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783A -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783A
KR20070001783A KR1020057024538A KR20057024538A KR20070001783A KR 20070001783 A KR20070001783 A KR 20070001783A KR 1020057024538 A KR1020057024538 A KR 1020057024538A KR 20057024538 A KR20057024538 A KR 20057024538A KR 20070001783 A KR20070001783 A KR 2007000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oring
score
result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와다
에이지 노노미야
아키라 나카시타
야스히로 미츠타케
스스무 오타
Original Assignee
와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와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43K29/09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with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펜의 기술에서는 테스트나 첨삭 등의 채점자가 기재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를 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 및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결과 정보 축적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전자펜 기술을 이용한 정밀도 높은 자동 채점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펜, 채점 정보 수신부, 결과 정보 구성부, 문제 식별자 결정부, 결과 정보 축적부, 정보 처리 장치, 자동 채점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전자펜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램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전자펜으로서 아노토사의 전자펜이 있다(비특허문헌1 참조). 이 전자펜은 통상의 펜에 초소형 카메라, 화상 인식 장치, 그것에 Bluetooth(Bluetooth는 “Telefon aktie bolaget LM Ericsson"사의 등록 상표) 송수신 장치를 부착한 것으로, 전용지에 쓰인 수기의 내용을 판독하여 해석하고,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팩스 등의 정보 통신 기기에 즉시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Bluetooth)란, 무선 통신 규격이며, 전송 거리는 송신 전력이 1mW인 때에 약 10m이고, 전력 절약, 단거리를 의식한 무선 규격이다. 또한, 송신 전력을 올림으로써 현재는 최대 100m까지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현재 보급하고 있는 교육용의 첨삭 방법은 채점자가 적색의 펜으로 학생이 쓴 해답 용지에 동그라미를 치거나, 코멘트를 기재하거나, 득점을 기재하는 것이다.
비특허문헌1: 아노토 일본 주식회사 홈페이지, 인터넷<URL:http://www.anoto.jp/tsuite.html>
그러나, 비특허문헌1에 의한 전자펜의 기술에서는 테스트나 첨삭 등의 채점자가 기재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를 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보급하고 있는 교육용의 첨삭 방법은 사람의 손(채점자)에 의한 채점이어서 자동 채점을 할 수 없었다.
본 제1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것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부, 상기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부, 상기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 및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에서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결과 정보 축적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채점 테두리 내에 있는 채점 정보(○, △, ×, 점수 등)를 해당하는 테스트의 채점의 정보로서 문제 식별자와 대응시켜서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펜의 기술을 이용한 정밀도 높은 자동 채점이 가능하게 되어, 테스트나 첨삭 등의 처리에 매우 유효하다. 특히, 다수의 수험생이 테스트를 하는 공개 테스트나 수험에서의 테스트 등에 유효하다.
본 제2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는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채점 정보가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결과 정보 축적부는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고, 또한, 상기 채점 취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채점자가 수행하는 소정의 동작은 취소 동작이라고 인식하고, 앞서의 채점 정보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펜을 이용한 채점자는 다소의 기재 실수가 발생해도 용이하게 정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올바른 자동 채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가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결과 정보 축적부가 축적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채점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도1은 실시형태 1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3은 좌표 검출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전자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5는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6은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7은 문제 정보 관리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채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성적 관리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실시형태 2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11은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12는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13은 해답 용지의 기재예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문제 정보 관리표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해답 용지의 기재예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채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채점 결과 관리표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해답 용지의 기재예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해답 용지의 기재예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출력 수단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매체 12: 전자펜
13, 103: 정보 처리 장치 1201: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
1202: 기재 정보 취득부 1203: 채점 정보 구성부
1204: 채점 정보 송신부 1301: 채점 정보 수신부
1302, 10302: 결과 정보 구성부 1303, 10303: 문제 식별자 결정부
1304, 10304: 결과 정보 축적부 1305: 입력부
1306: 채점 결과 출력부 13031: 문제 정보 저장 수단
13032: 판단 수단 13033: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
13061: 산출 수단 13062: 출력 수단
이하, 정보 처리 시스템이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가 표기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
도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매체(11), 전자펜(12), 정보 처리 장치(13)를 포함한다. 매체(11)는 특수 도트-패턴(dot pattern)이 인쇄되어 있는 매체이며, 예를 들면, 종이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펜을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테스트나 첨삭 등의 채점자(또는 첨삭자)이다. 또한, 매체(11)에는 통상 수강생의 해답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전자펜을 사용하는 것은 테스트나 첨삭에 해답을 기재한 수강생 등이어도 된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전자펜(12)은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 기재 정보 취득부(1202), 채점 정보 구성부(1203), 채점 정보 송신부(1204)를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3)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 결과 정보 구성부(1302),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 결과 정보 축적부(1304), 입력부(1305), 채점 결과 출력부(1306)를 갖는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 판단 수단(13032),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을 포함한다.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산출 수단(13061), 출력 수단(13062)을 갖는다.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는 채점자를 식별하는 정보인 채점자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채점자 식별자의 데이터 구조나 내용은 불문한다. 또한, 채점자 식별자는 전자펜을 식별하는 정보이어도 된다. 전자펜을 식별할 수 있으면 해당 전자펜의 사용자인 채점자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채점자 식별자는 채점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무엇이어도 된다.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는 비휘발 성의 기록 매체가 가장 적합하지만, 휘발성의 기록 매체로도 실현가능하다.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전자펜(12)으로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인 기재 정보를 취득한다. 기재 정보는, 예를 들면, 매체(11) 안의 상대적인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인 좌표 정보(이하, 적절히, “위치 정보"로 언급됨)이다. 또한, 기재 정보는 매체(11) 안의 상대적인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인 좌표 정보의 집합으로부터 문자인식하고, 해당 문자인식한 결과인 문자 코드의 열이어도 된다. 또한, 좌표 정보는 (0, 0)이 시점(始點)일 필요는 없다.
