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248A -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248A
KR20070056248A KR1020050114641A KR20050114641A KR20070056248A KR 20070056248 A KR20070056248 A KR 20070056248A KR 1020050114641 A KR1020050114641 A KR 1020050114641A KR 20050114641 A KR20050114641 A KR 20050114641A KR 20070056248 A KR20070056248 A KR 2007005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est
gate
dummy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206B1 (ko
Inventor
전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206B1/ko
Priority to CN2006101729673A priority patent/CN1982952B/zh
Priority to US11/563,248 priority patent/US7692443B2/en
Publication of KR2007005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검사 공정의 간단화 및 검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 게이트신호 입력부, 제1 검사부 및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게이트신호 입력부는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한다. 제1 검사부는 게이트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1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제1 더미 스위칭부는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제1 검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어레이 검사와 비쥬얼 검사가 하나의 검사배선으로 가능함에 따라서 검사 공정의 간단화 및 검출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어레이 검사, 비쥬얼 검사, 2G2D

Description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신호 입력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다른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레이 기판 200 : 컬러필터 기판
110 : 게이트신호 입력부 120 ; 데이터신호 입력부
130 : 정전기 다이오드부 140 : 제1 더미 스위칭부
150 : 제1 검사부 160 : 제2 더미 스위칭부
170 : 제2 검사부
본 발명은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공정의 간단화 및 검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패널 모듈은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마주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파티클에 의한 결함은 제조 수율 저하의 가장 큰 요인이다. 특히 파티클에 의한 배선의 단선(OPEN) 및 단락(SHORT) 불량은 직접적인 수율 저하의 주요인이다.
이러한 배선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상기 어레이 기판을 제조 공정시 배선들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어레이 검사(ARRAY TEST)를 수행한다. 다음,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기판이 결합된 표시 패널에 액정을 주입한 후 전기적인 신호와 백라이트(또는 프론트 라이트)를 제공하여 비쥬얼 검사(Visual Inspection)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어레이 검사는 모기판 상에서 표시 셀의 바깥쪽에 어레이 검사배선을 형성하여 어레이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어레이 검사 후 상기 모기판은 표시 셀 단위로 커팅된다.
따라서, 상기 비쥬얼 검사를 위해 상기 표시 셀 내에는 별도의 비쥬얼 검사를 위한 비쥬얼 검사배선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액정 주입 후의 표시 패널의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 등을 검출한다. 또한, 비쥬얼 검사는 배선 별로 서로 다른 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배선 불량은 물론 표시 불량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검사 공정 과정은 상기 어레이 검사를 위해 모기판 상에 어레이 검사배선을 형성해야 하고, 또한, 비쥬얼 검사를 위해 표시 셀 내에 비쥬얼 검사배선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공정의 간단화 및 검출력 향상을 위한 표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 게이트신호 입력부, 제1 검사부 및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 기 게이트신호 입력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한다. 상기 제1 검사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1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는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1 검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전달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패드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검사부 및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1 검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은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턴-온시키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게이트 배선들을 활성화시키는 제1 검사신호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 및 제1 검사부에 각각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에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에 의하면, 어레이 검사와 비쥬얼 검사가 하나의 검사배선으로 가능함에 따라서 검사 공정의 간단화 및 검출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신호 입력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100)과, 상기 어레이 기판(100)에 대향하여 결합된 컬러필터 기판(200), 및 상기 어레이 기판(100)과 컬러필터 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1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제1 주변 영역(PA1), 제2 주변 영역(PA2), 제3 주변 영역(PA3) 및 제4 주변 영역(PA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배선(GL)들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배선(DL)들 및 상기 게이트 배선(GL)들과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P)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부(P)에는 스위칭소자(TFT)와, 액정 캐패시터(CLC)의 화소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주변 영역(PA1)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인가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들이 종속적으로 연결된 쉬프트 레지스터로 상기 제1 주변 영역(PA)에 집적된다.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110)는 복수의 게이트 제어신호들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들(111)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110)는 n개의 스테이지들(SRC1,SRC2,...,SRCn)과 더미 스테이지(SRCd)로 구성되며, 복수의 스테이지들 (SRC1,SRC2,...,SRCn,SRCd)은 종속적으로 연결된다. 각 스테이지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들이 집적되어 형성된 것으로, 입력단자들과 출력단자들을 갖는다.
