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72B1 -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872B1
KR102093872B1 KR1020170084215A KR20170084215A KR102093872B1 KR 102093872 B1 KR102093872 B1 KR 102093872B1 KR 1020170084215 A KR1020170084215 A KR 1020170084215A KR 20170084215 A KR20170084215 A KR 20170084215A KR 102093872 B1 KR102093872 B1 KR 10209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jection
mixture
fat
preser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087A (ko
Inventor
진호성
Original Assignee
진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성 filed Critical 진호성
Priority to KR102017008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콜린 화합물 중 하나인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를 사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를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체내에 주입시 체내의 에너지 대사율을 높혀 기초 대사량을 향상시키고,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줌으로써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한 양으로 혼합되어 사용시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많은 지방 연소 또는 체중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대사의 활성화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저감시키는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Injection Composition For Fat Red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콜린 화합물 중 하나인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를 사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개개인의 운동량은 감소하고, 전통적인 섬유질 중심의 식사 문화가 고단백, 패스트푸드 위주의 식습 문화로 변화함에 따라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비만관련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월등히 많을 경우 대사불균형으로 인하여 과도한 에너지 축적이 일어났을 때 발생한 것으로 임상적으로 각종 질병의 발생에 관여하거나 질병을 악화시키며, 상세하게는 당뇨병, 고혈압, 동맥 경화증,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지방간 등의 성인병과 각종 대사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만으로 야기된 지방 조직에 의해 복부에 압박이 가해져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비만을 치료가 필요한 병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비만 치료 방법으로는 칼로리의 이용량을 증가시키는 운동요법, 칼로리 흡수량을 감소시키는 식이요법 및 약물요법 등이 있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에게 운동요법과 식이요법만으로는 적절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비만 치료를 위해 운동요법이나 식이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이를 활용하다가 중단하였을 때 다시 체중이 증가되는 요요현상이 나타나거나 식이 제한에 의한 영양불균형, 면역력 저하에 의한 감염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안전한 약물요법을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고 그 일환으로 지방 소화 효소 억제제, 식욕 억제제 및 지방 분해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7-0043657호(2017.04.21 공개)
본 발명은,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체내에 축적된 지방조직을 분해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세틸콜린을 생성할 수 있는 천연 콜린 화합물 중 하나인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와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L-카르니틴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hydoxystearate), 폴리옥실-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oxyl-15-Hydroxystearate) 및 폴리옥실-35-피마자유(Polyoxyl-35-castor oil)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부제; 벤질알콜(benzyl alcohol), 리도카인(lidocaine), 프로카인(procaine), 에탄올(ethanol) 및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존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포함하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콜린 알포세레이트 3 ~ 13 %(w/v), L-카르니틴 0.01 ~ 2 %(w/v), 데옥시콜린산염 0.1 ~ 1 %(w/v) 계면활성제 0.001 ~ 0.003 %(w/v), 방부제 0.25 ~ 0.4 %(w/v), 보존제 0.7 ~ 1.2 %(w/v) 및 잔량의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내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L-아르기닌(L-arginine)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내, 아미노필린 및 니코틴산아미드가 1:1 비율로 혼합된 아미드 혼합액이 상기 L-카르니틴의 포함량의 7 ~ 11 %(w/w)로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상세하게는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및 보존제를 넣고 침전물이 없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및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방부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데옥시콜린산염 0.1 ~ 1 %(w/v) 및 보존제 0.7 ~ 1.2 %(w/v)를 넣고 상기 데옥시콜린산염이 충분히 용해되어 침전물이 없이 투명한 용액이 될 때 까지 교반하되,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 0.15 %(w/v) 등장화제를 더 투입하여 투명한 성상이 될 때까지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콜린 알포세레이트 3 ~ 13 %(w/v), L-카르니틴 0.01 ~ 2 %(w/v), 계면활성제 0.001 ~ 0.003 %(w/v)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며, 상기 제2 단계 후에,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L-아르기닌(L-arginine)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L-카르니틴의 포함량을 기준으로 7 ~ 11 %(w/w)를 추가로 제2 단계를 통과한 혼합물에 더 투입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방부제와 pH 조절제를 추가하여 혼합물의 pH를 7.8 ~ 9.6으로 조절한 다음,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또는 앞서 언급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주사기를 