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652A -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652A
KR20070006652A KR1020060131719A KR20060131719A KR20070006652A KR 20070006652 A KR20070006652 A KR 20070006652A KR 1020060131719 A KR1020060131719 A KR 1020060131719A KR 20060131719 A KR20060131719 A KR 20060131719A KR 20070006652 A KR20070006652 A KR 20070006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bridge
pie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059B1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06013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0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각(90)에 대해 단순 결합되는 거치식으로 교각(90) 상부의 단차에 제한 없이 개개의 구조물을 간단하게 서로 볼트 고정시키는 결합방식으로서, 시공시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시 해체작업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수직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의 상측이 삽입 결합되는 상부지지고정대(40)와,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직각의 양쪽으로는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한쪽 수직방향의 수직지지부(82a)가 삽입 결합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내측에는 교각(90) 측부의 높이조절 및 지지수단인 상기 높이조절지지대(30a)의 하측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20)가 형성되면서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17)이 결합되는 난간지지대(15)가 형성되고 중간 하부로는 발판지지대(11)가 일체 형성된 점검통로받침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Check equipment for bridge of a deferred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단차가 발생된 교각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이 교각에 설치된 평면방향의 개략적인 구조도 및 부분확대 구조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이 교각에 설치된 측면방향 및 정면방향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차가 발생된 교각에 적용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모서리지지고정대 및 모서리단차고정대에 대한 도 3의 A부분 및 B부분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단차가 발생된 교각에 적용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모서리지지고정대 및 모서리단차고정대와 수직의 높이보조지지대 및 높이조절지지대의 설치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 2의 A부분 내지 D부분 확대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을 구성하는 상측의 상부지지고정대와 하측의 점검통로받침대가 교각에 설치된 요부확대 구조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구성품인 상부지지고정대와 모서리지지고정대와 모서리단차고정대와 높이조절지지대와 점검통 로받침지지대에 대한 각각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앵커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측면방향 및 평면방향 구조도.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걸이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측면방향 및 평면방향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점검통로받침대 11 : 발판지지대
12 : 지지발판 13 : 앵글끼움홈
14 : 지지앵글 15 : 난간지지대
16 : 난간끼움홈 17 : 지지난간
20 : 높이조절끼움대 21,31,41,51,61,71,81 : 볼트체결공
22,32,42,52,62,72 : 내부관찰홀 23,43,63,73 : 지지대끼움부
24 : 지지대끼움홈 30a,30b : 높이조절지지대
40 : 상부지지고정대 44,64,74 : 연결대끼움부
50a,50b : 상부지지연결대 50b : 상부연결지지대
60 : 모서리지지고정대 70 : 모서리단차고정대
75 : 지지대끼움홈 80 : 높이보조지지대
82a,82b : 수직지지부 83 : 고정브래킷
84 : 수평지지부 90 : 교각
본 발명은 앵커식이 아닌 걸이(거치)식으로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각에 대해 단순 결합되는 거치식으로 교각 상부의 단차에 제한없이 개개의 구조물을 간단하게 서로 볼트고정시키는 결합방식으로 시공시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시 해체작업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으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교량은 상부구조인 상판을 하부구조인 교각이 슈(Shoe)를 매개로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각각의 교각에는 점검통로와 상기 점검통로를 교각에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점검시설(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점점시설물은 도 9a 및 도 9b에서 보는 것처럼, 철재구조물인 고정지지대가 교각의 벽면에 통상 앵커볼트로서 고정되기 때문에 교각의 손상이 발생되기 쉬운데, 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교각에 고정된 앵커볼트가 헐거워지면서 점검통로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점검통로가 흔들리는 등의 구조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추락의 위험성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즉,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앵커식 점검대(점검시설물)는 교량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수십 개의 앵커볼트를 교각에 먼저 삽입 시공하고 교 각 측부의 지지대와 교각 주변의 점검통로를 서로 볼트결합시켜 구성되는바, 설치 후 장시간이 흐르면서 시멘트인 교각에 결합된 앵커볼트의 파손과 부식이 발생하여 결국 교각의 내하력을 저하시켜 안전율이 저하됨은 물론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술한 앵커볼트의 결합방식에 의한 앵커식 점검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선된 걸이식 점검대의 경우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는 