상기 입력단자들은 개시신호인 수직개시신호(STV) 또는 이전 스테이지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IN)와, 다음 스테이지의 출력신호 또는 더미 스테이지(SRCd)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단자(CL), 제1 클럭신호(CKV) 또는 제2 클럭신호(CKVB)가 입력되는 클럭단자(CK)와, 오프 전압(VSS)이 인가되는 전압단자(VSS)를 포함한다. 제1 클럭신호(CKV)는 홀수번째 스테이지들에 제공되고, 제2 클럭신호(CKVB)는 짝수번째 스테이지들에 제공된다. 상기 출력단자는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들(GL)과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에는 데이터신호 입력부(120)와 정전기 다이오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120)는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패드(121)들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121)들은 소스 구동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소스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들이 입력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부(130)는 데이터 입력패드(121)들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전기로부터 상기 화소부(P)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1 더미 스위칭부(140)와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검사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는 복수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 제어패드(147)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는 각 게이트 배선(GL)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검사부(150)는 외부로부터 제1 검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검사신호를 제1 더미 스위칭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제1 검사부(150)는 상기 제1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제1 검사패드부(153)와,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연결된 제1 검사배선부(15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신호는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를 경유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인가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전달함과 동시에 제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DA)의 화소부(P)들의 파손을 막는다.
상기 제4 주변 영역(PA4)에는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2 더미 스위칭부(160)와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검사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는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2 제어패드(163)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는 각각의 데이터 배선(DL)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검사부(170)는 외부로부터 제2 검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검사신호는 제2 더미 스위칭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제2 검사부(170)는 상기 제2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제2 검사패드부(173)와,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연결된 제2 검사배선부(17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검사신호는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에 인가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에 전달함과 동시에 제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DA)의 화소부(P)들의 파손을 막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제2 주변 영역(PA2)과 제3 주변 영역(PA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O, DL-E)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데이터 배선들(DL-O, DL-E)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이 정의되며, 각 화소부(P1)에는 스위칭소자(TFT1)와, 상기 스위칭소자(TFT1)에 연결된 화소 전극(PE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소자(TFT1)는 게이트 전극(102g), 반도체층(102a), 소스 전극(102s) 및 드레인 전극(102d)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2g)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동일한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102g) 위에는 게이트 절연층(103)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2s, 102d)은 상기 데이터 배선들(DL-O, DL-E)과 동일한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된 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2s, 102d) 위에는 보호 절연층(104)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102d) 위에 보호 절연층(104)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드레인 전극(102d)과 화소 전극(PE1)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에는 데이터신호 입력부(120)와 정전기 다이오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120)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패드(12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부(130)는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121)들과 JSRL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정전기 다이오드(13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131)들은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121)들로부터 유입된 정전기에 의해 화소부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131)는 스토리지 공통배선과 공통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배선(DL-E)과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소자이다.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에는 제1 더미 스위칭부(140)와 제1 검사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는 복수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140-O, 140-E)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140-O, 140-E)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 제어패드(147)를 포함한다.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140-O, 140-E)은 게이트 배선들(GL-O, GL-E)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검사부(150)는 제1 검사패드(153-O), 상기 제1 검사패드(153-O)와 연결된 제1 검사배선(151-O), 제2 검사패드(153-E), 상기 제2 검사패드(153-E)와 연결된 제2 검사배선(151-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검사배선(151-O, 151-E)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패드(153-O, 153-E)는 상기 화소 전극(PE1)과 동일한 투명한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검사패드(153-O)로부터 입력된 제1 검사신호는 상기 제1 검사배선(151-O)을 통해 홀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140-O)에 전달된다. 상기 제2 검사패드(153-E)로부터 입력된 제1 검사신호는 상기 제2 검사배선(151-E)을 통해 짝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140-E)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검사부(15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1 검사신호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에 전달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는 상기 제1 제어패드(14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에 인가한다.
