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056A -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 Google Patents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056A
KR20070037056A KR1020050092264A KR20050092264A KR20070037056A KR 20070037056 A KR20070037056 A KR 20070037056A KR 1020050092264 A KR1020050092264 A KR 1020050092264A KR 20050092264 A KR20050092264 A KR 20050092264A KR 20070037056 A KR20070037056 A KR 2007003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late
crucible
thin film
film material
evapor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217B1 (ko
Inventor
이정열
최용중
마성락
민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17B1/ko
Priority to JP2006262953A priority patent/JP2007100216A/ja
Priority to TW095136110A priority patent/TWI328617B/zh
Priority to EP06255048A priority patent/EP1770186B1/en
Priority to DE602006013917T priority patent/DE602006013917D1/de
Priority to CNA2006101418265A priority patent/CN1940123A/zh
Priority to US11/540,544 priority patent/US20070074654A1/en
Publication of KR2007003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17/00Single-crystal, oriented-crystal, and epitaxy growth processes; non-coating apparatus therefor
    • Y10T117/10Apparatus
    • Y10T117/1024Apparatus for crystallization from liquid or supercritical state
    • Y10T117/1032Seed pulling
    • Y10T117/1068Seed pulling including heating or cooling details [e.g., shield config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박막 재료가 수용된 공간부 및 박막 재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인너플레이트; 및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플레이트는 다단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및 진공증착기를 개시한다.
도가니, 인너플레이트, 홀, 금속산화물

Description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evaporating source and vacuum evapo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을 포함하는 증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인너플레이트가 장착된 증발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진공 챔버 120: 기판
121: 마스크 122: 기판 고정 장치
130: 증발원 140: 도가니
141: 개구부 145: 공간부
150: 가열장치 160, 161, 162, 163: 인너플레이트
161a,162a,163a: 홀 170: 덮개부
본 발명은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소드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아노드와 캐소드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원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Device)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는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표시장치로서 LCD에서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박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저온 제작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낮은 소비 전력, 넓은 시야각 및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포함하고 있어 애노드로부터 공급받는 정공과 캐소드로부터 공급받은 전자가 유기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상기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상기 유기막층 또는 캐소드는 주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성막되는데, 상기 진공증착법에 사용되는 진공증착기는 내부 압력이 10-6 내지 10-7 torr로 조절되는 진공 챔버 및 상기 진공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박막 재료가 수용되는 가열용기인 도가니(crucible)와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감겨져 전기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증발원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막층 또는 캐소드가 형성될 피처리기판은 상기 진공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증발원으로부터 증발된 박막 재료는 상기 피처리기판으로 이동되어 흡착, 증착, 재증발 등의 연속적 과정을 거쳐 상기 피처리기판 위에 고체화되어 얇은 박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박막 재료가 기화나 승화가 아닌 스플래쉬(splash) 형태로 피증착기판에 흡착되는 경우 암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재료가 산소와 반응하기 쉬운 Mg와 같은 금속일 경우 상기 박막 재료의 표면에는 얇은 자연산화막, 즉 금속산화물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처리기판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박막 재료가 수용된 도가니를 가열하게 되면, 박막 재료와 함께 상기와 같은 금속산화물도 가열되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게 되는데, Mg는 500도 정도에서 기화되는데 반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은 2500도 이상의 온도에서 기화되므로 상기 금속산화물은 기화 또는 승화되지 않고 덩어리의 형태로 피처리기판에 흡착된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면 캐소드의 저항을 증가시키며, 또한 입자가 커서 아노드와 캐소드 간에 쇼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암점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캐소드의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소자의 암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막 재료가 수용된 공간 부 및 박막 재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인너플레이트; 및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플레이트는 다단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챔버; 및 상기 진공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박막 재료가 수용된 공간부와 증발된 박막 재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위치하며, 증발된 박막 재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다단의 인너플레이트 및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증발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증착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을 포함하는 진공증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증착기는 진공 챔버(110) 및 상기 진공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발원(130)을 구비한다.
상기 진공 챔버(110)에는 진공배기계(도시 안됨)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진공 챔버(110)의 내부는 일정한 진공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챔버(110)의 상부에는 피처리기판(120)이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기판(120)의 일측에는 상기 피처리기판(120)에 성막되는 두께를 측정하기 위 한 센서(도시안됨)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처리기판(120)의 일면에는 증착하고자 하는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121)가 위치하며, 상기 피처리기판(120) 및 상기 마스크(121)은 기판 고정 장치(122)에 의하여 밀착 및 고정된다.