것처럼 앵커볼트의 사용에 의한 부식이나 교각의 시멘트 파손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교각 상측의 슈(Shoe) 부근을 피해 지지대를 설치할 수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점검시설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취약할 수밖에 없고, 교각의 슈를 피해 지지대를 설치하는 관계로 구조적으로도 복잡하여 설치비용도 필요 이상으로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슈가 부착되는 교각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단차가 있는 교량의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걸이식 점검대 구성관계로는 구조적으로 설치 자체가 힘들며, 설령 어렵게 설치한다 하더라도 들어가는 작업공수가 필요이상으로 증대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기 곤란하여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9977호(걸이식 교량점검대)나 특허번호 제10-05955021호(교량점검용 고정자켓)을 보면, 슈가 부착되어 있는 교각의 상부가 수평인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점검시설물의 설치 적용이 가능하나, 교각이 단차가 있는 경우에는 구조상 단차부위에 대한 정상적인 결합상태가 이루어지기 곤란하고 결합상태의 확인도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점검통로가 한쪽이 구성되지 않는 즉, 점검통로가 사면을 통과하지 않 는 경우에는 점검통로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조적으로도 상당한 위험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단순 고정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교각 벽면에 대한 완전한 밀착이 불가능하여 결국 단차가 있는 교각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단차가 있는 교각에 대해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의 안정된 내구성도 유지될 수 있는 교량점검 시설물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통상 교각 하부의 점검통로와 교각 측부 및 상부에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교량의 점검시설(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앵커볼트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라 구성요소인 개개의 구조물들을 서로 간단하게 끼움조립하고, 이를 고정볼트로써 간단하게 결합시켜 시공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도 교각에 대한 충격이나 파손 없이 용이하게 서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단차가 있는 부위에 대해서도 높낮이를 조절하여 서로 연결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각 벽면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물의 안정된 밀착상태로서 결합유지될 수 있어, 교각과 구조물의 내구성을 함께 향상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교각의 손상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구성되어 교각에 설치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단차가 있는 교각의 상부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지 않고 상부의 테두리에 대해 일련의 개개 구조물들을 상호간에 간단하게 삽입 조립시 켜 나사 고정시킬 수 있어, 어떠한 교각에도 제한 없이 모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결합상태로서 교각과 구조물 모두를 함께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구조물인 자재의 재활용도 가능하고 기존 구조물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구조물 자체의 특성상 내부의 결합상태까지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결합시 및 결합후의 구조적인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도 발전된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은, 교각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수직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의 상측이 삽입 결합되는 상부지지고정대와, 교각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직각의 양쪽으로는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상부지지연결대가 삽입 결합되면서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의 한쪽 수직방향의 수직지지부가 삽입 결합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와, 내측에는 교각 측부의 높이조절 및 지지수단인 상기 높이조절지지대의 하측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가 형성되면서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이 결합되는 난간지지대가 형성되고 중간 하부로는 발판지지대가 일체 형성된 점검통로받침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단차가 있는 교각에 있어 교각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위치하는 모서리지지고정대와 별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교각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착되고 상기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와는 수직방향의 단차높이지지대로서 연결 고정되면서 아 래쪽의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의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다른 한쪽의 수직지지부가 삽입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부지지연결대가 삽입 결합되는 모서리단차고정대와, 상기 모서리단차고정대와 동일 높이의 교각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가 삽입 결합되면서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높이조절지지대의 상측이 삽입 결합되는 이웃하는 상부지지고정대와, 상기 높이조절지지대의 하측이 삽입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가 내측에 형성되면서 중간 하부의 발판지지대를 매개로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난간지지대가 일체 형성된 이웃하는 점검통로받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연결대는 교각 상부의 테두리부위 수평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결합부위의 