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980A - 종이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980A
KR20060131980A KR1020067021193A KR20067021193A KR20060131980A KR 20060131980 A KR20060131980 A KR 20060131980A KR 1020067021193 A KR1020067021193 A KR 1020067021193A KR 20067021193 A KR20067021193 A KR 20067021193A KR 20060131980 A KR20060131980 A KR 2006013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paper
height
outside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8605B1 (ko
Inventor
하야미 아베
미츠시게 나카오
토모유키 타마하시
하야토 미나미신
아키노리 코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6Feeding stacks of articles to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삽입된 지폐 다발은 클램프를 반송 벨트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그 사이에서 끼운 형태로 반송한다. 그 클램프의 이동은 2개의 아암에 동력을 전달시켜 행한다. 한쪽 아암에 전달된 동력은 링크를 통해 다른 쪽 아암에 전달된다. 그 링크에는 복수의 슬릿이 설치되고, 슬릿 검출용 복수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클램프의 이동에 따른 슬릿과 센서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압한 지폐 다발의 높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종이류 취급 장치{SHEET HANDLER}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금자동지급기(CD)나 현금자동예금지급기(ATM) 등의 자동화기기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등에도 설치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는 그와 같은 자동화기기에 종이류로서 지폐를 취급하기 위해서 탑재된다. 그와 같은 경우, 자동화기기 본체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지폐를 1장씩 투입하는 것은 그 수가 많아질수록 고객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워진다. 이 때문에, 자동화기기에서는, 입금하는 지폐는 겹쳐서 지폐 다발의 상태로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가 1장만 투입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지폐 다발은 1장 이상의 지폐가 겹쳐진 것이다.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한다고는 할 수 없다. 예컨대 자동화기기, 또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고유의 허용 범위를 넘는 매수의 지폐 다발을 고객이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繰出)하여 반송하는 타입의 종래의 종이류 취급 장치 중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여, 그 높이가 상한을 넘으면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에 기재한 종이류 취급 장치는 지폐 다발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하여 적층시킴으로써, 각 지폐의 자중(自重)을 이용하여 지폐 다발의 높이를 보다 정확히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폐는 가볍기 때문에, 그 자중에 비하여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를 겹쳐 쌓아도 그 전체의 높이는 각 지폐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변화된다. 이것에 따라, 반드시 지폐 다발의 높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는 없었다.
종이류 취급 장치 중에는 삽입된 지폐 다발을 그 상태인 채로 내부에 받아들이는 타입도 있다. 그 타입의 종래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검출에 의해 그 지폐 다발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하지 않은 것을 원인으로 하는 잼(jam) 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는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4-8229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을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히 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모두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며, 각각 이하의 수단을 포함한다.
제1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가압하여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2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져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의 받아들이기를 중지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마다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과,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4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斜行量)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과,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가압한 상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높이가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높이가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여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종이류의 탄성력에 의해 높이가 보다 높게 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실제 높이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그 상태로 반송하는 경우 및 종이류를 1장씩 조출하여 반송하는 경우 모두 종이류 다발은 가압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들로부터, 실제로는 적절한 종이류 다발이 부적절하다고 간주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ATM 등의 자동화기기에서는, 추가 입금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추가 입금에서는, 종이류인 지폐는 복수 회로 나누어 삽입된다. 복수 회로 나누어 삽입되더라도, 삽입된 지폐의 반환은 1회로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는, 종이류 다발마다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삽입된 종이류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를 종이류 다발 전체의 시점에서 적절히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1개 이상 검출하고,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그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문에, 적절한 사이즈의 종이류 다발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그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문에, 적절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는 종이류 다발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이류 다발의 판정은 그 삽입시에 또는 삽입에 의한 반송을 시작한 후, 즉시 행해진다. 이것에 따라, 어느 판정을 행한다고 해도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을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하게 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종이류 취급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을 받아들이는 종이류 반송 장치(프리·억셉터; pre-acceptor)의 반송계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3a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평면도.
도 3b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측면도.
도 3c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정면도.
도 4는 삽입된 지폐 다발에 클램프에 의해 압력을 가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투입 출구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 취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7a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상단 위치).
도 7b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받아들이기 가능 위치: 1).
도 7c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받아들이기 가능 위치: 2).
도 7d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하단 위치).
도 8a는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지폐 다발을 설명한 도면.
도 8b는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지폐 다발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지폐 다발의 사행량 측정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입금 처리의 흐름도.
도 11은 받아들이기 처리의 흐름도.
도 12는 부적절한 지폐 다발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예를 설명한 도면.
