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287A -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287A
KR20070037287A KR1020060019651A KR20060019651A KR20070037287A KR 20070037287 A KR20070037287 A KR 20070037287A KR 1020060019651 A KR1020060019651 A KR 1020060019651A KR 20060019651 A KR20060019651 A KR 20060019651A KR 20070037287 A KR20070037287 A KR 2007003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odulation
carrier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160B1 (ko
Inventor
노리유키 히가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규모나 소비 전력의 증대, 통신 거리의 감소 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다른 변조 방식의 변조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조하는 비접촉 태그를 제공한다.
비접촉 태그의 수신 회로계에 있어서, 캐리어(400)의 변조 상태에 따라서 복조 회로(8)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신호(복조 신호(9))에 기초하여, 캐리어(400)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록(5)으로부터 디코드용의 카운터를 구동하는 분주 클록(7)을 생성하는 클록 분주 회로(6)의 기동/정지를 제어한다. ASK 100% 변조 및 ASK 10% 변조에서 디코드용의 카운터의 추이가 같아져, 변조도가 다른 복수 종의 ASK 변조에 하나의 복조 회로계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다른 변조 방식마다의 중복되는 복조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소비 전력이 삭감되어, 리더·라이터와의 통신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NONCONTACT TA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NONCONTACT TA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ASK 100% 변조의 경우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ASK 10% 변조의 경우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일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 블록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일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 블록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일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를 이용한 비접촉 ID 식별 시스 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펄스 포즈 부호화에 있어서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펄스 인터벌 부호화에 있어서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딩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9a는 종래의 비접촉 태그의 ASK 100% 변조의 경우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b는 종래의 비접촉 태그의 ASK 10% 변조의 경우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종래의 비접촉 태그의 펄스 포즈 부호화에 있어서의 작용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11은 종래의 비접촉 태그의 펄스 포즈 부호화에 있어서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정류기
3 : 전원 생성 회로 4 : 클록 추출 회로
5 : 추출 클록 6 : 클록 분주 회로
7 : 분주 클록 8 : 복조 회로
9 : 복조 신호 10 : 변조 회로
11 : 응답 정보 12 : 로직 회로
12a : 카운터부 12a-1 : 카운터치
12b : 디코드부 12c : 데이터 처리부
13 : 비휘발성 메모리 21 : 인에이블 신호
21a : 인에이블 신호 22 : 리셋 신호
22a : 리셋 신호 61 : 플립플롭
62 : 논리 게이트 100 : 비접촉 태그
200 : 리더·라이터 201 : 안테나
202 : 송수신부 203 : 제어부
300 : 정보 처리 장치 400 : 캐리어
400a : 변조 기간 400b : 비변조 기간
401 : 아날로그 복조 파형 500 : 하물
본 발명은 비접촉 태그,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무선 전파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수동형의 비접촉 태그와 그 제어 기술 및 적용 시스템 등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공급망 관리(SCM : Supply Chain Management), 물류 관리 (logistics), 재고 관리 등에의 응용에서, 최근 비접촉형 ID 식별 시스템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즉, 사람이나 물건 등의 이동체에 부착된 트랜스폰더(비접촉 태그)의 식별 정보를 컴퓨터에 접속된 리더·라이터가 무선 전파를 통해 판독 대상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이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의 대표적인 규격에는 ISO14443 type-A, ISO15693(모두 주파수 : 13.56 MHz), ISO18000-6 type-A(주파수 :∼900 MHz) 등이 있다.
근접형의 ISO14443이나 근방형 ISO15693은 전자 유도 방식으로 리더·라이터와 IC 카드 혹은 비접촉 태그와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통신을 한다. 규격의 차이는 있지만, 카드 혹은 태그의 기본 구성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즉,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전파(이하, 캐리어)를 수신하는 안테나(루프형), 수신한 캐리어로부터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 회로, 캐리어로부터 IC 카드 내장회로(LSI)의 동작에 필요한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회로, 내부 로직 등에서 사용하는 주파수까지 클록을 분주하는 클록 분주 회로, 변조된 캐리어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회로, 리더·라이터로 응답을 회신하기 위한 변조 회로, 수신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및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ISO18000-6에 의해 규정되는 UHF 대역(∼900 MHz)에서는 통신 방식이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되기 때문에, 안테나 형상이 다이폴형으로 되지만 LSI 내부의 기본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ISO14443 type-A나 ISO15693에서는 리더·라이터로부터 트랜스폰더에의 송신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 ASK(Amplitude Shift Keying) 100% 변조가 사용되고 있다. ASK 100% 변조로 송신 데이터가 변조되는 기간은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이 경우, 13.56 MHz)가 정지한다.
LSI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클록은 리더·라이터로부터의 캐리어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ASK 100% 변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전술한 이유로 캐리어로부터 클록을 추출할 수 없으므로 LSI 내부의 클록도 멈춰, ASK 100% 변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동작이 불연속으로 된다.
이 클록 정지를 피하기 위해서 PLL(Phase Locked Loop) 등의 클록 생성 회로를 탑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양 규격 모두 통신 거리의 차는 있지만(ISO14443에서 10 cm 정도, ISO15693에서 70 cm 정도), 모두 보다 긴 통신 거리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 통신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LSI의 소비 전력의 삭감이 필요하고, 전술한 PLL 등의 클록 생성 회로는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LSI에 탑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제로, ISO14443 type-A에서는 PLL 등의 클록 생성 회로를 탑재하지 않고, 클록 추출 회로로부터 추출한 클록만을 사용하는 LSI도 존재한다.
