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032A -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 Google Patents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032A
KR20070010032A KR1020067022403A KR20067022403A KR20070010032A KR 20070010032 A KR20070010032 A KR 20070010032A KR 1020067022403 A KR1020067022403 A KR 1020067022403A KR 20067022403 A KR20067022403 A KR 20067022403A KR 20070010032 A KR20070010032 A KR 2007001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ten roller
printing
tension
plas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꼬 다무라
겐이찌 아소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16Holders in the machine for sheets of impression 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2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 B41J35/23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with two or more ribbon guid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전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2)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3)과, 복수의 잉크 리본(11)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12)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상기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인쇄 위치(14)로 이동시키는 잉크 리본 이동 기구(4)와, 상기 인쇄 위치로 이동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쇄하는 인쇄 헤드(5)를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1)에 설치한다.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플라스틱 필름, 잉크 리본, 인쇄 헤드, 서멀 헤드

Description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THERMAL TRANSFER PRINTER FOR FILM}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전사 인쇄 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열전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의 인쇄는 종래의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스크린 인쇄 방식에서는 인쇄하는 화상이나 색의 수 등에 따라서 인쇄판을 제작하고, 이 인쇄판을 사용하여 피인쇄물로 화상을 인쇄한다. 그로 인해, 인쇄하는 화상의 변경이나 수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인쇄판을 제작한다.
그런데, 스크린 인쇄 방식과는 다른 인쇄 방식으로서, 열전사 인쇄 방식이 있다. 열전사 인쇄 방식에서는 서멀 헤드에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잉크 리본의 잉크를 피인쇄물에 전사시키고 화상을 인쇄한다. 서멀 헤드에는 복수의 발열체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발열체의 동작이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피인쇄물 상의 소정의 위치로 잉크를 전사시킨다. 그로 인해, 인쇄하는 화상의 변경이나 수정은 제어 장치의 처리 내용을 수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사 인쇄 방식으로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열전사 리본을 탑재한 회전식 리본 유닛을 갖고, 서멀 헤드에 의해 열전사 리본을 가열하여 용지에 화상을 기록 형성하는 화상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 밖의, 본 발명에 관련되 는 선행 기술문헌으로서 특허문헌 2 내지 8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007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17058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12186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2-121873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3-215045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3-215064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평10-20299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6-12218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열전사 인쇄 방식의 화상 기록 장치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쇄하는 것은 검토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전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플라스틱 필름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복수의 잉크 리본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상기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인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잉크 리본 이동 기구와, 상기 인쇄 위치로 이동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쇄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에 따르면,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전사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유 지지 수단에는,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등 색이 다른 잉크 리본을 보유 지지시켜도 좋고, 동일 색의 잉크 리본을 복수 보유 지지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상기 인쇄 헤드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잉크 리본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어긋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어긋남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로 플라스틱 필름을 밀착시킴으로써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필름과 인쇄 헤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쇄의 어긋남 등을 방지하여 인쇄 정밀도 및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상기 어긋남 방지 기구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핀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플래튼 롤러의 접촉각(θ)과, 상기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생기는 정방향 장력(T2)과, 상기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2)의 평균 장력(T)[=(T1 + T2)/2]과, 상기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2)의 장력 차(ΔT)(=│T1 - T2/T)와, 상기 핀치 롤러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힘(P)과,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μ)가 하기의 (1)식을 만족시켜도 좋다.
