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545A -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545A
KR20070026545A KR1020067025086A KR20067025086A KR20070026545A KR 20070026545 A KR20070026545 A KR 20070026545A KR 1020067025086 A KR1020067025086 A KR 1020067025086A KR 20067025086 A KR20067025086 A KR 20067025086A KR 20070026545 A KR20070026545 A KR 20070026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unit
wall surface
opening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오루 이치카와
고 고
가즈히로 우메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07002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13Applying closures
    • B31B70/8131Making bags having interengaging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 백으로부터 원하는 양만큼 내용물을 쏟아낼 때에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포장 백을 제공한다.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등은, 백 본체(2)에, 별도 개체로서 이루어지는 주출 유닛(3)을 접속시켜서 포장 백(1)을 형성한다. 이 주출 유닛(3)을, 서로 대향하는 벽면부(11)와, 이것들 벽면부(11)의 내면에 설치된 파스너(13)로 구성하고,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상기 주출 유닛(3)은, 상기 파스너(13)를 경계로 해서 한쪽 측의 단부를 백 본체부(2)에 접속시키는 접속 개구부(15)로 하고, 다른 쪽 측의 단부를 포장 백의 끝 가장자리로서 구성되는 폐쇄부(16)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벽면부(11)에, 상기 폐쇄부(16)와 상기 파스너(13)와의 사이에, 상기 주출 유닛(3)이 분리되도록 양쪽으로 갈라지는 개봉부(2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PACKAGING BAG WITH FASTE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출부(注出部)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파스너(fastener)를 설치한 파스너 부착 포장 백(bag)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포장 백 중에는 주출부에 파스너를 설치한 것이 있다. 파스너를 부착한 포장 백에 의하면, 주출부를 일단(一旦) 개봉한 후에 다시 주출부를 밀폐할 수 있고, 그 후도, 파스너의 개폐를 통해서 이 포장 백의 주출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를 구비한 포장 백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의 선행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파스너를 구비한 포장 백 중에는, 내용물을 쏟아내기 쉽도록,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장 백의 상부 귀퉁이를 주출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포장 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포장 백에서는, 상부 귀퉁이를 비스듬히 개봉하여, 주출부를 형성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포장 백에서는, 개봉된 주출부를 재밀봉할 수 있도록, 파스너를 개봉되는 주출부로부터 내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 파스너는, 웅형(雄型) 파스너와 자형(雌型) 파스너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부(基部)가 포장 백의 내면에 붙여져서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2-28419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포장 백에서는, 개봉 후에, 내용물을 쏟아낼 때에 주출부를 개구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서, 의식적으로 주출부를 원하는 크기로 개구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것 때문에, 내용물을 적정량만큼 쏟아내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파스너를 포장 백의 귀퉁이에 부착할 때에는, 파스너를 위치가 어긋나게 하는 일 없이 부착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비용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주출부의 개구 상태를 지극히 용이하게 유지해 둘 수 있으며,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품질의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을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부착 개구부가 형성된 백 본체부와, 이 백 본체부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백 본체부의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부로서 기능하는 주출(注出)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출 유닛은, 서로 대향하는 면의 끝 가장자리끼리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면부와, 이것들 벽면부의 한쪽 내면에 설치된 웅형 파스너 및 다른 쪽 내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자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주출 유닛은,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해서 한쪽 측의 단부(端部)가 백 본체부의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이고, 다른 쪽 측의 단부가 포장 백의 끝 가장자리로서 구성되는 폐쇄부이며, 상기 벽면부에는, 상기 폐쇄부와 상기 파스너와의 사이에, 이것들 폐쇄부 측과 파스너 측에 상기 주출 유닛이 분리되도록 양쪽으로 갈라지는 개봉부가 설치된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에 관하여, 상기 벽면부끼리 연결된 부분은 벽면부가 절곡되어서 구성된 단부 절선부(折線部)인 한편으로, 상기 각각의 벽면부에는, 각각에 설치된 상기 웅형 파스너 및 상기 자형 파스너와 함께 절곡되는 중앙 절선부가, 상기 파스너가 연장하는 방향의 중앙부에 이 파스너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벽면부는, 각각의 중앙 절선부에서 절곡되어서, 이것들 중앙 절선부가 반대 방향에 돌출되도록 해서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은, 상기 단부 절선부 및 상기 중앙 절선부가 4각뿔의 능선이 되도록, 상기 폐쇄부를 향해서 앞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에 있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 및 상기 자형 파스너는, 이것들의 축 방향의 양단(兩端)으로부터 중심 측이, 상기 폐쇄부 측 또는 상기 접속 개구부 측의 어느 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중앙 절선부의 위치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파스너 부착 포장 백에 관하여, 상기 개봉부는, 상기 주출 유닛의 양(兩) 측부(側部)끼리를 연결하도록 직선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출 유닛의 측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개봉부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이 주출 유닛의 측부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저하시켜서 이루어지는 양쪽으로 가르는 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에 관해서, 상기 주출 유닛에, 이 주출 유닛이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될 때에 이 주출 유닛을 일정한 자세로 유지시켜 두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 구멍을, 상기 개봉부와 상기 폐쇄부와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을 제조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조 방법을 채용하였다.