도 13a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폐 다발의 삽입 전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3b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폐 다발의 삽입 후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종이류 취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그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자동화기기, 예컨대 현금자동예금지급기(ATM)에 이용되는 것을 상정한, 종이류로서 지폐를 취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장 이상의 지폐를 겹친 종이류 다발(B)을 고객이 삽입한 경우에 내부로 받아들이는 프리억셉터(Pre-acceptor)(100)와, 지폐를 수납하는 하부 유닛(200) 및 하부 유닛(200)과 프리억셉터(100) 사이의 지폐의 반송을 행하는 상부 유닛(3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프리억셉터(100)는 이후 「억셉터」 또는 「PAC」라고 표기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입출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동작의 설명은 입금시, 출금시로 나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것을 탑재한 자동화기기로서는 ATM을 상정, 즉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정한다.
억셉터(100)에 설치된 투입 출구(101)는 고객이 입금을 위한 지폐 다발(B)의 투입 또는 고객에의 출금을 위한 지폐 다발(B)의 외부로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것 이다. ATM에 탑재되는 경우, 투입 출구(101)의 외측에는 개폐되는 셔터(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이후, 고객의 시점에서,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측은 전면측, 그 반대측은 후면측이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또한, 하부 유닛(200)으로부터 보아 상부 유닛(300)측을 상측, 그 반대를 하측으로 각각 표현하기로 한다.
먼저, 입금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입금은 예컨대 고객이 ATM의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입금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요구를 고객이 하면, ATM 본체는 셔터를 열어 지폐 다발(B)의 투입 출구(101)로의 삽입(투입)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켜, 종이류 취급 장치(1)에는 삽입되는 종이류(B)의 받아들이기를 지시한다.
투입 출구(101)의 근방에는 삽입된 지폐 다발(B)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 그 지시를 받으면, 그 센서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반송을 행한다. 그 반송에 의해, 지폐 다발(B)은 반송로(102)를 통해 상부 유닛(300)의 세퍼레이터(SEP)부(310)로 운반된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면, 그 취지를 ATM 본체에 통지한다. ATM 본체는 그 통지에 의해 셔터를 폐쇄하게 한다.
세퍼레이터부(310)의 하부에는 지폐 다발(B)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하기 위한 조출 기구(3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출 기구(311)는 예컨대 주지된 구성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폐에 조출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픽 롤러, 그 픽 롤러에 의해 조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피드 롤러 및 지 폐의 2중 반송 방지용으로 그 피드 롤러와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된 세퍼레이터를 갖춘 구성의 것이다.
억셉터(100)가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스테이지(312) 상으로 운반된다. 그 스테이지(312) 및 그 상측에 위치하는 푸셔(313)는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출 기구(311)가 지폐를 조출할 수 있는 위치로의 지폐 다발(B)의 반송은 스테이지(3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스테이지(312), 푸셔(313)의 도 2에 도시하는 위치는 각각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의 상단이므로, 함께 상단 또는 상단 위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지폐의 조출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지폐와 픽 롤러를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푸셔(313)는 그 압력으로 이들을 접촉시키는 가압에 이용하고 있다. 그 가압은 스테이지(312)를 아래쪽으로 하단까지 이동시킨 후, 푸셔(31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지폐 다발(B)의 위쪽으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픽 롤러는 도시되지 않는 탄성 부재에 지지시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지폐의 조출에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픽 롤러의 위치 변화로부터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한 픽 롤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그 센서의 검출 결과를 감시하여,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푸셔(31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스테이지(312), 푸셔(313)를 이동 시키는 구동계는 각각 별개로 준비하고 있다. 그 이동용의 동력원으로서는 모두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조출 기구(311)에 의해 1장씩 조출된 지폐는 반송로(301)를 통해 감별부(320)로 반송되어 감별이 이루어진다. 그 감별에 의해, 지폐가 정상권인지 여부의 판별이나, 정상권의 돈 종류의 특정이 이루어진다. 가짜 지폐, 감별 불가능한 지폐 또는 파손된 지폐는 이상권(異常券)으로 판별된다. 감별된 후의 지폐는 반송로(302)로 반송된다.
상부 유닛(300)에는 3개의 리젝트 박스(351∼353)가 설치되어 있다.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기 위해서 일시 보류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일시 보류부(330)에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반송로(303), 리젝트 박스(351∼353)의 어느 하나에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반송로(3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302)에는 지폐의 반송처를 전환하기 위해서 2개의 전환 갈고리(302a, 302b)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302)에서 반송 중인 지폐를 이어서 반송시키는 반송로는 전환 갈고리(302a)에 의해 반송로(303)로, 전환 갈고리(302b)에 의해 반송로(304)로 각각 전환할 수 있다. 감별된 후의 지폐는 전환 갈고리(302a)에 의해 반송로(302)로부터 반송로(303)에 보내져 일시 수납부(330)에 수납된다.
