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010A -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010A
KR20070059010A KR1020067026556A KR20067026556A KR20070059010A KR 20070059010 A KR20070059010 A KR 20070059010A KR 1020067026556 A KR1020067026556 A KR 1020067026556A KR 20067026556 A KR20067026556 A KR 20067026556A KR 20070059010 A KR20070059010 A KR 2007005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cradle
block
silen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717B1 (ko
Inventor
프랑소아 로린
티에리 샤브롤
Original Assignee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ublication of KR2007005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2개의 쉘(11, 12)을 포함하며, 쉘들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부싱 통해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4)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자동차 크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 부싱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51)가 플레어 형상을 갖도록 제공되는 부싱의 변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MOTOR VEHICLE CRADLE COMPRISING AT LEAST A FLARED BUSHING FOR RECEIVING A SILENT BLOCK, CORRESPONDING CRADLE AND VEHICLE}
본 발명의 분야는 자동차 산업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을 지지하는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 의하면, 엔진 크래들(engine cradle)은 디프 드로잉(deep-drawing) 가공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동시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된 2개의 쉘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래들의 기능들 중 한 가지는 자동차의 가속 혹은 감소 단계 동안 구동 토크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에 잘 견디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미니 크래들(mini cradle)"로 또한 알려져 있는 전술한 크래들은 그것의 후방부가 자동차 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또 그것의 전방부가 충격 흡수 장치(2) 또는 크래들의 플레이트(13)에 고정된 "애드-온(add-on)" 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그러한 크래들은 바퀴를 지지하거나 바퀴 지지 수단(31)(일점 쇄선으로 도시)을 지탱하는 하측 아암(3)에 결합되고, 안티-롤 바(anti-roll bar; 32)는 이러한 아암을 연결하여 크래들 상에 유지된다.
소음 방지 목적으로, 크래들과 자동차 본체 사이에 예컨대, 고무 등의 여과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이러한 여과 요소는 운전 안락감과 함께 운전자가 자동차의 도로 거동을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러한 여과 요소는 크래들과 그 본체 사이에 기계적 링크를 제공하는 동시에 2개의 금속 보강체 사이에 삽입된 고무(혹은 다른 진동 흡수 물질)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사일런트 블록(silent block)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사일런트 블록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사일런트 블록(4)은 2개의 보강체, 즉 내측 보강체(41)와 외측 보강체(42)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고무인 여과 물질(43)이 주입된다.
종래에, 내측 보강체는 금속 튜브인데 반하여 외측 보강체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제조 방법은 널리 알려진 문제점을 야기한다.
실제로, 보강체들 사이에 고무를 주입한 후에, 그 고무(43)는 응고될 때 체적 감소가 발생하고,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보강체(42)로부터 떨어지 나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수축"이라고 일컫는다.
고무와 외측 보강체 사이의 결합은 더 이상 만족할 수 없게 되고, 사일런트 블록의 "재조정(recalibrate)"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것은 수축에 의해 생긴 간극 제거 관점에서 외측 보강체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의 작업에 의해 달성된다.
외측 보강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때, 이러한 작업은 블록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며, 이를 위해 제공된 기계는 외측 보강체를 압박한다. 따라서, 공급된 사일런트 블록은 수축에 의해 야기되는 간극이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기계의 사용과 관련한 비용으로 인해 사일런트 블록의 값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 외측 보강체의 경우, 사일런트 블록은 일반적으로 수축에 의해 야기된 간극을 가진 상태로 여전히 공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을 제거하기 위해, 크래들 상에 특수한 부싱을 장착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부싱은 부싱의 일단부의 기계 가공을 허용하기 위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금속관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기계 가공의 목적은 부싱의 내경 부위에 걸쳐 모따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모따기는 재조정 이전에 사일런트 블록의 외측 보강체의 직경과 일치하는 직경 부위와 재조정 후 사일런트 블록의 외측 보강체의 직경과 일치하는 직경 부위 사이를 연장한다.