즉, 내용물이 수용되는 백 본체부를 형성하는 백 본체부 형성 공정과,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하게 해,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부로서 기능할 주출 유닛을 형성하는 주출 유닛 형성 공정과, 상기 백 본체부에 상기 주출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백 본체부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주출 유닛이 접속되는 부착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면의 끝 가장자리끼리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면부와, 이것들 벽면부의 한쪽 내면에 설치된 웅형 파스너 및 다른 쪽 내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자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해서, 한쪽 측의 단부가 백 본체부의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가 되고, 다른 쪽 측의 단부가 포장 백의 끝 가장자리로서 구성되는 폐쇄부가 되도록 성형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는,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4각추(角錐)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cavity)로서, 이 캐비티의 공간 중,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한쪽 공간의 쌍(雙)에는 상기 웅형 파스너를 형성시키는 부분을, 이웃이 되는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 공간의 쌍에는 상기 자형 파스너를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금형에, 수지 재료를 사출하는 사출 공정을 구비하여, 이 캐비티를 구성하는 4개의 능선 중, 한쪽의 상기 공간의 쌍과 다른 쪽의 상기 공간의 쌍과의 경계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능선이, 상기 주출 유닛에 있어서의 벽면부끼리를 연결하여, 이 벽면부를 접어서 개기 가능하게 하는 단부 절선부로서 구성하는 한편으로, 각각의 공간의 쌍에 있어서의 이웃이 되는 공간끼리의 경계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능선이, 상기 벽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절선부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캐비티에, 상기 웅형 파스너 및 상기 자형 파스너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4각뿔의 정상부와의 사이에, 상기 주출 유닛을 상기 파스너부와 상기 폐쇄부로 분리하기 위한 개봉부를 형성하는 부위를 설치함으로써, 이 개봉부를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의 상기 개봉부와 상기 폐쇄부와의 사이에 유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 공정에서는, 상기 주출 유닛을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에 공급하는 파츠 피더(parts feeder)를 삽입하여, 상기 주출 유닛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파스너 부착 포장 백으로부터 내용물을 쏟아낼 때에, 개봉 부분의 형상을 개구시킨 채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쏟아낼 때에, 주출 유닛의 벽면부가 주출을 방해한다고 하는 부적합이 없고, 원하는 양을 지극히 용이하게 쏟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파스너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종전대로, 내용물의 잔류 부분을 확실하게 보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하는 스탠딩 파우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주출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주출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주출 유닛에 파츠 피더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구멍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웅형 파스너와 자형 파스너가 걸어 맞추어진 파스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웅형 파스너와 자형 파스너가 분리된 파스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파스너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한 파스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금형의 종단면도.
도 9는 금형의 횡단면도.
도 10은 파스너 형성부의 확대도.
도 11은 파츠 피더가 삽입된 주출 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탠딩 파우치의 사용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개봉부를 개봉하여, 내용물을 스탠딩 파우치로부터 쏟아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한 주출 유닛의 평면도.
도 15는 도 1과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한 스탠딩 파우치의 일부 결손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스탠딩 파우치(파스너 부착 포장 백)
2, 102: 백 본체부 3, 70, 102: 주출 유닛
9, 111: 부착 개구부 11, 71, 121: 벽면부
13, 13A, 73, 123: 파스너 14, 74, 124: 굴곡부
15, 76, 125: 접속 개구부 16, 75, 126: 폐쇄부
17, 77, 127: 단부 절선부 18, 78, 128: 중앙 절선부
20, 79, 130: 개봉부 21, 81, 132: 삽입 구멍(유지 구멍)
25, 30: 웅형 파스너 26, 31: 걸어 맞춤 클로(claw)
27, 35: 자형 파스너 28, 36: 걸어 맞춤 벽
40: 금형 43: 캐비티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파스너 부착 포장 백으로서의 스탠딩 파우치(1)의 정면도이다. 이 스탠딩 파우치(1)는, 백 본체부(2)와, 이 백 본체부(2)에 접속되어서,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 유닛(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 본체부(2)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2a)와, 저부(底部)를 폐쇄하는 저면부(底面部)(4)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2a)는, 이것들의 옆 가장자리(6)끼리가 서로 가열 밀봉되어, 통(筒)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면부(4)는 V자로 접어 개어져, 그 중심에 형성된 절선(折線)(5)이 상기 스탠딩 파우치(1)의 위쪽을 향하고 있다. 또한, 1쌍의 평면부(2a)의 하단(下端) 가장자리(7)와, 저면부(4)의 주변(8)이 가열 밀봉되어, 저부(底部)를 벌렸을 때에 거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백 본체부(2)는, 다음과 같은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ON#15/DL/L-LDPE#50∼100
0N#25/DL/CPP#50∼100
PET#12/인쇄/DL/ON#15/DL/L-LDPE#50∼100
PET#12/인쇄/DL/ON#15/DL/CPP#50∼100
PET#12/인쇄/DL/AL6∼12μ/DL/ON#15/DL/L-LDPE#50∼100
PET#12/인쇄/DL/ON#15/DL/AL6∼12μ/DL/CPP#50∼100
또한, 여기서 이용되고 있는 각각의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ON: 2축 연신 나일론
DL: 드라이 라미네이트
L-LDPE: 직쇄상(直鎖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PET: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C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또한, 「#」은 ㎛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5」는 15㎛의 의미이다.