│2μTsin(θ/2)│+ μP > T × (1 + ΔT) … (1)
(단, θ = 0°내지 180°)
(1)식의 좌변은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 사이의 공급측과 권취측의 핀치 롤러 사이의 중심점과 각 핀치 롤러 압박 부분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나타내고, 한편 우변은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 사이에 미끄러짐을 생기게 하는 힘(미끄러짐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1)식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마찰력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필름을 플래튼 롤러의 회전 속도로 일정하게 이송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인쇄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각(θ)은 플래튼 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와 플라스틱 필름이 접촉을 개시하는 점과 플래튼 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플래튼 롤러로부터 플라스틱 필름이 이격되는 점과 플래튼 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의 접촉각(θ)을 크게 할수록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각(θ)이 15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θ)이 180°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직경이 100 ㎜보다 커도 좋다. 플래튼 롤러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플래튼 롤러에 권취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플라스틱 필름과 플래튼 롤러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플라스틱 필름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전사재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복수의 잉크 리본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상기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인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잉크 리본 이동 기구와, 상기 인쇄 위치로 이동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전사재로 인쇄하는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위치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재에 인쇄된 화상을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전사하는 전사 기구를 구비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에 따르면, 전사재로 화상을 인쇄하고, 이 전사재의 화상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전사한다. 그로 인해, 인쇄 헤드로부터 직접 인쇄하기 어려운 재질이나 형상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상기 인쇄 헤드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잉크 리본과 상기 전사재를 지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전사재를 어긋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어긋남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와 전사재를 밀착시킴으로써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하여 인쇄 정밀도 및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상기 어긋남 방지 기구로서 상기 전사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핀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전사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접촉각(θT)과,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전사재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재에 생기는 정방향 장력(TT2)과, 상기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T2)의 평균 장력(TT)[=(TT1 + TT2)/2]과, 상기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T2)의 장력 차(ΔTT)(=│TT1 - TT2│/TT)와, 상기 핀치 롤러가 상기 전사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힘(PT)과,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전사재 사이의 동마찰 계수(μT)가 하기의 (2)식을 만족시켜도 좋다.
│2μTTTsin(θT/2)│+ μTPT > T × (1 + ΔT) … (2)
(단, θT = 0°내지 180°)
(2)식의 좌변은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공급측과 권취측의 핀치 롤러 사이의 중심점과 각 핀치 롤러 압박 부분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나타내고, 한편 우변은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미끄러짐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2)식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각(θT)은 플래튼 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전사재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와 전사재가 접촉을 개시하는 점과 플래튼 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플래튼 롤러로부터 전사재가 이격되는 점과 플래튼 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접촉각(θT)을 크게 설정할수록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각(θT)이 15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는 상기 접촉각(θT)이 180°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직경이 100 ㎜보다 커도 좋다. 플래튼 롤러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플래튼 롤러로의 전사재의 권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재와 플래튼 롤러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사재를 어긋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필름으로 열전사 인쇄 방식에 의해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인쇄판이 불필요해져 인쇄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사 인쇄 방식에서는 인쇄 헤드에 의해 피인쇄물로 인쇄를 행하므로, 인쇄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처리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간이하게 인쇄 내용을 변경, 수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3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도5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6)의 직경, 접촉각, 동마찰 계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7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C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D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 타내는 도면.
도7E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C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D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E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C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D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나 타내는 도면.
도9E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A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C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D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E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조립되는 필름 반송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프린터(1)는 플라스틱 필름(2)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으로서의 필름 반송 장치(3)와, 잉크 리본 이동 기구로서의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과, 인쇄 헤드로서의 서멀 헤드(5)와, 플래튼 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필름 반송 장치(3)는 필름(2)의 공급측 롤(7)을 보유 지지하는 롤 보유 지지 기구(8)와, 필름(2)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9)와, 필 름(2)을 도1의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 공급측 롤(7) 및 권취측 롤(10)(도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은 복수(도1에서는 8개)의 잉크 리본(11a 내지 11h)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리본 보유 지지 기구(12)와, 복수의 리본 보유 지지 기구(12)가 설치되는 프레임(13)과,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11)이, 서멀 헤드(5)가 배치된 인쇄 위치(14)로 이동하도록 프레임(13)을 도1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프레임 구동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은 개틀링식 잉크 리본 유닛이라 불리우는 경우도 있다. 서멀 헤드(5)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라도 좋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프린터(1)에 있어서의 필름(2)으로의 인쇄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이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인, 예를 들어 잉크 리본(11e)을 인쇄 위치(14)로 이동시킨다. 이 동작과 병행하여 필름 반송 장치(3)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필름(2)을 반송하고, 필름(2) 상에 두고 최초에 화상을 인쇄하는 범위(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를 인쇄 위치(14)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서멀 헤드(5)가 잉크 리본(11e)을 필름(2)으로 압박하면서 가열하고, 잉크 리본(11e)의 잉크를 필름(2)으로 전사시킨다. 플래튼 롤러(6)는 서멀 헤드(5)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잉크 전사 시에 잉크 리본(11e) 및 필름(2)을 지지한다. 필름 반송 장치(3)는 이 서멀 헤드(5)에 의한 잉크의 전사 시에 소정의 이송 속도로 필름(2)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들의 동작에 의해, 필름(2)으 로 화상이 인쇄된다.