상기 진공 챔버(110)의 하부에는 도가니 및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증발원(130)이 위치하며, 상기 증발원(130)의 상부에는 증발되는 박막 재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셔터(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원(130)은 가열용기인 도가니(140) 및 상기 도가니(140)의 외주면에 감겨서 전기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도가니(140)는 흑연, PBN(Pyrolytic Boron Nitride)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 재료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상기 가열장치(150)에 의해 증발된 박막 재료가 방출되는 개구부(1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박막 재료의 상부의 공간부에는 구리, 금 또는 은 등의 열전도도가 좋은 물질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가 위치하는데, 상기 인너플레이트(16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가니(140)는 상기 개구부(141)에 조립되며 증발된 박막 재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홀(175)을 구비하는 덮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덮개부(170)를 구비하는 경우, 증발된 박막 재료가 일정한 경로를 통해 방출되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므로 보다 균일한 두께의 박막을 얻을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인너플레이트가 장착된 도가니를 도시한 단 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도가니(140)에 수용된 박막 재료(180) 상부의 공간부(145)에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가 위치한다.
상기 인너플레이트(160)는 도가니(140)의 공간부(145)에 수용된 박막 재료(180)에 일정한 내압을 가하여 박막 재료(180)의 스플래쉬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치 않는 금속산화물을 걸러주어 피처리기판에 금속산화물이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인너플레이트(160)는 2 내지 5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너플레이트(160)를 1단만 구비하는 경우 상기 인너플레이트 하부의 공간에 충분한 내압을 가할 수 없으며, 5단 이상 구비할 경우 내압이 너무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60)는 2 내지 5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의 외경은 상기 도가니(14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의 외경을 상기 도가니(14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상기 도가니(140)의 공간부(145)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가 가열용기(140)의 내벽에 밀착되므로, 접촉에 의해 상기 인너플레이트(160)에 상기 도가니(140)의 열이 전달되어 상기 도가니(140)와 상기 인너플레이트(160)의 온도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박막 재료(180)의 스플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증발된 박막 재 료(180)는 상기 인너플레이트가 위치한 공간부(145)의 통과시에도 동일하게 온도가 유지되므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60) 상에 재결정화되지 않고 기화된 상태로 도가니(140)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는 2 내지 10mm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인너플레이트(161,162,163) 간의 간격이 2mm보다 작을 경우, 각 인너플레이트 사이의 내압이 너무 커져서 상기 인너플레이트가 변형될 수 있으며, 10mm보다 큰 경우는 상기 도가니(140)의 공간부(145)에 충분한 내압이 걸리지 않게 되어, 증발된 박막 재료(180)는 산소와 결합하여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게 되어 인너플레이트(160)에 재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160)는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데, 각 인너플레이트(161,162,163)에 구비된 홀(161a,162a,163a)이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증발된 박막 재료(180)는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도가니(140) 밖으로 방출되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는데, 이때, 원하지 않는 금속산화물은 기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인너플레이트(160)에 의해 걸러져서 상기 가열용기(140) 밖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인너플레이트(161,162,163)마다 위치를 달리하여 홀을 형성하거나, 또는 각 인너플레이트의 장착시 홀이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하거나,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 인너플레이트(161,162,163)에 구비된 홀(161a,162a,163a)이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하면, 만일 금속 산화물이 최하단의 인너플레이트(163)의 홀 (163a)을 통과하더라도 그 상단에 있는 인너플레이트들(161,162)에 의해 금속산화물이 걸러지게 됨으로써 상기 금속산화물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는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도가니의 공간부에 충분한 내압을 형성시킴으로써 박막 재료(180)의 스플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의 외경을 가열용기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충분한 내압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도가니와 인너플레이트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박막 재료(180)가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을 통과할 때 기화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인너플레이트에 재결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를 각 인너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이 대응되지 않도록 배열시킴으로써, 금속산화물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박막 재료에 포함된 금속산화물이 피처리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캐소드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 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소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노드와 캐소드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암점 불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화면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박막 재료가 수용된 공간부 및 박막 재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인너플레이트; 및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플레이트는 다단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는 2 내지 5단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2 내지 10mm의 간격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공간부의 내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이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며, 증발된 박막 재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흑연, PBN(Pyrolytic Boron Nitride)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10. 진공 챔버; 및
    상기 진공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박막 재료가 수용된 공간부와 증발된 박막 재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공간부에 위치하며, 증발된 박막 재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다단의 인너플레이트 및 상기 도가니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증발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2 내지 10mm의 간격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공간부의 내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이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각 인너플레이트의 홀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며, 증발된 박막 재료를 토출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흑연, PBN(Pyrolytic Boron Nitride)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인너플레이트는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기.
