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196A -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196A
KR20070083196A KR1020070016620A KR20070016620A KR20070083196A KR 20070083196 A KR20070083196 A KR 20070083196A KR 1020070016620 A KR1020070016620 A KR 1020070016620A KR 20070016620 A KR20070016620 A KR 20070016620A KR 20070083196 A KR20070083196 A KR 2007008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oller
conveying roller
sheet
recor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067B1 (ko
Inventor
šœ야 스노우찌
하루오 우찌다
히로유끼 사이또오
노리유끼 스기야마
겐따로오 오오누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76Construction of rollers; B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반송 롤러(40)의 양측 에지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면(38a, 38b)을 갖는 한 쌍의 베어링(38)과, 두 개의 면(38a, 38b)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방향에서 반송 롤러(40)를 가압하는 종동 롤러(42)와, 또한 두 개의 면(38a, 38b)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점의 방향에서 반송 롤러(40)를 가압하는 중간 베어링(47)을 갖는다.
기록 장치, 반송 롤러,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종동 롤러, 중간 베어링

Description

기록 장치 {RECORD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기록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하류 반송 롤러 주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하류 반송 롤러와 하류 반송 롤러의 베어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하류 반송 롤러의 베어링 부분의 상세를 도시하고, 가압 방향과 위치 제한 방향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류 반송 롤러 주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종래의 기록 장치에서 토출 롤러와 토출 롤러의 베어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트 급송부
3 : 시트 송출부
4 : 시트 배출부
5 : 기록부
6 : 회복 처리부
8 : 유턴 반송부
36 : 상류 반송 롤러
40, 41 : 하류 반송 롤러
42 : 종동 롤러
50 : 캐리지
본 발명은 기록부를 통해 반송되는 기록 시트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와 반송 롤러의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는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종이, 천, 플라스틱 시트, OHP 시트 등과 같은 기록 시트에 화상(문자, 기호 등을 포함함)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기록 장치에서의 주사 시스템에는 시리얼 타입과 라인 타입이 있다. 시리얼 타입은 기록 헤드를 기록 시트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주주사와 기록 시트를 소정의 피치로 반송하기 위한 부주사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화상이 기록되는 방식이다. 라인 타입은 일괄하여 1 라인 분의 화상을 기록하면서 기록 시트의 반송(부주사)에 의해서만 화상이 기록되는 방식이다.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의 종류에 따라서 잉크 제트 타입, 열전사식, 레이저 비임식, 감열식, 와이어 도트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기록 장치에서 특히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서, 출력 화상의 화질이 향상되었으며, 높은 화질을 실현하기 위한 기록 동작에 관해 필요한 정밀도가 점점 향상되고 있다. 예컨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화상의 화질 향상의 한 수단이 화상에 토출된 잉크의 도트의 입상감을 감소시키도록 도트 당 잉크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기록 시트 상의 각각의 도트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채용된다.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면, 도트들이 중첩되어야만 하는 상태가 도트들이 중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도트의 도달 위치가 조금이라도 변하면 중첩되지 않는 상태(또는 중첩되어서는 안 되는 영역이 중첩된 상태)가 나타나며 이 영역의 농도나 색조가 어긋나게 된다. 이러한 농도나 색조에서의 어긋남의 흰 줄, 검은 줄, 또는 불균일한 색이 되어 화질의 열화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도트들 사이의 위치 편차는 수십 ㎛에서 수 ㎛의 수준이다. 이러한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 요청된다.
화질의 향상에 관한 하나의 중요한 기구는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기록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기구에 있어서는,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첫째로, 반송 롤러의 편심, 원통도, 및 직경 공차와 기어의 등급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반송량이 모터 또는 기어의 정수 배의 회전량과 일치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것은 모터의 정지 오차와 기어의 편심 정밀도 성 분을 서로 상쇄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에 대한 이론적인 회전량(반송면 이동량)의 정밀도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만, 반송 롤러의 위치의 규제에 대한 대책은 불충분했다. 기록 헤드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반송 롤러(예를 들면 소위 토출 롤러)에서는, 특히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 및 대책이 불충분하다. 도8은 종래의 기록 장치의 일반적인 반송 롤러와 그 베어링을 토출 롤러의 예를 들어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에는, 토출 롤러(1001), 토출 롤러의 베어링(1002), 종동 롤러(1003)가 있다. 종동 롤러(1003)는 기록 시트의 반송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토출 롤러(1001)에 Fs의 힘으로 가압된다.
