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417A -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417A
KR20070071417A KR1020050134826A KR20050134826A KR20070071417A KR 20070071417 A KR20070071417 A KR 20070071417A KR 1020050134826 A KR1020050134826 A KR 1020050134826A KR 20050134826 A KR20050134826 A KR 20050134826A KR 20070071417 A KR20070071417 A KR 2007007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entrate
oil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072B1 (ko
Inventor
한완택
Original Assignee
한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완택 filed Critical 한완택
Priority to KR102005013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0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2Encap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밀폐된 혼합기에 소금, 분말간장,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우육, 돈육, 계육, 조개, 우골, 돈골 및 계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호박산 나트륨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흡습성 분말 원료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동식물성 기름으로 코팅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코팅물에 전분, 밀가루, 모노글루타민산나트륨, 설탕, 포도당, 핵산 및 향신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저흡습성 분말원료와, 양파 농축액, 마늘 농축액, 무 농축액, 배추 농축액, 부추 농축액, 파 농축액, 미나리 농축액 및 고추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농축액과 우골 농축액, 돈골 농축액, 계육 농축액, 생선 농축액 및 조개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및 우육 향료, 돈육 향료 및 계육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향료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과립을 형성하는 공정; 및 (c)상기 (b)공정의 과립에 건조된 기체를 순환시켜서 과립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모든 공정을 단일 장치에서 수행되게 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월등히 단축하고 향기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낮은 설비 유지비용, 낮은 환경처리비용 및 저렴한 인건비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은 복합조미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복합조미식품, 수분흡습, 과립, 건조

Description

복합조미식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s for multicomponent season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복합조미료 제조용 밀폐형 혼합기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에 대한 흡습도가 높은 고흡습성 원료들을 먼저 균일하게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원료에 동식물성 기름을 코팅한 다음, 상기 고흡습성 원료보다 수분에 대한 흡습도가 낮은 저흡습성 원료와 동식물성 농축액과 향료 등의 액상원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과립에 건조 기체를 순환시켜 건조 공정을 하나의 설비 내에서 수행하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합조미료는 수분흡습성이 높은 원료(소금, 분말간장, 가수분해식물단백(HVP), 분말마늘, 분말양파, 식물 및 동물 농축액 분말, 유기산 등)와 수분흡습성이 비교적 낮은 원료(전분, 모노글루타민산나트륨, 설탕, 포도당, 분말향신료 등)를 모두 혼합한 후 액상원료를 가하여 과립을 형성하고, 형성된 과립을 고온에서 장기간 건조하고, 분쇄한 후 체분리를 통하여 최종 복합조미료를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조미료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원료혼합공정, 과립공정, 건조공정, 분쇄공정, 분리공정 등으로 구성되면서, 각 공정마다 별도의 제조설비를 사용하여 제조되어왔다.