한편, 주출 유닛(3)은, 백 본체부(2)의 상부에 있어서, 그 귀퉁이부에 형성된 부착 개구부(9)에 접속되어 있다. 백 본체부(2)의 위 가장자리(10)는, 대향하는 평면부(2a)끼리가 가열 밀봉되어서 밀폐되어 있지만, 상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귀퉁이부에는, 주출 유닛(3)이 부착되는 부착 개구부(9)가 형성된다. 주출 유닛(3)은, 이 부착 개구부(9)에 접속되어서 백 본체부(2)에 가열 밀봉해서 부착된다.
도 2∼도 7은, 주출 유닛(3)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유닛(3)은, 외관이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딩 파우치(1)의 주면(周面)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벽면부(11)와, 이 벽면부(11)의 내면에 설치된 파스너(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출 유닛(3)은, 후에 그 상세를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해 벽면부(11) 및 파스너(13)를 포함해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벽면부(11)는,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 측이 폐쇄된 폐쇄부(16)이며, 맨 아래 측이 개구되어, 백 본체부(2)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15)로서 구성된다. 또한, 피라미드 형상의 4면은, 이웃이 되는 2면으로 이루어지는 면(12)의 쌍이 2개 구성되도록 접어서 개기 가능하게 된다. 접어서 개어졌을 때에 양 옆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부분은, 한쪽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능선을 이루는 단부 절선부(17)이다. 이 단부 절선부(17)의 외측에는, 주출 유닛(3)의 외측을 향해서 길게 나오는 밀봉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접어서 개어졌을 때에 중앙의 부분은, 다른 쪽의 대각선에 위치되는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절선부(18)이다. 이 중앙 절선부(18)는, 벽면부(11)의 내면을 움푹 들어가게 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후에 그 상세를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구시키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부(11)의 접속 개구부(15) 측은, 단부 절선부(17) 측으로부터, 중앙 절선부(18) 측을 향함에 따라, 약간 앞이 가늘어지게 되도록 백 본체부(2) 측에 돌출하고 있다.
한편, 벽면부(11)의 내면에는, 밀봉부(19)를 경계로 해서 한쪽 면의 쌍에 파스너(13)의 웅형 파스너(25)가 설치되고, 다른 쪽 면의 쌍에 자형 파스너(27)가 설치되어 있다.
웅형 파스너(25) 및 자형 파스너(27)는, 이것들의 축 방향의 중심이, 면의 쌍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절선부(18)와 일치한다. 이것들 웅형 파스너(25) 및 자형 파스너(27)는, 벽면부(11)의 저부의 끝 가장자리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들 축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 측이 접속 개구부(15) 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중심부에 굴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출 유닛(3)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를 이루는 폐쇄부(16)와 파스너(13) 사이의 위치에, 정상부 측이 이 주출 유닛(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양쪽으로 갈라서 개봉시키는, 개봉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봉부(20)는, 중앙 절선부(18)와 직교를 이루어, 주출 유닛(3)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단부 절선부(17)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부(19)에는, 개봉부(20)와 동일 선 상을 이루는 위치에 노치(24)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양쪽으로 가르는 개시부로서, 노치(24)를 설치한 것을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봉부와 동일 직선상의 위치에 대해서, 살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미세한 구멍의 집합체로서 이루어지는, 소위 조면부(粗面部)를 설치해도 좋다.
각각의 벽면부(11)에는, 개봉부(20)로부터 더욱 폐쇄부(16) 측의 위치에 파츠 피더(6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21)은, 주출 유닛(3)을 백 본체부(2)에 접속하는 공정에 있어서, 공급 로봇의 암(arm)으로 집게 할 때에, 주출 유닛(3)을 소정의 방향에 유지시켜 두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위이다. 이것 때문에, 삽입 구멍(21)은, 방향성을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2개 또는 3개를 형성하면 좋다. 단, 삽입 구멍(21)을 1개만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삽입 구멍(21)의 형상으로서는, 일반적인 4각형 또는 능형(菱形)으로 형성하면 좋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22)를 원호 형상으로 하는 한편으로, 하 부(23)를 아래쪽을 향해서 예각으로 앞이 가늘게 형성하면 상하 좌우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웅형 파스너(25)와 자형 파스너(27)의 횡단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양자(兩者)가 걸어 맞추어진 상태를, 도 6은 양자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웅형 파스너(25)는, 벽면부(11)와 직교하도록 벽면부(11)의 내면에서 돌출하는, 단면 형상이 구형(矩形)인 1쌍의 걸어 맞춤 클로(26)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걸어 맞춤 클로(26)는, 그 전장(全長)에 걸쳐 양자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자형 파스너(27)는, 벽면부(11)와 직교하도록 벽면부(11)의 내면에서 돌출하도록 해서 단면 형상이 구형인 1쌍의 걸어 맞춤 벽(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걸어 맞춤 벽(28)은, 그 전장에 걸쳐 양자에, 웅형 파스너(25)를 구성하는 걸어 맞춤 클로(26)의 외면 사이의 치수에 대응하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파스너(1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웅형 파스너(25)의 걸어 맞춤 클로(26)가 자형 파스너(27)의 걸어 맞춤 벽(28)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웅형 파스너(25)와 자형 파스너(27)가 걸어 맞추어져, 개봉부(20)를 절제(切除)해서 개봉한 후에도, 재밀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파스너는,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웅형 파스너(30)는, 1조(條)의 걸어 맞춤 클로(31)가 벽면부(11)의 내면에서 돌출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걸어 맞춤 클로(31)는, 그 근원(根元)(32)이 벽면부(11)와 직교 하는 평탄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先端)(33)은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자형 파스너(35)는, 대향하는 1쌍의 걸어 맞춤 벽(36)이 벽면부의 내면에서 돌출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자형 파스너(35)를 구성하는 걸어 맞춤 벽(36)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쪽 걸어 맞춤 벽(3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이, 일부를 노치한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파스너(13A)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웅형 파스너(30)를 구성하는 걸어 맞춤 클로(31)의 선단(33)이 자형 파스너(35)를 구성하는 걸어 맞춤 벽(36)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양자가 걸어 맞추어진다.
