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018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018B1
KR100946018B1 KR1020077015279A KR20077015279A KR100946018B1 KR 100946018 B1 KR100946018 B1 KR 100946018B1 KR 1020077015279 A KR1020077015279 A KR 1020077015279A KR 20077015279 A KR20077015279 A KR 20077015279A KR 100946018 B1 KR100946018 B1 KR 10094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
rope
lifting body
mai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913A (ko
Inventor
다카시 유무라
다카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제 1 및 제 2 승강체가 승강한다. 제 2 승강체는 승강체 본체와, 승강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를 갖고 있다. 승강체 본체는 주 로프에 의해 요동 부재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다. 주 로프는 요동 부재의 요동 중심의 일 측에서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요동 중심의 타 측에서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1대의 카(car)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보다 많은 승객을 보다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카를 대형화하는 방법이 있지만, 그것을 위해서는, 대토크·대출력의 대형의 권상기가 필요하게 되고, 제작 비용 및 양중(lifting)·고정 비용 등이 높아진다.
또한, 권상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2대의 권상기로 1대의 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및 균형추에 각각 동활차(fall blocks)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2대의 권상기에 생기는 속도차에 의한 단점이 해소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제 1995-42063 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및 균형추에 동활차를 마련했으므로, 주 로프로서 엔드리스 로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엔드리스 로프는 1개의 로프의 양 단부를 서로 접속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이음매(joint)의 단차를 없애는 것이 어렵고, 구동 시브(drive sheaves)나 동활차를 연결부가 통과할 때에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이음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주 로프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복수의 권상기에 의한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승강체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제 1 승강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 승강체를 구비하고,
제 2 승강체는 승강체 본체와, 승강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승강체 본체는 주 로프에 의해 요동 부재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고,
주 로프는 요동 부재의 요동 중심의 일 측에서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요동 중심의 타 측에서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승강체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제 1 승강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 승강체와,
권상기에 의한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했는지 안했는지를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과,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설정값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를 포함하고,
균형추는 제 1 및 제 2 추 본체와, 제 1 추 본체와 제 2 추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주 로프는 균형추의 제 1 추 본체측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균형추의 제 2 추 본체측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승강체와,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권상기에 의해 제 1 승강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 승강체를 포함하고,
제 1 승강체에는 주 로프의 중간부가 감아 걸린 밸런스 풀리가 마련되어 있고,
주 로프는 제 2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복수의 로프 단부를 갖고,
로프 단부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구동 시브를 갖는 제 1 권상기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구동 시브를 갖는 제 2 권상기와,
제 1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와,
제 2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와,
제 1 및 제 2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포함하고,
제 1 주 로프는 제 1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제 2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갖고,
제 2 주 로프는 제 1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로프 단부와, 제 2 승강 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로프 단부를 갖고,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고,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 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승강체인 카(4)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제 2 승강체인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승강체 본체인 균형추 본체(16)와, 균형추 본체(16)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로프 접속 부재)(17)와, 균형추 본체(16)와 요동 부재(17)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8)를 갖고 있다. 균형추 본체(16)는 요동 부재(17)로부터 접속 부재(18)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다.
접속 부재(18)의 상단부는, 요동 부재(17)의 요동 중심, 즉 요동 축(17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축(17a)은 균형추 본체(16)의 두께 방향에 평행, 또한 수평이다. 접속 부재(18)의 하단부는 균형추 본체(16)의 상부의 중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18)의 상단부에는, 요동 부재(17)의 요동 상태를 검출하는 요동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요동 검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엔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권상기(6, 7)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권상기(6)는 제 1 구동 시브(8)와, 제 1 구동 시브(8)를 회전시키는 제 1 권상기 본체(9)를 갖고 있다. 제 2 권상기(7)는 제 2 구동 시브(10)와, 제 2 구동 시브(10)를 회전시키는 제 2 권상기 본체(11)를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권상기 본체(9, 11)는 각각 전동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구동 시브(8, 10)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12)가 감아 걸려있다. 카(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12)에 의해 승강로(1)내에 현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권상기(6, 7)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카(4)와는 역방향으로 승강한다.
