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714B1 -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 Google Patents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714B1
KR101318714B1 KR1020087019103A KR20087019103A KR101318714B1 KR 101318714 B1 KR101318714 B1 KR 101318714B1 KR 1020087019103 A KR1020087019103 A KR 1020087019103A KR 20087019103 A KR20087019103 A KR 20087019103A KR 101318714 B1 KR101318714 B1 KR 10131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ckaging bag
male
ba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368A (ko
Inventor
도루 이치카와
쓰토무 하라
가즈히로 우메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08010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 백의 파스너의 걸림 및 분리를 원활하게 행하면서, 또한 원하는 양만큼 내용물을 주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을 위하여, 대향하는 평면부(2a)의 내면에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각각 장착되고, 양측이 걸림 및 분리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파스너(20)를 구비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1)에 대하여, 각 평면부(2a)의 외면에, 파스너(20)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 또는 그 근방에,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노브(40)를 설치한다. 또한, 파스너를 그 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하고, 많이 돌출되는 한쪽을 포장 백의 내측을 향해 장착한다.

Description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PACKAGING BAG WITH FASTENER}
본 발명은, 주출용(注出用) 개구부를 다시 폐쇄하는 파스너를 설치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허 출원인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대하여,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는 주출 유닛을 백 본체부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고, 주출 유닛을 백 본체부에 형성된 장착 개구부에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허 문헌 1에서 이미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은, 주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벽면부의 내면에 파스너를 설치한 것이다.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이 개발됨으로써, 지금까지 포장 백에서는 곤란했던, 포장 백의 주출구를 개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 점에 큰 의의가 있다.
한편, 파스너를 포장 백에 설치하고, 포장 백을 재밀봉 가능하게 구성한 포장 백에서, 파스너의 걸림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확실하게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지도록 한 발명이 지금까지도 몇 개 정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숫형 파스너의 선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숫형 파스너의 표면이나, 암형 파스너의 홈 내부에, 포장 백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부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부착된 내용물이 숫형 파스너의 선단에 형성된 홈 내부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파스너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걸림 및 분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35010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5-144077호 공보
본 발명의 특허 출원인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하여, 특허 문헌 1에 의해 발명을 개시한 후에도, 이 포장 백에 대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추구해 왔다. 그 결과, 파스너에 의해 밀폐된 주출구를 어떻게 하면, 지금까지 이상으로 파스너를 용이하게 해제하여 개구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파스너를 해제하여 주출구를 개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을 제공한다.
나아가서는, 파스너의 걸림 및 분리를 지금까지 이상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또한 파스너를 확실하게 걸어맞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포장 백에 관하여, 이들 평면부의 내면에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각각 장착되어서, 이들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림 및 분리되어, 개봉된 포장 백의 개구부를 개폐하게 하는 파스너를 구비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서, 상기 평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 또는 그 근방에,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노브(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을 채용한다.
이와 같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는, 백 본체부와, 이 백 본체부에 용착되어 상기 백 본체부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 유닛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출 유닛을,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벽면부, 이들 벽면부의 내면에 의해 상호 대향되어 설치된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및 각 벽면부의 외면에 설치된 상기 노브를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성형하고, 이 주출 유닛이,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하여 일측이 주출 유닛의 안팎을 차단하도록 폐쇄된 폐쇄단으로서, 타측이 개방된 개방단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벽면부에, 상기 폐쇄단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이들 폐쇄단 측과 파스너 측에 상기 주출 유닛이 분리되도록 찢어지는 개봉선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백 본체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백 본체부의 각 평면부에 삽입 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주출 유닛이, 그 폐쇄단이 백 본체부의 외측을 향하고, 상기 개방단이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 향하고,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노브가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평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주출 유닛의 주위둘레가 백 본체부의 주위둘레와 일치되고, 중첩된 상기 주출 유닛의 주위둘레와 상기 백 본체부의 주위둘레가 밀봉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형 파스너는, 베이스재 부와, 이 베이스재 부의 일면 측에 설치된 삽입 홈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타면 측에 설치된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는, 베이스재 부와 이 베이스재 부의 일면 측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 홈부에 대하여 걸림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타면 측에 설치된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백 본체부의 모서리부에는, 각 평면부에 각각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는, 이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각 노브가, 각 평면부 내로부터 밖으로 삽입되어 평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각 베이스재 부가 각각의 평면부의 내면에 밀봉되어 구성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숫형 파스너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기간부(基幹部)와, 이 기간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간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암형 파스너에 걸림 및 분리되는 걸어맞춤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기간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이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고, 타측이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고, 상기 암형 파스너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대좌부(臺座部)와, 이 대좌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홈벽 사이에 숫형 파스너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림 및 분리되는 걸어맞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윤곽의 일측에 대응하는 한쪽의 홈벽의 내면은, 상기 대좌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깊게 파이고, 타측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홈벽의 내면은, 상기 대좌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얕게 파여서,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의 일측이 이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내측에, 타측이 외측을 향해져 장착되도록 파스너를 구성하였다.