필름 반송 장치(3)가 최초의 인쇄 범위의 인쇄 종료 위치까지 필름(2)을 이동시키면, 최초의 인쇄 범위로의 인쇄가 종료된다. 그 후, 필름 반송 장치(3)가 필름(2)을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하고, 다음의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를 맞춘다. 위치 맞춤 종료 후, 서멀 헤드(5)에 의해 다음 인쇄 범위로 화상이 인쇄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필름(2)으로 차례로 화상이 인쇄된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을 컬러로 인쇄하는 등 동일한 인쇄 범위로 복수회 잉크를 전사시키는 경우에는 최초의 인쇄 범위로의 1회째의 인쇄가 종료된 후, 필름 반송 장치(3)가 화살표 B방향으로 필름(2)을 반송하고, 다시 최초의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를 맞춘다. 다음에, 1회째의 인쇄에서 사용한 잉크 리본(11e)과는 다른 잉크 리본으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이 1회째의 인쇄에 사용한 잉크 리본(11e)과는 다른 잉크 리본인, 예를 들어 잉크 리본(11f)을 인쇄 위치(14)로 이동시킨다. 그 후, 서멀 헤드(5)는 최초의 인쇄 범위로 2회째의 인쇄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횟수, 최초의 인쇄 범위로 인쇄를 행한다. 최초의 인쇄 범위에 대한 소정의 횟수의 인쇄 종료 후, 다음의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위치(14)로 이송되고, 다음의 인쇄 범위에 대해서도 최초의 인쇄 범위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횟수 인쇄가 행해진다. 이들 동작이 차례로 행해짐으로써 동일한 인쇄 범위로 복수회 잉크를 전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터(1)가 동작함으로써 플라스틱 필름(2)에 화상이 인쇄된다.
도2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는 화상을 중간 전사재로 인쇄하고, 그 후, 중간 전사재로 인쇄한 화상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전사한다. 또한, 도2에 있어서, 도1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프린터(1)는 중간 전사재(15)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전사재 반송 장치(16)와, 중간 전사재(15)에 인쇄된 화상을 필름(2)으로 전사하는 전사 기구(17)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 도1의 프린터(1)와 다르다. 전사재 반송 장치(16)는 중간 전사재(15)의 전사재 공급측 롤(18)을 보유 지지하는 전사재 롤 보유 지지 기구(19)와, 중간 전사재(15)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유도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9)와, 중간 전사재(15)를 도2의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 전사재 공급측 롤(18) 및 전사재 권취측 롤(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기구(17)는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중간 전사재(15)를 가열하는 히트 롤러(20)와, 중간 전사재(15)와 필름(2)을 히트 롤러(20)로 압박하는 가압 롤러(21)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2의 프린터(1)에 있어서의 필름(2)으로의 인쇄 순서를 설명한다. 중간 전사재(15)로의 인쇄 순서는 도1의 프린터(1)가 필름(2)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순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이 인쇄된 중간 전사재(15)는 전사 기구(17)로 반송된다. 전사 기구(17)에서는 필름(2)과 중간 전사재(15)를 가압 롤러(21)로 가압하면서 히트 롤러(20)로 가열하여 중간 전사재(15)에 인쇄된 화상을 필름(2)으로 전사시킨다. 이들의 동작에 의해, 필름(2)으로 화상이 인쇄된다.
이와 같이, 중간 전사재(15)로 화상을 인쇄하여 이 화상을 필름(2)으로 전사함으로써 서멀 헤드(5)로부터 직접 인쇄하기 어려운 형상이나 재질의 필름(2)에 인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 반송 장치(3)의 다른 예를 도3A, 도3B 내지 도10A 내지 도10E에 나타낸다. 또한, 도3A, 도3B 내지 도10A 내지 도10E에 있어서, 도1 및 도2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3A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필름(2)을 공급측 롤(7)로부터 인쇄 위치(14)를 통과시켜 권취측 롤(10)에 직접 권취시키고 있다[필름(2)은 도3A에 있어서 Ⅰ → Ⅱ → 인쇄 위치(14) → Ⅲ의 순으로 반송됨]. 이와 같이, 필름(2)을 반송함으로써 가이드 롤러(9)를 생략하여 반송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3B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필름(2)과 플래튼 롤러(6)가 밀착하도록, 예를 들어 도3B에 도시한 원주(GR) 상이고, 또한 인쇄 위치(14)와는 플래튼 롤러(6)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가이드 롤러(9)를 배치한다. 도3B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 필름(2)은 Ⅰ → Ⅱ → Ⅲ → 인쇄 위치(14) → Ⅳ → Ⅴ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9)를 배치함으로써 인쇄 시에 필름(2)과 플래튼 롤러(6)를 밀착시켜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4A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플래튼 롤러(6)로 필름(2)을 밀착시키기 위한 핀치 롤러(22)를 구비하고 있다. 도4A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 필름(2)은 Ⅰ → Ⅱ → Ⅲ → 인쇄 위치(14) → Ⅳ → Ⅴ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필름(2)을 플래튼 롤러(6)의 외주를 따라서 반송함으로써 필름(2)과 플래튼 롤 러(6)를 더 밀착시켜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반송 장치(3)에 가이드 롤러(9) 및 핀치 롤러(22)의 양쪽을 설치함으로써도 도4A의 필름 반송 장치(3)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4B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 필름(2)은 Ⅰ → Ⅱ → Ⅲ → Ⅳ → 인쇄 위치(14) → Ⅴ → Ⅵ → Ⅶ의 순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3B, 도4B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9)의 위치는 원주(GR) 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위치로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다.