주 로프(12)는 요동 부재(17)의 요동 축(17a)의 일 측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12a)와, 요동 축(17a)의 타 측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12b)를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는 요동 축(17a)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로프 단부(12a) 및 제 2 로프 단부(12b)를 균형추(5)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4)의 상부에는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밸런스 풀리(13)가 마련되어 있다. 밸런스 풀리(13)에는 주 로프(12)의 중간부가 감아 걸려있다.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제어 장치(19)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9)는, 요동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요동 부재(17)의 요동을 상쇄하도록, 즉 요동 부재(17)를 수평으로 되돌리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를 제어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동기 운전하도록 제어 장치(19)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시브(8, 10)의 제작 오차, 카(4)의 가감속 및 제동시 등에 발생하는 구동 시브(8, 10)와 주 로프(12) 사이의 미소한 미끄러짐, 및 권상기 본체(9, 11)의 토크 변동 등에 의해, 카(4)에 대하여 제 1 구동 시브(8)측의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와, 제 2 구동 시브(10)측의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 사이에는 오차가 생긴다.
이러한 주행 거리의 오차는, 스케일 타입(scale-type)의 밸런스 기구로서 작용하는 요동 부재(17)의 요동(경사)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 요동 부재(17)가 경사해도,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의 합력은 균형추 본체(16)를 수직하게 지지하므로,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균형추 본체(16)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12)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요동 부재(17)의 요동에 의해,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5)를 2개로 나눌 필요도 없어,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부재(17)가 경사지면, 이 경사를 상쇄하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가 제어된다. 즉, 제어 장치(19)에서는, 주행 거리의 오차를 상쇄하는 것과 같은 속도 제한 보정값이 연산되어, 권상기(6, 7)의 전동기의 속도 지령값에 가산된다. 이에 의해, 오차가 시간 경과적으로 누적하고, 요동 부재(17)가 제한값 이상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카(4)를 제 1 승강체, 균형추(5)를 제 2 승강체라고 했지만, 균형추를 제 1 승강체, 카를 제 2 승강체로 하여 카에 요동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제 2 승강체측에만 요동 부재를 마련했지만, 제 1 승강체측에도 요동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밸런스 풀리를 이용하지 않고, 주 로프를 2계통으로 나누고, 카에 요동 부재를 마련하면 좋다.
또한, 권상기(6, 7)는 고정 풀리(14, 15)의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밸런스 기구는 요동 부재(17)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균형추와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 사이에 각각 개재된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고, 압축 스프링의 신축량의 차이에 의해 주행 거리의 오차를 흡수시켜도 좋다. 또한, 압축 스프링 대신에 유압식 실린더로 해도 좋고, 복수의 링크를 조합한 링크 기구로 해도 좋다.
따라서, 주행 거리의 차이의 검출 수단은 요동 검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런스 기구의 구성에 따라,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이나 유압 실린더의 신축량을 검출하는 변위계나, 링크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계 등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 본체(16)상에는 한쌍의 스위치 장착 아암(20a, 20b)이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장착 아암(20a, 20b)의 선단부에는 접점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스위치(21a, 21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요동 부재(17)에는 스위치(21a, 21b)를 조작하는 조작편(22a, 22b)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했는지 안했는지를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은 스위치 장착 아암(20a, 20b), 스위치(21a, 21b) 및 조작편(22a, 22b)을 갖고 있다.
도 1에서는 생략했지만, 권상기 본체(9, 11)에는 구동 시브(8, 10)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9a, 11a)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19)는,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설정값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카(4) 및 균형추(5)를 비상 정지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작고, 요동 부재(17)가 거의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편(22a, 22b)이 스위치(21a, 21b)에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커지고, 요동 부재(17)의 경사 각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스위치(21a, 21b)중 어느 한쪽의 접점이 개방된다.
