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189B1 - 차량용 어퍼암 - Google Patents

차량용 어퍼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189B1
KR102437189B1 KR1020200126760A KR20200126760A KR102437189B1 KR 102437189 B1 KR102437189 B1 KR 102437189B1 KR 1020200126760 A KR1020200126760 A KR 1020200126760A KR 20200126760 A KR20200126760 A KR 20200126760A KR 102437189 B1 KR102437189 B1 KR 10243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late
plate part
plate
bush
u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400A (ko
Inventor
정현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0012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1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3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with embedded inserts for material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5Shaping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어퍼암에 관한 것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외판부와, 외판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부와, 외판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판부와,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판부를 연결하는 중판부와, 외판부에 장착되고 탄성을 갖는 부시부를 포함하여,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어퍼암{UPPER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어퍼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통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어퍼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어퍼암(upper control arm) 구조는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판재를 성형한 후, 단품을 박스타임으로 용접하여 제작한다.
어퍼암 구조는 제작 시 필요한 용접부위를 없애도록 하여, 강성을 강화시키고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부 및 하부 판재를 용접하므로, 이들간의 일부 영역에서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어퍼암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5907호(2015.03.11.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어퍼암 구조 및 성형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통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어퍼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마주보는 한 쌍의 외판부; 상기 외판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부; 상기 외판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판부를 연결하는 중판부; 및 상기 외판부에 장착되고 탄성을 갖는 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와, 상기 중판부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고,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판부는 외판몸체부; 및 상기 외판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외판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상기 외판부와 상기 중판부를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가 압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공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에 가공되고, 중량을 절감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한 쌍의 상기 외판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부시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한 쌍의 상기 외판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외판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되, 외판부와, 상판부와, 하판부와, 중판부로 이루어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외판부(10)와, 상판부(20)와, 하판부(30)와, 중판부(40)와, 부시부(50)를 포함한다.
외판부(10)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외판부(10)는 동일한 형상을 하여 서로 대칭되고, 외판부(10) 사이에 상판부(20)와, 하판부(30)와, 중판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부(20)는 외판부(10)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일예로, 상판부(20)는 외판부(10)의 길이와 대응되며, 외판부(10)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할 수 있다.
하판부(30)는 외판부(10)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일예로, 하판부(30)는 외판부(10)의 길이와 대응됨, 외판부(10)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할 수 있다.
중판부(40)는 상판부(20)와 하판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외판부(10)를 연결한다. 일예로, 중판부(40)는 상판부(20)와 하판부(30) 사이에 배치되고, 외판부(10)를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중판부(40)는 외판부(1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성 유지 및 경량화를 위해 2개의 중판부(40)가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부시부(50)는 외판부(10)에 장착되고 탄성을 갖는다. 부시부(50)는 타 부품과 장착되어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외판부(10)와, 상판부(20)와, 하판부(30)와, 중판부(40)는 일체로 성형된다. 이들은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되,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부(10)는 외판몸체부(11)와 외판보강부(12)를 포함한다.
외판몸체부(11)는 차량용 어퍼암(1)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외판보강부(12)는 외판몸체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어 강성을 보강한다. 일예로, 외판부(10)가 압출 성형되는 과정에서 외판몸체부(11)에는 일방향으로 함몰되고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외판보강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가공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공홀부(60)는 외판부(10)와 중판부(40)를 가공하여 형성되고, 부시부(50)가 압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예로, 가공홀부(60)는 압출 성형된 외판부(10)와, 중판부(40)를 가공하여 부시부(5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절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70)는 상판부(20)와 하판부(30)에 가공되고, 중량을 절감한다. 일예로, 절개부(70)는 상판부(20)와 하판부(30)를 부분 절개하거나 전체 절개할 수 있다. 한편, 상판부(20)와 하판부(30)의 양단부는 부시부(50)를 커버하기 위해 절개부(70)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커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는 한 쌍의 외판부(10) 사이에 삽입되고, 부시부(50)를 감싼다. 일예로, 커버부(80)는 한 쌍의 중판부(40) 사이로 삽입되어 부시부(50)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80)는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판부(40)와 동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보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90)는 한 쌍의 외판부(10) 사이에 삽입되어 외판부(1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일예로, 보강부(90)는 중판부(40) 사이로 삽입되고, 부시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외판부(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보강부(90)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경우, 외판부(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 보강부(90)가 탄성재질이나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경우, 외판부(10) 및 중판부(40)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용 어퍼암(1)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성형 방식으로 판재(100)를 제작한다. 압출성형으로 제작된 판재(1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외판부(10)와, 외판부(1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판부(20)와, 외판부(10)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판부(30)와, 상판부(20)와 하판부(30)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외판부(10)를 연결하는 중판부(40)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압출성형된 판재(10)는 필요한 길이로 커팅되고, 형상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압출성형된 판재는 차량용 로어암(1)의 길이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공된다. 이때, 압출성형된 판재(100)의 양단부는 라운드 가공이 되고, 중량 절감을 위해 상판부(20)와 하판부(30)에는 절개부(70)가 형성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도 2 참조).
압출성형된 판재(100)의 1차 가공이 완료되면, 부시부(50) 장착을 위한 2차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가공홀부(60)는 외판부(10) 및 중판부(40)의 양단부를 가공하여 부시부(50) 장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공홀부(60)가 형성되면 부시부(50)를 가공홀부(60)에 압입한다.
한편, 부시부(50)가 장착된 후 중판부(40) 사이로 커버부(80)를 삽입하여, 부시부(50)를 보호하고, 외판부(10)의 단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시부(50)를 장착하기 전, 중판부(40) 사이로 보강부(90)를 삽입한다. 이러한 보강부(90)는 재질에 따라 외판부(10)의 강성을 확보하고,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퍼암(1)은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되, 외판부(10)와, 상판부(20)와, 하판부(30)와, 중판부(40)로 이루어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외판부 20 : 상판부
30 : 하판부 40 : 중판부
50 : 부시부 60 : 가공홀부
70 : 절개부 80 : 커버부
90 : 보강부