베어링(1002) 내의 토출 롤러(1001)의 헐거움은 종동 롤러(1003)의 가압력 Fs 때문에 상기 롤러가 도면의 하측 방향에서 어긋하도록 야기한다. 토출 롤러(1001)와 베어링(1002) 모두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따라서, 장치는 유극이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며 토출 롤러(1001)는 베어링(1002)의 내측 외주에 화살표 Y와 Y'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쉽게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외란에 기인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면, 토출 롤러(1001)는 이동되기 쉬우며 그 위치는 고정되기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롤러의 위치가 고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록 시트의 반송 정밀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기록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고 있는 반송 롤러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 시트가 반송 롤러에 의해서만 반송될 때 또는 기록 시트의 후방 에지가 기록 헤드의 상류 측에 배열될 때, 반송 롤러의 이동이 억제되어 기록 시트가 높은 정밀도로 반송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상부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지시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의 실시예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기록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1, 도2, 및 도3은 기록 장치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인 경우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1, 도2, 및 도3에서, 기록 장치는 시트 급송부(2)와, 시트 송출부(3)와, 시트 배출부(4)와, 기록부(5)와, 회복 처리부(6)와, 유턴(U-turn) 반송부(8)를 갖는다. 기록부(5)는 기록 매체가 주사되면서 화상이 캐리지(50) 상에 장착된 왕복 이동식으로 이동가능한 기록 헤드(7)에 의해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될 것과 같이 개폐될 수 있는 시트 급송 트레이와 시트 배출 트레이가 장치의 외부 장착부에 대해 제공된다.
첫번째로, 시트 급송부(2)가 설명될 것이다. 시트 급송부(2)는 기록 시트가 적층되는 가압판(21)과, 기록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롤러(28)와, 기록 시트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롤러(241) 등을 본체(20)에 부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가압판(21)에 적층된 각각의 기록 시트의 후방 에지 측을 보유하기 위한 시트 급송 트레이(26)가 장치의 후방부의 외부 장착부에 부착된다. 급송 롤러(28)는 원의 일부를 절결함에 의해 얻어진 형상에서 원호 형상의 롤러이다. 분리 롤러(241)는 기록 시트의 측면 에지 위치를 제한하도록 기준면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급송 롤러(28)는 회복 처리부(6)와 통상 사용되는 모터(69)에 의해 구동된다. 급송 롤러(28)의 속도 제어는 회전 속도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PWM 값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록 시트의 적층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이동식 측면 안내부(23)가 가압면(21)에 활주식으로 부착된다. 가압판(21)은 본체(20)를 위해 제공된, 회전 중심으로서의 축방향 코어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고 가압판 스프링(212)에 의해 급송 롤러(28)로 가압된다. 기록 시트의 중복 급송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시트(213)는 급송 롤러를 대면하는 가압판(21)의 위치에 제공된다. 분리 시트는 큰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가압판(21)은 가압판 캠(미도시됨)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급송 롤러(28)에 접촉되고 이격된다.
기록 시트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 롤러(241)를 갖는 분리 롤러 홀더(24)가 본체(20)에 부착된다. 분리 롤러 홀더는 본체(20)에 마련된 회전축 둘레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분리 롤러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급송 롤러(28)에 가압된다. 분리 롤러(241)는 클러치 스프링(토크 제한기)를 통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소정의 값 또는 그 이상의 하중 토크가 작용될 때, 분리 롤러(241)는 회전한다. 분리 롤러는 급송 롤러와 접촉하도록 그리고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가압판(21), 분리 롤러(241) 등의 위치는 ASF(Automatic Sheet Feeder: 자동 시트 급송기) 센서(29)에 의해 검출된다.
