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002A -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 Google Patents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002A
KR20070074002A KR1020077014498A KR20077014498A KR20070074002A KR 20070074002 A KR20070074002 A KR 20070074002A KR 1020077014498 A KR1020077014498 A KR 1020077014498A KR 20077014498 A KR20077014498 A KR 20077014498A KR 20070074002 A KR20070074002 A KR 2007007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amino acid
body temperature
group
isoleu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930B1 (ko
Inventor
다카시 아베
하지메 츠노오
마사유키 우치다
다카에 와카바야시
히로시 츠치타
Original Assignee
리가가쿠 겐큐쇼
다카시 아베
메이지 데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가가쿠 겐큐쇼, 다카시 아베, 메이지 데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가가쿠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7007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2Imidazole-alkanecarboxylic acid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만으로 이루어진 군을 일군으로 하여, 체온 상승성 효과를 확인하고, 이 일군에는 카르니틴 또는/및 트립토판을 가하여도 동일한 체온 상승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이들을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제제는 우수한 체온 상승 작용을 가지며, 이에 따라 체지방 축적 저하 작용, 냉한 체질의 개선 작용, 차가워진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작용 등을 갖고 있다.
체온 상승성, 의료용 제제

Description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BODY TEMPERATURE-RAISING AGENT OF AMINO ACIDS FOR MEDICAL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표 1의 16종 아미노산)을 각 용량 래트에게 투여한 경우의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표 1의 16종 아미노산)을 각 용량 래트에게 투여한 경우의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표 4의 17종 아미노산)을 각 용량 래트에게 투여한 경우의 최고 기초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의 통계적 분석에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표 4의 17종 아미노산)을 래트에게 투여한 경우의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의 통계적 분석에는 Studen's t-test를 이용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표 4의 17종 아미노산)을 래트에게 투여한 경우의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제제 또는 의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아미노산 조성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조성물 및 아미노산 조성물 용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물 및 동 용액은 우수한 생리 작용, 특히, 우수한 체온 상승 작용을 갖는다. 또한, 체온 상승 작용과 함께 체내의 대사가 촉진되기 때문에, 기초대사의 개선, 추가로 체지방 축적의 저하, 냉한 체질(냉증이라고도 함)의 개선, 한랭 시에 차가워진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수단으로서도 유효하다.
종래, 매운맛 향신료 성분의 에너지대사를 촉진하는 작용에 착안한 것으로서, 캡사이신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음료(일본 특허 공개 제2000-189121호) 등이 알려져 있다.
캡사이신류는 고추에 함유된 매운맛 성분이다. 다량의 캡사이신류를 가하면 매운맛을 강하게 느끼기 때문에, 첨가하는 양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신체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음식물을 섭취하여 체내에 열을 받아들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효과도 일과성이다. 그래서, 에너지대사 개선 작용을 갖는 조성물로서는, 신속하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후에도 작용이 계속되는 것, 경구로 하는 경우에는, 기호성도 우수한 것 등이 요망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각 방면에서 검토한 결과, 다수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착안하였다. 아미노산의 종류, 그 조합, 배합량을 바꾸어 매우 수많은 아미노산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들 아미노산 조성물에 대해서, 이들의 생리작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조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기초 체온을 상승시키고 그 작용이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이 유용한 발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한 결과, 결국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16의 아미노산의 1군이야말로 1군으로서 본 발명의 체온 상승성 제제의 기본적 유효 성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및 카르니틴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르니틴을 아미노산의 하나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및 트립토판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카르니틴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16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데, 각 아미노산은 각각 특정 조성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이하와 같다. 