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135A -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 Google Patents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135A
KR20070039135A KR1020077003313A KR20077003313A KR20070039135A KR 20070039135 A KR20070039135 A KR 20070039135A KR 1020077003313 A KR1020077003313 A KR 1020077003313A KR 20077003313 A KR20077003313 A KR 20077003313A KR 20070039135 A KR20070039135 A KR 2007003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winding
rotor
former
fi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279B1 (ko
Inventor
자딕 자디쿠
케이쓰 앨런 위트워
Original Assignee
엘모텍 스타토맷 버트리브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모텍 스타토맷 버트리브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모텍 스타토맷 버트리브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78Wave windings, undula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14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 H02K15/0421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consisting of single conductors, e.g. hairpins
    • H02K15/0428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consisting of single conductors, e.g. hairpin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wisting a plurality of hairp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10T29/49012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3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assembling coil and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10T29/53157Means to stake wire to commutator or arm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10T29/53161Motor or generator including defor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에 관한 것으로서, 각 코일 권수는 두 개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의 각각 하나의 필렛(14)으로 휴지되며, 두 개의 필렛은 헤드부(16)로 결합되며, 다수의 코일 권수는 회전가능한 포머(20)상의 중간 공간으로 평행한 n개 와이어가 권선되는 것에 동시에 생성되며, 작은 권선 헤드부를 얻기 위해, 하나의 필렛(14) 및 하나의 헤드부(16)의 와이어 길이는 포머(20)상에 평행한 와이어(10)의 각각으로부터 제조되는 단계(A); 각각 조합된 헤드부(16)의 인접하는 제 1 단부를 수반하는 최종 필렛(14) 및 이러한 헤드부(16)의 제 2 단부를 수반하는 와이어 가이드는 와이어의 소정의 중간 공간을 n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단계(B)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 및 B의 수차례 반복 이후에, 최종 n개 고정자용 필렛(14)이 포머상에 제조되며, 그 후 권선은 포머 및 압력이 가해진 평탄면으로부터 제거되고, 평탄면으로 압축되어 필렛은 스트립형상 코일 홀더내에 배치되며,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된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의 슬롯내로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고정자 슬롯내로 방사상 외측으로 능동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STATOR OR ROTOR WINDING, AND STATOR OR ROTOR WINDING SO PRODUCED}
본 발명은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전기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코일 권수는 두 개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의 각각 하나의 필렛으로 휴지되며, 두 개의 필렛은 고정자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하는 헤드부로 결합되며, 다수의 코일 권수는 그의 종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포머 또는 템플레이트상의 중간 공간으로 와이어 가이드에 의해 풀려진 평행한 n개 와이어가 권선되는 것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다. 이는 보통 이른바 루프 권선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 포머의 각각의 회전으로, 단지 하나의 코일 권수는 또 다른 제조 경로에서 두 개의 고정자 슬롯내로 도입된 두 개의 필렛을 갖는 각 와이어로부터 생성된다. 루프 권선과 대조적으로, 각 와이어로부터 포머가 각각 회전하는 웨이브 권선의 제조에 있어서, 포머의 각각의 회전으로, 각 와이어로부터 많은 필렛은 형상을 구비하며 그 후 많은 슬롯내로 도입된다.
원주 상에 동심이거나 또는 중첩되는 코일 권수 또는 코일을 포함하는 유무 에 상관없이, 루프 권선은 최종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서, 단점으로 권선 헤드부(인접하는 헤드부로 구성된)가 비교적 체적이 크며 특히 반경 방향으로 비교적 큰 두께를 갖는 점을 들 수 있는 포머상에 감겨져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원형 와이어를 이용할 때, 권선이 회전자 또는 고정자내로 도입되는 것에 상관없이,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의 단면내의 한정된 수의 와이어 단면을 위해 권선 헤드부가 반경방향으로 협소하게 배치된, 권선이 제조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됨으로써 달성되고, 2n으로 분할가능하고 코일 권선에 의해 점유된 다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대해, 본 방법의 관점에서, 하나의 필렛 및 하나의 헤드부의 와이어 길이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의 원주 공간에 대응하는 필렛의 소정의 중간 공간으로, 포머 상에 평행한 와이어의 각각으로부터 제조되는 단계(A); 필렛(14)은 그들의 중간 공간을 유지하는 동안 각각 조합된 헤드부의 인접하는 제 1 단부와 함께 단계 A에서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헤드부의 인접하는 제 2 단부와 함께 와이어 가이드는 포머의 회전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제 1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중간 공간을 n 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단계(B)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 및 B의 수차례 반복 이후에, 최종 n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용 필렛이 포머상에 제조되며, 그 후 권선은 포머로부터 제거되고 평탄면으로부터 압축되어, 필렛이 나란히 하나의 열에 위치되도록 하며, 그 후 필렛은 한쪽으로 배치된 스트립형상 코일 홀더의 횡단방향 슬롯내에 배치되고 상기 횡단방향 슬롯과 동일한 원주상에 측정된 중간 공간을 갖고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된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의 슬롯내로 이송되며, 그 후 이송 공구의 슬롯과 방사상으로 정렬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방사상 외측으로 능동적으로 변위된다. 포머 및 압력이 가해진 평탄면상에 감겨져 제조된 권선은 어떤 다른 방법으로 더 처리될 수 있지만, 그러나, 예를 들어, 원형 고정자내로 절곡되거나 또는 선형 모터로 이용된 톱니형 랙 형상(toothed-rack-shaped)의 고정자 적층 패킷내에 배치된다. 또한 평평하게 압력이 가해진 권선은 회전자의 슬롯내로 또는 외부-회전자 모터의 고정자 슬롯내로 직접 배치된다.
포머상에 장착된 본체 형성 수단에 의해, 고정자 또는 회전자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형 정점(apex)을 갖는 헤드부가 필수적으로 V자 형상 또는 박공 형상일 수 있으면 제안된 방법은 특히 효과적이다. 권선 헤드부내의 와이어의 교차점은 반경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 상의 하나 대신에 나란히 비교적 큰 중간 공간을 갖는 원통형 평면상에 위치된다. 또한 단계 B 동안, 제 2 단부에 대한 제 1 단부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헤드부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내로 도입된 후 그들의 레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레그보다 방사상으로 더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면 긍정적 효과를 갖는다.