이와 같은 주출 유닛(3)은, 일반적인 수지(樹脂)를 사용해서 사출 성형해도 좋지만, 소위 형상 기억 수지를 이용하면 좋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형상 기억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 주출 유닛(3)의 개봉부(20)를 개구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형상 기억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폴리노르보르넨, 트랜스 폴리이소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주출 유닛(3)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금형(40)의 일례(一例)를 도 8∼도 10에 나타낸다.
금형(40)에는, 외측의 부위(41)와 내측의 부위(42)로 구성되며, 양자 간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얇은 공간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캐비티(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캐비티(43)의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사변(斜邊) 부분(44, 45)은, 단부 절선부(17)를 형성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한편, 중앙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중앙선(46)이 중앙 절선부(18)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상하의 사변 부분(44, 45)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길게 나오는 부위는 주출 유닛의 밀봉부(19)를 형성하는 밀봉부 형성부(49)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캐비티(43)의 정상부를 이루는 부분은, 수지의 주입구(47)이며, 맨 아래 측은, 주출 유닛(3)의 접속 개구부(15)의 형성 부위이다. 이 맨 아래 측은, 상하에 위치하는 사변 부분(44, 45)의 단부로부터 중앙선(46)을 연결하는 선(48)은, 중심 측이 앞이 가늘어지게 되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또한, 한쪽 면(12)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부(11)를 형성하는 공간(50)에는, 웅형 파스너(25)를 형성하는 웅형 파스너 형성부(51)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으로, 다른 쪽 면(12)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부(11)를 형성하는 공간(52)에는, 자형 파스너(27)를 형성하는 자형 파스너 형성부(53)가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이것들 웅형 파스너 형성부(51) 및 자형 파스너 형성부(53)는, 접속 개구부(15)를 형성하기 위한 맨 아래 측의 선(48)과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중심 측이 상하 끝보다도 맨 아래 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이 く자로 굴곡하고 있다(도 8 참조).
또한, 웅형 파스너 형성부(51) 및 자형 파스너 형성부(53)의 상세한 것은 도 10에 나타내는 대로다.
웅형 파스너 형성부(51)는, 금형(40)을 구성하는 내측의 부위(42)에, 단면 형상이 구(矩)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공간 부분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구 형상의 공간 부분은, 웅형 파스너(25)의 걸어 맞춤 클로(26)를 형성하게 하는 걸어 맞춤 클로 형성부(55)이다. 걸어 맞춤 클로 형성부(55)는, 도 10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벽면부(11)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50)과 일체를 이루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형(40)의 내측 부위(42)에 있어서, 그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 측에는, 자형 파스너 형성부(53)가 구성되어 있다. 자형 파스너 형성부(5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구 형상의 공간 부분이 2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공간 부분은, 걸어 맞춤 벽(28)을 형성하기 위한 걸어 맞춤 클로 형성부(56)이다. 이 걸어 맞춤 클로 형성부(56)도 벽면부(11)를 형성하는 공간(5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형(40)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주출 유닛(3)은 그 벽면부(11)와 파스너(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스탠딩 파우치(1)는, 다음의 공정을 경유해서 제조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백 본체부(2)는, 평면부(2a)와, V자 형상의 저면부(4)가 사용된다. 저면부(4)는, 그 절선(折線)이 스탠딩 파우치(1)의 위쪽을 향하게 해서 2장의 평면부(2a)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측부에 대해서는, 평면부(2a)의 옆 가장자리(6)끼리가 가열 밀봉되고, 하부에 대해서는, 평면부(2a)의 하단 가장자리(7) 및 옆 가장자리(6)의 하부와, 저면부(4)의 주변(8)이 서로 가열 밀봉된다. 그 후, 백 본체부(2)의 상부에서는 한쪽의 귀퉁이부가 절제되어, 부착 개구부(9)가 형성된다. 단, 부착 개구부(9)는, 미리 평면부(2a)에 형성해 두어도 상관없다.