한편, ISO15693의 규격에서는 ASK 100% 변조와 함께 ASK 10% 변조의 데이터 수신도 규정되어 있다. IS015693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부호화에 따라 리더·라이터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된다. 이 부호화는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부호화는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지만, 커맨드 수신측의 LSI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복조시에 ASK 100% 변조와 ASK 10% 변조에서 복조 신호와 추출 클록 및 분주 클록(로직에서 사용하는 클록)에 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동일한 디코드 회로에서는 클록의 차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라고 인식할 수 없다.
디코드 방법으로서 ISO15693에서의 부호화의 디코드의 일례를 이하에 적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m 비트의 비트열을, m'bOO ,,, 0과 같이 적는다.
송신 데이터는 4'bO100(4 비트의 비트열)으로 한다. ISO15693에서는 LSB 퍼스트로 송신되기 때문에, 2'bO0을 송신한 후, 2'bO1이 송신된다. 2 bit의 데이터는 75.52 μsec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송신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의 진폭이 변화하지 않는 비변조 기간과, 진폭이 변화되는 변조 기간에서, 아날로그 복조 파형은 ASK 100% 변조와 ASK 10% 변조로 함께 변화되며, 비변조 기간은 H 레벨로, 변조 기간은 L 레벨로 된다.
우선, 변조 기간(L 레벨)의 위치를 검지하여 디코드하는 방법에 관해서 나타낸다. 이 방법은 예컨대 펄스 포즈 부호화(ISO15693의 1 out of 4, 1 out of 256)에 해당한다.
데이터의 디코드에는 L 레벨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카운터, 카운터치를 바탕으로 송신된 2 bit 데이터를 판정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를 사용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디코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리 처리를 행한다.
도 10에는 변조 데이터를 복조한 후의 복조 신호, 추출 클록, 분주 클록 및 디코드용 카운터치를 도시한다. 도 10의 상측이 ASK 100% 변조인 경우이며, 하측이 ASK 10% 변조인 경우이다.
분주 클록의 주기는 펄스 폭과 동일한 9.44 μsec의 클록을 분주 회로로부터 생성한다. 디코드용 카운터는 분주 클록으로 동작하는 3 bit의 플립플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의 하측의 ASK 10% 변조의 경우는 무변조시(기간)에도 변조시(기간)에도 캐리어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분주 클록에 의해 2 bit 기간의 75.52 μsec 사이에 3 bit의 디코드용 카운터는 O∼7까지 카운트할 수 있다. 디코드용 카운터의 카운트치와 복조 신호가 L 레벨인 위치의 관계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디코드가 가능하게 된다. 복조 신호가 L 레벨로 되었을 때(데이터 수신에 상당)의 디코드용 카운터가 0일 때, 수신 데이터가 2'b00, 디코드용 카운터가 2일 때, 수신 데이터가 2'b01이 되는 디코드 회로를 설계하면 된다.
한편, 도 10의 상측의 ASK 100% 변조인 경우, 데이터가 변조되었을 때에 변조 기간에는 캐리어의 신호 레벨이 O으로 되므로 클록을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분주 클록도 정지한다. 이 때문에, ASK 100% 변조시에는 3 bit 카운터가 6까지 카운트하면 다음 데이터 프레임으로 이행해 버린다. ASK 100% 변조만이라면 3 bit 카운터는 0∼6까지 카운트업하도록 설정한다면, 카운트치와 복조 신호의 관계로부터 디코드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ASK 10%와 ASK 100%를 동일한 디코드 회로에서 행하면 3 bit 카운터의 카운트치와 복조 신호가 L 레벨인 위치의 관계가 변조도에 따라서 어긋남을 생 기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동일한 펄스 포즈 부호화의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 신호가 H 레벨인 기간(비변조 기간)을 검지하여 디코드를 하는 방법에 관해서 나타낸다. 분주 클록의 주기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9.44 μsec로 한다.
이 방식의 경우, 디코드용 카운터는 4 bit 폭으로 한다. 디코드용 카운터는 복조 신호의 L 레벨을 검지하면 4'b00으로 리셋한다. 우선 1번째 데이터는 2'b00이라고 판정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커맨드의 최초의 데이터부터 디코드해 가면 확정한다.