홀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140-O)는 상기 제1 제어패드(14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141)과, 상기 제1 검사배선(151-O)과 연결된 소스 전극(143) 및 홀수번째 게이트 배선(GL-O)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144)을 포함한다. 짝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140-E)는 상기 제1 제어패드(14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141)과, 상기 제2 검사배선(151-E)과 연결된 소스 전극(145) 및 짝수번째 게이트 배선(GL-E)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14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홀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140-O)의 상기 게이트 전극(141)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3, 144)은 상기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141) 위에는 반도체층(142)이 형성된다.
콘택부들(106, 107)을 통해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된 상기 홀수번째 게이트 배선(GL-O)과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된 드레인 전극(14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된 상기 소스 전극(143)과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1 검사배선(151-O)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 및 제1 검사부(150)를 이용하여 2G 검사방식으로 게이트 배선들(GL-O, GL-E)에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여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게이트 배선들을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와 같이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검사하는 2G 검사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의 크기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3G, 4G,.. 등 다양한 검사방식을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다른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제1 주변 영역(PA1)과 제4 주변 영역(PA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O, DL-E)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데이터 배선들(GL-O, GL-E)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이 정의되며, 각 화소부(P2)에는 스위칭소자(TFT2)와, 상기 스위칭소자(TFT2)에 연결된 화소 전극(PE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주변 영역(PA1)에는 게이트신호 입력부(110)인 쉬프트 레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4 주변 영역(PA4)에는 제2 더미 스위칭부(160)와 제2 검사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는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160-O, 160-E)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160-O, 160-E)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2 제어패드(167)를 포함한다.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160-O, 160-E)은 데이터 배선들(DL-O, DL-E)의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검사부(170)는 제3 검사패드(173-O), 상기 제3 검사패드(173-O)와 연결된 제3 검사배선(171-O), 제4 검사패드(173-E), 상기 제4 검사패드(173-E)와 연결된 제4 검사배선(171-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및 제4 검사배선(171-O, 171-E)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검사패드(173-O, 173-E)는 상기 화소 전극(PE2)과 동일한 투명한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검사패드(173-O)로부터 입력된 제2 검사신호는 상기 제3 검사배선(171-O)을 통해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O)에 전달된다. 상기 제4 검사패드(173-E)로부터 입력된 제2 검사신호는 상기 제4 검사배선(171-E)을 통해 짝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E)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검사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2 검사신호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에 전달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는 상기 제2 제어패드(16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상기 데이터 배선들(DL-O, DL-E)에 인가한다.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O)는 상기 제2 제어패드(16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161)과, 상기 제3 검사배선(171-O)과 연결된 소스 전극(163) 및 홀수번째 데이터 배선(DL-O)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164)을 포함한다. 짝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E)는 상기 제2 제어패드(16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161)과, 상기 제4 검사배선(171-E)과 연결된 소스 전극(165) 및 짝수번째 데이터 배선(DL-E)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16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O)의 상기 게이트 전극(161)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3, 164)은 상기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161) 위에는 반도체층(162)이 형성된다.
콘택부(108)를 통해 소스 금속층으로 형성된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160-O)의 드레인 전극(164)과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된 상기 제3 검사배선(171-O)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 및 제2 검사부(170)를 이용하여 2D 검사방식으로 데이터 배선들(DL-O, DL-E)에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여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데이터 배선들을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와 같이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검사하는 2D 검사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4 주변 영역(PA4)의 크기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3D, 4D,.. 등 다양한 검사방식을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2G2D 검사 방식으로 검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더미 스위칭부(140), 제1 검사부(150), 제2 더미 스위칭부(160) 및 제2 검사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는 복수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140-1, 140-2,... 140-(n-1), 140-n)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140-1, 140-2,... 140-(n-1), 140-n)의 게이트 전극은 제1 제어패드(14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검사부(150)는 제1 검사패드(153-0), 상기 제1 검사패드(153-0)와 연결된 제1 검사배선(151-O), 제2 검사패드(153-E) 및 상기 제2 검사패드(153-E)와 연결된 제2 검사배선(151-E)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배선(151-O)은 홀수번째 게이트 배선들(GL1,..GLn-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검사배선(151-E)은 짝수번째 게이트 배선들(GL2,..GLn)과 연결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는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160-1, 160-2,... 160-(m-1), 160-m)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160-1, 160-2,... 160-(m-1), 160-m)의 게이트 전극은 제2 제어패드(16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검사부(170)는 제3 검사패드(173-0), 상기 제3 검사패드(173-0)와 연결된 제3 검사배선(171-O), 제4 검사패드(173-E) 및 상기 제4 검사패드(173-E)와 연결된 제4 검사배선(171-E)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검사배선(171-O)은 홀수번째 데이터 배선들(DL1,..DLm-1)과 연결되고 상기 제4 검사배선(171-E)은 짝수번째 데이터 배선들(DL2,..DLm)과 연결된다.
