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758B1 -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758B1
KR102598758B1 KR1020210025503A KR20210025503A KR102598758B1 KR 102598758 B1 KR102598758 B1 KR 102598758B1 KR 1020210025503 A KR1020210025503 A KR 1020210025503A KR 20210025503 A KR20210025503 A KR 20210025503A KR 102598758 B1 KR102598758 B1 KR 10259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oxycholic acid
gel
dca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902A (ko
Inventor
윤소라
소진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10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902A/ko
Priority to KR102023014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Bio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며, pH가 7.0 내지 8.0이고, 25℃ 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DEOXYCHOLIC ACID}
본 발명은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분해(lipolysis)란 지방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중성 지방이 분해되는 것으로서, 호르몬 감수성 리파아제(Hormone sensitive lipase, HSL)의 작용에 의해서 중성 지방이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 FFA)과 글리세롤(glycerol)로 분해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호르몬이나 자율신경에 의해서 조절된다. 최근에는 운동 또는 식이요법보다 손쉬운 체중 감량 또는 몸매관리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이러한 지방분해를 이용한 지방분해주사가 인기를 얻고 있다.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의 지방분해 용도는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 발표된 문헌들은 데옥시콜린산의 수용성 용액이 생체내 지방성 축적물 내로 주입될 때 지방을 제거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국제특허출원 WO 2005/117900 및 WO2005/112942, 미국특허출원 US2005/0261258; US2005/0267080; US2006/127468; 및 US2006/0154906 등).
또한, 데옥시콜린산(DCA)은 용해도(Solubility)가 높아, 제제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데옥시콜린산(DCA)의 수용성 조성물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선택적으로 벤질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성 용액들에서 낮은 농도로 일정 기간 동안 보관 되는 경우 하얀색의 침전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놀랍게도 데옥시콜린산(DCA) 농도가 더 낮아질수록 침전의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침전은 데옥시콜린산(DCA)의 피하 주사들이 낮은 농도에서 역-지시 (counter-indicated)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중에 유통되는 미용 주사제들의 평균적인 유효기간이 24개월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침전물이 발생하면 사실상 안정성을 이유로 상용화가 불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데옥시콜린산(DCA)의 농도를 훨씬 높게, 예를 들어, 5중량% 내지 약 16중량% 농도로 제조한 후, 의사의 사용 직전에 상기 용액을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관 안정성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일상적인(routine) 사용의 방법으로서 특히 많아야 약 0.2 mL의 무균의 주사 가능한 용액이 요구되는 경우라면 이상적이지 않다. 더구나, 현재의 임상적 치료방법은 치료 세션 당 50회까지의 주사를 포함하고 있어서 매 주사마다 일일이 희석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다른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pH를 8.5까지 높인 범위로 조절하여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는 시판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높은 pH로 인한 작열감, 염증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어, 보다 낮은 pH에서 침전 안정성을 만족하면서도 부작용이 감소된 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120712호
본 발명은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종래의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비하여 낮은 pH에서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 보관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투여부위에서 작열감, 염증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며, pH가 7.0 내지 8.0이고,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보관 기간 동안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비하여 낮은 pH를 가짐에 따라 인체 내 pH와 유사해지고, 주사 부위 국소 pH의 회복이 빨라져 주사 통증을 현저히 완화할 수 있고, 투여 부위에서 작열감,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지방분해(lipolysis), 비만 특히 국소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pH 완충능 비교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며, pH가 7.0 내지 8.0이고,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데옥시콜린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모두 공지 물질로서,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염은 동물 유래, 예를 들면 소의 담즙산(Bile acid)을 추출후 결정화(crystallization) 및 정제하여 고순도의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염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염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예를 들어, Sigma-aldrich, PCA S.P.A 등으로부터 구입 가능).