지금부터 시트 송출부(3)가 설명된다. 기록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상류 반송 롤러(36)와 PE(paper edge; 용지 에지) 센서(32)가 시트 송출부(3)를 위해 제공된다. 상류 반송 롤러(36)는 금속 축의 표면이 세라믹의 미세 입자로 코팅되는 롤러이다. 상류 반송 롤러(36)는 새시(11)에 마련된 베어링(38)에 의해 양단부에서 금속 축부분 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복수의 핀치 롤러(37)는 종동 회전되도록 상류 반송 롤러(36)와 접촉하게 된다. 각각의 핀치 롤러(37)는 상류 반송 롤러(36)와 종동 회전하는 로터이다. 핀치 롤러(37)는 핀치 롤러 홀더(30)에 의해 보유된다. 핀치 롤러(37)가 핀치 롤러 스프링(31)에 의해 상류 반송 롤러(36)로 가압될 때, 반송력이 발생된다.
상류 반송 롤러(36)의 축에 대해 풀리(361)가 마련된다. 상류 반송 롤러(36)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반송 모터의 회전력을 풀리(361)로 전달함에 의해 구동된다. 반송량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 휠(362)이 상류 반송 롤러(36)의 축에 대해 제공된다. 본 코드 휠의 마킹이 인접부에 부착된 엔코더 센서(363)에 의해 판독되어서 반송량이 검출된다. 기록 시트는 상류 반송 롤러(36)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될 기록부(5)를 통해 정확히 반송될 수 있다. 기록 헤드(7)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기록과 기록 시트의 반송을 교대로 반복함에 의해 화상은 전체 기록 시트 상에 기록된다.
지금부터 기록부(5)가 설명된다.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 시트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헤드(7)가 상류 반송 롤러(36)의 반송 방향에서 하류 측에 구성된 기록부를 위해 제공된다. 기록 헤드(7)는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서 왕복 이동가능한 캐리지(50)가 장착된다. 실시예의 기록 헤드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이다. 도4는 도2에서 캐리지(50)에 장착된 기록 헤드(7)의 사시도이다. 도4에서, 기록 헤드(7)는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를 갖는 잉크 토출부를 갖는다. 토출구의 배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토출구열이 형성된 토출면이 잉크 토출부에 형성된다. 각 색의 잉크 탱크(70)가 잉크 토출구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된다. 잉크 토출부는 예컨대, 히터에 의해 열에너지가 잉크 토출구의 잉크에 가해지고 잉크는 열에 의해 막비등되는(film-boiled) 전기 열 변환 시스템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잉크 방울은 이 막비등에 의해 형성된 기포 성장 또는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변화에 의해 기록 헤드(7)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의 토출구로부터 잉크 방울을 선택적으로 토출함으로써, 화상은 기록 시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캐리지(50)는 안내 샤프트(52) 및 안내 레일(53)을 따라 기록 시트의 폭방향에서 왕복 이동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지지된다. 안내 샤프트(52)는 새시(11)에 부착된다. 안내 레일(53)은 새시와 일체로 형성된다. 캐리지(50)는 모터 풀리와 아이들(idle) 풀리(542) 사이에 설치된 타이밍 벨트(541)를 통해 캐리지 모터(54)에 의해 구동된다. 코드 스트립(561)은 안내 샤프트(52)와 평행하게 마련된다. 코드 스트립(561)에는 예컨대 150 lpi 내지 300 lpi의 피치로 마킹이 형성된다. 캐리지(50)에 장착된 엔코더 센서에 의해 마킹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50)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기록 헤드(7)에 헤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기판(57)이 캐리지(50)에 마련된다. 기록부(5)에서, 기록 시트는 상류 반송 롤러(36) 및 핀치 롤러(37)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를 통해 반송된다. 캐리지(50)를 기록 시트를 향해 이동시킴에 의해,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일 라인 분의 화상이 기록 헤드(7)에 의해 기록된다. 반송 동작과 일 라인 분의 화상의 기록을 교대로 반복함에 의해 화상은 전체 기록 시트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시트 배출부(4)가 설명된다. 시트 배출부(4)는 두 개의 하류 반송 롤러(40, 41)를 갖는다. 이러한 하류 반송 롤러는 기어 열 등을 통해 상류 반송 롤러(36)와 연결되며 상류 반송 롤러(36)와 동기적으로 구동된다. 종동 롤러(42)는 각각의 하류 반송 롤러로 가압되어서 롤러는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류 반송 롤러(40, 41)는 플래튼(platen, 34)에 부착된다. 상류 반송 롤러(36)의 구동력은 제1 하류 반송 롤러(40)로 전달되고, 제1 하류 반송 롤러(40)의 구동력은 아이들 기어를 통해 제2 하류 반송 롤러(41)로 전달된다. 