상기 표시 패널을 검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제어패드(147)에는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140)를 턴-온시키는 제1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패드(153-0, 153-E)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GL1,..,GLn)을 활성화시키는 게이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예컨대, 상기 제1 검사신호는 대략 -7V 내지 25V 이다.
한편,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의 제2 제어패드(167)에는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160)를 턴-온시키는 제2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검사부(170)의 제3 및 제4 검사패드(173-O, 173-E)에는 상기 데이터 배선들(DL1,..,DLm)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예컨대, 상기 제2 검사신호는 대략 0V 내지 10V 이다.
상기 제3 및 제4 검사패드(173-O, 173-E)에 인가되는 제2 검사신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계조 레벨의 신호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계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계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홀수번째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와 짝수번째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화소부에서 표시되는 그레이가 서로 다르므로 디스플레이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기판 상에서의 2G2D 방식으로 어레이 검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 패널 상에서의 2G2D 방식으로 비쥬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300)과, 상기 어레이 기판(300)에 대향하여 결합된 컬러필터 기판(200), 및 상기 어레이 기판(100)과 컬러필터 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3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제1 주변 영역(PA1), 제2 주변 영역(PA2) 및 제3 주변 영역(PA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배선(DL)들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배선(GL)들 및 상기 데이터 배선(DL)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P)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부(P)에는 스위칭소자(TFT)와, 액정 캐패시터(CLC)의 화소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주변 영역(PA1)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인가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310)는 앞서 설명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들이 종속적으로 연결된 쉬프트 레지스터로 상기 제1 주변 영역(PA)에 집적된다.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110)는 복수의 게이트 제어신호들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들(31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에는 데이터신호 입력부(320)와 정전기 다이오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320)는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에 데이 터 신호들을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패드(32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부(330)는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321)들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분산시켜 상기 정전기로부터 상기 화소부(P)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의 단부와 연결된 더미 스위칭부(340)와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검사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는 복수의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더미 스위칭소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패드(347)를 포함한다. 각각의 더미 스위칭소자는 각 게이트 배선(GL)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검사부(350)는 외부로부터 검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사신호를 더미 스위칭부(340)에 전달한다. 상기 검사부(350)는 상기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검사패드부(353)와, 상기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연결된 검사배선부(351)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신호는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를 경유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인가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에 전달함과 동시에 제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화소부(P)들의 불량을 막는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3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제2 주변 영역(PA2)과 제3 주변 영역(PA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O, DL-E)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과 데이터 배선들(GL-O, GL-E)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이 정의되며, 각 화소부(P)에는 스위칭소자(TFT)와, 상기 스위칭소자(TFT)에 연결된 화소 전극(PE)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에는 데이터신호 입력부(320)와 정전기 다이오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320)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패드(32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부(330)는 상기 데이터 배선들(DL-O, DL-E)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정전기 다이오드(33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331)는 스토리지 공통배선에 공통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배선(DL-E)과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소자이다.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에는 더미 스위칭부(340)와 검사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는 복수의 더미 스위칭소자들(340-O, 340-E)과 상기 더미 스위칭소자들(340-O, 340-E)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패드(347)를 포함한다. 더미 스위칭소자들(340-O, 340-E)은 게이트 배선들(GL-O, GL-E)와 연결된다.