이는 종래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은 모든 원료가 혼합된 상태로 액체원료 및 수분을 가하여 과립을 형성시킴에 따라 흡습성이 높은 원료가 먼저 수분을 과량으로 흡수하게 되고 따라서 흡습성이 낮은 원료는 과립화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균일한 과립형성을 위해서는 과량의 수분이 필요하게 되고, 과량의 수분이 첨가되면 건조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일부 수용성 원료들은 과량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큰 덩어리를 형성함에 따라 건조과정이 더욱 길어지게 되고, 건조된 제품도 매우 딱딱하게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어 추가적인 분쇄 및 체분리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 방법은 장기간의 건조시간이 필요하므로, 그만큼 영양소의 파괴와 기름성분의 산화작용이 촉진되며, 첨가된 향료의 손실 등, 제품에 대한 품질저하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여름철 공기의 습도가 높은 시기에 종래의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외부공기 습도가 높으므로 건조시간이 보다 더 길어지게 되고 또한 제품으로부터 충분한 수분제거가 어렵게 되므로 생산된 제품이 유통과정 중에 딱딱하게 굳게 되거나 미생물이 오염되는 품질상의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 복합 조미식품의 제조 공정 중, 건조공정은 향기성분, 기름의 산패취 등을 함유한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생산설비 측면에서 각 단계마다 여러 가지 설비, 즉 혼합기, 과립기, 건조기, 분쇄기, 체분리기 등을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높은 설비투자비가 요구되며, 설비의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면서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합조미료를 일체화된 한 제조설비 내에서 혼합, 코팅, 과립화, 분쇄 및 건조 과정을 단시간에 수행하고, 수분흡습성이 높은 원료들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동식물성 기름으로 코팅함으로써 과립화 공정에서 필요한 수분의 양을 줄임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혼합기내로 열풍 또는 수분이 제거된 냉각기체를 밀폐상태로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조미료의 제조공정이 개발된 사례는 아직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복합조미식품의 제조방법에서 제기된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합, 코팅, 과립화, 분쇄 및 건조 공정이 일체화된 생산설비 내에서 가능하도록 새로운 제조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흡습성이 높은 원료들을 먼저 혼합하여 식용기름으로 코팅한 후 나머지 원료들을 혼합하고 이에 수분을 함유한 액상원료를 혼합하여 과립을 형성함으로써 과립화에 필요한 수분의 양을 최소화하였고, 밀폐된 혼합기 내 부로 수분이 제거된 기체를 순환시켜 제품을 단기간에 건조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을 가진 복합 조미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쌍의 혼합 페달을 지닌 고효율 혼합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혼합기 상부에는 덩어리진 혼합물을 파쇄하는 분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밀폐된 혼합기 내부로 열풍 또는 수분이 제거된 냉각기체를 순환시켜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고 배출되는 기체는 냉각장치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냉각 또는 가열하여 혼합기 내부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혼합건조장치를 사용한 복합조미료의 제조공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 코팅, 과립화, 파쇄 및 건조기능이 일체화된 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계절이나 주위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수분함량이 균일한 제품을 연중 생산하며, 설비의 유지보수 비용과 환경처리비용이 최소화된 경제적인 제조공정으로 높은 가격경쟁력이 지닌 복합조미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밀폐된 혼합기에 소금, 분말간장,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우육, 돈육, 계육, 조개, 우골, 돈골 및 계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호박산 나트륨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흡습성 분말 원료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동식물성 기름으로 코팅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코팅물에 전분, 밀가루, 모노글루타민산나트륨, 설탕, 포도당, 핵산 및 향신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저흡습성 분말원료와,
양파 농축액, 마늘 농축액, 무 농축액, 배추 농축액, 부추 농축액, 파 농축액, 미나리 농축액 및 고추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농축액과 우골 농축액, 돈골 농축액, 계육 농축액, 생선 농축액 및 조개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및 우육 향료, 돈육 향료 및 계육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향료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과립을 형성하는 공정; 및