하류 반송 롤러(40, 41)와 종동 회전하는 각각의 종동 롤러(42)는 외주 둘레에 복수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SUS 등으로 만들어진 박판을 수지부와 일체식으로 성형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종동 롤러(42)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축에 의해 종동 롤러 홀더(43)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종동 롤러(42)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40, 41)에 가압된다. 기록된 시트는 닙부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40, 41)와 종동 롤러(42) 사이에 개재되고 반송되어 장치 주요 본체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회복 처리부(6)가 설명된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의 토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잉크 토출 성능을 유지 회복 하기 위해서 회복 처리부(6)를 구비한다. 회복 처리부(6)는 흡입 펌프(60)와, 캡(61)과, 와이퍼(62)를 갖는다. 캡(61)은 기록 헤드(7)의 토출면에 밀착되어서 토출구를 덮어서 기록 헤드 내의 잉크 건조를 감소시킨다. 흡입 펌프(60)는 토출구가 캡(61)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흡입하고 토출구 내의 잉크를 재생한다. 와이퍼(62)는 기록 헤드의 토출면을 닦고 청소한다. 흡입 펌프(60)로서는, 피스톤 실린더형의 펌프 이외에, 튜브 내에 발생된 부압을 토출구 등에 작용하도록 하는 소위 튜브 펌프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유턴 반송부(8)가 설명된다. 양면 인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턴 반송 경로가 유턴 반송부(8)에 대해 제공된다. 장치 주요 본체의 하부의 전방 측 부근의 위치에는 기록 시트가 수납되는 시트 급송 카세트(81)가 부착된다. 적층된 기록 시트가 급송 롤러(821)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판이 시트 급송 카세트(81) 내에 제공된다. 기록 시트의 가장 윗 장은 분리되어 급송 롤러(821), 분리 롤러(831) 및 분리된 시트의 협동에 의해 유턴 반송 경로로 반송된다. 기록 시트는 유턴 반송 경로 상의 두 지점에 마련된 제1 및 제2 중간 롤러(86, 87)에 의해 그리고 중간 롤러(86, 87)에 가압된 핀치 롤러(861, 871)에 의해 기록부(5)를 향해 반송된다.
시트 급송부(2)와 유턴 반송부(8)의 반송 경로의 합류점에 전환 플래퍼(883) 가 배열된다. 유턴 급송부(8)로부터의 기록 시트는 상하가 바뀐 후 전환 플래퍼(883)를 통해 상류 반송 롤러(36)와 핀치 롤러(37) 사이의 부분에 급송된다. 이어지는 작동은 시트 급송부(2)로부터 급송되는 기록 시트의 동작과 대체로 같다. 즉, 기록 시트는 시트 송출부(3)로 반송되며, 화상은 기록부(5)에 의해 기록 시트 상에 기록되며, 상기 시트는 시트 배출부(4)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류 반송 롤러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하류 반송 롤러와 그 베어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하류 반송 롤러의 베어링 부분의 상세를 도시하고, 가압 방향과 위치 제한 방향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송 롤러의 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구성 및 동작이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된다. 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반송 롤러가 하류 반송 롤러(40)인 경우가 지금부터 예시로서 설명된다. 즉, 하류 반송 롤러(40)의 위치를 안정화시킴으로써, 하류 반송 롤러(40)의 이동에 기인하는 기록 시트의 반송량의 오차의 발생이 방지된다. 하류 반송 롤러(40)의 이동은 예컨대, 기록 시트의 후방 에지가 상류 반송 롤러(36)로부터 빠질 때나, 기록 시트가 하류 반송 롤러(40, 41)에 의해서만 반송될 때 발생하기 쉽다.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류 반송 롤러(40)의 양측 에지는 베어링(38)에 의해 지지된다. 두 베어링(38)들 사이(내측)에는 하류 반송 롤러(4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는 보어면을 갖는 중간 베어링(47)이 제공된다. 하류 반송 롤러(40)의 일단부는 새시(11) 및 부싱(49)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부는 새시(11)에 끼워 맞춰져 서 부착된 플래튼(34)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하류 반송 롤러(40)의 양측 에지가 새시(11)와 플래튼(34)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축방향으로 배출 롤러(40)를 지지하는 중간 베어링(47)의 보어부는 원 형상이며, 하류 반송 롤러(40)의 외측 직경과 중간 베어링(47)의 보어(내측 직경)는 하류 반송 롤러(40)의 외측 직경과 중간 베어링(47)이 10 내지 90 ㎛ 사이의 유극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끼워 맞춤 되도록 설치된다.
