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93B1 -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93B1
KR102165993B1 KR1020200054452A KR20200054452A KR102165993B1 KR 102165993 B1 KR102165993 B1 KR 102165993B1 KR 1020200054452 A KR1020200054452 A KR 1020200054452A KR 20200054452 A KR20200054452 A KR 20200054452A KR 102165993 B1 KR102165993 B1 KR 10216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fat
composition
vitam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20005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7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e.g. cellulases, lact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L-카르니틴(L-carnitine),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구성성분을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체내의 에너지 대사율을 높여 기초 대사량을 향상시키고,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줌으로써 국소 지방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피부 함몰, 피부 처짐, 피부 겉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부작용이 낮아 국소 지방제거 주사제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Injection composition for Local Fat-Dissolving}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L-카르니틴(L-carnitine),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차 늘어나는 비만인구로 인하여 비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비만 클리닉의 수가 날로 늘어나며 비만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비만이란 간단히 말해 체지방이 과축적된 상태로 정의되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의 원인을 제공하며 대사증후군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비만이 아니어도 외관상으로 슬림하고 균형 잡힌 몸매를 갈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비만에 의하여 축적된 복부 지방 등의 국소 지방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인 지방흡입술(liposuction)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적 수술법은 수술부위의 상처, 부종, 마비 및 작열감, 감염의 위험, 피부 또는 신경에 대한 다른 손상 또는 중요기관에 대한 천공 부상을 포함하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이유에 의해, 체지방이 축적된 결과 발생하는 외관상의 비만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소 지방을 분해하는 지방 분해 촉진제가 근래에 들어 사용되고 있다.
지방분해(Lipolysis)란 지방세포에 축적되어 있는 호르몬 감수성 라이페이스 (Hormone sensitive lipase, HSL)의 작용에 의해 중성지방이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 FFA)과 글리세롤(glycerol)로 분해가 되는 과정을 말한다.
지방분해제로 히알루론산을 저분자화 하는 효소의 총칭인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는 Duran-Reynals에 의하여 처음에는 확산 인자로써 알려졌으나, 그 후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에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어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HAase)라 불리게 되었다.
히알루로니데이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과 콘드로이틴, 콘드로이틴설페이트에 존재하는 D-글루쿠로닉 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결합을 가수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Hyaluronidase를 이용한 지방분해에 의한 국소지방 제거방법의 하나로 LLD(Lipolytic Lymph Drainage) 치료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공개특허 10-2009-0111916호).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는 하일루라니데이즈를 고용량(1500IU)으로 사용하여 넓은 범위의 고른 지방제거가 곤란하여 피부의 함몰(Dimpling), 피부처짐 및 주름이 발생하고, 약물에 의한 부작용의 발생으로 인한 계속적인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지방 분해 효과가 뛰어난 국소 지방 제거 주사제 구성에 대한 연구 및 적절한 주사 처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938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057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06549호
본 발명은,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체내에 축적된 지방조직을 분해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L-카르니틴(L-carnitine),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아이소프로페테레놀(Isoproterenol),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및 L-카르니틴(L-carnit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라이페이스(lipase),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choline), 글리시진산(glycyrrhizic acid) 및 L-프롤린(prol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 중 상기 히알루로니데이즈는 300IU 내지 600IU 단위로 포함하고, 조성물 총중량 대비 콜린 알포세레이트 1 내지 5 중량%, 리도카인 1 내지 5 중량%, 비타민 C 0.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 B12 0.01 내지 1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 중 상기 데옥시콜레이트 1 내지 3 중량%, 아이소프로페테레놀 0.01 내지 1 중량%, 카테콜아민 0.01 내지 1 중량% 및 L-카르니틴 0.1 내지 3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1회 주사 용량이 0.5 내지 2.0 cc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0.2 내지 2.5cm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체내의 에너지 대사율을 높여 기초 대사량을 향상시키고, 지방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줌으로써 국소 지방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피부 함몰, 피부 처짐, 피부 겉면이 울퉁불퉁 해지는 부작용이 낮아 국소 지방제거 주사제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MTT assay를 통하여 지방세포 용해도를 in vitro 측정한 그래프이다(수치가 낮을수록 지방세포가 용해되었음을 의미함).