본 발명의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데옥시콜린산은 (4R)-4-((3R,5R,10S,12S,13R,17R)-3,12-디하이드록시-10,13-디메틸헥사데카하이드로-1H-고리펜타[a]페난트렌-17-일)펜타노에이트이며,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통상의 금속염 형태, 예를 들어 리튬, 소듐,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카리 토금속염; 또는 크롬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데옥시콜린산(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1 내지 50mg/mL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mg/m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mg/mL 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데옥시콜린산(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함으로써 지방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데옥시콜린산(DCA)을 적절한 양으로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는 눈 밑, 턱 밑, 팔 밑, 엉덩이, 종아리, 등, 넓적다리, 발목, 복부 부위 등에 국소로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용 제제(국소 투여 제제를 포함)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경피 투여용 제제, 피하 투여용 제제, 정맥내 투여용 제제, 근육내 투여용 제제 또는 복강내 투여용 제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하 투여용 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단회 투여용 또는 수회 투여용 제제일 수 있다. 상기 수회 투여용 제제는 약 0.2 ml의 용적으로 7일 내지 1개월 간격으로 총 6회까지 시행 가능하며, 1일 최대 60회 이하 투여되기에 적합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0.5 내지 2.0cm로 이격된 부위에 반복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용액, 에멀젼, 현탁액, 동결건조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 제제는 앰플, 시린지 또는 바이알에 충전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전이나 겔화 발생을 줄이기 위해 시린지에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전에 제균 여과기 등으로 무균 여과하거나, 가능한 경우 충전 후 사후 멸균하여 제제의 무균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제제의 형태의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및/또는 담체를 사용하여 제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등장화제, 보존제(혹은 항균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용해도증강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및 무통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유기 용매 및 수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주사용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H 조절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디에탄올아민, 아세트산, 메글루민, 시트르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아디프산, 시트르산, 염산, 락트산, 황산, 타타르산, 인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pH 조절제를 0.1-5mg/mL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4m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mg/m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2mg/m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1.5mg/mL 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pH 7.0 내지 pH 8.0의 범위, 예컨대 pH 7.3 내지 pH 8.0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pH 7.5 내지 8.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pH 범위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될 경우, 통증 및/또는 염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건강한 사람의 신체는 위액과 소변을 제외하고는 pH 7.2 ~ 7.8을 유지하며, 이 중 혈액 등의 체액은 보통 pH 7.4 정도(약 pH 7.35-7.45의 범위)이다. 이러한, pH 값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데, 일례로 pH 8을 초과하는 조성물의 경우 체액의 pH 보다 너무 높은 pH를 가져 투여 부위에서 작열감과 같은 통증, 염증 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체내에 투여되는 조성물의 경우 체액과 유사한 범위의 pH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pH 7.0 내지 pH 8.0의 범위, 예컨대 pH 7.3 내지 pH 8.0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pH 7.5 내지 8.0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체내 투여 시 작열감과 같은 통증이나 염증 반응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5℃에서 전기전도도가 0.1mS/cm 내지 5mS/cm, 더 구체적으로 0.1mS/cm 내지 4mS/cm, 보다 더 구체적으로 0.1mS/cm 내지 3mS/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pH 완충제(buffer)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이온성인 pH 완충제(buffer)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25℃에서 전기전도도를 낮출 수 있고, 5mS/cm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일정한 범위의 pH을 유지하기 위하여 pH 완충제(buffe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pH 완충제(buffer)로 사용되는 것은 예를 들어, 아디프산, 붕산,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젖산칼슘, 인산삼석회, 소듐 포스페이트, 시트르산, 말레산, 말산, 글루탐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붕산, 시트르산삼나트륨, 소듐락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무수인산수소나트륨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무수인산수소나트륨 및/또는 시트르산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pH 완충제(buffer)를 포함하지 않고도 pH 7.0 내지 8.0의 범위에서 일정한 범위로 pH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pH 완충제(buffer)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pH 7.0 내지 8.0의 범위에서도 겔화 및 침전이 발생하지 않아 보관 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해졌다. 또한, pH를 유지하기 위한 pH 완충제(buffer)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완충제에 의한 pH 완충 작용이 없기 때문에 더욱 빠르게 주사 부위의 국소 pH가 회복될 수 있고, 주사 통증이 현저히 완화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pH 완충제(buffer)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pH 완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를 만족한다는 의미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의 값을 갖는다는 전제하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량의 pH 완충제(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 완충제(buffer)의 함량은 조성물 기준으로 0.1 - 30mM, 0.1 - 25mM, 0.1 - 20mM, 0.1 - 17mM, 0.1 - 15mM, 0.1 - 13mM, 0.1 - 10mM, 0.1 - 7mM, 또는 0.1 - 5m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래의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비하여 낮은 pH인 pH 8.0 이하에도 불구하고 보관 기간 동안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낮은 pH를 가짐에 따라 인체 내 pH인 pH 7.4와 유사해지고, 주사 부위 국소 pH의 회복이 빨라져 주사 통증을 현저히 완화할 수 있고, 투여 부위에서 작열감,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올(polyol), 아미노산(amino acid)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첨가제로서 등장화제(isotonic agent) 역할을 하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이온성 물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염화나트륨과 같은 이온성 물질을 대신하여 폴리올(polyol), 아미노산(amino acid)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처럼 이온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을 수 있으며,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5℃에서 전기전도도가 0.1mS/cm 내지 5mS/cm, 더 구체적으로 25℃에서 전기전도도가 0.1mS/cm 내지 4mS/cm, 보다 더 구체적으로 0.1mS/cm 내지 3mS/cm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낮은 