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970A - 분산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970A
KR20070062970A KR1020077003519A KR20077003519A KR20070062970A KR 20070062970 A KR20070062970 A KR 20070062970A KR 1020077003519 A KR1020077003519 A KR 1020077003519A KR 20077003519 A KR20077003519 A KR 20077003519A KR 20070062970 A KR20070062970 A KR 2007006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coupling
dispers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333B1 (ko
Inventor
프랑크 쉬베크
Original Assignee
브이엠에이-게츠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에이-게츠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이엠에이-게츠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6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Mixing plant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in combination with disintegrating operations
    • B01F33/8305Devices with one shaft, provided with mixing and milling tools, e.g. using balls or rollers as working tools; Devices with two or more tools rotating about the sam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6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 B01F33/8361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 B01F33/83613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by grinding or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8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a basket media milling device arranged in or on the container, involving therein a circulatory flow of the material to be m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2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1Coup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산 장치는 분산재용 용기 (10), 축 (21) 에 의해 구동 가능한 용해장치 디스크 (22) 및 연마재를 담고 분산재가 용해장치 디스크 (22) 에 의해 생성된 유동에 의해 통과할 수 있는 천공 하우징 (34) 을 갖는 연마 장치 및 하우징 (34) 안에 배치되어 그 하우징 (34) 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동요소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34) 은 축 (21) 을 둘러싸며, 하우징 (34) 은 축 (21) 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축 (21) 및 구동 요소는 제 1 요소 (47) 및 대응 제 2 요소 (53) 를 갖는 커플링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요소들은 하부 위치에서 작용 관계에 있다. 다가오는 폭발 방지 규제 및 단순한 구조를 충족하기 위하여, 커플링의 제 1 요소는 하우징 (34) 의 하단에 배치되고 커플링의 제 2 요소는 축 (21) 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제안하였다.
분산 장치

Description

분산 장치{DISPER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산재용 수용 용기, 축에 의해 구동가능한 유동 생성 장치 및 연마재를 담고 분산재가 유동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에 의해 통과할 수 있는 천공 하우징을 갖는 연마 장치 및 하우징 안에 배치되어 그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동요소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은 축을 둘러싸며, 하우징은 축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축 및 구동 요소는 제 1 요소 및 대응 제 2 요소를 갖는 커플링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요소들은 하부 위치에서 작용 관계에 있다.
이런 종류의 장치는 액상에서 매우 미세하게 세분된 고체 성분의 분포를 제공한다. 분산 공정에서는
1. 연마재의 액체 성분에 포함되도록 고체 소재의 표면을 습윤하는 단계,
2. 덩어리를 작은 덩어리와 주 입자로 기계적으로 파쇄하는 단계,
3. 새로운 병합 (응집) 을 방지하기 위해 주 입자, 덩어리 및 집합체를 안정화하는 단계의 상호 병렬적인 세 개의 부수적인 단계가 실행된다.
경제적인 분산 공정을 위하여, 분산재는 선분산 (pre-dispersed) 될 필요가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최적의 선분산이 필수 불가결하기 때문에, 특히 분산이 곤란하고 추후의 공정에서 연마 장치의 사용을 요구하는 덩어리를 다룰 때에는 용해장치 디스크로 선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치 않게 선분산된 제품은 연마 장치에 대한 더 긴 작업 시간을 요구할 뿐 아니라, 원하는 수준의 미세도를 빈번하게 얻지 못하게 한다. 선분산 작업의 생략 또는 오류는 일반적으로 보상될 수 없거나, 타 시스템의 지나치게 높은 복잡성 및 비용을 유발하고 보상될 수 있다. 즉, 부적절하게 선분산된 제품은 연마 장치를 추가로 사용할 때 시브 바구니의 구멍을 막히게 하기 때문에, 그 시브 바구니 (sieve basket) 의 사용이 더욱 곤란해지거나 심지어 완전히 사용이 불가능해 지기도 한다.