이 경우에, 상기 숫형 파스너에서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기 일측의 윤곽은, 상기 기간부와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의 선단부에 걸쳐서 원호형으로 팽창한 원호부에 의해 구성되면서, 또한 이 원호부와 상기 기간부와의 경계부에는, 이들 경계부에 의해 기간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피계지부(被係止部)(걸어맞추어짐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윤곽은, 상기 기간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산형(山形)으로 팽창한 산형부와, 이 산형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의 선단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 파스너에서의 상기 홈벽의 상호의 간격은, 이들 선단측이 폭이 넓어지고, 상기 한쪽의 홈벽은, 상기 대좌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와, 이 원호부의 선단으로부터 이 암형 파스너의 중심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고, 상기 피계지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1 걸어맞춤 클릭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의 홈벽은, 밑부분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이 경사부의 선단으로부터 이 암형 파스너의 중심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하고, 상기 산형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 클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서, 상기 숫형 파스너의 선단부에는, 홈부가 이 숫형 파스너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와 상기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숫형 파스너의 선단부와, 상기 암형 파스너에 형성되어 상기 숫형 파스너를 걸어맞춤시키는 걸어맞춤홈의 홈바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파스너에 의해 봉쇄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대하여, 노브를 잡아서 파스너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특히, 개봉선을 찢은 후에 형성되는 주출구가 작은 포장 백에서는, 지금까지는, 파스너의 해제가 곤란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노브를 설치하여 파스너의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출구가 작은 것이라 하더라도, 파스너의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하여, 개봉선을 찢어서 형성되는 주출구의 크기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효과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졌을 때, 이들의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한 파스너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심선을 경계로, 일측과 타측에서는,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와의 걸어맞춤력에 차이가 생긴다.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일측에서는 걸어맞춤력이 크고, 타측에서는 작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서는, 파스너의 장착 상태의 관계 상, 파스너를 해제하는 경우, 파스너의 외측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파스너에는 모멘트가 걸린다. 이와 같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관하여, 포장 백의 걸어맞춤력이 큰 일측을 포장 백의 내측을 향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파스너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서는, 파스너는 통상의 포장 백에 비해 경질이다. 그러므로, 분말 상태의 내용물이 파스너에 부착되면, 파스너의 걸림 및 분리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숫형 파스너의 선단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을 이 홈의 내부에 수용하게 하여, 내용물이 걸림 및 분리의 장해가 되지 않게 함으로써 원활한 걸림 및 분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띠른 스탠딩 파우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주출 유닛을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주출 유닛을 그 저부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주출 유닛이 접혀져서 벽면부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진 파스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분리된 파스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파스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주출 유닛을 필름재에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주출 유닛을 필름재에 히트 실링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주출 유닛이 필름재에 히트 실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개봉선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스탠딩 파우치로부터 주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개봉된 개구부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개구부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스탠딩 파우치로부터 내용물이 주출되는 스탠딩 파우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출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주출 유닛의 개구부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주출 유닛과 백 본체부와의 접속 구조가 다른 태양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주출 유닛이 백 본체부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장착되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주출 유닛의 근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주출 유닛을 필름재에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파스너를 필름재에 히트 실링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파스너가 히트 실링되어 상 둘레부가 개방된 상태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선단에 두꺼운 부분가 설치된 노브의 일례를 나타낸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밑부분에 슬릿이 형성된 노브의 일례를 나타낸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사용되는 숫형 파스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사용되는 암형 파스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28은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진 파스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2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진 파스너의 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80: 스탠딩 파우치(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100: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2, 101: 백 본체부
3, 3A: 주출 유닛
70: 접속 개구부
10: 벽면부
11a, 11b: 측 둘레
12: 저부
13, 18: 시일재
14, 108: 절결부
15, 107: 개봉선
16: 중앙 절곡선
20, 30, 110: 파스너
21, 31, 120: 숫형 파스너
25, 35, 130: 암형 파스너
40, 41: 노브
124, 134: 노브
51, 141: 삽입 구멍
150, 155: 노브
153, 159: 두꺼운 부분
160: 숫형 파스너
161: 기간부
164: 원호부
165: 피계지부
167: 산형부
168: 경사면부
169: 홈부
170: 암형 파스너
171: 대좌부
l72, 175: 홈벽
173: 원호부
174: 제1 걸어맞춤 클릭
176: 경사부
177: 제2 걸어맞춤 클릭
179: 걸어맞춤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으로서의 스탠딩 파우치(1)의 정면도이다. 이 스탠딩 파우치(1)는, 백 본체부(2)와, 이 백 본체부(2)에 용착되어서, 내용물을 주출(注出)하는 주출 유닛(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 본체부(2)는, 대향하는 한쌍의 평면부(2a)와, 저부를 폐쇄하는 저면부(4)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2a)는, 이들 측 둘레(6)끼리가 서로 히트 실링되고, 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면부(4)는 V자로 접히고, 그 중심에 형성된 절곡선(5)이 상기 스탠딩 파우치(1)의 위쪽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평면부(2a)의 하단 둘레(7)와, 저면부(4)의 주위둘레(8)가 히트 실링되고, 저부를 펼쳤을 때 거의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백 본체부(2)는, 다음과 같은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ON#15/DL/L-LDPE#50∼100
ON#25/DL/CPP#50∼100
PET#12/인쇄/DL/ON#15/DL/L-LDPE#50∼100
PET#12/인쇄/DL/ON#15/DL/CPP#50∼100
PET#12/인쇄/DL/AL6∼12μ/DL/ON#15/DL/L-LDPE#50∼100
PET#12/인쇄/DL/ON#15/DL/AL6∼12μ/DL/CPP#50∼100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고 있은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ON: 2축 연신(延伸) 나일론
DL: 드라이 라미네이트
L-LDPE: 직쇄형(直鎖型) 저밀도 폴리에틸렌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C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또한, 「#」은 ㎛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15」는 15㎛의 의미이다.
한편, 주출 유닛(3)은, 백 본체부(2)의 상부에서, 그 코너부에 장착된다. 주출 유닛(3)은, 한쌍의 대향하는 벽면부(10)를 가지고, 그 내면에 파스너(20)가 설치되고, 외면에 각각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주출 유닛(3)의 각 벽면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둘레를 이루는 네 변 중, 측 둘레(11)로서 구성된 두 변이 길게 형성되고, 저부(12)로서 구성된 두 변이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벽면부(10)가 중첩된 상태로, 긴 측 둘레(11)가 스탠딩 파우치(1)의 외측으로 향해져서 백 본체부(2)의 주위둘레와 일치되고, 짧은 저부(12)가 스탠딩 파우치(1)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코너부에 장착된 주출 유닛(3)은, 각 벽면부(10)가 측 둘레(11)에 의해 밀봉되어 폐쇄되어 있는 한편, 내측을 향하는 저부(12)에서는, 벽면 부(10)끼리 분리되어 개방되고, 백 본체부(2)의 내부와 주출 유닛(3)의 내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도 2∼도 4는 주출 유닛(3)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주출 유닛(3)의 전개도이며, 도 4는 각 벽면부(10)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주출 유닛(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전개된 상태로, 사출 성형에 의해, 벽면부(10), 파스너(20), 시일재(13, 18) 및 노브(40)가, 일 부재로서 성형된다.
4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각 벽면부(10)는, 긴 측 둘레(11a, 11b)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고, 이들 측 둘레(11a, 11b) 중, 한쪽 측 둘레(11b)가 각 벽면부(10)의 측 둘레부와 중첩하도록, 측 둘레(11b)의 위치에서 벽면부(10)가 연결되고, 다른쪽 측 둘레(11a)끼리는, 일직선을 이루면서, 또한 측 둘레(11b)와 직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양단을 이루는 측 둘레(11a)에는 각 벽면부(10)의 끝주위를 따라 일정 폭을 이루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시일재(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벽면부(10)를 연결하고 있는, 중앙의 측 둘레(11b)에서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일정 폭의 시일재(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벽면부(10)에는, 측 둘레(11a, 11b)의 교점을 이루는 주출 유닛(3)의 정상부(19)와, 저부(12)의 교점을 연결하는 각 벽면부(10)의 중앙선을 이루는 부위에, 이들 벽면부(10)를 절곡하기 위한 중앙 절곡선(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벽면부(10)의 내면에는 숫형 파스너(21)가 설치되고, 다른 쪽 벽면부(10)의 내면에는 암형 파스너(25)가 설치된다. 이들 숫형 파스너(21) 및 암 형 파스너(25)는, 각 벽면부(10)의 중심에 의해 굴곡되어 있고, 각 벽면부(10)의 저부(12)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저부(12)와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파스너(2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이들 도 5 및 도 6은 숫형 파스너(21)와 암형 파스너(25)의 횡 단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양 측이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도 6은 양 측이 분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숫형 파스너(21)는, 벽면부(10)와 직교하도록 벽면부(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걸어맞춤 클릭(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클릭(23)은,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클릭(23)의 밑부분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외면에 홈부(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파스너(25)는, 벽면부(10)와 직교하도록 벽면부(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걸어맞춤벽(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벽(27)도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 걸어맞춤벽(27)끼리의 간격은, 이들 걸어맞춤벽(27)의 내측에, 숫형 파스너(21)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걸어맞춤 클릭(23)의 외면 사이의 치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벽(27)의 선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클릭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클릭부(28)는, 숫형 파스너(21)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 클릭(23)의 밑부분에 형성된 홈부(24)에 대하여 걸림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파스너(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파스너(21)의 걸어맞춤 클릭(23)이 암형 파스너(25)의 걸어맞춤벽(27) 사이에 삽입되면, 걸어맞춤 클릭(23) 의 밑부분에 형성된 홈부(24)에 걸어맞춤벽(27)의 선단에 형성된 클릭부(28)가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파스너는, 도 7에 나타낸 형태의 파스너(30)를 사용해도 된다. 숫형 파스너(31)는, 하나의 걸어맞춤 돌기(33)가 벽면부(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33)는, 그 밑부분(32)이 벽면부(10)과 직교하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선단(34)은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파스너(35)는, 대향하는 한쌍의 걸어맞춤벽(36)이 벽면부(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암형 파스너(35)를 구성하는 걸어맞춤벽(36)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걸어맞춤벽(36) 사이에 형성된 공간 부분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 파스너(3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파스너(31)를 구성하는 걸어맞춤 돌기(33)의 선단(34)이 암형 파스너의 걸어맞춤벽(36)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서 양측이 걸어맞추어진다.