(c)상기 (b)공정의 과립에 건조된 기체를 순환시켜서 과립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조미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분에 대한 흡습성(吸濕性)이 높은 고흡습성 분말 원료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동식물성 기름에 코팅을 하여, 추후 액상 원료와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할 시, 수분이 고흡습성 분말 원료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추가적으로 수분을 투입하지 않게됨으로써 완성된 복합 조미료의 과립 건조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물을 수분에 대한 흡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흡습성 분말 원료와 액상 원료를 순서대로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를 건조 기체로 건조하는 공정 등의 모든 공정을 하나의 밀폐된 혼합기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낮은 설비 유지비용, 낮은 환경처리비용 및 저렴한 인건비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은 복합조미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a), (b) 및 (c) 공정을 하나의 밀폐된 장치에서 모두 수행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말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반응기가 형성하되, 상기 반응기에는 분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밀폐할 수 있는 덮개 및 액상 원료를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는 노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 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쌍의 혼합 페달을 지닌 고효율 혼합장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장치 상부에는 덩어리진 혼합물을 파쇄하는 분쇄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에는 가열된 공기 또는 수분이 제거된 건조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노즐이 외부와 내부 사이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체 노즐에는 반응기 내부에서 과립을 건조시킨 수분을 함유한 공기나 기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재순환시키는 냉각 또는 가열장치가 반응기 외부에 구비되는 복합조미료용 제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동식물성 기름은 콩기름(대두유), 옥수수기름(옥배유), 채종유, 미강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목화씨기름, 땅콩기름,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혼합식용유, 정제가공유지, 쇼트닝, 고추씨기름, 우지, 돈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미료 중량 기준으로 0.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5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고흡습성 분말을 충분히 코팅할 수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필수 성분들을 충분하게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식물성 기름 이외에 본 발명에서는 전체 조미료 중량 기준으로 소금 10∼50중량부, 분말간장 1∼20 중량부,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HVP) 1∼10 중량부, 동물성 농축액 분말 1∼10 중량부, 양파분말 1∼10 중량부, 마늘분말 1∼10 중량부 및 유기산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흡습성 분말 원료와, 전분 또는 밀가루 1∼30 중량부, 모노글루타민산나트륨(MSG) 10∼40 중량부, 설탕 1∼20 중량부, 포도당 1∼20 중량부, 핵산 1∼3.0 중량부 및 향신료 0.1∼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저흡습성 분말 원료 및 식물성 농축액 1∼5 중량부, 동물성 농축액 1∼10 중량부 및 향료 0.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복합조미료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구성성분과 성분비로 일반인의 입맛에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성분과 성분비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일반인의 미각에 부응하는 다른 성분이 있다면 이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의 추가에 따라 성분비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술한 각종 동식물성 농축액과 농축액 분말은 직접 원료를 농축하거나 분말로 건조한 것을 사용하거나 통상적으로 조미료 제조에 사용되는 상용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향신료는 후추가루, 겨자, 깨 등을, 유기산은 구연산(시트르산), 숙신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건조 공정에 사용되는 건조 기체는 기체를 가열하여 기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공기나 질소가스, 또는 공기와 질소가스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미료 제조방법을 세부적으로 다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원료 계량
흡습성이 높은 분말상의 원료, 나머지 비교적 흡습성이 낮은 분말상의 원료, 그리고 액상원료로 구분하여 계량한다.
2. 흡습성이 높은 원료 혼합 및 코팅
흡습성이 높은 원료인 소금, 분말간장, 양파분말, 마늘분말, 유기산 등을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동식물성 기름을 혼합기 상부에서 첨가 또는 분사하여 흡습성이 높은 원료혼합물을 코팅한다.
3. 나머지 원료 혼합 및 액상원료 혼합
기름이 코팅된 혼합물에 나머지 원료들 (전분, MSG, 설탕, 포도당, 핵산, 향신료)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나머지 액상원료(향료, 식물성 농축액, 동물성 농축액)를 혼합기 상부에서 첨가 또는 분사하여 과립을 형성하며, 과립이 엉겨 서 생성된 덩어리는 혼합기에 장치된 분쇄장치를 작동하여 분쇄함으로써 과립을 형성한다.
4. 건조
혼합기 내부로 수분이 제거된 기체(30∼90℃)를 통과시켜 제품의 수분을 3.0% 이하로 건조한다.
5. 체분리 및 포장: 건조된 복합 조미료의 과립은 12메쉬(mesh)를 통과시켜 큰 과립을 제거한 후, 50메쉬를 통과하는 작은 과립을 제거한 다음, 12∼50 메쉬 사이의 크기를 갖은 과립만을 분리하여 포장작업을 실시한다. 이는 상기 범위 내의 과립이 미관성 보기 좋기 때문이다.