KR1020050092264A 2005-09-30 2005-09-30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KR10071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64A KR100712217B1 (ko) 2005-09-30 2005-09-30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JP2006262953A JP2007100216A (ja) 2005-09-30 2006-09-27 蒸発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蒸着装置
TW095136110A TWI328617B (en) 2005-09-30 2006-09-28 Evaporation source machine and vacuum depos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06255048A EP1770186B1 (en) 2005-09-30 2006-09-29 Evaporation source and vacuum depos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DE602006013917T DE602006013917D1 (de) 2005-09-30 2006-09-29 Verdampfungsquelle und Vakuumabscheidungsvorrichtung mit der Vakuumvrdampfungsquelle
CNA2006101418265A CN1940123A (zh) 2005-09-30 2006-09-30 蒸发源部件及使用该部件的真空沉积装置
US11/540,544 US20070074654A1 (en) 2005-09-30 2006-10-02 Evaporation source machine and vaccum deposi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64A KR100712217B1 (ko) 2005-09-30 2005-09-30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056A true KR20070037056A (ko) 2007-04-04
KR100712217B1 KR100712217B1 (ko) 2007-04-27

Family

ID=3760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264A KR100712217B1 (ko) 2005-09-30 2005-09-30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74654A1 (ko)
EP (1) EP1770186B1 (ko)
JP (1) JP2007100216A (ko)
KR (1) KR100712217B1 (ko)
CN (1) CN1940123A (ko)
DE (1) DE602006013917D1 (ko)
TW (1) TWI3286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071A (ko) * 2016-03-02 2017-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4041A2 (en) * 2008-04-29 2009-11-05 Sunic System. Ltd. Evaporator and vacuum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015336B1 (ko) * 2008-08-22 2011-02-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내부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증착용 도가니 장치
CN102268642A (zh) * 2011-07-22 2011-12-07 上海奕瑞光电子科技有限公司 电阻加热式蒸发源
JP6049355B2 (ja) * 2012-08-29 2016-12-21 キヤノントッキ株式会社 蒸発源
KR101471901B1 (ko) * 2012-10-29 2014-12-1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다중 분사판이 구비된 도가니
KR102182114B1 (ko) * 2013-12-16 2020-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발장치
KR101457081B1 (ko) 2014-07-04 2014-10-31 (주) 디오브이 가스킷 역할을 포함한 이너플레이트를 사용한 대용량 선형 증발원
CN104078626B (zh) * 2014-07-22 2016-07-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oled材料蒸镀的加热装置
KR101495062B1 (ko) 2014-08-22 2015-02-25 (주) 디오브이 교체가 용이한 카트리지형 증발원
CN104593729B (zh) * 2014-12-24 2017-04-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防止蒸镀材料喷溅及塞孔的坩埚
CN106148898B (zh) * 2015-04-28 2020-02-07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具有优化的热排放特性的孔板
MY190445A (en) 2015-08-21 2022-04-21 Flisom Ag Homogeneous linear evaporation source
TWI624554B (zh) 2015-08-21 2018-05-21 弗里松股份有限公司 蒸發源
CN105177507B (zh) * 2015-09-08 2017-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蒸镀坩埚及蒸镀设备
CN107604317B (zh) * 2017-09-21 2019-11-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蒸镀坩埚以及蒸镀装置
CN109666897A (zh) * 2017-10-17 2019-04-23 合肥欣奕华智能机器有限公司 一种坩埚及点型蒸发源
KR102446900B1 (ko) * 2017-10-24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시스템
CN107955936A (zh) * 2017-12-28 2018-04-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蒸发源和蒸镀设备
FR3088078B1 (fr) 2018-11-06 2021-02-26 Riber Dispositif d'evaporation pour systeme d'evaporation sous vide, appareil et procede de depot d'un film de matiere
KR101997750B1 (ko) 2018-11-07 2019-07-08 진승욱 인너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증발원
CN209619438U (zh) * 2019-01-17 2019-11-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点蒸发源以及蒸镀设备
CN110106477B (zh) * 2019-05-22 2021-03-30 南开大学 石墨芯结构的高温裂解金属蒸发源