pH에도 불구하고 침전 및 겔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폴리올은 다수의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을 갖는 물질로써 당(환원 및 비환원), 당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수크로오스(sucrose), 글리세롤(glycer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트레할로스(trehalose),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말토스(maltose), 글루코스(glucose)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침전 및 겔화 방지 효과를 고려했을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sucrose), 글리세롤(glycerol) 및 만니톨(mannitol)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은 히스티딘(histidine), 메티오닌(methion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티로신(tyrosine), 프롤린(prol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아스파라진(asparagine), 글루타민(glutamine),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침전 및 겔화 방지 효과를 고려했을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스티딘(histidine) 및/또는 메티오닌(methion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poloxamer) 및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록사며 188,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8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침전 및 겔화 방지 효과를 고려했을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sucrose), 글리세롤(glycer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polyol), 아미노산(amino acid)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0.1 내지 500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0mM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50mM, 0.3 내지 300mM, 0.3 내지 250mM, 또는 0.3 내지 230m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상기 첨가제를 함유함으로써 조성물의 삼투압을 체액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옥시콜린산(DCA)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상기 폴리올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폴리올로서 수크로오스, 글리세롤 및 만니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범위내에서 pH 조절제 또는 pH 완충제(buff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 첨가되는 pH 조절제 또는 pH 완충제(buffer)는 시트르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아디프산, 시트르산, 인산, 소듐포스페이트, 디소듐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인산염, 무수인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젖산칼슘, 말레산, 말산, 글루탐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시트르산삼나트륨, 소듐락테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침전 및 겔화 방지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모노나트륨인산염 및/또는 시트르산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더 첨가되는 pH 조절제 또는 pH 완충제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가 되는 범위내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최종 조성물 기준으로 0.1 - 30mM, 0.1 - 25mM, 0.1 - 20mM, 0.1 - 17mM, 0.1 - 15mM, 0.1 - 13mM, 0.1 - 10mM, 0.1 - 7mM, 또는 0.1 - 5mM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벤질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토늄, 페놀, 크레솔, 클로로크레솔 및 클로로부탄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수용성 용액들은 보존제로서 벤질 알코올을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벤질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성 용액들에서 데옥시콜린산의 낮은 농도는 일정 기간 동안 보관 이후에 침전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벤질 알코올은 피부에 접촉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벤질 알코올의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벤질 알코올을 대신하여 보존제로서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토늄,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솔 및 클로로부탄올을 포함하는 종래에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수용성 용액의 경우가 있다. 그러나, 미생물을 죽이거나 번식을 막는 보존제의 특성상 여러 실험 및 임상 연구에서 보존제에 노출시 인체 자극 및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단회 투여 제형의 경우 상기와 같은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벤질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토늄,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솔 및 클로로부탄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시 침전 및 겔화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시 피부 자극을 줄이고, 제제에 의한 잠재적인 독성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옥시콜린산(DCA)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지방분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분해의 유도 혹은 비만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지방분해 유도방법 혹은 비만의 치료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분해 유도 혹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상기 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예방"이란 발병 증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러한 위험성이 높은 객체에 사용될 때 발병 징후를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예 1: pH 완충능 비교 실험]
주사용수에 10mM 소듐 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 10mM 트리스(TRIS), 10mg/mL의 데옥시콜린산(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각각 용해시킨 후, NaOH 수용액 또는 HCl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7.5로 적정하였다. (데옥시콜린산 용해시에는 NaOH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여 데옥시콜린산이 완전히 용해된 후 이후 HCl 수용액을 가하여 pH 적정하였다.) 이후, pH 7.5에서 7.0 구간의 완충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40mL의 용액을 취하여 0.5M HCl을 40㎕씩 첨가하며 pH를 측정하였다. 또한, pH 7.5에서 8.0 구간의 완충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40mL의 용액을 취하고 0.5M NaOH를 40㎕씩 첨가하며 pH를 측정하였다. 각 용액의 완충능을 계산하기 위하여 pH의 변화량에 대한 첨가한 염기 또는 산의 양을 선형회귀분석하여 두 변수 사이의 기울기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완충능(mEq/L/pH)
pH 7.5-7.0 pH 7.5-8.0
10mM 소듐 포스페이트 4.9 3.1
10mM 트리스 2.2 4.0
10mg/mL의 데옥시콜린산 4.0 1.2
표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pH 8.0 부근에서 흔히 사용되는 소듐 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 트리스(TRIS) pH 완충제(buffer)와 10mg/mL의 데옥시콜린산(DCA)이 유사한 정도의 완충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H 7.5-7.0 구간에서 10mg/mL의 데옥시콜린산(DCA)의 pH 완충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1
약 25∼30℃의 주사용수 80-85 ml에 데옥시콜린산(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25mg/mL을 첨가한 후,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데옥시콜린산이 용해되도록 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여 데옥시콜린산이 모두 용해된 후 300rpm으로 약 30분 동안 추가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의 pH를 0.5N 염산으로 pH 8.0으로 조절한 다음,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췄다.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제균 여과한 후 바이알에 충진하고 5℃에 보관하였다. 25℃ 전기전도도는 4.9mS/cm였다.