도5의 프린터(1)에서는 필름 반송 장치(3)의 각 파라미터가 하기의 (1)식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2μTsin(θ/2)│+ μP > T × (1 + ΔT) … (1)
(단, θ = 0°내지 180°)
또한, (1)식 중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θ : 필름(2)과 플래튼 롤러(6)의 접촉각
μ : 필름(2)과 플래튼 롤러(6)의 동마찰 계수
P : 핀치 롤러(22)가 필름(2)을 플래튼 롤러(6)로 압박하는 힘
T1 : 도5의 화살표 B방향[필름(2)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필름(2)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
T2 : 도5의 화살표 A방향[필름(2)의 반송 방향]으로 필름(2)에 생기는 정방 향 장력
T[= (T1 + T2 )/2] : 역방향 장력(T1)과 정방향 장력(T2)의 평균 장력
ΔT(=│T1 - T2│/T) : 역방향 장력(T1)과 정방향 장력(T2)의 장력 차
(1)식에 있어서, 좌변은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의 공급측(도5의 상측)과 권취측(도5의 하측)의 핀치 롤러(22) 사이의 중심점과 각 핀치 롤러(22)의 압박 부분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우변은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의 미끄러짐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로 인해, (1)식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래튼 롤러(6)의 회전 속도로 일정하게 필름(2)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3A, 도3B 및 도4A, 도4B의 프린터(1)에서도 상술한 (1)식을 만족시키도록 필름 반송 장치(3)의 각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인쇄의 어긋남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도5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6)의 직경(R), 접촉각(θ), 동마찰 계수(μ)를 변화시켜 인쇄한 경우에, 인쇄의 어긋남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험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각 조건에 있어서 (1)식에 관계되는 직경(R), 접촉각(θ), 동마찰 계수(μ) 이외의 파라미터는 모두 동일한 값으로 하였다. 도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접촉각(θ)은 180°이상에 있어서 인쇄의 어긋남이 없어지지만, 동마찰 계수(μ)를 증가시킴으로써 120°에서도 인쇄의 어긋남을 없앨 수 있다. 플래튼 롤러(6)의 직경(R)은 60 ㎜보다도 150 ㎜의 쪽이 인쇄 의 어긋남 발생이 적다. 이는 플래튼 롤러(6)의 직경(R)이 커짐으로써, 플래튼 롤러(6)로의 필름(2)의 권취 길이가 길어져 필름(2)과 플래튼 롤러(6)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접촉각(θ)을 120°와 180°의 중간인 150°보다 크게 설정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도 좋고, 플래튼 롤러(6)의 직경(R)을 60 ㎜와 150 ㎜의 대략 중간의 직경인 100 ㎜보다 크게 하여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접촉각(θ)이나 직경(R)을 설정함으로써 인쇄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치 롤러(22)의 위치는 도5에 도시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1)식이 만족되는 접촉각(θ)을 설정할 수 있는 위치로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핀치 롤러(22)의 배치 개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의 동마찰 계수(μ)에 의해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의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1)식의 좌변이 우변을 상회함], 핀치 롤러(22)는 없어도 좋고, 1개라도 좋다. 또한, 핀치 롤러(22)가 없는 경우에는 하기의 (1')식이 만족되도록 각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2μ Tsin(θ/2)│> T × (1 + ΔT) … (1')
(단, θ = 0°내지 180°)
핀치 롤러(22)만으로 필름(2)과 플래튼 롤러(6)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촉각(θ)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이드 롤러(9)를 필름 반송 장치(3)에 형성해도 좋다.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핀치 롤러(22)가 플래튼 롤러(6) 의 회전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필름(2)의 인쇄 범위가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고정된다. 이 점이 도4A의 필름 반송 장치(3)와 다르다. 도4A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핀치 롤러(22)가 플래튼 롤러(6)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지 않으므로, 권취측 롤(10)이 필름(2)을 권취함으로써 인쇄 시의 필름(2)의 이동이 행해진다. 한편,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는 플래튼 롤러(6)의 회전에 수반하여 핀치 롤러(22)가 이동함으로써 필름(2)이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고정된다. 그로 인해,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의 인쇄 시의 필름(2)의 이동은 플래튼 롤러(6)가 도7A 내지 도7E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의 필름(2)은 도7C의 상태에 있어서 도4A와 동일한 경로에서 플래튼 롤러(6)에 권취된다.