포머의 대향하는 측면상의 필렛이 1 cm 미만으로 떨어져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스트레이트 평면내에 제조된다면 포머상의 눈금으로 이전에 나선형으로 제조된 코일 권선의 포머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방향 압축부는 활성화된다. 제안된 방법의 특별한 특징은 전술한 단계 B에 의해서이고 그 후 원칙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진 루프 권선인 압축부, 특별한 형태의 웨이브 권선이 생성되며, 필렛은 방사상으 로 더 외측으로 위치된 헤드부내로 일단부상에 변경되며, 그의 다른 단부는 방사상으로 더 내측으로 위치된 헤드부에 의해 인접된다. 고정자 슬롯내의 와이어가 단일 와이어 층만을 형성할지라도, 평행한 n개 와이어의 그룹, 예를 들어 전부 방사상 외부로 위치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는 헤드부 영역내에 서로 얽혀져, 전체 권선은 넷(net)의 방식으로 함께 유지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1 권선 이후에, 동등한 수의 필렛을 갖는 제 2 권선이 평행한 n개 와이어로부터 제조되고, 하나의 필렛에 인접하는 헤드부가 고정자 또는 회전자의 양 측면상에 각도를 갖고 절곡되는 배치로 코일 홀더 및 이송 공구에 의해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제 1 권선과 함께 또는 제 1 권선 이후에 도입되며, 제 1 권선에 속하는 필렛에 대해 필렛으로부터 대향하는 원주 방향으로 및 동일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에 위치된 각각의 경우, 두 개의 권선 말단부는 전기적으로 극성이 부여되어 동일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에 위치된 필렛내의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점에서, 새로운 방법에 의해, 이른바 분산된 권선이 제조된다.
이러한 종류의 분산된 권선은 협소한 고정자 슬롯내에 있고, 모든 와이어가 예를 들어, 두 개의 와이어 층만을 차지하는 단일 반경방향 열에 위치된다. 권선 헤드부의 영역에서 다수의 와이어 교차부에도 불구하고, 균등하게 분포된 와이어 교차부로 인해 현존하는 두 개의 와이어 층의 두께를 갖는 반경방향으로의 와이어 배치부만이 관찰될 것이다.
전술한 이유를 위해 바람직한, 분산된 권선은 세 가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제 1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하나의 고정자 슬롯내에 위치된 필렛을 통해 유동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분산된 권선의 제 1 절반부의 와이어 일단부는 분산된 웨이브 권선의 제 2 절반부의 와이어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다양한 제 2 실시예에서, 권선은 평탄-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고정자 원주에 대해 2회, 4회 또는 균일한 횟수로 수차례 연장되며 중간부에서 그 자체로 접혀지며; 두 개의 축방향 단부상에서, 하나의 권선 절반부의 권선 헤드부는 다른 권선 절반부의 권선 헤드부 사이에서 각 갭(gap)내에 위치되는 것이 확실하도록 고려된다.
결국, 다양한 제 3 실시예에서, 분산된 권선의 제 1 절반부는 형성된 제 1 권선 방향으로 및 포머상에 점진적으로 제 1 축방향으로 제조되고, 그 후 대향하는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권선 방향과 함께, 간섭 없이 전방으로 계속 감겨진다.
더 양호한 유연성을 위해, 예를 들어, 큰 단면의 코일 와이어 대신에, 더 작은 단면에서의 두 개의 코일 와이어가 이용되고, 그 후 평행한 n개 와이어 대신에, 작업은 n개 와이어 쌍으로 행해진다.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는 그의 종축에 대해 제어된 형태로 회전 가능한 포머를 갖고 소정의 축방향 중간 공간으로 포머상에 동시에 권선될 수 있는 평행한 n개 와이어를 풀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를 갖으며, 각 코일 권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스트레이트 필렛(14)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렛 단부에 인접하는 헤드부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포머는 그 폭이 필렛의 길이와 동등한, 평평한 스트립 또는 레일의 형상을 구비하고, 헤드부를 제조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본체 형성 수단 및 포머와 협력하는 와이어 가이드에 대해 얻어진 필렛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며, 매번 평행한 n개 와이어의 각각으로부터 하나의 필렛과 하나의 헤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포머의 반바퀴 회전 후 및 헤드부를 이완시키는 본체 형성 수단의 편향 운동 후에, 매번 헤드부를 확장시키는 상대적 운동이 포머의 피봇축에 평행한 제 1 축방향으로 와이어 가이드와 가이드 장치 사이에서 실시될 수 있다. 가장 최근에 제조된 필렛과 와이어 가이드는 평행한 와이어의 n 회의 소정의 중간 공간에 의해 떨어져 이동한다.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된 슬롯을 갖는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는 물론 포머로부터 스트립된 권선의 필렛을 수용하기 위해 한쪽으로 배치된 횡단방향 슬롯을 갖는 스트립형상 또는 레일형상 코일 홀더는 권선을 이송하기 위해 배치하는 것이고 코일 홀더의 횡단방향 슬롯과 첫번째로 개별적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되고 그 후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과 결합되는 권선을 이송하기 위해 존재한다.
새로운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은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이용가능한 새로운 고정자 또는 회전자를 동시에 제조하고, 슬롯내에 위치된 n개 와이어 또는 복수의 와이어 쌍으로 형성된 랩 권선 형태의 다수의 회로 권선의 필렛이 슬롯내에 위치하며, 고정자 또는 회전자 적층 패킷을 각각 관통하는 n개 와이어 또는 와이어 쌍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n개의 연속적인 슬롯내에위치되며, 박공 형상의 헤드부의 영역에서 교차하며, 중간 공간에 위치된 각 교차점에서 n개의 연속적인 와이어의 규정된 원주 방향에 관하여, 각 경우에 원주 방향 내의 후속 와이어는 고정자의 일단부상에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며 원주 방향으로 와이어가 위치되기 전의 와이어를 지나는 고정자의 다른 일단부상에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며, 하나의 와이어 필렛에 인접하는 두 개의 헤드부 중 하나는 고정자의 일단부상에 필렛이 위치되기 전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자의 다른 일단부상에 원주 방향으로 필렛 뒤에 각각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권선은 분산된 권선으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 양 절반부는 와이어 간섭 없이 함께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고정자 또는 회전자의 슬롯은 가능한 함께 인접하도록 나란히 위치되고 갭을 채우도록 엇갈림되는 두 개의 와이어 열에 적합한 단면내에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대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수반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회전가능한 포머상에 제조된, 평평하게 떨어져 확장된 고정자 권선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고정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오프셋된, 분산된 권선을 형성할 수 있는 도 1 상당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중첩된 권선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중첩된 권선의 왼쪽 단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권선 절반부만의 전체도,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접힘에 의해 분산된 권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권선을 제조하기 위한 포머 및 와이어 가이드의 단순 측면도,
도 8의 A 내지 도 8의 E는 권선 작업의 다양한 위상에서의, 도 7의 권선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의 권선 장치 부분을 형성하는 권선 포머를 확대한 측면도,
도 10A 내지 도 10I는 도 7 및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의 권선 장치상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권선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위상을 도시한 단순도 및
도 11은 도 6의 두 개의 분산된 웨이브 권선의 와이어로 채워진 고정자 슬롯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고 원주상에 균등하게 분포된 72개의 슬롯을 갖는 고정자에 대한 본 실시예에서, 후술되는 방법에 의해 6개의 평행한 와이어(10)로부터 제조된 권선을 도시한다. 도 1의 권선은 스트립형상 평탄(flat) 포머(former)상에 감겨지고 그 후 압축 상태에서 평평하게 떨어져 확장되어 있다. 권선 개시부는 도면 부호(12)로 나타낸다. 권선(72)의 U자 형상으로 도시된 제 1 부분에 있어서, 6개의 와이어(10)로부터 스트립형상 포머상에 감겨지므로, 동등한 중간 간격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위치된, 본 명세서에서 필렛(fillet)(14)으로 칭해진 초기 직선 와이어부는 후속 단계에서 고정자내의 72 개의 슬롯내로 밀어 넣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필렛(1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박공 형상(gable-shaped)의 헤드부(16)내로 일측은 우측으로 타측은 좌측으로 합체되며, 각각의 경우 필렛의 양 단부는 반대쪽으로 절곡된다.
