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430A -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430A
KR20070083430A KR1020070017392A KR20070017392A KR20070083430A KR 20070083430 A KR20070083430 A KR 20070083430A KR 1020070017392 A KR1020070017392 A KR 1020070017392A KR 20070017392 A KR20070017392 A KR 20070017392A KR 20070083430 A KR20070083430 A KR 2007008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uminance level
luminance
display
l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노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용이하게 변경한다. LCD(6)에는, 촬상 소자(2)에 의해 취득된 화상이나, 메모리 카드(8)에 기억되는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의 휘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 CPU(10)에 의해 작성되고, 작성된 히스토그램이 화상과 중첩되어 LCD(6)에 표시된다. 또한, 유저에 의해 LCD(6)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의 임의의 위치가 눌러져, 제1 및 제2 휘도 레벨이 설정된다. 설정된 제1 및 제2 휘도 레벨의 범위에서, 화상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는 계조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계조 보정 처리가 행해진 화상이 LCD(6)에 표시된다.
촬상 장치, 다이내믹 레인지, 히스토그램, 휘도 레벨, 계조 보정 처리

Description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PICTURE DISPLAYING METHOD, PICTURE DISPLAY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LCD 신호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LCD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4는 히스토그램이 표시된 LCD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5는 시점 설정 모드 시에 LCD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6은 종점 설정 모드 시에 LCD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7은 확인 모드 시에 LCD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8은 감마 테이블을 변경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9는 다이내믹을 변경하는 범위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선도.
도 10은 휘도 레벨에 따른 누적 화소수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자동적으로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설명 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12는 누적 화소수로부터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의 시점과 종점이 판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13은 LCD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4는 에리어 지정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되는 LCD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5는 에리어 지정 모드 시의 LCD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6은 확인 모드 시의 LCD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7은 감마 테이블을 변경하는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18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변경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촬상 장치
2: 촬상 소자
4: 디지털 신호 처리부
5: LCD 구동 회로
6: LCD
10: CPU
15: 카메라 신호 처리부
16: LCD 신호 처리부
16d: 감마 보정부
26: 히스토그램 키
H1, H2, H3, H4: 히스토그램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3880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2-33956호 공보
본 발명은,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촬상 장치에는, 표시부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구비되는 것이 많다. 유저는, 촬영된 것이나 리무버블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LCD에 표시시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LCD에는 화상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LCD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을 참조하여 노출 보정의 설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라도 계조 표현 풍부한 화상을 찍을 수 있다.
또한, LCD는, 터치 패널로서 구성되며, 조작 입력부로서도 사용된다. LCD에 표시되는 키를 유저가 누름으로써, 키의 종류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휘도 레벨의 분포 상황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표 시시키는 촬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는, 표준 모드와 광 다이내믹 레인지 모드가 설정 가능하게 되어, 각각의 모드에 따라서 계조 변환 특성이 변경되는 감마 회로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저조도의 촬영 환경에서 촬영하였을 때의 화상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불충분하게 되어, 전체가 어두워 보기 어려운 화상으로 되게 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화상을 LCD에 표시시키면서, 화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해당 화상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할 수 없었다. 상술한 히스토그램은, 노출 보정 등의 설정을 적절히 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것으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촬상 장치에서는 각 모드에 따른 계조 변환 특성이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계조 변환 특성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 과,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제1 휘도 레벨 및 제1 휘도 레벨보다도 큰 제2 휘도 레벨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제1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이 이루어져,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 스텝과,
제2 화상을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제1 화상에서 임의의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 스텝과,
범위에서의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판별하는 판별 스텝과,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킴으로써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이 이루어져,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 스텝과,
제2 화상을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화상 및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선택되는 제1 휘도 레벨 및 제1 휘도 레벨보다 큰 제2 휘도 레벨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제1 휘도 레벨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제2 화상을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제1 화상에서 설정된 범위의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제2 화상을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부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제1 화상 및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선택되는 제1 휘도 레벨 및 제1 휘도 레벨보다 큰 제2 휘도 레벨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제1 휘도 레벨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제2 화상을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일 실 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촬상 장치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일 실시예에서의 촬상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다. 촬상 장치(1)는, 촬상 소자(2),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 디지털 신호 처리부(4), LCD 구동 회로(5), LCD(6), CPU(1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1), 메모리(12), 조작부(13), 드라이버(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15), LCD 신호 처리부(16),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I/F)(17), 메모리 카드용 인터페이스(18),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19)를 포함한다. 또한, 참조 부호 7은, 촬상 장치(1)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외부 출력 단자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9는, 촬상 장치(1)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8은, 촬상 장치(1)와 착탈 가능하게 되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낸다.
촬상 장치(1)의 각 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촬상부의 일례인 촬상 소자(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지고, 입사광량에 따라서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간 처리 등이 행해지고, 보간 처리 등이 행해진 아날로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에서는,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리세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CDS(Correlated Double Sampling))나 신호 레벨을 일정 레벨로 컨트롤하기 위한 AGC(Automatic Gain Control)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들 처리가 행해진 아날로그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4)에 대하여 공급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는, 예를 들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서 구성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에서의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는,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화이트 밸런스 처리나 쉐이딩 보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는,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를 필요에 따라서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 Group) 방식 등에 기초하여 압축/신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4)가 실행하는 처리에 따라서 LCD 신호 처리부(16),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17),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8)의 각각에 대하여 공급된다.
