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864B1 - 국소 주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 주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864B1
KR102064864B1 KR1020190015232A KR20190015232A KR102064864B1 KR 102064864 B1 KR102064864 B1 KR 102064864B1 KR 1020190015232 A KR1020190015232 A KR 1020190015232A KR 20190015232 A KR20190015232 A KR 20190015232A KR 102064864 B1 KR102064864 B1 KR 10206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ry powder
dca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남정선
Original Assignee
(주)제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테마 filed Critical (주)제테마
Priority to KR102019001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64B1/ko
Priority to BR112021008420-7A priority patent/BR112021008420A2/pt
Priority to CN202080005682.9A priority patent/CN112955125B/zh
Priority to EP20753264.9A priority patent/EP3871661A4/en
Priority to JP2021524005A priority patent/JP7224687B2/ja
Priority to PCT/KR2020/001686 priority patent/WO2020162685A1/ko
Priority to CONC2021/0004004A priority patent/CO2021004004A2/es
Priority to US17/225,309 priority patent/US2021022026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A 성분의 주사용 건조분말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분말제제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며, pH 가 8.2 이하이기 때문에 주사용수에 용해했을 때 종래 주사제보다 인체에 가까운 pH 환경을 구성해 주사통증이 덜하며, 주사용수에서 DCA 가 침전되지 않고 잘 용해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국소 주사용 조성물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본 발명은 데옥시콜린산을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소적으로 침착 된 지방을 가진 자에게 비수술적으로 통증, 부종 또는 기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지방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주사제에 사용하는 건조분말제제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지방제거시술]
얼굴 등 신체에 국소적으로 침착 된 지방은 미용적인 관점에서 좋지 않다. 예컨대 이중 턱이나 심부볼이 있으면 얼굴이 커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국소부위의 지방침착은 노화, 생활습관 또는 유전적 요인에 따라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이 다양하게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다. 이에 국소 지방감소를 위한 수술적 요법이 등장했다.
지방흡입술, 지방성형술, 지방조각 흡입 절개술 등이 외과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술적 요법이다. 하지만 수술적 요법은 치유과정에 몇 주간의 시간이 소요되고; 당뇨병 환자와 같은 특정 환자는 그 치유기간 더 지연될 수 있으며; 과도 출혈, 내부 장기 손상, 세균 감염, 흉터, 통증과 같은 부작용의 위험성도 내제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PPC 성분의 지방제거주사제]
그래서 수술적 요법의 대안으로 국소 지방감소용 주사제가 대두되었다. 국소 지방감소용 주사제는 지방세포를 분해 시키는 성분으로 구성되어, 피하지방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식으로 사용한다. 국소 지방감소용 주사제의 대표 사례로는 PPC 와 DCA 가 혼합된 리포스타빌이 있다.
PPC 는 필수인지질로서 세포막의 주된 성분이다. PPC 는 1988년 이탈리아 세르지오 마지오리 박사에 의해 눈꺼풀에 노랗게 지방이 침착 되는 질환인 안검황색종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1990년 중반에 파트리시아 리테 박사에 의해 눈밑 지방제거에 대해 사용할 수 있음이 발표되면서, 국소 지방분해시술법에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한편 주사제로 사용할 때는 성분을 작은 입자크기로 분산시켜야 한다. 만약 가용화되지 않고 침전이 잘 형성되는 성분을 주사하게 되면, 큰 입자들이 혈관을 막아, 막힌 혈관 주변의 조직 혈류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조직에 손상이나 자극을 주어, 가려움,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PPC 는 왁스 성상의 고형물질로 수용성 주사용수에서 잘 가용화가 되지 않는 성분이었다.
이에 PPC 를 10 nm 이하의 입자크기로 분산시키기 위해 DCA 가 가용화제로 사용되었다. DCA 는 담즙산 중 하나이다.
[DCA 성분의 지방제거주사제]
PPC 와 DCA 가 혼합된 리포스타빌을 국소 지방감소용으로 오프라벨로 시술하는 과정에서 통증, 국소적 부종, 홍반, 경화, 감각이상, 가려움증, 작열감 등의 부작용이 누적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217497호는 PPC 에 의해 위 부작용이 발생됨을 주장했고, 나아가 담즙산 염만으로도 국소적인 지방의 에멀젼화가 가능하다고 하며, PPC 의 양을 감소하거나 제거한 DCA 소듐염 주사제를 제안했다.