다음에,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의 인쇄 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A 내지 도7E는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6) 및 핀치 롤러(22)의 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인쇄 개시 전, 핀치 롤러(22)는 도7C에 도시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로 인해, 권취측 롤(10)이 필름(2)을 권취함으로써 필름(2)의 최초의 인쇄 범위가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으로 반송된다. 권취측 롤(10)에 의한 필름(2)의 반송 종료 후, 플래튼 롤러(6)는 도7A 내지 도7E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필름(2)의 최초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를 맞춘다. 핀치 롤러(22)는 권취측 롤(10)에 의한 필름(2)의 반송 종료 후에 고정이 해제되어 플래튼 롤러(6)의 회전과 함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의 동작에 의해, 필름 반송 장치(3)는 도7A의 상태가 된다.
서멀 헤드(5)에 의한 인쇄의 개시와 함께, 플래튼 롤러(6)는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이 회전에 수반하여 핀치 롤러(22)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 후, 인쇄 중에는 도7B, 도7C, 도7D, 도7E의 순서로 화살표 A방향으로 플래튼 롤러(6)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수반하여 핀치 롤러(22)도 이동한다. 또한, 플래튼 롤러(6)의 회전과 핀치 롤러(22)의 이동은 동기하고 있으므로, 인쇄 시에 있어서 필름(2)의 인쇄 범위는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고정된다. 도7E의 위치까지 플래튼 롤러(6)가 회전하면, 서멀 헤드(5)에 의한 인쇄가 종료된다. 인쇄 종료 후, 필름 반송 장치(3)는 도7C의 상태가 되어 권취측 롤(10)에 의한 필름(2)의 반송이 행해지고, 다음의 인쇄 범위가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으로 반송된다.
또한, 동일한 인쇄 범위에 복수회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인쇄 범위로의 1회째의 인쇄 종료 후, 도7E의 상태로부터 플래튼 롤러(6)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핀치 롤러(22)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최초의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를 맞춘다(도7A의 상태가 됨). 또한, 이 동작 시에도 핀치 롤러(22)의 이동은 플래튼 롤러(6)의 회전과 동기하고 있으므로, 필름(2)의 최초 인쇄 범위는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7E의 상태로부터 도7A의 상태로 된다. 그 후, 잉크 리본(11)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4)이 잉크 리본(11)을 변경한 후, 다시 최초의 인쇄 범위로 인쇄를 행한다. 이 동작을 소정의 횟수 반복함으로써 동일한 인쇄 범위로 복수회 인쇄를 행한다.
이와 같이, 인쇄 시에 필름(2)을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밀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인쇄 범위에 중첩하여 잉크를 전사시키는 경우,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필름(2)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래튼 롤러(6)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그로 인해, 동일 인쇄 범위로 중첩하여 인쇄하는 경우의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하여 인쇄 정밀도 및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어긋남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도7A 내지 도7E와 마찬가지로 인쇄 시에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에 필름(2)을 고정하는 필름 반송 장치(31)의 다른 예를 도8A 내지 도8E 내지 도10A 내지 도10E에 나타낸다. 도8A 내지 도8E의 필름 반송 장치(3)는 인쇄 시에 필름(2)과 필름(2)이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 롤러(9)가 설치되고, 또한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6)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이드 롤러(9)가 이동하는 점이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와 다르다. 또한, 도8A 내지 도8E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의 필름(2)은 도8C의 상태에 있어서 도4B와 동일한 경로에서 플래튼 롤러(6)에 권취된다.