그러나, 거의 용해 장치만이 선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즉 분산재는 특정 미세도로 감소되어서만 분산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미세 분산과 같은 추가적인 분산을 위하여, 교반기 볼 밀 또는 유사한 연마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선분산 및 미세 분산 작업 사이에서 용기의 교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럽특허 제0 850 106호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축을 포위하며 그 축에 대하여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하우징 형태의 연마 장치를 제안한다. 선분산 작업 동안, 연마 장치는 분산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미세 분산 작업을 위해 연마 장치가 하부 위치로 이송되고 분산재 안으로 이동하여 용해장치 디스크 형태로 유동 생성 장치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그 장치에서, 교반 장치용 구동 요소는 축을 둘러싸고, 축에 대한 연마 장치의 움직임에 대하여 함께 배치되는 중공 축 형태이다. 아치형의 치형 (tooth) 커플링은 축과 중공 축 사이에서 작동되며, 그 커플링은 연 마 장치의 하부위치에 있을 때에만 축으로부터 중공 축까지 토크를 전달하며, 따라서 중공 축은 그 하단에서 교반 장치에 비회전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공지의 분산 장치는 분산재가 축과 중공 축 사이의 중간 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당한 복잡성 및 고비용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100% 방지할 수도 없다.
연마 장치가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선분산 작업 중에 축에 작용하는 분산재의 힘은 축의 편향으로 수 밀리미터 정도의 원하지 않는 높이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의 결과 축은 축을 이동시키기 위한 연마 장치에 배치된 플레인 베어링과 접촉하여 손상을 입게된다. 만족스러운 상관관계를 위해서는 플레인 베어링과 축 사이에 갭이 제공되어야 한다. 가장 정확한 구조에서조차도, 일련의 공차 (chain of tolerances) 는, 특히 비교적 대형 분산 장치에서, 분산재가 중공 축과 축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갭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분산 작업 시의 전술한 원하지 않는 축의 편향으로 인한 플레인 베어링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악화된다. 게다가, 중공 축을 사용하는 공지의 구조는 그 하단부가 아치형의 치형 커플링의 피니언 상의 니들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매우 가느다란 베어링 플랜지를 요구하며, 보다 대형의 분산 장치의 경우 가느다란 베어링 플랜지는 요구되는 안정성을 감당하지 못한다.
결국, 예컨대 ATEX 95 (EU 지침 94/9/EC) 와 같은 폭발의 위험이 있는 룸을 위한 새로운 폭발 방지 규제가 조만간 중공 축과 축 사이의 중공 공간에 대한 강제 적인 완전한 실링 (sealing integrity) 을 규정할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은 그 공간의 밀봉에 추가적인 복잡화 및 비용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전술한 단점을 피하기 위하여, 다가오는 폭발 방지 규제에 대응하여 그 분산 장치를 디자인하고, 그 분산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목적은 커플링의 제 1 요소가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고, 커플링의 제 2 요소가 축의 하단부 영역에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은 더 이상 연마 장치의 위쪽에서 작동하지 않고, 그 아래쪽에서 작동하게 된다. 대신에, 커플링의 제 1 커플링 요소는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다. 커플링의 대응 제 2 커플링 요소는 축의 하단부에, 유동 생성장치 바로 위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커플링 요소들은 연마 장치의 하부 위치에서만 결합하여, 축의 토크를 교반 장치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축을 포함하는 중공 축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축에 대하여 중공 축을 밀봉하는 고비용의 복잡한 실링 수단도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현저하게 단순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비용이 덜 들고, 용해장치와 교반기 볼 밀이 동일한 가격으로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되는 것을 처음으로 가능케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비교적 대형의 일련의 공차 (tolerance chain) 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실질적으로 덜 들게 된다. 