따라서, 사일런트 블록이 이렇게 모따기 가공된 부싱 내에 끼워졌을 때, 외측 보강체(이것의 플라스틱 구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 변화를 겪고 견디게 됨)는 수축에 의해 생긴 간극이 없어질 때까지 그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또 다시 작업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실제로, 부싱을 하나씩 기계 가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 가공은 전체 크래들의 제조 비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각 부싱은 수 밀리미터에 걸쳐 연장할 수 있는 모따기의 기계 가공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큰 두께의 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싱은 실제로 상대적으로 비싼 관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이들 관은 자체 두께로 인해 크래들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부품을 구성하게 되고, 이는 회피해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보다 더 싼 비용으로 사일런트 블록 상의 수축 영향을 없앨 수 있는 자동차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실시한 것과 같은 수축 효과를 없애기 위한 특별한 기계 가공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그러한 타입의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일런트 블록을 수납하기 위한 부싱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크래들에서 지주용으로 사용한 것보다 현저하게 덜 두꺼운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그러한 타입의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가 간단하고 실시하기가 용이한 그러한 타입의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크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고 그리고 싼 가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그러한 타입의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될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상호 결합된 2개의 쉘을 포함하며, 상기 쉘들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부싱을 매개로 하여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크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방법은 상기 부싱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플레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부싱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일런트 블록이 끼워지게 될 부싱은 종래 기술에 의해 실시된 모따기 가공한 부싱보다 현저하게 더 작은 두께를 지닌 금속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싱은 또한 감겨 있고 접힌 시임(seam)에 의해 결합된 시트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자의 경우, 그러한 부싱은 모따기 가공한 부싱보다 현저하게 덜 비싸다.
더욱이, 아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부싱을 변형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전술한 기계 가공 단계를 생략 가능하도록 해준다.
다시 말해서, 용어 "변형 단계(deformation step)"는 본 발명에 따라 어떠한 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부싱의 플레어형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용어 "기계가공(machining)"과 상반된다.
양호한 해결책에 따르면, 상기 변형 단계는 캐리어 쉘로 알려져 있는 상기 쉘들 중 하나 상에 상기 부싱을 장착하는 단계 동안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 단계는 부싱을 장착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 작업 스테이션이 종래 기술과는 달리 생략되기 때문에 비용의 관점에서 그리고 세부 조정의 관점 양자에 있어서 장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하나의 유리한 해결책에 따르면, 상기 부싱은 이 부싱의 하나의 단부를 플레어형으로 만들도록 구성된 변형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쉘 상에 끼워 맞춰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캐리어 쉘 상에 부싱을 끼워 맞추고 플레어형으로 되도록 하는 것을 조합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이 얻어진다.
유리하게는, 상기 부싱은 캐리어 쉘이 다른 하나의 쉘과 서로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캐리어 쉘 상에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취급이 더욱 용이하게 되고 캐리어 쉘 둘레의 모든 공간이 쓸모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쉘은 초기의 디프 드로잉 단계 동안 얻어진다.
이 경우, 제조 방법은 상기 하나의 쉘에 사일런트 블록이 통과하여 장착될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오리피스 내에 상기 블록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오리피스 둘레에 턴-다운 가장자리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호한 해결책에 따르면, 부싱을 장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플레이형 단부가 상기 크래들의 외측면에 일치하는 상기 캐리어 쉘의 측면 상으로 연장하도록 수행된다.
따라서, 부싱 내에 사일런트 블록을 끼워 맞추는 동안, 플레어형 단부는 블록의 끼워 맞춤 작용 하에서 캐리어 쉘에 대하여 밀리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플레어의 위치와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부싱 내에 사일런트 블록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내측 보강체와 외측 보강체로 이루어진 2개의 동축 보강체 사이의 고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단계는 부싱의 상기 플레어형 단부를 통해 상기 블록을 도입하여 상기 부싱 내에 상기 블록을 끼워 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이 완료될 때, 자동차에 장착할 준비가 완료된 크래들을 획득하게 되며, 상기 크래들은 재조정 작업을 겪게 될 사일런트 블록과 함께 미리 장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크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 부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암형 부재와;
- 수형 부재가 상기 암형 부재 내에 배치된 상기 부싱에 끼워질 때에 상기 플레어형 단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변형 요소를 구비하는 수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호 결합된 2개의 쉘을 포함하며, 2개의 동축 보강체 사이에 유지된 고무 부분을 포함하는 타입의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블록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벽은 적어도 그 부싱의 단부들 중 하나 이상에 플레어를 형성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크래들은 부싱 가격이 특히 낮음으로 인해 종래 기술의 크래들을 이용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더 낮은 비용으로 얻게 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부싱은 상기 하나의 쉘에 마련된 턴-다운 가장자리 내측에 끼워 맞춰지며, 부싱의 상기 플레어형 단부는 상기 턴-다운 가장자리를 지나서 연장된다.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 외측 보강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는 전술한 보강체가 그 직경에 있어서 가능한 한 현저한 감소에 매우 잘 적합해지기 때문이다.