이어서 2번째 복조 신호의 L 레벨까지의 H 레벨의 기간을 디코드용 카운터로 카운트한다. 도 11의 하측의 ASK 10% 변조의 경우, 디코드용 카운터의 카운터치는 9가 되고 있다. 여기서 1번째 데이터가 2'b00이고, 이 카운트치가 9이므로 2번째 데이터는 2'b01임을 알 수 있다. 이 조합은 도 8에 나타내는 코딩 파형으로부터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복조 신호가 L 레벨로 되었을 때의 디코드용 카운터의 카운트치가 7, 11, 13인 경우에는 2번째 데이터는 각각 2'b00, 2'b10, 2'b11로 판정된다. ASK 10% 변조인 경우는 이상과 같이 디코드 가능하게 되지만, 도 11의 하측의 ASK 100% 변조인 경우는 L 레벨의 위치에서 검지하는 전술한 도 10 방식과 마찬가지로, 디코드용 카운터의 값이 달라져 버린다. 하나의 변조 방식에서는 디코드 가능하지만, 2개의 변조도의 신호가 혼재하면 역시 문제점이 생겨 버린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어느 쪽의 디코드 방식인 경우도, 다른 변조도의 각각에 대응한 디코드 회로나 복조 회로를 이중으로 탑재하면 이 문제점은 해 결할 수 있지만, 소비 전력, 로직의 규모, 칩 면적 등이 증가하게 되어, 비용 증가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이 방법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ASK 100% 변조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 회로에 있어서, 변조에 의해서 수신 전파의 진폭이 0으로 되어 복조 클록이 두절되는 포즈 기간에 상당하는 클록치를, 복조 회로에서 카운터 회로로 프리셋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의 복조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카운터치의 프리셋 기능을 복조 회로에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소비 전력이나 로직의 규모가 커진다는 기술적 과제를 생기게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17280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3-33311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캐리어에 수반하는 변조 데이터의 수신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회로 규모나 소비 전력의 증대, 통신 거리의 감소 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다른 변조 방식의 변조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조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은,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추출 수단과,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분주 수단과,
상기 분주 클록에 의해 구동되는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
을 포함하는 비접촉 태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은,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할 때,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단계와,
상기 분주 클록의 카운트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은, ASK 변조된 반송파를 통해 커맨드 정보를 발신하는 액세스 장치와, 상기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 정보를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응 답하는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비접촉 lD 식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접촉 태그는,
상기 액세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추출 수단과,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분주 수단과,
상기 분주 클록에 의해 구동되는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커맨드 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변조 기간에 있어서, 반송파로부터 추출되는 클록으로부터 생성되는 분주 클록을 정지시킴으로써, 수신시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ASK 100% 변조와 같이, 변조 기간에 반송파로부터 추출되는 클록이 두절되는 변조 방식인 경우 및 ASK 10% 변조와 같이, 변조 기간에 반송파로부터 추출되는 클록이 두절되지 않는 변조 방식인 경우의 어느 쪽의 변조 방식에 있어서도, 변조된 반송파를 정확하게 복조하여 디코드함으로써, 정확한 통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다른 변조 방식마다 다중으로 복조 회로를 설치하는 경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변조 기간에 두절되는 클록을 보충할 목적으로, PLL이나 카운터치의 프리셋 회로 등을 추가하는 경우와 같이, 회로 규모나 소비 전력의 증대, 통신 거리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본 발명에서는, ASK 100% 변조도, ASK 10% 변조도, 소정 기간 사이에서는, L로 되는 시간(변조가 걸리는 시간)은 동일하므로, ASK 10% 변조에서도 클록을 멈추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비접촉 태그의 작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a, 도 4b, 도 4c는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의 일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를 이용한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은 비접촉 태그(100), 리더·라이터(200), 정보 처리 장치(300)를 포함하고 있다.
비접촉 태그(100)는 예를 들면, 하물(500) 등의 동체물(動體物)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고유의 식별 정보(ID)를 기억하고 있다.
리더·라이터(200)는 안테나(201), 송수신부(202), 제어부(203)를 포함하고 있다.
안테나(201)는 비접촉 태그(10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전파 등의 캐리 어(400)(반송파)의 송수신에 이용된다.
송수신부(202)는 비접촉 태그(100)에 송신하는 캐리어(400)에 필요한 정보를 싣기 위한 변조 처리, 비접촉 태그(100)로부터 도래하는 캐리어(400)로부터 복조 처리에 의해서 통신 정보를 재생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제어부(203)는 상위의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수신부(202)에 있어서의 전술한 변조 처리나 복조 처리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리더·라이터(200)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비접촉 태그(100)와 무선 전파 등의 캐리어(400)를 통해 정보 교환을 함으로써, 비접촉 태그(100)가 기억하고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전달하거나,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지시된 정보를 비접촉 태그(100)에 기록하는 등의 처리를 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는 리더·라이터(200)를 통해 비접촉 태그(100)로부터 판독된 고유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비접촉 태그(100)가 부착되는 하물(500)을 인식하여, 원하는 처리를 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100)는 안테나(1), 정류기(2), 전원 생성 회로(3), 클록 추출 회로(4), 클록 분주 회로(6), 복조 회로(8), 변조 회로(10), 논리 회로(12), 비휘발성 메모리(13)를 포함하고 있다.
이 비접촉 태그(100)는 예를 들면, 1 칩의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로 구성할 수 있다.
안테나(1)는 리더·라이터(20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파 등의 캐리어(400) 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안테나(1)는 루프형이 예시되어 있지만, 사용되는 캐리어(400)의 주파수에 따라서는 다이폴형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정류기(2)는 안테나(1)에서 수신한 캐리어(400)의 고주파 전류를 정류하여, 직류 전류로서 전원 생성 회로(3)에 입력한다.
전원 생성 회로(3)는 정류기(2)로부터 얻어진 직류 전류를 동작 전류로서 그 비접촉 태그(100) 내의 각 구성 요소에 분배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100)는 캐리어(400)로부터 동작 전류를 얻어 동작하는 수동형의 비접촉 태그이다.
클록 추출 회로(4)는 캐리어(400)로부터 그 비접촉 태그(100)의 동작에 필요한 추출 클록(5)을 추출한다.
클록 분주 회로(6)는 추출 클록(5)을 실제로 로직 회로(12) 등에서 사용하는 주파수까지 분주한다.
복조 회로(8)는 변조된 캐리어(400)를 복조한다.