도8A 내지 도8E는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6), 핀치 롤러(22) 및 가이드 롤러(9)의 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플래튼 롤러(6) 및 핀치 롤러(22)의 동작은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 개시 전, 권취측 롤(10)에 의한 필름의 반송이 종료될 때까지 가이드 롤러(9)는 도8C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반송 종료 후, 가이 드 롤러(9)는 플래튼 롤러(6)의 회전에 수반하여 원주(GR) 상을 화살표 B방향으로 도8A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인쇄 중에는, 도8B, 도8C, 도8D, 도8E의 순으로 가이드 롤러(9)는 원주(GR) 상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쇄 종료 후, 가이드 롤러(9)는 도8C의 위치에 고정되고, 권취측 롤러(10)에 의해 다음의 인쇄 범위가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으로 반송된다. 또한, 동일한 인쇄 범위로 복수회 중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는, 1회째의 인쇄 종료 후, 도8E의 상태로부터 도8A의 상태로 복귀되어 다시 동일한 인쇄 범위로 인쇄를 행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9)를 설치함으로써 인쇄 시에 필름(2)과 필름(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2)과 필름(2)이 마찰되는 것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이나 인쇄의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9A 내지 도9E의 필름 반송 장치(3)는 가이드 롤러(9)를 도9A 내지 도9E에 도시한 부위에 2개씩 설치하고, 플래튼 롤러(6)의 중심과 공급측 롤(7) 및 권취측 롤(10)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점이 도8A 내지 도8E의 필름 반송 장치(3)와 다르다. 또한, 도9A 내지 도9E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의 필름(2)은 도9C의 상태에 있어서 도8C와 동일한 경로에서 플래튼 롤러(6)에 권취된다. 도9A 내지 도9E는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6), 핀치 롤러(22) 및 가이드 롤러(9)의 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롤러(6, 9, 22)의 인쇄 시의 동작은 도8A 내지 도8E의 필름 반송 장치(3)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9)를 설치함으로써, 플래튼 롤러(6)의 중심과 공급측 롤(7) 및 권취측 롤(10)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라도 인쇄 시에 있어서의 필름(2)과 필름(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A 내지 도10E의 필름 반송 장치(3)는 플래튼 롤러(6)의 중심과 공급측 롤(7) 및 권취측 롤(10)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가이드 롤러(9)가 도10A 내지 도10E에 도시하는 선(GL) 상을 화살표 D 및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이 다른 필름 반송 장치와 다르다. 또한, 도10A 내지 도10E의 필름 반송 장치(3)에 있어서의 필름(2)은 도10C의 상태에 있어서 도8C와 동일한 경로에서 플래튼 롤러(6)에 권취된다.
도10A 내지 도10E에 인쇄 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6), 핀치 롤러(22) 및 가이드 롤러(9)의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플래튼 롤러(6) 및 핀치 롤러(22)의 동작은 도7A 내지 도7E의 필름 반송 장치(3)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쇄 개시 전에 행해지는 권취측 롤(10)에 의한 필름(2)의 반송 동작은 도8A 내지 도8E의 필름 반송 장치(3)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필름(2)의 반송 종료 후, 플래튼 롤러(6)는 최초 인쇄 범위의 인쇄 개시 위치와 인쇄 위치(14)와 맞추기 위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롤러(9)는 이 플래튼 롤러(6)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GL) 상을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의 동작에 의해 필름 반송 장치(3)는 도10A의 상태가 된다.
인쇄가 개시되면, 가이드 롤러(9)는 플래튼 롤러(6)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속도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 후, 인쇄 중에는, 도10B, 도10C, 도10D, 도10E에 나타낸 순서로 가이드 롤러(9)는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쇄 종료 후, 가이드 롤러(9)는 도10C의 위치에 고정되어 권 취측 롤러(10)에 의해 다음의 인쇄 범위가 플래튼 롤러(6)의 외주 상으로 반송된다. 또한, 동일한 인쇄 범위로 복수회 중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는 최초 인쇄 범위로의 1회째의 인쇄 종료 후, 도10E의 상태로부터 도10A의 상태로 복귀되고, 다시 동일한 인쇄 범위로 인쇄를 행한다. 이와 같이, 선(GL) 상을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롤러(9)를 설치함으로써도 인쇄 중에 있어서의 필름(2)과 필름(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가이드 롤러(9) 및 핀치 롤러(22)는 어긋남 방지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도3A, 도3B 내지 도10A 내지 도10E의 필름 반송 장치(3)의 반송 기구는 필름(2)의 반송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재(15)를 반송하는 전사재 반송 장치(16)에 어긋남 방지 기구를 포함한 이들의 기구를 적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중간 전사재(15)와 플래튼 롤러(6)를 밀착시킴으로써 중간 전사재(15)로의 인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의 필름 반송 장치(3)에서 중간 전사재(15)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하기의 (2)식을 만족시키도록 각 파라미터가 설정되어도 좋다.