한편, 각 벽면부(10)의 외면에는, 노브(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2∼도 4 참조). 이 노브(40)는, 중앙 절곡선(16)의 측방의 바로 근처에서,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노브(40)는, 중앙 절곡선(16)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중앙 절곡선(16)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출 유닛(3)에는, 측 둘레(11a, 11b)끼리의 교점을 이루는 정상부(19)와, 파스너(20) 사이의 영역에 정상부(19) 측을 주출 유닛(3)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찢어서 개봉시키는, 개봉선(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봉선(15)은, 중앙 절곡선(16)과 직교하고 있고, 각 벽면부(10)의 측 둘레(11a, 11b)끼리를 연결하 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 둘레(11a)의 시일재(13)에는, 개봉선(15)의 단부가 되는 위치에 절결부(14)가 형성되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찢기 개시부로서 절결부(14)를 설치한 것을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봉선과 동일 직선 상의 위치에 대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미세한 구멍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조면부(粗面部)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각 벽면부(10)의 정상부(19)의 근방에는, 원형의 관통구멍(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7)은, 상기 주출 유닛(3)을 백 본체부(2)로서 구성되는 필름재에 장착할 때, 복수개의 주출 유닛(3)으로부터 1개씩 주출 유닛(3)을 필름재에 공급하는 파트 피더의 스톡바가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상의 주출 유닛(3)은, 벽면부(10)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측 둘레(11b)에서 접혀서 파스너(20)가 설치되어 있는 내면을 대향시켜서 중첩된다. 도 4는 각 벽면부(10)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주출 유닛(3)은,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본체부(2)에 장착된다.
백 본체부(2)의 평면부(2a)로서 구성되는 밴드형의 필름재(5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반송된다. 스탠딩 파우치(1)는, 그 폭 방향이 이 필름재(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치되어 필요한 재료를 취하게 된다. 도 8에서, 스탠딩 파우치(1)끼리의 경계를 파선(52)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필름재(50)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주출 유닛(3)의 외면에 형성된 노 브(4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삽입 구멍(51)은, 각 스탠딩 파우치(1)의 상부 측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 삽입 구멍(51)은, 삽입 구멍(51) 자체의 형상이 주출 유닛(3)의 노브(4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삽입 구멍(51)의 형성되는 위치는, 필름재(50)의 상단 둘레, 및 파선(52)으로 나타낸 스탠딩 파우치(1)의 경계부와의 위치 관계가, 주출 유닛(3)에서의 양 측 둘레(11a, 11b)와 노브(40)와의 위치 관계와 일치한다.
주출 유닛(3)은, 반송되는 필름재(50)에 대하여, 삽입 구멍(51)이 형성된 부위를 향해 공급되고, 필름재(50)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주출 유닛(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부(10)가 서로 중첩되어서, 내면에 설치된 숫형 파스너(21)와 암형 파스너(25)가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필름재(50)를 향해 공급된다. 도 9는 필름재(50)끼리의 사이에 주출 유닛(3)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필름재(50) 사이에 주출 유닛(3)이 삽입되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노브(40)가, 필름재(50)끼리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구멍(51)에 각각 삽입되고, 노브(40)가 필름재(5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삽입 구멍(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형상 및 필름재(50)에 대한 위치 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브(40)가 삽입 구멍(51)에 삽입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유닛(3)의 시일재(13, 18)의 끝주위가, 필름재(50)의 상단 둘레 및 파선(52)으로 나타내는 경계선과 필연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삽입 구멍(51)은, 주출 유닛(3) 장착 시, 주출 유닛(3)의 위치 결정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 다.
삽입 구멍(51)에 노브(40)가 삽입되어서 주출 유닛(3)이 위치맞춤된 후, 필름재(50)는, 파선(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각 스탠딩 파우치(1)의 경계선을 따라 히트 실링된다. 이 히트 실링에 의해, 필름재(50)의 내면과 주출 유닛(3)을 구성하는 한쪽 측 둘레(11b)에 설치된 시일재(18)가 일체화된다. 이와 동시에 필름재(50)의 상단 둘레와 주출 유닛(3)의 다른쪽 측 둘레(11a)에 설치된 시일재(13)가, 시일재(13)에 대응하는 부분만에서 히트 실링되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코너부는, 밀폐된다. 그리고, 숫형 파스너(21)의 걸어맞춤 클릭(23) 및 암형 파스너(25)의 걸어맞춤벽(27)은, 각각의 축 방향의 양단이 모따기되어 있으므로, 히트 실링을 행할 때, 시일재(13, 18)의 위치에서 벽면부(10)끼리의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을 형성시키지 않게 된다.
이 히트 실링 단계와 동시에, 포장 백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주출 유닛(3)의 저부(12)에서는, 그 외면이 저부(12)의 끝주위를 따라 각 필름재(50)의 내면에 히트 실링된다. 도 10에서, 인용 부호 53으로 나타낸 밴드형의 부위이다. 이 저부(12)의 히트 실링은, 시일재(13, 18)의 히트 실링에 비하여, 실링 온도가 낮고, 주출 유닛(3)의 저부(12)끼리는 히트 실링되지 않고, 필름재(50)와 주출 유닛(3)의 저부(12)만이 히트 실링된다.