폭이 큰 형태로서 이웃하는 상부연결지지대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시공방법은 교각의 규격을 실측하고 교량점검 시설물의 위치(거리)를 선정하여 해당 교각의 규격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교량점검 시설물을 절단하고 일정간격으로 볼트체결공도 천공하는 단계와,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와 모서리부위에 각각 상부지지고정대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를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상부연결지지대로서 연결시키는 단계와, 교각(90)의 단차부위에 대해 모서리단차고정대와 상부지지고정대를 설치하면서 이들 사이를 상부지지연결대로서 연결시키고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와 아래쪽의 모서리단차고정대 사이는 단차높이지지대로서 연결시키는 단계와, 위쪽과 아래쪽의 상부지지고정대들에 대해 각각 높이조절지지대로서 연결시키고 교각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모서리지지고정대와 모서리단차고정대에는 각각 높이보조지지대의 해당 수직지지부를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와, 점검통로받침대에 대해 교각 측벽에 설치된 높이조절지지대와 높이보조지지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단차가 있는 교각의 테두리부위에 교량점검 시설물을 걸이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교각 상부의 슈를 피해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던 기존의 걸이식 점검대와는 달리 단차가 있는 교각에도 슈를 피해 교각 상부의 테두리부위로만 설치하여 이를 교각 주변의 점검통로로 연결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후 파손 위험 및 안정성이 결여되었던 앵커식의 단점은 물론 교각 상부 전체에 걸쳐 설치하였던 기존 걸이식이 구조적인 단점과 한계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이하의 실시예를 통한 구성설명 및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원리를 보다 쉽게 전달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성원리에서 벗어나지 않은 기술수준 내에서는 다양한 응용예의 적용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단차가 발생된 교각(90)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분리상태 구성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이 교각(90)에 설치된 평면방향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이 교 각(90)에 설치된 측면방향 및 정면방향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단차가 발생된 교각(90)에 적용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중 위쪽에 설치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 및 단차진 아래쪽에 설치되는 모서리단차고정대(70)에 대한 도 3의 A부분 및 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단차가 발생된 교각(90)에 적용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구조물(구성요소)인 모서리지지고정대(60) 및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수직의 높이보조지지대(80) 및 높이조절지지대(30a)(30b)의 설치상태로서 도 2의 A부분 내지 D부분을 각각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을 구성하는 상측의 상부지지고정대(40)와 교각 주변에 위치하게 되는 하측의 점검통로받침대가 교각(90)에 설치된 요부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핵심 구성품들인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높이조절지지대(30a)(30b)와 점검통로받침지지대(10)에 대한 상세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은 기본적으로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대해 개개 구조물들을 상호간에 간단하게 삽입 조립시켜 나사 고정시킬 수 있어, 어떠한 교각(90)에도 제한 없이 모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결합상태로서 교각(90)과 구조물 모두를 함께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관계를 이룬다.
또한 교각(90) 상부중 단차가 있는 끝단 모서리부위의 상하쪽에 각각 단면이 지지프레임이 "ㄱ"자 형태인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가 교각(90)의 상면(수평면) 및 측면(수직면)에 함께 안착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서 교각(90)과의 안정된 결합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지지고정대(60) 및 모서리단차고정대(70)는 물론 교각(90) 측벽으로 연결되어 하측의 점검통로받침대(10)와 서로 결속되어 교각(90)에 대한 전체적인 결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지지대(30a)(30b) 및 상기 점검통로받침대(10) 그리고 상부연결지지대(50a)(50b) 모두 시공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관찰홀(22)(32)(42)(52) (62)(72)가 관통 형성된다.
특히 교각(90)의 측벽인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지지대(30a)(30b)를 기본으로 대부분의 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볼트체결공(21)(31)(41)(51)(61)(71)(81)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조건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임의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 시설물은 필요에 따라 교각(90)의 3면 테두리나 혹은 모든 4면 테두리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교량의 점검시설로서의 시공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교량점검 시설물은 슈(92)가 장착되는 교각(90)의 상면이 평평한 단일 구조이거나 또는 단차가 있어 층을 이루는 다단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떤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탈착과 부착이 가능할 수 있는바, 이는 교각(90) 전체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구성요소들을 결속시키는 기존의 걸이식과는 달리 교각(90)의 테두리부위에만 결속시키고 나아가 단차가 있어 층이 다른 교각의 경우에도 제한 없이 적용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구성관계를 이룬다.