결국, 중공 축의 부재로 인해 더 이상 가느다란 구성의 베어링 플랜지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의 구성으로 인해, 베어링 플랜지는 비교적 대형 분산 장치에 필요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그에 상응하는 강화 받침부재 (strut) 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용기 내에서 연마 장치를 가능한 한 낮게 할 수 있도록 제 2 커플링 요소가 축 하단의 유동 생성 장치의 바로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상적 개념의 관점에서, 커플링은 축과 하우징 사이의 힘 전달 요소를 나타낸다. 그 커플링은 임의의 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커플링은 단단히 잠기기에는 부드럽지만 회전적으로는 강성인 축 커플링 형태, 즉 보상 (compensating) 커플링이 바람직하다. 연마 장치의 하부 위치에서, 2개의 커플링 요소는 서로 끼워맞춤 결합하여 토크를 전달한다. 동시에, 작동 중의 배치로 인해 열의 영향이 발생하는 축의 길이방향 연장부는 보상된다. 예를 들면, 커플링은 독 (dog) 커플링이 될 수 있는데, 이때 커플링의 제 1 요소를 형성하는 제 1 독은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 2 커플링 요소에 해당하는 대응 제 2 독은 축의 하단에 배치된다. 아치형의 치형 커플링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이 커플링은 피니언 형태의 제 2 커플링 요소에 왕관형 (crowned) 외부 치형 배열체을 가지며, 제 2 커플링 요소의 내부 치형 배열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복잡한 구성의 경우, 커플링은 배럴 (barrel) 커플링이 될 수도 있다. 비록 마찰 커플링의 사용이 기본적으로 가능하지만, 전술한 아치형의 치형 커플링이 매우 안정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을 잘 이용하는 것이며, 게다가 청소가 특히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절차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연마 장치의 하부 위치에 축을 장착하기 위하여, 힘 전달 요소를 나타내는 구동 요소는 베어링 블록 형태인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베어링 블록은 축 지지용 플레인 또는 롤링 베어링을 수용하며, 특히 이중 롤링 베어링이 유지보수가 쉽고 긴 베어링 수명을 갖는다. 베어링 블록과 교반 장치 사이에 그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비드 직경의 1/3에 불과한, 특히 0.03 mm ~ 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정도의 작은 마찰 갭 만을 제공함으로써, 연마 매체가 그 갭을 통과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장치에서는 "비드 손상 (bead breakage)" 이 일어나지 않는다.
베어링의 긴 수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산재, 즉 제품의 유동은 베어링의 건조 방지 및 냉각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산재는 베어링 블록의 상단에서 전술한 갭을 통과하여 그 하단으로 베어링을 통해 유동한다. 그 결과, 그 매체의 유동은 제품의 부분적 가열 및 분산 장치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동시에, 제품의 변경에 있어서 그 제품의 유동은 단순하고 빠른 세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훌륭하다.
유동 속도 및 이에 따른 냉각 능력을 증가하기 위하여, 이중 롤링 베어링의 경우 컨베이어 스크류가 롤링 베어링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게다가, 유동 속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위하여, 베어링 블록은 제품의 유동이 유동 생성 장치에 의해 그를 통하여 이끌리는 하나 이상의 흡입 보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보수절차의 관점에서 베어링 블록이 연마 장치의 하우징의 기저부에 일체화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마 바구니의 하단부에 위치한 원형 디스크를 교체함으로써 베어링 블록을 쉽게 교체 및 청소할 수 있다.
축에는 상부 및 하부가 있으며, 그 하부는 상부에 비하여 외경이 약간 더 넓다. 이로써 연마 장치의 높은 위치에 베어링 블록과 축 사이의 충분한 갭이 확보되어 베어링 블록의 파손이 방지된다. 반면에, 그 하부 위치에서는 베어링 블록이 더 외경이 넓은 축의 하부에 걸치기 때문에, 베어링 블록과 축 사이의 만족스러운 완전한 실링이 확보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 블록은 그 하부 위치에서 축의 토크를 교반 장치에 전달한다. 교반 장치의 구성은 수반된 분산 작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형태는 원형 링 디스크, 원형 링 천공 디스크 또는 슬릿 디스크가 될 수 있다. 핀의 사용도 가능하다. 교반 장치는 하우징 내에서 동축관계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링 디스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교반 장치는 하우징에서 배출된 연마 매체의 연속적 이동을 확보해 준다.
