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897A -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897A
KR20110123897A KR1020100043370A KR20100043370A KR20110123897A KR 20110123897 A KR20110123897 A KR 20110123897A KR 1020100043370 A KR1020100043370 A KR 1020100043370A KR 20100043370 A KR20100043370 A KR 20100043370A KR 20110123897 A KR20110123897 A KR 2011012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bulge
vehicle
injection
bulg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성
Original Assignee
금강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3897A/ko
Publication of KR2011012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현가장치 링크와 차체에 연결되어 차량의 회전 및 제동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내관부와, 상기 내관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내관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벌지 사출부와,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내관부의 외면과, 상기 벌지 사출부의 외면에 고착형성되는 방진고무 및 상기 방진고무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관부는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는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부의 외면 중 벌지 사출부가 사출성형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여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벌지 사출부에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관부로부터 벌지 사출부가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A Bush of Suspen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벌지 사출부에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관부로부터 벌지 사출부가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시 차측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현가장치는 휠에 발생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 등을 견뎌낼 수 있는 방향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서 다수의 링크가 차체에 연결되는데 그 연결수단으로서 부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시는 차량의 회전 및 제동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함과 동시에 각 차륜이 차체에 대하여 바른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는 내관부(100)와 외관부(200) 사이에 방진고무(300)가 개재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내관부(100)에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가 관통 결합된다.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는 휠의 상하 요동에 따른 암의 회동시 방진고무(300)가 비틀림력을 받으면서 회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휠에 전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방진고무(300)가 압축 또는 신장 변형을 이루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부시의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관부(100)와 방진고무(300)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내관부(100)의 외측으로 만곡지도록 벌지부(110)를 형성하여 내관부(100)와 방진고무(300) 간의 접촉면적을 스트레이트 형상보다 더 많이 확보하여 내관부(100)와 방진고무(30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벌지부(110)는 금속관을 인발가공한 후 절단, 면취하고,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성가공하여 도 1과 같은 벌지부(110)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벌지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은 인발가공 후 원활한 소성가공을 위해 2차 소둔 및 윤활처리를 해야만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소둔처리 후 좌굴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부싱"이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054919호에 개재된 바 있다.
도2는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054919호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부싱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054919호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내관(400)의 외면에 벌지부(500)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벌지부(500)와 외관(600) 사이에 중간부재(700)를 개재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054919호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부싱은 내관(400)의 인발공정을 생략하여 종래에 비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나, 중간부재(700)가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벌지부(500) 중 도2에 표시된 'a'영역에 중간부재(700)가 지지되면서 외력이 벌지부(500)로 전달되어 내관(400)의 외면으로부터 벌지부(500)가 탈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관부의 외면 중 벌지 사출부가 사출성형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여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벌지 사출부에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관부로부터 벌지 사출부가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내관부의 외면에 연결부재를 1차 사출하여 연결부재의 일측이 내관부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부재의 외면을 딤플가공한 상태에서 벌지 사출부를 딤플가공된 연결부재의 외면에 2차 사출함으로써 내관부와 연결부재의 결합면적 및 연결부재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현가장치 링크와 차체에 연결되어 차량의 회전 및 제동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내관부와, 상기 내관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내관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벌지 사출부와,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내관부의 외면과, 상기 벌지 사출부의 외면에 고착형성되는 방진고무 및 상기 방진고무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관부는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는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내관부의 요홈은 상기 벌지 사출부의 중앙부 양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벌지 사출부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관부의 외면에 1차 사출성형되어 일측이 상기 내관부의 요홈에 삽입되고, 외면에 상기 벌지 사출부가 2차 사출성형되되, 상기 벌지 사출부가 접하는 외면이 딤플(dimple)가공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부의 외면 중 벌지 사출부가 사출성형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여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벌지 사출부에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관부로부터 벌지 사출부가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관부의 외면에 연결부재를 1차 사출하여 연결부재의 일측이 내관부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부재의 외면을 딤플가공한 상태에서 벌지 사출부를 딤플가공된 연결부재의 외면에 2차 사출함으로써 내관부와 연결부재의 결합면적 및 연결부재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내관부와 벌지 사출부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054919호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부싱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단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지 사출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관부의 단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단면사시도,
도7은 도6에 표시된 'A'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단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지 사출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1)는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와, 방진고무(30) 및 외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관부(10)는 중공(11)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중공(11)에 차량의 휠과 연결된 현가장치의 암(미도시)이 삽입결합되고, 종래와 달리 인발가공만으로 제조되어 일정한 내경을 가짐으로써 소성 가공, 2차 소둔, 윤활처리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원가가 감소된다.
또한, 내관부(10)는 외면 중 후술하는 벌지 사출부(20)가 사출성형되는 영역에 다수의 요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함과 아울러 벌지 내관부(10)에 비틀림력이 전달되는 경우 요홈(12)에 삽입된 벌지 사출부(20)의 일측이 내관부(10)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벌지 사출부(20)가 내관부(10)의 외면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벌지 사출부(20)는 내관부(10)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방진고무(3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방진고무(30)와 결합력을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벌지 사출부(20)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함몰부(21)가 형성되어 방진고무(30)를 지지하는 지지영역이 다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벌지 사출부(20)는 합성수지가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나일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방진고무(30)는 벌지 사출부(20)의 외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 휠의 상하 요동에 따라 암(미도시)이 회동하는 경우 내관부(10)로부터 차량으로 인가되는 비틀림력을 압축 또는 신장변형하면서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방진고무(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외관부(40)는 방진고무(30)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 일측에 설치되어 방진고무(30)를 사이에 두고 내관부(10)를 차량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는 차량 휠의 움직임에 따라 암이 회동하는 경우 암(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비틀림력이 내관부(10)로 전달되고, 내관부(10)로 전달된 비틀림력이 방진고무(30)의 압축 또는 신장변형에 의해 완충되어 외관부(40)를 통해 차량에 인가된다.
여기서 내관부(10)로부터 방진고무(30)로 비틀림력이 전달되어 방진고무(30)가 압축 또는 신장 변형하는 경우 방진고무(30)가 만곡지게 형성된 벌지 사출부(20)의 중앙부에 지지되면서 내관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며, 방진고무(30)를 지지하는 벌지 사출부(20)의 일측에 내관부(10)의 요홈(12)에 지지되면서 벌지 사출부(20)와 내관부(10)의 결합이 증대되어 벌지 사출부(20) 또한 내관부(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관부의 단면사시도이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5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및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내관부(10)의 요홈(12)이 벌지 사출부(20)의 중앙부 양측에서 벌지 사출부(20)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1)는 벌지 사출부(20)의 일측이 내관부(10)의 요홈(12)에 삽입되어 비틀림력이 벌지 사출부(20)에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전달되더라도 요홈(12)에 삽입된 벌지 사출부(20)의 일측이 내관부(10)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의 단면사시도이며, 도7은 도6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는 달리 내관부(10)의 외면에 연결부재(50)를 1차 사출성형하고, 연결부재(50)의 외면에 벌지 사출부(20)를 2차 사출성형한다.
이때, 연결부재(50)는 일측이 내관부(10)의 요홈(12)에 삽입되고, 벌지 사출부(20)와 접하는 외면이 딤플(dimple)가공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1)는 연결부재(5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부위가 증대되어 연결부재(5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이 향상됨과 아울러 내관부(10)의 비틀림력이 연결부재(50)에 전달되는 경우 내관부(10)의 요홈(12)에 삽입된 연결부재(50)의 일측이 내관부(10)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연결부재(50)의 내관부(10)의 결합력 또한 증대되어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내관부(10)의 요홈(1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벌지 사출부(20)의 중앙부 양측에서 벌지 사출부(20)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5의 실시예와 같이 비틀림력이 연결부재(50)에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연결부재(50)가 요홈(12)이 형성된 내관부(10)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내관부(10)와 연결부재(5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부재(50)는 벌지 사출부(20)를 2차 사출하는 경우 용융된 벌지 사출부(20) 용융재료의 용융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도록 벌지 사출부(20) 용융재료의 용융열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50)로는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프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부(10)와 벌지 사출부(20)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10 : 내관부
11 : 중공 12 : 요홈
20 : 벌지 사출부 21 : 함몰부
30 : 방진고무 40 : 외관부
50 : 연결부재