상기 검사부(350)는 제1 검사패드(353-O), 상기 제1 검사패드(353-O)와 연결된 제1 검사배선(351-O), 제2 검사패드(353-E), 상기 제2 검사패드(353-E)와 연결된 제2 검사배선(351-E)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패드(353-O)로부터 입력된 검사신호는 상기 제1 검사배선(351-O)을 통해 홀수번째 더미 스위칭소자(340-O)에 전달된다. 상기 제2 검사패드(353- E)로부터 입력된 검사신호는 상기 제2 검사배선(351-E)을 통해 짝수번째 더미 스위칭소자(340-E)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검사부(35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검사신호를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에 전달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는 상기 제어패드(34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사부(350)로부터 전달된 상기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들(GL-O, GL-E)에 인가한다.
홀수번째 더미 스위칭소자(340-O)는 상기 제어패드(34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341)과, 상기 제1 검사배선(351-O)과 연결된 소스 전극(343) 및 홀수번째 게이트 배선(GL-O)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344)을 포함한다. 짝수번째 더미 스위칭소자(340-E)는 상기 제어패드(347)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341)과, 상기 제2 검사배선(351-E)과 연결된 소스 전극(345) 및 짝수번째 게이트 배선(GL-E)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346)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 및 검사부(350)를 이용하여 2G 검사방식으로 게이트 배선들(GL-O, GL-E)에 검사신호를 인가하여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게이트 배선들을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와 같이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검사하는 2G 검사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의 크기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3G, 4G,.. 등 다양한 검사방식을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 배선들(DL-O, DL-E)에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은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121)들에 대응하여 검사 장치의 프로브 핀을 접촉시켜 검사 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검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데이터신호 입력부(320), 정전기 다이오드부(330), 더미 스위칭부(340) 및 검사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320)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1, DL2,..,DLm-1, DLm)의 일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입력패드들(321-1, 321-2,... 321-(m-1), 321-m)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부(330)는 복수의 정전기 다이오드들(331-1, 331-2,... 331-(m-1), 331-m)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다이오드들(331-1, 331-2,... 331-(m-1), 331-m)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스토리지 공통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패드(VCOM)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입력패드들(321-1, 321-2,... 321-(m-1), 321-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는 복수의 더미 스위칭소자들(340-1, 340-2,... 340-(n-1), 340-n)을 포함하며, 상기 더미 스위칭소자들(340-1, 340-2,... 340-(n-1), 340-n)의 게이트 전극은 제어패드(34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검사부(350)는 제1 검사패드(353-0), 상기 제1 검사패드(353-0)와 연결된 제1 검사배선(351-O), 제2 검사패드(353-E) 및 상기 제2 검사패드(353-E)와 연결된 제2 검사배선(351-E)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배선(351-O)은 홀수번째 게이 트 배선들(GL1,..GLn-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검사배선(351-E)은 짝수번째 게이트 배선들(GL1,..GLn-1)과 연결된다.
상기 표시 패널을 검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패드(347)에는 상기 더미 스위칭부(340)를 턴-온시키는 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패드(353-0, 353-E)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GL1,..GLn)을 활성화시키는 게이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예컨대, 상기 제1 검사신호는 대략 -7V 내지 25V 이다.
한편, 상기 전압패드(VCOM)에 스토리지 공통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321-1, 321-2,... 321-(m-1), 321-m)은 제2 검사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제2 검사신호는 핀 접촉 방식을 통해 검사 장치(미도시)의 프로브 핀들과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321-1, 321-2,... 321-(m-1), 321-m)이 일대일 접촉되어 데이터 배선들(DL1,..,DLm)에 인가된다. 예컨대, 상기 제2 검사신호는 대략 0V 내지 10V 이다.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321-1, 321-2,... 321-(m-1), 321-m)에 인가되는 제2 검사신호의 전위 레벨을 다르게 하여 그레이 상태의 디스플레이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기판 상에서의 어레이 검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 셀 단위로 비쥬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400)과, 상기 어레이 기판(400)에 대향하여 결합된 컬러필터 기판(200), 및 상기 어레이 기판(400)과 컬러필터 기 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4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제1 주변 영역(PA1), 제2 주변 영역(PA2), 제3 주변 영역(PA3) 및 제4 주변 영역(PA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DL)들과, 복수의 게이트 배선(GL)들 및 복수의 화소부(P)들이 형성된다. 각 화소부(P)에는 스위칭소자(TFT)와, 액정 캐패시터(CLC)의 화소 전극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주변 영역(PA1)에는 게이트신호 입력부(410)와 제1 정전기 다이오드부(480)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410)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의 일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입력패드(411)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입력패드(411)들은 게이트 구동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도어 상기 게이트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신호들이 입력된다.