LCD 신호 처리부(16)에서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된다.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된 디지털 신호가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비동기로 읽어내어져, LCD 구동 회로(5)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경되어 LCD 구동 회로(5)에 대하여 공급된다. 또한, LCD 신호 처리부(16)에서는, LCD 구동 회로(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어 신호가 LCD 구동 회로(5)에 대하여 송출된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의 LCD 신호 처리부(16)에서는, LCD(6)에 표시되는 신호의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키는 감마(γ) 보정이 행해진다.
LCD 구동 회로(5)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게이 트선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게이트선 구동 회로는, LCD 신호 처리부(16)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게이트 펄스를 발생하여, 소정의 화소를 선택한다. 선택된 화소에 대하여 전압이 인가되어, 화소마다 설치되는 TFT(Thin Film Transistor)가 온한다. 그리고, LCD(6)에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부의 일례인 LCD(6)에는, 촬상 장치(1)에 내장되는 메모리(12)에 기억되는 화상, 메모리 카드(8)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19)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이나, LCD(6)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에는 정지 화상뿐만 아니라 동화상을 포함한다. LCD(6)에 표시되는 화상 등의 절환은, 표시 제어부의 일례인 CPU(1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의 LCD(6)는, 화소마다 인가되는 액정 구동 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LCD(6)의 광 투과율이 증가하는 표시 특성을 갖는다.
LCD(6)는, 터치 패널로서 구성되어 있다. LCD(6)의 소정의 위치를 누름으로써 촬상 장치(1)의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유저가 촬상 장치(1)를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LCD(6)에는, LCD(6)와 유저의 손가락과의 접촉 및 접촉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가 설치된다.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가 CPU(10)에 공급된다.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17)는, 촬상 장치(1)와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나 프린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기능을 갖는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가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17)에서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된다.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외부 출력 단자(7)로부터 촬상 장치(1)와 접속되는 외부 기기에 대하여 송출된다.
메모리 카드용 인터페이스(18)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와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카메라 신호 처리부(15)에서 압축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 카드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신호가 메모리 카드(8)에 출력되고, 출력된 신호가 메모리 카드(8)에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8)는, 촬상 장치(1)와 착탈 가능하게 되는 기억 매체의 일례이며,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자기 기록 매체, 광 디스크 등이어도 된다.
외부 입력 단자(9)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는,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19)에서 적절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가 예를 들면 카메라 신호 처리부 (15)에 공급되고, 공급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CPU(10)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고, 촬상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10)가 드라이버(14)에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드라이버(14)가 CPU(1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2)를 구동한다. 또한, CPU(1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4)에 대하여 송출한다. 예를 들면, LCD 신호 처리부(16)에서의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되는 감마 테이블이 CPU(10)에 의한 제어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CPU(10)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LCD 신호 처리부(16)에 대하여 공급되는 휘도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휘도 신호에 기초하여, 1화면분의 화상의 임의의 일정 구간 예를 들면 1프레임 기간에 대해, CPU(10)가 각 휘도 레벨의 분포 상황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휘도 레벨의 분포 상황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CPU(10)가 작성한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는,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의 계조는 8비트로 된다. 따라서, 화상의 휘도 레벨은 0∼255의 범위에 분포되고, 256단계의 각 레벨에 화소가 몇 개씩 존재하는지를 CPU(10)가 산출한다.
CPU(10)는, 작성한 히스토그램을 LCD 신호 처리부(16)에 공급한다. LCD 신호 처리부(16)에서는, LCD(6)에 표시되는 화상과, CPU(10)에 의해 산출된 히스토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중첩된다. 히스토그램이 중첩된 화상이 LCD 구동 회로(5)를 통하여 LCD(6)에 표시된다. 히스토그램이 LCD(6)에 표시됨으로써, 유저가 LCD(6)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LCD(6)에 히스토그램을 중첩시켜 표시할지의 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LCD(6)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 키가 눌러졌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LCD(6)에 표시된 히스토그램 상의 임의의 점이 눌러졌을 때에는, 휘도 레벨 판별부의 일례인 CPU(10)가 눌러진 위치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을 판별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와 접속되는 EEPROM(11)에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15)가 실행하는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프로세스의 조정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메모리(12)는, 촬상 장치(1)에 내장되고,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메모리(12)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수단이나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물론,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 하기 위한 전용의 HDD(Hard Disk Drive)가 촬상 장치(1)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부(13)는, 촬상 장치(1)의 케이싱에 구비되는 버튼이나 다이얼 등의 조작 수단이다. 버튼의 누름 동작이나 다이얼의 회전량에 수반하여 발생한 조작 신호가 CPU(10)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CPU(10)가 실행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촬상 소자(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나 디지털 신호 처리(4)에서의 신호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RAW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8)나 메모리(12)에 기억할 수 있다.
촬상 장치(1)에 다른 구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에 통신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화상 데이터가 카메라 신호 처리부(15)에 대하여 공급 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LCD 신호 처리부(16)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둘러싸는 개소는, LCD 신호 처리부(16)의 주요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LCD 신호 처리부(16)는, 게인 조정부(16a), 게인/색 보정부(16b), 매트릭스(16c), 계조 보정부의 일례인 감마 보정부(16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LCD 신호 처리부(16)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휘도 신호(Y 신호)와 색차 신호(Cr/Cb 신호)로 분리된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LCD 신호 처리부(16)에 공급된 휘도 신호에 대하여 게인 보정부(16a)에서,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게인 보정이 행해진다. 게인 보정이 행해진 휘도 신호가 매트릭스부(16c)에 공급된다.