(2)식을 만족시키도록 각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경우,
│2μTTTsin(θT/2)│+ μTPT > TT × (1 + ΔTT) … (2)
(단, θT = 0°내지 180°)
또한, (2)식 중의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θT : 중간 전사재(15)와 플래튼 롤러(6)의 접촉각
μT : 중간 전사재(15)와 플래튼 롤러(6)의 동마찰 계수
PT : 핀치 롤러(22)가 중간 전사재(15)를 플래튼 롤러(6)로 압박하는 힘
TT1 : 중간 전사재(15)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중간 전사재(15)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
TT2 : 중간 전사재(15)의 반송 방향으로 중간 전사재(15)에 생기는 정방향 장력
TT[= TT1 + TT2)/2] : 역방향 장력(TT1)과 정방향 장력(TT2)의 평균 장력
ΔTT(=│TT1 - TT2│/TT) : 역방향 장력(TT1)과 정방향 장력(TT2)의 장력 차
이 경우에도 중간 전사재(15)와 플래튼 롤러(6)의 어느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해, 접촉각(θT)을 150°보다 크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중간 전사재(15)와 플래튼 롤러(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래튼 롤러(6)의 직경을 100 ㎜보다 크게 해도 좋다. 또한, 핀치 롤러(22)가 없는 경우에는 하기의 (2')식을 만족시키도록 각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2μTTTsin(θT/2)│ > TT × (1 + ΔTT) … (2')
(단, θT = 0°내지 18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 다. 예를 들어,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의 회전 방향은 일 방향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과 서멀 헤드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중간 전사재 등의 피인쇄물에 대해 편측에만 설치될 필요는 없다. 피인쇄물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회전식 잉크 리본 유닛과 서멀 헤드를 피인쇄물의 양면의 측에 각각 형성해도 좋다.

Claims (10)

  1. 플라스틱 필름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복수의 잉크 리본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상기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인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잉크 리본 이동 기구와, 상기 인쇄 위치로 이동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쇄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잉크 리본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어긋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어긋남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기구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핀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플래튼 롤러의 접촉각(θ)과, 상기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생기는 정방향 장력(T2)과, 상기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2)의 평균 장력(T)[=(T1 + T2)/2]과, 상기 역방향 장력(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2)의 장력 차(ΔT)(=│T1 - T2│/T)와, 상기 핀치 롤러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힘(P)과,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μ)가 하기의 (1)식을 만족시키는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2μTsin(θ/2)│+ μP > T × (1 + ΔT) … (1)
    (단, θ = 0°내지 18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θ)이 15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θ)이 180°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직경이 100 ㎜보다 큰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6. 플라스틱 필름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전사재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복수의 잉크 리본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잉크 리본 중 임의로 선택된 잉크 리본을 상기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인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잉크 리본 이동 기구와, 상기 인쇄 위치로 이동한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전사재로 인쇄하는 인쇄 헤드와, 상기 인쇄 위치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재에 인쇄된 화상을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 전사하는 전사 기구를 구비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잉크 리본과 상기 전사재를 지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전사재를 어긋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어긋남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기구로서 상기 전사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핀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전사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접촉각(θT)과,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전사재에 생기는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전사재에 생기는 정방향 장력(TT2)과, 상기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T2)의 평균 장력(TT)[=(TT1 + TT2)/2]과, 상기 역방향 장력(TT1)과 상기 정방향 장력(TT2)의 장력 차(ΔTT)(=│TT1 - TT2│/TT)와, 상기 핀치 롤러가 상기 전사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로 압박하는 힘(P)과,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전사재 사이의 동마찰 계수(μ)가 하기의 (2)식을 만족시키는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2μTTTsin(θT/2)│+ μTPT > TT × (1 + ΔTT) … (2)