한편, 주출 유닛(3)은, 상술한 금형(40)을 사용해서 사출 성형한다. 사출 성 형은, 금형(40)에 형성된 피라미드 형상의 캐비티(43)의 정상부 측으로부터 수지가 주입됨으로써 실행된다.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상의 주출 유닛(3)이 형성된다. 그 후, 주출 유닛(3)의 개봉부(20)와 폐쇄부(16) 사이의 위치에, 파츠 피더(6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21)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백 본체부(2) 및 주출 유닛(3)이 함께 형성되면, 주출 유닛(3)이 백 본체부(2)에 접속된다. 이 때, 상술한 파츠 피더(60)가 사용되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유닛(3)을 소정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백 본체부(2)와의 접속 스테이션(나타내지 않음)까지 반송된다. 이렇게, 파츠 피더(60)는, 주출 유닛(3)을 일정한 자세로 유지해 두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파츠 피더(60)에 의해 반송된 주출 유닛(3)은, 로봇 암(나타내지 않음)에 실리는 등으로 해서, 주출 유닛(3)의 접속 개구부(15)가 백 본체부(2)의 부착 개구부(9)와 일치된다.
이어서, 접속 개구부(15)와 부착 개구부(9)가 붙여 합쳐져, 주출 유닛(3)이 백 본체부(2)에 접속된다. 이 때, 주출 유닛(3)에 형성된 밀봉부(19)는, 백 본체부(2)의 옆 가장자리(6)와 위 가장자리(10)에 일치된다. 또한, 이 공정에서는, 백 본체부(2)의 옆 가장자리(6)와, 주출 유닛(3)의 밀봉부(19) 중, 백 본체부(2)의 옆 가장자리(6)와 일치된 밀봉부(19)만이 서로 밀봉된다. 그리고, 밀봉되지 않고 개구되어 있던 백 본체부(2)의 상부로부터 내용물이 충전되고, 그 후에, 위 가장자리(10)가 가열 밀봉된다.
이 공정에서는, 주출 유닛(3)의 밀봉부(19) 중, 백 본체부(2)의 위 가장자리(10)와 일치되어 있는 밀봉부(19)가 백 본체부(2)의 위 가장자리(10)와 함께 가열 밀봉되어서 양자가 완전히 접속된다.
그 후, 주출 유닛(3)의 밀봉부(19)에 있어서, 개봉부(20)와 동축(同軸) 상의 위치에 개봉용의 노치(24)가 형성되어서 스탠딩 파우치(1)가 완성된다.
이상의 백 본체부(2) 및 주출 유닛(3)으로 구성되는 스탠딩 파우치(1)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된다. 또한, 이 스탠딩 파우치는, 액상(液狀) 및 과립상(顆粒狀)의 어느 쪽의 내용물을 취급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액상의 내용물로서는, 샴푸, 린스, 액체 세제, 식용유, 또는 업무용 조미료 등을 그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한편, 과립상의 내용물로서는 애완용 동물 먹이, 업무용 조미료를 들 수 있다.
도 12는, 스탠딩 파우치(1)에 내용물을 충전해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이 밀봉 상태에 있어서, 주출 유닛(3)의 개봉부(20)를 양쪽으로 가름으로써 개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개봉부(20)는 주출 유닛(3)에 있어서의 폐쇄부(16)와 파스너(1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양쪽으로 가르면, 주출 유닛(3)의 폐쇄부(16)는 주출 유닛(3)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3은, 개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개봉부(20)를 크게 개구하기 위해서는, 화살표와 같이, 개봉부(20)의 위치에 있어서, 스탠딩 파우치(1)의 위 가장자리(10)와 옆 가장자리(6)를 밀어 놓는다. 이것에 의해, 주출 유닛(3)의 벽면부(11)에 형성된 중앙 절선부(18)가 서로 분리되게 되어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다. 그 결과, 개봉부(20)는 능형으로 개구된다.
이 주출 유닛(3)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벽면부(11)는 높은 강성(剛性)을 갖는 한편으로, 단부 절선부(17) 및 중앙 절선부(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부(11)는 중앙 절선부(18)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절곡(折曲)된다. 추가해서, 중앙 절선부(18)의 위치에서는 파스너(13)를 구성하는 웅형 파스너(25) 및 자형 파스너(27)의 어느 하나에도 절선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굴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대향하고 있는 이것들 웅형 파스너(25) 및 자형 파스너(27)가 서로 분리되기 쉽다. 이것 때문에, 능형으로 개구된 개봉부(20)는, 그 개구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내용물을 쏟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쏟아내게 할 경우에 최적인 것을 의미한다.
내용물을 쏟아내게 한 후는, 웅형 파스너(25)의 걸어 맞춤 클로(26)와 자형 파스너(27)의 걸어 맞춤 벽(28)을 걸어 맞추게 해서 개봉부(20)를 밀폐시킨다.