이와 같이 기존 걸이식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차별화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된 구성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 시설물은, 먼저 상부지지고정대(40)의 경우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수직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의 상측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고정대(40)는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안착 고정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 또는 모서리단차고정대(70)에서와 같이, 교각(90) 상부의 수평방향 상면과 수직방향 측면에 함께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는 양쪽에서 상부지지연결대(50a)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대끼움부(44)가 형성되고, 수직방향 중앙으로는 높이조절지지대(30a)(30b)의 상측이 삽입 조립되어 볼트 고정되는 지지대끼움부(43)가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볼트체결공(41) 및 내부관찰홀(42)이 관통 형성된다. 특히 "ㄷ"자 형태인 횡방향의 상기 연결대끼움부(44)는 지지대끼움부(43)와 함께 그 하측이 교각(90) 측벽에 밀착 유지될 수 있도록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대끼움부(44)로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안착되더라도 단턱진 하측부위로 인해 상기 상부지지고정대(40)가 교각(90)에 대해 전체적으로 안정된 안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고정대(40)와 같이 교각(90)의 테두리부위 또는 모서리부위에 안착되는 다른 구조물들도 하측부위가 단턱진 형태가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또한 모서리지지고정대(60)를 보면,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 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직각의 양쪽으로는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한쪽 수직방향의 수직지지부(82a)가 삽입 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상부지지연결대(50a)로서 연결되며, 특히 상기 상부지지연결대(50a)는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 수평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결합부위의 폭이 큰 형태로서 이웃하는 다른 상부연결지지대(50b)와 연결되며, 기본적으로 교각(90) 상부는 테두리부위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상부지지고정대(40)가 설치되면서 3측 또는 4측의 모서리부위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가 설치되고 이들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 사이를 상부연결지지대(50a)(50b)가 연결되는 구성관계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교각(90) 상부는 전체적으로 테두리부위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인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로서 결속되는 한편, 아래쪽인 교각(90) 주변에 점검통로를 이루게되는 점검통로받침대(10)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높이조절지지대(30a)로서 연결되어 교각(90)에 대한 점검시설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점검통로받침대(10)를 보면, 내측에는 교각(90) 측부의 높이조절 및 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의 하측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20)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17)이 결합되는 난간지지대(15)가 형성되면서 중간 하부로는 발판지지대(11)가 일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즉, 점검통로받침대(10)는 높이조절수단이면서 교각(90)의 수직방향 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30b)의 하측이 삽입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정면부위와 양측부위에 각각 내부관찰홀(22)과 볼트체결공(21)이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끼움대(20)가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반대편 외측으로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17)이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난간지지대(15)가 형성되면서 이들 높이조절끼움대(20)와 난간지지대(15) 사이의 하부 중간부위에는 지지앵글(14)을 매개로 지지발판(12)이 결합 고정되는 발판지지대(11)가 일체 형성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6은 지지난간(17)이 체결 고정되는 난간끼움홈이며, 도면부호 13은 지지발판(12)을 받쳐주는 지지앵글(14)이 안착 고정되는 앵글끼움홈을 나타낸다.
그리고 높이조절지지대(30a)(30b)는 수평방향의 상부지지연결대(50a) 및 점검통로받침대(10) 내측의 높이조절끼움대(20)와 같이 교각(90) 벽면에 대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일정간격마다 전면부위와 양측부위에 각각 내부관찰홀(32)과 볼트체결공(3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높이보조지지대(80)는 수평방향으로는 점검통로받침대(10) 내측의 높이조절끼움대(20) 하단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평지지부(84)가 형성되고, 양쪽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를 달리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의 각 지지대끼움부(63)(7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부(82a)(82b)가 각각 형성되어 일체 결합된다. 미설명한 83은 상기 양쪽 수직방향의 수직지지부(82a)(82b)가 아래쪽 수평방향의 수평지지부(84)와 안정되게 고정볼트로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적용된 고정브래킷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교량점검 시설물은 기존의 걸이식과 달리 교각(90)이 단차진 조건에서도 어려움 없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는 교각(90)의 단차진 부위에 단차높이지지대(85)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의 적용으로 가능하다.