도 2는 주사제 투여 여부에 따른 비만 마우스 모델의 지방세포의 용해를 관찰한 사진이다(화살표는 지방세포가 용해된 부분을 의미함).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히알루로니데이즈는 포유류의 장관이나 고환에서 분비되는 수용성 효소로, 주요 세포 간 물질인 Hyaluronic acid와 결합조직 간의 Glucosaminic bond를 가수분해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조직 간 장벽을 없애주는 작용과 함께 조직의 섬유증식증을 감소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동시에 조직의 붓기와 부종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콜린 알포콜린(Choline Alfoscerate)는 삼투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알포콜린(Choline Alfoscerate)을 용액상에서 더욱 안정화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나타낸다.
상기 리도카인은 국소마취제 또는 보존제로 작용할 수 있다. 보존제는 조성물 내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제로 제조하여 지방세포의 크기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조직 괴사 및 염증을 일으키지도 않으면서, 지방 분해 효과가 우수하였다(실시예 1 내지 3 참조).
상기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지방분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아이소프로페테레놀(Isoproterenol),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및 L-카르니틴(L-carnit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데옥시콜레이트의 경우 직접적으로 지방세포막을 파괴하여 지방세포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여,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지방분해 효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아이소프로페테레놀(Isoproterenol) 아드레날린의 아이소프로필 유사 구조를 가진 약물로, 교감 신경의 베타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이다. 기관지 이완제가 심장 자극제로 활용되기도 하며, 에너지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지방 분해 효과가 있다.
상기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은 부실수진에서 생산되는 호르몬들의 RMFNQ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카테콜아민은 에피네프린이다. 카테콜아민계 호르몬은 지방 분해를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L-카르니틴(L-carnitine)은 정상인의 간이나 신장에서 합성되고 적색류의 고기에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성분으로 지방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L-카르니틴은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이동시켜 베타 산화를 촉진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며, 에너지 생성을 위한 기질이용에 중추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L-카르니틴은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베타 산화를 촉진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달효소I, II와 아실 카르니틴 전달 효소가 L-카르니틴의 작용에 관여하는데, 최근의 연구에서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달효소-I이 지방 산화의 중요한 속도제한 효소로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기질이용에 중추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L-카르니틴은 당피질호르몬 수용체의 기능을 조절하며 당 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함으로써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한다.
이에, 상기 L-카르니틴이 결핍되면, 체지방 연소 속도가 저하되며, 신진 대사율이 떨어지므로, 체지방 감소 효과를 배가시키고, 대사성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주사제에 추가되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라이페이스(lipase),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choline), 글리시진산(glycyrrhizic acid) 및 L-프롤린(prol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페이스(lipase)는 지방을 분해하여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상기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choline)은 세포막은 구성하는 주된 인지질 중의 하나로, 지방세포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글리시진산(glycyrrhizic acid)은 감초로부터 수득 가능한 천연물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뛰어나 본 주사제로 인한 염증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L-프롤린(proline)은 제형 안정화와 점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프롤린을 포함했을 때, 제형의 저장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실험예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점도가 높은 주사제는 환자에게 투여 시 고통을 수반할 수 있는데, 프롤린이 추가된 제형의 경우 점도가 약 0.9cp로, 프롤린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대비 약 1.5 cp로 점도가 감소하여 환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점도 측정 실험 결과 미도시).