이와 같은 주출 유닛(3)을 필름재(50)에 히트 실링하는 단계를 거쳐, 주출 유닛이 필름재(50)에 장착된 후, 필름재(50)의 하부 측의 끝주위에서, 필름재(50)와 저부재가 히트 실링되어 하부측이 밀폐된다. 그리고, 각 포장 백의 경계를 이 루는 위치에서, 필름재(50)가 차례로 절단되어 1개의 스탠딩 파우치(1)기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스탠딩 파우치(1)의 상부(9)는, 주출 유닛(3)의 장착된 위치를 제외하고, 아직 개방된 상태로 있다. 내용물은, 이 개방된 부위로부터의 주입된다. 내용물이 주입된 후, 개방된 상부(9)에서, 평면부(2a)끼리가 히트 실링되어 밀폐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포장 백이 완성된다.
내용물을 주출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14)로부터 주출 유닛(3) 및 필름재(50)를 개봉선(15)을 따라 찢고, 개구부(60)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평면부(2a)로부터 돌출하는 노브를 손으로 잡고, 도 12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2a)끼리를 벌여 놓으면, 걸어맞추어져 있었던 파스너(20)가 용이하게 해제된다. 이어서, 도 12의 화살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딩 파우치(1)의 상단 및 측단으로부터 서로 밀듯이 힘을 가한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유닛(3)의 각 벽면부(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절곡선(16)이 외측으로 향하여 절곡되고, 주출 유닛(3)이 사각뿔대형으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개구부(60)가 4각형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주출 유닛(3)의 형상이 유지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의 주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백 본체부(2)의 평면부(2a)와 주출 유닛(3)의 저부(12)가 히트 실링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주출할 때, 내용물이, 주출 유닛(3)의 저부(12)로부터 침수되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파스너(20)를 닫아서 개구부(60)를 일단 폐쇄한 후, 재차, 개구 부(60)를 여는 경우에 도 12에 나타낸 작업과 마찬가지의 작업을 행하면 된다.
이상, 스탠딩 파우치(1)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필름재를 두번 접어서 형성하는 평평한 백에 적용해도 된다.
그리고, 노브는, 중앙 절곡선(16)에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4는 다른 태양으로서 노브(41)를 설치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각 벽면부(10)에 노브(41)를 2개 설치하고 있다. 각 벽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노브(41)는, 중앙 절곡선(16)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파스너(20)의 축 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노브(41)를 설치한 경우, 백 본체부(2)의 각 평면부(2a)에는, 이 노브(41)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5) 등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노브(41)에 의하면, 노브(41)를 손으로 잡아서 벽면부(10)를 당겨 벌려서 파스너(20)를 해제하는 것은 물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절곡선(16)을 경계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노브(41)끼리를 근접시키도록 밀어도, 파스너(20)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주출 유닛(3)과 백 본체부(2)와의 접속 구조는, 이상과 같이, 백 본체부(2)의 평면부(2a)끼리의 사이에 주출 유닛(3)을 배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양 측의 접속 구조가 상이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스탠딩 파우치(1A)에서는, 주출 유닛(3)이, 벽면부(10)가 중첩되면서, 또 한 중첩된 시일재(13, 18)가 사전에 히트 실링되어 있다. 그러므로, 파스너(20)에 대하여 정상부(19)는 그 주위둘레가 폐쇄되어 있다. 이에 비해, 저부(12)의 위치에서는, 벽면부(10)끼리는 밀봉되어 있지 않고, 주출 유닛(3)은, 이 저부(12)의 위치에서는 개방되어 있다. 한편, 백 본체부(2)의 상부 측의 코너부에는, 접속 개구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주출 유닛(3)의 저부(12)는, 이 접속 개구부(70)에 맞추어져서, 양 측이 이 위치에서 히트 실링됨으로써 스탠딩 파우치(1A)가 완성된다.
이상, 주출 유닛(3)을 포장 백의 코너부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본체부(81)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시켜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80)을 형성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80)에서는, 그 상단이 폭 방향의 중앙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하는 부분이 주출 유닛(3)이다. 이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80)에서는, 그 폭 방향의 중심에 주출 유닛(3)의 정상부(19)가 위치되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대해도, 백 본체부(81)의 평면부(82) 사이에 주출 유닛(3)을 배치하여 주출 유닛(3)의 주위둘레와 백 본체부의 돌출된 부위(83)의 주위둘레를 히트 실링하여 양 측을 접속해도 되고, 또한, 백 본체부의 상부에 접속 개구부(84)를 형성하고, 여기에 주출 유닛(3)을 접속해도 된다.
다음에, 도 18∼도 23을 참조하여, 주출 유닛을 설치하지 않고, 백 본체부의 각 평면부에 노브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10O)에서는, 백 본체부(101)와, 그 상부의 코너부에 설치된 파스너(110)로 구성되어 있다. 백 본체부(101)는, 한 장의 필름재가 접혀서 중첩되어 구성된, 대향하는 한쌍의 평면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필름재의 절곡선 부분이 백 본체부(10l)의 저면부(103)로서 구성되며, 측 둘레부(104) 및 윗 둘레부(105)에서 평면부(102)끼리가 히트 실링되어 있다. 파스너(110)는, 숫형 파스너(120)와 암형 파스너(130)가 각 평면부(102)의 내면부에 장착되고, 서로 걸림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파스너(110)는, 이 파스너(110) 자체, 백 본체부(101)의 윗 둘레부(105) 및 측 둘레부(104)에 의해, 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부(102)에는, 이 파스너(110)와, 백 본체부(101)의 코너의 정상부(106) 사이에, 파스너(110)와 평행을 이루어 연장되는 개봉선(1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봉선(107)의 축 방향의 일단을 이루는 백 본체의 윗 둘레부(105)에는, 절결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백 본체부(101)는, 이 개봉선(107)이 찢어져, 파스너(110) 측과 정상부(106) 측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찢어진 부분이 주출용 개구부로서 구성된다.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 파스너(110)이다.
그리고, 이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100)에서는, 각 평면부(102)에서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가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노브(124, 1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은 파스너(110)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 파스너(110)는, 밴드형의 베이스재 부(121)와, 이 베이스재 부(1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베이스재 부(121)의 폭 방향 중앙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 는 걸어맞춤 돌기(122)를 구비한 숫형 파스너(120)와, 동일하게 밴드형의 베이스재 부(131)를 가지고, 그 일면 측에 의해 베이스재 부(131)의 폭 방향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어맞춤홈(132)이 형성된 암형 파스너(130)로 구성되어 있다. 숫형 파스너(120)의 걸어맞춤 돌기(122)는, 그 선단(123)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밑부분에 비해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홈(132)은, 베이스재 부(131)의 일면으로부터 한쌍의 홈벽(133)이 돌출하고, 이들이 서로 평행을 이루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숫형 파스너(120)의 베이스재 부(121)에는, 걸어맞춤 돌기(122)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폭 방향의 중앙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브(124)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암형 파스너(130)의 베이스재 부(131)에는, 걸어맞춤홈(132)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폭 방향의 중앙에서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노브(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구멍을 가지는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수지재를 통과시키는, 압출 성형 방식에 의해 성형을 행한다. 이 압출 성형으로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를 성형함으로써, 숫형 파스너(120)는, 베이스재 부(121), 걸어맞춤 돌기(122) 및 노브(124)가, 또한, 암형 파스너(130)는, 베이스재 부(131), 걸어맞춤홈(132) 및 노브(134)가 각각 일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성형된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되는 포장 백(100)에 대응하도록 적절한 길이로 차례로 절단된다. 그리고, 숫형 파스너(120) 의 축 방향의 양단에서, 걸어맞춤 돌기(122) 및 노브(124)가 모따기된다. 마찬가지로 암형 파스너(130)에서는, 축 방향의 양단에서 걸어맞춤홈(132) 및 노브가 모따기된다.