상기 제1 정전기 다이오드부(480)는 상기 게이트 입력패드(41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입력패드(411)들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전기로부터 상기 화소부(P)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에는 데이터신호 입력부(420)와 제2 정전기 다이오드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420)는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의 일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입력패드(121)들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421)들은 소스 구동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소스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들이 입력된다.
상기 제2 정전기 다이오드부(430)는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42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421)들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전기로부터 상기 화소부(P)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주변 영역(PA3)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들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1 더미 스위칭부(440)와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4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검사부(4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440)는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 제어패드(44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부(450)는 제1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제1 검사패드부(453)와,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연결된 제1 검사배선부(45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440) 및 제1 검사부(45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4 주변 영역(PA4)에는 상기 데이터 배선(DL)들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2 더미 스위칭부(460)와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검사부(4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460)는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461)들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461)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2 제어 패드(46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검사부(470)는 제2 검사신호가 입력되는 제2 검사패드부(473)와,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연결된 제2 검사배선부(47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460) 및 제2 검사부(470)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의 검사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G2D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대향하는 게이트 배선의 일단부에 게이트 배선들에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검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 등의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데이터신호 입력부와 대향하는 데이터 배선의 일단부에 데이터 배선들에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검사부를 형성함으로서 배선 불량 및 화소 불량 등의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검사부를 표시 셀 내에 형성함으로써 어레이 검사 및 비쥬얼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1 검사신호가 인가되는 제1 검사부; 및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1 검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전달하는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1 제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는 상기 제1 제어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1 검사부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부는
    상기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묶어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검사배선들과, 상기 복수의 검사배선들에 연결된 복수의 검사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부는
    홀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묶어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검사배선 및 상기 제1 검사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검사패드와,
    짝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묶어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검사배선 및 상기 제2 검사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검사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는 게이트 구동칩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입력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이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 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인가하는 데이터신호 입력부;
    상기 데이터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제2 검사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 검사부; 및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2 검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전달하는 제2 더미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배선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2 제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는 상기 제2 제어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검사부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부는
    상기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묶어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검사배선들과, 상기 복수의 검사배선들에 연결된 복수의 검사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부는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묶어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3 검사배선 및 상기 제3 검사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검사패드와,
    짝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묶어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4 검사배선 및 상기 제4 검사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검사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신호 입력부는 소스 구동칩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4. 데이터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패드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하는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배선들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검사부 및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1 검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에서,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를 턴-온시키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게이트 배선들을 활성화시키는 제1 검사신호를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 및 제1 검사부에 각각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에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신호 입력부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이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 스위칭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사부는
    홀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검사배선 및 상기 제1 검사배선과 연결된 제1 검사패드와,
    짝수번째 제1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상기 제1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검사배선 및 상기 제2 검사배선과 연결된 제2 검사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상기 데이터 입력패드들에 연결된 제2 더미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에 연결된 제2 검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를 턴-온시키는 제2 제어신호와,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인가되는 제2 검사신호를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 및 제2 검사부에 각각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더미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배선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검사부는