와이어(10)는 박공 형상의 헤드부(16)에서 교차한다. 모든 교차점은 높이 및 폭에 있어서 상호 오프셋된다. 또한 도 1은 헤드부(16) 부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와이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우측에서좌측으로 보았을 때, 6개의 와이어(10)는 스트립형상 포머 둘레에 나선형으로, 평행하고 나란하게, 시계방향으로 감겨지고; 헤드부(16)의 영역에서만 경사진 최종 나선형 코일인 것을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그들의 전체 길이를 보았을 때, 헤드부(16)는 필렛(14)처럼 균등한 분포의 동일한 패턴을 갖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부(16)는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네 개의 삼각형 부분을 형성하고, 와이어(10)는 초기에는 단일층이며, 그 후 2개 층의 교차 영역으로, 그 후 다시 패턴이 반복되기 전에, 자유 삼각형 영역으로 인접된 단일층으로 된다. 교차점의 영역에서, 모든 교차점이 다른 장소에 위치되므로, 단지 두 개의 와이어 층만이 배치된다.
만약 평행한 6개의 와이어(10)가 그룹으로서 고려되면, 압축되고, 평평하게 확장되어 떨어진 상태에서의 유사한 모든 개별 와이어(10)의 이 그룹은 헤드부(16)의 순서, 교대로 상하부에서의 특정 형태, 와이어(10)는 첫번째 다른 와이어를 가로질러 우측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며, 다음 번에는 와이어(10)는 첫번째 다른 와이어를 가로질러 좌측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는, 웨이브 권선의 패턴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도 1의 관점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필렛(14)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헤드부에 있어서, 고정자 적층 패킷을 관통하여 6개의 와이어(10) 그룹이 1회 통과하는 것을 고려하면, 각 헤드부(16)는 선행하는 헤드부를 방사상 외측으로 교차하며, 그 상황은 필렛(14)의 타단부에서는 반대이다.
도 1은 고정자의 원주 둘레에 2회 감기는 전체 권선의 제 1 절반부만을 도시한다. 도 2는 그의 제 1 절반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권선과는 별도로 추가의 6개의 와이어로 제조된, 동일한 종류의 권선을 도시한다. 전체적으로, 이 권선은 고정자의 원주 둘레에 유사하게 2회 감긴다. 도 2에서 다른 하나 위에 하나가 도시된, 즉 스테이터 원주상의 6개의 슬롯으로 오프셋된, 두 개의 권선은 또한 그 상황에서 동일한 고정자의 슬롯내로 연속적으로 도입된다. 도 3은 평평하게 확장되어 떨어진 상태의 도 1 및 도 2의 두 개의 권선을 도시하며; 두 개의 권선을 구별하기 위해, 도면부호 "18"로 표시된 도 2의 권선의 6개의 와이어가 검은색으로 도시된다. 헤드부(16)의 영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모두 삼각형 부분인 두 개 층의 와이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와이어 교차부가 매우 균등하게 분포되거나 또는 고정자의 원주 전체에 매우 균등하게 분포되는 것을 의미한다. 헤드부(16)의 영역에서의 두 개의 층의 와이어 구조체는 각 슬롯내의 와이어 수와 일치한다. 고정자 슬롯이 매우 협소하여 와이어가 단지 하나의 방사상 열로 고정자 슬롯내에 위치한다면, 슬롯내의 와이어 층 수는 권선 말단부 영역에서의 와이어 층 수와 동등하다. 그러나, 고정자의 일실시예에서, 와이어가 단단히 적재되는, 두 개의 방사상 열로 고정자 슬롯내에 위치되도록 슬롯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권선 말단부(16)의 균등한 분포는 도 3의 권선 개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4에 특히 볼 수 있다. 도 5의 A, B, C는 각각 도 1, 도 2 및 도 3의 권선의 전체 길이를 도시한다. 하나의 고정자 슬롯내에 위치된 양 와이어내에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12 개의 와이어 단부 모두가 도 5의 C의 조립된 권선의 오른쪽 단부상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슬롯내에 위치된 두 개의 와이어는 각 단부가 반대쪽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권선말단부를 형성하므로, 그 결과 분산된 권선으로 칭해진다. 게다가, 회전가능한 포머상에서 생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 권선은 그 코일 권수(루프)가 축방향으로 떨어져 끌어당겨지고 웨이브 권선으로 압력을 가하는 평탄면에 의해 전부 변형된 특별한 특징을 갖는 루프 권선이다.
코일 권수(turns)가 포머상에 상호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변위되는 관점에서, 도 1 내지 도 5의 권선은 또한 랩(lap) 권선으로 칭해진다.
도 6의 A에 도시된 권선은 도 5의 A 또는 B뿐만 아니라 도 1 또는 도 2의 권선에 대응하지만, 도입되어지는 고정자 적층 패킷의 원주 둘레에 권선이 8회 감길 수 있도록 길다. 도 6의 B 및 C는 도 6의 A의 단일층 권선으로부터 분산된 권선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6의 A의 권선은 그 중앙부 다음에서 그 자체로 접혀지고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권선 절반부의 오프셋으로 상호 평평하게 배치되고;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6의 A의 긴 권선 와이어는 접혀지면서 절단되지 않는다. 도 6의 C에 도시된 오프셋으로, 와이어 간섭없이 상호 배치된 두 개의 권선 절반부는 또한 도 5의 C를 수반하여 기술된 종류의 분산된 권선을 제조한다. 이러한 함께 결합된 권선은 도 6의 C의 우측면상에 도시된다. 그 길이가 고정자 원주 둘레에 4회 감기고, 권선이 두 개의 층으로 접혀지므로, 전부 8개의 필렛(14)이 각 고정자 슬롯내로 도입되어진다. 전술한 권선의 형태는 평행한 와이어의 특정 수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숙지된다. 또한 도시된 6개를 초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평행한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이런 상황에서는 고정자 슬롯의 수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제안된 권선에 있어서 권선 헤드부는 최상의 작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새로운 권선은 다른, 종래의 권선이 고려될 수 없는 적용에 대해 또한 적합하다.