Claims (4)

  1. 차량의 현가장치 링크와 차체에 연결되어 차량의 회전 및 제동시에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내관부와;
    상기 내관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내관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벌지 사출부와;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내관부의 외면과, 상기 벌지 사출부의 외면에 고착형성되는 방진고무; 및
    상기 방진고무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관부는 상기 벌지 사출부가 형성되는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의 요홈은 상기 벌지 사출부의 중앙부 양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벌지 사출부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의 외면에 1차 사출성형되어 일측이 상기 내관부의 요홈에 삽입되고, 외면에 상기 벌지 사출부가 2차 사출성형되되, 상기 벌지 사출부가 접하는 외면이 딤플(dimple)가공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벌지 사출부의 용융점보다 높은 용융점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KR1020100043370A 2010-05-10 2010-05-10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KR20110123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70A KR20110123897A (ko) 2010-05-10 2010-05-10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70A KR20110123897A (ko) 2010-05-10 2010-05-10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897A true KR20110123897A (ko) 2011-11-16

Family

ID=4539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70A KR20110123897A (ko) 2010-05-10 2010-05-10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38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31B1 (ko) * 2014-06-30 2014-11-25 조재훈 로드엔드 베어링
KR101860828B1 (ko) * 2017-04-20 2018-05-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US11299003B2 (en) 2019-07-19 2022-04-12 Hyundai Motor Company Tuning freedom degree improvement type bush and suspens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31B1 (ko) * 2014-06-30 2014-11-25 조재훈 로드엔드 베어링
KR101860828B1 (ko) * 2017-04-20 2018-05-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 서브 프레임용 부시
US11299003B2 (en) 2019-07-19 2022-04-12 Hyundai Motor Company Tuning freedom degree improvement type bush and suspen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20056395A1 (en) Structure of roll rod for vehicle
KR101528783B1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WO2016047395A1 (ja) 筒型防振装置
JP475174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20140120452A (ko)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KR20110123897A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KR101810997B1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0925681B1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구조
JP2017067293A (ja) シャーシ軸受
JP3924729B1 (ja) 防振ブッシュ
KR20230009654A (ko) 차량의 현가장치
US20150300445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13032092A (ja) 鉄道車両用連結装置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211000806U (zh) 一种汽车摆臂限位结构及汽车悬架
KR20120043572A (ko) 하이드로포밍을 이용한 일체형의 커플드 토션빔 액슬 및 그 제조방법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KR101531111B1 (ko) 차량용 부시장치
CN211106926U (zh) 一种拉杆悬置及车辆
CN210211933U (zh) 一种摆臂衬套及摆臂衬套组件
KR20130017601A (ko) 서브프레임의 장착구조
CN214564431U (zh) 一种汽车独立悬架的后缓冲块总成及汽车
KR20180068573A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