또한, LCD 신호 처리부(16)에 공급된 색차 신호에 대하여 게인 보정/색 보정부(16b)에서, 신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게인 보정 및 채도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색 보정이 행해진다. 게인 보정 및 색 보정이 행해진 색차 신호는, 매트릭스부(16c)에 공급된다.
매트릭스부(16c)에서는,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일정한 비율로 가산하는 1차원의 매트릭스 연산 처리가 행해져, 휘도/색차 신호로부터 원색 신호(RGB 신호)가 생성된다. 매트릭스부(16c)에서 생성된 원색 신호가 감마 보정부(16d)에 대하여 공급된다.
감마 보정부(16d)에서는, 예를 들면, 공급되는 원색 신호인 RGB 신호의 각각에 대하여 감마 보정이 행해진다. 이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되며, 계조 변환 특성을 나타내는 감마 테이블이 감마 보정부(16d)에 기억되어 있다.
감마 보정 처리는, 예를 들면, 디지털화된 입력 신호를 감마 보정부(16d)가 갖는 룩업 테이블의 어드레스 입력으로 하고, 입력 레벨에 대응한 어드레스에 미리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서 읽어냄으로써 행해진다.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되는 감마 테이블은, CPU(10)의 제어에 의해 재기입 가능으로 되어, 계조 변환 특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감마 보정이 행해진 원색 신호가 LCD 신호 처리부(16)로부터 LCD 구동 회로(5)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게인 보정이나 색 보정 처리에서 사용되는 보정 계수 등은, CPU(10)의 제어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화상과 중첩되어 LCD(6)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 상의 임의의 점을 유저가 누르면, 눌러진 위치(이하, 적당히, 접촉 위치라고 함)가 위치 검출부(21)에서 검출된다. 접촉 위치는, 예를 들면, LCD(6)에서 눌러진 위치의 화소의 어드레스 정보로서 규정된다. 위치 검출부(21)에서 판별된 접촉 위치는, CPU(10)에 대하여 공급된다. CPU(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작성하여 새로운 감마 테이블을 설정한다. 또한, 위치 검출부(21)에서의 위치 검출 처리는, CPU(10)에 의해 실행 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촬상 장치(1)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일 실시예에서의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일 실시예에서는 LCD(6)의 표시 영역이 분할되어 있다. 참조 부호 24로 나타내는 영역에는, 제1 화상의 일례로서, 메모리 카드(8)나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P1(도면에서는 가옥의 화상으로서 도시함)이 읽어내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하, 이 영역을 적당히, 화상 표시 영역(24)이라고 한다.
참조 부호 25로 나타내는 영역에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가 표시된다. 이하, 이 영역을 적당히, 조작 영역(25)이라고 한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정지 키(25a), 화상을 재생해서 표시하기 위한 재생 키(25b), 화상을 절환하는 절환 키(25c, 25d), 일시 정지 키(25e) 및 히스토그램 키(26)가 조작 영역(25)에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화면을 이하, 적당히, 초기 화면이라고 한다.
히스토그램 키(26)가 눌러지면, 그 정보는 위치 검출부(21)를 통하여 CPU(10)에 공급된다. CPU(10)는, 히스토그램 키(26)가 눌러짐으로써, 화상 P1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다고 인식한다. 다이내믹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의미한다. 또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란,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의미한다.
다이내믹 레인지 변경 모드가 설정되면, CPU(10)가 휘도 레벨의 분포를 계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CPU(10)가 카메라 신호 처리부(15)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를 검출하고, 화상 P1의 휘도 레벨의 분포 상황을 계산한다. CPU(10)에 의해 계산된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 작성된다.
작성된 히스토그램의 데이터가 LCD 신호 처리부(16)에서 화상 P1과 중첩되어, LCD 구동 회로(5)를 통하여 LCD(6)에 표시된다.
도 4는, 히스토그램 H1이 표시된 LCD(6)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P1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H1이 조작 영역(25)에 소정의 에리어를 갖고 표시된다. 히스토그램 H1의 횡축은 휘도 레벨 0∼255를 나타내고, 종축은 각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화소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LCD(6)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저조도 하에서 촬영되어, 전체가 어두운 화상이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어도,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화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내믹 레인지가 변경된 화상을 LCD(6)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LCD(6)에 히스토그램 H1이 표시되면, LCD(6)의 화면이 도 5에 도시하는 시점설정 모드로 천이한다. 시점 설정 모드에서는, 조작 영역(25)에 「히스토그램 상으로부터 시점을 선택하여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27)가 표시된다. 유저는, 히스토그램 상의 임의의 점을 눌러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하는 범위의 시점의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히스토그램 H1에서 휘도 레벨이 집중되어 있는 영역의 좌단의 근방을 손가락(29)으로 접촉함으로써 시점의 설정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히스토그램 H1에 시점을 나타내는 점선이 표시된다. 이 때, 위치 검출부(21)에서, 유저의 손가락(29)이 지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X, Y)(단, X, Y는 히스토그램 H1이 갖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임)가 검출된다. 검출된 위치 정보가 CPU(10)에 대하여 공급된다. CPU(10)는, 공급된 위치 정보 (X, Y)의 X에 대응하는 제1 휘도 레벨인 휘도 레벨 D (S)를 산출한다. 산출된 휘도 레벨 D(S)가 CPU(10)가 갖는 RAM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시점이 설정되면,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 6에 도시하는 종점 설정 모드로 천이한다. 종점 설정 모드에서는, 조작 영역(25)에 「히스토그램 상으로부터 종점을 선택하여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30)가 표시된다. 유저는, 히스토그램 H1 상의 임의인 점을 눌러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하는 범위의 종점의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히스토그램 H1에서 휘도 레벨이 집중되어 있는 영역의 우단의 근방을 손가락(29)으로 누름으로써 종점의 설정을 행한다.
