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514A -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514A
KR20070028514A KR1020077000091A KR20077000091A KR20070028514A KR 20070028514 A KR20070028514 A KR 20070028514A KR 1020077000091 A KR1020077000091 A KR 1020077000091A KR 20077000091 A KR20077000091 A KR 20077000091A KR 20070028514 A KR20070028514 A KR 2007002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tate
digital camera
communic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6265B1 (ko
Inventor
아키토시 야마다
타카오 아이치
카즈유키 마츠모토
미쓰히로 오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1/00Column, tabular or like printing arrangements; Means for centralising shor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Abstract

화상을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트 장치(1000)에, 디지털 카메라(3012)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30012)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과, 상기 프린트 장치(10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3012)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했을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프린트 장치측으로부터 변경 가능하게 한다.
프린트 장치, 디지털 카메라, 기록매체

Description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PRINTING APPARATUS AND PRINT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와 다이렉트로 통신 가능한 프린트 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프린트하는 경우, 그 디지털 카메라에 기억된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로 판독하고, 퍼스널 컴퓨터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접속된 프린터로 인쇄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즉, 화상 데이터의 흐름으로서는, 디지털 카메라→퍼스널 컴퓨터→프린터의 순서가 되고, 퍼스널 컴퓨터의 존재를 필수로 하고 있었다. 또, 디지털 카메라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퍼스널 컴퓨터를 일일이 기동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다이렉트로 접속하고, 디지털 카메라가 통상 구비하고 있는 표시기 위에서 프린트 지시를 주는 제안(이하,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라고 함)을 이미 몇 개인가 하고 있다.
상기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의 장점은, 퍼스널 컴퓨터 를 기동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는 점은 물론이지만, 퍼스널 컴퓨터를 필수로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을 염가로 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프린터에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했을 때, 각종 지시, 특히, 인쇄시키려고 하는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디지털 카메라가 통상 구비하는 표시기를 이용하므로, 프린터 측에 화상 확인을 위한 각별한 표시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는 것도 놓칠 수 없는 장점이 된다. 상기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시스템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4-009390호 공보에 있어서 제안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유저의 사용 편리성을 추구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시스템 자체는 디지털 카메라가 통상 구비하는 표시기를 이용함으로써, 프린터를 조작하는 일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의 조작으로서는, (A)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온 조작→(B) 프린터의 전원 온 조작→(C)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접속조작→(D) 포토 다이렉트 프린터 개시조작→(E)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종료조작→(F)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의 접속을 자르는 조작→(G) 프린터의 전원 오프 조작→(H)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오프 조작이라고 하는 것 같이, 결국은 프린터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A)~(H)와 같이, 프린터를 많이 조작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린터를 조작하는 일없이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트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프린트 장치측에서 변경하는 표시 변경수단을 갖는 프린트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터 제어방법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공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동작 상태를 상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공정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공정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프린트 장치측에서 변경하는 표시 변경공정을 갖는 프린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공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동작 상태를 상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공정을 갖고,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공정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프린트 장치측에서 변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외부 기기로서 소정의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변화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기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표시의 변경을 하는 것을 판별한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외부 기기로서 소정의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변화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기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표시의 변경을 하는 것을 판별한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 출력장치로서, 화상 출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 표시수단과,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해, 상기 출력 화면 표시수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갖는 화상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와 다이렉트 프린터를 직접 접속해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에 행하는 유저의 조작 순서를 간략화할 수가 있고, 보다 간편하게, 또 안전·확실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해하는 것이고, 이하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트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다.