    홀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3 검사배선 및 상기 제3 검사배선에 연결된 제3 검사패드와,
    짝수번째 제2 더미 스위칭소자들에 상기 제2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제4 검사배선 및 상기 제4 검사배선과 연결된 제4 검사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사패드와 제4 검사패드에 인가되는 상기 제2 검사신호는 서로 다른 전위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KR1020050114641A 2005-11-29 2005-11-29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KR10114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641A KR101148206B1 (ko) 2005-11-29 2005-11-29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CN2006101729673A CN1982952B (zh) 2005-11-29 2006-11-24 显示基板和测试该显示基板的方法
US11/563,248 US7692443B2 (en) 2005-11-29 2006-11-27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testing the display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641A KR101148206B1 (ko) 2005-11-29 2005-11-29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248A true KR20070056248A (ko) 2007-06-04
KR101148206B1 KR101148206B1 (ko) 2012-05-24

Family

ID=381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641A KR101148206B1 (ko) 2005-11-29 2005-11-29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92443B2 (ko)
KR (1) KR101148206B1 (ko)
CN (1) CN19829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78B1 (ko) * 2007-12-04 2014-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464580A (zh) * 2013-09-25 2015-03-25 三星显示有限公司 母衬底、其阵列测试方法及显示器衬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42B1 (ko) * 2005-11-30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326246B1 (ko) * 2006-12-12 2013-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80066308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 이의 검사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87801B (zh) * 2007-09-10 2010-06-02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US20090267877A1 (en) * 2008-04-29 2009-10-29 Himax Display, Inc. Liquid crystal on silicon panel
TWI480655B (zh) 2011-04-14 2015-04-1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及其測試方法
CN102629440B (zh) * 2011-05-06 2015-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面板测试方法及装置
KR101829312B1 (ko) * 2011-08-26 2018-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50943B1 (ko) * 2011-08-30 2019-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 보호 회로를 가지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9720295B2 (en) * 2011-09-27 2017-08-01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16055A1 (en) * 2012-07-10 2014-01-1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panel with the same
CN102759830B (zh) * 2012-07-10 2016-03-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
AU2014241142B2 (en) 2013-03-27 2017-09-28 Mercury Mission Systems, Llc LCD source driver feedback system and method
JP6257192B2 (ja) * 2013-07-12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検査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CN104035217B (zh) * 2014-05-21 2016-08-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阵列基板的外围测试线路以及液晶显示面板
JP6415271B2 (ja) * 2014-11-26 2018-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4461142B (zh) * 2014-12-10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TWI566228B (zh) 2015-01-23 2017-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主動元件陣列基板及其檢測方法
KR102381850B1 (ko) * 2015-07-30 2022-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319787B (zh) * 2015-12-01 2018-09-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TWI562108B (en) * 2016-03-02 2016-12-1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lines thereon
CN106782250B (zh) * 2017-01-16 2020-11-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检测方法及显示装置
CN207424484U (zh) * 2017-11-27 2018-05-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569929B1 (ko) * 2018-07-02 2023-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166504B (zh) * 2018-10-17 2021-10-01 惠科股份有限公司 测试电路及显示装置
KR20210130333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검사방법
WO2022027556A1 (zh) 2020-08-07 2022-0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4267E1 (en) * 1995-10-03 2013-06-0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to prevent static destruction of an active element compri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667548B2 (ja) 1998-03-27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検査方法
JP4003471B2 (ja) 2002-02-12 2007-1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7199429A (ja) * 2006-01-27 2007-08-09 Agilent Technol Inc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78B1 (ko) * 2007-12-04 2014-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464580A (zh) * 2013-09-25 2015-03-25 三星显示有限公司 母衬底、其阵列测试方法及显示器衬底
KR20150033944A (ko) * 2013-09-25 2015-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용 모기판, 이의 어레이 검사 방법 및 표시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206B1 (ko) 2012-05-24
US7692443B2 (en) 2010-04-06
US20070120790A1 (en) 2007-05-31
CN1982952A (zh) 2007-06-20
CN1982952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206B1 (ko) 표시 기판과, 이의 검사 방법
KR10095135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353955B1 (ko)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KR101129618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검사 방법과 이의 제조방법
TWI385452B (zh) 陣列基板以及具有陣列基板之顯示裝置
KR101217079B1 (ko) 표시장치
KR10080033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CN101004498A (zh) 液晶显示器及其修复方法
KR20110008725A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이의 검사방법
JP2016218216A (ja) 表示パネル
KR101541475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92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장치
JP2002098999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55248A (ko) 표시 패널
KR20060082128A (ko) 표시 패널용 기판
KR20070076843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검사 방법
KR20070057325A (ko) 표시 기판 및 이의 검사 방법
KR20060115518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20080086126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검사공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070063741A (ko) 평판표시장치의 검사방법 및 장치
KR20050017185A (ko) 검사장치
KR101073041B1 (ko) 어레이 기판
KR20070079679A (ko) 표시 기판의 검사 방법
KR20080075714A (ko) 표시 장치용 기판
KR100863999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