종점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히스토그램 H1에 종점을 나타내는 점선이 표시된다. 이 때, 위치 검출부(21)에서, 유저의 손가락(29)이 지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X', Y')(단, X', Y'는 히스토그램 H1이 갖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임)가 검출된다. 검출된 위치 정보가 CPU(10)에 대하여 공급된다. CPU(10)는, 공급된 위치 정보 (X', Y')의 X'에 대응하는 제2 휘도 레벨인 휘도 레벨 D(E)(단, D(S)<D (E))를 산출한다. 산출된 휘도 레벨 D(E)가 CPU(10)가 갖는 RAM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히스토그램 H1에서 시점 및 종점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7에 도시하는 확인 모드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7에 도시하는 확인 모드 시의 화면에는, 히스토그램 H1을 사용하여 설정된 범위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여도 되는지의 여부의 메시지(33)가 표시된다. 또한, 메시지(33)에 대응하는 YES 키(31) 및 NO 키(32)도 더불어 표시된다. 이 때, NO 키(32)가 눌러진 경우에는, LCD(6)의 화면이 도 5에 도시하는 시점 설정 모드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물론, LCD(6)의 화면이 시점 설정 모드 이외의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여도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화면에서, YES 키(31)가 눌러지면, 감마 보정부(16d)에 기억되어 있는 감마 테이블을 CPU(10)가 재기입하여 룩업 테이블을 작성한다.
도 8은, 감마 테이블을 재기입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감마 보정부(16d)에 입력되는 신호(이하, 적당히, 입력 신호라고 함)의 입출력 특성이 선형인 것으로 하고 있다.
도 8의 A는, 감마 보정부(16d)에 기억되어 있는 감마 테이블 GT1을 도시한다. 감마 테이블 GT1에서 횡축의 입력은, 감마 보정부(16d)에 입력되는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에 대응한다. 또한, 종축의 출력은, 입력의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액정 구동 전압에 대응한다. 액정 구동 전압은, LCD(6)의 각 화소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의미한다.
감마 테이블 GT1은, 휘도 레벨과 액정 구동 전압의 관계가 선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휘도 레벨이 높아짐으로써 액정 구동 전압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액정 구동 전압이 커짐으로써, LCD(6)의 투과율이 커지게 되어, LCD(6)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 H1을 사용하여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범위가 지정되면,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감마 테이블 GT1이 감마 테이블 GT2에로 재기입된다. 감마 테이블 GT2에서는, 휘도 레벨 D(S) 및 휘도 레벨 D(E) 사이에서, 출력인 액정 구동 전압이 선형으로 변화된다. 휘도 레벨이 D(S)로 될 때까지는 액정 구동 전압이 0으로 되기 때문에, 화상 P1에서, 휘도 레벨이 D(S) 이하의 화소의 휘도 레벨은 모두 0으로 변경된다. 즉, 휘도 레벨 D(S)는,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소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대값으로 된다.
휘도 레벨이 D(E)까지 증가하면, 대응하는 액정 구동 전압은 최대로 된다. 최대의 액정 구동 전압은, 액정의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5V 정도로 된다. 이에 의해, 화상 P1에서, 휘도 레벨이 D(E) 이상의 화소의 휘도 레벨은 모두 255로 변경된다. 즉, 휘도 레벨 D(E)는,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대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소값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감마 테이블이 감마 테이블 GT1로부터 GT2로 재기입됨으로써, 지정된 휘도 레벨 D(S) 및 D(E)의 범위에서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재기입된 감마 테이블 GT2를 사용한 감마 보정이 화상 P1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감마 보정부(16d)로부터 소정의 액정 구동 전압이 출력된다. 출력된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서 LCD 구동 회로(5)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게이트선 구동 회로가 구동하고, 화상 P1이 절환되어 새로운 화상(제2 화상)이 LCD 모니터(6)에 표시된다. 이 때, 조작 영역(25)에 히스토그램 H1이 그대로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새롭게 표시된 화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LCD(6)의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확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를 설정하는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LCD(6)의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이 변화되면, 그것에 수반하여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도 변화된다. 다른 예에서는, 새롭게 표시된 화상(제3 화상)에 대응하는 감마 테이블을, 일단 설정된 범위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재설정하는 것이다.