변조 회로(10)는 비접촉 태그(100)로부터 리더·라이터(200)에 응답되는 응답 정보(11)를 캐리어(400)에 수반시키기 위한 변조 처리를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3)는 그 비접촉 태그(100)에 고유한 식별 정보(ID)나,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FRAM 등의 기억 매체이다.
로직 회로(12)는 비휘발성 메모리(13)의 제어 및 리더·라이터(20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한다.
로직 회로(12)는 카운터부(12a), 디코드부(12b), 데이터 처리부(12c)를 포함 하고 있다.
카운터부(12a)는 클록 분주 회로(6)로부터 입력되는 분주 클록(7)에 의해 인크리멘트되는 카운터이다.
디코드부(12b)는 복조 회로(8)로부터 입력되는 복조 신호(9)와, 카운터부(12a)의 카운터치(12a-1)에 기초하여, 캐리어(400)에 포함되는 디지털 정보를 얻는 디코드 처리를 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조 회로(8)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9)는 클록 분주 회로(6)에도 입력되고 있고, 이 복조 신호(9)에 의해서 클록 분주 회로(6)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은 클록 추출 회로(4), 클록 분주 회로(6) 및 복조 회로(8)의 동작을 캐리어(400)의 변조 파형에 맞춰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조 회로(8)의 출력인 복조 신호(9)는 논리 신호이며,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캐리어(400)가 무변조일 때에는 H 레벨, 변조일 때에는 L 레벨을 출력한다.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캐리어(400)가 무변조일 때(비변조 기간(400b))에는 복조 회로(8)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9)는 H 레벨을 출력한다. 클록 추출 회로(4)는 캐리어(400)로부터 13.56 MHz의 클록 신호를 추출 클록(5)으로서 추출한다. 클록 분주 회로(6)는 이 13.56 MHz의 추출 클록(5)을 분주하여, 원하는 클록인 분주 클록(7)을 출력한다. 이것은 ASK 100% 변조, ASK 10% 변조 모두 동일한 동작이 된다.
리더·라이터(200)로부터 캐리어(400)(변조 데이터)를 수신하면 복조 회로(8)에서 이 변조 데이터를 복조하여, 변조 기간(400a)에 있어서 L 레벨의 복조 신호(9)를 출력한다.
ASK 100% 변조시에는 캐리어(400)가 정지하게 되기 때문에, 클록 추출 회로(4)의 출력인 추출 클록(5)도 정지한다. 이 때 추출 클록(5)의 출력치는 H 레벨이나 L 레벨의 어느 쪽에서 정지할지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그 상태는 어느 쪽이나 상관없다.
ASK 10% 변조시에는 클록 추출 회로(4)는 무변조일 때와 동일하게 추출한 13.56 MHz의 추출 클록(5)을 계속해서 출력한다.
클록 분주 회로(6)에서는 ASK 100% 변조, ASK 10% 변조에 상관없이, 복조 신호(9)의 L 레벨을 받아 클록 분주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분주 클록(7)의 리셋을 행한다. 리셋 중의 클록 분주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분주 클록(7)의 출력은 비접촉 태그(100)의 동작에 맞춰 H 레벨, L 레벨의 어느 쪽이나 설정 가능하다.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캐리어(400)가 무변조 상태(비변조 기간(400b))로 되돌아가면 복조 회로(8)로부터의 복조 신호(9)도 H 레벨이 된다.
클록 추출 회로(4)는 무변조 상태이기 때문에, 13.56 MHz의 추출 클록(5)을 추출하여, 클록 분주 회로(6)에 출력한다. 클록 분주 회로(6)는 복조 회로(8)로부터의 복조 신호(9)가 H 레벨로 천이하기 때문에 다시 추출 클록(5)을 분주하여 원하는 분주 클록(7)을 로직 회로(12)에 출력한다. 분주 클록(7)은 복조 신호(9)가 H 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클록(5)에 대한 동기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것은 ASK 100% 변조, ASK 10% 변조 모두 동일한 동작으로 된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변조시(변조 기간(400a))의 클록 분주 회로(6)의 복조 신호(9)에 의한 리셋에 의해 로직 회로(12)의 디코드부(12b)에는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는 동일한 분주 클록(7)과 복조 신호(9)가 입력되게 되어, 하나의 디코드부(12b)에서 양방의 변조도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캐리어(400)의 정지시(변조 기간(400a))에 PLL 등에 의해 추출 클록(5)을 보완할 필요도 없고,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고 복조 신호(9)와 분주 클록(7)의 관계를 동일하게 한 수신 신호를 로직 회로(12)에 공급하여, 디코드 처리가 가능해진다.
캐리어(400)에 있어서의 ASK 100% 변조와, ASK 10% 변조의 양방을 서포트하는 ISO15693의 경우의 비접촉 태그(100)의 복조 동작을 이하에 나타낸다. 비접촉 태그(100)의 구성은 전술한 도 3과 같다.
비접촉 태그(100)의 동작에 필요한 클록은 클록 추출 회로(4)에서 캐리어(400)(13.56 MHz)로부터 추출한다.
로직 회로(12)에서 사용하는 클록(메인 클록)은 클록 추출 회로(4)로부터 출력되는 추출 클록(5)을 추가로 클록 분주 회로(6)에서 분주한 분주 클록(7)을 사용한다.