비교예 1
pH를 8.0으로 조절한 다음 소듐 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를 20mM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25℃ 전기전도도는 9.1mS/cm였다.
비교예 2
pH를 8.0으로 조절한 다음 트리스(TRIS)를 20mM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25℃ 전기전도도는 5.6mS/cm였다.
비교예 3
pH를 8.0으로 조절한 다음 소듐 비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를 20mM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25℃ 전기전도도는 9.0mS/cm였다.
[실험예 1: 보관 안정성 실험]
실시예 1,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제제를 5℃ 챔버에서 불출한 직후, 25℃ 1시간 상온화 후 침전 및 겔화 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불출 직후 1시간 상온화 후
겔화 침전 겔화 침전
실시예1 0 0 0 0
비교예1 2.5 2 1 2
비교예2 0 1 0 1
비교예3 0 0 0 1
* 0: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이나 겔(gel) 없음
1: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이나 겔(gel) 있음
2: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수초 내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이나 겔(gel) 있음
3: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이나 겔(gel) 있음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pH 완충제(buffer)를 사용하여 전기전도도가 5mS/cm를 초과하는 비교예 1~3의 경우 침전 및/또는 겔(gel)화가 발생된 반면에, pH 완충제(buffer)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실시예 1의 경우 불출 직후 및 상온화 후에도 침전 및/또는 겔(gel)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6, 비교예 4
약 25∼30℃의 주사용수 80-85 ml에 데옥시콜린산(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10mg/mL을 첨가한 후,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데옥시콜린산이 용해되도록 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여 데옥시콜린산이 모두 용해된 후 300rpm으로 약 30분 동안 추가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의 pH를 0.5N 염산으로 pH 7.5로 조절한 다음, 하기 표 3과 같이 첨가제를 첨가하여 녹이고,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췄다.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제균 여과한 후 바이알에 충진하고 5℃에 보관하였다.
비교예 5
약 25∼30℃의 주사용수 80-85 ml에 소듐 포스페이트 디베이직(sodium phosphate dibasic)을 1.42mg/mL이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1.43m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20분동안 교반시켰다. 데옥시콜린산(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10mg/m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0rpm으로 약 60분 동안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의 pH를 0.5N 염산으로 pH 7.5로 조절한 다음, 첨가제로서 염화나트륨 4.38mg/mL, 벤질 알코올 9mg/mL을 첨가하고 약 10분 동안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췄다.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제균 여과한 후 바이알에 충진하고 5℃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2: 보관 안정성 실험]
실시예 2~6, 비교예 4~5에서 제조한 제제를 5℃에서 2개월 보관한 후 침전 및 겔화 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첨가제 Sucrose 100mM Glycerol 100mM Histidine 50mM Methionine 50mM Poloxamer 188** 0.6mM NaCl
50mM
NaCl
74.9mM
전기전도도
(mS/cm)
2.3 2.4 2.7 2.5 2.3 7.4 11.6
삼투압
(mOsm/kg)
148 146 93 88 38 147 287
pH 7.49 7.50 7.52 7.53 7.52 7.45 7.48
5℃2개월 후 침전 발생
여부*
0 0 0 0 0 3 3
* 0: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이나 겔(gel) 없음
1: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이나 겔(gel) 있음
2: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수초 내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이나 겔(gel) 있음
3: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이나 겔(gel) 있음
** Poloxamer188은 평균 분자량인 8400dalton으로 5mg/mL을 몰농도로 환산
표 3을 참조하면, 첨가제로 NaCl과 같은 이온성 물질을 사용한 비교예 4는 침전이 발생한 반면에, 첨가제로서 폴리올, 아미노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 2~6의 경우 pH 7.5에서도 침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22
하기 표 4와 같이 첨가제를 첨가하고, pH를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pH를 8.3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벤질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약 25∼30℃의 주사용수 80-85 ml에 소듐 포스페이트 디베이직(sodium phosphate dibasic) 1.42mg/mL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이 최종 부피 기준 약 1.07mg/mL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 데옥시콜린산(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10mg/mL 첨가한 후, 300rpm으로 약 60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의 pH를 염산으로 pH 8.3으로 조절한 다음, 첨가제로서 염화나트륨이 최종 부피 기준 147mM이 되도록 첨가하고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췄다.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여과한 후 바이알에 충진하였다. 충진한 바이알을 5℃에 보관하였다.