중간 베어링(47)의 위치는 두 개의 베어링(38)들 사이의 영역 내이며, 반송될 수 있는 기록 시트의 최대 폭의 외측에 놓여있는 한 임의의 바람직한 위치로 선택될 수 있다. U자 단면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부분이 새시(11)의 전면에 제공된다. 새시(11)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판금으로 만들어진 다른 부품으로서의 전방 새시(12)가 하류 반송 롤러(40)와 평행한 전면에 제공된다. 도6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베어링(47)은 중간 베어링 스프링(4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중간 베어링 스프링(48)의 일단부에서, 상기 스프링(48)은 중간 베어링(47)의 후크 형상부에 걸려서 보유된다.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48)은 전방 새시(12)의 후크 형상부에 걸려서 보유된다. 따라서, 하류 반송 롤러(40)는 중간 베어링(47)의 원형 베어링 면의 상부에 압접하게 되며 하부에서는 필요한 헐거움이 발생한다.
도5는 하류 반송 롤러(40)의 양단부에서의 베어링(38)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동 롤러(42)는 스프링들(44)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로 각각 가압된다. 종동 롤러(41)는 스프링(44)을 통해 종동 롤러 홀더(43)에 부착된다. 도5에서, 하류 반송 롤러(40)상에는 종동 롤러(42)의 가압력과 중간 베어링 스프링(48)에 의한 중간 베어링(47)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두 개의 종동 롤러(42)들이 홀더(43)의 일 위치에서 종동 롤러 부착부에 부착된다. 두 개의 종동 롤러(42)들을 가압하는 스프링(44)의 힘은 예컨대 30 내지 60gf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하류 반송 롤러(40)에 의해 가압되는 복수의 종동 롤러(42)들의 가압력의 총합이 예컨대, 300 내지 600gf가 된다. 한편, 중간 베어링 스프링(48)에 의해 중간 베어링(47)으로부터 하류 반송 롤러(40)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예컨대 200 내지 400gf로 설정된다.
하류 반송 롤러(40)에 의해 얻어진 반송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프링(44)의 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프링(44)의 힘을 너무 강하게 설정되면, 종동 롤러(42)의 선단 에지의 돌출부가 긁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 반송 롤러(40)에 대한 종동 롤러(42)의 가압력이 기록 시트를 긁힘이 없이 반송하기 위해 총합이 300 내지 600gf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종동 롤러(42)의 가압력 만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하류 반송 롤러(40)의 위치를 규제하는데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 롤러(42)에 의한 가압력을 보완하기 위해, 전술한 중간 베어링(47)의 가압력을 배출 롤러(40)에 작용시키는 구성이 사용된다.
하류 반송 롤러(40)의 단부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8) 쌍의 각각은 하류 반송 롤러(40)의 원주 상의 두 개의 점(40a, 40b) 또는 영역과 접하는 하류 반송 롤러(40)를 지지하기 위한 2 개의 면(38a, 38b)을 갖는다. 두 개의 접 촉점(40a, 40b)을 연결하는 선분의 이등분선(40c)의 방향은 스프링(44)에 의해 종동 롤러(42)가 하류 반송 롤러(40)를 가압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즉, 하류 반송 롤러(40)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평면(38a, 38b)이 베어링(38)의 보어 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 평면(38a, 38b)은 베어링(38)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평면(38a, 38b)의 중심 위치에서의 수선들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8)의 중심을 통과한다.