도 5는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 장치측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은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 장치측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 장치측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 장치측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기본 구성의 설명>
먼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본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 프린터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디지털 카메라)와 다이렉트로 통신 가능한 환경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내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영상을 인쇄하는 방식을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방식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포토 다이렉트 프린터(PD(Photo Direct)프린터라고 함)의 장치 외관도이고, 도 2는 디지털 카메라를 프린터에 다이렉트 접 속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 PD 프린트 장치(1000)는, 호스트 컴퓨터(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인쇄하는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로서의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해 인쇄하거나 혹은 디지털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 인쇄하거나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PD 프린트 장치(1000)의 외각(外殼)을 이루는 본체는, 하부 케이스(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의 외장 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 하부 케이스(1001)는, PD 프린트 장치(1000)의 약 하반부를, 상부 케이스(1002)는 본체의 약 상반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고, 양 케이스의 조합에 의해 내부에 후술의 각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중공체 구조를 이루며, 이 상면부 및 전면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배출 트레이(1004)는, 그 일단부가 하부 케이스(1001)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보유되고, 그 회전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록 동작을 실행시킬 때에는, 배출 트레이(1004)를 전면측으로 회전시켜 개구부를 개성(開成)시킴으로써, 여기에서 기록 시트가 배출 가능해짐과 동시에, 배출된 기록 시트를 차례차례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용지 배출 트레이(1004)에는, 2매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가 수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 트레이를 앞으로 인출함으로써, 용지의 지지 면적을 3단계로 확대,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세스 커버(1003)는, 그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002)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보유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액세스 커버(1003)를 여는 것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기록 헤드 카트리지(미도시) 혹은 잉크 탱크(미도시) 등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액세스 커버(1003)를 개폐시키면, 그 이면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 레버의 회전 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1002)의 상면에는, 전원 키(1005)가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1002)의 상면(1010)에는, 동작 상황 표시부(1006)가 설치되어 있다. 동작 상황 표시부(1006)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갖고, 현재 PD 프린트 장치(1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또 동작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가 유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007은 자동 급송부로, 기록 시트를 장치 본체 내로 자동적으로 급송한다. 1008은 용지간 선택 레버로, 프린트 헤드와 기록 시트와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이다. 1012는 후술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통상, 디지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를 사용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단자 1012는 USB 인터페이스 형태를 채용했지만, 물론, 이외의 통신수단이어도 상 관없다. 또, 디지털 카메라와의 접속은, 그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으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본 PD 프린트 장치(1000)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도 실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통상, 퍼스널 컴퓨터와는 일단 접속한 후에는, 각별한 사정이 없는 한은 접속 상태가 유지된 채로 있으므로, 그 인터페이스 단자는 배면에 설치되었다. 이 퍼스널 컴퓨터 간과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센트로닉스사 사양의 패러럴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등이어도 좋지만, 적어도 쌍방향 통신 기능을 서포트하는 것으로 했다. 1009는 카드 슬롯으로,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해 인쇄하는데 이용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PD 프린트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케이블(5000)(USB 케이블)은, PD 프린트 장치(1000)의 커넥터 1012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5001과, 디지털 카메라(3012)의 접속용 커넥터 5003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50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3012)를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가 갖는 USB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 5001을 접속함으로써, 촬상한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할 수가 있다.
또, 디지털 카메라(3012)는, 내부의 메모리에 보존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접속용 커넥터 5003을 통해서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3012)의 구성으로서는, 내부에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나, 분리 가능한 메모리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구비한 것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 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케이블(5000)을 통해서 PD 프린트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를 접속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301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직접 PD 프린트 장치(1000)로 인쇄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PD 프린터(1000)의 제어계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은 장치 전체의 제어를 맡은 CPU, 2는 CPU(1)의 동작 처리 순서(프로그램)나 폰트를 기억하고 있는 ROM, 3은 CPU(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RAM이다. 4는 유저가 직접 조작하거나, 프린터 상태 표시를 확인하거나 하는 UI(유저 인터페이스:도 1에 있어서의 1005 및 1006에 해당)이다.
5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접속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7은 디지털 카메라와의 접속을 하는 인터페이스(USB의 호스트측)이다. 6은 프린터 엔진부이며, 실시의 형태에서는, 열 에너지를 이용해 잉크액을 토출하는 프린트 엔진이지만, 기록 방식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스틸 카메라) 301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31은 디지털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맡은 CPU이며, 32는 CPU(31)의 처리 순서를 기억하고 있는 ROM이다. 33은 CPU(33)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RAM이며, 34는 각종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군이다. 35는 액정 표시기로서, 촬상한 화상을 확인하거나 각종 설정을 행할 때의 메뉴를 표시하거나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36은 광학 유닛으로서, 주로 렌즈 및 그 구동계로 구성된다. 37은 CCD 소자 로서, 38은 CPU(31)의 제어하에 있어서 광학 유닛(36)을 제어하는 드라이버이다. 39는 기억매체 40(콤팩트플래시(등록상표), 메모리 카드(등록상표), 스마트미디어(등록상표) 등 )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41은 퍼스널 컴퓨터 혹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PD 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USB의 슬레이브측)이다.