그리고 2015년 4월경 키세라가 이중 턱 치료 주사제로 키벨라를 미국 식품의약품청으로부터 승인 받았고, 현재 키벨라는 보톡스, 내트렐, 쥬비덤에 이어 외과적 수술 없이 주사만으로 미용을 개선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 인정받아, 안면 부위 미용성형분야에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2174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751585호
DCA 성분의 지방제거주사제인 키벨라는 8.2 가 넘는 pH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751585호는 그 이유로써 DCA 의 침전현상을 언급한다. 즉 DCA 의 경우 pH 7.56 - 8.09 범위에서는 겨우 4주 만에 침전이 형성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유통이 가능해야 하는 주사제로 사용할 수가 없었고, pH 를 8.21 - 8.55 로는 맞춰야 침전에 대해 안정할 수 있었다고 밝힌다.
하지만 주사제의 pH 와 삼투압이, 인체의 pH 와 삼투압과 차이가 나면, 통증이 발생한다는 것은 주지의 상식이다. 즉 인체의 pH 는 보통 7.4 - 7.5 정도인데, 주사제의 pH 가 8.21 이상을 벗어난다면, 이는 통증이 유발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키벨라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DCA 의 침전 때문에 불가피하게 통증이 유발되는 범위로 pH 환경을 조절한 셈이다.
본 발명자는 주사통증을 저감 시킬 수 있도록, 인체의 pH 에 보다 근접한 pH 환경으로 이루어진, DCA 성분의 주사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주사할 때, DCA 성분이 침전되지 않고 충분히 가용화 되어 있으며, pH 가 인체의 것과 근접하여 통증이 덜하고, 장기간 유통이 가능한, 주사용 조성물의 개발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수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특징은 DCA 또는 이의 염을 종래 시판된 바 없는 새로운 제형인 건조분말제제로 구현했다는 점이다.
1. DCA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2. 상기 1 에 있어서, pH 가 8.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pH 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pH 가 7.4 - 7.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부형제로서 당 또는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6. 상기 5 에 있어서, 당 또는 당알코올이 만니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본 발명은 적어도 제조일부터 30개월은 안정하고 그 이상의 장기간 동안에도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며, 주사하기 위해 주사용수에 용해했을 때 pH 가 8.2 이하여서 종래 제제보다 주사 통증이 덜하고, 주사용수에 용해했을 때 DCA 가 침전되지 않고 맑게 용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용수에 용해할 때 특별한 교반 기구 없이도 용해속도가 빠르고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적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건조분말제제를 제조할 때 케이크가 잘 형성되는 등 제조상의 이점도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생물학적 오염 등에 있어서 허가 기준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 은 pH 7.0 의 주사용수에서 DCA 원료 자체(좌)와 본 발명에 따른 DCA 건조분말제제(우)를 용해한 결과이다. 위에서부터 각 사진은 용해 전, 용해 10초 후, 용해 30초 후를 나타낸다.
도 2 는 pH 7.8 의 주사용수에서 DCA 원료 자체(좌)와 본 발명에 따른 DCA 건조분말제제(우)를 용해한 결과이다. 위에서부터 각 사진은 용해 전, 용해 10초 후, 용해 30초 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DCA 건조분말제제의 성상이다.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에 해당한다.
도 4 는 주사용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DCA 건조분말제제를 용해한 결과이다. 위에서부터 각 사진은 용해 전, 용해 10초 후, 용해 30초 후, 용해 8시간 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DCA 라 함은 데옥시콜린산을 뜻하며,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 염을 모두 포함하는 뜻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PPC 라 함은 포스파티딜콜린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분말제제라 함은 본 발명자가 창안해낸 DCA 의 신규 제형으로서, 주사용수에 재구성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분쇄되어 있는 고형의 제제를 말한다.
턱밑지방은 안면이 균형 잡히고 조화를 이룬 외모를 갖추기 어렵게 하면서, 실제보다 나이 들고 뚱뚱하게 보이게 한다. 이는 체중과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고, 외모 콤플렉스를 야기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여 정서적으로도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이중 턱의 개선을 요망하는 수요자는 많았으나 비외과적인 치료대안이 마땅하지 않았다.