기재 정보 취득부(1202)가 좌표 정보인 기재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표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이 있다. 매체(11)에는 도3에 도시된 특수 도트-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특수 도트-패턴에 의한 좌표 검출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3과 같은 구성이 된다. 도3의 구성은 CCD 카메라(301), 패턴 인식과 해석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02)로 구성된다. 특수 도트-패턴은 0.3㎜ 피치(pitch)의 그리드(grid)의 도트로부터 구성된다. 그리고,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그 도트의 배치를 Right/Left/Up/Down의 4패턴으로 배분함으로써 특수 도트-패턴을 코드화한다. 그리고, 기재 정보 취득부(1202)를 구성하는 CCD 카메라가 특수 도트-패턴을 60프레임/초로 촬영한다. 그리고,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촬영한 화상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CCD 카메라의 이동(즉, 촬영되는 도트-패턴의 변화)을 검출한다.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CCD 카메라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정적(靜的) 물체 중의 상대적인 좌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정보 취득부 (1202)의 별도의 수단으로서 이하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매체(11)의 표면에 좌표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bar code)가 인쇄되어 있으며,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해당 바코드를 읽고 좌표 정보를 얻는 바코드 리더(reader)로 실현된다.
채점 정보 구성부(1203)는 기재 정보 취득부(1202)가 취득한 기재 정보와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의 채점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를 구성한다. 채점 정보는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것에 관한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정보이다. 또한, 채점 정보는, 여기에서는, 채점자 식별자 및 기재 정보를 갖는다. 채점 정보 구성부(1203)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채점 정보 구성부(1203)의 처리 순서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채점 정보 송신부(1204)는 채점 정보 구성부(1203)가 구성한 채점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한다. “간접적으로 채점 정보를 송신한다”라는 것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를 경유하여 정보 처리 장치(13)에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채점 정보 송신부(1204)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등록 상표) 등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만, 방송 수단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전자펜(12)으로부터 채점 정보를 수신한다.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등록 상표) 등의 무선통신 수단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만, 채 점 정보 수신부(1301)는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한다. 즉,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종별 정보만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점수 정보만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종별 정보와 점수 정보를 구성해도 된다. 채점 종별 정보는, 예를 들면, 정답 “○”, 반(半)정답 “△”, 오답 “×”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반정답이란, 부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는 의미의 정보이다. 점수 정보는 주로 반정답인 경우의 점수이다.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예를 들면,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형상이 “○”에 가까운지, “△”에 가까운지, “×”에 가까운지를 인식한다.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로부터 문자(숫자도 포함함)나 도형을 인식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소위, 문자인식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결과 정보 구성부(1302)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2)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한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후술된다.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 판단 수단(13032) 및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에 의해 문제 식별자를 결정한다.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와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를 갖는 문제 정보를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다. 문제 식별자는, 예를 들면, 문제의 번호이다.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입하는 구형(矩形) 영역의 좌측 상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x1, y1), 우측 하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x2, y2)를 갖는다.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해답을 기입하는 구형 영역의 중심 위치 정보를 가져도 된다.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문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것이면 된다.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가 가장 적합한데, 휘발성의 기록 매체이어도 실현가능하다.
판단 수단(13032)은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특정한 1개의 위치 정보가 특정한 문제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관계에 있다”라는 것은, 채점 정보가 갖는 특정한 1개의 위치 정보가, 그 문제 정보가 나타내는 문제를 기재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판단 수단(13032)은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판단 수단(13032)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은, 판단 수단(13032)이 소정의 관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특정한 문제 정보가 나타내는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를 취득한다. 이러한 문제 식별자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나타내는 채점에 대응하는 문제의 문제 식별자이다.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은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에서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결과 정보 구성부(1302)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한다.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기록 매체는 정보 처리 장치(13)에 내장된 기록 매체이어도 되고, 외부에 부착된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는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가 가장 적합한데, 휘발성의 기록 매체이어도 실현가능하다.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결과 정보 축적부(1304)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외부 장치의 기록 매체에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05)는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다. 출력 지시를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 수단은 숫자키나 키보드, 마우스 또는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무엇이어도 된다. 입력부(1305)는 숫자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의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입력부(1305)가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결과 정보 축적부(1304)가 축적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한다.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산출 수단(13061)과 출력 수단(13062)에 의해 실현된다.
산출 수단(13061)은 채점 종별 정보 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合計点)을 산출한다. 산출 수단(13061)의 합계점의 산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산출 수단(13061)은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산출 수단(13061)은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해당 채점 종별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가 점수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경우(예를 들면, 점수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도형 “△” 안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만,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 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한다. 그 밖에 산출 수단(13061)이 합계점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로 생각된다. 산출 수단(13061)은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산출 수단(13061)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출력 수단(13062)은 산출 수단(13061)이 산출한 합계점을 출력한다. 출력이란,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프린터로의 인자(印字), 음(音) 출력, 외부 장치로의 송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출력 수단(13062)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고 생각해도 되고, 포함하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된다. 출력 수단(13062)은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 또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와 출력 디바이스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자펜(12)의 동작에 대하여 도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401)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영상을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이란, 예를 들면, 도1의 전자펜(12)의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이다. 영상을 취득하면 스텝(S402)으로 진행되고, 영상을 취득하지 않으면 스텝(S4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402) 기재 정보 취득부(1202)는 스텝(S401)에서 취득한 영상 또는/및 앞서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기재 정보(여기서, 기재 정보는 종이(11) 상의 좌표 정보)를 구성한다.