유동 생성 장치가 분산 수단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 분산 수단이 용해장치 디스크 형태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반면에, 용해장치 디스크는 분산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유동을 생성함과 더불어 연마 매체의 선분산에 영향을 미친다. 용해장치 디스크는 분산 효과와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기능, 즉 혼합 용기의 모서리 영역으로 제품을 균일하게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용해장치 디스크는, 분산 작업이 연마 장치 내에서 현저하게 빨리 완료되기 때문에 특히 경제적인 방법으로 분산 작업의 기능, 즉 덩어리를 파쇄하고 주 입자를 액상으로 습윤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장치는 연마 장치가 높이의 관점에서 조정가능하고, 그 높이의 조절로 인하여 분산재 안으로 잠길 수 (dipped) 있고, 또 재차 그곳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선분산 및 미세 분산에 연관된 개별 공정 단계는, 용기에서 제거되어야 할 분산될 재료의 교체 없이, 또는 교반 장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서로 완전히 개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선분산과 미세 분산 사이의 변경은 특히 빠르고 경제적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연마 장치가 선분산 위치로 상승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분산 장치를 나타내며, 연마 장치가 하부 미세 분산 위치에 있다.
도 3 은 도 1 의 연마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장치는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이중벽 용기 (10), 용해장치 (20) 및 교반기 볼 밀 (30) 을 포함한다. 용기에는 청소 장치 (미도시) 도 배치되어 있다.
용해장치 (20) 는 그 하단에서 용해장치 디스크 (22) 를 갖는 원통형 축 (21) 을 포함한다. 용해장치 디스크 (22) 에는 그 주변을 따라서 복수의 치형부 (23, teeth) 가 원형 표면상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교대로 구부러져 제공된다. 축 (21) 에는 제 1 외경의 중심부 (24) 가 있으며, 그 하단은 중심부보다 외경이 큰 하부 (25) 로 이어진다.
축 (21) 은 원통형 베어링 플랜지 (26) 에 의해 박스형 (box-like) 방식으로 베어링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 기계부 (60) 에 고정된다. 필요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베어링 플랜지 (26) 는 전체 축 길이의 1/3 이상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교반기 볼 밀 (30) 은 공압식 실린더 (62) 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공압식 실린더 (62) 의 피스톤 로드 (64) 가 중간판 (66) 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중공 바 (33) 는 중간판 (66) 의 하면에서 교반기 볼 밀 (30) 의 상단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교반기 볼 밀 (30) 의 배치는 공압식 실린더 (62) 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게다가 냉각제가 중공 바에 의해 교반기 볼 밀 (30) 에서 순환하게 된다. 공압식 실린더 대신에, 예컨대 유압식 실린더 또는 웜 드라이브 (worm drive) 등의 다른 조정 수단의 사용도 가능하다.
축 (21) 은 롤링 베어링에 의해 베어링 플랜지 (26) 에서 지지되는데, 이때 니들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27) 은 베어링 플랜지 (26) 의 하단에 제공되며, 이중 자기 정렬 (double self-aligned) 베어링 (28) 은 상단에 제공된다. 축 (21) 은 공지의 벨트 풀리 (29) 방식으로 구동된다. 베어링 플랜지 (26) 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단 주변에 상호 이격되어 복수의 강화 립 (32) 이 제공된다. 립 (32) 은 대략적으로 베어링 플랜지 (26) 의 중심으로부터 설치 위치의 상부 플랜지인 수평 플랜지까지 연속적인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특히 선분산 작업중에 축 (21) 의 원하지 않는 편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 립 (32) 은 공지 기술의 베어링 플랜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안정성을 베어링 플랜지 (26) 에 더해준다.