이와 같이 파스너(110) 자체에 노브(124, 134)를 형성하고, 이 파스너(110)를 백 본체부(101)에 장착함으로써도, 노브(124, 134)를 손으로 잡고, 평면부(102)를 서로 당겨서 벌리면, 파스너(110)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백(100)에서는, 파스너(11O)는 다음과 같이 하여 백 본체부(101)에 장착된다.
먼저, 밴드형의 필름재(140)을,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폭 방향의 중앙으로 2번 접고, 이 필름재(140)를 그 길이 방향으로 반송시킨다. 그리고, 반송되는 이 필름재(140)에 대하여, 가늘고 긴 삽입 구멍(141)을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한다. 도 21에 나타낸 파선(142)은,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100)으로서 완성되었을 때, 각 포장 백(100)의 측 둘레부(104)로서 구성되는 부위이다. 삽입 구멍(141)은, 필름재(140)의 윗 둘레부 근방이면서, 또한 파선(142)으로 나타낸 포장 백(100)의 측 둘레부(104)가 되는 부위의 근방에 의해, 윗 둘레부와 파선(142)의 부위를 서로 연락하도록 비스듬하게 기울여져서 형성된다.
파스너(110)는, 숫형 파스너(120)와 암형 파스너(130)가 걸어맞추어져서 일체화된 상태로, 필름재(140)의 위쪽으로부터 필름재(140) 사이에 삽입된다. 도 22는 필름재(140) 사이에 파스너(11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중첩된 필름재(140)의 각 내면에,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 각각의 베 이스재 부(121, 131)에서의, 노브(124, 134)가 형성된 면을 밀착시킨다. 이 때, 필름재(140)의 내측으로부터 노브(124, 134)를 삽입 구멍(141)에 삽입시켜서, 필름재(140)의 외측을 향해 노브(124, 134)를 돌출시킨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필름재(140)에 삽입 구멍(141)을 형성하고, 이 삽입 구멍(141)에 노브(124, 134)를 삽입함으로써, 파스너(110)의 장착 위치 및 파스너(110)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숫형 파스너(120) 및 암형 파스너(130) 각각의 베이스재 부(121, 131)와, 각 베이스재 부(121, 13l)와 밀착된 필름재(140)가 히트 실링된다. 또한, 중첩된 필름재(140)는, 파선(142)으로 나타낸 부위에서, 파선(142)을 따라 서로 히트 실링된다. 이 때, 파스너(110)의 축 방향의 단부가 필름재(140)에 의해 끼워넣어지도록 히트 실링한다.
그 후, 필름재(140)는, 파선(142)을 따라 차례로 절단되고, 윗 둘레부(105)의 개방된 포장 백(100)이 형성된다(도 23 참조). 그리고, 개방된 윗 둘레부(105)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하고, 윗 둘레부(105)의 위치에서, 평면부(102) 끼리를 히트 실링하여 포장 백(100)을 완성시킨다. 이 윗 둘레부(105)를 히트 실링할 때도, 파스너(110)의 축 방향의 단부를 끼워넣어서 필름재(140)를 히트 시링한다.
각 베이스재 부(121, 131)가 그 전체면에 걸쳐서 필름재(140)에 히트 실링되고, 또한 파스너(110)의 양단이 필름재(140)에 끼워져서 히트 실링됨으로써, 파스너(110)와 필름재(14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새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대하여 평평한 백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포장 백으로서 스탠딩 파우치(1)와 같이 저부재를 평면부(102)의 저부에 실링하는 포장 백에 적용해도 된다.
이상, 노브의 두께가, 노브가 돌출하는 높이 방향에 관하여 일정하게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24 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를 형성해도 된다.
도 24는 높이 방향의 선단에, 단면 형상이 원형이 되는 두꺼운 부분(153)을 형성한 노브(15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노브(150)는, 주출 유닛의 평면부의 외면이나 파스너의 베이스재 부의 외면 등의 베이스(151)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노브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 노브(150)의 특징점은, 노브(150)의 선단에, 밑부분(152)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두꺼운 부분(153)이 설치된 점이다. 밑부분(152)은, 그 폭이 베이스(151)와의 경계로부터 두꺼운 부분(153)과의 경계까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선단의 두꺼운 부분부(153)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또한 그 직경이 밑부분(15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브(150)의 선단에 두꺼운 부분(153)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으로 노브를 잡았을 때, 두꺼운 부분(153)이 손가락에 걸려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4에는, 두꺼운 부분(153)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 그 외의 다각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155)를 나타내고 있다. 이 노브도, 베 이스(156)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두꺼운 부분(159)이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부분(159)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밑부분(157)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브(155)에서는, 밑부분(157)의 양면에 복수개의 슬릿(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58)은, 밑부분(157)의 양면에서, 노브(155)가 돌출하는 높이 방향으로 병렬되어, 노브(155)가 연장되는 축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58)은, 노브(155)를 잡은 손가락끝의 미끄럼방지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주출 유닛 및 파스너의 어디에서도,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노브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이 백 본체부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 두께 이상의 거리를 둘 수 있도록, 최하부의 슬릿(158)과 베이스(156)와의 간격을 설치하면 된다.
도 25에 나타낸 노브(155)에, 포장 백의 개봉 시에 노브(155)를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 선단의 두꺼운 부분(159)에 손가락끝을 걸 수 있고, 또한 슬릿(158)에 의해 손가락끝이 노브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므로, 노브를 더 잡기 쉽고, 포장 백의 개봉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출 유닛이나 파스너와 같이, 백 본체부와는 별도의 부재에 노브를 설치하고, 또한 백 본체부의 평면부에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별도의 부재에 설치된 노브를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구멍에 통해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된 것과, 백 본체부에 주출 유닛에 접속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접속 개구부에 주출 유닛의 저부를 접속하여, 노브가 설치된, 주출 유닛의 벽면부 자 체를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평면부의 일부로서 구성하는 것의 양쪽의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파스너의 설치된 부분 내지 그 근방에서, 노브를 백 본체부의 평면부에 직접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파스너의 걸림 및 분리를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확실하게 걸어맞추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파스너를 적용하면 된다. 도 26∼도 28은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 파스너는, 지금까지 설명한 주출 유닛(3, 3A), 및 노브(124, 134)와 일체로 형성된 파스너(110)의 어디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출 유닛(3)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6은 숫형 파스너(160)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숫형 파스너(160)의 걸어맞춤 돌기는, 주출 유닛의 벽면부(10)로부터 돌출하는 기간부(161)와, 이 기간부(161)의 선단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63)로 구성되어 있다.