즉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및 아르기닌 0.1∼5 몰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아미노산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17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데, 각 아미노산은 각각 특정 조성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이하와 같다. 즉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및 카르니틴 0.1∼5 몰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아미노산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17종류의 아미노산 을 함유하는 것인데, 각 아미노산은 각각 특정 조성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이하와 같다. 즉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및 트립토판 0.1∼5몰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아미노산군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18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데, 각 아미노산은 각각 특정 조성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이하와 같다. 즉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트립토판 0.1∼5 몰 및 카르니틴 0.1∼5 몰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는 상기한 제1에서 제4의 각 아미노산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각 아미노산은 유리된 것 외에,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이라도 좋고, 대표적인 염에는 염산염, 유산염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은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들 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아미노산군을 그대로 혼합 분말형이나 수용액상으로 하여 경구 섭취하여도 좋지만, 각 아미노산군은 액상이든, 고체형이든, 맛이 좋지 않고, 또 삼키기 어려운 점 때문에, 유효 성분(제1에서 제4의 각 아미노산군)과 음식용 또는 의료용으로 상용되는 첨가료를 사용하여 맛을 좋게 함으로써 마시기 쉽게 하거나, 전체를 비스켓형으로 하여 먹기 쉽게 하거나 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드링크제는 유효 성분 수성액에 구연산 등의 산미료나 설탕 등의 감미료를 첨가하여 마시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분말 혼합 상태의 유효 성분에 정제 전분 등을 가하여 혼합하고, 구워서 비스켓형으로 하면, 맛있게 먹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분말형인 채로 섭취해도 좋고, 혹은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 등으로서 섭취하여도 좋다. 섭취 방법도 경구 투여, 직장 투여, 정맥 주사, 점적(点滴) 등의 일반적인 투여 경로를 거쳐 투여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음식용으로 마시기 쉽게 하고, 먹기 쉽게 하여 섭취하는 것 이외에, 의약상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와 함께 혼합하여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단, 고체 산제나 정제는 흡수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효 성분 자체의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적절한 첨가제, 예컨대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류, pH 조절제, 킬레이트제와 함께 전술한 용액으로서 투여하여도 좋다.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완충제나 등장제 등을 첨가하여 멸균 증류수에 용해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섭취 시기에도 각별한 제한은 없고, 임의의 시기에 섭취하면 좋으며, 예컨대 드링크제(청량음료, 분말음료 등의 음식품 타입 외에, 의약품으로서의 음료 등을 포함함)로서 섭취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의 투여량은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고, 투여 방법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유효 성분량으로서 통상 1회에 0.5∼5 g, 바람직하게는 1회에 1∼3 g, 하루에 1∼20 g, 바람직하게는 3∼10 g을 투여한다. 용액으로서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경우에는, 0.5∼10 중량% 정도의 용액으로서 1회에 10∼1000 ㎖, 바람직하게는 1∼4 중량%로서 1회에 100∼400 ㎖ 투여 또는 섭취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는 우수한 기초 체온 상승 작용을 가지며, 이것과 함께 기초 대사를 높게 하고, 일상 생활에서 소비에너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체지방 축적의 저하나 냉한 체질의 개선에도 유효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미노산군을 의약용으로 제제함으로써 체온 상승제, 항 냉성제 등의 각종 의약품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는 매우 유효한 체온 상승 작용을 가지며, 그 사용에 있어서는 분말인 채 사용하는 것 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용액, 특히 수용액으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물에 용해하여 용액을 조제해도 좋고, 혹은 개개의 아미노산을 별개로 물에 용해하여 용액 중에서 전술한 조성을 실현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1) 방법
8∼9주령의 Crj: CD(SD) IGS계 수컷 래트를 4마리 1군으로서 4군 준비하여 하룻밤 절식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군을 컨트롤(생리식염수)로 하고, 2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을 체중 100 g당 0.2 g(2 g/㎏), 3군에 대해서는 체중 100 g당 0.1 g(1 g/㎏), 4군에 대해서는 체중 100 g 당 0.05 g(0.5 g/㎏)의 각 용량으로 1회 복강내 투여하였다. 또, 피실험 물질인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16 종류의 아미노산을 소정의 조성으로 갖는 조성물)은 체중 100 g당 0.8 ㎖(8 ㎖/㎏)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고, 컨트롤에는 체중 100 g당 0.8 ㎖(8 ㎖/㎏)의 생리식염액(히카리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일본약국방 생리식염액, Lot. 9911HC)만을 투여하였다.