FR3102189B1 (fr) 2019-10-17 2022-08-05 Riber Cellule d’évaporation pour chambre d’évaporation sous vide et procédé d’évaporation associé
CN111549318A (zh) * 2020-04-30 2020-08-1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蒸镀坩埚及蒸镀装置
KR102598142B1 (ko) * 2020-07-10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US20220033958A1 (en) * 2020-07-31 2022-02-03 Applied Materials, Inc. Evaporation source,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a substrate in a vacuum chamber
CN113088891B (zh) * 2021-03-09 2023-03-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一研究所 铟蒸发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772A (ja) * 1983-11-29 1985-06-24 Ulvac Corp クラスタイオンビ−ム蒸発源装置
JPS61132589A (ja) * 1984-11-30 1986-06-2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蒸着用ルツボ
US4963423A (en) * 1987-10-08 1990-10-16 Anelva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 thin film and apparatus of forming a metal thin film utilizing temperature controlling means
JPH05139882A (ja) * 1991-11-20 1993-06-08 Hitachi Ltd 分子線源
US5433791A (en) * 1994-05-26 1995-07-18 Hughes Aircraft Company MBE apparatus with photo-cracker cell
JPH0892734A (ja) * 1994-09-22 1996-04-09 Nisshin Steel Co Ltd Mgの蒸発方法
US6011904A (en) * 1997-06-10 2000-01-04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Molecular beam epitaxy effusion cell
EP1318207A4 (en) * 2000-08-31 2006-08-16 Sumitomo Titanium Corp SILICON MONOXIDE-GAS PHASE SEPARATING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490537B1 (ko) * 2002-07-23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열용기와 이를 이용한 증착장치
JP4110966B2 (ja) * 2002-12-26 2008-07-02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蒸着装置および蒸着方法
KR100514588B1 (ko) * 2003-03-04 200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상 증착 장치용 증발원
JP4439894B2 (ja) * 2003-12-01 2010-03-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蒸着用るつぼ及び蒸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071A (ko) * 2016-03-02 2017-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00216A (ja) 2007-04-19
EP1770186B1 (en) 2010-04-28
CN1940123A (zh) 2007-04-04
KR100712217B1 (ko) 2007-04-27
US20070074654A1 (en) 2007-04-05
TWI328617B (en) 2010-08-11
EP1770186A1 (en) 2007-04-04
TW200712230A (en) 2007-04-01
DE602006013917D1 (de)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217B1 (ko)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KR100823508B1 (ko)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 장치
US7785663B2 (en) Successive vapour deposition system, vapour deposition system, and vapour deposition process
KR100826743B1 (ko) 유기 박막의 제조장치
JP5166942B2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KR20070080635A (ko) 유기물증발 보트
JP2009084679A (ja) 蒸気発生装置、蒸着装置
JP2006152441A (ja) 蒸着ソー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蒸着装置
JP2007227086A (ja) 成膜装置およ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70056190A (ko) 금속판 벨트 증발원을 이용한 선형 유기소자 양산장비
JP2009038011A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4156885B2 (ja) 薄膜形成装置
US9290842B2 (en) Electrode cover and evaporation device
JP3483719B2 (ja) 有機材料用蒸発源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形成装置
KR20130031446A (ko) 박막 증착 장치
KR100592304B1 (ko) 가열 용기와 이를 구비한 증착 장치
JP2006200040A (ja) 加熱容器支持台及びそれを備えた蒸着装置
KR100761084B1 (ko)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KR100696531B1 (ko) 가열용기와 이를 이용한 증착장치
KR100684739B1 (ko) 유기물 증착장치
KR101362166B1 (ko) 발광 표시소자의 제조장치
KR101997750B1 (ko) 인너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증발원
JP2008293675A (ja) 蒸着装置および有機el素子
JP3736938B2 (ja)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有機薄膜形成装置
KR100709265B1 (ko) 유기물 증착장치 및 증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