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821A -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821A
KR20070012821A KR1020067023598A KR20067023598A KR20070012821A KR 20070012821 A KR20070012821 A KR 20070012821A KR 1020067023598 A KR1020067023598 A KR 1020067023598A KR 20067023598 A KR20067023598 A KR 20067023598A KR 20070012821 A KR20070012821 A KR 2007001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ame
player character
player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688B1 (ko
Inventor
토루 시미즈
타카오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3200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1282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ublication of KR2007001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3Hand-to-hand fighting, e.g. martial arts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4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dynamical parameters of game objects, e.g. motion determination or computation of frictional forces for a virtual c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6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rende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29Fighting without 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1)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을 검출하여 상기 거동에 관한 제 1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2) 플레이어 캐릭터의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정의되어 있는 환경에 관한 제 2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3) 제 1 및 제 2 계수에 의거해서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와, 4)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해서 에니미 캐릭터가 플레이어 캐릭터를 발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프로그램, 기억 매체

Description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ELECTRONIC GAME MACHINE, DATA PROCESSING METHOD IN ELECTRONIC GAME MACHINE AND ITS PROGRA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은밀한 게임으로 칭해지는, 유희자(遊戱者)가 조작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상의 상대방으로서 정의된 대상에 의해 가능한 한 발견되지 않도록 하면서 조작하고, 주어진 사명을 달성하는 등의 게임 스토리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전자 유희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자 유희 장치용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유희자는 상대방이 되는 적으로서 정의된 적 캐릭터(상대방)와 플레이어 캐릭터의 위치 관계에 항상 주의를 해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적의 캐릭터의 위치를 유희자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레이더의 기능을 게임 프로그램에 적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263205호 공보에는 화면의 중심에서 가상 공간 내에 정의된 시점(視點)으로부터의 사커 게임의 영상을 나타냄과 아울러, 이 배경 화면과는 별도로 레이더의 소형 화 면을 표시하도록 한 게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볼을 목표로 해서 진행하는 선수의 캐릭터의 배면으로부터 시점이 움직이도록 이동하고, 이 시점으로부터의 중심 영상이 화면 가득 크게 표시된다. 이 때, 유희자가 조작하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주변에 우리편이나 적의 선수가 어떤 위치 관계를 가지며 존재하고 있는지를 유희자로서는 쉽게 알 수 없다.
따라서, 플레이어 캐릭터를 중심으로 해서 우리편이나 적의 선수가 어떤 위치 관계를 가지며 존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레이더 상을 구성하고, 이것을 주 화면과는 구별해서 모니터에 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63205호 공보
종래의 전자 유희 장치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상대측 캐릭터에 발견되기 용이한지의 여부의 정도는 유희자측에는 하등 알 수 없기 때문에 유희자에게는 위화감이 남아있었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적 캐릭터[에니미 캐릭터(enemy character)]에게 발견되었을 경우에 어떻게 해서 적에게 발견되었는지를 알고 싶어할 것이고, 자신은 정확하게 조작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적 캐릭터에게 발견되었는지의 여부는 많은 요소에 의해 게임 프로그램상 결정되는 것이며, 그것을 정확하게 유저에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은 도대체 곤란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 있어서도 플레이어 캐릭터가 어느 정도 적 캐릭터에게 발견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지를 유희자에게 간단히 제시할 수 있으면, 유희자의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견되지 않도록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유용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희자에 의해 조작되는 대상이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상 상대가 되는 대상으로부터 발견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유희자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한 전자 유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게임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유희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거해서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플레이어 캐릭터와, 상기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그 외의 에니미 캐릭터의 상기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거동과 위치를 제어해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상기 게임의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의 화상 처리로서, 1)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을 검출하여 상기 거동에 관한 제 1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2)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정의되어 있는 환경에 관한 제 2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3)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와, 그리고, 4) 상기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에니미 캐릭터가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를 발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어 캐릭터의 상대측 캐릭터에 대한 눈에 띄는 정도가 지표화(指標化)되어 유희자에게 제공되므로 유희자에 의해 조작되는 대상이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상의 상대가 되는 대상으로부터 발견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유희자에게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의 1장면이다.
도 3은 눈에 띄는 정도에 관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표시 상(像)의 일례이다.