(스텝 S403) 채점 정보 구성부(1203)는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에 저장되어 있는 채점자 식별자를 취득한다.
(스텝 S404) 채점 정보 구성부(1203)는 스텝(S402)에서 구성한 기재 정보 및 스텝(S403)에서 취득한 채점자 식별자로부터 채점 정보를 구성한다.
(스텝 S405) 채점 정보 송신부(1204)는 스텝(S404)에서 구성한 채점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한다. 또한, 채점 정보 송신부(1204)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3)의 IP 어드레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채점 정보 송신부(1204)는 상대를 특정하지 않고 채점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스텝(S401)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4의 흐름도에 있어서, 전원 오프(off)나 처리의 종료 등의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4의 흐름도에 있어서, 전자펜(12)으로 기재하는 정보는 문자이어도 되고, 도형 등이어도 된다. 또한, 카메라로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기재 정보를 구성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전술한 아노토사의 특수한 종이(전용지)를 이용하면 가능하며,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4의 흐름도에 있어서, 구성한 기재 정보 및 채점자 식별자로부터 채점 정보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채점 정보가 갖는 기재 정보의 데이터량은 불문한다. 기재 정보의 데이터량은 예를 들면, 전자펜(12)을 사용하여 쓰는 원-스트로크(one stroke)이다.
또한, 도4의 흐름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재 정보를 다량으로 축적한 후 사용자 지시에 의해 채점 정보의 송신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자펜(12)에 의한 원-스트로크마다 기재 정보를 축적하고, 채점 정보를 구성하며, 해당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등으로 실행해도 된다. 즉, 채점 정보의 송신 타이밍, 송신의 트리거(trigger)는 불문한다.
또한, 도4의 흐름도에 있어서, 전자펜(12)은 기재 정보를 갖는 채점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했다. 이러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3)는 기재 정보(좌표 정보)로부터 문자나 도형을 인식한다. 그러나, 전자펜(12)이 좌표 정보로부터 문자나 도형을 인식하고, 해당 인식 후의 문자 데이터 등을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기재 정보는 인식 후의 문자 데이터 등이다. 또한, 복수의 좌표 정보로부터 문자 코드를 결정하는 처리는 문자인식의 기존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대하여 도5 및 도6의 흐름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3)가 수신한 채점 정보를 축적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1)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채점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채점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502)으로 진행되고, 채점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스텝(S5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2)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1)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로부터 채점자 식별자를 취득한다.
(스텝 S503)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2)에서 취득한 채점자 식별 자를 축적한다. 스텝(S502) 및 스텝(S503)의 처리에 의해 채점자를 식별할 수 있다.
(스텝 S504)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1)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로부터 기재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취득하는 기재 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의 의미가 있는 도형(○, △, ×)이나 숫자열을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의 집합이다. 소정의 의미가 있는 도형 등은 전자펜(12)을 이용하여 원-스트로크로 기재한 기재 정보이다.
(스텝 S505)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스텝(S504)에서 취득한 기재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로부터 문제 식별자를 결정한다. 이러한 문제 식별자의 결정 방법은 도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스텝 S506)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4)에서 취득한 기재 정보로부터 채점 종별 정보(○, △, ×) 또는 점수 정보를 취득한다. 이러한 처리는 문자 또는 도형 인식 처리이며,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4)에서 취득한 하나의 기재 정보로부터 의미가 있는 채점 종별 정보(○, △, ×) 또는 점수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결과 정보 구성부(1302)가 복수의 기재 정보를 버퍼(buffer)에 축적하고 해당 복수의 기재 정보로부터 의미가 있는 채점 종별 정보(○, △, ×) 또는 점수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507)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채점 종별 정보 중의 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이면 스텝(S508)으로 진행되고, 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면 스텝(S510)으로 건너뛴다.
(스텝 S508)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변수 “점수”에 소정의 정답의 점수를 대입한다. 소정의 정답의 점수는 전체 문제가 동일해도 되고, 문제마다 상이해도 된다. 소정의 정답의 점수가 전체 문제에서 동일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3)는 이러한 점수를 사전에 보유하고 있다. 또한, 소정의 정답의 점수가 문제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3)가 각각의 문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답의 점수(배점)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 식별자는 스텝(S505)에서 취득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이러한 문제 식별자로부터 점수를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509)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변수 “점수”를 스텝(S505)에서 취득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키는 형태로 축적한다. 스텝(S5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10)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채점 종별 정보 중의 반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이면 스텝(S511)으로 진행되고, 반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면 스텝(S512)으로 건너뛴다.
(스텝 S511)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반정답 플래그(flag)를 ON(ON이란, 예를 들면, “1”이다.)으로 한다. 또한, 초기 단계에서, 반정답 플래그는 OFF(OFF란, 예를 들면, “0”이다.)이다. 스텝(S5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12)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채점 종별 정보 중의 오답 “×”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답 “×”를 나타내는 정보이면 스텝(S513)으로 진행되고, 오답 “×”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면 스텝(S514)으로 건너뛴다.
(스텝 S513)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변수 “점수”에 “0”을 대입한다. 스텝(S509)으로 진행된다.
(스텝 S514)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숫자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숫자열이면 스텝(S515)으로 진행되고, 숫자열이 아니면 스텝(S5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15)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반정답 플래그가 ON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정답 플래그가 ON이면 스텝(S516)으로 진행되고, 반정답 플래그가 ON이 아니면 스텝(S50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16)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변수 “점수”에 숫자열이 나타내는 점수(점수 정보)를 대입한다. 반정답 플래그를 OFF로 한다. 스텝(S509)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문제 식별자 결정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601) 판단 수단(13032)은 기재 정보 중의 하나의 위치 정보(x, y)를 취득한다. 하나의 위치 정보(x, y)는 기재 정보 중의 최초의 위치 정보이어도 되고, 임의의 위치 정보이어도 된다.