통해 체내에 주입 가능한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를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체내에 주입시 체내의 에너지 대사율을 높혀 기초 대사량을 향상시키고,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줌으로써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한 양으로 혼합되어 사용시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많은 지방 연소 또는 체중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대사의 활성화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저감시키는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체내의 에너지 대사율을 높혀 기초 대사량을 향상시키고,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조직이 분해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조성물 내 포함된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한 양으로 혼합되어 사용시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많은 지방 연소 또는 체중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대사의 활성화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hydoxystearate), 폴리옥실-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oxyl-15-Hydroxystearate) 및 폴리옥실-35-피마자유(Polyoxyl-35-castor oil)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부제; 벤질알콜(benzyl alcohol), 리도카인(lidocaine), 프로카인(procaine), 에탄올(ethanol) 및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존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은 L-알파 글리세릴포스포릴콜린(L-α-glycerylphosphorylcholine, alpha-GPC)는 뇌에서 발견되는 천연 콜린 화합물로서,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아세틸콜린의 전구체이다. 상세하게는 체내 인입된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대사되어 아세틸콜린으로 작용하며, 이는 리파제(lipase) 활성을 자극하여 리포사이트(lipocytes)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체내에 축적된 지방조직을 분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 3 ~ 13 %(w/v)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함량이 3 %(w/v)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지방조직 분해 및 체중조절 효과가 미미하고,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함량에 13 %(w/v)를 초과할 경우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조해성으로 인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분리가 일어나거나 일부 성분이 침전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L-카르니틴(L-carnitine)은 정상인의 간이나 신장에서 합성되고 적색류의 고기에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성분으로 지방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L-카르니틴은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이동시켜 베타 산화를 촉진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며, 에너지 생성을 위한 기질이용에 중추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L-카르니틴은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베타 산화를 촉진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달효소 I, II와 아실 카르니틴 전달 효소가 L-카르니틴의 작용에 관여하는데, 최근의 연구에서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달효소-I이 지방 산화의 중요한 속도제한 효소로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기질이용에 중추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L-카르니틴은 당피질호르몬 수용체의 기능을 조절하며 당 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함으로써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한다.
이에, 상기 L-카르니틴이 결핍되면, 체지방 연소 속도가 저하되며, 신진 대사율이 떨어지므로, 체지방 감소 효과를 배가시키고,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전체 조성물 내 0.01 ~ 2 %(w/v) 포함될 수 있다.
상기 L-카르니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기대하는 지방의 대사의 촉진 효과가 미미하거나, L-카르니틴의 과량 복용으로 인하여 구역ㆍ구토, 복통, 설사, 체취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지방분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방분해제로 알려진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또는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지방조직의 분해를 직접적으로 가속화시키는 글루카곤의 분비를 촉진하는 L-아르기닌(L-arginine), 베타세포의 기능을 촉진하는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필린과 니코틴산아미드가 1:1로 혼합하여 이를 전체 조성물 내 L-카르니틴의 포함량의 7 ~ 11 %(w/w)로 함께 사용할 경우 지방분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지방세포막을 파괴하여 지방세포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은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지방분해 효과 상승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내 0.1 ~ 1.0 %(w/v)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원하는 지방세포 분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지방세포를 직접적으로 손상, 파괴하여 분해하는 데옥시콜린산염이 과량으로 포함시, 체내에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데옥시콜린산염은 지방세포막을 손상, 파괴하여 지방조직을 분해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사람의 개인별 면역반응의 민감도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된 천연 콜린 화합물 중 하나인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와 L-카르니틴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시 면역반응을 반감시킴으로써, 부작용을 현저히 저감시킴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지방 조직의 분해를 통한 체중조절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옥시콜린산염은 앞서 언급된 수치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hydoxystearate), 폴리옥실-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oxyl-15-Hydroxystearate) 및 폴리옥실-35-피마자유(Polyoxyl-35-castor