교반기 볼 밀 (30) 은 중간판 (66) 에 의해 서로 주변으로 이격된 복수의 원통형 중공 바 (33) 에 의해 상부 기계부 (60) 의 하측에 고정되는데, 공압식 실린더 (62) 에 의해 상부 기계부 (60) 와 함께 교반기 볼 밀 (30) 의 높이 조정이 가능해진다. 공압식 실린더 대신에, 예컨대 유압식 실린더 또는 웜 드라이브 등의 다른 조정 수단의 사용도 가능하다.
교반기 볼 밀 (30) 은 그 자체로 천공된 시브형으로, 연마 볼 (미도시) 을 수용하는 하우징 (34) 을 포함한다. 그 상단에서, 하우징 (34) 에는 그 하부에서 축 (21) 이 통과하는 개구 (35) 를 갖는 깔때기형 구멍이 제공된다. 하우징 (34) 은 단일벽 구조 또는 이중벽 구조일 수 있으나, 또 다른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 (34) 은 중심 구멍 (35) 과 함께 환형 통로를 형성한다. 원형 링 디스크 (36) 는 그와 동축으로 연장된 환형 통로 내에 배치된다.
원형 링 디스크 (36) 는 그 상단에서 링 디스크 (37) 에 의해 베어링 블록 (39) 에 연결된다. 그 베어링 블록은 축의 하부 (25) 의 하부 위치에 그 중심 이 있고 그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하는 단차 (41) 를 갖는 원통형 부시 (40) 를 포함한다. 이중 롤링 베어링 (42) 은 단차 (41) 상에서 지지되며, 베어링은 외부 스페이서 링 (43) 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이중 롤링 베어링 (42) 의 베어링 사이에서 스페이서 링 (43) 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된 것은 컨베이어 스크류 (44) 이다. 이중 롤링 베어링 (42) 은 추가적인 스페이서 링 (45) 에 의해 링 디스크 (37) 의 하측에 대해 상측에서 지지된다. 블레이드형 임펠러 (46) 는, 링 디스크 (37) 의 반경방향 외측 단차에 배치되어 용기의 외측에서 하우징 (34) 안으로 증가된 제품의 유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조립체의 작동 중에 연마 볼이 교반기 볼밀 밖으로 원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시 (40) 의 단차 (41) 바로 아래의 베어링 블록 (39) 의 하단에 제공된 것은 축 (21) 에서 원형 링 디스크 (36) 로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커플링 요소를 나타내는 아치형의 치형 커플링의 내부 치형 배열체 (47) 이다. 복수의 흡입 보어 (48) 는 부시 (40) 의 단차 (41) 와 내부 치형 배열체 (47) 사이에 주변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중 롤링 베어링 배열체 (42) 의 베어링은 그 하부 원통부에서 그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지고 이중 롤링 베어링 (42) 의 상부 베어링에서 내부 단차과 함께 지지되는 중공 절두형 원추 (49) 의 내측에 맞닿아 지지된다.
중공 절두형 원추 (49) 상단의 내측 사이의 상부 베어링 위쪽에는 중공 절두형 원추 (49) 와 제 2 스페이서 링 (45) 사이에 약 0.3 mm 가량의 갭이 있다. 동작 중에는 베어링을 냉각시키고 그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제품의 유동이 그 갭 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비드 (bead) 또는 연마 볼의 침입을 방지하여 우려되는 "비드 손상" 을 방지한다. 자기 냉각 효과 (self-cooling effect) 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의 유동은 컨베이어 스크류 (44) 및 흡입 보어 (48) 로 인해 베어링을 통해 유동한다.