도 9의 A는, 임의의 화상(제1 화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H2 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범위의 시점과 종점이 설정된 히스토그램의 일례를 도시한다. 히스토그램 H2에서는, 화상의 휘도 레벨이 80 내지 240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또한, 시점에 대응하는 제1 휘도 레벨의 일례로서 휘도 레벨 90이 설정되고, 종점에 대응하는 제2 휘도 레벨의 일례로서 휘도 레벨 230이 설정된 것으로 한다. 이 이외의 예의 설명에서는, 설정된 범위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하는 감마 보정이 행해지지 않고 화상 표시 영역(24)의 화상이 절환된 것으로 한다. 단, 화상 표시 영역(24)에 감마 보정이 행해진 화상(제2 화상)이 표시된 후에, 화상이 새로운 화상(제3 화상)으로 절환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휘도 레벨 90∼230의 범위에 대하여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된다. 한편, 해칭이 행해진 휘도 레벨 80∼90 및 230∼240의 범위는 흑색 붕괴 또는 백색 붕괴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그래프(34)는, 히스토그램 H2에 나타낸 각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화소수를 누적한 그래프이다. 또한, 그래프(34)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꺾은선의 표시를 간략화하고 있다. 그래프(34)에서, 횡축이 휘도 레벨을 나타내고, 종축은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누적 화소수를 나타낸다. 히스토그램 H2로부터 휘도 레벨이 80 이하인 화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응하는 화소의 누적 화소수는 0으로 된다. 또한, 휘도 레벨이 240 이상인 화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휘도 레벨 240에 대응하는 누적 화소수 N이 LCD(6)의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의 총 화소수에 대응한다.
CPU(10)는, 백색 붕괴 또는 흑색 붕괴하는 화소의 화소수를 산출한다. 여기서는, 백색 붕괴하는 휘도 레벨이 90 이하인 화소수를 H(S)로 한다. 또한, 휘도 레벨이 230 이하의 화소인 화소수를 H(E)로 한다. 도 10의 A의 그래프에서, 참조 부호 a로 나타내는 해칭이 행해진 영역이 흑색 붕괴하는 화소의 화소수 H(S)에 대응한다. 또한, 도 10의 B의 그래프에서, 참조 부호 b로 나타내는 영역이 백색 붕괴하는 화소의 화소수 (N-H(E))에 대응한다. 산출된 H(S) 및 H(E)가 CPU(10)가 갖는 RAM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히스토그램 H3은, LCD(6)의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이 새로운 화상(제3 화상)으로 변경된 것에 수반하여, 조작 영역(25)에 새롭게 표시된 히스토그램의 일례이다. 히스토그램 H3에서는, 휘도 레벨이 0 내지 220의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히스토그램 H3이 표시되면, 히스토그램 H3 상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범위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즉,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 R(S)과 휘도 레벨 R(E)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휘도 레벨 R(S) 및 R(E)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하는 그래프(35)는, 히스토그램 H3에 나타낸 각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화소수를 누적한 그래프이다. 처음에,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적 화소수 H(S)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이 판별된다. 판별된 휘도 레벨이 휘도 레벨 R(S)로 되어, 히스토그램 H3 상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범위의 시점에 대응하는 제3 휘도 레벨로 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누적 화소수 H(E)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 R(E)가 판별된다. 예를 들면, 누적 화소수가 0개부터 H(E)개까지 카운트되고, 카운트 후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이 판별된다. 이 판별된 휘도 레벨이 휘도 레벨 R(E)로 되어, 히스토그램 H3 상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범위의 종점에 대응하는 제4 휘도 레벨로 된다.
이 때, 제1 화상에서의 휘도 레벨 90 이하의 화소수와 제3 화상에서의 휘도 레벨 R(S) 이하의 화소수가 거의 동일해진다. 또한, 제1 화상에서의 휘도 레벨 230 이상의 화소수와 제3 화상에서의 휘도 레벨 R(E) 이상의 화소수가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LCD(6)에 새로운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라도, 흑색 붕괴 또는 백색 붕괴하는 화소수를 거의 동일하게 한 상태 그대로, 휘도 레벨 R(S) 및 휘도 레벨 R(E)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CD(6)에 새로운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라도, 유저는, 그 때마다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를 지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물론, 자동적으로 설정된 범위를 다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를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을 사용하여 설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D(6)에 휘도 레벨이 0으로부터 255로 서서히 변화되는 화상 P2가 표시되어 있었던 것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화상 P2가 직사각형의 영역(50∼63)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LCD(6)에서의 조작 영역(25)에는, 각종 조작 키(25a∼25e), 히스토그램 키(26) 및 화상 P2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H4가 표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히스토그램 키(26)가 눌러지면, 다이내믹 레인지 변경 모드로 인식되어,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 14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영역(25)에는 새롭게 고정 키(36), 연동 키(37), 에리어 지정 키(38)가 새롭게 표시된다. 고정 키(36)를 누르면, 히스토그램 H4를 접촉함으로써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를 설정하는 모드로 된다. 연동 키(37)를 누르면, 상술한 다른 예와 같이, 한번 설정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가 다른 화상에 대하여도 적용되는 모드로 된다. 에리어 지정 키(38)가 눌러지면 에리어 지정 모드로 되어,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 15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천이한다.