도 4는 가상 공간에 정의된 환경 계수를 정의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상기한 인디케이터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게임 장치 101 : 기억 매체
102 : CPU 103 : 시스템 메모리
104 : BOOTROM 105 : 버스 아비터(bus arbiter)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데이터 처리 기능(컴퓨터 기능)을 가진 게임 장치가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유희자가 전자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게임 어프리케이션의 스토리는 개략, 닌자(忍者)가 적에게 발견되지 않도록 적의 시설에 잠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최초에, 이 게임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 자 유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게임 장치(100)는 게임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영상·음악 데이터도 포함)가 기억된 프로그램 데이터 기억 장치 또는 기억 매체(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도 포함)(101)와,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전체 시스템의 제어 및 화상 표시를 위한 좌표 계산 등을 행하는 CPU(102)와, CPU(102)가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는 시스템 메모리(103)와, 게임 장치(100)를 기동할 때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BOOTROM(104)과, 게임 장치(100)의 각 블록이나 외부에 접속되는 기기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버스 아비터(105)를 구비하고, 이들은 버스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버스에는 렌더링 프로세서(rendering processor)(106)가 접속되고, 프로그램 데이터 기억 장치 또는 기억 매체(101)로부터 판독된 영상(무비) 데이터나, 유희자의 조작이나 게임 진행에 따라 생성되어야 할 화상은 렌더링 프로세서(106)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니터(110)에 표시된다. 렌더링 프로세서(106)가 화상 생성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그래픽 데이터 등은 그래픽 메모리(프레임 버퍼)(107)에 기억되어 있다.
버스에는 사운드 프로세서(108)가 접속되고, 프로그램 데이터 기억 장치 또는 기억 매체(101)로부터 판독된 음악 데이터나, 유희자의 조작이나 게임 진행에 따라 생성되어야 할 효과음이나 음성은 사운드 프로세서(108)에 의해 스피커(111)로부터 출력된다. 사운드 프로세서(108)가 효과음이나 음성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운드 데이터 등은 사운드 메모리(109)에 기억된다.
게임 장치(100)에는 모뎀(112)이 접속되고, 전화 회선(도시 생략)을 통해 다른 게임 장치(100)나 네트워크 서버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장치(100)에는 게임의 도중 경과 정보나 모뎀을 통해 입출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해두는 백업 메모리(backup memory)(113)(디스크 기억 매체나 기억 장치도 포함됨)와, 조작자의 조작을 따라 게임 장치(100) 및 외부에 접속되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게임 장치(100)에 입력하는 컨트롤러(114)가 접속되어 있다. CPU(102)와 렌더링 프로세서(106)에 의해 화상 연산 처리 유닛이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서 게임 장치의 구성 부분으로서 설명된 유닛을 다른 게임 장치나 서버에 분산시켜도 좋다. 유희자측의 게임 장치 단말과 서버에 의해 전자 유희 시스템 즉,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희 장치가 실현되어도 좋다.
도 2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의 1장면이며, 유희자가 조작하는 플레이어 캐릭터(10)가 적 캐릭터(상대방)(12)에게 최대한 발각되지 않게 하면서 접근하여 이것을 쓰러뜨리는 스토리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좌측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한 눈에 띄는 정도에 관한 화면(인디케이터)(16)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화면은 게임의 중심 화상으로부터는 구별되어 있다.
도 3은 이 화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12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심벌을 도시하며, 이 심벌의 거동은 플레이어 캐릭터의 동작(동화상)에 거의 대응되고 있다. 도 3의 (1)은 플레이어 캐릭터가 상대방이 되는 캐릭터에 대해 눈에 띄고 있는 상태를 유희자에게 전하는 상태의 인디케이터 상이며, (2)는 반대로 눈에 띄지 않는 숨겨진 상태를 유희자에게 전하는 상태의 인디케이터 상을 도시하고 있다. 플레이어 캐 릭터가 상대에 대해 눈에 띄는지의 여부는 눈에 띄는 정도 화면의 배경의 명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즉, 플레이어 캐릭터가 눈에 띌 경우에는 배경색의 명도를 올리고, 반대로 눈에 띄지 않을 경우에는 배경색의 명도를 낮추고 있다.