상기 주사제 조성물 중 상기 히알루로니데이즈는 300IU 내지 600IU 단위로 포함하고, 조성물 총중량 대비 콜린 알포세레이트 1 내지 5 중량%, 리도카인 1 내지 5 중량%, 비타민 C 0.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 B12 0.01 내지 1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로니데이즈의 함량이 300IU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지방 조직 분해 효과가 미미하며, 600IU 초과로 포함될 경우, 고농도의 주사제가 피부의 한 부위로 투여됨에 따라, 피부 굴곡이 울퉁불퉁해지면서 피부 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지방조직 분해 및 체중조절 효과가 미미하고,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함량에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조해성으로 인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분리가 일어나거나 일부 성분이 침전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리도카인은 전체 조성물 내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존제의 함량이 앞서 언급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체내에 과량으로 인입되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 중 상기 데옥시콜레이트 1 내지 3 중량%, 아이소프로페테레놀 0.01 내지 1 중량%, 카테콜아민 0.01 내지 1 중량% 및 L-카르니틴 0.1 내지 3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옥시콜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1 내지 3 중량%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함량 미미로 인하여 원하는 지방세포 분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지방세포를 직접적으로 손상, 파괴하여 분해하는 데옥시콜린산염이 과량으로 포함시, 체내에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데옥시콜린산염은 지방세포막을 손상, 파괴하여 지방조직을 분해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사람의 개인별 면역반응의 민감도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된 천연 콜린 화합물 중 하나인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와 L-카르니틴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시 면역반응을 반감시킴으로써, 부작용을 현저히 저감시킴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지방 조직의 분해를 통한 체중조절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옥시콜린산염은 앞서 언급된 수치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소프로페테레놀은 함량이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호르몬 유사체이므로, 너무 다량 포함될 경우, 구역ㆍ구토, 복통, 설사, 체취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카테콜아민은 함량이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호르몬이므로, 너무 다량 포함될 경우, 구역ㆍ구토, 복통, 설사, 체취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L-카르니틴의 함량이 상기 0.1 내지 3 중량%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기대하는 지방의 대사의 촉진 효과가 미미하거나, L-카르니틴의 과량 복용으로 인하여 구역ㆍ구토, 복통, 설사, 체취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1회 주사 용량이 0.5 내지 2.0 cc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이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 한 파라미터에는 투약 대상자의 유형, 투약 대상체의 체중 및 투약 대상체의 국소 지방 두께 및 면적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50 내지 100 cc 용량으로 24시간 이내에 1 번, 여러 번 또는 지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 때, 1회 주사 시 주사제 투여 용량은 0.5 내지 2.0 cc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cc, 가장 바람직하게는 0.75cc일 수 있다. 그 이상의 용량을 투여할 경우, 국소 부위에 다량의 주사제가 추여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하의 용량을 투여할 경우,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제는 주 단위로 또는 월 단위로 여러 번 또는 지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피하주사, 피내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주사, 피하 이식, 이식형 주입, 연고, 또는 패치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물을 피부층과 피하층에 주사하는 메조테라피 방법으로 복부를 비롯하여 둔부, 허벅지, 종아리, 턱, 이마, 팔뚝 등 지방이 축적된 전신 부위에 주사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0.2 내지 2.5cm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의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기존 주사제의 경우, 히알루로니데이즈의 함량이 고농도였기 때문에, 주사부위의 고밀화(약 5cm 간격 주사)가 어려워 주사부위 주변에만 지방이 집중적으로 제거되어 피부의 굴곡 현상이나 피부처짐 및 주름이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인하여 불균형이 발생하고, 탄력 저하가 심하여 환자의 불만을 초래하였다.