그러다 2015년 4월경 키세라(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가 이중 턱(double chin) 치료 주사제인 키벨라(Kybella, 코드네임 ATX-101)의 판매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 키벨라는 보톡스, 내트렐, 쥬비덤에 이어 외과적 수술 없이 주사만으로 미용을 개선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서, 안면 부위 미용성형 의약품분야에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북미지역에서 진행된 임상 3상 시험에 따르면, ATX-101 투여군의 68.2% 가 외모가 개선되었다는데 동의했고, 20.5% 가 심리적 영향이 감소했다고 응답해, ATX-101 투여를 통해 피험자들의 행복감과 자존감이 향상되고, 나이들어 보이거나 뚱뚱해 보인다는 느낌이 상당부분 해소되었음이 나타났다.
키벨라는 DCA(Deoxycholic acid)를 활성성분으로 한다. DCA 는 소화관 내에서 지방세포를 파괴하는 담즙의 한 형태이다. 사실 DCA 는 지방을 녹이는 지질성분인 PPC(Phosphatidylcholine) 주사에서 난용성인 PPC 의 가용화제로 사용되던 첨가제였다. 2000년대에는 오프라벨 로 PPC 주사가 복부, 턱 밑, 허벅지, 팔 등에 축적된 피하지방의 감소에 사용되었다. 이후 PPC 성분이 아닌 PPC 주사의 가용화제로 사용한 DCA 가 지방세포의 세포막을 물리적으로 파괴하여 지방세포용해(adipocytolysis)를 유도함을 인지하면서, 키세라가 DCA 를 주성분을 하여 중등증 내지 중증의 볼록하거나 통통한 턱 아래의 지방을 가진 자의 외모개선용 세포용해제로 개발한 것이다.
다만 키벨라는 주사부위 통증이 부작용으로 수반될 수 있다. 이유는 pH 가 지나치게 알칼리성이기 때문이다.
키세라는 1% w/v 농도의 DCA 가 pH 8.2 - 8.5 에서는 침전 형성 없이 안정하나, 인체에 근접한 pH 에서는 침전이 형성되고 가용화가 곤란한 것으로 인식했다. 주사제는 성분이 침전을 형성하면 혈관을 막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성분을 고르게 분산시켜 가용화 시키는 것이 필수다. 이에 키세라는 DCA 의 침전억제를 위해 pH 를 불가피하게 약 8.2 이상의 알칼리성의 환경으로 구성했다. 그러다 보니 키벨라는 주사시 통증을 수반할 수 밖에 없는 제제가 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주사 통증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고민했다. 즉 pH 환경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그리고 놀랍게도 건조분말제제로 DCA 를 구성하면, 인체에 근접한 pH 에서도 침전을 형성하지 않고, 주사할 수 있음을 실험으로써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건조분말제제인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판된 바 없는 DCA 에 관한 신규 제형이다. 본 발명의 주사용 건조분말제제는, 유통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분말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크기로 분쇄된 고체상태이며, 주사할 때는 주사용수에 용해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입자 크기는 주사용수에 신속하게 용해되기에 적절한 사이즈면 충분하며, 특별히 특정 크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제제는 pH 가 8.2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pH 8.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4 - 7.9 이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제제는 주사하기 위해 일반적인 중성의 주사용수에 용해하면, pH 가 마찬가지로 8.2 이하로 구성된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주사용수에 용해했을 때, pH 가 8.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4 - 7.9 이다. 따라서 종래 제품보다 인체에 근접한 pH 환경을 이루기 때문에, 주사시 통증이 상당부분 저감된 것이 특징이다.
사실 본 발명자도 pH 8.2 이하에서는 DCA 가 침전을 형성함을 확인했다. 사실 원료 자체가 침전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으면, 이의 제형만 바꾸는 것으로는 그 성질이 변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침전을 형성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가 알기로는 종래 기술자는 DCA 의 제형을 바꿔보려는 시도를 한 이력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건조분말제제로 제조하면 주사제로 사용할 때 주사용수에 용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가중되기 때문에, DCA 를 고형으로 그 제형을 바꿔보려는 시도는 일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확한 원리는 알 수 없으나, DCA 의 경우 pH 8.2 이하에서 원료 자체는 불안정하게 침전을 형성하나, 건조분말제제로 제형화 한 것은 다시 주사용수에 재구성했을 때 침전이 형성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분말제제는 주성분, 부형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첨가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은 DCA 또는 이의 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DCA 를 사용한다.