중공 절두형 원추는 복수의 주변으로 배치된 스크류 (50) 에 의해 원형 디스크부 (51) 의 내측 링 요소에 나사결합된다. 이 원형 디스크부 (51) 는 교반기 볼 밀 (30) 의 기저를 형성하고 원형 디스크부 (51) 의 내측 링 요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외측 링 요소까지 연장되는 시브 (52) 를 수용한다. 미세 분산 작업 중에는 매체가 이 시브 (52) 를 통해 유동하며 연마된 재료를 비드와 분리한다.
용해장치 디스크 (22) 위쪽과 축의 하부 (25) 아래쪽에 배치된 것은 제 2 커플링 요소를 형성하는 외부 치형 배열체 (53) 이다. 도 1 에 도시된 선분산 위치를 벗어나 도 2 에 도시된 미세 분산 위치로의 교반기 볼 밀 (30) 의 하방 이동에 있어서, 부시 (40) 는 내부 치형 배열체 (47) 가 외부 치형 배열체 (53) 와 결합할 때까지 축의 하부 (25) 로 이동한다. 이로써 아치형의 치형 커플링은 미세 분산 작업의 수행을 위해 축의 토크를 원형 링 디스크 (36) 에 전달한다.
축의 하부 (25) 보다 외경이 작은 축의 중심부 (24) 의 구성은 선분산 위치에서 축 (21) 과 교반기 볼 밀 (30) 사이에 충분한 갭을 확보하여 선분산 작업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축 (21) 의 측 편향 이동으로 인한 부시 (40) 의 원하지 않는 손상을 방지한다.
교반기 볼 밀의 하단에서의 커플링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중공 축의 배제를 가능하게 하지만, 동시에 선분산 장치와 미세 분산 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개방할 필요없이 단순히 용기 내에서 교반기 볼 밀의 위치를 낮추는 공정 단계 사이의 변경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확실하게 잠기는 커플링 대신에, 본 발명의 사상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예컨대 플레이트 커플링 등의 힘으로 잠기는 관계가 있는 커플링의 사용도 가능하다는 점을 주지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베어링 블록의 롤링 베어링 대신에 플레인 베어링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20 용해 장치
21 축 22 용해장치 디스크
23 치형부 (teeth) 24 축의 중심부
25 축의 하부 26 베어링 플랜지
27 니들 베어링 27 롤러 베어링
28 이중 자기 정렬 (double self-aligning) 베어링
29 풀리 30 교반기 볼 밀
32 강화 립 33 중공 바 (bar)
34 하우징 35 개구
35 원형 링 디스크 37 링 디스크
39 베어링 블록 40 부시
41 단차 42 이중 롤링 베어링
43 스페이서 링 44 컨베이어 스크류
45 스페이서 링 46 임펠러
47 내부 치형 배열체 48 흡입 보어
49 중공 절두형 원추 50 스크류
51 원형 디스크부 52 시브
53 외부 치형 배열체 60 상부 기계부
62 공압식 실린더 64 피스톤 로드 66 중간판

Claims (10)

  1. 분산재용 용기 (10) 의 배치를 위한 분산 장치로서,
    상기 분산 장치는 축 (21) 에 의해 구동가능한 유동 생성 장치 및 연마재를 담고 분산재가 상기 유동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에 의해 통과할 수 있는 천공 하우징 (34) 을 갖는 연마 장치 및 상기 하우징 (34) 안에 배치되어 그 하우징 (34) 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동 요소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34) 은 상기 축 (21) 을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 (34) 은 상기 축 (21) 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축 (21) 및 상기 구동 요소는 제 1 요소 및 대응 제 2 요소를 갖는 커플링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요소들은 하부 위치에서 작용 관계는 분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 요소는 상기 하우징 (34) 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는 상기 축 (21) 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는 상기 축 (21) 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상 커플링 (compensating couplin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베어링 블록 (3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 (39) 은 이중 롤링 베어링 (4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롤링 베어링 (42) 사이에 컨베이어 스크류 (44) 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 (39) 에는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 위쪽에 하나 이상의 흡입 보어 (48) 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 (39) 은 상기 하우징 (34) 의 기저부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21) 에는 축의 중심부 (24) 와 축의 하부 (25) 가 있으며, 상기 축의 하부 (25) 의 외경이 상기 축의 중심부 (24) 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생성 장치는 용해장치 디스크 (22)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장치.