양호하게는, 상기 플레어형 단부는 상기 크래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래들의 외측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사일런트 블록은 확장부를 구비하며, 이 확장부 아래에는 부싱의 상기 플레어형 단부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환형 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일런트 블록의 장착 이전에 쉘 밖으로 돌출하는 플레어형 단부는 장착 후 블록 자체에 의해 잠복 및 밀폐된다.
하나의 양호한 해결책에 따르면, 상기 사일런트 블록은 상기 쉘들 중 하나와 맞닿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는 상기 환형 홈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호 결합된 2개의 쉘을 포함하며, 2개의 동축 보강체 사이에 끼워 맞춰진 고무 부분을 포함하는 타입의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과 연동하는 크래들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블록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벽은 적어도 그 부싱의 단부들 중 하나 이상에 플레어를 형성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와 첨부 도면에 의해 주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접한 주위의 부품들과 함께 도시한 자동차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일런트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수축 상태로 있는 사일런트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일런트 블록을 재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일런트 블록이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크래들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함으로써 크래들 상의 부싱의 장착을 포함한 단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는 사일런트 블록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부싱을 기계 가공하지 않고 그 부싱의 하나의 단부가 플레어형이 되도록 하는 변형을 달성하는 데 있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는 상측 쉘(11)과 하측 쉘(12)을 포함하는 크래들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셀들 사이에는 하나의 단부(51)가 플레어형으로 되어 있는 부싱(5)이 연장한다.
후술하는 내용을 통해 더 명백해질 것이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된 부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트 블록(4)에 의해 표시된 수축부(44)를 없앨 수 있도록 해준다(도 4 참조). 이는 블록의 외측 보강체의 직경을 직경 d1에서 이 d1보다 작은 직경 d2까지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부싱(5)에 사일런트 블록(4)을 끼워 맞추는 동안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경 감소는 부싱의 단부(51)의 플레어형 형상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쉘(11)(이하에서는 캐리어 쉘로 칭함)은 블록(4)이 끼워 맞춰지게 될 턴-다운(turn-down) 가장자리(111)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는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더욱이,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턴-다운 가장자리(111)는 크래들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반면에, 부싱(5)의 플레어형 단부(51)는 턴-다운 가장자리(111) 넘어 크래들의 외측을 향해 연장한다.
또한, 이러한 크래들에는 내측 보강체와 외측 보강체 사이에 고무 물질이 주입되어 있는 전술한 타입의 하나(혹은 복수 개)의 사일런트 블록(4)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하측 보강체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일런트 블록(4)은 확장부(45)를 구비하며, 이 확장부 아래에는 부싱(5)의 플레어형 단부(51)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환형 홈(45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45)는 캐리어 쉘(11)과 맞닿도록 구성된 플랜지(452)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랜트(452)는 이것과 동일 축상으로 환형 홈(451)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플랜지(452)는 충분한 내성이 있는 제한 멈추개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치수(두께와 높이)를 갖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제조 방법은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래들의 상측 및 하측 쉘은 디프 드로잉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캐리어 쉘(11)(크래들의 상측 쉘을 특정 함)은 그 다음, 사일런트 블록이 그 것을 통해 장착되도록 설계된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펀칭 방법에 의해 절단된다.
그 다음, 제조된 오리피스의 가장자리는 뒤로 접히기 때문에 이러한 오리피스는 크래들의 내측과 일치하는 캐리어 쉘(11)의 표면 쪽에서 연장하는 턴-다운 가장자리(11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그 다음, 부싱(5)을 캐리어 쉘(11) 상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가 후속하며, 이 장착 단계 동안 부싱(5)의 하나의 단부가 플레어형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부싱(5)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암형 부재(61)와, 변형 요소(621)를 구비하는 수형 부재(62)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데, 상기 변형 요소는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61) 내에 배치된 부싱 내에 알맞게 끼워지는 동안에 플레어형 단부를 성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기 변형은 변형 요소(621) 상에 있는 플레어형 부분(6211)에 의해 획득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상기 부싱(5)은 암형 부재(61)를 화살표(F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쉘(11)에 대해 배향시킴으로써 캐리어 쉘(11)의 턴-다운 가장자리(111) 내측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호 끼워 맞춤 작용은 부싱(5)의 상기 단부가 변형 요소(621)의 플레어형 부분(6211)으로 향하게 되었을 때 변형 요소에 대하여 발생하며, 암형 부재는 화살표 F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부싱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61)의 상대 운동은 이들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차지하여 부싱의 상기 단부(51)의 변형을 초래하고, 그 결과 그것이 변형 요소(621)의 상기 부분(6211)과 적어도 일치하는 플레어 형상을 부여할 때까지 지속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더 명백하듯이, 부싱의 장착은 부싱의 플레어형 단부(51)가 크래들의 외측면에 일치하는 캐리어 쉘의 측면으로 연장하도록 만듦으로써 달성된다.