도 7, 도 8의 A 내지 E 및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6의 권선을 생성하기 위한 단순 권선 장치가 도시된다. 권선 장치의 필수 부분은 디스크(22)와 함께 하우징(24)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협소한 스트립형상 포머(20)이다. 스트립형상 포머(20)는 전형적으로, 1 cm 미만인 단지 몇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고, 도 8의 A에 도시된 직립 위치에서, 제조되는 필렛(14)의 길이와 동등한 높이를 갖는다.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립형상 포머(20)는 도 7의 관점에서, 오른쪽으로 증분되는 종방향으로 디스크(22) 및 하우징(24)을 관통하여 전진될 수 있다. 디스크(22)에서, 또한 두 개의 볼트(26,28)는 포머의 작은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중간 공간에 지지되며; 이러한 볼트는 위상(phase)이 축방향 외측으로 전진될 수 있고 디스크(22)내로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는 제조되는 권선의 헤드부(16)에 대한 본체를 형성한다.
도시된 권선 장치는 참조 번호 "30"으로 총괄적으로 표시된 와이어 가이드(wire guide)를 더 갖는다. 권선 장치는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하부 가이드부(32,34) 및 소면기(comb)로 칭해진 하나의 상부 가이드부(36)로 구성된다. 가이드부(34)는 동력 실린더(38)에 의해 가이드부(32)에 대해 피봇가능하고 소면기(36)는 동력 실린더(40)에 의해 가이드 부분(34)에 대해 피봇가능하다.
예를 들어 와이어 중 6개의 와이어는 와이어가 포머(20)쪽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더욱 방지하도록 밀폐 상태에서, 와이어 클램핑 장치(42)를 첫째로 관통하는 와이어 가이드(32,34,36)에 공급된다.
결국, 도 9의 권선 장치는 포머(20)의 일측면상에 하나의 내부 슈(44)와 외부 슈(48) 및 포머(20)의 다른 측면상에 하나의 내부 슈(44)와 외부 슈(50)의 네 개의 가이드 및 브레이킹 슈(guide and braking shoe)를 포함한다. 슈는 스트립형상 포머(20)를 따라 개별적으로 및 함께 이동가능하고, 또한 포머(20) 및 포머(20)에 접촉하는 와이어에 대해 제어된 형태로 압축될 수 있거나 또는 포머(20)로부터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모든 슈(44-50)의 접촉-압력면으로 도 9의 쇄선으로 도시된 가이드 홈은 포머(20)상에 제조되는 권선의 하나의 필렛을 각각 수용하며, 많은 평행한 가이드 홈은 포머상에 제조된 필렛이 그들의 소정 중간 공간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포머의 각 측면상의 가이드 및 브레이크 슈는 간헐적인 컨베이어 수단으로 협력한다. 예를 들어, 내부 슈(46)가 서로에 대해 예정된 위치로 이전에 이미 제조된, 권선의 필렛을 유지 및 안내하는 동안, 외부 슈(50)는 포머(20)로부터 승강하며, 포머(20)를 따라 디스크(22)로 이동할 수 있고, 포머에 대한 새로운 접촉 압력으로, 이전에 포머상에 제조된 6개의 필렛을 붙잡을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외부 슈(50)는 이전에 형성된 필렛을 다시 붙잡을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슈(46)는 포머(20)로부터 승강한 후, 포머(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 후 포머에 대한 새로운 접촉 압력으로, 필렛을 다시 붙잡고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머의 일측면상의 가이드 및 브레이크 슈(46,50) 또는 다른 일측면상의 가이드 및 브레이크 슈(44,48)가 필렛(14)이 추가 형성된 후에 종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전방 이동될지라도, 이미 형성된 와이어 권선은 연속적으로 유지되고 안내된다.
도 7 내지 도 9의 장치에 의한 권선의 형상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10A 내지 도 10I를 수반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도시된 6 개의 전방 와이어 단부는 도 10에서 중간부의 측면도, 상부의 평면도 및 하부의 저면도로 각각 도시된 도 10A에서 포머(20)로 와이어 가이드(32,34)에 의해 하부로부터 도달하여 전진된다. 도 10B의 위치에서, 6개의 와이어(10)는 포머(20)를 지나 상향으로 전진된다. 포머(20)를 지나 돌출하는 와이어(10)의 돌출부는 후에 권선 개시부(12)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전방 와이어 단부가 포머(20)의 후면에 접촉하고 도 10C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될 때까지, 전방 와이어 단부는 예를 들어 볼트(26) 둘레에 하향으로 절곡된다. 그러나, 볼트(26)는 도시되지 않는다.
초기 위상에 있어서 포머(20)가 도 8의 A에 도시된 초기 위치를 계속 유지시키는 동안, 예를 들어, 외부 가이드 및 브레이크 슈(50)는 포머(20)의 후면에 접촉하는 와이어 단부를 붙잡고, 그 후 포머(20)는 슈(50)를 따라 와이어(10) 사이의 중간 공간을 6회까지 도 10의 관점에서 오른쪽으로 변위되고, 와이어 가이드(32-36)는 포머(20)의 피봇 축에 대한 축방향 변위에 대하여 와이어 공급으로부터 발생하는 와이어 스트랜드(strand)를 구속하고, 와이어 클램핑 장치(42)는 와이어가 포머(20)쪽으로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와이어 가이드(30)에 대한 권선 개시부의 이러한 축방향으로의 상대적 변위 전에 즉시 볼트(26)는 디스크(22)내로 수축되어져, 제 1 헤드부(16)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공 형상으로 제조되고 따라서 그들의 확장 폭에 따른 높이를 수득할 수 있다. 도 10D는 헤드부(16)의 확장에 있어서 와이어가 그들의 상부 팁(tip)에서 다소 비틀림(twist)되는 것을 매우 양호하게 도시한다. 비록 약간이지만, 포머(20)의 두께로 인해 와이어는 교차점에서의 두 개의 평면에서 다른 하나위에 하나가 깨끗하게 위치된다.