oil)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에 에틸렌옥시드를 결합시킨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지방족알코올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소르베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소르베이트 20(모노라우르산), 폴리소르베이트 40(모노팔미트산), 폴리소르베이트 60(모노스테아르산), 폴리소르베이트 65(트리스테아르산), 폴리소르베이트 80(모노올레산) 중에서도 폴리소르베이트 6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0.001 ~ 0.003 %(w/v) 포함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앞서 언급한 함량을 벗어나게 되면 조성물의 보관시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거나, 과도한 함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방부제는 상기 조성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약학에 쓰이는 부패 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성분이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0.25 ~ 0.4 %(w/v)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의 함량이 앞서 언급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저장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체내에 과량으로 인입되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존제는 조성물 내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일 예로 벤질알콜(benzyl alcohol), 리도카인(lidocaine), 프로카인(procaine), 에탄올(ethanol) 및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 보존제로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벤질알콜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전체 조성물 내 0.7 ~ 1.2 %(w/v) 포함될 수 있으며, 보존제의 함량이 앞서 언급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체내에 과량으로 인입되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나머지 잔부는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사용수로는,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주사용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 주사용수, 자일리톨 주사용수, D-만니톨 주사용수, 프룩토스 주사용수, 생리식염수, 덱스트란 40 주사용수, 덱스트란 70 주사용수, 아미노산 주사용수, 링거액, 락트산-링거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내 등장화제 또는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체내에 투여할 때 삼투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보관 또는 유통과정에서 화학적으로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당, 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또는 혼합물 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글루코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황산나트륨 중 선택된 하나 이거나,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전체 조성물 내 0.05 ~ 0.15 %(w/v)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된 성분들의 종류, 량 등에 따라 각각의 혼합물이 모두 포함된 용액 제형이 등장액이 되도록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조성물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산성을 띄거나 염기성을 띄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염기성을 띄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대부분 산성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염기성을 띄는 물질로 사용 가능한 무기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암모니아, 합성 히드로탈사이트가 있으며, 유기 염기로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리신, 아르기닌, 메글루민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0.001 ~ 0.12 %(w/v)일 수 있으며, 첨가되는 pH 조절제의 양은 구성하는 성분들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식품 형태 또는 약학적 제제로 제조되어 섭취되거나 체내로 주입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내 포함된 유효성분의 유효한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한에서, 식품 또는 의학,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적으로 제약에서 사용되는 담체와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함께 배합하여 투약자의 상태, 투여 목적에 따라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과립제, 츄잉정, 환제, 분말, 엘릭시르, 현탁제, 에멀젼, 액상 형태, 시럽과 같은 경구 투여용 제제 이거나, 에어로졸, 새세이, 멸균 주사용액 또는 멸균 분말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제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및 보존제를 넣고 침전물이 없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및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방부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 단계는, 데옥시콜린산염과 보존제를 용해시키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데옥시콜린산염 0.1 ~ 1 %(w/v) 및 보존제 0.7 ~ 1.2 %(w/v)를 넣고 상기 데옥시콜린산염이 충분히 용해되어 침전물이 없이 투명한 용액이 될 때 까지 교반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등장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등장화제의 포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 0.15 %(w/v)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및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2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콜린 알포세레이트 3 ~ 13 %(w/v), L-카르니틴 0.01 ~ 2 %(w/v), 계면활성제 0.001 ~ 0.003 %(w/v)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용화란 난용성 물질이 가용화제에 의해 그 용해도 이상으로 투명하게 용해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 가용화될 때까지라는 의미는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 및 L-카르니틴이 충분히 용해되어 혼합물이 혼탁하지 않고 투명하게 될 때까지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단계 후, 방부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통해 총 부피를 맞추는 제3 단계 