전술한 부싱의 장착 단계들은 캐리어 쉘이 크래들의 외측 쉘과 함께 결합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 다음, 사일런트 블록(4)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의 플레어형 단부를 통해 상기 블록을 도입함으로써 부싱 내에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지 않고 특히 특별한 크래들 구조의 경우, 캐리어 쉘이 크래들의 하측 쉘로 구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측 및 하측 쉘 각각이 캐리어 쉘을 구성하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Claims (17)

  1. 상호 결합된 2개의 쉘(11, 12)을 포함하며, 상기 쉘들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부싱(5)을 매개로 하여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크래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싱(5)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51)가 플레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부싱(5)을 변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단계는 캐리어 쉘로 알려진 상기 쉘(11) 중 하나 상에 상기 부싱(5)을 장착하는 단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은 이 부싱(5)의 하나의 단부를 플레어형으로 만들도록 구성된 변형 부재(621)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쉘(11) 상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은 캐리어 쉘(11)이 다른 하나의 쉘(12)과 함께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캐리어 쉘(11) 상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11, 12)은 초기의 디프 드로잉(deep-drawing) 단계 동안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쉘(11)에 사일런트 블록(4)이 통과하여 장착될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리피스 내에 상기 블록(4)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오리피스 둘레에 턴-다운 가장자리(111)를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플레이형 단부(51)가 상기 크래들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쉘(11)의 측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 내에 사일런트 블록(4)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4)은 내측 보강체(41)와 외측 보강체(42)로 이루어진 2개의 동축 보강체(41, 42) 사이의 고무 부분(43)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단계는 부싱(5)의 플레어형 단부(51)를 통해 상기 블록을 도입하여 상기 부싱(5) 내에 상기 블록(4)을 끼워 맞춤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 부싱(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암형 부재(61)와;
    - 수형 부재(62)가 상기 암형 부재(61) 내에 배치된 부싱(5)에 끼워질 때에 플레어형 단부(5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변형 요소(621)를 구비하는 수형 부재(62)
    를 구비하는 것인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장치.
  10. 상호 결합된 2개의 쉘(41, 42)을 포함하며, 2개의 동축 보강체(41, 42) 사이에 유지되는 고무 부분(43)을 포함하는 타입의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4)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블록(4)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싱(5)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벽은 적어도 그 부싱의 단부(51) 중 하나 이상에 플레어를 형성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은 상기 하나의 쉘(11)에 마련된 턴-다운 가장자리(111) 내측에 끼워 맞춰지며, 부싱의 플레어형 단부는 상기 턴-다운 가장자리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외측 보강체(42)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크래들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트 블록(4)은 확장부(45)를 구비하며, 이 확장부 아래에는 부싱(5)의 플레어형 단부(51)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환형 홈(45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트 블록(4)은 상기 쉘들 중 하나와 맞닿도록 구성된 플랜지(4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52)는 상기 환형 홈(451)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들.
  17. 상호 결합된 2개의 쉘(11, 12)을 포함하며, 2개의 동축 보강체(41, 42) 사이에 끼워 맞춰진 고무 부분(43)을 포함하는 타입의 하나 이상의 사일런트 블록(4)과 연동하는 크래들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블록(4)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싱(5)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벽은 적어도 그 부싱의 단부(51)들 중 하나 이상에 플레어를 형성하는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067026556A 2004-05-17 2005-04-15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 KR101070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5336A FR2870196B1 (fr) 2004-05-17 2004-05-17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berceau de vehicule comprenant au moins une douille evasee destinee a recevoir un plot de filtration, berceau et vehicule correspondants
FR0405336 2004-05-17
PCT/FR2005/000915 WO2005123488A1 (fr) 2004-05-17 2005-04-15 Procédé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berceau de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au moins une douille évasée destinée à recevoir un plot de filtration, berceau et véhicule correspond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010A true KR20070059010A (ko) 2007-06-11
KR101070717B1 KR101070717B1 (ko) 2011-10-07

Family

ID=3494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556A KR101070717B1 (ko) 2004-05-17 2005-04-15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50991B1 (ko)
JP (1) JP2007538211A (ko)
KR (1) KR101070717B1 (ko)
AT (1) ATE395238T1 (ko)
DE (1) DE602005006798D1 (ko)
ES (1) ES2302207T3 (ko)
FR (1) FR2870196B1 (ko)
WO (1) WO20051234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9186A (en) * 1962-07-19 1965-08-10 Monarch Rubber Company Method of making rubber bushings
ES450061A1 (es) * 1975-10-14 1977-11-16 Gen Tire & Rubber Co Un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elemento metalico anular con tolerancias precisas.