이 눈에 띄는 정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구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파라미터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 관한 계수(제 1 계수)와, 플레이어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 환경에 관한 계수(제 2 계수)와, 상대 캐릭터에 관한 계수(제 3 계수)를 서로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우선, 플레이어의 거동에 관한 계수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부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는 눈에 띄기 쉬운 거동과 그렇지 않은 거동이 존재한다. 캐릭터의 지표면에 대한 위치가 높을 경우는 위치가 낮을 경우에 비해 눈에 띄기 쉽고, 캐릭터의 동작 속도가 클 경우에는 캐릭터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나 동작 속도가 작은 경우에 비해 눈에 띄기 쉽다는 것이 경험상 알고 있다. 따라서, 캐릭터의 모션 마다 계수를 정의해서 눈에 띄기 쉬운 정도를 지표화했다. 예를 들면, 기립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을 경우(A), 기립 주행하고 있을 경우(B), 구부리는 등 숨는 행동의 경우(C)의 각각에 대해 계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의 경우는 적 캐릭터에 대한 눈에 띄는 정도가 보통이므로 예를 들면, 계수 400이 정의되고, (B)의 경우는 적 캐릭터에 대해 눈에 띄는 상태이므로 계수 800이 정의된다. (C)의 경우에는 0이 정의된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각 거동은 게임 프로그램에 있어서 캐릭터 모션 데이터로서 정의되고 있다. 각 캐릭터 모션에 대해 상기한 계수가 정의되어 있다. 계수의 산출은 플레이어 캐릭터의 지표면에 대한 높이 예를 들면, 플레이어 캐릭터의 머리나 허리의 폴리건(polygon)의 위치, 캐릭터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의거해서 소정의 특성식으로부터 계수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환경에 관한 계수(제 2 계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움직이는 3차원 공간에는 캐릭터가 눈에 띄기 쉬운 곳과, 눈에 띄기 어려운 곳, 양쪽의 중간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캐릭터가 눈에 띄기 쉬운 곳이란 예를 들면, 게임 프로그램상 밝은 개소(조명이 있는 실내)나 장해물이 없는 평탄한 장소로서 정의된 가상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위치이며, 눈에 띄기 어려운 개소란 예를 들면, 그늘이나 야간의 옥외이다. 게임 프로그램상 이들 2개의 영역에는 각각 도 4에 도시하는 구체(영역)(40)를 정의하고, 이 구체 내에서 차지하는 캐릭터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계수를 구한다. 캐릭터가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놓여진 구체의 경우에는 구체의 중심(42)에 소정의 계수를 정의하고, 구체의 최외표면(46)을 향해 이 계수값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 캐릭터(42)가 구체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환경 계수로서 「1」이 설정되고, 플레이어 캐릭터가 구체의 최외표면 위치에 있을 때에는 환경 계수는 「0.5」가 된다. 즉, 플레이어 캐릭터와 구체 중심의 거리가 연산되고, 이 거리가 커질수록 환경 계수는 감소된다.
한편, 플레이어 캐릭터를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한 구체(5O)의 경우에는 구체 중심에 환경 계수로서 예를 들면, 「0」이 설정되고, 이 구체의 최외표면에서는 환경 계수가 「0.5」로 정의된다. 즉, 플레이어 캐릭터가 구체 중심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환경 계수는 증가한다. 구체 사이의 영역(52)에는 통상 값 「0.5」이 설정되어 있다. 이 계수가 클수록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는 커진다. 게임이 정의되는 좌표 공간(40)내의 어느 위치에 어떤 구체를 어떤 계수를 부여해서 배치할지는 게임 제작자가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체(영역)의 좌표상의 위치는 게임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 기억되어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 관한 계수와 환경 계수를 곱한 플레이어측 계수에 적 캐릭터측의 계수(제 3 계수)를 곱한 것으로부터 연산된다. 적 캐릭터측 계수는 적 캐릭터의 경계 레벨과 적 캐릭터의 개인 능력(예를 들면, 시력), 그리고 적 캐릭터와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리에 상관되는 것이다.