전에,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L-아르기닌(L-arginine)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추가로 더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미노필린과 니코틴산아미드가 1:1로 혼합한 아미드 혼합액을 L-카르니틴의 포함량의 7 ~ 11 %(w/w)로 추가로 더 투입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아미드 혼합액이 포함된 혼합물은 제3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는 제2 단계를 거쳐 제조된 혼합물에 방부제와 pH 조절제를 추가하여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pH를 7.8 ~ 9.6으로 조절한 다음, pH 조절 후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앞서 언급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액체, 반-고체 및 고체 타블릿 형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액체 용액 (예를 들어, 주사 용액 및 주입 용액), 분산액, 현탁액, 분말, 동결건조 분말, 또는 리포솜, 또는 경피형 연고 또는 패치가 있으며, 바람직한 형태는 신체에 예상되는 투여 모드 및 치료 적용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체내에 주입, 인입되는 용액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사형 용액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이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투약 대상자의 유형, 투약 대상체의 체중 및 투약 대상체의 국소 지방 두께 및 면적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50 cc 용량으로 24시간 이내에 1번, 여러 번 또는 지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또한 주 단위로 또는 월 단위로 여러 번 또는 지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피하주사, 피내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주사, 피하 이식, 이식형 주입, 연고, 또는 패치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물을 피부층과 피하층에 주사하는 메조테라피 방법으로 복부를 비롯하여 둔부, 허벅지, 종아리, 턱, 이마, 팔뚝 등 지방이 축적된 전신 부위에 주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제조예]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먼저, 비커에 데옥시콜린산염과 보존제, 등장화제를 투입한 후, 충분히 용해되어 침전물이 없고, 용액의 성상이 투명해질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콜린 알포세레이트, L-카르니틴,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교반된 혼합물이 완전히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아미노필린과 니코틴산아미드가 1:1로 혼합된 아미드혼합액을 투입하여 균질하게 혼합되도록 20분간 더 교반한 다음, 방부제, pH 조절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20분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투입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데옥시콜린산염 0.7 0.7 - 0.7 0.7 0.7 0.7 0.7
보존제
(벤질알콜)
0.9 0.9 0.9 0.9 0.9 0.9 0.9 0.9
등장화제
(염화나트륨)
0.07 0.07 0.07 0.07 0.07 0.07 0.07 0.07
콜린
알포세레이트
2 15 8 8 8 3 8 13
L-카르니틴 1.1 1.1 - 1.1 1.1 1.1 1.1 1.1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60)
0.002 0.002 0.002 0.002 0.002 0.002 0.002 0.002
아미드혼합액 0.1 0.1 - 0.05 0.14 0.1 0.1 0.1
방부제
(프로필파라벤)
0.33 0.33 0.33 0.33 0.33 0.33 0.33 0.33
pH조절제
(탄산마그네슘)
0.003 0.003 0.003 0.003 0.003 0.003 0.003 0.003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단위 : total;ml / 나머지;g )
[실험예 1]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실험
상기 제조예의 실시예 2와, 데옥시콜린산염 0.7 g 콜린 알포세레이트 8 g, L-카르니틴 1.1 g에 정제수를 잘 혼합하여 제조된 대조군을 실온에서 1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그 성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대조군 실시예 2
1시간 방치 투명한 액상 투명한 액상
12시간 방치 불투명한 액상 투명한 액상
24시간 방치 미세한 침전물과 약간의 부유입자가 관찰되는 액상 투명한 액상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동일한 데옥시콜린산염, 콜린 알포세레이트, L-카르니틴을 혼합한 대조군과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대조군과 실시예2 모두처음 1시간동안은 투명한 액상으로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12시간 경과 후 액상이 뿌옇게 변하여 불투명한 성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24시간 경과후에는 미세한 침전물과 부유입자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한 함량으로 혼합됨으로써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체중조절 효과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과 대조군을 각각 주사제를 통해 체내에 1달간 4회 간격으로 총 2달동안 투약하였으며, 주사방법은 갈비뼈와 치골 사이 복부에 배꼽을 기준으로 1cm 씩 떨어지게 10 cc 씩 10 포인트에 주사하였다.
상기 대조군은 상분리가 발생되기 전, 투명한 성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치료대상은 만 20 ~ 40 세 사이의 성인남녀 중 BMI 25 이상의 복부 비만환자 각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통계 분석 및 검증 방법은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측정치의 분포를 얻었고, 실험 주사별 복부 허리둘레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사용하였고, 신뢰도에 대한 검증 구간은 95 % 이내로 정하여 분석되었으며 체중변화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체중 복부 허리둘레
2달 후 2달 후
대조군 0.5±1.4 kg 감소 3.2±0.8 cm 감소
비교예1 1.1±1.1 kg 감소 3.5±1.2 cm 감소
비교예2 2.7±2.0 kg 감소 3.8±2.1 cm 감소
비교예3 0.6±0.8 kg 감소 2.7±0.8 cm 감소
비교예4 1.7±0.8 kg 감소 3.7±1.8 cm 감소
비교예5 3.1±1.7 kg 감소 6.7±2.8 cm 감소
실시예1 2.9±2.2 kg 감소 7.8±2.1 cm 감소
실시예2 3.3±2.1 kg 감소 8.5±1.2 cm 감소
실시예3 3.5±1.8 kg 감소 8.4±2.7 cm 감소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대략 3 kg의 체중감소 효과와 복부 허리 둘레가 약 8 cm 정도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 및 비교예 1, 3의 경우에는 체중 및 복부 허리둘레 감소효과가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과량의 콜린 알포세레이트가 포함되었으나, 이로 인하여 지방분해를 도와주는 L-카르니틴과 데옥시콜린산염, 아미드혼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듬에 따라 체중감소와 복부 허리 둘레 감소효과가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결과값이 좋지 못하였으며, 일부 치료대상에서 부종이 발견됨에 따라 실험을 중지하였다.