두 개의 평면(38a, 38b)은 45도 내지 135도의 사이 각을 갖도록 배열된다. 하류 반송 롤러(40)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이등분선(40c)은 종동 롤러(42)의 가압 방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40)가 베어링(38)으로부터 부상하지 않는 한, 하류 반송 롤러(40)의 위치는 반송 방향(도5에서 화살표 Y 및 Y'에 의해 도시된 방향)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중간 베어링(47)은 중간 베어링 스프링(48)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40)를 상기 베어링(38)의 두 개의 평면(38a, 38b)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점의 방향에서 하류 반송 롤러(40)를 가압한다.
중간 베어링(47)은 외주면에서 플래튼(34)과 끼워 맞춰지며 위치가 하류 반송 롤러(40)의 반송 방향에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베어링(47)이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류 반송 롤러(40)에 가압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 대신에 예컨대, 비틀림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다른 편향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 방향에서의 하류 반송 롤러(40)의 위치를 안 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시트의 후방 에지가 상류 반송 롤러(36)로부터 빠질 때 또는 기록 시트가 하류 반송 롤러(40, 41)에 의해서만 반송될 때의 하류 반송 롤러(40)의 반송 방향에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베어링에 대한 하류 반송 롤러의 이동에 기인한 기록 시트의 반송량의 오차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양호하고 안정된 화상이 기록될 수 있다. 특히,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인 경우에, 미세한 잉크 방울의 도달 정밀도를 향상시켜, 도트 위치의 이탈에 기인한 농도나 색의 편차를 방지함으로써 기록 화상의 화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류 반송 롤러(40)의 구조가 예를 들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류 반송 롤러(36)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으며 유사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류 반송 롤러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에서, 중간 베어링(47)의 보어면은 하류 반송 롤러(40)의 원주 상의 두 지점(47d, 47e)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점(40d, 40e)은 하류 반송 롤러(4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는 중간 베어링(47)의 평면(47a, 47b)의 중간점이 되도록 선택된다. 두 개의 접촉점(40d, 40e)을 연결하는 선분의 이등분선(40f)의 방향은 베어링(38)과 접촉하게 되는 하류 반송 롤러(40)의 두 개의 점(40a, 40b)을 연결하는 선분의 이등분선과 일치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류 반송 롤러(40)의 중간부에서 기록 시트에 의한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도 방지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하류 반송 롤러의 이동은 방지될 수 있으며, 기록 화상의 화질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주는 모든 변경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베어링에 대한 하류 반송 롤러의 이동에 기인한 기록 시트의 반송량의 오차의 발생을 방지함에 의해 양호하고, 안정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특히,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인 경우에, 미세한 잉크 방울의 도달 정밀도를 향상시킴에 의해, 도트 위치의 이탈에 기인한 농도나 색의 편차를 방지함으로써 기록 화상의 화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하고 있는 기록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한 쌍의 제1 베어링으로서, 각각의 제1 베어링은 상기 반송 롤러를 접촉 지지하며 축방향으로 롤러를 따라 이격되는 두 개의 면을 갖는 한 쌍의 제1 베어링과,
    두 개의 면을 향해 제1 방향에서 반송 롤러를 가압하는 편향 수단과,
    상기 한 쌍의 제1 베어링들 사이에 배치되어 반송 롤러를 지지하는 중간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베어링도 반송 롤러를 상기 제1 방향에서 또한 편향시키는,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 헤드와 플래튼을 더 포함하며, 플래튼은 기록 헤드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기록 시트를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중간 베어링은 기록 시트 반송 방향에서 플래튼에 대해 위치설정되는,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베어링은 반송 가능한 기록 시트의 최대폭보다 외측에 배열되는,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반송 롤러를 지지하는 중간 베어링의 보어면은 원형인,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베어링은 반송 롤러를 두 개의 면에 의해 지지하는,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중간 베어링의 상기 두 개의 면과 접촉하게 되는 반송 롤러의 두 점의 이등분선은 각각의 제1 베어링의 두 개의 면과 접촉하게 되는 반송 롤러의 두 지점의 이등분선과 대체로 평행한,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기록 헤드를 포함하며, 반송 롤러는 기록 시트의 반송 방향에서 기록 헤드의 하류 측에 배열되는 롤러인,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록 헤드를 포함하며, 반송 롤러는 기록 시트의 반송 방향에서 기록 헤드의 상류 측에 배열되는 롤러인,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기록 헤드는 잉크를 토출해서 기록을 하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인 기록 시트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KR1020070016620A 2006-02-20 2007-02-16 기록 장치 KR10091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2228 2006-02-20
