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880B1 -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880B1
KR100557880B1 KR1020030049115A KR20030049115A KR100557880B1 KR 100557880 B1 KR100557880 B1 KR 100557880B1 KR 1020030049115 A KR1020030049115 A KR 1020030049115A KR 20030049115 A KR20030049115 A KR 20030049115A KR 100557880 B1 KR100557880 B1 KR 10055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r
rail
bracke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837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4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8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의 하부 슬래브에 설치되어 교각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행로인 교각 점검대를 교각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교량 점검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각의 슬래브 상부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메인 포스트의 고정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로써 메인 포스트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
교각의 상부 둘레평면에 재치되어 상기 행거브래킷을 고정하는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 및 상기 교각평면의 상부면의 교좌 장치를 피하여 가로질러 거치하는 레일 고정 브래킷으로 지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 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은 배면 양측에 볼트머리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전방에는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도브테일홈을 구비한 레일로 형성된다.
또 상기에서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 고정대는 전방 및 상부면에 볼트 머리 가이드홈을 각각 갖는 사각관으로써, 상부면에는 일정 높이의 T 형 스톱퍼를 구비해서 된다.
교량, 점검대

Description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bridge checking device to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측면도 이고 도 2b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교각의 하부 슬래브에 설치되어 교각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행로인 교각 점검대를 교각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종래 앙카설치 방식에서의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단하고 편리한 작업을 이루는데 적당한 교량에 점검대를 고정하기 위한 교량 점검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에는 교량의 건설을 마치고 차후 유지보수 등의 관계로, 교각의 하부에 점검대를 설치한다. 교각에서 상부 슬래브에는 차도 또는 인도가 부설되고, 그 하부 스템상의 슬래브와의 사이에 연석으로 받혀진 스틸박스거더가 개재되는데, 교각의 유지보수 및 관리의 차원에서 상기 스템상의 슬래브에는 교각점검 을 위한 통로인 점검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점검대는 점검자가 보행시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각의 바깥쪽으로 난간을 가지고, 교각쪽으로는 교각의 일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을 가지며, 물론 사람이 통행 가능한 발판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는대 종래에는 통상 단순히 철재의 길이재를 절단하여 용접방식에 의해 설치함에 따라 교각에서 점검대가 차지하는 하중이 과다하여, 교량의 설계 하중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부식 등의 이유로 용융 아연 도금을 하는 등 피복의 후공정이 필요하며, 설치후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즉, 주된 교각점검 외에 이를 위한 난간대의 점검사항에 따른 관리업무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알루미늄재질로써 금형으로 찍어서 만든 난간 포스트에 발판을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좋게 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검대 역시 교각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드릴로 점검대의 고정브래킷이 고정될 위치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앵커를 심어서 고정하는 방식(이 방식은 드릴링에 의한 진동 등의 영향이 교각의 양생에 중대한 문제점을 갖게 함으로써 금지된 시공법이다)과 교각을 성형하기 위한 배근과 거푸집 설치단계에서 앵커을 묻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에는 교각의 시공업자와 교각 점검대의 시공업자가 서로 틀린데 따라 각각의 설계 상황이 일치하지 않아 실제로 점검대를 교각에 고정할 때 기 설치된 앵커와 점검대의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이 일치하지 않아서 종전의 방식대로 드릴링을 하는 등으로 이중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점검대를 위하여 교각의 전 둘레에 걸쳐서 별도의 비계설치 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를 위한 부대장치가 간단한 길이재에 의해 교각 상면과 상부 측면을 이용하여 거치 식으로 쉽게 고정되게 한 점검대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각의 슬래브 상부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메인 포스트의 고정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로써 메인 포스트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
교각의 상부 둘레평면에 재치되어 상기 행거브래킷을 고정하는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 및 상기 교각평면의 상부면의 교좌 장치를 피하여 가로질러 거치하는 레일 고정 브래킷으로 지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점검대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메인 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은 배면 양측에 메인 포스트의 공정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 간격으로 볼트머리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전방에는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 브래킷의 플랜지 양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도브테일홈을 갖는 레일로 형성된다.
또 상기에서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 고정대는 일 측면에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게 볼트머리 가이드 홈을 가지고 상부면에는 상기 레일 고정 브래킷을 고정할 볼트 머리 가이드홈을 갖는 사각관으로써, 상부면에는 일정 높이의 T 형 스톱퍼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측면도 이고, 도 2b는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교각(100)의 슬래브 상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에 형성된 체결공(211)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B,N)로써 메인 포스트(200)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