이상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PD 프린터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 예의 설명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근거해,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의 형태>
도 5는,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3012)와 PD 프린터(1000)를 USB 케이블로 접속했을 때의, PD 프린터(1000)의 처리 순서의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텝 S501에서 PD 프린터(1000)가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오프 상태에서 처리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전원 오프라고 하는 상태는 크게 나누어 2종류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하드 전원 오프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이 정지하고 있으며, CPU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개시 이외의 조작(예를 들면, 전원 키의 누름 이외의 조작)에 대해서 응답할 수 없다.
또 하나는, 소프트 전원 오프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이 적지만 계속하고 있고, CPU가 동작을 계속해 소프트웨어가 실행중이므로 외부로부터의 조작(예를 들면 전원 키의 누름)에 응답해 전원 온 동작이 실행 가능하다. 다만, 통상의 통전 상태와는 달리, 전력 절약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어느 쪽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오프 상태라고 보이는 것은 같다. 본 명세서 중의 설명에 있어서, 전원 오프는 후자의 소프트 전원 오프를 가리킨다. 최초로 스텝 S502에서 전원 오프 표시 상태, 즉 동작 상황 표시부(1006)가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오프를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LED가 소등하고 있는 상태일 것이다.
다음에, 스텝 S503에서 전원 키가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결과, 전원 키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506로 진행되고,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4로 진행된다. 스텝 S504에서는, USB 케이블이 삽입되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의 결과, USB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503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USB 케이블이 삽입된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진행된다.
스텝 S505에서는, USB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301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근거하는 네고시에이션 처리가 성공했는지 어떤지가 체크된다. 이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생략하지만, USB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기기가 디지털 카메라에 있는지 아닌지, 및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스텝 S505의 체크의 결과, 네고시에이션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스텝 S503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또, 네고시에이션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스텝 S506로 진행된다.
스텝 S506에서는 CPU가 전원 온 표시 상태로 변경하고, 동작 상황 표시 부(1006)는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온을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LED가 점등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계속되는 스텝 S507의 프린트 엔진 초기화 처리와의 조합으로 초기화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는 LED가 점멸하도록 해도 된다. 어쨌든 전원 오프 상태와 비교해 유저로부터 봐서 분명하게 PD 프린터(1000)의 상태가 변화한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LED를 이용해도 좋고, 그 밖에는 부저 음에 의한 통지, 캐리지를 주사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동작음)에 의한 통지 등, 그 실현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S507에서 프린트 엔진 초기화를 개시하고, 초기화가 완료한 것에 응답해서, 외부 기기에 대해서 소정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기기는 프린터가 프린트 준비를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508로 진행된다. 스텝 S508 이후는 통상의 PD 프린터(1000)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스텝 S504에서 USB 케이블이 삽입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무조건 전원 온으로 하지 않고, 스텝 S505에서 체크를 행하는 이유는, 가령 마우스나 스피커 등의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비대응의 기기가 USB 케이블로 PD 프린터(1000)와 접속된 경우에, PD 프린터(1000)의 프린트 엔진 초기화를 행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프린트 엔진 초기화시에는 전회 인쇄시부터의 경과시간 등의 조건에 의해서는 인쇄 품위의 확보를 위해 잉크의 자동 흡인이나 예비 토출 등을 행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비대응의 기기와의 접속에 대해서 잉크를 쓸데없이 소비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 프린터 헤드의 청소, 잉크의 흡인, 잉크의 예비 토출, 예열 상태로의 이행, 에러 체크, 잉크 양의 체크 등의, 프린터의 프린트 전의 준비 등도 적당하게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PD 프린터(1000)에서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 USB 케이블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대해서 네고시에이션을 행하고, 네고시에이션에 성공함으로써 전원 온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의 유저의 조작 순서를 1개 생략해 보다 간편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상태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프린트 설정 화면(90)은, USB 케이블로 프린터에 접속되고, 소정의 통신이 개시되면 이 화면으로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의 스텝 S505에서 네고시에이션이 성공함으로써 표시되는 화면이고, 화상의 선택이나 트리밍 지정 등, 각종의 프린트 설정을 할 수가 있다.