에리어 지정 모드로 되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영역(25)에 「에리어를 지정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39)가 표시된다. 유저는, 메시지 키(39)에 따라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에리어를 지정한다. 이 예 에서는, 유저가 화상 P2의 임의의 점을 누름으로써 에리어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 또는 흑에 가까운 에리어(57)∼에리어(63)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것으로 한다. 유저는, 에리어(57)∼에리어(63)를 포함하도록 참조 부호 a∼d로 나타내는 4점을 눌러 에리어 지정을 행한다. 본 예에서는, 4점을 지정하여 에리어 지정이 이루어지지만, 3점에 의해 에리어가 지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에리어 지정이 이루어지면, LCD(6)의 화면이 도 16에 도시하는 확인 모드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선(43)에 의해 지정된 에리어 가 명확하게 된다. 또한, 조작 영역(25)에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여도 괜찮겠습니가까?」라는 메시지(40)가 표시되고, 표시된 메시지(40)에 응답하기 위한 YES 키(41) 및 NO 키(42)가 표시된다. 이 때, NO 키(42)가 눌러졌을 때에는,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천이한다.
YES 키(41)가 눌러지면, 감마 보정부(16d)에 기억되어 있는 감마 테이블이 재기입되어 룩업 테이블이 작성된다. 그리고, 화상 P2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변경의 처리가 행해진다.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변경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CPU(10)는, 틀선 43에 의해 둘러싸인 에리어 내의 휘도 레벨의 최저값과 최대값을 산출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최저값으로서 휘도 레벨 0, 최대값으로서 휘도 레벨 100이 산출된 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산출된 휘도 레벨의 최저값과 최대값에 따라서 감마 테이블을 재기입한다.
도 17은, 감마 테이블을 재기입하는 처리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감마 보정부(16d)에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휘도 레벨(입력)에 대한 액정 구동 전압(출력)의 특성이 선형으로 되는 감마 테이블 GT3이 기억되어 있었던 것으로 한다. CPU(10)는, 이 감마 테이블 GT3을 도 17의 B에 도시하는 감마 테이블 GT4로 재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휘도 레벨의 최저값 0과 최대값 100 사이에서 액정 구동 전압이 선형으로 변화되도록 감마 테이블을 재기입한다.
이 때, 휘도 레벨 0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소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대값으로 된다. 또한, 휘도 레벨 100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 지의 최대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소값으로 된다. 감마 테이블이 감마 테이블 GT4로 재기입됨으로써 휘도 레벨이 0 내지 100의 범위에서의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감마 테이블 GT4를 사용한 감마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 도 18은, 감마 보정 처리 후에 화상 P2로 절환되어, LCD(6)에 표시되는 제4 화상의 일례인 화상 P3을 도시한다. 에리어 지정이 이루어진 에리어(57∼63)의 콘트라스트가 개선되어,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어 있다. 한편, 에리어(50∼56)에 해당하는 영역(도 18에서는, 참조 부호 64로 나타냄)은 모두 휘도 레벨이 255로 된다. 이와 같이, LCD(6)의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는 화상의 임의의 점을 누름으로써 에리어가 지정되고, 지정된 에리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촬상 장치(1)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설명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이다.
스텝 S1에서는, LCD(6)에 표시되는 히스토그램 키(26)가 선택되어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1에서, 히스토그램 키(26)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에서는, 다른 항목의 키가 선택되어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2에서, 다른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로 되돌아가서, 히스토그램 키(26)가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2에서, 다른 항목이 선택되어 눌러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 선택된 키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에서, 히스토그램 키(26)가 선택되어 눌러지면, 처리가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에서는, 히스토그램 키(26)가 눌러진 것이 CPU(10)에 의해 검지되어, 다이내믹 레인지 변경 모드가 선택된 것을 CPU(10)가 인식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에서는, 다이내믹 변경 모드에 따라서 LCD(6)에 표시되는 화면이 절환된다. 즉, 스텝 S5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2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 표시되고, LCD(6)의 화면이 시점 설정 모드로 천이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스텝 S6에서는, 유저에 의해 눌러진 위치가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에리어 내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에리어 내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7로 진행된다.
스텝 S7에서는, 초기 화면으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 키가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여기서, 되돌림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처리가 다시 스텝 S1로 되돌아가서, LCD(6)의 화면이 초기 화면으로 된다. 또한, 되돌림 키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6으로 되돌아가서, 유저에 의해 눌러진 위치가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에리어 내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6에서,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에리어 내가 눌러지면, 처리가 스텝 S8로 진행된다. 스텝 S8에서는, 스텝 S6에서 눌러진 위치에 기초하여 시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 D(S)가 산출된다. 예를 들면, 위치 검출부(21)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CPU(10)가 휘도 레벨 D(S)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9로 진행된다.
시점의 설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스텝 S9에서는, 화면이 종점 설정 모드로 절환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10으로 진행된다.
스텝 S10에서는, LCD(6) 상에서 눌러진 위치가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에리어 내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10에서, 눌러진 위치가 에리어 밖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1로 진행된다.
스텝 S11에서는, 되돌림 키가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되돌림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처리가 다시 스텝 S1에 되돌아가서, LCD(6)의 화면이 초기 화면으로 된다. 또한, 되돌림 키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으로 되돌아가서, 히스토그램의 에리어 내가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10에서, 히스토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에리어 내가 눌러지면, 처리가 스텝 S12로 진행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10에서 눌러진 위치에 기초하여 종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 D(E)가 산출된다. 예를 들면, 위치 검출부(21)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CPU(10)가 휘도 레벨 D(E)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에서는, LCD(6)의 화면이 확인 모드로 절환된다. 즉, 설정된 범위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YES 키 및 NO 키가 LCD(6)의 조작 영역(25)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14로 진행된다.