(스텝 S602) 판단 수단(13032)은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스텝 S603) 판단 수단(13032)은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 중에 i번째의 레코드(문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번째의 레코드가 존재하면 스텝(S604)으로 진행되고, i번째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 코드를 리턴(return)한다. i번째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문제 식별자가 없었던 것이 되어, 에러가 된다. 상위의 함수(도5의 처리)로 리턴한다. 에러 코드(예를 들면, “-1”)를 되돌린다.
(스텝 S604) 판단 수단(13032)은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으로부터 i번째의 좌측 상단의 좌표(x1, y1)를 취득한다. 또한, 여기서, 문제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입하는 구형 영역의 좌측 상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x1, y1) 및 우측 하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x2, y2)를 갖는 것으로 한다.
(스텝 S605) 판단 수단(13032)은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으로부터 i번째의 우측 하단의 좌표(x2, y2)를 취득한다.
(스텝 S606) 판단 수단(13032)은 “x1<=x<=x2 또는 y1<=y<=y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 수단(13032)은 기재 정보 중의 하나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점이 i번째의 문제의 구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스텝(S607)으로 진행되고,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스텝(S608)으로 건너뛴다.
(스텝 S607)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은 i번째의 문제 정보가 갖는 문제 식별자를 취득한다. 상위의 함수(도5의 처리)로 리턴한다. 이러한 경우, 문제 식별자를 되돌린다.
(스텝 S608) 판단 수단(13032)은 카운터 i를 1 증가시킨다(increment). 스텝(S60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6의 흐름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재 정보 중의 전체 위치 정보에 대하여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처리를 실행하고, 다수를 차지하는 문제 식별자를 올바른 문제 식별자로서 결정하는 것은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면 채점의 스트로크가 다른 해답의 장소로부터 약간 벗어나도 올바른 문제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에 있어서도, 전체 위치 정보에 대하여 체크를 할 필요가 없다. 전체 위치 정보 중 복수의 위치 정보 또는 소정의 비율의 위치 정보에 대하여 실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3)의 채점 결과 출력부(1306)가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305)가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 산출 수단(13061)은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산출 수단(13061)은 도5 및 도6의 흐름도의 처리에 의해 기재된 각각의 문제에 대응하는 점수를 합계한다. 그리고, 출력 수단(13062)은 산출 수단(13061)이 산출한 합계점을 출력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는 도1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3)의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도7의 문제 정보 관리표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 정보 관리표는 “ID”, “문제 식별자”, “위치 정 보 1”, “위치 정보 2”를 갖는 레코드를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다. “ID”는 레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표의 관리 상의 요청을 위해 존재한다. “위치 정보 1”은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입하는 구형 영역의 좌측 상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위치 정보 2”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입하는 구형 영역의 우측 하단의 좌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또한, 여기서,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입하는 영역은 구형 영역이지만, 다른 형상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해당 구형 영역의 특정을 위해 구형 영역의 좌측 상단의 좌표, 우측 하단의 좌표의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했지만, 중심점 및 폭, 높이에 의해 특정해도 된다.
이제, 전자펜(12)으로부터 채점 종별 정보(“○”, “△”, “×”) 또는 숫자열(부분 점수)을 나타내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 및 채점자 식별자를 갖는 채점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된다고 하자. 즉, 여기에서는 의미가 있는 정보(채점 종별 정보 또는 부분 점수의 정보)마다 전자펜(12)으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된다고 하자. 이러한 송신은, 예를 들면, “○”, “△”, “×” 또는 숫자열을 기재할 때마다, 사용자가 송신지시를 함으로써(예를 들면, 전자펜(12)의 소정의 버튼을 누름) 실행된다. 전자펜(12)으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되는 채점 정보의 예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8에서의 채점자 식별자 “123987”은 전자펜(12)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1의 매체(11)(여기서는, “종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점자 식별자 “123987”로 식별되는 채점자가 3문제로 이루어지는 역사의 답안에 대하여 전자펜(12)을 사용해서 채점한다고 하자. 여기서, 정답 “○”인 경우, 부여되는 점수는 10점으로 사전에 결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제, 채점자 식별자 “123987”로 식별되는 채점자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문제의 해답에 대하여 “○”라고 채점하고, 채점 정보를 송신했다고 하자. 이러한 채점 정보의 일례는 도8이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3)의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도8의 채점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 “(50, 58)”이 도7의 “ID=1”인 레코드의 위치 정보 1 및 위치 정보 2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킨다고 판단하고, 문제 식별자 “1”을 취득한다.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킨다는 것은, “0<=50<=70” 또는 “<30<=58<=60”을 만족시키는 것이며, 문제 1에 대해 답하는 영역에 위치 정보 “(50, 58)”가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 “(50, 58)”, “(49, 57)” 등을 인증하고, 거의 둥근 도형인 것을 인식하며, 해당 해답을 “○”라고 판단한다.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변수 “점수”에 “10”을 대입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문제 식별자 “1”과 점수 “10”을 갖는 레코드를 구성하고, 도9에 도시된 성적 관리표와 같이 기록한다. 또한, 도9에 도시된 성적 관리표에 있어서, 레코드를 추가할 때마다 증가된 ID가 부가된다고 하자.