(2) 피실험 물질
하기 표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조성물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 형태로서 예시한다. 아미노산은 모두 와코쥰야쿠로부터 입수한 것이다.
아미노산 몰(%)
히스티딘 2.6
아르기닌 3.6
이소류신 4.6
류신 6.3
리신염산염 8.8
페닐알라닌 3.9
티로신 6.1
발린 6.0
아스파라긴산 0.2
세린 2.5
글루타민산 3.3
프롤린 18.4
글루신 19.5
알라닌 6.3
트레오닌 7.4
메티오닌 0.5
(3) 투여 및 체온 측정
피실험 물질의 투여는 날개가 달린 정맥침으로 투여하였다. 또, 측정 종료 후, 약물이 복강 내에 확실하게 투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마지막으로 색소를 투여하여 피실험물이 장관 내에 투여되지 않았는지 확인을 행하였다.
동물은 우레탄 마취하에(1.2 g/㎏, i. p.) 눕혀 위를 보게 하고, 복강내 투여용 날개가 달린 정맥침을 복강 내에 고정배치하였다. 체온 측정용 프로브는 항문에서부터 직장으로 삽입하여 고정하였다. 체온은 10분마다 계측하였다. 즉, 투여 0분일 때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10분 전, 10분 후, 20분 후, ···120분 후의 기초 체온을 측정하고, 각각의 결과로부터 평균을 구하여 그 값을 표 및 도면(그래프)으로 나타내었다.
즉,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을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고,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의 평균을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
-10 0 10 20 30 40 50
1군 0.15 0 0.225 0.425 0.675 0.95 1.1
2군 0.025 0 0.35 0.75 1.275 1.6 1.9
3군 -0.2 0 0.325 0.65 0.975 1.2 1.425
4군 -0.2 0 0.25 0.5 0.7 1 1.275
60 70 80 90 100 110 120
1군 1.125 1.225 1.325 1.425 1.475 1.375 1.425
2군 2.125 2.425 2.675 2.8 2.75 2.775* 2.75*
3군 1.75 2.025 2.25 2.375 2.55 2.725* 3.025*
4군 1.5 1.65 1.75 2.025 2.125 2.275 2.375
*: p<0.05 대 1군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기초 체온의 평균
-10 0 10 20 30 40 50
1군 37.15 37 37.225 37.425 37.675 37.95 38.1
2군 37.125 37.1 37.45 37.85 38.375 38.7 39
3군 36.925 37.125 37.45 37.775 38.1 38.325 38.55
4군 36.65 36.85 37.1 37.35 37.55 37.85 38.125
60 70 80 90 100 110 120
1군 38.125 38.225 38.325 38.425 38.475 38.375 38.425
2군 39.225 39.525 39.775 39.9 39.85 39.875 39.85
3군 38.875 39.15 39.375 39.5 39.675 39.85 40.15
4군 38.35 38.5 38.6 38.875 38.975 39.125 39.225
(4) 결과 및 고안
상기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대조군의 온도는 시간 경과와 함께 약간 상승하였다. 피실험 물질 투여군에서는 용량 의존적인 체온 상승을 보이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2군 및 3군에서 유의 차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1) 방법
8∼10주령의 SD계 수컷 래트를 6마리 1군으로서 2군 준비하여 하룻밤 절식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 군 분류는 사용 당일의 체중에 의해 행하였다.
(2) 피검 물질
피검 물질로서는, 표 4에 나타내는 17종 아미노산(VAAM)을 사용하였다. 이 배합 비율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아미노산은 모두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하였다.