후속 단계에서, 와이어 가이드(30)의 소면기(36)는 도 8의 A의 관점에서 하부에 위치된 가이드 볼트(28)상에 캐치되고 포머(20)를 갖는 디스크(22)의 반바퀴 회전동안의 볼트 운동에 종동한다. 이 운동은 도 8의 A의 위치로부터 도 8의 B의 위치로의 전이 및 전방으로 도 8의 C의 위치까지의 전이로 나타낸다. 포머의 반 바퀴 회전으로, 도 8의 A에서 왼쪽에 위치된 포머의 전면이 후면이 되므로, 포머의 전면과 접촉하는 6개의 와이어 스트랜드는 포머의 후면과 접촉하고, 그 후면으로부터, 와이어는 와이어 클램핑 장치(42)의 중간 해제 이후 포머의 회전 운동동안 도 8의 C에서 상부에 위치된 가이드 볼트를 통과하여 와이어 가이드(30)로 연장하고, 새로운 클램핑 장치는 가이드 볼트(28)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축될 수 있다. 제조되는 권선에 있어서, 그 결과는 도 10E에 도시된 상태이다.
후속 작업 단계에서, 가이드 및 클램핑 슈, 예를 들어, 포머의 후면상에 위치된 슈(48)는 포머(20)의 후면상의 와이어 가이드 반대쪽에 형성된 필렛(14)을 붙잡도록 도 10E의 관점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포머(20)의 새로운 간헐적인 축방향 운동은 필렛을 유지하여 형성시킨, 모든 슈(44-50)와 함께 수반되며, 권선을 위해, 박공 형상으로 확장된 두 개의 그룹의 헤드부(16)를 구비한 도 10F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된다.
후속적으로, 와이어 가이드(30)의 소면기(36)는 가이드 볼트(26)와 접촉하는 하향으로 수축된다. 와이어 클램핑 장치(42)가 해제되면, 포머(20)를 수반하는 디스크(22)의 다음 반 바퀴 회전과 포머(20)에 접촉하는 가이드 및 클램핑 슈(44-50)는 도 10G에 도시된 권선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포머의 후면에 접촉하며, 최종 필렛(14)를 붙잡고 변위시키는 전술한 조작은 재차 발생하고, 와이어 가이드(30)는도달된 와이어 스트랜드를 축방향으로 구속하며 와이어 클램핑 장치(42)는 다시 밀폐된다. 따라서, 권선은 도 10H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한다. 권선 증분이 동일 방식으로 각각 반복되고, 대안적으로 포머(20)의 반 바퀴 회전 및 필렛(14)의 축방향 상대 변위가 포머(20)의 후면상에 새롭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10I는 권선이 제조된 또 다른 중간 상태만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권선은 채워지는 고정자 슬롯의 수 또는 그의 다수에 대응하는 필렛의 소망 수로 증가한다.
형성된 단일 권선의 길이가 포머(20)의 역회전 방향으로 및 간헐적인 역 변위 방향으로 도 10A 내지 도 10I와 같은 연속적 작업에 의해 도달되면, 또한 분산된 권선이 제조될 수 있다.
예정된 길이를 갖는 권선이 포머상에 제조되어지고, 도시되지 않은 절단 장치에 의해 와이어 공급부로부터의 길이로 절단되면, 가이드 및 클램핑 슈(44-50)를 따라 포머가 축방향으로 스트립된다. 그 후 권선은 가이드 및 클램핑 슈(44-50)에 의해 유지된 필렛의 순서로 압축되어져, 모든 필렛(14)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스트레이트 평면내에 위치되고, 이러한 형태로 권선은 슈(44-50)내의 가이드 홈의 공간에서 횡단방향 슬롯을 갖는 유사한 스트립형상의 코일 홀더로 이송된다. 선택적으로, 가이드 및 클램핑 슈(44-50) 중 하나는 이미 코일 홀더로 또한 작용할 수 있다. 다수의 권선이 서로에 대해 규정된 배치로 투입되고 고정자내로 함께 도입되면, 그 후 다수의 권선은 첫째로 코일 홀더내에 집합되고 그 후,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출원 제 103 28 956.9호의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되는,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의 슬롯으로 이송된다. 또한 전술한 특허 출원에서 기술되는 것처럼, 그 후 이송 공구는 권선을 포함하는 슬롯이 고정자 슬롯과 방사상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고정자 보어내로 삽입된다. 최종 단계에서, 독일 특허 출원 제 103 28 956.9호의 도 10 및 도 11로 도시되는 것처럼, 권선 또는 권선들의 필렛은 이송 공구의 슬롯 외부부터 고정자 슬롯내로 방사상으로 밀려진다.
제안된 권선 방법으로, 매우 작은 권선 헤드부가 제조될 수 있으므로, 또한 가능한 가장 작은 고정자 슬롯의 단면이 얻어진다. 도 11에 따르면, 보통 반경 방향으로 평행한 측벽 사이에서 고정자 슬롯은 와이어 직경의 (1+ cos 30o )배에 달하는 폭을 갖도록 고정자 슬롯이 설계된다. 고정자 슬롯이 갭(gap)을 채우도록 최상으로 밀접하게 오프셋되면, 두 개의 원형 와이어 열이 정밀하게 이 슬롯내로 끼워맞추어진다. 도 11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자 슬롯의 방사상 외부 벽은 각각, 그 측벽으로, 60o 및 120o 의 각을 형성하고 그 코너는 편의적으로 와이어 직경의 절반을 갖는 원형이다.