다음으로, 채점자 식별자 “123987”에서 식별되는 채점자가 두번째 문제의 해답에 대하여 “△”로 채점하고, 채점 정보를 송신했다고 하자. 이러한 채점 정보의 구조는 도8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3)의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채점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문제 식별자 “2”를 취득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정보로부터 대략 삼각 도형인 것을 인식하고, 해당 해답을 “△”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반정답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다음으로, 채점자 식별자 “123987”에서 식별되는 채점자가 전자펜(12)으로 “5”를 기재하고, 채점 정보를 송신했다고 하자.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문제 식별자 “2”를 취득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로부터 “5”를 인증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반정답 플래그가 “ON”인 것으로부터 “5”를 변수 “점수”에 대입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문제 식별자 “2” 및 점수 “5”를 갖는 레코드를 구성하고, 도9에 도시된 성적 관리표와 같이 기록한다.
다음으로, 채점자 식별자 “123987”에서 식별되는 채점자가 세번째 문제의 해답에 대하여 “×”로 채점하고, 채점 정보를 송신했다고 하자. 이러한 채점 정보의 구조는 도8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3)의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채점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는 문제 식별자 “3”을 취득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정보로부터 거의 × 도형인 것을 인식하고, 해당 해답을 “×”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0”을 변수 “점수”에 대입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304)는 문제 식별자 “3” 및 점수 “0”을 갖는 레코드를 구성하고, 도9에 도시된 성적 관리표와 같이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채점자의 채점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13)의 정보의 축적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3)에 대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입력부(1305)는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도9의 성적 관리표의 점수를 합계하여 “15”를 산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디스플레이 상에 점수 “15”를 표시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채점 테두리 내에 있는 채점 정보(○, △, ×, 점수 등)를 해당하는 테스트의 채점의 정보인 것으로 하여, 문제 식별자와 대응시켜서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펜의 기술을 이용한 정밀도 높은 자동 채점이 가능하게 되어, 테스트나 첨삭 등의 처리에 매우 유효하다. 특히, 다수의 수험생이 테스트를 하는 공개 테스트나 수험에서의 테스트 등에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숫자를 부분 점수로서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정답 및 오답만의 마크-시트(mark sheet) 방식의 테스트에서는 할 수 없는 유연하고 정밀도 높은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펜(12)은 채점자 식별자도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했지만, 채점자 식별자를 반드시 송신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점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테스트의 수강생은 특정하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테스트의 수강생을 특정해도 된다. 여러 가지 방법은, 예를 들면, 수강생을 식별하는 정보가 상기 채점자 식별자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채점할 때, 해답 용지마다 상이한 전자펜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방법은, 예를 들면, 해답 용지로부터 취득하는 위치 정보에 의해 식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해답 용지에 정해진 도트가 해답 용지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설명하는 처리에 의해 수강생을 식별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 산출 수단은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채점 정보가 갖는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해당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의 다음에 점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의 뒤에 기재된 숫자를 인식함으로써 부분 점수를 취득하였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 부분 점수를 인식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하나의 문제 식별자에 대하여 맨 마지막에 기재된 숫자를 부분 점수라고 인식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전자펜(12)으로부터 기재한 시각의 순서로 기재 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결과 정보 축적부는 축적한 최종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유효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인 것으로서 출력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경우, 결과 정보 축적부는 채점 결과를 겹쳐써도 좋고, 채점 결과 출 력부가 출력시에 최종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이러한 점도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산출 수단은,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 “△”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해당 채점 종별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가 점수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경우에만,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해도 된다. 상기 “소정의 관계에 있다”라는 것은, 예를 들면, 반정답의 도형 “△” 내에 점수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반정답의 도형 “△”도, 점수 정보도, 위치 정보의 집합이기 때문에 위치 정보 2와의 위치 관계가 판단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점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3)는 도형(“○”, “△”, “×”)을 인식한 결과를 즉시 점수로 변환하고, 해당 점수를 축적했다. 그러나 인식한 결과의 도형(“○”, “△”, “×”)을 그대로 코드로 변환하고, 해당 코드를 축적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점자는 문제에 답하는 자와 동일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펜이 채점자 식별자 저장부(1201)를 반드시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펜은 채점자 식별자를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송신해도 되고,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해도 된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유포해도 된다. 또한,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해당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인 기재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 및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 스텝에서 구성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결과 정보 축적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이는 입력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에서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결과 정보 축적 스텝에서 축적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채점 결과 출력 스텝을 더 포함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점자가 수행하는 채점 정보(○, △, × 등) 상으로의 소정의 동작은 취소 동작이라고 인식하고, 앞서의 채점 정보를 삭제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매체(11), 전자펜(12), 정보 처리 장치(103)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3)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 결과 정보 구성부(10302),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 결과 정보 축적부(10304), 입력부(1305), 채점 결과 출력부(1306)를 갖는다.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한다. 또한,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가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한다. 또한,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가, 기재된 정보가 수강생 식별자의 기재란에 기재된 정보라고 결정한 경우,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가 테스트의 수강생을 식별하는 정보인 수강생 식별자(통상 숫자열)를 구성한다.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결과 정보 구성부(10302)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한다. 또한,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재된 정보가 수강생 식별자의 기재란에 기재된 정보인지를 결정한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 판단 수단(13032),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를 갖는다. 즉, 문제 정보는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을 식별하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를 갖는다.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은 판단 수단(13032)이 소정의 관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특정한 문제 정보가 나타내는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를 취득한다. 이러한 경우의 문제 식별자는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인 것을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면, “0”)를 포함한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결과 정보 구성부(1302)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 보를 축적하고, 또한, 채점 취소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취소 처리란,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이어도 되고, 채점 종별 정보 및 점수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축적 처리 등이어도 된다.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결과 정보 축적부(10304)의 처리 절차는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의 동작에 대하여 도11 및 도1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3)가 도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수신한 채점 정보 등을 축적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11의 흐름도에 있어서, 도5의 흐름도와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101)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스텝(S504)에서 취득한 기재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로부터 문제 식별자 또는 기재된 정보가 수강생 식별자의 기재란에 기재된 정보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문제 식별자 등의 결정 방법의 도1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스텝 S1102)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가,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재된 정보가 수강생 식별자의 기재란에 기재된 정보라고 결정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지면 스텝(S1103)으로 진행되고,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스텝(S506)으 로 건너뛴다.