또한, 아미드 혼합액의 함량 변화가 서로 다른 비교예 4, 5와 실시예 2를 비교해보면, 아미드 혼합액의 함량이 미미한 비교예 4의 경우 체중 및 복부 허리 둘레 감소 효과가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5 또한 아미드 혼합액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성분들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어 실시예비하여 낮은 체중 및 복부 허리 둘레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포함된 각각의 유효성분들 간의 바람직한 함량비를 통해 시너지 효과가 부여되어 현저한 체중감소 및 복부 둘레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3]
부작용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을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고 실험한 결과 환자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발적 부기 가려움 피멍 피부함몰
(dimpling)
피부쳐짐 피부탄력
비교예1 1 1 2 0 0 1 2
비교예2 0 2 3 0 0 1 2
비교예3 4 10 4 10 15 0 4
실시예1 1 0 0 0 1 0 3
실시예2 1 1 0 1 0 0 3
실시예3 1 2 0 1 0 0 5
(피부탄력은 촉감에 의하여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1: 매우나쁨, 2:나쁨, 3:보통, 4:조금 양호 5:양호 나머지는 각각의 부작용이 발생된 환자의 수르 나타내었음)
상기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 3의 경우 과량의 콜린 알포세레이트로 인하여 부기, 가려움, 피멍, 피부함몰 등의 부작용을 겪은 환자의 수가 다른 실험자에 비해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과정에서 발생된 부작용은 투약을 중지한 후 1개월 이내 전부 사라졌다.
따라서, 앞서 실험한 실험예 2,3을 토대로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경우 콜린 알포세레이트, L-카르니틴, 데옥시콜린산염의 바람직한 혼합비로 인하여 체내에 주입시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Claims (10)

  1.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hydoxystearate), 폴리옥실-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oxyl-15-Hydroxystearate) 및 폴리옥실-35-피마자유(Polyoxyl-35-castor oil)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ethylparaben) 및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부제;
    벤질알콜(benzyl alcohol), 리도카인(lidocaine), 프로카인(procaine), 에탄올(ethanol) 및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존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를 포함하며,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L-아르기닌(L-arginine)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아미노필린 및 니코틴산아미드가 1:1 비율로 혼합된 아미드 혼합액이며,
    상기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은 0.7%(w/v)포함되며,
    상기 보존제는 0.9 %(w/v) 포함되고,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는 13 %(w/v) 포함되며,
    상기 L-카르니틴은 1.1 %(w/v) 포함되고,
    상기 아미드 혼합액은 0.1 %(w/v) 포함되며,
    상기 방부제는 프로필파라벤 0.33 %(w/v)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데옥시콜린산염(Deoxycholic acid salt) 및 보존제를 넣고 침전물이 없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L-카르니틴(L-carnitine) 및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방부제 및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데옥시콜린산염 0.7 %(w/v) 및 보존제 0.9 %(w/v)를 넣고 상기 데옥시콜린산염이 충분히 용해되어 침전물이 없이 투명한 용액이 될 때 까지 교반하되,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 0.15 %(w/v) 등장화제를 더 투입하여 투명한 성상이 될 때까지 교반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콜린 알포세레이트 13 %(w/v), L-카르니틴 1.1 %(w/v), 계면활성제 0.001 ~ 0.003 %(w/v)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용화될 때까지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단계 후에,
    아미노필린 및 니코틴산아미드가 1:1 비율로 혼합된 아미드 혼합액 0.1 %(w/w)를 추가로 제2 단계를 통과한 혼합물에 더 투입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단계는,
    방부제와 pH 조절제를 추가하여 혼합물의 pH를 7.8 ~ 9.6으로 조절한 다음,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로 총 부피를 맞추고 균질하게 혼합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방부제는 프로필파라벤 0.33 %(w/v) 포함되고, 상기 pH조절제는 탄산마그네슘 0.003 %(w/v)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또는
    제5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은 주사기를 통해 체내에 주입 가능한,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는 주사제용 조성물.