와이어가 슬롯내로 연속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므로, 방사상 내측으로 위치된 슬롯 입구는 하나의 와이어 직경보다 약간 더 크면 된다. 측벽으로부터 협소한 입구 채널로의 전이부는 와이어 직경에 대응하도록 원형이며, 측벽이 동등한 길이이므로, 도 11에 도시되는 것처럼, 측벽은 상호 방사상으로 오프셋된다. 입구 영역의 윤곽(contour)은, 코너 주위에 약간, 슬롯 입구로부터 측방으로 오프셋된 장소를 거의 찾을 수 없는 슬롯내로 도입된 최종 와이어가 슬롯 입구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해 다른 와이어를 차단하고 슬롯 폭으로부터 슬롯 입구의 폭으로의 전이부에 형성된 코너와 결합된 대각선 방향으로 마지막 전 와이어에 의해 그 와이어상에 가해진 힘으로 슬롯내에 그 자체가 구속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Claims (21)

  1. 각 코일 권수는 두 개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의 각각 하나의 필렛(14)으로 휴지되며, 두 개의 필렛(14)은 고정자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하는 헤드부(16)로 결합되며, 다수의 코일 권선은 그의 종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포머(20)상의 중간 공간으로 와이어 가이드에 의해 풀려진 평행한 n개 와이어(10)가 권선되는 것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는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전기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에 있어서,
    2n으로 분할가능하고 상기 코일 권선에 의해 점유된 다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대해,
    하나의 필렛(14) 및 하나의 헤드부(16)의 와이어 길이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의 원주 공간에 대응하는 필렛(14)의 소정의 중간 공간으로, 포머(20)상에 평행한 와이어(10)의 각각으로부터 제조되는 단계(A);
    필렛(14)은 그들의 중간 공간을 유지하는 동안 각각 조합된 헤드부(16)의 인접하는 제 1 단부와 함께 상기 단계 A에서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헤드부(16)의 인접하는 제 2 단부와 함께 와이어 가이드(30)는 포머(20)의 회전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제 1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중간 공간을 n회에 의해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단계(B)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 및 B의 수차례 반복 이후에 최종 n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용 필렛(14)이 포머(20)상에 제조되며, 그 후 권선은 포머(20)로부터 제거되고 평 탄면으로부터 압축되어 필렛(14)이 나란히 하나의 열로 위치되도록 하며, 그 후 필렛(14)은 한쪽으로 배치된 스트립형상 코일 홀더의 횡단방향 슬롯내에 배치되고 상기 횡단방향 슬롯과 동일한 원주상에 측정된 중간 공간을 갖고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된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의 슬롯내로 이송되며, 이송 공구의 슬롯과 방사상으로 정렬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방사상 외측으로 능동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포머(20)상에 장착된 본체 형성수단(26,28)에 의해, 헤드부(16)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내에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형 정점을 갖는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동안, 제 2 단부에 대한 제 1 단부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헤드부(16)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내로 도입된 후에 그들의 레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레그보다 방사상으로 더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개시 이전에, 매번 헤드부(16)는 단계 B에서 발생하는 그들의 확장 동안 높이면에서 더 낮아지도록, 본체 형성 수단(26,28)의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수축에 의해 인장-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5. 제 1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20)의 대향하는 측면상의 필렛은 1 cm 미만으로 떨어져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스트레이트 평면내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20)상에 X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대해, 2x/n 또는 4x/n 필렛(14)은 평행한 n개 와이어의 각각으로부터 제조되고, 적어도 2x 또는 4x개 횡단방향 슬롯이 각각 설치된 코일 홀더내로 나란히 도입되며,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의 2 또는 4회 회전동안 포머의 슬롯내로 이송되며, 그 후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능동적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권선 이후에, 동등한 수의 필렛(14)을 갖는 제 2 권선이 평행한 n개 와이어로부터 제조되고, 하나의 필렛(14)에 인접하는 헤드부(16)가 고정자 또는 회전 자의 양 측면상에 각도를 갖고 절곡되는 배치로 코일 홀더 및 이송 공구에 의해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제 1 권선과 함께 또는 제 1 권선 이후에 도입되며, 제 1 권선에 속하는 필렛(14)에 대해 필렛(14)으로부터 대향하는 원주 방향으로 및 동일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에 위치된 각각의 경우, 두 개의 권선 말단부는 전기적으로 극성이 부여되어 동일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에 위치된 필렛(14)내의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권선 및 제 2 권선은 평행한 와이어(10,18)의 두 개의 와이어 단부로 각각 제조되고,
    상기 제 1 권선의 와이어(10)의 각각 하나의 와이어 단부는 상기 제 2 권선의 와이어(18)의 각각 하나의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x개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대해, 평행한 n개 와이어(10)로부터 2x/n 또는 4x/n 또는 8x/n개 필렛이 제조되고,
    포머로부터 제거된 후에, 권선은 180o로 절곡되고 필렛(14)의 제 1 절반부를 따르는 상기 n개 필렛(14)에서 그 자체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권선의 최종 필렛(14)이 제조되면, 헤드부(16)가 제조되고 제 1 축방향으로 헤드부의 제 2 단부에 대한 헤드부의 제 1 단부의 변위에 의해 떨어져 분산되며,
    후속적이고 모든 추가 제조 단계 A에 이은 단계 B에 있어서, 헤드부(16)의 제 2 단부에 대한 제 1 단부의 변위는 최종 권선의 최종 n개 필렛(14)이 최종적으로 제조될 때까지, 제 1 축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행한 n개 와이어(10,18)의 각각 하나의 와이어 대신에, 각각 하나의 와이어 쌍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방법.
  12. 종축에 대해 제어된 방식으로 회전 가능한 포머(20)와 소정의 축방향 중간 공간으로 포머(20)상에 동시에 권선될 수 있는 평행한 n개 와이어(10,18)를 풀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30)를 갖고, 각 코일 권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내로 삽 입될 수 있는 2개의 스트레이트 필렛(14)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렛 단부에 인접하는 헤드부로 형성될 수 있는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전기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머(20)는 그 폭이 필렛(14)의 길이와 동등한 평평한 스트립 또는 레일의 형상을 구비하고, 헤드부를 제조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본체 형성 수단(26,28)및 포머와 협력하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30)에 대해 얻어진 필렛(14)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44-50)를 구비하며,
    평행한 n개 와이어(10,18)의 각각으로부터 하나의 필렛(14)과 하나의 헤드부(16)를 성형하기 위한 포머(20)의 반바퀴 회전 후 및 헤드부(16)를 이완시키는 본체 형성 수단(26,28)의 편향 운동 후에, 매번 헤드부(16)를 확장시키는 상대적 운동이 포머(20)의 피봇축에 평행한 제 1 축방향으로 와이어 가이드(30)와 가이드 장치(44-50) 사이에서 실시되며, 가장 최근에 제조된 필렛(14)과 와이어 가이드(30)는 평행한 와이어(10,18)의 n 회의 소정의 중간 공간에 의해 떨어져 이동하며, 방사상 외측으로 개구되는 슬롯을 갖는 회전자형상 이송 공구뿐만 아니라 포머로부터 스트립된 권선의 필렛(14)을 수용하기 위해 한쪽으로 배치된 횡단방향 슬롯을 갖는 스트립형상 또는 레일형상 코일 홀더는 권선을 이송하기 위해 배치하는 것이고 코일 홀더의 횡단방향 슬롯과 첫번째로 개별적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되고 그 후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과 결합되는 권선을 이송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형성장치(26,28)는 포머와 함께 회전 가능한 디스크(22)상에 장착된 두 개의 볼트이며, 각 볼트는 포머(20)의 짧은 측면으로부터의 방사상 공간에서 헤드부(16)의 와이어 길이에 따른 크기로 포머의 피봇 축에 평행한 작동 위치로축방향 외측으로 이동가능하며 가장 최근에 형성된 헤드부(16)의 확장이 발생되기 전에 디스크(22)내로 수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44-50)는 포머(20)의 대향하는 주요면의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슈(44,48; 46,50)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각 쌍의 양 가이드 슈는 포머(20)상에 제조된 코일 권선의 필렛(14) 및 포머(20)에 대한 간헐적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나란히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44,48; 46,50)의 각 쌍에 대해, 내부 가이드 슈(44,46)는 필렛(14)의 중간 영역에 위치되고,
    외부 가이드 슈(48,50)는 필렛(14)의 두 개의 외측 단부 영역에 위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30)는 포머(20)에 대한 단방향 1회 작업 사이클 동안, 본체 형성 장치(26, 28) 중 하나를 동시에 수반하는 운동으로 포머(20)에 대해 반원형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헤드부(16)의 확장시에 상기 포머(20)는 확장 운동의 범위로 및 동일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장치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용 코일 권선 제조 장치.