(스텝 S1103)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가 테스트의 수강생을 식별하는 정보인 수강생 식별자(예를 들면, 숫자열)를 구성한다.
(스텝 S1104)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스텝(S1103)에서 구성한 수강생 식별자를 축적한다. 이러한 수강생 식별자는 통상 스텝(S509)에서 축적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형태로 축적된다. 이러한 대응에 의해 특정한 수강생의 테스트의 점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텝 S1105)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채점 종별 정보 중의 소정의 정보(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정보이면 스텝(S1106)으로 진행되고, 소정의 정보가 아니면 스텝(S5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소정의 정보는 하나이어도 되고,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스텝 S1106) 결과 정보 구성부(1302)는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한다. 채점 취소 정보의 구성은, 예를 들면, 플래그를 ON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채점 취소 정보의 구성은 실체가 없는 처리(NOP)이어도 된다. 즉, 스텝(S506)에서 취득한 정보가 채점 종별 정보 중의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스텝 S1107)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1303)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5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취소 처리에서는, 실 질적으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소거해도 되고,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가 없는 것으로서 처리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플래그 등)를 기록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1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문제 식별자 등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201) 문제 식별자 취득 수단(13033)은 i번째 문제 정보가 갖는 문제 식별자 또는 기재된 정보가 수강생 식별자의 기재란에 기재된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적절히 “수강생 식별자란 정보”로 언급됨)를 취득한다. 상위의 함수(도11의 처리)로 리턴한다. 이러한 경우, 문제 식별자 또는 수강생 식별자란 정보를 되돌린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는 도1이다.
우선, 채점자는 도13에 도시한 역사 테스트의 해답 용지(11)를 받아서, 전자펜(12)을 이용하여 채점을 수행한다고 하자.
또한, 정보 처리 장치(13)의 문제 정보 저장 수단(13031)은 도14의 문제 정보 관리표를 보유하고 있다. 도14의 문제 정보 관리표는 도7의 문제 정보 관리표와 거의 동일한 구조인데, “문제 식별자”가 “문제 등의 식별자”로 바뀌어 있다. “문제 등의 식별자”의 필드(field)에는 문제 식별자 및 수강생 식별자란 정보가 들어갈 수 있다. 수강생 식별자란 정보는 “문제 등의 식별자”가 “0”인 정보이다.
이제, 채점자가 “수험번호”의 난 바로 아래의 난에 수험생이 쓴 숫자열과 동일한 숫자열을 전자펜(12)으로 기입한다고 하자(도15 참조). 그러면, 전자펜(12)은 구조의 채점 정보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를 전자펜(12) 내에 축적한다. 이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는 “123456789”라는 수험번호(수강생 식별자)를 구성하는 정보이다. 또한, 도15에 있어서, 매체(11)는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 및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을 포함하는 특수 도트-패턴이 인쇄된 매체이다. 또한, 도15에 있어서,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과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은 상하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예정된 정보를 기재하는 영역이 없다. 예정된 정보란, 해답이나 문제 등의 정보이다. 또한, 도15에 있어서,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과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의 상하는 반대이어도 된다.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과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은 인접해 있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이 도시되지 않은 송신 버튼을 누른다고 하자. 다음으로, 전자펜(12)은 1개 이상의 위치 정보 및 채점자 식별자로부터 채점 정보를 구성하고, 해당 채점 정보를 송신한다. 채점 정보의 일례가 도1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는 “123456789”라는 수험번호(여기에서의 수강생 식별자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갖는 채점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의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40, 12)) 및 도14의 문제 정보 관리표로부터, 위치 정보(예를 들면, (40, 12))가 “ID=1”인 레코드에 합치하는 것을 판단하고, 문제 등의 식별자 “0”을 취득한다. 이러한 “0”은 수강생 식별자란 정보이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의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 수신부(1301)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를 문자 인증 처리하고, 숫자열 “12345678”을 얻는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수강생 식별자 “12345678”을 축적한다. 도17은 최종적인 채점 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채점 결과 관리표이다. 수강생 식별자 “12345678”의 축적 처리에 의해 도17의 (1)의 레코드가 축적된다.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을 이용하여 “문제 1”의 채점에 있어서 “○”를 기재한다. 그리고, 채점자는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전자펜(12)은 채점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채점 정보는 예를 들면, 도8의 채점 정보이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의 채점 정보 수신부(1301)는 채점 정보를 수신하고, 문제 식별자 결정부(10303)는 채점 정보가 갖는 위치 정보로부터 문제 식별자 “1”을 취득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채점 정보가 갖는 기재 정보를 문자 인증하여 코드 “○”를 얻는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문제 식별자 “1”에 대응시켜서 코드 “○”를 축적한다.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을 이용하여 “문제 2”의 채점에 있어서, 우선 “○”를 기재한다. 그리고, 채점자는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버튼을 누른다. 그 러면, 상기와 동일하게 정보 처리 장치(103)는 문제 식별자 “2”에 대응시켜서 코드 “○”를 축적한다(도17의 (2) 참조). 다음으로, 채점자는 채점을 잘못 한 것을 깨닫고, “○”의 채점을 취소하는 “//”를 도형 “○” 위에 전자펜(12)으로 기재한다(도18 참조). 그리고, 채점자는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는 상기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문제 식별자 “2”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위치 정보로부터 수신한 채점 정보가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채점 취소 정보 “//”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채점 취소 정보 “//”를 문제 식별자 “2”에 대응시켜서 축적한다(도17의 (3) 참조).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을 이용하여 “문제 2”의 새로운 채점으로서 “△”를 기재한다(도19 참조). 그리고, 채점자는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는 상기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문제 식별자 “2”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위치 정보로부터 채점 종별 정보 “△”를 구성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채점 종별 정보 “△”를 문제 식별자 “2”에 대응시켜서 축적한다(도17의 (3) 참조).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을 이용하여 “문제 2”의 부분 점수로서 “5”를 기재한다(도19 참조). 그리고, 채점자는 채점 정보를 송신하는 버튼을 누른 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3)는 상기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문제 식별자 “2”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결과 정보 구성부(10302)는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위치 정보로부터 점수 정보 “5”를 구성한다. 그리고,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점수 정보 “5”를 문제 식별자 “2”에 대응시켜서 축적한다(도17의 (3) 참조).