주성분의 함량은 총 건조분말제제 건조중량 대비 5 - 50 % 로 배합하는 것이 재구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10 - 2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형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등장성을 조절하고, 장기간 저장안정성이 담보되며, 주사용수에 재구성할 때의 신속한 용해를 고려해 당 또는 당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당 또는 당알코올로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슈크로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말토스, 소르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또는 에리스리톨 등이 있다.
부형제는 총 건조분말제제 건조중량 대비 40 - 90 % 로 배합하는 것이 적절한 건조분말 케이크 형성에 바람직하다. 특히 70 - 8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분말제제는 주사용수에 재구성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만약 재구성 단계가 복잡하고, 특수한 교반 기구로 장시간 교반 해야만 맑게 용해가 이루어진다면, 실제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 상당히 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DCA 건조분말제제는 주사용수에 용해할 때 특별한 교반 기구 없이도 간단하게 용해할 수 있어, 사용상 번거로움이 적으나, 특히 부형제로서 만니톨을 사용하면 주사용수에서의 용해속도와 용해 편의성이 보다 증진되었다.
아울러 만니톨은 건조분말제제를 제조할 때 케이크 형성에 있어서도 보다 이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pH 를 8.2 이하로 구성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염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아세트산, 인산, 타르타르산,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함량은 목적하는 pH 범위에 따라 결정한다.
본 발명은 그 밖에 건조분말제제에서 사용하는 기타 첨가제를 일반적인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주사용 건조분말제제에서 흔히 사용하는 아미노산이나 킬레이트제 등의 안정화제(또는 계면활성제)나 프로필렌글리콜 같은 용해보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건조분말제제는 별도의 안정화제나 용해보조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DCA 가 침전되지 않고, 맑게 용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안정화제나 용해보조제를 배합하지 않더라도 건조분말제제를 제조할 때와 주사용수와 재구성할 때 혼탁하지 않고 DCA 주성분이 맑게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사제에서 함유하는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생물학적 오염 등에 있어서 허가 기준상 미흡하지 않다. 예컨대 종래 제품의 경우는 보존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나, 본 발명은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보존제는 과다 투여를 하게 되면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사용을 줄일 수 있다면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DCA 신규 제형인 건조분말제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주사용수에 부형제를 녹인 후 DCA 주성분을 넣어 현탁 시킨다.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염기성의 pH 조절제를 천천히 넣어 준다. 약 pH 10 이상 정도가 될 정도로 pH 조절제를 투입할 수 있다. 완전히 용해되면 용해된 DCA 용액에 산성의 pH 조절제를 천천히 첨가하여 pH 를 8.2 이하로 조절한다. 최종 부피로 표선하고, 이어서 건조분말을 진행한다. 건조분말은 통상의 기계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조하고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한 건조분말제제는 주사제로 사용할 때 주사용수에 용해시켜 사용하면 된다. 주사용수는 통상적인 중성의 멸균주사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주사용수의 pH 는 대략 7.0 - 7.8 정도이다.
이때 양은 종래 제품인 키벨라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주성분이 신체에서 지방 축적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보고된 0.4 % w/v 내지 2 % w/v 의 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 w/v 내지 1 % w/v 의 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주가 실시예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아래의 표 1 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건조분말제제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
성분 함량
데옥시콜린산 50.0mg
D-만니톨 273.7mg
수산화나트륨 적량
염산 적량
1. 최종 부피의 70% 의 주사용수에 D-만니톨을 녹인 후 데옥시콜린산을 넣어 현탁시킨다.
2.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10M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넣어 준다(최종 약 pH 10이상).
3. 완전히 용해된 데옥시콜린산용액에 1M 염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7.8로 조절한다.
4. 최종 부피(5mL)로 표선한다.
5. 건조분말을 진행한다.실시예 1 은 pH 7.8 이다.
[침전실험]
DCA 원료 자체(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DCA 의 신규 제형인 건조분말제제(실시예 1)를 pH 7.0 과 pH 7.8 의 주사용수에 용해시켜 보았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건조분말제제를 주사하기 위해 주사용수에 용해할 때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기구 없이 손으로 간단하게 교반 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 와 같이 DCA 원료 자체는 용해가 잘 되지 않고 침전물도 형성되었으나, DCA 건조분말제제는 30초면 충분히 용해가 되었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았다. 유사한 pH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원료 자체와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분말제제의 용해 정도가 현격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도 1 은 pH 7.0 의 주사용수에 용해한 경우이고, 도 2 는 pH 7.8 의 주사용수에 용해한 경우이며, 도 1 및 도 2 는 위에서부터 각각 용해 전, 용해 10초 후, 용해 30초 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DCA 건조분말제제는 pH 가 7.8 정도이므로, pH 7.0 과 pH 7.8 의 주사용수에 재구성하기 위해 용해하더라도, pH 가 8.2 이하를 유지하게 되는데, 종래 인식과 달리 DCA 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빠르게 용해가 이루어졌다.