복조 회로(8)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9)는 무변조일 때에 H 레벨, 변조일 때(데이터 수신시)에 L 레벨로 천이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클록 분주 회로(6)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이하에 몇 가지 예시한다.
도 4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클록 분주 회로(6)는 플립플롭(61)(FF)과 논리 게이트(62)를 포함하고 있다.
플립플롭(61)은 클록 입력 단자(CK), D 입력단자(D), Q 출력 단자(Q), XQ 출력 단자(XQ), 인에이블 입력 단자(EN), 리셋 입력 단자(CL)를 구비하고 있다.
XQ 출력 단자(XQ)는 Q 출력 단자(Q)의 논리가 반전한 논리 신호가 출력된다.
클록 입력 단자(CK)에는 추출 클록(5)이 입력된다. XQ 출력 단자(XQ)의 출력은 D 입력 단자(D)로 피드백되고, 클록 입력 단자(CK)에 입력되는 추출 클록(5)에 동기하여, 분주 클록(7)이 Q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된다.
인에이블 입력 단자(EN)는 그 인에이블 입력 단자(EN)에 입력되는 논리 신호(인에이블 신호(21))에 의해서 플립플롭(61)의 분주 동작의 가부를 제어한다.
리셋 입력 단자(CL)는 그 리셋 입력 단자(CL)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논리 신호(리셋 신호(22))에 의해서, 플립플롭(61)의 내부 상태를 초기화한다.
이 도 4a의 경우, 논리 게이트(62)에 있어서, 클록 분주 회로(6) 내의 플립플롭(61)의 인에이블 입력 단자(EN)에 입력되고 있는 인에이블 신호(21)와 복조 신호(9)의 논리 연산을 하여, 그 연산 결과의 논리 신호인 인에이블 신호(21a)를 인에이블 입력 단자(EN)에 입력하고 있다.
인에이블 신호(21)와 복조 신호(9)의 논리 연산을 하는 논리 게이트(62)의 연산 기능은 복조 신호(9)가 L 레벨일 때에 플립플롭(61)의 분주 동작이 정지하도록, 또한 플립플롭(61)의 Q 출력 단자(Q)로부터의 출력인 분주 클록(7)을 L 레벨(혹은 H 레벨)로 셋트하도록, 인에이블 신호(21a)의 논리 상태를 제어하여, 인에이 블 입력 단자(EN)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조 데이터(캐리어(400))를 수신하고 복조 신호(9)가 L 레벨(변조 기간(400a))이 되면, 클록 분주 회로(6)는 분주를 정지하고, 분주 클록(7)을 L 레벨(혹은 H 레벨)로 리셋한다.
또한, 복조 신호(9)가 H 레벨(비변조 기간(400b))이 되면, 다시 클록 추출 회로(4)로부터의 출력인 추출 클록(5)을 분주하여, 로직 회로(12)에 분주 클록(7)을 출력한다. 즉 복조 신호(9)가 H 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분주 클록(7)의 동기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조 신호(9)의 L 레벨의 타이밍에서는, 클록 추출 회로(4)까지 리셋은 하지 않는다. 최저한으로, 로직 회로(12)에서 사용하는 클록(이 예의 경우, 클록 분주 회로(6)의 출력인 분주 클록(7))을 리셋하면 된다. 비접촉 태그(100) 내의 다른 아날로그 회로 등에서 추출 클록(5)을 사용하는 일이 없는 것 같으면 클록 추출 회로(4)도 리셋하더라도 상관없다. 클록 추출 회로(4)까지 리셋을 하는 경우는 변조 데이터(캐리어(400))의 수신 중의 소비 전력을 더욱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예상된다.
클록 분주 회로(6)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 4b에 도시한다. 이 도 4b의 예에서는, 복조 신호(9) 및 논리 게이트(62)에 의해서, 리셋 신호(22)를 제어함으로써, 복조 신호(9)의 논리 상태에 따른 분주 클록(7)의 기동/정지를 제어하고 있다.
즉, 도 4b와 같이, 논리 게이트(62)에 의해서, 리셋 입력 단자(CL)에 입력되고 있던 리셋 신호(22)와 복조 신호(9)의 논리 연산을 하여, 그 출력(리셋 신호 (22a))을 리셋 입력 단자(CL)에 입력한다.
전술한 도 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조 신호(9)가 L 레벨(변조 기간(400a))이 되면 클록 분주 회로(6)는 분주를 정지하고, 분주 클록(7)을 L 레벨(혹은 H 레벨)로 리셋한다. 복조 신호(9)가 H 레벨(비변조 기간(400b))이 되면, 다시 분주 클록(7)을 출력한다.
도 4c에 클록 분주 회로(6)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도 4c의 경우에는, XQ 출력 단자(XQ)에서 D 입력 단자(D)로의 피드백 경로에 논리 게이트(62)를 개재시켜, 복조 신호(9)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XQ 출력 단자(XQ)에서 D 입력 단자(D)로의 피드백 신호를 제어한다.
즉, 이 도 4c의 예에서는, XQ 출력 단자(XQ)로부터 출력되는 XQ와 복조 신호(9)의 논리 연산을 논리 게이트(62)에서 행하여 D 입력 단자(D)에 입력한다. 논리 게이트(62)에 있어서, 복조 신호(9)가 L 레벨이 되면 D 입력 단자(D)에의 입력을 정지하는 논리 구성을 취함으로써, 전술한 도 4a, 도 4b와 같이, 복조 신호(9)가 L 레벨(변조 기간(400a))인 동안은 분주 클록(7)을 L 레벨 혹은 H 레벨의 고정치로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도 4a∼도 4c의 클록 분주 회로(6)의 구성에 의해,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분주 클록(7)의 파형을 얻을 수 있다. 도 2a가 ASK 100% 변조일 때이고, 도 2b가 ASK 10% 변조일 때의 파형이 된다.