17종 아미노산: VAAM
아미노산 성분중량(%) 몰(%)
히스티딘 3.2 2.6
아르기닌 4.9 3.5
이소류신 4.7 4.5
류신 6.4 6.1
리신염산염 12.5 8.6
페닐알라닌 5.0 3.8
티로신 8.6 6.0
발린 5.5 5.9
아스파라긴산 0.2 0.2
세린 2.1 2.5
글루타민산 3.7 3.2
프롤린 16.5 18.0
글루신 11.4 19.1
알라닌 4.3 6.1
트레오닌 6.8 7.2
메티오닌 0.6 0.5
트립토판 3.6 2.2
(3) 투여량
1군을 컨트롤(주사용수)로 하였다. 2군에 대해서는, 17종 아미노산을 체중 100 g당 0.5 g(5 g/㎏)을 1회 경구 투여하였다.
또, 피검 물질 아미노산은 체중 100 g당 1 ㎖(10 ㎖/㎏)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고, 컨트롤에는 체중 100 g 당 1 ㎖(10 ㎖/㎏)의 생리식염액(히카리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일본약국방 생리식염액, Lot. 9911HC)만을 투여하였다.
(4) 체온 측정
동물은 보르만 케이지에 넣어 보호 고정하고, 체온 측정용 프로브는 항문에서부터 직장으로 삽입하여 고정하였다. 10∼15분 간격으로 계측하고, 체온이 안정되면 피검 물질을 투여하여 섭취 0분일 때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이후 10분 간격으로 90분 후까지 체온을 측정하였다. 각 군마다 결과로부터 평균을 구하여 그 종을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또한, 개체마다의 상승 체온의 최고치를 군마다 평균하여 각 군 사이에서의 차를 나타내었다.
17종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최고 체온 상승도의 평균을 도 3에 나타내고, 각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체온 상승 온도의 평균 및 체온의 평균을 각각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5) 결과 및 고찰
상기 결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대조군의 온도는 시간 경과와 함께 약간 상승하였다. 피검 물질 투여군(17종 아미노산: VAAM)은 우수한 체온 상승을 보였다.
본 발명에 의해 특정 아미노산군으로 이루어진 유효 성분에, 우수한 체온 상승 작용을 갖는다고 하는 새로운 용도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또는 의료용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의 체온 상승으로부터 소비에너지가 상승하고, 기초 대사가 높아진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기초 체온의 상승, 체지방 축적의 저하나 냉한 체질의 개선이나 차가워진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처치 등에도 유효하다.

Claims (10)

  1.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만으로 이루어진 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2.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및 카르니틴만으로 이루어진 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3.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및 트립토판만으로 이루어진 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4. 트레오닌, 프롤린, 글리신, 발린, 이소류신,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세린, 글루타민산, 알라닌, 메티오닌, 히스티딘,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카르니틴만으로 이루어진 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효 성분과 의료용으로 상용되는 첨가료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각 아미노산이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및 아르기닌 0.1∼5 몰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7. 제2항에 있어서, 각 아미노산이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및 카르니틴 0.1∼5 몰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8. 제3항에 있어서, 각 아미노산이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및 트립토판 0.1∼5 몰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9. 제4항에 있어서, 각 아미노산이 트레오닌 2∼15 몰, 프롤린 4∼30 몰, 글리신 7∼20 몰, 발린 4∼8 몰, 이소류신 3∼9 몰, 류신 2∼12 몰, 티로신 1∼9 몰, 페닐알라닌 0.5∼5 몰, 리신 5∼11 몰, 아스파라긴산 0.1∼5 몰, 세린 0.1∼5 몰, 글루타민산 0.1∼4 몰, 알라닌 0.1∼12 몰, 메티오닌 0.1∼5 몰, 히스티딘 0.1∼5 몰, 아르기닌 0.1∼5 몰, 트립토판 0.1∼5 몰 및 카르니틴 0.1∼5 몰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유효 성분과 의료용으로 상용되는 첨가료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상승용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KR1020077014498A 2001-06-08 2002-06-06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KR10085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3983 2001-06-08
JP2001173983 2001-06-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15A Division KR100753879B1 (ko) 2001-06-08 2002-06-06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02A true KR20070074002A (ko) 2007-07-10