[실시예 1]
1) 원료계량: 흡습성이 높은 원료로는 소금 10Kg, 분말간장 1.5Kg, HVP 0.5Kg, 쇠고기농축액분말 500g, 양파분말 1kg, 마늘분말 1kg, 구연산 30g, 나머지 비교적 흡습성이 낮은 원료로는 옥수수전분 3kg, MSG 6Kg, 설탕 2kg, 포도당 1.5kg, 핵산 120g, 후추가루 200g로 구성되며 액상원료로는 정제우지 1kg, 쇠고기향료 300g, 양파 농축액 600g, 마늘 농축액 600g, 우골 농축액 600g 등, 총 30.45kg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2) 흡습성이 높은 원료 혼합 및 코팅: 소금, 분말간장, HVP, 양파분말, 마늘분말, 구연산을 혼합기내로 투입하여 3분간 혼합하고, 60℃로 가열한 정제우지를 노즐을 통하여 혼합된 원료에 분사하여 코팅하였다.
3) 나머지 원료 혼합 및 액상원료 혼합: 우지로 코팅된 혼합물에 옥수수전분, MSG, 설탕, 포도당, 핵산, 후추가루를 혼합기에 첨가하여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나머지 액상원료(쇠고기향료, 양파농축액, 마늘농축액, 우골농축액)를 혼합기 상부에서 분사하여 과립을 형성하고, 과립이 엉겨 생성된 덩어리는 혼합기내에 장치된 분쇄기를 작동하여 분쇄하였다.
4) 건조: 혼합기 내부로 70℃로 가열된 공기를 20분간 통과시켜 제품을 건조하였다
5) 체분리: 건조된 과립은 12메쉬를 통과시켜 큰 과립을 제거한 후, 50메쉬를 통과하는 작은 과립을 제거하여 12∼50메쉬 사이의 크기를 갖은 제품만을 분리하여 총 28.7Kg의 건조 조미료 과립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쇠고기 농축액 대신 쇠고기건조분말을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흡습성이 높은 원료로 호박산 나트륨 50g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 1에서 옥수수전분 대신 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우골농축액 대신 돈골농축액, 쇠고기향료 대신 돈육향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우골농축액 대신 계육농축액, 쇠고기향료 대신 계육향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우골 농축액 대신 조개 농축액, 쇠고기향료 대신 조개향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우골농축액 대신 조개 농축액, 쇠고기향료 대신 조개향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정제우지 대신 올리브유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가열된 공기 대신 가열된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기존의 방법에 의하여 복합조미료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원료의 조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나 과립제조시 추가적으로 1.1kg의 물이 더 첨가 되었다.
(1) 원료계량: 소금 10Kg, 분말간장 1.5Kg, HVP 0.5Kg, 쇠고기엑기스분말 500g, 양파분말 1kg, 마늘분말 1kg, 구연산 30g, 옥수수전분 3kg, MSG 6Kg, 설탕 2kg, 포도당 1.5kg, 핵산 120g, 후추가루 200g, 정제우지 1kg, 쇠고기향료 300g, 양파엑기스 600g, 마늘엑기스 600g, 우골 엑기스 600g, 총 30.45kg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2) 원료혼합: 상기의 원료 중 액상원료를 제외한 나머지 원료를 리본믹서에 이송하여 20분간 혼합하였다.
(3) 액상원료 첨가공정: 혼합된 원료에 액상원료와 물 1.1kg을 혼합한 용액을 서서히 가하여 20분간 혼합하였다.
(4) 과립화공정: 액상원료가 혼합된 원료를 꺼내어 12 메쉬의 체로 통과시켜 과립을 제조하였다.
(5) 건조: 과립을 건조 트레이로 옮기고 건조기로 이송하여 70℃에서 3시간 건조하였다.
(6) 파쇄: 건조된 제품은 덩어리가 많이 생성되므로 수작업으로 덩어리를 파쇄하였다.