JP2006042228 2006-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196A true KR20070083196A (ko) 2007-08-23
KR100919067B1 KR100919067B1 (ko) 2009-09-28

Family

ID=3805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620A KR100919067B1 (ko) 2006-02-20 2007-02-16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235521B2 (ko)
EP (1) EP1820656B1 (ko)
KR (1) KR100919067B1 (ko)
CN (1) CN100537254C (ko)
DE (1) DE60200700607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8564A1 (en) * 2009-09-22 2011-03-23 Mutoh Belgium NV Printer and cutter frame
JP6528738B2 (ja) * 2016-07-14 2019-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ローラー支持機構、及びローラー支持機構を備える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6664541B2 (ja) * 2017-09-29 2020-03-13 サンコール株式会社 軸受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6605A (en) * 1933-10-10 1935-04-05 Wanderer Werke Paper feeding device for typewriters, calculating machines or similar office machines
US5186448A (en) * 1987-02-17 1993-02-1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H05270084A (ja) * 1992-03-24 1993-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タ
JP3119754B2 (ja) * 1992-12-24 2000-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7219407A (ja) * 1994-01-31 1995-08-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99739A (ja) * 1994-10-03 1996-04-16 Canon Inc シート搬送機構及び該搬送機構を用いた画像記録読取装置
JPH08174944A (ja) * 1994-12-27 1996-07-09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3466919B2 (ja) * 1998-05-29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US6382857B1 (en) * 1998-08-27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Bearing mechanism and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6390700B1 (en) * 2000-07-11 2002-05-21 Lexmark International, Inc Absolute location low wear bearing for an imaging apparatus
JP2002284389A (ja) * 2001-03-23 2002-10-03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877738B2 (en) * 2001-05-10 2005-04-1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material feed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4027166B2 (ja) * 2002-06-25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4331351A (ja) * 2003-05-09 2004-11-25 Funai Electric Co Ltd 用紙送り装置
US7712740B2 (en) * 2005-11-08 2010-05-11 Lexmark International, Inc. Exit shaft dampening device to improve print quality
JP4760402B2 (ja) * 2006-01-30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0656A3 (en) 2008-06-25
US8235521B2 (en) 2012-08-07
US8896644B2 (en) 2014-11-25
CN100537254C (zh) 2009-09-09
EP1820656B1 (en) 2010-04-28
CN101024349A (zh) 2007-08-29
DE602007006074D1 (de) 2010-06-10
KR100919067B1 (ko) 2009-09-28
US20120268542A1 (en) 2012-10-25
US20070195149A1 (en) 2007-08-23
EP1820656A2 (en)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7300B2 (ja) 記録装置
JP4386202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5111248B2 (ja) 記録装置
JP4764073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US20020057301A1 (en) Recording apparatus
JP4260066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57888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8007100B2 (en) Recording apparatus
US20130176363A1 (en) Liquid droplet ejecting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66536B2 (en) Ink jet device with movable platen
JP3762228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00919067B1 (ko) 기록 장치
US20080031671A1 (en) Recording apparatus
JP3684159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EP1201448A2 (en) Recording apparatus
US6793303B2 (en) Recording apparatus
JPH117947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07236B2 (ja) 記録装置
JP4701157B2 (ja) 記録装置
JP369707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5043327B2 (ja) 記録装置
JP2006347119A (ja) 記録装置
JP20062243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13993A (ja) 記録装置
JPH08318655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