또한, 이 스탠딩 파우치에서는, 액상 및 과립상의 내용물 이외에, 크림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경우에도 적합하다. 예를 들면, 데커레이션 케이크의 표면에 도포되는 크림을 수용할 경우이다. 이 경우, 개봉부(20)를 적당한 크기나 형상으로 설치하면, 이 스탠딩 파우치 자체를 그대로 크림 주출기(注出器)로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상, 파스너를 설치할 때에, 그 굴곡부가 단부 절선부 측에서 피라미드 형상의 맨 아래를 이루는 접속 개구부 측에 위치하는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를 이루는 폐쇄부(75) 측에 위치하도 록 설치해도 좋다. 이 도 14에 나타내는 주출 유닛(70)도, 외관이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딩 파우치의 주변 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벽면부(71)와, 이 벽면부(71)의 내면에 설치된 파스너(73)로 구성되어,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 측이 폐쇄된 폐쇄부(75)이며, 맨 아래 측이 개구되어, 백 본체부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76)로 구성된다. 또한, 접어서 개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련한 주출 유닛(3)과 마찬가지이다. 접어졌을 때에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부분은, 한쪽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능선을 이루는 단부 절선부(77)이다. 그리고, 이 단부 절선부(77)의 외측에는, 주출 유닛(70)의 외측을 향해서 길게 나오는 밀봉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접어졌을 때에 중앙의 부분은, 다른 쪽의 대각선에 위치되는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절선부(78)이다. 이 중앙 절선부(78)는, 벽면부(71)의 내면을 움푹 들어가게 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후에 그 상세를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구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파스너(73)는, 웅형 파스너 및 자형 파스너로 구성되고, 이것들의 축 방향의 중심이, 면의 쌍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절선부(78)와 일치되어 있다. 파스너(73)는, 이것들 축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 측이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를 이루는 폐쇄부(75) 측에 위치되어, 중심부에 굴곡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파스너(73)의 중심을 폐쇄부(75) 측에 돌출하도록 형성시키면, 내용물을 쏟아낼 때에, 이 파스너(73)가 물뿌리개로서 기능하여, 입자 직경이 작은 분말체 등을 원활하게 내용물을 쏟아내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73)로부터 폐쇄부(75) 측에는 개봉부(7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봉부와 폐쇄부(75)와의 사이에는 파츠 피더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81)이 형성된다.
이상, 스탠딩 파우치의 상부에 있어서의 귀퉁이부에 주출 유닛을 설치한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유닛을 스탠딩 파우치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설치해도 좋다.
이 스탠딩 파우치(100)는, 백 본체부(101)와, 이 백 본체부(101)에 접속되어서,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 유닛(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 본체부(101)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103)와, 저부를 폐쇄하는 저면부(104)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103)는, 이것들의 옆 가장지리끼리가 서로 가열 밀봉되어,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백 본체부(101)의 상부는 그 양 귀퉁이부(109)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위 가장자리(110)와 옆 가장자리(106)가 연락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의 중앙에 백 본체부(101)의 아래쪽을 향해서 V자로 노치된 부착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면부(104)는 V자로 접어져, 그 중심에 형성된 절선(105)이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의 위쪽을 향하고 있다. 또한, 1쌍의 평면부(103)의 하단 가장자리(107)와, 저면부(104)의 주변(108)이 가열 밀봉되어, 저부를 벌렸을 때에 거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스탠딩 파우치(100)를 구성하는 필름 재료로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적층 필름을 사용하면 좋다.
한편, 주출 유닛(102)은, 백 본체부(10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백 본체부(101)의 상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주출 유닛(102) 자체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스탠딩 파우치(100)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외관이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탠딩 파우치(100)의 평면부(103)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벽면부(121)와, 이 벽면부(121)의 내면에 설치된 파스너(1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주출 유닛(102)도 사출 성형에 의해 벽면부(121) 및 파스너(123)를 포함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벽면부(121)는, 피라미드 형상의 정상부 측이 폐쇄된 폐쇄부(126)로서, 맨 아래 측이 개구되어, 백 본체부(101)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125)로서 구성된다. 또한, 이웃이 되는 2면으로 이루어지는 면(122)의 쌍이 2개 구성되는 바와 같이 접어서 개기 가능하게 된다. 접어졌을 때에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부분이, 한쪽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능선을 이루는 단부 절선부(127)이다. 이 부분에는, 외측을 향해서 길게 나오는 밀봉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접어졌을 때에 중앙의 부분은, 다른 쪽의 대각선에 위치되는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절선부(128)이다. 이 중앙 절선부(128)도, 벽면부(121)의 내면을 움푹 들어가게 하도록 해서 형성된다. 또한, 백 본체부(101)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125)는, 단부 절선부(127)로부터, 중앙 절선부(128) 측을 향하도록 연결되어, 약간 앞이 가늘어지게 되도록 백 본체부(101) 측에 돌출하고 있다.