KR1020170084215A 2017-07-03 2017-07-03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15A KR102093872B1 (ko) 2017-07-03 2017-07-03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15A KR102093872B1 (ko) 2017-07-03 2017-07-03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87A KR20190004087A (ko) 2019-01-11
KR102093872B1 true KR102093872B1 (ko) 2020-03-27

Family

ID=6502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15A KR102093872B1 (ko) 2017-07-03 2017-07-03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993B1 (ko) 2020-05-07 2020-10-16 김동현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WO2023012244A1 (en) * 2021-08-04 2023-02-09 JAZ Innovation Limited Combination therap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369B1 (ko) * 2018-02-13 2019-08-13 강은희 셀룰라이트 개선을 위한 주사용 조성물
KR102064864B1 (ko) * 2019-02-08 2020-01-10 (주)제테마 국소 주사용 조성물
KR102005752B1 (ko) * 2019-04-17 2019-07-31 손유나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2111346B1 (ko) * 2019-08-20 2020-05-22 아영창 침전으로부터 안정한 소듐디옥시콜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액상 조성물
KR102598758B1 (ko) * 2020-02-26 202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572861B1 (ko) * 2021-02-10 2023-08-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방분해 효과가 개선된 데옥시콜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5741B1 (ko) * 2021-07-23 2022-05-09 박민규 윤곽 주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21993B1 (ko) * 2022-09-01 2023-04-17 홍종철 약학적 윤곽 주사 조성물
KR102665290B1 (ko) 2023-06-28 2024-05-13 주식회사 아루다 콜린알포세레이트, 브로멜라인, 티옥트산, 카르니틴 및 데옥시콜레이트를 포함하는 지방분해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97B1 (ko) * 2004-05-19 2013-01-03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지방의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관련 조성물
US20140255524A1 (en) 2013-03-08 2014-09-11 Pipeline Nutrition, Inc. Alpha-gpc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and/or increasing or maintaining lean body mass
JP2016074617A (ja) * 2014-10-03 2016-05-12 日油株式会社 脂肪蓄積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61067A1 (de) * 2003-12-22 2005-07-14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Medikamentöse Lipolyse von Fettansammlungen
JP6473505B2 (ja) 2014-08-28 2019-02-20 カリウェイ バイオ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局所の脂肪と体重の減少に用いられる組成物およびその医薬品と使用
KR101713219B1 (ko) * 2015-04-01 2017-03-07 문정선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914B1 (ko) * 2016-02-25 2018-06-12 오명진 지방분해 및 셀룰라이트 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주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97B1 (ko) * 2004-05-19 2013-01-03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지방의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관련 조성물
US20140255524A1 (en) 2013-03-08 2014-09-11 Pipeline Nutrition, Inc. Alpha-gpc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and/or increasing or maintaining lean body mass
JP2016074617A (ja) * 2014-10-03 2016-05-12 日油株式会社 脂肪蓄積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line Alfoscerate와 L-carnitien을 이용한 안면부 지방감소(2016.06.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993B1 (ko) 2020-05-07 2020-10-16 김동현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WO2023012244A1 (en) * 2021-08-04 2023-02-09 JAZ Innovation Limited Combination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87A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2531B2 (ja) デオキシコール酸を含む医薬組成物
US200501964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magnesium
DE60212693T2 (de) Formulierung von aminosäuren und riboflavin zur verringerung der toxischen effekte der zytotoxischen chemotherapie
KR102223095B1 (ko) 지방분해주사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20200330409A1 (en)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dase for removing local fat
WO2013151341A1 (en)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atidylchol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JP2003171271A (ja) 耐糖能異常用薬剤
EP2147671A1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l-carnitine or derivatives thereof and its use
JP2019182881A (ja) 末梢神経障害の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EP3871661A1 (en)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JPWO2014112641A1 (ja) 一酸化窒素濃度上昇剤
KR20220076382A (ko) 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RU2543635C2 (ru) Способ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постпрандиальной гипергликемии диабета ii типа введением через слизистую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JPS61501558A (ja) 中および長鎖トリグリセライドの非経口栄養補給
KR101671008B1 (ko) TNP(N2-(m-Trifluorobenzyl), N6-(p-nitrobenzyl)pur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EP3762017A1 (en) Glp-1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JP2015131849A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H11130669A (ja) 褥瘡予防治療用アミノ酸栄養剤
US1173071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ciceptive pain
CN114344299A (zh) 一种具有长效缓释作用的脂质释药系统及其制备方法
CN1810238A (zh) 精氨酸口服配方预防和治疗恶液质综合症
RU2725622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печени
RU2698396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арентерального капе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WO200504905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magnesium compound and/or a magnesium saltfor improving sexual dys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