비교예 9
pH를 7.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Sucrose (mM) Glycerol (mM) Met
(mM)
P188**
(mM)
PS20
(mM)
ppH 전기전도도 (mS/cm) 삼투압
(mOsm/kg)
실시예7 87.6 162.9 - - - 7.5 1.7 296
실시예8 146.1 108.6 - - - 7.5 1.6 306
실시예9 204.5 54.3 - - - 7.5 1.6 314
실시예10 146.1 108.6 20.1 - - 7.5 1.6 321
실시예11 146.1 108.6 - 0.36 - 7.5 1.6 307
실시예12 146.1 108.6 - - 2.44 7.5 1.6 305
실시예13 146.1 108.6 20.1 0.36 - 7.5 1.5 325
실시예14 146.1 108.6 20.1 - 2.44 7.5 1.5 326
실시예15 87.6 162.9 - - - 8.0 1.7 292
실시예16 146.1 108.6 - - - 8.0 1.6 296
실시예17 204.5 54.3 - - - 8.0 1.6 312
실시예18 146.1 108.6 20.1 - - 8.0 1.7 319
실시예19 146.1 108.6 - 0.36 - 8.0 1.6 304
실시예20 146.1 108.6 - - 2.44 8.0 1.6 301
실시예21 146.1 108.6 20.1 0.36 8.0 1.7 331
실시예22 146.1 108.6 20.1 - 2.44 8.0 1.7 321
비교예5 - 7.5 11.6 287
비교예6 - 8.3 11.7 288
비교예7 - 7.5 11.5 204
비교예8 - 8.3 17.7 318
비교예9 - 7.5 18.0 317
* Met: 메티오닌(methionine)
P188: 폴록사머 188(poloxamer 188)
PS20: 폴리소르베이트20(polysorbate 20)
** Poloxamer188은 평균 분자량인 8400dalton으로 5mg/mL을 몰농도로 환산
[실험예 3: 보관 안정성 실험]
실시예 7~22, 비교예 5~9에서 제조한 제제를 바이알(vial) 또는 시린지(syringe)에 충전하여 5℃에서 11일, 1개월, 2개월 보관한 후 불출 직후 및 25℃로 상온화 후의 침전 및 겔화 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11일 1개월 2개월
vial
(불출직후/상온화후)
syringe
(불출직후/상온화후)
vial
(불출직후/상온화후)
syringe
(불출직후/상온화후)
vial
(불출직후/상온화후)
syringe
(불출직후/상온화후)
실시예7 - - - - - -
실시예8 - - - - - -
실시예9 - - - - - -
실시예10 - - - - - -
실시예11 - - - - - -
실시예12 - - - - - -
실시예13 - - - - - -
실시예14 - - - - - -
실시예15 - - - - - -
실시예16 - - - - - -
실시예17 - - - - - -
실시예18 - - - - - -
실시예19 - - - - - -
실시예20 - - - - - -
실시예21 - - - - - -
실시예22 - - - - - -
비교예5 일부 겔/- 일부 겔/- 겔/- 겔/- 겔/- 겔/-
비교예6 - - - - - -
비교예7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비교예8 겔/침전 - 겔+침전/일부 겔+침전 일부 겔/- 겔+침전/일부 겔+침전 일부 겔/-
비교예9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겔+침전/겔+침전
* - : 겔(gel) 및 침전이 없음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7~22의 경우는 11일, 1개월, 2개월 보관 후 불출 직후 및 상온화 후에 바이알 및 시린지에서 모두 겔(gel) 및 침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22의 경우 벤질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pH가 체내와 유사하기 때문에 안전성과 투여시 통증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비교예 5~9를 살펴보면, 벤질 알코올이 겔화/침전 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벤질 알코올은 유럽의 몇몇 국가를 포함한 국가들에서 안전성의 이슈가 있다. 한편, 바이알 대비 시린지에서 침전 발생 정도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34
약 25∼30℃의 주사용수 80-85ml에 최종 농도 기준으로 수산화나트륨을 1.07mg/mL, 데옥시콜린산(DCA, 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10mg/m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0rpm으로 약 20분 동안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소듐 포스페이트 모노베이직(sodium phosphate monobasic),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글리세롤(glycerol), 수크로오스(sucrose)를 하기 표 6에 따른 농도로 첨가하고 추가 교반하여 모두 용해시켰다. 이어서, 필요 시 1N 수산화나트륨을 소량씩 가하여 pH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한 후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췄다.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제균 여과한 후 바이알에 충진하고 55℃에 3개월, 40℃ 및 25℃에 4개월, 5℃에 5개월 보관하였다. 모든 바이알은 충전 직후에 이물이 없이 깨끗한 성상이었으며, 삼투압이 284-306 mOsm/kg, 전기전도도는 2.79-3.87 mS/cm 이었다.