스텝 S14에서는, YES 키가 눌러져 다이내믹 레인지의 변경이 OK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NO 키가 눌러졌을 때에는 처리가 스텝 S6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히스토그램 상에서 시점과 종점의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여기서 스텝 S6이 아니라, 스텝 S1로 처리가 되돌아가도록 하여도 된다. YES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5로 진행된다.
스텝 S15에서는, 감마 보정부(16d)에 기억되어 있는 감마 테이블이 재기입되어, 룩업 테이블이 작성된다. 예를 들면, 설정된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 D(S) 및 휘도 레벨 D(E)의 범위에서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되도록 CPU(10)가 감마 테이블을 재기입한다. 감마 테이블이 재기입되면, 처리가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6에서는, 새롭게 설정된 감마 테이블을 사용하여 감마 보정부(16d)에서 감마 보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감마 보정이 행해진 화상 신호가 감마 보정부(16d)로부터 LCD용 구동 회로(5)에 대하여 공급된다. 계속해서, 처리가 스텝 S17로 진행된다.
스텝 S17에서는, LCD용 구동 회로(5)를 구성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게이트선 구동 회로가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동된다. 그리고, 화면이 절환되어,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된 화상이 LCD(6)에 표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히스토그램 상에서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시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을 고정으로 하고 종점에 대응하는 휘도 레벨만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의 일례로서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HDD, 반도체 메모리, 광 디스크 등에 기억(기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LCD에 한하지 않고,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의 다른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LCD(6)에서의 조작 키의 위치나 종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는 일례이며, 상술한 표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의 일례로서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막대 그래프 등의 다른 형식의 그래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각 처리를, 전용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방법 혹은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자기 기록 장치,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 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변경하는 범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범위에 따라서 계조 변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계조 변환 특성에 기초하여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 처리가 행해져, 표시부에 다이내믹 레인지가 변경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제1 휘도 레벨 및 상기 제1 휘도 레벨보다도 큰 제2 휘도 레벨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이 이루어져,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 스텝과,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휘도 레벨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소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대값이며,
    상기 제2 휘도 레벨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대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소값인 화상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상과 상이한 제3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제3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다른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다른 휘도 분포도에서, 제3 휘도 레벨 및 상기 제3 휘도 레벨보다 큰 제4 휘도 레벨을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더 갖고,
    상기 설정 스텝에서, 상기 제1 화상에서의 상기 제1 휘도 레벨 이하의 휘도 레벨을 갖는 화소의 화소수와, 상기 제3 화상에서의 상기 제3 휘도 레벨 이하의 휘도 레벨을 갖는 화소의 화소수가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되고,
    상기 제1 화상에서의 상기 제2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갖는 화소의 화소수와, 상기 제3 화상에서의 상기 제4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갖는 화소의 화소수가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되는 화상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3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이 이루어져, 제4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 스텝과,
    상기 제4 화상을 상기 제3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을 더 갖는 화상 표시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휘도 레벨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소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대값이며,
    상기 제4 휘도 레벨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대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소값인 화상 표시 방법.
  6.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제1 화상에서 임의의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 스텝과,
    상기 범위에서의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판별하는 판별 스텝과,
    상기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이 이루어져,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 스텝과,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과 절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레벨의 최소값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소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대값이며,
    상기 휘도 레벨의 최대값은, 표시 상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대값으로 변환되는 휘도 레벨의 최소값인 화상 표시 방법.
  8. 제1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선택되는 제1 휘도 레벨 및 상기 제1 휘도 레벨보다 큰 제2 휘도 레벨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상기 제1 휘도 레벨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과 절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 화상에서 설정된 범위의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상기 휘도 레벨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과 절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제1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의 휘도 레벨의 분포를 나타내는 휘도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휘도 분포도를 사용하여 선택되는 제1 휘도 레벨 및 상기 제1 휘도 레벨보다 큰 제2 휘도 레벨을 판별하는 휘도 레벨 판별부와,
    상기 제1 휘도 레벨 및 제2 휘도 레벨에 의해 규정되는 입출력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화상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하여, 제2 화상을 얻는 계조 보정부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제1 화상과 절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017392A 2006-02-21 2007-02-21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 KR20070083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3970A JP4325627B2 (ja) 2006-02-21 2006-02-21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撮像装置
JPJP-P-2006-00043970 2006-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430A true KR20070083430A (ko) 2007-08-24

Family

ID=3806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392A KR20070083430A (ko) 2006-02-21 2007-02-21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86355B2 (ko)
EP (1) EP1821523A3 (ko)
JP (1) JP4325627B2 (ko)
KR (1) KR20070083430A (ko)
CN (1) CN100576879C (ko)
TW (1) TW2007379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7237B2 (ja) * 2006-06-02 2012-08-08 ローム株式会社 画像処理回路、半導体装置、画像処理装置
JP4120844B2 (ja) * 2006-08-31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
JP4739256B2 (ja) * 2007-03-12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48642B1 (ko) * 2008-04-22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블랙 레벨 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영상기기
JP5063503B2 (ja) * 2008-06-20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543921B2 (en) 2009-04-30 2013-09-24 Apple Inc. Editing key-indexed geometries in media editing applications