적 캐릭터와 플레이어 캐릭터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적 캐릭터의 경계도 레벨이 높을수록, 적 캐릭터의 개인 능력이 높을수록, 플레이어 캐릭터는 적 캐릭터에 대해 눈에 띄게 된다. 또한, 경계도 레벨이란 적 캐릭터가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단계이며, 예를 들면, 적 캐릭터가 방심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지, 뭔가를 의심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지, 플레이어 캐릭터의 존재를 확신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인지,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공격을 가하는 상태를 말하고, 후자로 될수록 경계도 계수는 높아진다. 각 경계도 레벨에 대응한 플래그를 설정하고, 이 플래그에 대응시켜 계수를 정의함으로써 경계도 레벨을 눈에 띄는 정도의 연산에 반영시킬 수 있다. 적 캐릭터가 게임 진행 과정에서 어떤 경계도를 가질지는 게임 제작자가 적당히 결정하면 좋다.
또한, 적 캐릭터의 개인 능력에 대해서도 게임 제작자가 적당히 결정하고, 정의한 개인 능력의 정도에 맞춰 소정의 계수를 설정해두면 좋다. 또한, 적 캐릭터의 시야 범위에 플레이어 캐릭터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캐릭터의 개인 능력에 대한 계수를 증가시키면 적 캐릭터의 시야의 방향을 눈에 띄는 정도의 연산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것은 게임 프로그램의 제작자가 적당히 결정해서 소정의 계수를 정의하면 좋다.
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식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눈에 띄는 정도 = (1-(거리(t)/시력에 관한 계수(α)))*경계도에 관한 계수(β)*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 관한 계수(γ)*환경 계수(Δ)
각 계수나 계수를 구하기 위한 관계식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CPU(102)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컨트롤러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게임 프로그램 실행상 미리 정의된 데이터 등에 의거해서 상기한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한 연산을 실행해서 눈에 띄는 정도를 구한다. 지금, t = 250, α = 250, β = 0.75, γ = 400, Δ = 0.75이라고 하면, 눈에 띄는 정도는 45가 되고, 이것은 소정값(100) 이하인 것으로부터 플레이어 캐릭터는 눈에 띄지 않는다고 정의된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적 캐릭터에 근접해서 t = 80이 되고, Δ = 0.5로 해서 다른 계수에 변동이 없다고 하면 눈에 띄는 정도는 102가 되고, 플레이어 캐릭터는 적 캐릭터에 눈에 띄고 있다고 정의된다.
이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해서 눈에 띄는 정도를 유희자에게 정량적으로 도시하는 도 3의 화면(인디케이터)이 작성되어 모니터에 표시된다. 인디케이터는 눈 에 띄는 정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명←→암의 상태를 취하기 위해 유희자는 인디케이터의 밝음 또는 어두움으로부터 플레이어 캐릭터가 어느 정도 눈에 띄고 있는지의 목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게임 장치의 동작을 CPU가 실행하는 플로우 챠트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CPU(102)는 게임의 실시의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고, 도 5는 이 플로우 챠트를 도시하는 것이며, 게임이 스타트되면 CPU(102)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모션으로부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 대한 계수를 결정한다(S500). 이어서, 플레이어 캐릭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한 환경 계수를 결정한다(S502). 이어서, 모든 적 캐릭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복수의 적 캐릭터 마다 적 캐릭터의 개인 능력에 관한 계수를 결정하고(S504), 이어서 상기한 특성식에 의거해서 눈에 띄는 정도를 계산한다(S506). 복수의 적 캐릭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적 캐릭터에 관한 계수를 평균화하면 좋다. 눈에 띄는 정도의 연산 결과는 시스템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설정 기억된다. CPU(102)는 이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해서 상기한 인디케이터의 명도를 결정한다. CPU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동작을 검출하여 인디케이터 내에 플레이어 캐릭터의 심벌을 이 동작을 가해서 표시한다(S508).