프린트 설정 화면(90)에 있어서의 좌측 아래의 프린트 버튼(91)은, 프린트의 실행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다만, 이 스텝 S505의 단계에서는, 프린트 실행 버튼(91)은 그레이 아웃(또는 비표시 상태로 해도 된다)해, 프린트 실행 지시를 할 수 없게 하고 있다. 또한, 92는 프린트 매수 설정 버튼, 93은 트리밍 버튼, 94는 캔슬 버튼이다.
그리고, 스텝 S507를 거쳐, 프린터의 초기화가 종료한 것을 디지털 카메라가 인식하면, 프린트 실행 버튼(91)을 명료하게 표시하도록 표시를 변경함과 동시에, 유저에 의해 프린트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린터의 준비가 갖추어졌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트 준비가 갖추어진 후에만 프린트 지시를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트 지시 후에, 프린터의 준비를 위해서 유저가 과잉으로 기다리게 된다고 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원 온 상태로의 변경을 판별한 단계에서, 전원 표시의 상태를 변경하고(S506), 그 후에 프린터의 준비 동작(S507)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텝 S505에서 통신 확립 후에 프린터의 준비(초기화 동작)를 행하고, 이것이 종료했던 것에 응답해, 전원 온 상태로의 표시 변경을 해도 된다. 그리고, 전원 온 상태로의 표시 변경을 판별하면, 디지털 카메라 측에 어떠한 정보의 정보를 전달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이 정보에 근거해, 프린트 설정 화면(90)으로 이행하거나, 프린트 설정 화면(90)의 프린트 실행 버튼(91)을 유효하게 하거나 하는 등,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프린터의 전원 표시가 온으로 됨으로써, 동시에 프린트 가능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의 형태>
도 6은,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3012)와 PD 프린터(1000)를 USB 케이블로 접속했을 때의, PD 프린터(1000)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먼저, 스텝 S601에서 PD 프린터(1000)가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오프 상태에서 처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최초로 스텝 S602에서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다음 에, 스텝 S603에서 전원 키가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만약 전원 키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스텝 S607로 진행되고, 스텝 S607에서 전원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해 후술하는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스텝 S603의 확인 결과, 전원 키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04로 진행된다. 스텝 S604에서는, USB 케이블이 삽입되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USB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03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USB 케이블이 삽입된 경우에는 스텝 S605로 진행된다.
스텝 S605에서는, USB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3012)와의 사이에서 네고시에이션 처리가 성공했는지 어떤지가 체크된다. 네고시에이션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스텝 S603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네고시에이션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스텝 S606로 진행되고, 스텝 S607에서 전원 플래그를 1로 세트하고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스텝 S608에서는, 전원 온 표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스텝 S609에서 프린트 엔진 초기화를 개시하고, 초기화가 완료하면 스텝 S610로 진행된다. 스텝 S610에서는 프린트 엔진이 프린트 처리를 한다. 이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생략하지만,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기능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611에서는, 전원 키가 눌러졌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전원 키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후술의 스텝 S614로 진행된다. 또, 스텝 S611의 확인 결과, 전원 키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2로 진행된다. 스텝 S612에서는, USB 케이블이 뽑아졌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USB 케이블이 뽑아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0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또, USB 케이블이 뽑아졌을 경우에는 스텝 S613로 진행된다. 스텝 S613에서는 전원 플래그가 「1」로 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전원 플래그가 「1」이 아닌 경우에는, 이것은 스텝 S603→S607→S608의 경로로 전원이 온 되었던, 즉 전원 키 누름에 의한 전원 온이었던 것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텝 S610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또, 전원 플래그가 「1」이었을 경우에는, 이것은 스텝 S604→S605→S606→S608의 경로로 전원이 온 되었던, 즉 USB 케이블 삽입에 의한 전원 온이었던 것이 되므로, 스텝 S614로 진행된다.