[안정성실험]
다음의 조건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DCA 의 신규 제형인 건조분말제제(실시예 1)의 안정성을 실험했다.
항목 조건
보관용기 바이알: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고무전: 클로로부틸 의료용
보관조건 장기보존조건: 25±2 °C, 60±5 %
가속조건: 40±2 °C, 75±5 %
보관기간 3개월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은 장기보존조건과 가속조건에서도 유연물질의 발생량이 없고, pH 변동성도 거의 없었다. 또한 일부 고형 제제에서 간혹 발생하는 성상의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항목 초기 장기보존조건 3개월 후
(25±2 °C, 60±5 %)
가속조건 3개월 후
(40±2 °C, 75±5 %)
성상 적합 적합 적합
함량 96.7 % 96.7 % 97.3 %
유연물질 N/D N/D N/D
pH 7.8 7.8 7.8
[용해속도 및 제조용이성 실험]
부형제의 종류에 따른 재구성 후 성상비교와 제조 후 성상비교를 실험했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했으며, 단지 부형제만 유당(실시예 2), 과당(실시예 3)으로 바꾼 건조분말제제를 제조했다.
그 결과 모두 건조분말제제가 제조될 수 있었으나, 특히 실시예 1 의 만니톨이 가장 제조 후 가장 안정적인 성상을 나타냈다(도 3 참조). 즉 도 3 을 보면 왼쪽부터 차례대로 만니톨(실시예 1), 유당(실시예 2), 과당(실시예 3)을 사용한 경우이며, 모두 문제없이 케이크 형성이 가능했으나, 특히 만니톨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케이크 형성 정도가 우수했다. 이로써 만니톨을 사용했을 때 제조가 가장 용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재구성시 용해속도와 용해 후 침전형성 여부를 확인했다.
실시예 1, 2, 및 3 에 각각 주사용수를 첨가하고, 5초간 흔들어 준 뒤, 시간 경과에 따른 용해 정도를 확인하고, 상온에서 8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모두 30초 이내에 완전히 용해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1 의 만니톨을 사용하였을 때가 가장 신속하고 완전하게 용해가 이루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 2 및 3 전부 8시간 동안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도 4 참조).

Claims (4)

  1. 주성분이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로서,
    주사용수에 용해하였을 때 7.4 내지 7.9의 pH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부형제로서 당 또는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존제가 제외된 것인 주사용 건조분말제제.
KR1020190015232A 2019-02-08 2019-02-08 국소 주사용 조성물 KR10206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32A KR102064864B1 (ko) 2019-02-08 2019-02-08 국소 주사용 조성물
BR112021008420-7A BR112021008420A2 (pt) 2019-02-08 2020-02-06 Composição tópica injetável
CN202080005682.9A CN112955125B (zh) 2019-02-08 2020-02-06 局部可注射组合物
EP20753264.9A EP3871661A4 (en) 2019-02-08 2020-02-06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JP2021524005A JP7224687B2 (ja) 2019-02-08 2020-02-06 局所注射用組成物
PCT/KR2020/001686 WO2020162685A1 (ko) 2019-02-08 2020-02-06 국소 주사용 조성물
CONC2021/0004004A CO2021004004A2 (es) 2019-02-08 2021-03-30 Composición tópica inyectable
US17/225,309 US20210220260A1 (en) 2019-02-08 2021-04-08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32A KR102064864B1 (ko) 2019-02-08 2019-02-08 국소 주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864B1 true KR102064864B1 (ko) 2020-01-10

Family

ID=6915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232A KR102064864B1 (ko) 2019-02-08 2019-02-08 국소 주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20260A1 (ko)
EP (1) EP3871661A4 (ko)
JP (1) JP7224687B2 (ko)
KR (1) KR102064864B1 (ko)
CN (1) CN112955125B (ko)
BR (1) BR112021008420A2 (ko)
CO (1) CO2021004004A2 (ko)
WO (1) WO20201626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685A1 (ko) * 2019-02-08 2020-08-13 (주)제테마 국소 주사용 조성물
WO2021172897A1 (ko) * 2020-02-26 2021-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7160A (zh) * 2023-07-25 2023-08-22 山东则正医药技术有限公司 水性混悬液及制备方法、冻干粉及应用、脂肪消减注射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62B1 (ko) * 2017-11-03 2018-06-08 주식회사 펜믹스 포스포콜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방분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518A (ko) * 1999-11-05 2001-06-05 이규현 프로포폴의 안정화된 주사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K2422789T3 (en) 2004-05-19 2018-02-26 Los Angeles Biomedical Res Inst Harbor Ucla Medical Ct INJECTABLE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DEOXYCHOLATE