스위치(21a, 21b)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신호는 제어 장치(19)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카(4)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이 제어 장치(19)로부터 출력된다. 즉, 권상기 본체(9, 11)의 전원이 차단되고, 브레이크부(9a, 11a)에 의해 구동 시브(8, 10)가 제동되어, 카(4) 및 균형추(5)가 감속·정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요동 부재(17)가 규정값 이상으로 경사진 채, 카(4) 및 균형추(5)가 주행하는 일이 없어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21a, 21b)의 접점은 개폐하는 전원 전압에 의해 항상 개방 접점을 이용하여도 항상 폐쇄 접점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균형추 본체(16)와 요동 부재(17) 사이에 이상 검출 수단을 마련했지만, 2대의 권상기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이면 다른 부분에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고정 풀리(14, 15) 사이, 또는 로프 단부(12a, 12b)에 마련되는 크리트(cleat) 스프링부(도시하지 않음)에 스위치를 마련해도 좋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31)는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추 본체(32, 33)와, 제 1 추 본체(32)와 제 2 추 본체(33)를 상하에서 연결하는 평판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연결 부재(34, 35)를 갖고 있다.
주 로프(12)의 제 1 로프 단부(12a)는 균형추(31)의 제 1 추 본체(32)측에 접속되어 있다. 주 로프(12)의 제 2 로프 단부(12b)는 균형추(31)의 제 2 추 본체(33)측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추 본체(32)는 주로 제 1 로프 단부(12a)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추 본체(33)는 주로 제 2 로프 단부(12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34, 35)의 변형 상태는 변형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변형 검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 35)에 마련한 스트레인 게이지나, 추 본체(32, 33)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계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19)는, 변형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연결 부재(34, 35)의 변형을 상쇄하도록, 즉 추 본체(32, 33)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를 제어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 연결 부재(34, 35)가 탄성 변형되어, 제 1 및 제 2 추 본체(32, 33)의 높이에 차이가 생긴다. 이 높이의 차이에 의해,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흡수되어,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균형추(31)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12)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추 본체(32, 33)는 2개이지만, 균형추(31)는 1개이기 때문에,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은 1조로 완료되고,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4, 35)가 변형되면, 이 변형을 상쇄하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가 제어된다. 즉, 제어 장치(19)에서는, 주행 거리의 오차를 상쇄하는 것과 같은 속도 제한 보정값이 연산되어, 권상기(6, 7)의 전동기의 속도 지령값에 가산된다. 이에 의해, 오차가 시간 경과적으로 누적되어, 연결 부재(34, 35)가 제한값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 2 승강체인 균형추(41)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즉, 로프 단부(12a, 12b)의 균형추(41)에의 접속부는 구조적으로 가능한 한 균형추(41)의 중심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 이 차이는 권상기(6, 7)로부터 균형추(41)까지의 주 로프(12)의 신장의 차이에 의해 흡수된다. 주 로프(12)의 신장의 차이는 로프 장력의 차이가 되고, 균형추(41)에 작용하지만, 로프 단부(12a, 12b)가 균형추(41)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균형추에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작고,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12)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어,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고정 풀리(14, 15)로부터 균형추(41)까지의 사이에서 주 로프(12)의 경사가 커지고, 균형추(41)에 수평력이 작용하고, 또한 고정 풀리(14, 15)의 로프 홈과 주 로프(12) 사이의 플리트 각(fleet angle)이 커지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예컨대 권상기(6, 7) 사이의 거리나 고정 풀리(14, 15) 사이의 거리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해소된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의 간격은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의 간격에 비해서 좁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로프 단부(12a, 12b)는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41)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고정 풀리(14, 15)와 균형추(41) 사이의 주 로프(12) 부분을 거의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균형추(41)의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 풀리(14, 15)에 관한 주 로프(12)의 플리트 각을 작게 유지할 수 있어, 균형추(41)를 안정되게 현수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6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시브(8, 10)로부터의 주 로프(12)를 고정 풀리(14, 15)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전향 풀리(42, 43)가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42, 43)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도 포함)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다.
이러한 전향 풀리(42, 43)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1)의 상부에 있어서의 주 로프(12)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 내지 6에서는, 균형추(41)를 제 2 승강체로 했지만, 카(5)를 제 2 승강체로 해도 좋다. 즉, 균형추에 밸런스 풀리를 마련하고, 로프 단부를 카의 중심선에 근접해서 배치해도 좋다.