지금, 유희자가 게임을 스타트시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면,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필드를 움직임에 따라 인디케이터의 명도가 연속적으로 명←→암의 사이를 변화한다. 이 변화에 의해 유희자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를 항시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 캐릭터의 시야 범위에 플레이어 캐릭터가 들어갔을 경우에는 계산한 눈에 띄는 정도에 따라 적 캐릭터의 행동이 게임 프로그램상 결정된다. 눈에 띄는 정도가 높을 경우에는 적 캐릭터는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게임 프로그램상의 공격을 가해오지만, 눈에 띄는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적 캐릭터는 하등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적 캐릭터측의 특성(능력)을 눈에 띄는 정도에 반영시키고 있지만, 이것을 반영시키지 않고 플레이어측 캐릭터의 거동에 관한 계수와 환경 계수를 곱한 것을 눈에 띄는 정도로 해도 좋다. 또한, 연산된 눈에 띄는 정도의 값에 따라 적 캐릭터의 행동 양식이 결정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인디케이터 화상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는 처리에 대해 인디케이터 화상의 색채, 명도, 투명도, 화소의 크기(모자이크 처리)를 변화시키는 인디케이터 화상에 표시된 캐릭터 심벌이나 그 배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기한 계수에 의거해서 구해진 눈에 띄는 정도에 따른 화상 이펙트(image effect)[디포커싱(defocusing), 투명도를 변화시키는 처리, 명도나 색채를 변화시키는 처리, 모자이크 처리]를 실시하는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의 (1)은 인디케이터 상을 모자이크 패턴으로 가공한 것이며, (2)는 디포커싱 방식으로 가공한 것이고, (3)은 반투명으로 가공한 것이다.
또한, 플레이어 캐릭터의 모션으로부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에 대한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모션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의되는 것(정의되어진 데이터 테이블을 가짐) 외에, 자세, 두부나 허리의 폴리건의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속도로부터 산출해도 좋고, 양쪽을 병용하는(모든 모션에 대해 미리 정의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캐릭터 모델의 두부 폴리건의 위치로부터 산출하거나, 정의 된 값에 산출된 값을 또한 더해서 재연산하거나 하는)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경계도 레벨이 높은 에니미(enemy)는 낮은 에니미보다 시야 범위가 넓기(시계 거리나 폭이 넓음)때문에 에니미 마다 눈에 띄는 정도를 연산한 후에 그것을 평균화해서 눈에 띄는 정도를 구하면, (1) 플레이어측이 채택하는 거동이나 환경이 동일하더라도 경계도 레벨이 높은 에니미가 있으면, 그것이 반영되어 평균적인 눈에 띄는 정도가 올라가서 다른 경계도 레벨이 낮은 에니미에게도 발견되기 쉬워진다, (2) 환경 계수에 따라 에니미의 시야 범위를 변화시키기 쉽게 할 수 있는(눈에 띄기 쉬운 환경에서는 경계 레벨이 낮은 에니미도 시야 범위가 넓어지는 등)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게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게임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유희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거해서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플레이어 캐릭터와, 상기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다른 에니미 캐릭터의 상기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거동과 위치를 제어해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상기 게임의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1)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을 검출하여 상기 거동에 관한 제 1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2)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정의되어 있는 환경에 관한 제 2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3)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에 의거해서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와;
    4)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동작에 대응한 거동의 캐릭터 심벌을 가지고, 상기 캐릭터 심벌의 배경색의 명도가 상기 눈에 띄는 정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인디케이터 화상을 상기 주 화면과는 별개의 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처리와;
    5) 상기 영상화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인디케이터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와;
    6) 상기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해서 상기 에니미 캐릭터가 상기 플레이어 캐 릭터를 발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7) 상기 에니미 캐릭터에 대해 설정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거해서 상기 에니미 캐릭터에 관한 제 3 계수를 결정하는 처리와,
    8) 상기 제 3)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 3 계수를 이용해서 상기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9) 상기 제 3 계수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에니미 캐릭터 마다 결정하는 처리와,
    10) 상기 복수의 에니미 캐릭터 마다 결정된 복수의 제 3 계수를 평균화하는 처리와,
    11) 상기 제 3)의 처리에 있어서 더욱이 상기 평균화한 계수를 이용해서 상기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 상기 에니미 캐릭터에 설정된 시야 범위에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가 들어 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들어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6)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13) 상기 에니미 캐릭터에 설정된 시야 범위에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가 들어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에니미 캐릭터와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리에 의거해서 상기 제 3 계수를 변경하는 처리와,
    14) 상기 제 3)의 처리에 있어서 더욱이 상기 제 3 계수를 이용해서 상기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 상기 제 6)의 처리에 의해 상기 에니미 캐릭터가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를 발견했다고 판정하였을 때 상기 에니미 캐릭터에 대해 설정된 경계 레벨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화상 처리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8. 제 7 항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9. 게임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유희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거해서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플레이어 캐릭터와, 상기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하는 다른 에니미 캐릭터의 상기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거동과 위치를 제어해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상기 게임의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게임 장치로서:
    1)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거동을 검출하여 상기 거동에 관한 제 1 계수를 결정하는 제 1 계수 결정 수단과;