Claims (7)

  1. 마주보는 한 쌍의 외판부;
    상기 외판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부;
    상기 외판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판부를 연결하는 중판부;
    상기 외판부에 장착되고 탄성을 갖는 부시부;
    상기 부시부가 장착된 후 한 쌍의 상기 중판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부시부를 보호하고 상기 외판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커버부; 및
    상기 부시부를 장착하기 전 한 쌍의 상기 외판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부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판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퍼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와, 상기 중판부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고,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퍼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부는
    외판몸체부; 및
    상기 외판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외판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퍼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부와 상기 중판부를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부시부가 압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공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퍼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에 가공되고, 중량을 절감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퍼암.
  6. 삭제
  7. 삭제
KR1020200126760A 2020-09-29 2020-09-29 차량용 어퍼암 KR10243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60A KR102437189B1 (ko) 2020-09-29 2020-09-29 차량용 어퍼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60A KR102437189B1 (ko) 2020-09-29 2020-09-29 차량용 어퍼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00A KR20220043400A (ko) 2022-04-05
KR102437189B1 true KR102437189B1 (ko) 2022-08-29

Family

ID=8118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60A KR102437189B1 (ko) 2020-09-29 2020-09-29 차량용 어퍼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1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4429A1 (fr) * 1998-09-02 2000-03-16 Tokai Rubber Industries, Ltd. Amortisseur pour vehicules
JP2011057102A (ja) * 2009-09-10 2011-03-24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アーム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634A (ja) * 1996-01-22 1997-07-2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1182468A (ja) * 1997-09-03 1999-03-26 Tokai Rubber Ind Ltd 防振連結ロ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4429A1 (fr) * 1998-09-02 2000-03-16 Tokai Rubber Industries, Ltd. Amortisseur pour vehicules
JP2011057102A (ja) * 2009-09-10 2011-03-24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アーム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00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04B1 (ko) 프런트 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 구조
EP1038712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KR20160129200A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2997B1 (ko) 차량의 차체구조물
KR101810997B1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2437189B1 (ko) 차량용 어퍼암
US20220032703A1 (en) Toe correction bushing and rear suspension device
JP2007137377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サブフレームの支持構造
JP4261587B2 (ja) 防振ブッシュ
KR20120045894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100925681B1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구조
KR102522281B1 (ko) 차량용 충격 완화장치
WO2018070505A1 (ja) 防振装置
KR102664095B1 (ko) 변속기 마운트
JP2944989B1 (ja) ゴムブッシュ
JP4580089B2 (ja) 弾性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3897A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US10259502B1 (en)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KR101531111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102223261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2359712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211422B1 (ko) 현가장치용 링크
KR20220147947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0452203B1 (ko)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