DCA (mg/mL) NaOH (mg/mL) Sodium Phosphate Monobasic (mM) Sodium citrate(mM) Sucrose(mM) Glycerol (mM) pH 전기전도도(mS/cm) 삼투압 (mOsm/kg)
실시예23 10 1.07 5 5 220 0 7.8 2.82 297
실시예24 10 1.07 5 5 0 220 7.8 3.25 286
실시예25 10 1.07 5 5 110 110 7.8 3.02 292
실시예26 10 1.07 10 5 220 0 7.8 3.38 306
실시예27 10 1.07 10 5 0 220 7.8 3.87 294
실시예28 10 1.07 10 5 110 110 7.8 3.62 303
실시예29 10 1.07 5 5 220 0 7.6 2.79 300
실시예30 10 1.07 5 5 0 220 7.6 3.23 287
실시예31 10 1.07 5 5 110 110 7.6 2.99 291
실시예32 10 1.07 5 5 220 0 8.0 2.87 298
실시예33 10 1.07 5 5 0 220 8.0 3.29 284
실시예34 10 1.07 5 5 110 110 8.0 3.09 292
각 온도에 정해진 보관 기간 만큼 보관 후 바이알을 불출하여 이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55℃ 3개월, 40℃ 4개월, 25℃ 4개월, 5℃ 5개월 보관 후 실시예 23-34의 모든 바이알에서 이물 또는 겔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써 실시예 23-34의 모든 구성이 DCA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조성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5-38
DCA의 액상제형 별 저온 노출 후 겔화 여부 및 겔화 후 겔이 액상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약 20-30℃의 주사용수 70-90 ml에 최종 농도 기준 수산화나트륨을 1.07mg/mL, 데옥시콜린산(DCA, Sigma-aldrich사로부터 입수)을 10mg/mL가 되도록 첨가한 후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소듐 포스페이트 모노베이직(sodium phosphate monobasic) 및/또는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를 아래 표 7에 따른 농도로 첨가하여 4종의 제형을 실시예 35-38의 기본 제형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기본 제형 실시예 35-38의 구성에 폴리올(polyol) 미첨가, 만니톨(mannitol) 25mM, 50mM, 250mM, 및 500mM, 수크로오스(sucrose) 25mM, 50mM, 250mM, 500mM, 글리세롤(glycerol) 25mM, 50mM, 250mM, 500mM이 되도록 추가 폴리올을 첨가 및 추가 교반하여 모두 용해시켰다. 필요시 1N HCl 또는 1N NaOH를 소량씩 가하여 pH가 7.5가 되도록 조절하고 주사용수로 최종 부피 100ml을 맞추어 총 52종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를 각각 멤브레인 필터(PES 0.22μm 필터, Millipore, USA)로 제균 여과한 후 바이알에 2mL씩 충진하고 5℃에 23일 보관하였다.