즉, 단차가 있는 교각(90)에 있어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위치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별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모서리단차고정대(70)가 설치되는데, 상기 모서리단차고정대(70)는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는 수직방향의 단차높이지지대(85)로서 연결 고정되면서 아래쪽의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다른 한쪽의 수직지지부(82b)가 삽입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단차진 아래쪽의 교각(9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고정대(40)는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동일 높이의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안착되며, 당연히 단차 위쪽의 교각(9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고정대(40)와 동일 구조로서 적용되는바,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면서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높이조절지지대(30b)의 상측이 삽입 결합된다. 아울러 단차진 아래쪽의 상부지지고정대(40) 역시 점검통로받침대(10)의 높이조절끼움대(20)와 높이조절지지대(30b)를 매개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모서리단차고정대(70)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같이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수평방향 상면과 수직방향 측면으로 함께 밀착 고정될 수 있 도록 직각의 양쪽 수평방향으로는 각각 상부지지연결대(50a)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대끼움부(64)(74)가 형성되고, 수직방향 중앙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각각 높이를 달리하는 해당 수직지지부(82a)(82b)가 삽입 조립되어 볼트 고정되는 지지대끼움부(63)(73)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일정간격마다 볼트체결공(61)(71) 및 내부관찰홀(62)(72)이 관통 형성되며, 특히 상기 모서리단차고정대(70)의 내측은 교각(90)의 단차부위에 대해 밀착 고정되면서 단차높이지지대(8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끼움홈(75)이 요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관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의 시공방법을 보면, 먼저 교각(90)의 규격 및 교량점검 시설물의 위치를 선정한 다음, 교량점검 시설물의 거리를 산정하여 해당 구조물에 대해 교각(90) 규격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고 필요에 따라 볼트체결공(21)(31)(41) (51)(61)(71)(81)도 천공한다.
그런 다음,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와 모서리부위에 각각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를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다수의 상부연결지지대(50a)(50b)로서 연결시켜 교각(90) 상부에 대한 구조물의 결합상태를 이룬다. 계속해서 교각(90)의 단차부위에도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먼저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상부지지고정대(40)를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역시 상부지지연결대(50a)(50b)로서 연결시킨다. 물론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아래쪽의 모서리단차고정대(70) 사이는 단차높이지지대(85)로서 연결시켜 교각의 폭방향에 대한 안정된 결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위쪽과 아래쪽의 상부지지고정대(40) 전체에 대해 각각 높이조절지지대(30a)(30b)로서 연결시키고, 교각(90)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에는 각각 높이보조지지대(80)의 해당 수직지지부(82a)(82b)를 각각 결합시켜 교각(90) 측벽에 대한 본 발명의 구조물이 안정되게 결속될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점검통로인 지지발판(12)과 지지난간(17)이 설치된 점검통로받침대(10)에 대해 교각(90) 측벽에 설치된 높이조절지지대(30a)(30b)와 높이보조지지대(80)를 결합시키는데, 먼저 상기 높이조절지지대(30a)(30b)는 상기 점검통로받침대(10) 내측의 높이조절끼움대(20)에 삽입 조립시켜 고정볼트로서 안정되게 결합 고정시키며, 계속해서 상기 높이보조지지대(80)는 수직지지부(84)를 상기 점검통로받침대(10)의 높이조절끼움대(20) 하단에 끼움 조립시키고 볼트 고정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교각(90)에 대한 본 발명의 구조물이 안정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은, 기본적으로 앵커볼트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라 구성요소인 개개의 구조물들을 서로 간단하게 끼움조립하고, 이를 고정볼트로써 간단하게 결합시켜 시공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시에도 교각에 대한 충격이나 파손 없이 용이하게 서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단차가 있는 부위에 대해서도 높낮이를 조절하여 서로 연결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각 벽면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물의 안정된 밀착상태로서 결 합유지될 수 있어, 교각과 구조물의 내구성을 함께 향상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교각의 손상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는 단차가 있는 교각의 상부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지 않고 상부의 테두리에 대해 일련의 개개 구조물들을 상호간에 간단하게 삽입 조립시켜 나사 고정시킬 수 있어 어떠한 교각에도 제한 없이 모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결합상태로서 교각과 구조물 모두를 함께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구조물인 자재의 재활용도 가능하고 기존 구조물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구조물 자체의 특성상 내부의 결합상태까지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바, 결합시 및 결합후의 구조적인 