히알루로니데이즈의 약효가 발현되는 최소단위가 300IU임을 확인하였으며, 600IU를 초과하면 지방세포가 과도하게 가수분해되어 딤플링이나 피하조직에 출혈이 발생할 우려 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주사제 조성물의 함량 범위를 상기 범위 내에서 투여함으로써, 약물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넓은 부위에 최소한의 용량으로 지방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히알루로니데이즈의 단위가 300IU일 때 주사액 확산범위가 직경 약 1㎝인 점을 임상시험에 의하여 확인하 고, 주사 투여 간격을 0.2 내지 2.5 ㎝로 조밀하게 투여하여 균일한 지방제거 및 피부자극에 의한 콜라겐 생성 효과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제는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항세균제, 킬레이트제, 완충제, 보존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약제 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약제학적으로 순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독성이며, 유효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모든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제는 주약과 기타 첨가제를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세균여과기로 여과하여 무균처리한 후 무균상태에서 바이알에 충전한 후 밀봉하는 것으로, 주사제를 제조할 때에는 잔량을 채우기 위해, 물 이외에 주사 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주사용수는 고형주사제의 용해나 수용성 주사제를 희석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증류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하기 표 1 내지 4와 같이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1-1 #1-2 #1-3 #1-4 #1-5
hyaluronidase 1000IU 450IU 150IU 600IU 300IU
choline alfoscerate 2.5 %(w/v) 5 %(w/v) 10 %(w/v) 2.5 %(w/v) 5 %(w/v)
lidocain - - - 3 %(w/v) 3 %(w/v)
vitamin C - - - - 0.1 %(w/v)
vitamin B12 - - - - 0.1 %(w/v)
생리 식염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 중량% 100 %(w/v) 100 %(w/v) 100 %(w/v) 100 %(w/v) 100 %(w/v)
성분 #2-1 #2-2 #2-3 #2-4 #2-5
hyaluronidase 450IU 450IU 450IU 450IU 450IU
choline alfoscerate 3 %(w/v) 3 %(w/v) 3 %(w/v) 3 %(w/v) 3 %(w/v)
lidocain 3 %(w/v) 3 %(w/v) 3 %(w/v) 3 %(w/v) 3 %(w/v)
vitamin C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vitamin B12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deoxycholate 2 %(w/v) - - - 2 %(w/v)
isoproterenol - 0.05 %(w/v) - - 0.05 %(w/v)
catecholamine - - 0.05 %(w/v) - 0.05 %(w/v)
L-carnitine - - - 1 %(w/v) 1 %(w/v)
생리 식염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 중량% 100 %(w/v) 100 %(w/v) 100 %(w/v) 100 %(w/v) 100 %(w/v)
성분 #3-1 #3-2 #3-3 #3-4 #3-5
hyaluronidase 450IU 450IU 450IU 450IU 450IU
choline alfoscerate 3 %(w/v) 3 %(w/v) 3 %(w/v) 3 %(w/v) 3 %(w/v)
lidocain 3 %(w/v) 3 %(w/v) 3 %(w/v) 3 %(w/v) 3 %(w/v)
vitamin C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vitamin B12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lipase 500 IU - - 250 IU 250 IU
phosphatidylchoine - 3 %(w/v) 1 %(w/v) 1 %(w/v)
glycyrrhizic acid - - 3 %(w/v) 1 %(w/v) 1 %(w/v)
L-proline - - - 1 %(w/v) 0.5 %(w/v)
생리 식염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 중량% 100 %(w/v) 100 %(w/v) 100 %(w/v) 100 %(w/v) 100 %(w/v)
성분 #4-1 #4-2 #4-3 #4-4 #4-5
hyaluronidase 600IU 500IU 400IU 300IU 450IU
choline alfoscerate 2 %(w/v) 2 %(w/v) 3 %(w/v) 3 %(w/v) 3 %(w/v)