    2)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가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정의되어 있는 환경에 관한 제 2 계수를 결정하는 제 2 계수 결정 수단과;
    3)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에 의거해서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눈에 띄는 정도를 결정하는 눈에 띄는 정도 결정 수단과;
    4)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의 동작에 대응한 거동의 캐릭터 심벌을 가지고, 상기 캐릭터 심벌의 배경색의 명도가 상기 눈에 띄는 정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인디케이터 화상을 상기 주 화면과는 별개의 화상으로서 작성하는 인디케이터 화상 작성 수단과;
    5) 상기 영상화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인디케이터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표시 처리 수단과;
    6) 상기 눈에 띄는 정도에 의거해서 상기 에니미 캐릭터가 상기 플레이어 캐 릭터를 발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KR1020067023598A 2004-05-10 2005-03-10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1086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0333 2004-05-10
JP2004140333 2004-05-10
PCT/JP2005/004231 WO2005107904A1 (ja) 2004-05-10 2005-03-10 電子遊戯装置、電子遊戯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及びこの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821A true KR20070012821A (ko) 2007-01-29
KR101086688B1 KR101086688B1 (ko) 2011-11-24

Family

ID=3532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598A KR101086688B1 (ko) 2004-05-10 2005-03-10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94328A1 (ko)
EP (1) EP1759744A1 (ko)
JP (1) JP4803030B2 (ko)
KR (1) KR101086688B1 (ko)
CN (1) CN1950134B (ko)
WO (1) WO2005107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0525B2 (en) * 2004-05-10 2010-12-14 Sega Corporation Mechanism of generating a sound radar image in a video game device
US20090058860A1 (en) * 2005-04-04 2009-03-05 Mor (F) Dynamics Pty Ltd. Method for Transforming Language Into a Visual Form
US20080055316A1 (en) * 2006-08-30 2008-03-06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matically representing sentence meaning with animation
US20100075752A1 (en) * 2008-09-24 2010-03-25 Yasha Feldman Computer game
JP2010088675A (ja) * 2008-10-08 2010-04-22 Copcom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WO2014141316A1 (ja) 2013-03-11 2014-09-18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9445151B2 (en) * 2014-11-25 2016-09-13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scene processing
CN111414080B (zh) * 2020-03-19 2022-03-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位置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174B2 (ja) * 1997-11-20 2000-11-20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におけるキャラクタ動作指示方法及びキャラクタ動作指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3342393B2 (ja) * 1998-03-19 2002-11-05 株式会社コナミ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ジャパン ビデオゲーム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870539B2 (ja) * 1998-05-18 1999-03-17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レーダー表示機能を有するゲーム装置とその表示方法
JP3452348B2 (ja) 1999-02-08 2003-09-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仮想空間における発話者特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24636A (ja) * 2001-07-13 2003-01-28 Square Co Ltd 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
JP3602519B2 (ja) 2002-07-12 2004-12-15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19850B2 (ja) * 2004-01-27 2008-07-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7904A1 (ja) 2005-11-17
JPWO2005107904A1 (ja) 2008-07-31
KR101086688B1 (ko) 2011-11-24
CN1950134B (zh) 2011-05-04
US20080194328A1 (en) 2008-08-14
JP4803030B2 (ja) 2011-10-26
EP1759744A1 (en) 2007-03-07
CN1950134A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4106B2 (en) Simulation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or changing a display object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field of view
EP3398666B1 (en) Game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086688B1 (ko) 전자 유희 장치, 전자 유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US10850196B2 (en) Terminal device
US10183220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mage generation method
JP3442270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5597837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装置
JP4177381B2 (ja) 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EP2105905A2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JPH1142370A (ja) ゲーム装置、ゲー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可読記録媒体
EP2394710A2 (en) Image generation system, image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7300974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6106393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
US8072458B2 (en)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and game apparatus
JP2005310020A (ja) 3次元画像生成装置および3次元画像生成プログラム
JP3786670B1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4508719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1039895A (ja) 仮想空間表示装置、視点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77722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2955989B2 (ja) ゲーム装置
JP5054908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3951246B2 (ja) ゲーム装置
JP2003203250A (ja)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1013952A (ja) 画像生成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3653062B2 (ja) キャラクタ移動速度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