또한, 밸런스 풀리(13) 대신에, 실시 형태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요동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7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카(44)는 승강체 본체인 카 본체(45)와, 카 본체(45)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46)와, 카 본체(45)와 요동 부재(46)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47)를 갖고 있다. 카 본체(45)는 요동 부재(46)로부터 접속 부재(47)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다.
접속 부재(47)의 상단부는, 요동 부재(46)의 요동 중심, 즉 요동 축(46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축(46a)은 카 본체(45)의 깊이 방향에 평행, 또한 수평이다. 접속 부재(47)의 하단부는 카 본체(45)의 상부의 중심에 접속되어 있다.
카(44) 및 균형추(41)를 현수시키는 주 로프 그룹은 제 1 구동 시브(8)에 감아 걸린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48)와, 제 2 구동 시브(10)에 감아 걸린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49)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주 로프(48)는 요동 축(46a)의 일 측에서 요동 부재(46)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48a)와, 균형추(41)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48b)를 갖고 있다. 제 2 주 로프(49)는 요동 축(46a)의 타 측에서 요동 부재(46)에 접속된 제 3 로프 단부(49a)와, 균형추(41)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로프 단부(49b)를 갖고 있다.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48a, 49b)는 요동 축(46a)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서 요동 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구동 시브(8)로부터의 제 1 주 로프(48)를 전향시켜서 제 1 고정 풀리(14)로 유도하는 제 1 전향 풀리(50)와, 제 2 구동 시브(10)로부터의 제 2 주 로프(49)를 전향시켜서 제 2 고정 풀리(15)로 유도하는 제 2 전향 풀리(5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전향 풀리(50, 51)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함)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 이 차이는 요동 부재(46)의 경사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주행 거리의 차이가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로프 장력의 차이가 발생해도,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48b, 49b)가 균형추(41)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균형추(41)에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작고,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12)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12)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48a, 49a)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카(4)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즉, 로프 단부(48a, 49a)의 카(4)에의 접속부는 구조적으로 가능한 한 카(4)의 중심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48b, 49b)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41)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즉, 로프 단부(48b, 49b)의 균형추(41)에의 접속부는 구조적으로 가능한 한 균형추(41)의 중심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의 차이에 의해, 로프 장력의 차이가 발생해도,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48a, 49a)가 카(4)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는 동시에,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48b, 49b)가 균형추(41)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카(4) 및 균형추(41)에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작아져서,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48, 49)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는 구동 시브(8, 10)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도 포함함)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로서는, 축방향 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짧은 박형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시브(8, 10)로부터의 주 로프(48, 49)를 균형추(41)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와, 구동 시브(8, 10)로부터의 주 로프(48, 49)를 카(4)로 유도하는 제 3 및 제 4 고정 풀리(52, 53)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48a, 49a)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카(4)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48b, 49b)는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8, 10)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균형추(41)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의 차이에 의해, 로프 장력의 차이가 발생해도,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48a, 49a)가 카(4)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는 동시에,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48b, 49b)가 균형추(41)의 중심선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카(4) 및 균형추(41)에 경사를 생기게 하는 모멘트는 작아져서,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로프(48, 49)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이용하는 일이 없고,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로서 박형 권상기를 이용하고, 구동 시브(8, 10)가 수직이 되도록 제 1 및 제 2 권상기(6, 7)를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했으므로, 승강로 상부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시브(8, 10)로부터의 주 로프(48, 49)를 전향해서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4, 15)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전향 풀리(50, 5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권상기(6, 7)와 제 1 및 제 2 전향 풀리(50, 51)는 승강로(1)의 상부의 네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 로프(48, 49)의 구동 시브(8, 10)와 전향 풀리(50, 51) 사이의 부분은 카(4)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주 로프(48, 49)로서 엔드리스 로프를 사용하는 일이 없고, 2대의 권상기(6, 7)에 의한 주 로프(48, 49)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내지 10에서는, 2대의 권상기(6, 7)를 도시했지만, 권상기는 3대 이상이여도 좋고, 예를 들면 고정 풀리의 위치에 권상기를 추가 배치해도 좋다.