(7) 체분리 : 건조된 과립은 12메쉬를 통과시켜 큰 과립을 제거한 후 50메쉬를 통과하는 작은 과립을 제거하여 12∼50 메쉬 사이의 크기를 갖은 과립만을 분리하여 총 24.5Kg의 건조된 복합조미료 과립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조미료와 종래 방법으로 생산된 조미료의 품질 및 제 조공정의 생산성 비교
실시예 1과 비교예에서 얻은 제품의 품질과 제조공정의 생산성 등을 비교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5078229692-PAT00001
Figure 112005078229692-PAT00002
Figure 112005078229692-PAT00003
이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미료의 제조방법은 종래 수분 흡습성과 상관없이 혼합하여 제조한 복합 조미료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과도한 수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월등히 단축하고, 여러 공정에 따른 별도의 설치 장비가 구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낮은 작업성과 생산성, 오염물질의 발생, 장기간의 건조시간, 제품의 굳음현상, 지방의 산패 촉진, 향기 성분의 손실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흡습성이 높은 원료가 사용되는 복합조미식품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수분흡습성이 높은 원료들을 별도로 분리하여 동식물성 기름으로 혼합 또는 코팅한 후 나머지 분말원료를 혼합하고 이에 액상원료를 혼합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동일한 혼합기 내부로 열풍 또는 수분이 제거된 기체를 통과시켜 건조작업을 신속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은 원료의 수분흡습성에 관계없이 모든 원료를 혼합한 후 액상원료를 첨가하여 과립을 만들기 때문에 과량의 수분이 필요하고, 또한 여러 단계의 단위공정에 필요한 설비들이 사용됨에 따라 낮은 작업성과 생산성, 오염물질의 발생, 장기간의 건조시간, 제품의 굳음현상, 지방의 산패 촉진, 향기 성분의 손실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혼합, 코팅, 과립화, 분쇄 및 건조 공정이 한 설비 내에서 수행됨에 따라 종래의 방법에서 발생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최종제품의 품질이 매우 우수한 복합조미료의 제조공정을 제공한 것이다. 그리고 밀폐된 혼합기 내부로 기체를 순환하여 제품의 수분을 계속적으로 제거하고, 수분이 함유된 기체는 냉각장치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혼합기 내부로 재순환 또는 가열 후 재순환됨에 따라 향기성분의 손실도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계절이나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분함량을 지닌 고품질의 복합조미료를 연중 생산하는 것을 가능함에 따라 낮은 설비 유지비용, 낮은 환경처리비용 및 저렴한 인건비로 인하여 높은 가격경쟁력이 지닌 복합조미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 밀폐된 혼합기에 소금, 분말간장,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우육, 돈육, 계육, 조개, 우골, 돈골 및 계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호박산 나트륨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흡습성 분말 원료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상기 교반물을 동식물성 기름으로 코팅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코팅물에 전분, 밀가루, 모노글루타민산나트륨, 설탕, 포도당, 핵산 및 향신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저흡습성 분말원료와,
    양파 농축액, 마늘 농축액, 무 농축액, 배추 농축액, 부추 농축액, 파 농축액, 미나리 농축액 및 고추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식물성 농축액과 우골 농축액, 돈골 농축액, 계육 농축액, 생선 농축액 및 조개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동물성 농축액 및 우육 향료, 돈육 향료 및 계육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향료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과립을 형성하는 공정; 및
    (c)상기 (b)공정의 과립에 건조된 기체를 순환시켜서 과립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미료 중량 기준으로 소금 10∼50중량부, 분말간장 1∼20 중량부,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1∼10 중량부, 동물성 농축액 분말 1∼10 중량부, 양파분말 1∼10 중량부, 마늘분말 1∼10 중량부 및 유기산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흡습성 분말 원료과 동식물성 기름 0.5∼10 중량부,
    전분 또는 밀가루 1∼30 중량부, 글루탐산나트륨 10∼40 중량부, 설탕 1∼20 중량부, 포도당 1∼20 중량부, 핵산 1∼3.0 중량부 및 향신료 0.1∼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저흡습성 분말 원료 및