KR1020077003519A 2004-08-19 2005-08-06 분산 장치 KR100834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13056.4 2004-08-19
DE202004013056U DE202004013056U1 (de) 2004-08-19 2004-08-19 Dispergi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70A true KR20070062970A (ko) 2007-06-18
KR100834333B1 KR100834333B1 (ko) 2008-06-02

Family

ID=3344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519A KR100834333B1 (ko) 2004-08-19 2005-08-06 분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41137B2 (ko)
EP (1) EP1778389B1 (ko)
JP (1) JP4532551B2 (ko)
KR (1) KR100834333B1 (ko)
CN (1) CN100473449C (ko)
AT (1) ATE389449T1 (ko)
DE (2) DE202004013056U1 (ko)
ES (1) ES2304717T3 (ko)
WO (1) WO2006018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13056U1 (de) * 2004-08-19 2004-11-11 Vma-Getzmann Gmbh Dispergiervorrichtung
DE102007048137C5 (de) * 2007-10-05 2019-06-19 Wilhelm Niemann Gmbh & Co. Verfahren und Aufbereitung von organischen Materialien für Biogasanlagen
KR101049780B1 (ko) 2008-11-10 2011-07-19 주식회사 제이오 베어링지지구조를 갖는 호모게나이저
DE102009013214B3 (de) * 2009-03-17 2010-04-08 Wilhelm Niemann Gmbh & Co. Tauchmühle mit Mahlraumabdichtung
EP2372151B1 (en) * 2010-03-29 2016-01-13 ALSTOM Renewable Technologies Wind turbine
FR2968072B1 (fr) * 2010-11-25 2013-05-10 Nexter Systems Dispositif de support pour viseur de vehicule militaire.
CN102219408B (zh) * 2011-04-06 2012-11-14 孙世龙 一种水泥生料均化库
CN103446938B (zh) * 2013-09-18 2015-05-20 安徽美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对流原理的涂料分散机
DE102014118909B4 (de) 2014-02-05 2016-12-29 Wilhelm Niemann GmbH & Co. KG Maschinenfabrik Tauchmühle mit Mahlraumabdichtung
FR3022804B1 (fr) * 2014-06-25 2016-07-15 Roquette Freres Arbre d'agitation pour broyeur
DE202015100951U1 (de) 2015-02-27 2016-05-30 Vma-Getzmann Gmbh Verfahrenstechnik Dispergiereinheit mit einer einfach wechselbaren Feindispergiereinheit
CN107441984A (zh) * 2017-07-17 2017-12-08 宁波盾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纳米涂料的高速分散机
FR3078532B1 (fr) * 2018-03-05 2020-03-06 Kuantom Appareil de fabrication d'une boisson
CN109925899B (zh) * 2019-03-19 2021-12-03 浙江环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固体原料快速溶解的混合溶解设备
CN110150321A (zh) * 2019-05-24 2019-08-23 苏农(广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枯草芽孢杆菌可湿性粉剂及其制备工艺
RU199676U1 (ru) * 2020-06-19 2020-09-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втоматика" Смеситель
WO2023059407A1 (en) 2021-10-08 2023-04-13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Antifriction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antifriction coatings
CN114768694B (zh) * 2022-05-06 2024-02-27 辽阳百事达化工有限公司 一种碳酸乙烯酯制备装置及其工艺