또한, 주 로프로서, 단면 원형의 로프를 이용하여도, 벨트 형상의 로프를 이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승강체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상기 제 1 승강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 승강체와,
    상기 권상기에 의한 상기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했는지 안했는지를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과,
    상기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가 설정값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승강체는 승강체 본체와, 상기 승강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 본체는 상기 주 로프에 의해 상기 요동 부재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고,
    상기 주 로프는 상기 요동 부재의 요동 중심의 일 측에서 상기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상기 요동 중심의 타 측에서 상기 요동 부재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갖고,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은 한쌍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한쌍의 조작편을 갖고,
    상기 요동 부재의 경사 각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어느 한쪽의 상기 스위치의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각각 구동 시브를 갖는 복수의 권상기와,
    상기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카와,
    상기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를 구비하고,
    상기 균형추는 제 1 및 제 2 추 본체와, 상기 제 1 추 본체와 상기 제 2 추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 로프는 상기 균형추의 상기 제 1 추 본체측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상기 균형추의 상기 제 2 추 본체측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변형 상태를 검출하는 변형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권상기에 의한 상기 주 로프의 주행 거리의 차이를 상쇄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구동 시브를 갖는 제 1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구동 시브를 갖는 제 2 권상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승강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제 1 승강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 승강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승강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의 중간부가 감아 걸린 밸런스 풀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는 상기 제 2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복수의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 단부는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있어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를 상기 제 2 승강체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를 상기 제 1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1 고정 풀리로 유도하는 제 1 전향 풀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로프를 상기 제 2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2 고정 풀리로 유도하는 제 2 전향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향 풀리는 회전축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구동 시브를 갖는 제 1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구동 시브를 갖는 제 2 권상기와,
    상기 제 1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와,
    상기 제 2 구동 시브에 감아 걸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는 상기 제 1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로프 단부와, 상기 제 2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는 상기 제 1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3 로프 단부와, 상기 제 2 승강체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로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로프 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 1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고,
    상기 제 2 및 제 4 로프 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의 간격에 비해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에 집중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권상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시브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를 상기 제 1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2 승강체로 유도하는 제 1 고정 풀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를 상기 제 2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2 승강체로 유도하는 제 2 고정 풀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 로프를 상기 제 1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1 승강체로 유도하는 제 3 고정 풀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 로프를 상기 제 2 구동 시브로부터 상기 제 1 승강체로 유도하는 제 4 고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는 상기 제 2 승강체의 중심 근방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및 제 4 고정 풀리는 상기 제 1 승강체의 중심 근방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5279A 2005-03-01 2006-02-23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46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5914 2005-03-01
JPJP-P-2005-00055914 2005-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913A KR20070086913A (ko) 2007-08-27
KR100946018B1 true KR100946018B1 (ko) 2010-03-09

Family

ID=3694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279A KR100946018B1 (ko) 2005-03-01 2006-02-2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5326B2 (ko)
JP (1) JP4913036B2 (ko)
KR (1) KR100946018B1 (ko)
CN (2) CN101107188A (ko)
DE (1) DE112006000500T5 (ko)
WO (1) WO2006093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8442A1 (de) * 2008-06-25 2009-12-30 Inventio Ag Aufzugtürsystem mit Kabinentürverriegelung
RU2535956C2 (ru) * 2009-03-16 2014-12-2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Конфигурация лифтовых приводных механизмов
US20140353089A1 (en) * 2013-05-28 2014-12-04 Unitronics Parking Solutions Ltd. Vehicle elevator system
US9597056B2 (en) * 2013-09-30 2017-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s for weight adjustment of an automated breast ultrasound system
CN106698130A (zh) * 2016-12-15 2017-05-24 中国矿业大学 导轨绳导向的提升滑架横向摆动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08928716A (zh) * 2017-05-23 2018-12-04 奥的斯电梯公司 曳引机组件及电梯
CN107188078B (zh) * 2017-06-09 2023-03-10 南通贝特医药机械有限公司 防脱装置
DE102019200375A1 (de) * 2019-01-15 2020-07-16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mit einer ersten Aufhängung und einer zweiten Aufhängung an einem Fahrkorb
DE102019120992A1 (de) * 2019-08-02 2021-02-04 Hans Lutz Maschinenfabrik GmbH & Co. KG Aufzug mit riemen-zugmittel
JP2022108144A (ja) * 2021-01-12 2022-07-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浸漬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8587A (ja) * 1988-12-09 1990-06-1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シーブ配列構造
JPH0664863A (ja) * 1992-07-17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KR100297123B1 (ko) * 1997-09-26 2002-1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
WO2004026749A1 (ja) * 2002-09-19 2004-04-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699A (en) * 1874-01-20 Improvement in elevators
US749193A (en) * 1904-01-12 Nelson hiss
US719466A (en) * 1902-03-08 1903-02-03 Nelson Hiss Traction apparatus.