  18. 방사상 내측으로 개구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을 갖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에 있어서,
    n개 와이어(10,18) 또는 복수의 와이어 쌍으로 형성된 랩 권선 형태의 루프 권선의 필렛(14)이 상기 슬롯내에 위치되며, 고정자 또는 회전자 적층 패킷을 각각 관통하는 n개 와이어 또는 와이어 쌍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n개의 연속적인 슬롯내에 위치되며 박공 형상의 헤드부(16) 영역에서 교차하며, 중간 공간에 위치된 각 교차점에서 n개의 연속적인 와이어(10,18)의 규정된 원주 방향에 관하여, 각 경우 에 원주 방향내의 후속 와이어는 고정자의 일단부상에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고 원주 방향으로 와이어가 위치되기 전의 와이어를 지나는 고정자의 다른 일단부상에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며, 두 개의 헤드부(16) 중 하나는 고정자의 일단부상에 필렛이 위치되기 전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자의 다른 일단부상에 원주 방향으로 필렛 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권선은 분산된 권선으로서 실시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다수의 필렛(14)은 고정자의 각 단부상의 슬롯내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부(16)의 일부는 하나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며,
    헤드부(16)의 잔여부는 다른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분산된 권선의 n개 와이어(10,18) 또는 복수의 와이어 쌍은 그들의 권선 개시부와 권선 말단부 사이에서 와이어 간섭 없이 각각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평행한 측벽 사이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 슬롯은 와이어 직경의 1.866 배에 달하는 폭을 갖고,
    방사상 외부 슬롯 벽은 두 개의 측벽과 함께 60o 및 120o의 각을 갖는 코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또는 회전자.
KR1020077003313A 2004-07-20 2005-07-19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KR100937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5084A DE102004035084A1 (de) 2004-07-20 2004-07-2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pulenwicklung für Statoren oder Rotoren elektrischer Maschinen sowie damit herzustellender Stator oder Rotor
DE102004035084.1 200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135A true KR20070039135A (ko) 2007-04-11
KR100937279B1 KR100937279B1 (ko) 2010-01-18

Family

ID=3506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313A KR100937279B1 (ko) 2004-07-20 2005-07-19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703192B2 (ko)
EP (1) EP1771932B1 (ko)
KR (1) KR100937279B1 (ko)
CN (1) CN1989681B (ko)
DE (1) DE102004035084A1 (ko)
RU (1) RU2339146C1 (ko)
WO (1) WO20060081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54A (ko) * 2015-04-30 2018-01-08 어탑 에스.피.에이. 물결형의 직조 코일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158876A (ja) * 2020-03-30 2021-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波巻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4526A1 (de) * 2004-07-16 2006-02-16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Stator für elektrische Maschinen
DE102005054863A1 (de) * 2005-11-21 2007-05-24 Robert Bosch Gmbh Gefaltete Schleifenwicklung für einen Ständer
US7996541B2 (en) * 2007-06-15 2011-08-09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fying a serving home subscriber server (HS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DE102008019479A1 (de) * 2008-04-17 2009-10-29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Stator oder Rotor fü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8021779B4 (de) 2008-04-30 2021-10-07 Schaeffler Elmotec Statoma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pulenwicklung für einen Stator oder Ro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5332347B2 (ja) * 2008-06-30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コイル組立体用のコイル線材
US8350432B2 (en) * 2008-07-28 2013-01-08 Direct Drive Systems, Inc. Electric machine
ITTO20110199A1 (it) 2011-03-07 2012-09-08 Atop Spa Apparecchio e procedimento per l'allineamento di conduttori di elementi di bobine in nuclei di macchine dinamo elettriche per compiere operazioni di saldatura.
ITTO20110435A1 (it) 2011-05-16 2012-11-17 Atop Spa Apparecchi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elementi di bobine per nuclei di macchine dinamo elettriche mediante piegatura.
US20140015353A1 (en) * 2012-07-13 2014-01-16 Lcdrives Corp. High efficiency permanent magnet machine with layer form winding
ITPI20130092A1 (it) 2013-10-18 2015-04-19 Atop Spa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produrre componenti di macchine dinamoelettriche
DE102015004574B4 (de) 2014-05-28 2024-03-28 Sew-Eurodriv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otors
DE102015004576A1 (de) 2014-05-28 2015-12-03 Sew-Eurodrive Gmbh & Co Kg Elektrische Maschine, insbesondere Drehstrommo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mit einem Aktivteil, insbesondere Stator und/oder Rotor
ITUB20152330A1 (it) 2015-07-20 2017-01-20 Atop Sp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nserire assemblati di bobine ondulate nelle cave di nuclei di macchine dinamoelettriche
DE102015120661A1 (de) * 2015-11-27 2017-06-01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ulenwicklung zum Einlegen in radial offene Nuten von Statoren oder Rotoren von Elektromaschinen
DE102015120963A1 (de) * 2015-12-02 2017-06-08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toren oder Spulen von elektrischen Maschinen
SI3182568T2 (sl) * 2015-12-18 2021-03-31 Aumann Espelkamp Gmbh Naprava za valovita navitja
WO2017153502A1 (de) * 2016-03-08 2017-09-14 Grob-Werke Gmbh & Co. K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stator
DE102016118871A1 (de) * 2016-10-05 2018-04-05 Elmotec Statomat Holding GmbH Spulenwicklung für Statoren oder Rotoren
DE102017120559A1 (de) * 2017-07-28 2019-01-31 Grob-Werk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ckeln einer Wellenwickelmatte sowie damit herstellbare Wellenwickelmatte
EP3732773A1 (en) * 2017-12-29 2020-11-04 Tecnomatic S.p.A. Process for making a continuous bar winding for an electric machine
CN110027942A (zh) * 2018-01-11 2019-07-19 奥曼埃斯珀尔坎普有限公司 出线嘴口配置系统
CN111670530B (zh) * 2018-02-01 2023-09-01 博格华纳公司 分布式定子绕组
EP3531541A1 (de) 2018-02-21 2019-08-28 Aumann Espelkamp GmbH Wellenwick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ellenwicklung
US11394282B2 (en) 2018-08-10 2022-07-19 Borgwarner Inc. Method of forming a component for an electric machine
CN112534691B (zh) 2018-08-10 2023-12-12 博格华纳公司 卷绕电机的部件的方法
WO2020033858A1 (en) 2018-08-10 2020-02-13 Borgwarner Inc. Method for weaving wires for a component of an electric machine
JP7068990B2 (ja) * 2018-11-12 2022-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波巻コイル
WO2020104683A1 (de) * 2018-11-23 2020-05-28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ndlos-wellenwicklung, endlos-wellenwicklung, stator und elektrische maschine
JP7025361B2 (ja) * 2019-02-06 2022-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波巻コイルユニット、ステータ及びコイル挿入方法