KR100852930B1 KR100852930B1 (ko) 2008-08-19

Family

ID=19015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15A KR100753879B1 (ko) 2001-06-08 2002-06-06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제제
KR1020077014498A KR100852930B1 (ko) 2001-06-08 2002-06-06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15A KR100753879B1 (ko) 2001-06-08 2002-06-06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음식용 제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40235923A1 (ko)
EP (1) EP1402788B1 (ko)
JP (1) JP4128524B2 (ko)
KR (2) KR100753879B1 (ko)
CN (1) CN100464647C (ko)
AT (1) ATE418877T1 (ko)
AU (1) AU2008203461B2 (ko)
CA (1) CA2449917C (ko)
DE (1) DE60230621D1 (ko)
HK (1) HK1064566A1 (ko)
NZ (2) NZ587048A (ko)
TW (1) TWI328450B (ko)
WO (1) WO2002100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933A (ja) * 2003-05-19 2006-07-27 Ajinomoto Co Inc いびき又は睡眠時の呼吸障害の予防・治療剤
AU2005302173B2 (en) * 2004-11-02 2009-07-23 Oragenics, Inc. Methods for regulating weight and size of animals
EP1818053A4 (en) * 2004-11-02 2008-02-27 Ajinomoto Kk MEDICINE FOR THE TREATMENT / PROPHYLAXIS OF ALLERGIC DISEASES
WO2007029730A1 (ja) * 2005-09-06 2007-03-15 Meiji Dairies Corporation 老人性貧血を防止又は治療するためのアミノ酸組成物
JPWO2007060924A1 (ja) * 2005-11-22 2009-05-07 味の素株式会社 膵β細胞保護剤
EP2492278A1 (en) * 2006-09-18 2012-08-29 Compugen Ltd. Antibodies against an agonist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and its use indiagnosis and therapy
US20080268038A1 (en) * 2007-04-26 2008-10-30 Wolfe Robert R Compositions and Approaches for Increasing Diet Induced Thermogenesis, Inducing Weight Loss and Maintaining Muscle Mass and Strength
JP5565016B2 (ja) * 2009-04-08 2014-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低体温改善用組成物及び冷え性改善用組成物
CN103181920A (zh) * 2011-12-28 2013-07-03 吴顺字 一种防癌植物油的配方
WO2013168694A1 (ja) * 2012-05-07 2013-11-14 株式会社明治 非糖質性エネルギー産生増強剤
JP2016102064A (ja) * 2013-08-14 2016-06-02 株式会社明治 脂質代謝促進剤
US9629889B2 (en) * 2014-10-22 2017-04-25 Khanh Le Aqueous solution formulated to raise body temperature
CN106417597A (zh) * 2016-08-30 2017-02-22 新疆阜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乳酸菌饮料的复合稳定剂
JP2017088616A (ja) * 2017-02-09 2017-05-25 株式会社東洋新薬 黒生姜含有組成物
PL235153B1 (pl) * 2017-06-02 2020-06-01 Gbj Pharma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Farmaceutyczna kompozycja żywieniowa dla pacjentów z odleżynam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5574A (zh) * 1985-01-17 1987-01-14 四川大学 从牲畜血液中提制复合氨基酸的方法
CN86104864A (zh) * 1986-07-30 1988-02-10 丹东市生物化学研究所 复合氨基酸提取方法
JPH0624976A (ja) * 1992-07-10 1994-02-01 Rikagaku Kenkyusho 輸液用組成物
AU679020B2 (en) * 1992-12-23 1997-06-19 Abbott Laboratories Medical foods for the nutritional support of infant/toddler metabolic diseases
US5728678A (en) * 1995-06-06 1998-03-17 Nestec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viding nutrition to a renal failure patient
EP0873754B1 (en) * 1996-01-09 2003-07-30 Riken Amino acid compositions
WO1997043912A1 (fr) * 1996-05-23 1997-11-27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alimentaire destinee a abaisser la teneur en graisses dans le corps et a ameliorer la composition du corps et procede afferent
US6221836B1 (en) * 1996-07-26 2001-04-24 Paxton King Beale Composition of pyruvate and anabolic protein and method for increasing fat loss in a mammal
ES2132021B1 (es) * 1997-05-28 2000-02-16 Riera Simon Schwartz Formulas de aminoacidos para personas de la tercera edad y procedimiento para el calculo de las mismas.