DCA (mg/mL) NaOH (mg/mL) Sodium Phosphate Monobasic(mM) Sodium citrate(mM) Polyol pH
실시예35 10 1.07 0 0 Polyol 미포함 또는Mannitol/Sucrose/Glycerol 중 1종 25mM, 50mM, 250mM 또는 500mM 포함 7.5
실시예36 10 1.07 5 0
실시예37 10 1.07 0 5
실시예38 10 1.07 5 5
5℃에 3일 보관 후, 23일 보관 후, 상온 불출 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시점에 겔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상온 불출 후 90분 시점에 이물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3일 및 23일 보관 후 겔화 유무 관찰시에는 상온 노출에 의한 영향이 없도록 콜드룸 내에서 겔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5-38의 모든 제형은 5℃ 3일 보관후 겔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모든 제형은 5℃에서 3일까지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듐 포스페이트 및 소듐 시트레이트를 모두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35 그룹 제형들은 5℃에 23일 까지 보관 하더라도 겔이 발생되지 않았다. 실시예 36, 37, 38 그룹의 제형들은 5℃, 3일까지는 겔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23일 보관후에는 겔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제형을 상온 불출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시점에 겔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겔이 사라진 시점(불출후 시간, 분)을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Salt Polyol 5℃에서 상온 불출 후 겔이 액상으로 변하는데 걸린 시간 (min)*
Polyol 0mM Polyol 25mM Polyol 50mM Polyol 250mM Polyol 500mM
실시예 35 없음 Mannitol 0 0 0 0 0
Sucrose 0 0 0 0
Glycerol 0 0 0 0
실시예 36 Sodium Phosphate monobasic 5mM Mannitol 30 30 30 30 30
Sucrose 30 30 15 0
Glycerol 30 30 30 15
실시예 37 Sodium Citrate 5mM Mannitol 90 45 45 45 30
Sucrose 30 30 15 0
Glycerol 30 30 30 15
실시예 38 Sodium Phosphate monobasic 5mM,
Sodium Citrate 5mM
Mannitol 90 90 90 90 90
Sucrose 90 45 45 30
Glycerol 90 45 45 30
*: 시간이 0인 경우 5℃ 보관 23일 후 겔(gel)이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36의 그룹의 경우 수크로오스 500mM를 포함한 제형은 5℃ 23일 보관 후에도 겔이 발생하지 않았다. 수크로오스 250mM을 포함한 제형은 상온 불출 15분 후, 그 외의 제형은 모두 30분 후 겔이 없어지며, 겔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물 검사 결과 모든 바이알에 이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36의 그룹의 모든 제형은 저온에서 겔이 발생하더라도 상온에서 30분 정도 방치할 경우 액상이 되며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크로오스를 500mM 포함한 제형의 경우 겔 생성 방지 효과가 있으며, 수크로오스를 250mM 포함한 경우 저온에서 발생한 겔이 액상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어 사용 편의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7 그룹의 경우 폴리올을 포함한 모든 조성이 폴리올이 없는 조성보다 액상이 되는데 걸린 시간이 짧았다. 폴리올을 포함한 제형은 45분 이내에, 폴리올을 포함하지 않은 제형은 90분 이후 겔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바이알내에서 이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실시예 37의 모든 제형도 겔이 발생하더라도 상온 방치 90분 이후 액상이 되며, 환자에게 주사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니톨, 수크로오스 또는 글리세롤 등의 폴리올이 포함된 경우 저온 보관시 겔이 발생하더라도 상온 방치시 더욱 빠르게 액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폴리올을 포함한 제형이 사용 편의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8 그룹의 경우 수크로오스 또는 글리세롤을 50mM, 250mM 또는 500mM 포함한 제형이 그 외의 제형보다 상온 방치시 액상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짧았고, 그 외의 시료의 경우에는 상온 보관 90분 후 모두 액상이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 38의 모든 제형도 겔이 발생하더라도 상온 방치 90분 이후 모두 액상이며, 환자에게 주사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절한 폴리올을 포함한 경우 저온에서 생성된 겔이 상온에서 더욱 빨리 액상이 되기 때문에 폴리올을 사용한 제형이 사용 편의성이 더욱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9-44
데옥시콜린산(DCA) 액상 제형에 대한 금속이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DCA 10mg/mL, 수산화나트륨 1.07 mg/mL, pH 7.8, HCl 적량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최종 pH를 7.8로 맞추는 것 외에는 실시예 35 중에서 폴리올 미포함 제형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에 염화철(Iron Chloride)를 철(iron) 농도 10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육안 관찰 결과 이물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금속 이온이 데옥시콜린산(DCA) 침전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이온은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설비의 스테인레스 스틸, 부형제의 불순물, 포장용기 등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가 데옥시콜린산 액상 제형의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제형 제조 및 안정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39-44의 조성을 실시예 35-38의 조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조성을 SUS316L로 제조된 용기에 상온에서 6일 보관 후, PES 재질의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바이알에 2mL씩 충전하여 55℃ 안정성 챔버에 16일 동안 보관한 후, 육안 관찰하여 이물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소듐 시트레이트가 포함된 실시예 40 및 42 조성의 경우 동일 조성이면서 소듐 시트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39 및 41에 비해 이물 생성 정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소듐 시트레이트가 데옥시콜린산(DCA) 제형의 안정성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1 및 43의 조성을 실시예 39 조성과 비교하면, 포스페이트와 글리세롤도 데옥시콜린산 제형의 안정성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DCA (mg/mL) NaOH (mg/mL) Sodium Phosphate Monobasic(mM) Glycerol (mM) Sodium citrate(mM) pH 55℃ 16d 후
이물 생성 정도*
실시예 39 10 1.07 0 0 7.5 3
실시예 40 10 1.07 0 5 7.5 1
실시예 41 10 1.07 5 0 7.5 2
실시예 42 10 1.07 5 5 7.5 0
실시예 43 10 1.07 5 220 0 7.5 0
실시예 44 10 1.07 5 220 5 7.5 0
* 0: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 없음
1: 훈련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침전 있음
2: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수초 내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 있음
3: 훈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침전 있음.