스텝 S614에서는 전원 오프 상태, 즉 동작 상황 표시부(1006)가 유저로부터 봐서 전원 오프를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LED가 소등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계속되는 스텝 S615의 프린트 엔진 종료 처리와의 조합으로 종료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는 LED가 점멸하는 경우 등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전원 온 상태와 비교해 유저로부터 봐서 분명하게 PD 프린터(1000)의 상태가 변화했던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LED를 이용해도 좋고, 그 밖에 부저 음에 의한 통지, 캐리지를 주사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통지 등, 그 실현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S615에서 프린트 엔진 종료 처리를 개시하고,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스텝 S616로 진행된다. 스텝 S616 이후는 통상의 PD 프린터(1000)와 같으므로 생략하고, 본 실시의 형태는 스텝 S616에서 종료한다.
또한, 스텝 S612에서 USB 케이블이 뽑아졌을 경우에 무조건 전원 오프로 하지 않고, 스텝 S613에서 체크를 하는 이유는, 스텝 S603에서의 전원 키의 누름에 의해 전원 온 했다고 하는 사실로부터, USB 케이블이 뽑아진 후에도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작업이 발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스텝 S614에서 USB 케이블이 삽입됨으로써 전원 온 했을 경우에는, USB 케이블이 뽑아진 후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작업이 발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전원 오프라고 해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PD 프린터(1000)에서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 USB 케이블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대해서 네고시에이션을 행하고, 네고시에이션에 성공함으로써 전원 온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 USB 케이블이 뽑아진 것에 의해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의 유저의 2개의 조작순서를 안전하게 생략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의 형태>
도 7은,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3012)와 PD 프린터(1000)를 USB 케이블로 접속했을 때의, PD 프린터(1000)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701~S716는, 도 6의 플로차트의 스텝 S601~S616에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처리는 스텝 S710로부터 스텝 S711로 직행하지 않고, 스텝 S717로 진행된다고 하는 1점을 제외하고 같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텝 S717 및 스텝 S718의 양 스텝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스텝 S701로부터 처리를 개시한 PD 프린터(1000)는 S710에서 프린트 엔진의 프린트 처리를 하고 나서, 스텝 S717로 진행된다. 스텝 S717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지시가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인쇄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718로 진행되고, 전원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해, 후술의 스텝 S711로 진행된다.
또, 스텝 S717의 확인의 결과, 인쇄 지시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11로 진행되고, 이후 PD 프린터(1000)의 처리는 스텝 S711로부터 S716까지 진행되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18에서 전원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스텝 S717에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지시가 있다고 하는 사실로부터, USB 케이블이 뽑아진 후에도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작업이 발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전원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장래 USB 케이블이 뽑아져도, 스텝 S713의 판정에 의해 스텝 S710으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하므로, USB 케이블이 뽑아지는 것에 의한 전원 오프 상태로의 이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스텝 S717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지시가 있는지 어떤지의 확인 행위의 본래의 목적은, USB 케이블이 뽑아진 후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인쇄 작업이 발행될 가능성이 높은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그 실제적인 확 인수단으로서는, 스텝 S717에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실제로 인쇄 작업이 발행됨으로써 확인해도 되고, USB 호스트 측에서의 디바이스 인식(Enumeration)이 행해짐으로써 확인해도, 또 다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PD 프린터(1000)에서 전원 온 상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지시가 있는 경우에, 실제의 전원 온 상태로의 이행 방법에 따르지 않고, 전원 버튼의 누름에 의한 전원 온 상태로의 이행이었다고 동등하게 간주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 프린트시에의 폐해를 저감하면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의 유저의 2개의 조작 순서를 안전하게 생략해, 보다 간편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4 실시의 형태>
도 8은,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3012)와 PD 프린터(1000)를 USB 케이블로 접속했을 때의, PD 프린터(1000)의 처리 순서의 플로차트이다.