내구성 및 안정성을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로서 기존의 앵커식 또는 걸이식에서는 기대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수직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의 상측이 삽입 결합되는 상부지지고정대(40)와,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직각의 양쪽으로는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고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한쪽 수직방향의 수직지지부(82a)가 삽입 결합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내측에는 교각(90) 측부의 높이조절 및 지지수단인 상기 높이조절지지대(30a)의 하측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20)가 형성되면서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17)이 결합되는 난간지지대(15)가 형성되고 중간 하부로는 발판지지대(11)가 일체 형성된 점검통로받침대(1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2. 제 1항에 있어서,
    단차가 있는 교각에 있어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위치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별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안착되고 상기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는 수직방향의 단차높이지지대(85)로서 연결 고정되면서 아래쪽의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상대적으로 높이 가 낮은 다른 한쪽의 수직지지부(82b)가 삽입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는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상기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동일 높이의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에 안착되면서 상면 수평방향 양쪽으로는 수평지지수단인 상부지지연결대(50a)가 삽입 결합되면서 측면 수직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높이조절지지대(30b)의 상측이 삽입 결합되는 이웃하는 상부지지고정대(40)와,
    상기 높이조절지지대(30b)의 하측이 삽입 결합되는 높이조절끼움대(20)가 내측에 형성되면서 중간 하부의 발판지지대(11)를 매개로 외측에는 점검통로의 난간지지대(15)가 일체 형성된 이웃하는 점검통로받침대(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연결대(50a)는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 수평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결합부위의 폭이 큰 형태로서 이웃하는 상부연결지지대(50b)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고정대(40)는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안착 고정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 또는 모서리단차고정대(70)에서와 같이 교각(90) 상부의 수평 방향 상면과 수직방향 측면에 함께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는 양쪽에서 상부지지연결대(50a)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대끼움부(44)가 형성되고 수직방향 중앙으로는 높이조절지지대(30a)(30b)의 상측이 삽입 조립되어 볼트 고정되는 지지대끼움부(43)가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볼트체결공(41) 및 내부관찰홀(4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는 교각(90) 상부의 모서리부위에 대해 수평방향 상면과 수직방향 측면으로 함께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직각의 양쪽 수평방향으로는 각각 상부지지연결대(50a)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대끼움부(64)(74)가 형성되고 수직방향 중앙으로는 높이보조지지대(80)의 각각 높이를 달리하는 해당 수직지지부(82a)(82b)가 삽입 조립되어 볼트 고정되는 지지대끼움부(63)(73)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일정간격마다 볼트체결공(61)(71) 및 내부관찰홀(62)(72)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단차고정대(70)의 내측은 교각(90)의 단차부위에 대해 밀착 고정되면서 단차높이지지대(8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끼움홈(75)이 요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지지대(30a)(30b)는 수평방향의 상부지지연결대(50a) 및 점검통로받침대(10) 내측의 높이조절끼움대(20)와 같이 교각(90) 벽면에 대해 밀착 고 정될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일정간격마다 전면부위와 양측부위에 각각 내부관찰홀(32)과 볼트체결공(31)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7. 상기 높이보조지지대(80)는 수평방향으로는 점검통로받침대(10) 내측의 높이조절끼움대(20) 하단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평지지부(84)가 형성되면서 양쪽 수직방향으로는 높이를 달리하는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의 각 지지대끼움부(63)(7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부(82a)(82b)가 각각 형성되어 일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통로받침대(10)는 높이조절수단이면서 교각(90)의 수직방향 지지수단인 높이조절지지대(30a)(30b)의 하측이 삽입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정면부위와 양측부위에 각각 내부관찰홀(22)과 볼트체결공(21)이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끼움대(20)가 내측에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으로는 점검통로의 지지난간(17)이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난간지지대(15)가 형성되고 이들 높이조절끼움대(20)와 난간지지대(15) 사이의 하부 중간부위에는 지지앵글(14)을 매개로 지지발판(12)이 결합 고정되는 발판지지대(11)가 일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9. 교각(90)의 규격을 실측하고 교량점검 시설물의 위치(거리)를 선정하여 해당 교각(90)의 규격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교량점검 시설물을 절단하고 일정간격으로 볼트체결공도 천공하는 단계와,