    식물성 농축액 1∼5 중량부, 동물성 농축액 1∼10 중량부 및 향료 0.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 원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성 기름은 콩기름, 옥수수기름, 채종유, 미강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목화씨기름, 땅콩기름,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혼합식용유, 정제가공유지, 쇼트닝, 고추씨기름, 우지 및 돈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태된 적어도 1종의 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기체는 공기, 질소, 또는 공기와 질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b) 및 (c) 공정을 하나의 밀폐된 혼합기에서 모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20050134826A 2005-12-30 2005-12-30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075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26A KR100750072B1 (ko) 2005-12-30 2005-12-30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26A KR100750072B1 (ko) 2005-12-30 2005-12-30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17A true KR20070071417A (ko) 2007-07-04
KR100750072B1 KR100750072B1 (ko) 2007-08-21

Family

ID=3850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26A KR100750072B1 (ko) 2005-12-30 2005-12-30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773A1 (en) * 2007-08-24 2009-03-05 Cj Cheiljedang Corporation Granulated seasoning sal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16126B1 (ko) * 2010-12-28 2013-10-11 한국식품연구원 고기향 향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3151B1 (ko) * 2018-11-08 2019-03-15 최창업 분말형 두유소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59B1 (ko) * 2010-04-26 2011-05-16 대상 주식회사 가마솥 공법을 이용하여 맛의 지속성을 향상시킨 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1171009B1 (ko) 2011-07-14 2012-08-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쇠고기 및 채소의 혼합 추출 건조 분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분말을 함유한 쇠고기 조미료
KR101617379B1 (ko) * 2015-05-13 2016-05-02 주식회사 삼양사 혼합당 과립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398B1 (ko) * 1987-08-14 1990-04-14 제일제당 주식회사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920000251A (ko) * 1990-06-08 1992-01-29 김정순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KR920009476B1 (ko) * 1990-09-19 1992-10-17 주식회사 농심 복합 발효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10966B1 (ko) * 1993-11-23 1996-08-14 제일제당 주식회사 천연엑기스를 주재료로 한 쇠고기 복합조미료 조성물
KR960006784A (ko) * 1994-08-19 1996-03-22 성재갑 균일한 입도의 과립형 복합조미료의 제조 방법
KR20030039171A (ko) * 2001-11-12 2003-05-17 장종환 쇠고기맛 액상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773A1 (en) * 2007-08-24 2009-03-05 Cj Cheiljedang Corporation Granulated seasoning sal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16126B1 (ko) * 2010-12-28 2013-10-11 한국식품연구원 고기향 향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3151B1 (ko) * 2018-11-08 2019-03-15 최창업 분말형 두유소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072B1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072B1 (ko) 복합조미료의 제조방법
WO2017096754A1 (zh) 一种生态型育肥兔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2123611A (zh) 复原的米粒及其制备方法
CN101669613A (zh) 一种利用挤压技术制备的牛肉风味香精
KR101657275B1 (ko) 천연 버섯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2696974A (zh) 土家猪血糯米糕的制作方法
JP5264056B2 (ja) 脱臭米糠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配合した食品
CN102113647A (zh) 一种山药马铃薯挂面的制作方法
CN104381871A (zh) 一种真空冷冻干燥制备速溶高硒玉米粉的方法
JPH10304852A (ja) ルウの製造方法
JPWO2002021941A1 (ja) 新規酢海藻粉末又は顆粒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91235A (ko) 꼬막 함유 소스용 식품 조성물
CN108813522A (zh) 一种浓香复合调味料及其制备方法
JPH0722493B2 (ja) クロレラ含有油脂食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7089543A (ja) 粉末調味料
JP3105066B2 (ja) 粒状有機質肥料組成物
KR101300794B1 (ko) 뿌리 부추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6360670A (zh) 一种玉米胚芽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1669610A (zh) 不易吸潮的颗粒调味料制作方法
CN110584063A (zh) 一种连续化固态反应香料的制造方法
JPS5820143A (ja) 食肉凍結粉砕物加工食品
JPH0722494B2 (ja) クロレラ含有油脂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173111A (zh) 一种利用豆粕制备的蔬菜种植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20082286A (ko) 키토묵
JPS58193676A (ja) 天然栄養補給調味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