스텝 S801~S808는, 도 5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스텝 S501~S508에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처리는 스텝 S805에서 판정이 No인 경우에 스텝 S802로 직행하지 않고, 스텝 S809로 진행된다고 하는 1점을 제외하고 같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텝 S809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스텝 S801로부터 처리를 개시한 PD 프린터(1000)는, 스텝 S805에서 네고시에이션에 실패한 경우에 스텝 S809로 진행된다. 스텝 S809에서는 Error 표시 상태, 즉 동작 상황 표시부(1006)가 유저로부터 봐서 Error를 나타내는 상태가 된 다.
일반적으로는, 전원 온, 오프를 나타내는 LED와는 다른 색의 LED가 점멸하고 있는 상태일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USB 접속된 기기가 만일 마우스나 스피커 등의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비대응하고 있지 않은 기기인 경우에, 유저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스텝 S802로 진행되고, 다시 전원 오프 상태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이후, PD 프린터(1000)의 처리는 스텝 S802로부터 스텝 S808까지 진행되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09에서 Error 표시를 행하는 이유는, 다이렉트 포토 프린트가 실시할 수 없는 취지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 오프·온 상태와 비교해 유저로부터 봐서 분명하게 PD 프린터(1000)의 상태가 다른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다른 색의 LED를 이용해도 되고, 또 같은 색의 LED의 점멸 패턴을 변경해도 된다.
그 밖에 부저 음에 의한 통지, 캐리지를 주사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통지 등, 그 실현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 Error 표시 후의 처리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즉시 스텝 S802로 진행되어도 되고, USB 케이블이 뽑아질 때까지 Error 표시를 유지해도 되며, 그 실시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PD 프린터(1000)에서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 USB 케이블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대해서 네고시에이션을 행하고, 네고시에이션에 성공함으로써 전원 온 상태로 이행하며, 한편 네고시에이션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Error 표시를 하는 것으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처리를 할 때의 유저의 조작 순서를 1개 생략해 보다 간편하고 확실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전원 온 상태란,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와 다른 표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즉,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모든 표시부가 소등하고 있다. 거기에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부적으로 통신 기능을 맡은 부분은 통전 상태로 둔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출력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 혹은 화상 출력 기기와의 통신이 확립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을 때와 같이 모든 표시부를 소등 상태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 등의 화상 출력 기기가 접속되면, 화상 출력 기기와 프린터가 통신을 개시하는 것에 응답해, 통상의 통전 상태와 같은 표시 상태로 한다. 물론, 통상의 통전 상태와 같게 할 필요는 없고, 통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하는 것도, 충분히 통신이 확립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일부러 전원 투입 동작을 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해 온 제1 ~ 제4 실시의 형태를 각각 조합해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제2 및 제3 실시의 형태에서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이외에 PD 프린터(1000)에 대해서 전달되는 지시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지시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반드시 엄밀하게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지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대상으로 하고 있는 포토 다이렉트 프린트 이외에 의해 발행된 지시를 의미한다.
더욱, 실시의 형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와 PD 프린터를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USB 인터페이스 및 USB 케이블을 예로 해 설명했지만, 접속 수단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수단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무선(blue tooth(등록상표)나 무선 LAN)이어도 상관없다. 디지털 카메라의 상당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그 하드웨어 자원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감안했을 경우, USB 접속이 바람직하고, 디지털 카메라 메이커의 부담도 적다.
또,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린터 장치가 USB 호스트, 디지털 카메라가 USB 슬레이브로서 설명했다. 상기와 같이, 요즈음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당수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해서 USB 슬레이브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고 하는 상황, 프린터 메이커 수보다도 디지털 카메라 메이커의 수가 많은 점, 더욱, 호스트역이 되는 장치가 전원의 걱정이 적은 점에 대해 고찰한 경우, 프린터측이 호스트역을 담당하는 편이, 각 메이커에 있어 부담이 적고,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각 메이커에 있어서도 메리트가 충분히 있으며, 나아가서는 최종 사용자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
전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종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각종 디바이스와 접속된 장치 혹은 시스템 내의 컴퓨터에 대해, 상기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CPU 혹은 MPU)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각종 디바이스를 동작시킴으로써 실시한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 자체, 및 그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격납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컴퓨터가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의 실시의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있어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혹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 등과 공동해서 전술의 실시의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포함된다.