JPH10330264A (ja) * 1997-06-02 1998-12-15 Takeda Shokuhin Kogyo Kk 脂質代謝促進組成物
JP3719478B2 (ja) * 1998-03-13 2005-11-24 日本化薬株式会社 ダイエット食品
JP2000228967A (ja) * 1999-02-12 2000-08-22 Bigguuesuto Sha:Kk 脂質代謝加工食品
US7223417B2 (en) * 2000-10-27 2007-05-29 Calton Gary J Nutrient formulations
US6511696B2 (en) * 2000-12-13 2003-01-28 Novartis Nutrition Ag Infant formula with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49917A1 (en) 2002-12-19
KR100753879B1 (ko) 2007-09-03
AU2008203461A1 (en) 2008-08-21
JPWO2002100193A1 (ja) 2005-01-13
US20040235923A1 (en) 2004-11-25
ATE418877T1 (de) 2009-01-15
CN100464647C (zh) 2009-03-04
DE60230621D1 (de) 2009-02-12
CN1538812A (zh) 2004-10-20
JP4128524B2 (ja) 2008-07-30
EP1402788A1 (en) 2004-03-31
AU2008203461B2 (en) 2010-04-01
KR100852930B1 (ko) 2008-08-19
NZ587048A (en) 2012-03-30
EP1402788B1 (en) 2008-12-31
EP1402788A4 (en) 2006-03-22
KR20040016880A (ko) 2004-02-25
NZ569905A (en) 2010-09-30
HK1064566A1 (en) 2005-02-04
TWI328450B (en) 2010-08-11
CA2449917C (en) 2009-09-22
WO2002100193A1 (en) 200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930B1 (ko) 체온 상승성 아미노산군 의료용 제제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750677B1 (en) Oral therapeutic compound delivery system
CN100518815C (zh) 一种氨基酸组合物
ES2965521T3 (es) Preparación duradera de un producto inyectable de melatonina que presenta estabilidad a largo plazo
US10512635B2 (en) Uses of benzimidazole derivative for nocturnal acid breakthrough
KR20190104921A (ko) 사이클로 히스티딘-프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10055052A (ko) 아미노산 영양소, 및 아미노산 영양소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용
JP5177785B2 (ja) 周術期患者用薬剤
BR112020007447A2 (pt) Uso da suplementação de aminoácidos na síntese da proteína muscular aprimorada
BRPI0720963A2 (pt) Utilização terapêutica para o tratamento das leucemias.
WO2014076638A1 (es) Composición antiparasitaria de amplio espectro de nitazoxanida, probióticos y prebióticos
WO2012033261A1 (ko) 제니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6100510B2 (ja) 抗感冒剤
JP4829322B2 (ja) 体温上昇飲食品用の剤
JP5484704B2 (ja) 高齢者の発熱症状抑制剤
WO2004047565A1 (ja) 体温上昇性アミノ酸含有飲食品用又は医療用の剤
US20240173315A1 (en) Trazodone oral solution
JP2003171266A (ja) キシリトールを含有する解熱性調剤
WO2016019313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stless legs syndrome and leg cramps
CN117462542A (zh) Aila在治疗贫血中的应用
JPH01501708A (ja) アミノ酸の経鼻投与
KR20200126354A (ko) 진세노사이드 Rb2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21205053A1 (es) Composición inyectable de melatonin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virales
KR20060123329A (ko) 월경 곤란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