한편, 벽면부(121)의 내면에는, 단부 절선부(127)를 경계로 해서 한쪽 면(122)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부(121)에는, 파스너(123)의 웅형 파스너가 설치 되고, 다른 쪽 면(122)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부(121)에는 자형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다. 웅형 파스너 및 자형 파스너는, 이것들의 축 방향의 중심이, 면의 쌍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절선부(128)와 일치한다. 이것들 웅형 파스너 및 자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는, 벽면부(121)의 접속 개구부(125)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축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 측이 접속 개구부(125) 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중심부에 굴곡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 웅형 파스너(123) 및 자형 파스너(123)는, 구체적으로는 도 5∼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이 주출 유닛(102)에는, 폐쇄부(126)와 파스너(123) 사이의 위치에, 정상부 측이 주출 유닛(10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절제 가능한 개봉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봉부(130)는, 중앙 절선부(128)와 직교를 이루어, 주출 유닛(102)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단부 절선부(127)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부(129)에는, 개봉부(130)와 동일한 선상(線上)을 이루는 위치에 노치(131)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개봉부(130)와 폐쇄부(126)와의 사이에는 파츠 피더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파스너의 중심을 폐쇄부 측을 향해서 굴곡시켜도 상관없다.

Claims (10)

  1. 부착 개구부가 형성된 백(bag) 본체부와, 이 백 본체부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백 본체부의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부(注出部)로서 기능하는 주출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출 유닛은, 서로 대향하는 면의 끝 가장자리끼리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면부와, 이것들 벽면부의 한쪽 내면에 설치된 웅형(雄型) 파스너(fastener) 및 다른 쪽 내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자형(雌型)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주출 유닛은,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해서 한쪽 측의 단부가 백 본체부의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이고, 다른 쪽 측의 단부가 포장 백의 끝 가장자리로서 구성되는 폐쇄부이며,
    상기 벽면부에는, 상기 폐쇄부와 상기 파스너 사이에, 이것들 폐쇄부 측과 파스너 측에 상기 주출 유닛이 분리되도록 양쪽으로 갈라지는 개봉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끼리 연결된 부분은 벽면부가 절곡(折曲)되어서 구성된 단부 절선부(折線部)인 한편으로,
    상기 각각의 벽면부에는, 각각 설치된 상기 웅형 파스너 또는 상기 자형 파 스너와 함께 절곡되는 중앙 절선부가, 상기 파스너가 연장하는 방향의 중앙부에 이 파스너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벽면부는, 각각의 중앙 절선부에서 절곡되어서, 이것들 중앙 절선부가 반대 방향에 돌출되도록 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은, 상기 단부 절선부 및 상기 중앙 절선부가 4각뿔의 능선이 되도록, 상기 폐쇄부를 향해서 앞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 및 상기 자형 파스너는, 이것들의 축 방향의 양단(兩端)으로부터 중심 측이, 상기 폐쇄부 측 또는 상기 접속 개구부 측의 어느 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중앙 절선부의 위치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주출 유닛의 양(兩) 측부끼리를 연결하도록 직선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주출 유닛의 측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개봉부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여, 이 주출 유닛의 측부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저하시켜서 이루어지는 양쪽으로 가르는 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에는, 이 주출 유닛이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될 때에, 이 주출 유닛을 일정한 자세로 유지시켜 두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 구멍이, 상기 개봉부와 상기 폐쇄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
  7. 내용물이 수용되는 백 본체부를 형성하는 백 본체부 형성 공정과,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하게 해, 내용물을 쏟아내는 주출부로서 기능할 주출 유닛을 형성하는 주출 유닛 형성 공정과,
    상기 백 본체부에 상기 주출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백 본체부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주출 유닛이 접속되는 부착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주출 유닛을, 서로 대향하는 면의 끝 가장자리끼리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면부와, 이것들 벽면부의 한쪽 내면에 설치된 웅형 파스너 및 다른 쪽 내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웅형 파스너에 대하여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자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해서, 한쪽 측의 단부가 백 본체부의 상기 부착 개구부에 접속되는 접속 개구부가 되고, 다른 쪽 측의 단부가 포장 백의 끝 가장자리로서 구성되는 폐쇄부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는,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4각추(角錐)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cavity)로서, 이 캐비티의 공간 중, 서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한쪽 공간의 쌍에는 상기 웅형 파스너를 형성시키는 부분을, 이웃이 되는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 공간의 쌍에는 상기 자형 파스너를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금형에, 수지 재료를 사출하는 사출 공정을 구비하고,
    이 캐비티를 구성하는 4개의 능선 중, 한쪽의 상기 공간의 쌍과 다른 쪽의 상기 공간의 쌍과의 경계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능선이, 상기 주출 유닛에 있어서의 벽면부끼리를 연결하여, 이 벽면부를 접어서 개기 가능하게 하는 단부 절선부로서 구성하는 한편으로, 각각의 공간의 쌍에 있어서의 이웃이 되는 공간끼리의 경계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능선이, 상기 벽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절선부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캐비티에, 상기 웅형 파스너 및 상기 자형 파스너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캐비티의 정상부와의 사이에, 상기 주출 유닛을 상기 파스너부와 상기 폐쇄부로 분리하기 위한 개봉부를 형성하는 부위를 설치함으로써, 이 개봉부를 상기 주출 유닛 형성 공정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유닛의 상기 개봉부와 상기 폐쇄부와의 사이에 유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 공정에서는, 상기 주출 유닛을 상기 백 본체부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에 공급하는 파츠 피더를 삽입하여, 상기 주출 유닛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부착 포장 백의 제조 방법.