FR2528132B1 (fr) * 1982-06-03 1985-09-27 Cegedur Dispositif d'assemblage d'un tube et d'un element de tole
DE3877031T2 (de) * 1987-03-31 1993-05-19 Mazda Motor Ausbildung des hinteren unterbodens eines kraftfahrzeugs.
JPH02176226A (ja) * 1989-07-15 1990-07-09 Tokai Rubber Ind Ltd 防振ブッシュを剛性部材に設けた穴に圧入固着する方法
JPH06137379A (ja) * 1992-10-22 1994-05-17 Toyoda Gosei Co Ltd エンジンマウント
US5862877A (en) * 1994-12-20 1999-01-26 Cosma International Inc. Cradle assembly
JPH08233009A (ja) * 1995-02-24 1996-09-10 Yamakawa Ind Co Ltd インシュレーターの取付構造
JP2663112B2 (ja) * 1995-03-28 1997-10-15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防振ゴム
JP3822292B2 (ja) * 1996-10-31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懸架装置のダンパマウント
ES2185315T3 (es) * 1998-02-17 2003-04-16 Cosma Int Inc Ensamblaje de casquillo autoextruid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l mismo.
GB2340794B (en) 1998-08-20 2002-03-27 Rover Group Subframe mounting
JP3675656B2 (ja) * 1998-12-17 2005-07-27 株式会社星野産商 配合物
JP3886276B2 (ja) * 1998-12-18 2007-02-28 アスク・サンシ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通風用筒体の防振構造
JP2002321125A (ja) * 2001-04-23 2002-11-05 Toyo Tire & Rubber Co Ltd 弾性ブッシュの圧入方法及び圧入用治具
JP2003227546A (ja) * 2002-02-04 2003-08-15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3488A1 (fr) 2005-12-29
FR2870196B1 (fr) 2006-08-04
KR101070717B1 (ko) 2011-10-07
EP1750991A1 (fr) 2007-02-14
EP1750991B1 (fr) 2008-05-14
ATE395238T1 (de) 2008-05-15
DE602005006798D1 (de) 2008-06-26
ES2302207T3 (es) 2008-07-01
JP2007538211A (ja) 2007-12-27
FR2870196A1 (fr) 200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363B2 (ja) クレードル組立体
JPH0911722A (ja) 管状懸架装置要素の製造方法
CN105051402A (zh) 弹簧橡胶座和烛式独立悬架
JP4203063B2 (ja) 防振装置
CN111002775B (zh) 衬套以及车辆用悬架装置
US11473646B2 (en) Bushing and vehicle suspension device
KR101070717B1 (ko) 자동차 크래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와 그 크래들 및 자동차
US20040188898A1 (en) Pneumatic spring po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2169525A1 (ja) ビーム部材
CN107303790A (zh) 用于机动车车轴的轴部件
JP2000154842A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
US6299148B1 (en)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or
US6557838B2 (en) Hydraulic engine mount having a one-piece inner support structure
JP5358323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2009096359A (ja) 車両用アクスル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5681B1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구조
US7320480B2 (en) Structure for fixing steering-gear housing
JP4060059B2 (ja) 自動車用サブフレーム
JP4580089B2 (ja) 弾性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08363C (zh) 减震器
US5724850A (en) Rear fork for a motorcycle
CN112823114B (zh) 用于机动车辆的发动机托架
KR102437189B1 (ko) 차량용 어퍼암
CN215513859U (zh) 套管、衬套安装结构及副车架
JPH08261272A (ja) 緩衝器用ジョイント部の製造方法及び緩衝器用ジョイント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