US735093A (en) * 1903-01-31 1903-08-04 Oscar Greenwald Elevator-cable guard.
US1380125A (en) * 1920-10-11 1921-05-31 Kansas City Elevator Mfg Compa Tension-equaliz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US1700587A (en) * 1927-09-30 1929-01-2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able equalizer for elevators
US1820427A (en) * 1929-01-14 1931-08-25 Gifford Wood Co Lowering machine
US1891115A (en) * 1932-05-03 1932-12-13 Reuben W Ehling Elevator tackle
US1944772A (en) * 1932-09-10 1934-01-2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compensating rope sheave
JPS5131419B1 (ko) * 1970-12-31 1976-09-07
JPS5257644A (en) * 1975-11-05 1977-05-12 Hitachi Ltd Observation elevator
FR2677341B3 (fr) * 1991-06-05 1993-04-09 Siminor Sa Ascenseur a cables atteles sur les cotes de la cabine et poulies de renvoi sur les cotes de celle-ci.
JPH0570055A (ja) * 1991-09-13 1993-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昇降台
JP3165974B2 (ja) * 1992-01-22 2001-05-14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エレベータ式の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JPH05306083A (ja) * 1992-05-06 1993-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707942B2 (ja) * 1993-02-10 1998-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JP3152034B2 (ja) * 1993-10-28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JPH1077171A (ja) 1996-09-04 1998-03-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JPH10231077A (ja) * 1997-02-19 1998-09-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261257A (ja) 2000-03-23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03128A (ja) * 2000-06-23 2002-01-09 Shin Meiwa Ind Co Ltd カウンターウェイト式エレベータ昇降装置
US6488121B2 (en) * 2001-01-03 2002-12-03 Taco Co., Ltd. Method of atomizing lubricant at a constant rate in lubricant atomizer and circulating type of constant-rated lubricant atomizer
JP2002326778A (ja) * 2001-03-02 2002-11-12 Shin Meiwa Ind Co Ltd エレベータおよび立体駐車設備
CN1220618C (zh) * 2002-06-10 2005-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4024609A1 (ja) * 2002-09-11 2004-03-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WO2005056455A1 (ja) * 2003-12-09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936671B2 (ja) * 2005-01-14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8587A (ja) * 1988-12-09 1990-06-1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シーブ配列構造
JPH0664863A (ja) * 1992-07-17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KR100297123B1 (ko) * 1997-09-26 2002-1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
WO2004026749A1 (ja) * 2002-09-19 2004-04-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3020A1 (ja) 2006-09-08
KR20070086913A (ko) 2007-08-27
JP4913036B2 (ja) 2012-04-11
JPWO2006093020A1 (ja) 2008-08-07
CN101786565B (zh) 2012-12-05
CN101107188A (zh) 2008-01-16
US20080142313A1 (en) 2008-06-19
US7775326B2 (en) 2010-08-17
DE112006000500T5 (de) 2008-03-06
CN101786565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73318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20070086914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896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071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706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712270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9372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2127683A1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19091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故障時運転方法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50002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47578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3667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415552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0177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