    (단, θT = 0°내지 18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θT)이 15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각(θT)이 180°보다 크게 설정되고,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직경이 100 ㎜보다 큰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KR1020067022403A 2004-03-30 2005-03-30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KR20070010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9811 2004-03-30
JP2004099811A JP2005280198A (ja) 2004-03-30 2004-03-30 フィルム用熱転写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032A true KR20070010032A (ko) 2007-01-19

Family

ID=3506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403A KR20070010032A (ko) 2004-03-30 2005-03-30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5533B2 (ko)
EP (1) EP1731317A4 (ko)
JP (1) JP2005280198A (ko)
KR (1) KR20070010032A (ko)
CN (1) CN1964854A (ko)
WO (1) WO2005095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941B2 (ja) * 2008-03-28 2013-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用熱転写プリンタ、および熱転写印画方法
JP2010208209A (ja) * 2009-03-11 2010-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印刷方法
US8922611B1 (en) 2013-10-09 2014-12-30 Markem-Imaj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US10449781B2 (en) 2013-10-09 2019-10-22 Dover Europe Sar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CN103802456B (zh) * 2014-01-13 2016-03-16 上海美声服饰辅料有限公司 热烫机
US11040548B1 (en) 2019-12-10 2021-06-22 Dover Europe Sarl Thermal transfer printers for deposition of thin ink layers including a carrier belt and rigid blad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35B2 (ja) * 1986-10-22 1996-01-24 富士通株式会社 熱転写記録装置
JPH02121862A (ja) 1988-10-31 1990-05-0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2121873A (ja) 1988-10-31 1990-05-0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179390A (en) 1989-07-10 1993-01-12 Canon Kabushiki Kaisha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that securely transports the ink containing member
JPH03215045A (ja) 1990-01-19 1991-09-20 Fuji Xerox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JPH03215064A (ja) 1990-01-19 1991-09-20 Fuji Xerox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US5152618A (en) * 1991-06-07 1992-10-06 Eastman Kodak Company Pinch roller control in a printer
JP3362459B2 (ja) 1992-08-31 2003-01-07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H10202993A (ja) 1997-01-23 1998-08-04 Syst Intelligence Prod:Kk 画像記録装置
JPH11170583A (ja) 1997-12-11 1999-06-29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ープリンタおよびその駆動方式
EP1211082A4 (en) * 1999-06-16 2002-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ERMAL TRANSFER PRINTING DEVICE AND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USING THE DEVICE
JP2001180070A (ja) * 1999-12-27 2001-07-03 Wedge:Kk 画像記録装置
JP4025053B2 (ja) * 2001-10-25 2007-12-19 株式会社大生機械 ラインサーマルヘッドによる印字方法
JP2003154694A (ja) * 2001-11-26 2003-05-27 Alps Electric Co Ltd 中間転写印刷装置
US6910820B2 (en) * 2003-07-25 2005-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linerless label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317A4 (en) 2009-07-29
JP2005280198A (ja) 2005-10-13
US7675533B2 (en) 2010-03-09
EP1731317A1 (en) 2006-12-13
CN1964854A (zh) 2007-05-16
US20080273074A1 (en) 2008-11-06
WO2005095110A1 (ja)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328B2 (en) Thermal printing device with an improved image registration, method for printing an image using said printing device and system for printing an image
KR20070010032A (ko) 필름용 열전사 프린터
KR20210024897A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기록매체
US5124724A (en) Color thermal printer
JPS63104862A (ja) 熱転写記録装置
US5703635A (en) Thermal transfer color recording device
US9604467B2 (en) Printing apparatus with controllable back tension on ink film and transfer film
JP2605260B2 (ja) 画像記録装置
JP3466324B2 (ja) 熱転写記録装置
JP200115855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における用紙搬送機構
JPH1034987A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熱転写記録方法
JP2573877B2 (ja) 印字方法
JPH0344918B2 (ko)
JP2021028129A (ja) 画像形成装置
JP4650143B2 (ja) カラープリンタ
JPH03183580A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JPH05201108A (ja) インクシートおよびこのインクシートを用いたプリンタ装置
JP2533444B2 (ja) 熱転写カラ―記録装置
JPH04272863A (ja) 熱転写記録装置
JP2808391B2 (ja) 熱転写カラー記録装置
JPH08290640A (ja) 熱転写式記録装置
JPH07164661A (ja) プリント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970A (ja) プリンタ装置
JPH0727851U (ja) 多色感熱記録装置
JPH0723553U (ja) カラープリンタの用紙搬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