    교각(90) 상부의 테두리부위와 모서리부위에 각각 상부지지고정대(40)와 모서리지지고정대(60)를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상부연결지지대(50a)(50b)로서 연결시키는 단계와,
    교각(90)의 단차부위에 대해 모서리단차고정대(70)와 상부지지고정대(40)를 설치하면서 이들 사이를 상부지지연결대(50a)(50b)로서 연결시키고 위쪽의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아래쪽의 모서리단차고정대(70) 사이는 단차높이지지대(85)로서 연결시키는 단계와,
    위쪽과 아래쪽의 상부지지고정대(40)들에 대해 각각 높이조절지지대(30a)(30b)로서 연결시키고 교각(90)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모서리지지고정대(60)와 모서리단차고정대(70)에는 각각 높이보조지지대(80)의 해당 수직지지부(82a)(82b)를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와,
    점검통로받침대(10)에 대해 교각(90) 측벽에 설치된 높이조절지지대(30a)(30b)와 높이보조지지대(8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단차가 있는 교각(90)의 테두리부위에 교량점검 시설물을 걸이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시공방법.
KR1020060131719A 2006-12-21 2006-12-21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7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19A KR100779059B1 (ko) 2006-12-21 2006-12-21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19A KR100779059B1 (ko) 2006-12-21 2006-12-21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652A true KR20070006652A (ko) 2007-01-11
KR100779059B1 KR100779059B1 (ko) 2007-11-27

Family

ID=3787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19A KR100779059B1 (ko) 2006-12-21 2006-12-21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0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EP3851585A1 (en) * 2020-01-15 2021-07-21 INOS Co., Ltd. Fixing module for extended structure, prestressed cantilever including same, and extended structure including same
KR102404663B1 (ko) * 2021-08-10 2022-06-02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레일형 안전고리가 구비된 안전 점검시설 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40104A (ko) * 2021-04-09 2022-10-18 심윤종 걸이식 교량 점검통로 및 시공방법
KR20240019504A (ko) * 2022-08-04 2024-02-14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점검시설용 조립브라켓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33Y1 (ko) 2010-04-28 2010-08-31 주식회사 제현산업 거치형 교량점검시설물용 프레임
KR102261511B1 (ko) * 2019-03-18 2021-06-07 삼우엠텍(주) 교량용 점검대
KR102245411B1 (ko) * 2019-08-21 2021-04-27 고재용 교량 점검로 프레임 어셈블리
KR102379541B1 (ko) *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102540836B1 (ko) 2021-03-22 2023-06-08 (주)이알코리아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 시공방법
KR102350422B1 (ko) * 2021-08-13 2022-01-12 신준철 교량 점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7Y2 (ja) 1981-04-08 1984-01-07 東日本鉄工株式会社 橋脚用吊足場
KR100557880B1 (ko) 2003-07-18 2006-03-0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KR20050015050A (ko) * 2003-08-01 2005-02-21 김동필 교량점검통로의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설치구조
KR100595019B1 (ko) 2005-10-10 2006-07-04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EP3851585A1 (en) * 2020-01-15 2021-07-21 INOS Co., Ltd. Fixing module for extended structure, prestressed cantilever including same, and extended structure including same
KR20220140104A (ko) * 2021-04-09 2022-10-18 심윤종 걸이식 교량 점검통로 및 시공방법
KR102404663B1 (ko) * 2021-08-10 2022-06-02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레일형 안전고리가 구비된 안전 점검시설 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19504A (ko) * 2022-08-04 2024-02-14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점검시설용 조립브라켓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059B1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RU257020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опоры опалубки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1804986B1 (ko)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JP3179138U (ja) 脚頭部施工用足場支保工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KR102464479B1 (ko)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100909486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JP2012102468A (ja) 橋梁下面補修用移動式足場および該足場の設置方法
KR100595019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JP2004116193A (ja) 狭小地用足場構造および狭小地用足場用踏板
CA2363809A1 (en) Narrow buttress system structure for swimming pools
KR200397402Y1 (ko)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