JP2021058076A (ja) * 2019-04-24 2021-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導体成形装置及び波巻コイルの製造方法
DE102020118925A1 (de) 2020-07-17 2022-01-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ulenwicklung und Wickelschablone
DE102021125942B3 (de) 2021-10-06 2023-03-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Pressen einer Spulenwicklung
DE102022204826A1 (de) 2022-05-17 2023-11-2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ckelmatte für einen Stator oder einen Rotor eines elektrischen Motors
DE102022204824A1 (de) 2022-05-17 2023-11-2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ckelmatte für einen Stator oder einen Rotor eines elektrischen Motors
DE102022204812A1 (de) * 2022-05-17 2023-11-23 Zf Friedrichshafen Ag Mehrlagige Wellenwicklung zum Einbringen in Nuten für einen Stator und Rotor
DE102022204823A1 (de) 2022-05-17 2023-11-2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Wickelmatte für einen Stator oder einen Rotor eines elektrischen Motors
DE102022118256A1 (de) 2022-07-21 2024-02-01 Aumann Espelkamp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Mehrdraht-Biegung einer Wellenwicklung für eine Spulenwicklung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102022120094A1 (de) 2022-08-10 2024-02-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en einer Wellenwicklung
DE102022120095A1 (de) 2022-08-10 2024-02-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ührungsbacke
CN116526782B (zh) * 2023-05-17 2024-03-08 跃科智能制造(无锡)有限公司 一种扁线定子自动插线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1311A (en) * 1969-02-20 1971-11-16 Aeg Elotherm Gmbh Multiphase double-layer winding for electromagnetic pumps and conveyor troughs
AT323837B (de) 1972-11-08 1975-07-25 Eumi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icklungen eisenloser motoren
AT391037B (de) * 1982-09-30 1990-08-10 Sticht Fertigungstech Stiwa Spulenwickeleinrichtung
JPS5963956A (ja) 1982-10-04 1984-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ツプ形電機子の製造方法
JPS59106861A (ja) * 1982-12-08 1984-06-20 Yaskawa Electric Mfg Co Ltd カツプ形多層無鉄心電機子における多層電機子コイルの製造方法
JPS59153441A (ja) 1983-02-18 1984-09-01 Hitachi Ltd フラツトモ−タのアマチユアコイル巻線装置
JP3580656B2 (ja) 1997-02-17 2004-10-27 株式会社東芝 コイル巻線方法とその装置
JPH11252875A (ja) 1998-03-06 1999-09-17 Nikon Corp 電機子コイル巻線装置および方法
JP3903609B2 (ja) 1998-08-24 2007-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波巻き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900922C1 (de) * 1999-01-13 2000-09-21 Elmotec Elektro Motoren 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Wellenwicklung für Statoren oder Rotoren elektrischer Maschinen
JP3078288B1 (ja) * 2000-01-25 2000-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3621653B2 (ja) * 2001-03-28 2005-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固定子鉄心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6787961B2 (en) * 2002-12-19 2004-09-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alternator stator assembly with varying end loop height between layers
GB2389717B (en) * 2002-01-24 2004-07-28 Visteon Global Tech Inc Automotive alternator stator assembly and winding method
US6882077B2 (en) * 2002-12-19 2005-04-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tor winding having cascaded end loops
JP2004064829A (ja) * 2002-07-25 2004-02-26 Sanko Kiki Co Ltd 巻線装置
JP3982446B2 (ja) 2003-04-16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の製造方法
DE10328955B4 (de) * 2003-06-27 2008-07-24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en von Wellenwicklungen für Rotor- und Statorblechpakete elektrischer Maschinen
DE10328956A1 (de) 2003-06-27 2005-01-20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Wellenwicklungen in Rotor- und Statorblechpakete elektrischer Maschinen
DE10329576A1 (de) 2003-06-30 2005-0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zweischichtigen Schleifenwickl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54A (ko) * 2015-04-30 2018-01-08 어탑 에스.피.에이. 물결형의 직조 코일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158876A (ja) * 2020-03-30 2021-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波巻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1932A1 (de) 2007-04-11
EP1771932B1 (de) 2019-12-18
US20080258575A1 (en) 2008-10-23
US20060022547A1 (en) 2006-02-02
US8020282B2 (en) 2011-09-20
KR100937279B1 (ko) 2010-01-18
RU2339146C1 (ru) 2008-11-20
CN1989681A (zh) 2007-06-27
DE102004035084A1 (de) 2006-02-16
RU2007106073A (ru) 2008-08-27
WO2006008134A1 (de) 2006-01-26
CN1989681B (zh) 2011-09-07
US7703192B2 (en) 2010-04-27
US20100180433A1 (en) 2010-07-22
US7679254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279B1 (ko)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제조된 고정자 또는 회전자 권선
US7281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wave windings into rotor and stator lamination packets of electrical machines
JP6648911B2 (ja) 電気機械のロータまたはステータ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185414B2 (en) Apparatus for forming wave windings for rotor and stator lamination packets of electrical machines
JP3904613B2 (ja) 電気機械のための波巻線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435739B2 (ja) 回転電機の巻線組立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巻線組立の製造装置
KR20080089394A (ko) 회전 전기 기기용 고정자의 코일 제조 방법 및 고정자의권선 방법
KR20070090934A (ko) 다상 회전 전기 기기용 고정자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얻어진 고정자
KR20070090933A (ko) 코일 삽입 방법 및 고정자
US11843290B2 (en) Coil former, wind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to produce coil windings intended for insertion in a stator
US20080010812A1 (en) Method of forming single-layer coils
WO199802544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lobed winding for the stator of an alternator, and winding obtained thereby
JP5979786B2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5530121B2 (ja) ステータ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巻き線機
CN103166391A (zh) 旋转电机的定子的制造方法
US2022036015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il winding for insertion into radially open slots of stators or rotors of electrical machines
JP2017046373A (ja) コイルのスロットへの挿入方法、及びコイル挿入装置
JP2006502574A (ja) 巻成機械並びに巻線を製作する方法
CN115516745A (zh) 用于形成功率转换系统的载流部件的多相电磁垫的生产方法和装置
KR100563393B1 (ko) 전기 기계용 웨이브 권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163072A1 (ja) 巻線装置
US7467648B2 (en) Coil forming and inserting device and coil forming and inserting method
PL20682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montażu uzwojenia oraz stojan
US8434708B2 (en) Coil winding machine for rotor
JP3621079B2 (ja) 多極電機子の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