스 풀리(13)에 밸런스 풀리 브레이크(31, 32)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밸런스 풀리 브레이크(31, 32)의 동작을 브레이크 안전 회로(30)에서 감시하고, 다른 브레이크와 제동 동작을 연동시켜도 좋다. 또한, 밸런스 풀리 브레이크(31, 32)는 밸런스 풀리(1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만이 아니고, 고정측으로부터 주 로프(12)를 억제해서 제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밸런스 풀리(13)에 트랙션 능력이 없어도 주 로프(12)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풀리 브레이크는 균형추측에 밸런스 풀리를 탑재할 경우에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30)는 통전 감시부(26b, 27b, 28b, 29b) 및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중 어느 하나라도 제동 동작을 검출하면, 모든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를 제동 동작시키지만, 이 때 권상기 브레이크중 적어도 하나의 제동력을 브레이크 안전 회로 또는 동작 감시부에 의해 제어해도 좋다. 즉, 제동력을 저감시켜, 카의 감속도가 과대로 되는 것을 방지해도 좋다. 이에 의해, 카와 균형추와의 부하 밸런스가 어떤 상태의 때에서도, 카에 과대한 충격을 주지 않고, 카를 감속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안전 회로는 권상기 마다 나누어서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제 1 권상기(6)에 대응하는 제 1 브레이크 안전 회로(30a)와, 제 2 권상기(7)에 대응하는 제 2 브레이크 안전 회로(30b)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브레이크 안전 회로(30a, 30b)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권상기(6, 7) 마다 브레이크 안전 회로(30a, 30b)를 구성함으로써, 권상기의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고, 1대의 권상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와 2대의 권상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권상기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코일(26a, 27a, 28a, 29a), 통전 감시부(26b, 27b, 28b, 29b) 및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의 전체를 직렬로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무엇인가의 이상에 의해, 예를 들면 동작 감시부(26c, 27c, 28c, 29c)중 어느 하나의 1개소가 차단되면, 도 8의 회로가 차단되어, 모든 권상기 브레이크(26 내지 29)가 강제적으로 제동 동작하므로, 비상 안전(failsafe)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 로프로서 단면 원형의 로프를 이용하여도, 벨트 형상의 로프를 이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상기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상기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와,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탑재되어, 상기 비상 정지 장치와는 다른 조건에서 상기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 정지시에는, 상기 승강체 탑재 브레이크 장치를 먼저 동작시키고, 다음에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상기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갖는 권상기와,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상기 주 로프에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비상 정지시에는, 상기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먼저 동작시키고, 다음에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구동 시브와, 상기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및 상기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를 갖는 권상기와,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균형추와,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중 어 느 하나가 제동 동작하면 다른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도 제동 동작시키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복수의 권상기로 하나의 카를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브레이크를 구비하지 않고,
    승강체에 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5280A 2005-03-01 2006-02-17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86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5906 2005-03-01
JP2005055906 2005-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914A true KR20070086914A (ko) 2007-08-27

Family

ID=3694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280A KR20070086914A (ko) 2005-03-01 2006-02-1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6092967A1 (ko)
KR (1) KR20070086914A (ko)
CN (1) CN101107191B (ko)
DE (1) DE112006000498T5 (ko)
WO (1) WO20060929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2553B (zh) * 2006-12-05 201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2009035377A (ja) * 2007-08-01 2009-02-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固定装置
EP2263961B1 (en) * 2008-04-15 2015-10-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WO2010113356A1 (ja) * 2009-04-03 2010-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397008B2 (ja) * 2009-05-15 2014-01-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448867B (zh) 2009-05-27 2014-11-05 奥的斯电梯公司 具有动态制动的双卷绕牵引升降机机械的模块配置
FI20090335A (fi) 2009-09-16 2011-03-17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DE102012100791A1 (de) * 2012-01-31 2013-08-01 ThyssenKrupp Fördertechnik GmbH Zugmittel-Windenvorrichtung
DE102012202430A1 (de) * 2012-02-16 2013-08-22 Duallift Gmbh Liftvorrichtung mit Doppelwinde
DE102022123649A1 (de) 2022-09-15 2024-05-02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anlage zum Transport von Personen und/oder Transportgu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4875A (ja) * 1982-10-15 1984-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ヨン式エレベ−タ
JPH02233490A (ja) * 1989-02-28 1990-09-17 Otis Elevator Co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のフロア停止装置
JPH0742063B2 (ja) * 1992-07-17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FI109684B (fi) * 1998-03-23 2002-09-30 Kone Corp Menetelmä vetopyörähissin jarruttamiseksi ja vetopyörähis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2967A1 (ja) 2006-09-08
CN101107191B (zh) 2010-06-23
DE112006000498T5 (de) 2008-02-21
JPWO2006092967A1 (ja) 2008-08-07
CN101107191A (zh)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6914A (ko) 엘리베이터 장치
AU2007285644B2 (en) Elevator system
CN101090854B (zh) 电梯装置
KR100874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7263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40973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109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459049A (zh) 电梯装置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140231180A1 (en) Elevator system
JPWO20020724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00018810A1 (en) Elevator apparatus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419091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故障時運転方法
WO2012140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37603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EP3915915A1 (en) Elevator safety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elevator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WO20060382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9535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