각각의 파형은 전술한 도 9a, 도 9b와 같이,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변조 캐리어 파형(캐리어(400)), 변조된 캐리어 파형을 복조 한 아날로그 복조 파형(401)(복조 신호(9)), 추출 클록(5)으로부터 분주된 분주 클록(7)이다.
복조 신호(9)의 L 레벨(변조 기간(400a))을 검지함으로써 분주 클록(7)을 리셋하기 때문에, 변조 기간(400a)에 있어서 추출 클록(5)이 두절되지 않는 ASK 10% 변조의 경우라도, 변조 데이터 수신시(캐리어(400)에 있어서의 변조 기간(400a))에, ASK 100% 변조와 마찬가지로, 분주 클록(7)이 정지하게 된다.
이로써, ASK 100% 변조, ASK 10% 변조 모두 복조 데이터(복조 신호(9)), 카운터부(12a)를 구동하는 분주 클록(7)의 관계가 동일하게 되어, 변조도의 구별 없이, 로직 회로(12)에 있어서, 카운터부(12a)의 카운터치(12a-1)에 기초한 공통적인 디코드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K 100% 변조시에 데이터를 수신하면 캐리어(400)가 멈추게 되기 때문에, 추출 클록(5)의 추출을 할 수 없게 되어, 분주 클록(7)도 정지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도 2a와 같은 파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도 2b의 ASK 10% 변조시와 마찬가지로, ASK 100% 변조의 데이터 수신시에도 복조 신호(9)가 L 레벨로 천이하면 분주 클록(7)을 리셋하고, 복조 신호(9)가 H 레벨로 천이하면 클록 분주 회로(6)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변조 데이터 수신마다 분주 클록(7)의 동기를 취하기 위함으로,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고서 동일한 동작을 하게 하는 쪽이 좋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작을 하는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100)에서, ASK 100% 변조 및 ASK 10% 변조의 쌍방을 서포트하는 전술한 ISO15693에 준거한 캐리어(400)의 디코 드를 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도 10의 파형은 도 6(본 실시형태)과 같이 되고, 또한 종래 기술의 도 11의 파형은 도 7(본 실시형태)과 같이 된다.
즉, 도 6은 캐리어(400)에 있어서의 75.52 μsec(9.44×8)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서의 변조 기간(400a)(복조 신호(9)가 L 레벨)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코드(인코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펄스 포즈 부호화(ISO15693의 1 out of 4, 1 out of 256)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각 데이터 프레임에는 2 비트의 데이터가 할당되고, 개개의 인코드 방법은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다. 2'b00∼2'b11의 4종류의 비트 패턴이 3 비트 폭의 카운터치(12a-1)의 0, 2, 4, 6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으며, 디코드부(12b)는 이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 내의 복조 신호(9)의 L 레벨 위치에 기초한 디코드를 행한다.
도 6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변조 기간(400a)에 캐리어(400)(추출 클록(5))가 두절되는 ASK 100% 변조의 경우와, 변조 기간(400a)에 캐리어(400)(추출 클록(5))가 두절되지 않는 ASK 10% 변조의 경우라도, 분주 클록(7), 즉 카운터치(12a-1)의 동작 상태가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75.52 μsec(9.44×8)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복조 신호(9)가 L 레벨(변조 기간(400a))인 위치에 기초한 디코드 결과가 ASK 100% 변조인 경우와, ASK 10% 변조인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캐리어(400)의 복조 신호(9)가 H 레벨인 기간(비변조 기간(400b)), 즉, 전후하는 2개의 변조 기간(400a)의 간격에 기초한 디코드( 인코드) 방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도, 전후하는 2개의 변조 기간(400a)의 간격을 계수하는 분주 클록(7)(카운터치(12a-1))의 값이, ASK 100% 변조의 경우와 ASK 10% 변조의 경우에 동일하게 되어, 복조 신호(9)가 H 레벨인 기간에 기초한 디코드 결과가, ASK 100% 변조의 경우와 ASK 10% 변조의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ASK 100% 변조 및 ASK 10% 변조의 어느 쪽의 변조도의 데이터라도 복조 신호(9)와 디코드용의 카운터부(12a)(즉 분주 클록(7))의 동작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400)에 있어서의 인코드(디코드) 방법이나 변조도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한 디코드부(12b)에서의 복조 및 디코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어(400)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록(5)의 두절을 보완하기 위해서 PLL 등의 클록 생성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접촉 태그(100)를 구성하는 LSI 칩의 칩 면적, 소비 전력 등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ASK 100% 변조, ASK 10% 변조의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완전히 동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른 변조 방식마다 다중으로 복조 회로(8)를 둘 필요가 없어, 비접촉 태그(100)를 구성하는 LSI 칩의 로직 규모나 칩 면적, 소비 전력 등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비접촉 태그(10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태그(100)의 보급의 역사나 관계 법규 등의 규제 관계로, 동일 규격 중에 다른 변조 방식이 혼재하여, 리더·라이터(200)의 제조 시기나 사용 지역(국가별)에 따라서 변조 방식을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100)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내부 회로를 복잡하게 하여 제조 비용이나 소비 전력(통신 거리) 등의 성능을 희생으로 하는 일없이, 그대로 복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결과, 리더·라이터(200)의 제조 시기를 의식하지 않고, 국제적인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의 시장에 보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더·라이터(200)로부터의 커맨드 수신시에는 캐리어(400)에 변조가 걸리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400)가 두절되거나, 진폭이 감소하는 변조 기간(400a)이 길게 되어, 전원 생성 회로(3)에서 얻어지는 수신 파워는 저하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변조 기간(400a)(복조 신호(9)가 L 레벨) 동안은 분주 클록(7)을 정지하기 때문에, 비접촉 태그(100)에 있어서의 수신시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 태그(100)의 저소비 전력화에 의해, 비접촉 태그(100)와 리더·라이터(200)의 통신 가능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태그(100) 및 비접촉 태그(100)를 이용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의 응용 범위가 넓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예시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RFID 태그 등의 비접촉 태그 대신에, 비접촉 IC 카드 등의 트랜 스폰더에 적용할 수 있다.