다음으로, 채점자는 전자펜(12)을 이용하여 “문제 3”의 채점으로서 “×”를 기재한다고 하자. 그러면, 전술된 동작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과 정보 축적부(10304)는 채점 종별 정보 “×”를 문제 식별자 “3”에 대응시켜서 축적한다(도17의 (4) 참조).
이상의 처리에 의해 테스트의 수험생의 채점 정보가 축적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03)에 수험번호 “12345678”을 포함하는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입력한다고 하자. 다음으로, 입력부(1305)는 수험번호 “12345678”을 포함하는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다.
다음으로, 채점 결과 출력부(1306)는 수험번호 “12345678”을 취득하고, 해당 수험번호 “12345678”을 숫자키로 입력하여,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검색한다. 그러면, 도17의 레코드 (2)로부터 (4)까지의 채점 종별 정보 및 점수 정보가 획득된다. 다음으로, 산출 수단(13061)은 도17의 레코드 (2)의 “○”를 취득하고, 점수를 “0”으로부터 “10”으로 한다. 정답인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10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산출 수단(13061)은 도17의 레코드 (3)의 “○”, “//”, “△”, “5”를 취득하고, “//”에 의해 “○”가 지워지는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산출 수단(13061)은 “△”, “5”로부터 점수 “5”를 추가한다. 그리고, 산출 수단(13061)은 점수 “15”를 얻는다. 다음으로, 산출 수단(13061)은 도17의 레코드 (4)의 “×”를 취득하고, 점수 “15”에 점수를 가산하지 않는다.
그리고, 출력 수단(13062)은 산출 수단(13061)이 산출한 득점을, 예를 들면,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채점자가 실시하는 소정의 동작을 취소 동작이라고 인식하고, 앞서의 채점 정보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펜을 이용한 채점자는 다소의 기재 실수가 발생해도 용이하게 정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올바른 자동 채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채점 취소 정보는 “//”이었지만, 다른 채점 취소 정보(예를 들면, “/”)이어도 된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가 취급하는 채점 취소 정보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채점 취소 정보는 예를 들면, “//” 및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수험생의 채점 결과를 처리할 수 있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18 등의 답안 용지에서 수강생(수험생)이 기재하는 수험번호나 해답을 수강생의 전자펜으로 기재하고, 정보 처리 장치(13)로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통상 수강생의 전자펜과 채점자의 전자펜이 다르다. 그리고, 다른 전자펜(사용자의 식별자(전자펜의 식별자와 동일한 의미)가 다름)으 로 기재한 정보가 합성되어, 최종적인 해답 용지(도19와 같은 해답과 채점의 정보가 기재된 해답 용지)가 출력될 수 있다. 합성을 위한 숫자키는 수강생이 기재한 수험번호 및 채점자가 기재한 수험번호(수험생이 기재하는 수험번호의 아래에 기재한 수험번호)이다. 즉, 정보 처리 장치(13)는 수강생이 기재한 수험번호와 채점자가 기재한 수험번호가 일치하는 해답 정보와 채점 정보를 합성하여 최종적인 해답 용지를 출력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3)는 수강생의 식별자, 수강생이 기재한 수험번호 및 수강생의 해답 용지를 짝을 지어 수신하고, 저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3)는 채점자의 식별자, 채점자가 기재한 수험번호 및 채점자의 채점의 정보(채점 종별 정보나 점수 정보 등)를 짝을 지어 수신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양측의 수험번호가 일치하는 해답 정보 및 채점의 정보를 하나의 용지에 출력함으로써 합성된 해답 용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매체에 기재된 수강생 식별자에 관한 기재 정보를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생 식별자를 구성하며, 상기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수강생 식별자를 상기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와 짝을 지어 축적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인 기재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채점 정보가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 및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 스텝에서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고, 상기 채점 취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결과 정보 축적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체(11)는 종이 이외의 매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매체(11)는 플라스틱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처리(각각의 기능)는 단일한 장치(시스템)에 의하여 집중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되고, 또는 복수의 장치에 의하여 분산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이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 등에서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 예를 들면, 송신 스텝에서의 모뎀이나 인터페이스 카드(interface card) 등으로 실행되는 처리(하드웨어 로밖에 실행되지 않는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하나이어도 되고, 복수이어도 된다. 즉, 집중 처리를 실행해도 되고, 또는 분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이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등은 정밀도 높은 자동 채점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테스트 등의 자동 채점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7)

  1.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인 기재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부;
    상기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부;
    상기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부; 및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에서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결과 정보 축적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는,
    상기 채점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채점 정보가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결과 정보 축적부는,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부가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고, 또한,
    상기 채점 취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부가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결과 정보 축적부가 축적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채점 결과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채점 결과 출력부는,
    하나의 문제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결과 정보 축적부가 축적한 최종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유효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인 것으로서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결과 출력부는,
    상기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한 합계점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해당 채점 종별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점수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와 소정의 관계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정보가 갖는 채점 종별 정보가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또한, 해당 반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의 다음에 점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며,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정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답에 대응하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정보가 갖는 점수 정보가 소정의 영역 내의 최후 스트로크(stroke)인 경우에만, 해당 점수 정보가 나타내는 점수를 가산하고,
    상기 채점 종별 정보가 오답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는, 점수를 가산하지 않고, 1개 이상의 문제 식별자로 식별되는 문제에 대응하는 해답의 결과인 합계점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및 1개 이상의 전자펜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인 기재 정보를 취득하는 기재 정보 취득부;
    상기 기재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기재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를 구성하는 채점 정보 구성부; 및
    상기 채점 정보 구성부가 구성한 채점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채점 정보 송신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1. 컴퓨터에서,