CN117816023A (zh) * 2024-03-06 2024-04-05 四川圣达高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墙面漆生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9473A1 (fr) * 1982-06-30 1984-01-06 Procedes Ste Nle Et Perfectionnements aux broyeurs rotatifs a billes
JPH01274829A (ja) * 1988-04-27 1989-11-02 Hitachi Ltd 横置式撹拌機の軸受装置
DE4017226A1 (de) * 1990-05-29 1991-12-05 Bhs Voith Getriebetechnik Gmbh Verzweigungsgetriebe
US5184783A (en) 1991-12-03 1993-02-09 Hockmeyer Equipment Corp. Basket media mill and method
JP2575498Y2 (ja) 1993-01-08 1998-06-25 三井鉱山株式会社 粉砕機の構造
DE4425906C2 (de) * 1994-07-21 1997-02-06 Netzsch Erich Holding Naßmahlsystem
DE19533369C2 (de) * 1995-09-09 1998-06-10 Hermann Getzmann Dispergiervorrichtung und Dispergierverfahren
FR2777807B1 (fr) * 1998-04-24 2000-06-16 Gerard Rousselle Turbine de mise en circulation d'une masse de matiere de viscocite determinee
DE29819508U1 (de) * 1998-11-02 1999-01-14 Vma Getzmann Gmbh Dispergiervorrichtung
DE19914089A1 (de) 1999-03-27 2000-09-28 Guntram Krettek Naßklassiereinrichtung mit integriertem Mahlwerk
US6698934B2 (en) * 2002-04-29 2004-03-02 Conocophillips Company Agitator drive
DE202004013056U1 (de) * 2004-08-19 2004-11-11 Vma-Getzmann Gmbh Dispergi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8389B1 (en) 2008-03-19
CN100473449C (zh) 2009-04-01
JP2008509813A (ja) 2008-04-03
WO2006018168A1 (en) 2006-02-23
ES2304717T3 (es) 2008-10-16
DE602005005487D1 (de) 2008-04-30
ATE389449T1 (de) 2008-04-15
CN1842366A (zh) 2006-10-04
DE602005005487T2 (de) 2009-04-16
DE202004013056U1 (de) 2004-11-11
KR100834333B1 (ko) 2008-06-02
JP4532551B2 (ja) 2010-08-25
US7641137B2 (en) 2010-01-05
US20080035770A1 (en) 2008-02-14
EP1778389A1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333B1 (ko) 분산 장치
US4651935A (en) Horizontal media mill
KR100927949B1 (ko) 바스켓 밀
KR950012297B1 (ko) 입자상 재료 처리장치
JP3866644B2 (ja) 旋動式破砕機及び旋動式破砕機の運転方法
US20190381467A1 (en) Production plant and method
US5967430A (en) Dispersing device and process
CN103768973A (zh) 自清式双螺带差速混合机
JPH10309452A (ja) 粉粒体精密処理装置
US7275704B2 (en) Compound dispersing method and apparatus
CN1472127A (zh) 谷物搅拌装置和谷物贮藏装置
CN203694942U (zh) 自清式双螺带差速混合机
JP4573228B2 (ja) 粉粒体の混合装置
US20020003180A1 (en) Dispersing device
JP2001254837A (ja) 食品加工に用いる容器固定型ミキサーの軸封構造
JP2539110B2 (ja) 分散装置
KR101126518B1 (ko) 배합물의 분산장치 및 분산방법
KR200385083Y1 (ko) 습식 분쇄 분산기의 미립자 분리 및 배출장치
JPH062238B2 (ja) 撹拌ボールミル
JP4238116B2 (ja) 円筒容器の内壁ライニング装置
JP6567298B2 (ja) 旋動式破砕機の給油構造
KR102296313B1 (ko) 내순환식 슬러리 분산장치
US20020135132A1 (en) Mechanical seal
JP6534482B2 (ja) 二軸式分散機
KR100517025B1 (ko) 바스켓 형태의 분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