US8244402B2 (en) * 2009-09-22 2012-08-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sual per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oid robot
US8934050B2 (en) 2010-05-27 2015-01-13 Canon Kabushiki Kaisha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exposure adjustment in an image capturing device
WO2012030869A2 (en) 2010-08-30 2012-03-08 Apple Inc. Multi-image face-based image processing
US8625021B2 (en) * 2010-08-30 2014-0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with region-based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US9584733B2 (en) * 2010-09-30 2017-02-28 Apple Inc. High dynamic range transition
US8611655B2 (en) 2011-02-04 2013-12-17 Apple Inc. Hue-based color matching
US8594426B2 (en) 2011-02-04 2013-11-26 Apple Inc. Color matching using color segmentation
US8842911B2 (en) 2011-02-04 2014-09-23 Apple Inc. Luma-based color matching
JP2013055567A (ja) * 2011-09-06 2013-03-2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6478654B2 (ja) * 2015-01-23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700096B (zh) * 2015-03-30 2018-07-1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用户动作标识区域确定方法及装置
JP6635578B2 (ja) * 2015-08-06 2020-01-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撮像装置およびビューファインダ
JP2017139678A (ja) * 2016-02-05 2017-08-1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画像データ変換装置、画像データ変換方法、画像データ変換用プログラム、pos端末装置、及びサーバ
US10432849B2 (en) 2016-04-22 2019-10-01 Ebay Inc. Image modification based on objects of interest
JP6789760B2 (ja) * 2016-10-31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789810B2 (ja) * 2016-12-28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8152809A (ja) * 2017-03-15 2018-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0741131B2 (en) 2017-05-19 2020-08-1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449454B1 (ko) * 2017-12-11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계조 확장이 가능한 표시 장치
JP7129813B2 (ja) 2018-04-24 2022-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7273642B2 (ja) * 2019-07-22 202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954436B (zh) * 2019-11-26 2023-04-25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图像画质调节方法、装置和视频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8782C2 (de) 1993-05-21 1997-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System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Farbbildes
JPH0738801A (ja) 1993-07-21 1995-02-07 Sony Corp 撮像装置
US7039876B2 (en) 1997-10-06 2006-05-02 Canon Kabushiki Kaisha User interface for image acquisition devices
JPH11266384A (ja) * 1998-03-18 1999-09-2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4292679B2 (ja) 1999-05-10 2009-07-0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20060274164A1 (en) * 1999-08-17 2006-12-07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input apparatus, image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JP2001126075A (ja) * 1999-08-17 2001-05-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4402268B2 (ja) 2000-07-14 2010-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419999B1 (ko) * 2001-04-26 2004-03-02 주식회사 인피니트테크놀로지 볼륨 렌더링 영상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WO2002100093A1 (fr) 2001-05-31 2002-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
US7006688B2 (en) * 2001-07-05 2006-02-28 Corel Corporation Histogram adjustment features for use in imaging technologies
GB2377333A (en) * 2001-07-07 2003-01-08 Sharp Kk Segmenting a pixellated image into foreground and background regions
US7084917B2 (en) * 2001-07-18 2006-08-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for calculating a histogram of image data and its control method
JP3948229B2 (ja) * 2001-08-01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像装置及び方法
JP3646931B2 (ja) 2001-08-29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メージレタッチプログラム
JP3530908B2 (ja) 2002-02-18 2004-05-24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装置
US7221807B2 (en) * 2002-03-29 2007-05-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image characteristic adjustment using a neural network
US7271838B2 (en) * 2002-05-08 2007-09-18 Olympus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brightness distribution chart display capability
JP2004282229A (ja) * 2003-03-13 2004-10-07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4143549B2 (ja) * 2004-01-28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7432917B2 (en) * 2004-06-16 2008-10-07 Microsoft Corporation Calibration of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KR20060081536A (ko) * 2005-01-10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rgb 정보를 이용한 블랙/화이트 스트레칭 시스템
US20080123953A1 (en) * 2006-11-29 2008-05-29 Gateway Inc. Digital camera with histogram zoom
US7835588B2 (en) * 2006-11-29 2010-11-16 Nokia Corporation Contrast optimization of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6355B2 (en) 2011-07-26
CN100576879C (zh) 2009-12-30
JP2007228048A (ja) 2007-09-06
EP1821523A3 (en) 2011-03-23
EP1821523A2 (en) 2007-08-22
CN101060587A (zh) 2007-10-24
JP4325627B2 (ja) 2009-09-02
TW200737944A (en) 2007-10-01
TWI377835B (ko) 2012-11-21
US20070206108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5627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撮像装置
JP4403397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装置
CN100477733C (zh) 显示装置
JP2009290817A (ja)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制御方法
JP2006115139A (ja) 画像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133524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5611600B2 (ja) 電子機器
US9137506B2 (en) User interface (UI) provid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10102632A1 (en) Image pick-up apparatus, white balance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1075701A (ja) 情報機器、画像情報機器、及び情報表示方法
JP2013149234A (ja) 電子機器
JPWO2014027559A1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3084084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90185047A1 (en) Imaging apparatus, function control method, and function control program
JP2009200857A (ja) 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295247A (zh) 图像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
JP6688086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132081B2 (ja) 表示装置
JP6590560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20913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43635B2 (ja) 表示部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WO2023236148A1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显示设备及存储介质
JP2007295262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49468A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07159014A (ja) 携帯機器及び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