Claims (16)

  1.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고,
    NaCl 및 pH 완충제(buffer)를 포함하지 않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며,
    pH가 7.0 내지 8.0 이고,
    25℃에서 전기전도도가 5mS/cm 이하인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올(polyol), 아미노산(amino acid)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polyol)은 수크로오스(sucrose), 글리세롤(glycerol) 및 만니톨(mannito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아미노산은 히스티딘(histidine)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poloxamer) 및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500mM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1 내지 50mg/mL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벤질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토늄,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솔 및 클로로부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피하 주사용 제제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지방을 분해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025503A 2020-02-26 2021-02-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59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813A KR20230152636A (ko) 2020-02-26 2023-10-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930 2020-02-26
KR20200023930 2020-02-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813A Division KR20230152636A (ko) 2020-02-26 2023-10-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902A KR20210108902A (ko) 2021-09-03
KR102598758B1 true KR102598758B1 (ko) 2023-11-07

Family

ID=774901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03A KR102598758B1 (ko) 2020-02-26 2021-02-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30143813A KR20230152636A (ko) 2020-02-26 2023-10-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813A KR20230152636A (ko) 2020-02-26 2023-10-25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598758B1 (ko)
TW (1) TWI768732B (ko)
WO (1) WO20211728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4230B2 (en) * 2004-05-19 2010-07-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related compositions for reduction of fat
US8653058B2 (en) * 2011-04-05 2014-02-18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suitable for use in treating fat deposits
JP6219430B2 (ja) * 2016-03-18 2017-10-25 キテラ バイオ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オキシコール酸およびその塩類の製剤
KR102093872B1 (ko) * 2017-07-03 2020-03-27 진호성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7318A (ko) * 2018-04-06 2019-10-16 다이나세라퓨틱스 주식회사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데옥시콜린산 함유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2531B2 (ja) * 2018-04-16 2022-03-28 ペンミックス リミテッド デオキシコール酸を含む医薬組成物
KR102064864B1 (ko) * 2019-02-08 2020-01-10 (주)제테마 국소 주사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897A1 (ko) 2021-09-02
TWI768732B (zh) 2022-06-21
TW202140032A (zh) 2021-11-01
KR20210108902A (ko) 2021-09-03
KR20230152636A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2531B2 (ja) デオキシコール酸を含む医薬組成物
US6548079B1 (en) Moxifloxacin formulation containing common salt
ES2382509T3 (es) Composiciones de ketorolaco trometamol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ón del dolor ocular
US20220072011A1 (en) Treatments of accumulated fat with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JP6353577B2 (ja) 組み合わせ組成物
JP2012167132A (ja) N−[o−(p−ピバロイルオキシベンゼンスルホニルアミノ)ベンゾイル]グリシン・モノナトリウム塩・4水和物の凍結乾燥製剤
JP6818019B2 (ja) レファムリンの注射可能医薬組成物
KR20200018485A (ko) 우울 장애들의 치료
KR102598758B1 (ko) 데옥시콜릭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2561876A1 (en) Formulations of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JP6629877B2 (ja) 鼻粘膜投与用医薬組成物
KR101723703B1 (ko) 안구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조성물
US20230193219A1 (en) Superoxide dismutase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23531725A (ja) ジクアホソルを含む点眼組成物
EP3441073B1 (en) Medicinal composition comprising fulvestrant
JP2016147890A (ja) デオキシコール酸およびその塩類の製剤
EP321512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finafloxacin and tris
US20230295585A1 (en) Superoxide dismutase compositions and methods
JP3775813B2 (ja) 病変異常組織治療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0738021B1 (ko) 은행엽 엑스 고농도 함유 주사제
KR20230089987A (ko) 펩타이드 약물을 포함하는 안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CN117279634A (zh) 包含化合物smtp-7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