교각(100)의 상부 둘레 평면에 재치되어 상기 행거 브래킷(10)을 고정하는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20); 및 상기 교각 상부면의 교좌 장치(110)를 피하여 가로질러 거치하는 레일 고정 브래킷(30)으로 지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 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은 배면 양측에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에 형성된 체결공(211) 좌우 간격으로 볼트머리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홈(11,12)을 가지고, 전방에는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 브래킷(210)의 플랜지(210F) 양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양측에 걸림턱(13,14)을 갖는 도브테일홈(15)을 구비한 레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12)의 상하 일 정 간격으로 체결공(11h,12h)을 형성해서 된다.
또 상기에서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20)은, 일 측면에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과 볼트 및 너트(B,N)로 고정되게 볼트머리 가이드 홈(21)을 가지고, 상부면에는 상기 레일 고정 브래킷(30)을 고정할 볼트 머리 가이드홈(22)을 갖는 사각관형태의 본체로써, 전방 상부면에는 일정 높이의 T 형 스톱퍼(23)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각에 별도의 드릴링 작업 없이 작업 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교량에도 드릴링에 따른 진동 영향 등을 주지 않고 간단히 시공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은 행거 브래킷(10)의 가이드 홈(11,12)에 볼트(B)의 머리가 끼워져서 승강 안내는 하되 돌아가지는 않는 상태로써 은 배면 양측에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에 형성된 체결공(211) 간격으로 볼트머리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홈(11,12)을 가지고 전방에는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 브래킷(210)의 플랜지(210F) 양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양측에 걸림턱(13,14)을 갖는 도브테일홈(15)을 갖는 레일로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 고정브래킷(30)은 사각관의 구조로 하여 단면적대비 강도를 증대시키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교각에 어떠한 자국이나 부착 설치의 공정이 필요 없이 복수의 행거 브래킷(10)과 고정 레일(20) 및 고정브래킷(30)의 상호 결합을 볼트와 너트로써 용접의 구성도 필요없이 간단 신속 히 설치는 물론 해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교각에 어떠한 자국이나 부착 설치의 공정이 필요 없이 복수의 행거 브래킷과 고정레일 및 고정브래킷의 상호 결합을 볼트와 너트로써 용접의 구성도 필요없이 간단 신속히 설치는 물론 해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각(100)의 슬래브 상부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에 형성된 체결공(211)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B,N)로써 메인 포스트(200)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
    교각(100)의 상부 둘레 평면에 재치되어 상기 행거 브래킷(10)을 고정하는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20); 및
    상기 교각 상부면의 교좌 장치(110)를 피하여 가로질러 거치하는 레일 고정 브래킷(30)으로 지지 고정되고,
    상기 행거 브래킷 고정레일(20)은, 일 측면에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과 볼트 및 너트(B,N)로 고정되게 볼트머리 가이드 홈(21)을 가지고, 상부면에는 상기 레일 고정 브래킷(30)을 고정할 볼트 머리 가이드홈(22)을 갖는 사각관형태의 본체로써, 전방 상부면에는 일정 높이의 T 형 스톱퍼(23)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포스트 고정용 행거 브래킷(10)은 배면 양측에 메인 포스트(200)의 고정 브래킷(210)에 형성된 체결공(211) 좌우 간격으로 볼트머리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홈(11,12)을 가지고, 전방에는 상기 메인포스트 고정 브래킷(210)의 플랜지(210F) 양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양측에 걸림턱(13,14)을 갖는 도브테일홈(15)을 구비한 레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12)의 상하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11h,12h)을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3. 삭제
KR1020030049115A 2003-07-18 2003-07-18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KR10055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15A KR100557880B1 (ko) 2003-07-18 2003-07-18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15A KR100557880B1 (ko) 2003-07-18 2003-07-18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37A KR20050009837A (ko) 2005-01-26
KR100557880B1 true KR100557880B1 (ko) 2006-03-07

Family

ID=3722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115A KR100557880B1 (ko) 2003-07-18 2003-07-18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59B1 (ko) 2006-12-21 2007-11-27 김원주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1555B1 (ko) * 2008-11-03 2011-10-10 이부엽 교량점검통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93U (ko) 2016-12-29 2018-07-09 김동길 구조물 점검용 기구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59B1 (ko) 2006-12-21 2007-11-27 김원주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1555B1 (ko) * 2008-11-03 2011-10-10 이부엽 교량점검통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37A (ko)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US10415262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0998202B1 (ko) 교량 확장 인도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20100025151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10465399B2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2221132B1 (ko) 절토부 비탈면 점검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100557880B1 (ko) 교각 점검대 고정장치
KR101042982B1 (ko) 인도 확장장치 시공방법
KR100688149B1 (ko) 강교용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100353882B1 (ko) 교각에 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0206699Y1 (ko) 교각에 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KR20040092254A (ko) 교각에 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JP5807883B1 (ja) 吊足場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KR200397402Y1 (ko)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FI128834B (fi) Seinäteline ja työta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