    채점자가 용지 상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재한 정보에 관한 정보이며, 해당 용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1개 이상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 터 수신하는 채점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는 결과 정보 구성 스텝;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가 갖는 1개 이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식별하는 정보인 문제 식별자를 결정하는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 및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 스텝에서 구성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는 결과 정보 축적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채점 정보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회답에 대해서 부여하는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채점 정보가 소정의 정보인 경우에, 채점을 취소하는 취지의 정보인 채점 취소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결과 정보 축적 스텝에 있어서,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상기 결과 정보 구성 스텝에서 구성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축적하고, 또한,
    상기 채점 취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식별자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취소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지시인 출력 지시를 받아들이는 입력 스텝; 및
    상기 입력 스텝에서 출력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결과 정보 축적 스텝에서 축적한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결과를 출력하는 채점 결과 출력 스텝
    을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4.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 및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 자를 기재하는 난
    을 포함하는 특수 도트-패턴이 인쇄된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이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 및 상기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수강생 식별자를 기재하는 난은 상하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예정된 정보를 기재하는 영역이 없는
    매체.
  16. 제14항 또는 제15항 기재의 매체에 기재된 수강생 식별자에 관한 기재 정보를 갖는 채점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생 식별자를 구성하고,
    상기 채점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수강생 식별자를 상기 채점 종별 정보 또는/및 점수 정보와 짝을 지어 축적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수강생이 전자펜으로 기재한 수험번호 및 해답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강생의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고, 채점자가 전자펜으로 기재한 수강생 식별자에 관한 기재 정보를 갖는 채점 정보를 채점자의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험번호, 상기 수강생 식별자와 일치하는 해답 정보 및 채점의 정보를 하나의 용지에 출력함으로써 합성된 해답 용지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57024538A 2004-04-26 2005-04-12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700017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9624 2004-04-26
JPJP-P-2004-00129624 2004-04-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42A Division KR20120014068A (ko) 2004-04-26 2005-04-12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83A true KR20070001783A (ko) 2007-01-04

Family

ID=35197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538A KR20070001783A (ko) 2004-04-26 2005-04-12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117031642A KR20120014068A (ko) 2004-04-26 2005-04-12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42A KR20120014068A (ko) 2004-04-26 2005-04-12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69838B2 (ko)
KR (2) KR20070001783A (ko)
WO (1) WO20051040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863B2 (en) 2007-05-04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666B2 (ja) * 2006-03-27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採点結果認識システム及び採点結果認識処理プログラム
JP5339571B2 (ja) * 2007-04-20 2013-11-13 株式会社ワオ・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15745A (ja) * 2007-07-09 2009-01-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プログラム及び採点システム
JP4873374B2 (ja) * 2007-07-13 2012-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学習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4069B2 (ja) * 1993-01-29 1996-08-14 株式会社桐杏学園 得点入力集計装置
JP3486459B2 (ja) * 1994-06-21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情報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161143A (ja) * 1994-12-07 1996-06-21 Sanyo Electric Co Ltd 手書き入力装置
JP2003107979A (ja) * 2001-09-29 2003-04-11 Kokuyo Co Ltd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228692A (ja) * 2002-02-05 2003-08-15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採点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863B2 (en) 2007-05-04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9124710B2 (en) 2007-05-04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104060A1 (ja) 2008-03-13
WO2005104060A1 (ja) 2005-11-03
JP4669838B2 (ja) 2011-04-13
KR20120014068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5773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36769B2 (ja) 電子ペンによる記入進捗を管理する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01783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JP4353729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533957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526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957648B2 (ja) 採点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045844A (ja) 漢字書き順学習システム、漢字書き順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漢字練習用紙
JP4427064B2 (ja) 採点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339574B2 (ja) 解答情報処理装置、採点情報処理装置、解答情報処理方法、採点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66035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83266B2 (ja) 電子ペンによる記入進捗を管理する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7124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52637A (ja) 電子ペン、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80974B2 (ja) 識別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帳票
JP541331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385644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23295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171296A (ja) 電子ペン用選択情報処理方式及びプログラム
JP526795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9691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29303B2 (ja) 計算処理システム、計算処理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計算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帳票
JP2005037990A (ja) 項目特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472505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64716A (ja) 採点結果認識システム及び採点結果認識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02

Effective date: 201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