(부기 1)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추출 수단과,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분주 수단과,
상기 분주 클록에 의해 구동되는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2)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소정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변조 기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3)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상기 비변조 기간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4)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는, 상기 변조율 100%와 상기 변조율 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정보를 반송하고, 동일한 상기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변조율 100%와 상기 변조율 10%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카운터의 값의 추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5)
부기 1에 기재한 태그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는, 100% 진폭 변조와 10% 진폭 변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100%의 진폭 변조로 진폭이 변조되는 기간 및 상기 10% 진폭 변조로 진폭이 변조되는 기간에 대해서는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부기 6)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분주 수단은, 상기 클록을 입력으로 하고 X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D 단자로 귀환 입력함으로써 Q 단자로부터 상기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복조 신호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인에이블(EN) 단자에 입력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7)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분주 수단은, 상기 클록을 입력으로 하고 X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D 단자로 귀환함으로써 Q 단자로부터 상기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클리어 신호와 상기 복조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클리어(CL) 단자에 입력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8)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분주 수단은, 상기 클록을 입력으로 하고 X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D 단자로 귀환함으로써 Q 단자로부터 상기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XQ 단자의 출력과 상기 복조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D 단자에 입력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9)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로부터 직류 전력을 추출하기 위한 정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동형 비접촉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부기 10)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 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할 때,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단계와,
상기 분주 클록의 카운트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치에 의해, 소정의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변조 기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부기 12)
부기 10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치에 의해, 상기 변조 기간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부기 13)
부기 10에 기재한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는, 상기 변조율 100%와 상기 변조율 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상기 단계에서는 동일한 상기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변조율 100%와 상기 변조율 10%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카운터의 값의 추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부기 14)
ASK 변조된 반송파를 통해 커맨드 정보를 발신하는 액세스 장치와, 상기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 정보를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응답하는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접촉 태그는,
상기 액세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추출 수단과,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분주 수단과,
상기 분주 클록에 의해 구동되는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커맨드 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
(부기 15)
부기 14에 기재한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장치는, 변조율 100% 또는 변조율 10%로 상기 반송파를 변조함으로써, 상기 커맨드 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
(부기 16)
부기 14에 기재한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소정의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변조 기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
(부기 17)
부기 14에 기재한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상기 비변조 기간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D 식별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캐리어에 수반하는 변조 데이터의 수신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태그에 있어서, 회로 규모나 소비 전력의 증대, 통신 거리의 감소 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다른 변조 방식의 변조 데이터를 정확히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클록 추출 수단과,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분주 수단과,
    상기 분주 클록에 의해 구동되는 카운터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소정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변조 기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수단은, 상기 카운터의 값에 의해서, 상기 비변조 기간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는, 변조율 100%와 변조율 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정보를 반송하고, 동일한 상기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변조율 100%와 상기 변조율 10%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카운터의 값의 추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는, 100% 진폭 변조와 10% 진폭 변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100%의 진폭 변조로 진폭이 변조되는 기간 및 상기 10% 진폭 변조로 진폭이 변조되는 기간에 대해서는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 수단은, 상기 클록을 입력으로 하고 X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D 단자로 귀환 입력함으로써 Q 단자로부터 상기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복조 신호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인에이블(EN) 단자에 입력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 수단은, 상기 클록을 입력으로 하고 XQ 단자로부터의 출력을 D 단자로 귀환함으로써 Q 단자로부터 상기 분주 클록을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클리어 신호와 상기 복조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플립플롭의 클리어(CL) 단자에 입력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
  8.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클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의 비변조 기간과 변조 기간의 각각에 대응하여 논리 상태가 변화되는 논리 신호로 이루어지는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록 추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클록으로부터 분주 클록을 생성할 때, 상기 복조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주 클록의 출력을 억제하는 단계와,