lidocain 2 %(w/v) 2 %(w/v) 3 %(w/v) 3 %(w/v) 3 %(w/v)
vitamin C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vitamin B12 0.1 %(w/v) 0.1 %(w/v) 0.1 %(w/v) 0.1 %(w/v) 0.1 %(w/v)
deoxycholate 2 %(w/v) 2 %(w/v) 2 %(w/v) 2 %(w/v) 2 %(w/v)
isoproterenol 0.05 %(w/v) 0.05 %(w/v) 0.05 %(w/v) 0.05 %(w/v) 0.05 %(w/v)
catecholamine(epinephrine) 0.05 %(w/v) 0.05 %(w/v) 0.05 %(w/v) 0.05 %(w/v) 0.05 %(w/v)
L-carnitine 1 %(w/v) 1 %(w/v) 1 %(w/v) 1 %(w/v) 1 %(w/v)
lipase 250 IU 250 IU 250 IU 250 IU 250 IU
phosphatidylchoine 1 %(w/v) 1 %(w/v) 2 %(w/v) 2 %(w/v) 2 %(w/v)
glycyrrhizic acid 0.5 %(w/v) 0.5 %(w/v) 0.5 %(w/v) 0.5 %(w/v) 0.5 %(w/v)
L-proline 0.5 %(w/v) 0.5 %(w/v) 0.5 %(w/v) 0.5 %(w/v) 0.5 %(w/v)
생리 식염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 중량% 100 %(w/v) 100 %(w/v) 100 %(w/v) 100 %(w/v) 100 %(w/v)
히알루로니데이즈는 대한뉴팜주식회사의 리포라제(1 바이알 1500IU, 유당수화물 13.3㎎ 포함)를 사용하였다. 콜린 알포레이트(대원제약), 리도카인(한미약품), 페니라민(유한양행), L-카르니틴(드림파마), 비타민 C(대우제약), 비타민 B12(대우제약) 데옥시콜레이트(sigma, USA), 아이소프로테레놀(sigma, USA), 카테콜아민으로 에피네프린(대한약품), 라이페이스(sigma, USA), 포스파티딜콜린(sigma, USA), 글리시진산(sigma, USA) 및 L-프롤린(sigma, USA)을 각 구매처에서 구입하여, 상기 표 1 내지 4에 제시된 함량대로 각각 고르게 혼합하고, 이를 생리 식염수에 용해하여 주사제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하기 표 5와 같이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성분 비1 비2 비3 비4
hyauronidase 3000IU 300 IU 450 IU -
choline alfoscerate - 2 %(w/v) - 3 %(w/v)
lidocaine 0.2 %(w/v) 0.2 %(w/v) - -
pheniramine 0.01 %(w/v) 0.5 %(w/v) - -
L-carnitine 2 %(w/v) - - -
epinephrine - 0.05 %(w/v) - -
Vitamine C 2 %(w/v) 1 %(w/v) - -
aminophylline 4 %(w/v) - - -
bicarbonate - 1 %(w/v) - -
생리 식염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중량% 100 %(w/v) 100 %(w/v) 100 %(w/v) 100 %(w/v)
히알루로니데이즈는 대한뉴팜주식회사의 리포라제(1 바이알 1500IU, 유당수화물 13.3㎎ 포함)를 사용하였다. 콜린 알포레이트(대원제약), 리도카인(한미약품), 페니라민(유한양행), L-카르니틴(드림파마), 에피네프린(대한약품), 비타민 C(대우제약), 아미노필린(sigma, USA) 및 비카보네이트(대원제약)을 각 구매처에서 구입하여, 상기 표 5에 제시된 함량대로 각각 고르게 혼합하고, 이를 생리 식염수에 용해하여 주사제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지방세포 용해 효과 검증
MTT assay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의 adipocyte death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3T3-L1 지방세포를 세포 충만도(confluence) 70~75%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에 제조예 및 비교예의 실험물질을 각각 100μl 처리하여, 섭씨 37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PBS로 2회 세척 후 MTT reagent(50 μl) 처리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DMSO를 처리하여 MTT formazan crystal들을 녹인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군에서 각 실험물질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용해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2-1> 마우스 모델을 통한 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제조예 1-5, 2-5, 3-5 또는 4-5 주사제 약물을 0.1mL씩 스프라그 돌리의 6주령 수컷(체중: 170~200g)의 뒷발 발바닥에 주사하였다. 약물 주사한 후, 1 시간 후 발바닥의 두께를 캘리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자는 실험의 순서나 목적을 모르는 상태(맹검 시험)로 시행했다.
두께 측정 결과 아래 표 6과 같다.