게다가,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의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격납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없이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가 분명하게, 넓은 범위에 생각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은 상기의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권의 주장
본원은 2004년 6월 8일 제출한 일본국특허출원 특원 2004-170225를 기초로 해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기재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채용한다.

Claims (18)

  1.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트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 변경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수단의 표시의 변경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USB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이, Bluetooth, 무선 LAN, 유선 LAN 통신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의 변경이 행해진 후,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의 다이렉트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전원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기기와 통신하는 제2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기기와 통신한 경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의 다이렉트 통신이 중단되었을 경우,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제1 표시를 행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기기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제1 표시와는 다른 제2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카메라 통신 개시 후, 프린트를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갖고,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해, 표시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프린트를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판별된 경우에, 프린터의 프린트를 위한 준비를 개시하는 프린트 준비 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프린트 준비 개시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준비란, 프린터 헤드의 청소, 잉크의 흡인, 잉크의 예비 토출, 예열 상태로의 이행, 에러 체크, 잉크 양의 체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11.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터 제어방법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공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동작상태를 상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공정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신공정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했을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 변경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제어방법.
  12.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프린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는 통신공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하는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과,
    상기 프린트 장치의 동작상태를 상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상태 표시공정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신공정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인식공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인식했을 경우에는,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청구항 12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외부 기기로서 소정의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변화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출력장치를 인식했을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표시의 변경을 하는 것을 판별했을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프린트부와,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기를 인식한 후에 상기 프린트부의 프린트를 위한 준비를 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프린트부의 프린트를 위한 준비의 완료에 따라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외부 기기로서 소정의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라 표시상태가 변화하는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상태 표시수단이 전원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기를 인식했을 경우에, 상기 상태 표시수단에 의한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표시의 변경을 하는 것을 판별했을 경우에,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소정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 출력장치로 서,
    화상 출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 표시수단과,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했던 것에 따라, 상기 출력 화면 표시수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변경수단은, 프린트 지시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변경수단은, 프린트 지시 화면의 프린트 실행을 위한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장치.
KR1020077000091A 2004-06-08 2005-06-07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 KR100826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0225A JP4533005B2 (ja) 2004-06-08 2004-06-08 プリント装置及びプリンタ制御方法
JPJP-P-2004-00170225 2004-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14A true KR20070028514A (ko) 2007-03-12
KR100826265B1 KR100826265B1 (ko) 2008-04-29

Family

ID=3550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91A KR100826265B1 (ko) 2004-06-08 2005-06-07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6358B2 (ko)
EP (1) EP1757461A4 (ko)
JP (1) JP4533005B2 (ko)
KR (1) KR100826265B1 (ko)
CN (1) CN100558561C (ko)
WO (1) WO2005120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771B2 (ja)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3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接続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2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43501B2 (ja) * 2003-08-22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と、当該画像供給装置と記録装置とを含む記録システムとその通信制御方法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KR100791117B1 (ko) * 2006-11-09 2008-01-02 주식회사 서비전자 알 에프 통신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PL2488918T3 (pl) * 2009-10-14 2018-11-30 Xyleco, Inc. Znakowanie produktów papierowych
JP5586932B2 (ja) * 2009-12-11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87055B2 (ja) 2010-06-24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2529423A (zh) * 2010-12-07 2012-07-04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
JP2012139257A (ja) * 2010-12-28 2012-07-26 Fujifilm Corp 撮影制御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2147387A (ja) * 2011-01-14 2012-08-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JP5712942B2 (ja) * 2012-01-30 2015-05-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