기간부(16l)는, 일정한 두께이면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부(163)는, 그 측부가 기간부(16l)의 두께 방향에서, 기간부(161)의 양쪽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163)의 횡단면에서의 윤곽은, 기간부(161)의 중심선 CL을 경계로 하여, 우측을 이루는 한쪽이 상대적으로 외측방을 향해 많이 돌출되고, 좌측을 이루는 다른쪽이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됨으로써, 좌우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서 중심선 CL로부터 우측을 이루는 한쪽은, 그 윤곽이 원호형으로 외 측방을 향해 팽창한 원호부(1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호부(164)는, 걸어맞춤부(163)와 기간부(161)와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걸어맞춤부(163)의 선단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우측을 이루는 한쪽에서는, 원호부(164)와 기간부(161)와의 경계 부분에서, 윤곽이 외측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 피계지부(1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계지부(165)는, 기간부(161)의 측면(162)과 거의 직교하도록 윤곽을 외측방을 향해 돌출시켜 구성한 부위이다.
이에 비해, 중심선 CL의 좌측을 이루는 다른 쪽은, 기간부(161)의 측면(162)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산형으로 팽창하도록 형성된 산형부(167)를 가지고, 이 산형부(167)로부터 걸어맞춤부(163) 자체의 선단에서는, 중심 측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부(16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163)의 선단에는, 이 숫형 파스너(160)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1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169)는, 걸어맞춤부(163)의 선단부를 원호형으로 움푹 파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7은 암형 파스너(170)의 횡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암형 파스너(170)는, 주출 유닛(3)의 벽면부(10)로부터 돌출하는 대좌부(171)와, 이 대좌부(17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172, 17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좌부(171)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홈벽(172, 175)은, 이들 내측에 걸어맞춤홈(179)을 형성하는 것이며,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벽이 대좌부(171)의 선단으로부터 더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벽(172, 175)은, 서로의 간격이 앞쪽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외측방을 향 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암형 파스너(170)의 홈벽(172, 175)에 대해서도, 대좌부(171)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27에서, 중심선 CL의 좌측을 이루는 한쪽 홈벽(172)은, 외측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하고, 중심선 CL의 우측을 이루는 다른쪽 홈벽(175)은, 외측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되어 있다.
먼저, 중심선 CL의 좌측을 이루는 한쪽 홈벽(17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홈벽(172)은, 거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대좌부(171)로부터 선단을 향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173)와, 이 원호부(173)의 선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1 걸어맞춤 클릭(1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호부(173)는, 그 내면이 원호형으로 외측방을 향해 파이도록 형성되고, 홈벽(172)이 일정한 두께인 것에 수반하여, 외면도 내면과 함께 원호형으로 외측을 향해 팽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걸어맞춤 클릭(174)은, 원호부(173)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부(173)의 선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많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걸어맞춤 클릭(174)은, 중심선 CL과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중심선 CL의 우측을 다른 쪽 홈벽(175)은, 거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이 대좌부(171)로부터 선단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76)와, 이 경사부(176)의 선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걸어맞춤 클릭(177)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176)는, 그 내면이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대좌부(171)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위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위이다. 이 경사부(176)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수반하여, 그 외면도 내면과 함께 대좌부(171)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전체가 경사지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걸어맞춤 클릭(177)은, 전술한 원호부(173)로부터 많이 돌출되어 있는 제1 걸어맞춤 클릭(17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경사부(176)의 선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제2 걸어맞춤 클릭(177)도, 중심선 CL와 거의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홈벽(172, 175)의 내면끼리는, 그 밑부분이 원호형으로 오목한 대좌부(171)의 상면(178)에 의해 원활하게 연락되어 있다.
숫형 파스너(160)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부(163)의 전체 폭 H1은, 암형 파스너(170)를 구성하는 홈벽(172, 175)의 내면끼리의 간격 중, 원호부(173) 및 경사부(176)의 선단부의 근방 부분의 전체 폭 H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벽(172)을 구성하는 원호부(173)의 내면의 곡률 반경은, 걸어맞춤부(163)를 구성하고 있는 원호부(164)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홈벽(175)을 구성하는 경사부(176)의 내면의 경사는 걸어맞춤부(163)를 구성하는 경사면부(168)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숫형 파스너(160)와 암형 파스너(170)를 걸어맞춘 상태를 도 28에 나타낸다.
이들 숫형 파스너(160)와 암형 파스너(170)는, 숫형 파스너(160)의 걸어맞춤 부(163)를 암형 파스너(170)의 홈벽(172, 175) 사이에 형성되는 걸어맞춤홈(179)에 삽입시켜 걸어맞추어진다. 이 때, 도 28에서, 중심선 CL의 좌측에 위치하는 홈벽(172)은, 제1 걸어맞춤 클릭(174)의 선단을 숫형 파스너(160)의 기간부(161)의 측면(162)에 맞닿게 하고, 또한 제1 걸어맞춤 클릭(174)의 내면을 걸어맞춤부(163)의 피계지부(165)에 밀접시키도록 하여 걸어맞춤부(163)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단, 걸어맞춤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 클릭(174)의 내면과 피계지부(165)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해도 상관없다. 한편, 중심선 CL의 우측에 위치하는 홈벽(175)은, 제2 걸어맞춤 클릭(177)의 선단을 기간부(16l)의 측면(162)에 맞닿게 하고, 제2 걸어맞춤부(163)의 내면과 산형부(167)을 구성하고 있는 밑부분 측의 경사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걸어맞춤부(163)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도 28에서 중심선 CL의 좌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부(163)의 일측은, 원호부(164) 중 밑부분의 일정 영역이 홈벽(172)의 내면에 밀접되고, 선단측의 일정 영역이 홈벽(172)의 내면에 대하여 서서히 떨어져서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비해, 중심선 CL의 우측에 위치하는 타측에서는, 산형부(167)의 정점이 홈벽(175)의 내면에서의 제2 걸림 클릭(177)의 바로 옆에 밀접되고, 산형부(167)의 정점으로부터 선단측과 홈벽(175)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파스너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걸어맞춤부(163)의 일부만을 홈벽(172, 175)의 내면에 밀접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163)로부터 홈벽(172, 175)으로 전달하는 힘을 분산시키지 않고, 집중적으로 힘을 전달하여, 강한 힘으로 양 측을 걸어맞추고 있다.
그리고, 숫형 파스너(160)의 걸어맞춤부(163)의 선단과 암형 파스너(170)의 걸어맞춤홈(179)의 홈바닥 사이에는, 걸어맞춤부(163)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부(169)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이 설치된다. 이 공간은, 걸어맞춤부(163)의 표면에 부착된 것이나 걸어맞춤홈(179)의 내부에 잔류한 것을 수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이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으로 분말 상태의 것을 수용하는 경우, 내용물을 주출한 후에, 내용물이 걸어맞춤부(163)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걸어맞춤홈(179)의 내부에 내용물이 잔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파스너를 닫으면, 통상의 파스너에서는, 내용물이 걸어맞춤부(163)와 걸어맞춤홈(179) 사이에 끼어서, 불완전한 상태로 양 측이 걸어맞추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파스너에 의하면, 이들 내용물은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이 양 측의 걸어맞춤을 저해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파스너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한쪽이 포장 백의 내측을 향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이 포장 백의 외측을 향한다.