WO2011092690A1 (en) * 2010-01-26 2011-08-0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CN108619089A (zh) 2011-08-23 2018-10-09 凯瑟拉生物制药有限公司 脱氧胆酸和其盐的制剂
KR101932247B1 (ko) * 2012-05-17 2018-12-21 (주)아모레퍼시픽 데옥시콜린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효소의 안정화 방법
US10729700B2 (en) * 2014-06-27 2020-08-04 Medyto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of bile acids and salts for reduction of fat
WO2017079700A1 (en) * 2015-11-04 2017-05-11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Treatments of accumulated fat with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US20180078621A1 (en) * 2016-09-22 2018-03-22 Kyoung Lack Lee Composition for hypotonic lipoly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93872B1 (ko) * 2017-07-03 2020-03-27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4864B1 (ko) * 2019-02-08 2020-01-10 (주)제테마 국소 주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62B1 (ko) * 2017-11-03 2018-06-08 주식회사 펜믹스 포스포콜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방분해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685A1 (ko) * 2019-02-08 2020-08-13 (주)제테마 국소 주사용 조성물
WO2021172897A1 (ko) * 2020-02-26 2021-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TWI768732B (zh) * 2020-02-26 2022-06-2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包含去氧膽酸之醫藥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125A (zh) 2021-06-11
EP3871661A1 (en) 2021-09-01
US20210220260A1 (en) 2021-07-22
JP2022506578A (ja) 2022-01-17
CO2021004004A2 (es) 2021-05-31
CN112955125B (zh) 2024-05-28
WO2020162685A1 (ko) 2020-08-13
BR112021008420A2 (pt) 2021-09-14
JP7224687B2 (ja) 2023-02-20
EP3871661A4 (en)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0260A1 (en)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KR100359556B1 (ko) 티릴라자드의조용매비경구제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2531B2 (ja) デオキシコール酸を含む医薬組成物
US20060222673A1 (en) Injectable phosphatidylcholine preparations
US20170119794A1 (en) Treatments of accumulated fat with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TW201244718A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disease in the oral cavity comprising rebamipide
CN104825873B (zh) Egcg与竹叶黄酮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65730A (zh) 眼用制剂及其制造方法
KR101894521B1 (ko) 흉터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EP3479827B1 (en) Injectable composition for localized fat reduction without pain, edema, and side effect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6617160A (zh) 水性混悬液及制备方法、冻干粉及应用、脂肪消减注射剂
WO2016152519A1 (ja) びまん性神経線維腫用の外用薬
JP2018538315A (ja) 骨関節炎治療のための親水化されたスルファサラジンおよびヒアルロン酸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777316C1 (ru) Инъецируем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3565801B (zh) 用于治疗眼底黄斑水肿的组合物及该组合物在治疗眼部疾病中的应用
DE102017104472A1 (de) Schmelztablette enthaltend Burlulipase und daraus hergestellt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KR102513115B1 (ko) 리토콜릭산을 포함하는 국소지방 감소용 조성물
CN109381466A (zh) 促进糖尿病病人伤口愈合的治疗剂
CN106798916A (zh) 一种治疗hpv感染的组合物及其应用
TW201628635A (zh) 用以改善糖尿病視網膜病變之中草藥組合物及其用途
TW201922261A (zh) 無痛、無水腫且無副作用之局部減脂可注射組成物及製備其之方法
CN114129517A (zh) 一种ak3287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36013A (ko) 탈모치료용 한약제제 및 그 제조 방법
McNamara et al. Laser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Re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