JP5930777B2 (ja) 2012-03-05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572196B2 (en) * 2016-08-01 2020-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onnection printing
US20200133359A1 (en) * 2018-10-26 2020-04-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68190B2 (en) * 2019-07-31 2024-01-09 Sharp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89254B (en) 1983-03-25 1986-06-30 Boros,Gyoergy,Hu Prefabricated plate members of tool body particularly for tools of closed hollow
SG74611A1 (en) * 1997-02-14 2000-08-22 Canon Kk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47390B1 (ko) * 1997-04-14 2000-03-15 윤종용 Usb장치를이용하는디스플레이장치의dpms기능구현방법
KR100297775B1 (ko) * 1998-06-13 2001-10-26 윤종용 전자기기의최초사용일자동저장방법
US6163817A (en) * 1998-06-30 2000-12-19 U.S. Philips Corporation Dynamically disabling and enabling of devices in consumer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JP2000190599A (ja) * 1998-12-28 2000-07-11 Casio Comput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231458A (ja) * 1999-02-10 2000-08-22 Seiko Epson Corp 複合デバイス装置、複合デバイスシステム、複合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複合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7038714B1 (en) * 2000-05-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a digital printer that uses a digital camera image display
JP2001337752A (ja) * 2000-05-24 2001-12-07 Seiko Epson Corp ホスト装置の周辺デバイス
US6603937B2 (en) 2000-07-18 2003-08-05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027578B2 (ja) * 2000-07-18 2007-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表示装置
JP2002178610A (ja) * 2000-12-14 2002-06-26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の制御装置
JP4652586B2 (ja) * 2001-02-08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
JP3833128B2 (ja) * 2001-03-19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電源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1276065A3 (en) * 2001-07-12 2004-01-14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cost calculation system and coloring material supply management system
JP2003076650A (ja) 2001-09-05 2003-03-14 Sharp Corp 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制御システム
CN1241106C (zh) * 2001-10-09 2006-02-08 佳能株式会社 打印装置及其控制方法
JP3534099B2 (ja) * 2001-10-12 2004-06-07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印刷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リンタ
JP2003251833A (ja) * 2002-03-06 2003-09-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記録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制御方法
JP3907520B2 (ja) 2002-05-14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メモリのアップデート方法と記録装置
JP4208640B2 (ja) * 2002-06-04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4009390A (ja) 2002-06-04 2004-01-15 Canon Inc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3809403B2 (ja) * 2002-07-16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外部処理装置、撮像装置の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外部処理装置の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JP4136817B2 (ja) 2002-08-05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プリンタ
US7460170B2 (en) * 2002-09-23 2008-12-02 Hand Held Products, Inc. Computer expansion module having image capture and decoding functionality
JP2004114464A (ja) * 2002-09-25 2004-04-15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4120601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及びプリンタ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4127188A (ja) 2002-10-07 2004-04-22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4130561A (ja) * 2002-10-08 2004-04-3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KR100476767B1 (ko) * 2002-10-22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카드 및 인터페이스카드가 장착 가능한 프린터 및그 제어방법
JP4143501B2 (ja) 2003-08-22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と、当該画像供給装置と記録装置とを含む記録システムとその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33005B2 (ja) 2010-08-25
EP1757461A4 (en) 2009-03-25
JP2005349598A (ja) 2005-12-22
KR100826265B1 (ko) 2008-04-29
CN1972807A (zh) 2007-05-30
CN100558561C (zh) 2009-11-11
US20070097428A1 (en) 2007-05-03
EP1757461A1 (en) 2007-02-28
WO2005120845A1 (ja) 2005-12-22
US7876358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265B1 (ko) 프린트 장치 및 프린터 제어방법
RU2289842C2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и система печати
US742462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in printing apparatus
US7852503B2 (en) Digital camera and printer
KR20030094512A (ko) 촬상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KR100688376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및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55282B1 (ko) 기록 장치,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497941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606465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US20060050311A1 (en) Image-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2007276352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70610A (ja) プリンタ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
JP3652364B2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209170A (ja) 中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印刷システム
JP2006168079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方法、画像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0324362Y1 (ko) 즉석 인화 자동판매기
KR20050016497A (ko)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인쇄 시스템
JP2003246120A (ja) 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記録システム
JP4366379B2 (ja) 画像供給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5086637A (ja) 撮像装置
JP3840252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3840258B1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86270A (ja) 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20070011846A (ko)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시스템
JP2006021529A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