KR1020067025086A 2004-06-10 2005-05-31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26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2922 2004-06-10
JP2004172922A JP4603824B2 (ja) 2004-06-10 2004-06-10 ファスナ付き包装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545A true KR20070026545A (ko) 2007-03-08

Family

ID=3550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086A KR20070026545A (ko) 2004-06-10 2005-05-31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44115A1 (ko)
EP (1) EP1754667A4 (ko)
JP (1) JP4603824B2 (ko)
KR (1) KR20070026545A (ko)
CN (1) CN1964898A (ko)
AU (1) AU2005252058A1 (ko)
TW (1) TW200610709A (ko)
WO (1) WO2005120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1794B2 (en) * 2003-04-15 2005-12-06 Innoflex Incorporated Package having reclosable pour spou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5123844B2 (ja) * 2006-03-20 2013-01-23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包装袋
JP5113559B2 (ja) * 2008-03-04 2013-01-09 株式会社細川洋行 袋体
JP5225775B2 (ja) * 2008-07-25 2013-07-03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ガセット袋
JP5690483B2 (ja) * 2009-12-08 2015-03-25 株式会社細川洋行 再開封可能包装袋
JP6103598B2 (ja) * 2010-11-11 2017-03-29 エコリーン アクチエボラグEcolean AB 再封止可能な開封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開封装置を含む包装材料
PT2969812T (pt) * 2013-03-15 2018-04-03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Sistema de fecho resistente a crianças incluindo uma disposição de cobertura para um saco passível de voltar a ser fechado e métodos
RU2680432C2 (ru) * 2014-06-19 2019-02-21 Тетра Лаваль Холдингз Энд Файнэн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име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PL3219641T3 (pl) * 2016-03-16 2019-05-31 Ecolean Ab Urządzenie otwierające do wielokrotnego zamykania i opakowanie zawierające takie urządzenie otwierające
CN111114989B (zh) * 2016-11-07 2022-04-05 东洋制罐株式会社 带有流出口的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9716A (en) * 1942-01-15 1945-02-20 Du Pont Bag closure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US4027819A (en) * 1976-03-29 1977-06-07 Herrera Gutierrez Jesus Closure device for bags or similar containers
US4332344A (en) * 1980-02-08 1982-06-01 Strodthoff Glenn G Resealable package
JP2000153859A (ja) * 1998-11-24 2000-06-06 Shigeo Kai 密閉スパウト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1232980A1 (en) * 2000-01-31 2001-08-07 Cryovac, Inc. Reclosable pouch
JP4351403B2 (ja) * 2001-07-23 2009-10-28 株式会社細川洋行 ジッパ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3902070B2 (ja) * 2002-05-29 2007-04-0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スパウト付き袋状容器の製造方法及びスパウト付き袋状容器の製造装置並びにスパウト供給装置
ATE348364T1 (de) * 2004-07-24 2007-01-15 Siemens Vdo Automotive Ag Verfahren zur registrierung von billetten und elektronisches bille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52058A1 (en) 2005-12-22
JP2005350104A (ja) 2005-12-22
EP1754667A4 (en) 2009-08-05
WO2005120969A1 (ja) 2005-12-22
TW200610709A (en) 2006-04-01
JP4603824B2 (ja) 2010-12-22
EP1754667A1 (en) 2007-02-21
CN1964898A (zh) 2007-05-16
US20080044115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545A (ko) 파스너 부착 포장 백 및 그 제조 방법
EP1739025B1 (en) Pouch and method of producing pouch container with spout
US20180148225A1 (en) Gusset style pouch, in particular for food product
KR101318714B1 (ko)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PL201847B1 (pl) Pojemnik składany z urządzeniem wylewowym, do wkładania jeden w drugi
WO1995030590A1 (en) Refill pouch for containers
EP3085255A1 (en) Pouch for tobacco with an improved zipper closure
JP5811840B2 (ja) カートン
JP2019156474A (ja) 容器包装体及び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
KR100751014B1 (ko) 모서리 개봉형 개량 지퍼용기
JP6111653B2 (ja) 包装袋
JP3740859B2 (ja) 注出用口部材付パウチ
JP5690483B2 (ja) 再開封可能包装袋
JP4807230B2 (ja) 二段階再封可能なカートン
JPH0811862A (ja) 筒状組み立てケース
CN210000741U (zh) 一款包装纸盒
JP4792380B2 (ja) 折り畳み可能な包装用容器
JP3687355B2 (ja) 開口維持部材付パウチ
JP4807525B2 (ja) 折り畳み可能な包装用容器
JP3115179U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外箱及び該外箱を使用する液体容器
JP2008013230A (ja) 包装箱
JPH0320310Y2 (ko)
KR200247090Y1 (ko) 두개의 용기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카톤
JP3030306U (ja) 食品包装用袋
JP2002255161A (ja) 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