주출 유닛(3, 3A)은, 피라미드형으로 형성되고, 개봉 후에도 외측을 향해 끝이 좁아진다. 그러므로, 파스너를 해제하기 위해 벽면(10)끼리를 당겨서 벌려놓고자 하면, 외측을 지점으로 하여 파스너의 위치에서 모멘트가 생긴다. 그러면, 파스너를 해제하는 경우, 도 28에서, 중심선 CL로부터 우측의 부위는, 중심선 CL로부터 좌측의 부위보다 작은 힘으로 걸어맞춤부(163)은 걸어맞춤홈(179)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이 파스너에서는, 숫형 파스너(160) 와 암형 파스너(170)를 강하고 걸어맞춤시키면서도,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파스너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해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숫형 파스너(160)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부(163) 및 암형 파스너(170)을 구성하고 있는 홈벽(172, 175)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낸 파스너의 기본 구조 자체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파스너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에 나타낸 파스너는, 숫형 파스너(160)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부(163)의 피계지부(165A)가, 기간부(161)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주출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벽면부 측으로 되돌려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단, 숫형 파스너(160)는, 이 피계지부(165A)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파스너(170)에 대해서는, 제1 걸어맞춤 클릭(174A)이, 원호부(173)의 선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하고, 또한 홈바닥 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암형 파스너(170)에 대해서도, 이 제1 걸어맞춤 클릭(174A) 이외의 부위는, 도 27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파스너에, 제1 걸어맞춤 클릭(174A)의 내면이 피계지부(165A) 및 원호부(164)의 일부를 끼우도록 하여 숫형 파스너(160)의 걸어맞춤부(163)는, 암형 파스너(170)의 홈벽(172, 175)에 걸어맞추어지므로, 보다 견고하게 양 측을 걸어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스너를 해제하여 주출구를 용이하게 개구할 수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대향하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포장 백에 관하여, 이들 평면부의 내면에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숫형 파스너와 암형 파스너가 걸림 및 분리되어서, 개봉된 포장 백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파스너를 구비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외면에는,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 또는 그 근방에,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노브(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2. 제1항에 있어서,
    백 본체부와, 상기 백 본체부에 용착되어 상기 백 본체부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주출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출 유닛은,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벽면부, 이들 벽면부의 내면에 의해 서로 대향되어 설치된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및 각 벽면부의 외면에 설치된 상기 노브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 부재로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주출 유닛은, 상기 파스너를 경계로 하여 일측이 주출 유닛의 안팍을 차단하도록 폐쇄된 폐쇄단으로서 구성되고, 타측이 개방된 개방단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벽면부에는, 상기 폐쇄단과 상기 파스너 사이에, 이들 폐쇄단 측과 파스너 측 에 상기 주출 유닛이 분리되도록 찢어지는 개봉선이 설치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부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백 본체부의 각 평면부에 삽입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출 유닛은, 그 폐쇄단이 백 본체부의 외측을 향하고, 상기 개방단이 백 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노브가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평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주출 유닛의 주위둘레가 백 본체부의 주위둘레와 일치되어 구성되며,
    중첩된 상기 주출 유닛의 주위둘레와 상기 백 본체부의 주위둘레가 밀봉되어 일체로 구성된,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파스너는, 베이스재 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일면 측에 설치된 삽입 홈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타면 측에 설치된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는, 베이스재 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일면 측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 홈부에 대하여 걸림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재 부의 타면 측에 설치된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백 본체부의 모서리부에는, 각 평면부에 각각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는, 상기 백 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각 노브가, 각 평면부의 안으로부터 밖으로 삽입되어 평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각각의 베이스재 부가 각각의 평면부의 내면에 밀봉되어 구성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파스너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기간부(基幹部)와, 상기 기간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기간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암형 파스너에 걸림 및 분리되는 걸어맞춤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기간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측이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고, 타측이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파스너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홈벽 사이에 숫형 파스너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림 및 분리되는 걸어맞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윤곽의 일측에 대응하는 한쪽 홈벽의 내면은, 상기 대좌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깊게 파이고, 타측에 대응하는 다른 쪽 홈벽의 내면은, 상기 대좌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얕게 파여서,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숫형 파스너 및 상기 암형 파스너의 일측이 상기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의 내측을 향해, 타측이 외측을 향해 장착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파스너에서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기 일측의 윤곽은, 상기 기간부와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의 선단부에 걸쳐서 원호형으로 팽창한 원호부에 의해 구성되면서, 또한 상기 원호부와 상기 기간부와의 경계부에는, 이들 경계부에 의해 기간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피계지부(걸어맞추어짐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윤곽은, 상기 기간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산형(山形)으로 팽창한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의 선단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 파스너에서의 상기 홈벽의 상호 간격은, 이들 선단측이 폭이 넓고,
    상기 한쪽 홈벽은, 상기 대좌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암형 파스너의 중심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고, 상기 피계지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1 걸어맞춤 클릭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른 쪽 홈벽은, 밑부분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암형 파스너의 중심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하여, 상기 산형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 클릭으로 구성되어 있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파스너의 선단부에는, 홈부가 상기 숫형 파스너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숫형 파스너와 상기 암형 파스너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숫형 파스너의 선단부와, 상기 암형 파스너에 형성되어 상기 숫형 파스너를 걸어맞춤시키는 걸어맞춤홈의 홈바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KR1020087019103A 2006-03-20 2007-02-09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KR101318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7504 2006-03-20
JP2006077504 2006-03-20
PCT/JP2007/052371 WO2007108251A1 (ja) 2006-03-20 2007-02-09 ファスナ付き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368A KR20080102368A (ko) 2008-11-25
KR101318714B1 true KR101318714B1 (ko) 2013-10-16

Family

ID=3852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103A KR101318714B1 (ko) 2006-03-20 2007-02-09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41279B2 (ko)
EP (1) EP1997745B1 (ko)
JP (1) JP5123844B2 (ko)
KR (1) KR101318714B1 (ko)
CN (1) CN101405196B (ko)
AU (1) AU2007228270B2 (ko)
BR (1) BRPI0709648A2 (ko)
DE (1) DE602007014022D1 (ko)