구분 0h 1h 구분 0h 1h
제조예 #1-5 0.322 0.326 제조예 #3-5 0.333 0.340
제조예 #2-5 0.324 0.329 제조예 #4-5 0.321 0.322
상기 표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뒷발 두께가 음성 대조군과 동일하거나, 눈에 띄는 부종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2> 비만 마우스 모델을 통한 지방세포 감소 효과 검증
C57BL/6 흰쥐(4주령)에게 12주 동안 고지방식이(Research diet, 60 %kcal lipid)를 섭취하도록 하여 고도 비만 상태로 만든 후, 24시간, 48시간 뒤에 제조예 1-5, 2-5, 3-5 또는 4-5 주사제를 복부에 0.2mL씩 피하주사 하였다. 약물주입이 완료된지 8일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희생된 마우스에 피하주사를 한 부위를 육안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육안으로 보기에 부분 함몰, 괴사 또는 종괴가 보이지 않았고, 만져봤을 때에도 딱딱하지 않았다.
희생된 마우스의 복부를 절개하여 신속하게 피하지방을 적출하여 4%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에 담가 고정하였다. 고정한 다음 수세와 탈수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paraffin) 용액으로 처리하여 파라핀 블락(paraffin block)을 만들고 4μm두께로 박절하여 헤마토시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한 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염수만을 주사한 음성 대조군에서는 온전한 상태의 지방세포가 관찰되었다. 반면, 제조예 4-5 주사제 모두에서 지방조직이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1-5, 2-5 및 3-5 주사제에서도 모두 4-5 주사제와 유사하거나 조금 적게 지방조직이 용해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염증 반응은 모든 실험군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3> 비만 환자 대상 지방분해 효과 검증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제조예 4-5, 비교예 1을 각각 주사제를 통해 체내에 1달간 4회 간격으로 총 2달동안 투약하였으며, 주사방법은 갈비뼈와 치골 사이 복부에 배꼽을 기준으로 1cm씩 떨어지게 10 cc씩 10 포인트에 주사하였다.
치료대상은 30대 성인 여성 중 BMI 25 이상의 복부 비만환자 각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분 기준 4회 투여 1주일 후 4회 투여 2주일 후 2주 뒤 허리둘레 변화
제조예 #4-5 91.5 78.8 78.1 -13.4
비교예 1 95.2 89.5 90.8 - 4.4
상기 표 7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략 5 kg의 체중감소 효과와 복부 허리 둘레가 13.4 cm 정도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마우스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인체 지방세포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에 포함된 각각의 유효성분들 간의 바람직한 함량비를 통해 시너지 효과가 부여되어 현저한 체중감소 및 복부 둘레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4>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실험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를 25℃에서 각각 24시간, 48시간 방치 후, 그 탁도를 분광 광도계로 3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구분 24시간 48시간 구분 24시간 48시간
1-1 0.1651 0.1922 2-1 0.1003 0.1065
1-2 0.1489 0.1836 2-2 0.1022 0.1066
1-3 0.1336 0.1536 2-3 0.1543 0.1833
1-4 0.1434 0.1633 2-4 0.1201 0.1379
1-5 0.1217 0.1322 2-5 0.1100 0.1212
3-1 0.0958 0.1101 4-1 0.0615 0.0652
3-2 0.0845 0.0913 4-2 0.0501 0.0568
3-3 0.0523 0.0753 4-3 0.0409 0.0429
3-4 0.0574 0.0653 4-4 0.0421 0.0511
3-5 0.0410 0.0559 4-5 0.0351 0.0505
비1 0.2046 0.2244 비3 0.2086 0.2248
비2 0.2115 0.2154 비4 0.1987 0.2388
상기 표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4 보다, 실시예가 조금 더 낮은 탁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프롤린을 포함하는 3-3, 3-4, 4-1, 4-2, 4-3 및 4-4의 탁도는 0.0800 이하의 흡광도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한 함량으로 혼합됨으로써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리도카인(lidocain), 비타민 C, 비타민 B12,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아이소프로페테레놀(Isoproterenol),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L-카르니틴(L-carnitine), 라이페이스(lipase),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choline), 글리시진산(glycyrrhizic acid) 및 L-프롤린(proline)을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니데이즈를 300IU 내지 600IU 단위로 포함하고, 조성물 총중량 대비 콜린 알포세레이트 1 내지 5 중량%, 리도카인 1 내지 5 중량%, 비타민 C 0.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 B12 0.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옥시콜레이트 1 내지 3 중량%, 아이소프로페테레놀 0.01 내지 1 중량%, 카테콜아민 0.01 내지 1 중량% 및 L-카르니틴 0.1 내지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1회 주사 용량이 0.5 내지 2.0 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7.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0.2 내지 2.5cm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20200054452A 2020-05-07 2020-05-07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216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2A KR102165993B1 (ko) 2020-05-07 2020-05-07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2A KR102165993B1 (ko) 2020-05-07 2020-05-07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993B1 true KR102165993B1 (ko) 2020-10-16

Family