    상기 분주 클록의 카운터치를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디코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치에 의해서, 소정의 시간 폭의 데이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변조 기간의 위치를 검출 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치에 의해서, 상기 변조 기간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KR1020060019651A 2005-09-30 2006-02-28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KR100786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9340A JP4313795B2 (ja) 2005-09-30 2005-09-30 非接触タグ、非接触タグの制御方法
JPJP-P-2005-00289340 200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87A true KR20070037287A (ko) 2007-04-04
KR100786160B1 KR100786160B1 (ko) 2007-12-21

Family

ID=3790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651A KR100786160B1 (ko) 2005-09-30 2006-02-28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92947B2 (ko)
JP (1) JP4313795B2 (ko)
KR (1) KR100786160B1 (ko)
CN (1) CN10050492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337B1 (ko) * 2008-03-07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02B1 (ko) * 2007-05-22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Ask rf 신호 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US7971794B2 (en) * 2008-02-07 2011-07-05 Infineon Technologies Ag Actively regulated modulation index for contactless IC devices
JP5323517B2 (ja) 2009-01-30 2013-10-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DE102009009846A1 (de) * 2009-02-20 2010-09-02 Bundesdruckerei Gmbh Verbessertes Kartenlesegerät für kontaktlos auslesbare Kar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Kartenlesegeräts
JP2011022923A (ja) * 2009-07-17 2011-02-03 Toshiba Corp 非接触icカード及び無線システム
CN101814921B (zh) * 2010-03-17 2013-01-23 华东师范大学 射频识别阅读器的数字基带系统的编码模块
US9361488B2 (en) 2010-07-01 2016-06-07 Intelleflex Corporation Single or dual complex subcarrier downconversion
FR2980873B1 (fr) * 2011-09-30 2015-08-07 Proton World Int Nv Configuration d'un routeur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en type de modulation
DE102011119687B4 (de) 2011-11-24 2018-07-19 Infineon Technologies Ag Transpondereinheit, System und Verfahren zur kontaktlosen Datenübertragung
CN103595420B (zh) * 2012-08-13 2018-02-13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解码读卡器发送的type a信号的解码器
US9008230B2 (en) * 2013-01-08 2015-04-14 Nxp B.V. Receiver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9426003B2 (en) 2013-12-18 2016-08-23 Nxp B.V. Proximity integrated circuit card bias adjustment
US9124393B2 (en) * 2013-12-20 2015-09-01 Nxp B.V. End of communication detection
US9798338B2 (en) 2014-08-04 2017-10-24 Nxp B.V. Digitally controllable power source
EP3101596B1 (en) 2015-06-03 2018-04-25 Nxp B.V. Adaptive bias tuning
JP7040897B2 (ja) * 2017-03-30 2022-03-23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非接触電子装置、および周期検出方法
EP3584948A1 (en) * 2018-06-19 2019-12-25 STMicroelectronics razvoj polprevodnikov d.o.o. Protocol detection and decoding in multiprotocol tag, and corresponding integrated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991A (ja) * 1991-09-06 1993-03-19 Omron Corp 識別システム
JP2896031B2 (ja) * 1992-12-28 1999-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の端末機および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
JP3565966B2 (ja) * 1995-12-20 2004-09-1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通信装置
JP2000172806A (ja) 1998-12-08 2000-06-23 Hitachi Ltd 非接触icカード
JP4341127B2 (ja) * 1999-12-20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icカード及びリーダライタ
WO2003040950A2 (en) * 2001-11-02 2003-05-15 Avid Identification Systems, Inc. Dual antenna coil transponder system
JP4053324B2 (ja) 2002-03-26 2008-02-27 株式会社サトー Rfidタグにおける情報記録方法及びrfidタグ
JP2003333112A (ja) 2002-05-14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復調装置
KR100474473B1 (ko) * 2002-11-08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형 비접촉 식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337B1 (ko) * 2008-03-07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02383A (ja) 2007-04-19
US20070075143A1 (en) 2007-04-05
US7392947B2 (en) 2008-07-01
CN100504920C (zh) 2009-06-24
JP4313795B2 (ja) 2009-08-12
KR100786160B1 (ko) 2007-12-21
CN1940972A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160B1 (ko) 비접촉 태그 및 비접촉 태그의 제어 방법
EP2064661B1 (en)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from a first electronic circuit to a second electronic circuit via at least one wire line
EP2763076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ctive modulation
US11176336B2 (en) Radio transponder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 radio transponder reader and the radio transponder
US7252241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devic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dium, and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JP4275623B2 (ja) 通信局によるトランスポンダインベントリ方法
US20200272799A1 (en) Reception circuit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ard including same
JP473877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8321743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US9418253B2 (en) Transponder unit,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JP3966340B2 (ja) 非接触idシステム
US20090322483A1 (en) Method for coded data transmiss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transponder within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US6631848B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circuit
KR100831898B1 (ko) 트랜스폰더, 부하 변조 신호 발생 방법, 및 상기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
JP2005151033A (ja) Rfid通信におけるvpm変調方式
EP4145335B1 (en) Rfid ic with disturbance filter for digitally modulated signals
US9019031B2 (en) Method for the phase modulation of a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to a contactless transponder,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CN105574557A (zh) 非接触式ic卡系统
JP2005151075A (ja) Rfid通信におけるパルスギャップ信号による非同期通信方式
JP4057451B2 (ja) 非接触方式による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外部装置及びrfidタグ
JP2013514564A (ja) トランスポンダから読み取り機への非接触通信データを、負荷変調によって1セットのパタンの形に符号化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8021157A (ja) 通信システム、icタグおよび通信方法
JP2002246830A (ja) アンテナ装置及び非接触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
JP2012053742A (ja) 通信制御方法
JP2005520379A (ja) トランスポンダと通信するための通信局、および異なる伝送パラメータを用いた更なる通信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