RU (1) RU2435715C2 (ko)
WO (1) WO2007108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3559B2 (ja) * 2008-03-04 2013-01-09 株式会社細川洋行 袋体
JP5225775B2 (ja) * 2008-07-25 2013-07-03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ガセット袋
JP5690483B2 (ja) * 2009-12-08 2015-03-25 株式会社細川洋行 再開封可能包装袋
WO2011081703A2 (en) * 2009-12-14 2011-07-07 Karlville Development Llc A novel plastic bag, a novel intermediate product, methods for making the bag and intermediate product, and improved pouch machine
WO2012062806A1 (en) * 2010-11-11 2012-05-18 Ecolean Research & Development A/S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MY170732A (en) 2012-02-03 2019-08-27 Toppan Printing Co Ltd Pouch and pouch with enclosed contents
USD760079S1 (en) 2013-11-07 2016-06-28 Ecolean Ab Closure
USD760083S1 (en) 2013-11-07 2016-06-28 Ecolean Ab Coiled strip of closures
JP1520296S (ko) 2013-11-07 2015-03-30
CN106660678B (zh) * 2014-06-19 2020-03-13 利乐拉瓦尔集团及财务有限公司 打开和关闭装置,制造打开和关闭装置以及具有这种打开和关闭装置的包装容器的方法
JP6684144B2 (ja) * 2015-12-04 2020-04-2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体、係合部材付袋体、係合部材付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EP3219641B1 (en) * 2016-03-16 2018-10-17 Ecolean AB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USD856792S1 (en) * 2017-03-31 2019-08-20 Central Bag And Burlap Co. Bag
DK3486189T3 (da) * 2017-11-15 2020-09-07 Barilla Flli G & R Genlukkelig pose
WO2022155105A1 (en) 2021-01-12 2022-07-21 Instant Brands Holdings Inc. Silicone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s
USD1022604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5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6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88A (ja) * 1997-02-05 1998-08-18 Kichinosuke Nagashio 包装用容器
JP2000262307A (ja) 1999-03-15 2000-09-26 Showa Highpolymer Co Ltd 耐久性を改良した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
JP2005350104A (ja) 2004-06-10 2005-12-22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付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3974A (en) * 1934-09-22 1937-09-21 John A Farmer Package or container
US2369716A (en) * 1942-01-15 1945-02-20 Du Pont Bag closure
US2620944A (en) * 1949-01-21 1952-12-09 William F Stahl Plastic container
US2666466A (en) * 1952-08-28 1954-01-19 Emil F Svec Pouch with sliderless fastener closure
US2780261A (en) * 1954-10-26 1957-02-05 Flexigrip Inc Sliderless fastener closure
US3079292A (en) * 1960-01-13 1963-02-26 May L Chester Method of making sterile bedside drainage bag
GB1015383A (en) * 1963-10-03 1965-12-31 Arenco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asily openable bags
US3208640A (en) * 1964-04-17 1965-09-28 Weed Master Western Ltd Package applicator
US3343664A (en) * 1966-05-31 1967-09-26 Edward J Poitras Compartmented package
US3663239A (en) * 1969-04-07 1972-05-16 Nabisco Inc Toaster packages having four spouts
US3640381A (en) * 1969-07-07 1972-02-08 Takashi Kanada Package with destructible portion for dispensing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US4027819A (en) * 1976-03-29 1977-06-07 Herrera Gutierrez Jesus Closure device for bags or similar containers
FR2417445A2 (fr) * 1978-02-15 1979-09-14 Vittel Eaux Min Recipient en matiere synthetique, mince et souple
JP2810215B2 (ja) * 1990-06-15 1998-10-15 株式会社平野屋物産 開封容易な合成樹脂製袋
IT1273179B (it) * 1994-05-05 1997-07-07 Sales Spa Dispositivo di apertura per contenitori flessibili, contenitore provvisto di tale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sua applicazione
US5931582A (en) 1998-06-30 1999-08-03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Reclosable closure arrangements and methods
US6007246A (en) * 1998-09-29 1999-12-28 Kraft Foods Inc. Reclosable container arrangement
US6206571B1 (en) * 1999-06-24 2001-03-27 Alan D. Olin Flexible bag with resealable pour spout
US6120184A (en) * 1999-11-17 2000-09-19 Stone Container Corporation Bag apparatus with reclosable pour spout
JP2001240076A (ja) 2000-02-24 2001-09-04 Shigeo Kai 液体バッグおよび液体バッグの保持具
JP4351403B2 (ja) * 2001-07-23 2009-10-28 株式会社細川洋行 ジッパ袋及びその製造方法
DE60334532D1 (de) * 2002-03-15 2010-11-25 Kurita Water Ind Ltd Aufreissführung von flexiblem behä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behälters.
US7300207B2 (en) * 2003-04-16 2007-11-27 Ron Linneweil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KR100509979B1 (ko) * 2003-07-10 2005-08-25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동생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모서리 개봉형 지퍼용기
JP2005144077A (ja) 2003-11-20 2005-06-09 Ci Sanplus Kk 嵌合具及び嵌合具付包装用袋体
USD545689S1 (en) * 2004-02-11 2007-07-03 Brian Peel Pouch for alcoholic beverages
US7506487B2 (en) * 2005-09-21 2009-03-24 Zip Pack Ip Ag Method for applying a reclosable seal to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88A (ja) * 1997-02-05 1998-08-18 Kichinosuke Nagashio 包装用容器
JP2000262307A (ja) 1999-03-15 2000-09-26 Showa Highpolymer Co Ltd 耐久性を改良した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
JP2005350104A (ja) 2004-06-10 2005-12-22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付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41268A (ru) 2010-04-27
US8641279B2 (en) 2014-02-04
CN101405196B (zh) 2010-06-16
BRPI0709648A2 (pt) 2011-07-19
AU2007228270A1 (en) 2007-09-27
US20100158416A1 (en) 2010-06-24
KR20080102368A (ko) 2008-11-25
EP1997745B1 (en) 2011-04-20
EP1997745A4 (en) 2009-12-30
AU2007228270B2 (en) 2012-09-13
JPWO2007108251A1 (ja) 2009-08-06
RU2435715C2 (ru) 2011-12-10
EP1997745A1 (en) 2008-12-03
WO2007108251A1 (ja) 2007-09-27
DE602007014022D1 (de) 2011-06-01
JP5123844B2 (ja) 2013-01-23
CN101405196A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714B1 (ko)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RU2685871C1 (ru) Гассет-пакет,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090127281A1 (en) Slap-On Resealable Closure
TWI518008B (zh) Easy to tear the folder chain, and with easy to tear the folder with the bag
US20110268372A1 (en) Side-gusseted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042178B1 (en) Packaging container having an opening device
EP1754667A1 (en) Packaging bag with faste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247513B1 (en) Zippered bag with a spout
WO2013066789A1 (en) Dispenser system
US7163338B2 (en) Reclosable package having offset pull tab featur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2006193173A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25549A1 (en) Condom Applicator
CN109562867B (zh) 带及袋体
EP3683167B1 (en) Bag,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a bag
JP6495362B2 (ja) テープ及び袋体
JP5995197B1 (ja) 梱包箱
BRPI0417359B1 (pt) saco de embalagem
JP6012966B2 (ja) スパウト付き収容体
JP2019093076A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包装袋
JP5690483B2 (ja) 再開封可能包装袋
JP2008168918A (ja) 流体の包装箱
JP2003327264A (ja) 容器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体
CZ12630U1 (cs) Uzavírací zařízení
ITTO20000077U1 (it) Chiusura apribile a strappo per un contenitore, in particolare per unliqui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