ID=7303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52A KR102165993B1 (ko) 2020-05-07 2020-05-07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9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741B1 (ko) * 2021-07-23 2022-05-09 박민규 윤곽 주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076382A (ko) 2020-11-30 2022-06-08 권병소 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KR102576331B1 (ko) 2023-05-03 2023-09-08 장연식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시술방법
KR102588877B1 (ko) 2022-12-28 2023-10-13 이유미 국소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투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3885A1 (en) * 2006-07-14 2009-09-17 Duncan Diane I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at Reduction
KR101706549B1 (ko) 2016-09-09 2017-02-14 손유나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20180064362A (ko) * 2016-02-25 2018-06-14 오명진 셀룰라이트 개선성분 및 항산화 유효성분, 부종감소 및 통증완화 성분을 함유한 다이어트 주사용 조성물
KR102005752B1 (ko) 2019-04-17 2019-07-31 손유나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20190117207A (ko) * 2018-04-06 2019-10-16 김민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102093872B1 (ko) 2017-07-03 2020-03-27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3885A1 (en) * 2006-07-14 2009-09-17 Duncan Diane I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at Reduction
KR20180064362A (ko) * 2016-02-25 2018-06-14 오명진 셀룰라이트 개선성분 및 항산화 유효성분, 부종감소 및 통증완화 성분을 함유한 다이어트 주사용 조성물
KR101706549B1 (ko) 2016-09-09 2017-02-14 손유나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2093872B1 (ko) 2017-07-03 2020-03-27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7207A (ko) * 2018-04-06 2019-10-16 김민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102005752B1 (ko) 2019-04-17 2019-07-31 손유나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382A (ko) 2020-11-30 2022-06-08 권병소 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KR102395741B1 (ko) * 2021-07-23 2022-05-09 박민규 윤곽 주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88877B1 (ko) 2022-12-28 2023-10-13 이유미 국소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투여방법
KR102576331B1 (ko) 2023-05-03 2023-09-08 장연식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시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93B1 (ko)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1706549B1 (ko)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102005752B1 (ko)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Nasiri et al. The effects of Arnebia euchroma ointment on second-degree burn wound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871399B1 (fr) Utilisation de la lecithine comme medicament dans le traitement du psoriasis
EA032439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ран
US10226503B2 (en)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reducing topical fat and promoting weight loss as well as applications thereof
CN111166760A (zh) β-烟酰胺单核苷酸或其前体的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
US8802085B2 (en) Compositions for topical treatment of medical conditions including wounds and inflammation
TWI580422B (zh) Compositions for reducing local fat and weight loss, and pharmaceuticals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090111916A (ko) 국소 지방 제거용 약학 제제
US20060205699A1 (en) Topical treatment for psoriasis
CN101342174B (zh) 一种酞丁安/达克罗宁的复方局部用制剂
KR102037959B1 (ko) 지방 분해용 조성물
CN108635253A (zh) 一种婴幼儿蛋黄油化妆品
KR102145376B1 (ko)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20140104823A (ko) 당뇨병성 창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202336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and oils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and their preparation
US11154583B2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kin relief cream useful for eczema, psoriasis, lipoma, burn wounds, scars, keloids, shingles, dry skin disorders, and skin allergies
JP2860550B2 (ja) 急性皮膚炎症治療剤
KR102576331B1 (ko)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그 시술방법
KR102517928B1 (ko) 히알루로니다제 및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국소 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KR20200084814A (ko)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개선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키트
CN109223931A (zh) 一种治疗烧伤的烧伤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