일시 수납부(33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스테이지(331, 332)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지(331)는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수납, 스테이지(332)는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수납에 각각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편의적으로, 스테이지(331)에 의해 실현되는 수납부를 리저버(reservoir)부, 스테이 지(332)에 의해 실현되는 수납부를 에스크로(escrow)부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또한, 스테이지(331)는 RSV 스테이지, 스테이지(332)는 ESC 스테이지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이들 스테이지(331, 332)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한 2개의 풀리(333, 334) 사이에 설치된 벨트(335)에 부착되어 있다. 2개의 풀리(333, 334) 및 벨트(335)는 스테이지별로 준비함으로써, 각 스테이지(331, 332)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지폐의 반송처를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반송로(303)에는 전환 갈고리가 하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303)로 반송하는 지폐는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 반송로(304)에는 지폐를 리젝트 박스(351∼353) 중 어느 하나에 수납시키기 위해서, 2개의 전환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의 감별, 그 감별 결과에 따른 일시 보류부(330)에의 수납은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1장씩 조출된 모든 지폐에 대하여 행한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이 완료된 후에는, 조출된 지폐는 일시 보류부(330)의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적재되어 수납된다. 조출의 완료는 세퍼레이터부(310) 내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음을 센서로 확인하거나, 또는 조출을 행하더라도 반송로(301)로 지폐가 조출되지 않음을 센서로 확인함으로써 판정된다.
지폐 다발(B)의 형태로 투입된 지폐의 일시 수납부(330)에의 수납이 완료되면, 종이류 취급 장치(1)는 그 취지를 ATM 본체에 통지한다. 감별부(320)가 정상 권이라고 판별한 지폐의 매수를 돈 종류마다 카운트하여 산출한 입금액도 아울러 통지한다. 이들 통지에 의해, ATM 본체는 고객에 대하여 입금액을 제시하여, 거래를 행할지의 여부, 추가 입금의 유무 등의 조회를 행한다. 이후에는 그 조회 결과에 따라 동작한다.
고객이 추가 입금을 요구한 경우, ATM 본체는 셔터를 재차 열어 종이류 취급 장치(1)에는 삽입되는 종이류(B)의 받아들이기를 지시한다.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구성하는 지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하여,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
고객이 거래의 취소를 요구한 경우에는,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받아들인 지폐의 반환을 지시한다. 그 지폐는 통상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에스크로부 또는 이들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지폐가 수납된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반환을 행한다.
일시 보류부(330)의 위쪽에는 지폐 다발(B)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30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반송로(305)는 일시 보류부(330)에 수납된 지폐 다발(B)을 억셉터(100)에 반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반송로(305) 상의 지폐 다발(B)의 반송은 캐리어(341)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캐리어(341)는 지폐 다발(B)을 반송 방향의 후방에서 누르는 형태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그와 같이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로서 겹쳐진 각 지폐는 캐리어(341)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이 때문에, 지폐 다발(B)은 적절하게 또 확실하게 반송되어,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지폐가 반송 중에 돌출되어 버리는 것은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반송로(305) 상에는 캐리어(34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341)는 그 기어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반송로(305) 상에 설치된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341)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는 그 캐리어(341)의 반송로(305)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그 가이드는 각 스테이지(331, 332, 312)에도 설치되어 있다.
지폐가 리저버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를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캐리어(341)는 그 릴리스 위치에 있는 스테이지(331)의 후면측의 위치(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이미 이동시키고 있다.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은 그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위치(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셔터를 열게 하기 위해서, ATM 본체에는 예컨대 캐리어(341)를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시점에서 통지를 한다. 스테이지(331)를 이동하기 전의 캐리어(341)의 위치 및 ATM 본체에 통지하는 타이밍은 다른 경우라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지폐가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는 반송로(305) 상으로 후퇴시킨 위치(상단 위치)로 이동시키고, ESC 스테이지(332)는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은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위치(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지폐가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를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스테이지(312) 및 푸셔(313)는 각각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RSV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은 캐리어(341)를 세퍼레이터부(310)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테이지(312) 상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스테이지(312)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푸셔(313)는 스테이지(312)의 상단 위치인 합류 준비 위치로 이동시킨다. 푸셔(313)를 합류 준비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1에 도시하는 포크(342)를 푸셔(313)(전면)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그 돌출된 후, 푸셔(313)는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지폐는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접어 구부러진 지폐는 그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지폐를 단순히 겹쳐 쌓은 경우, 그 높이는 각 지폐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변화된다. 접어 구부러진 지폐가 많을수록 그 높이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포크(342)는 스테이지(312) 상의 지폐 다발(B)이 반송로(305) 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피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하고 있다.
그 포크(342)는 합류 준비 위치의 높이에, 반송로(305)를 따라 돌출, 돌출한 상태로부터의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이 가능하도록, 푸셔(313)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푸셔(313)로 스테이지(312) 상의 지폐 다발(B)을 억제한 상태에서 포크(342)를 돌출시켜, 푸셔(313)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포크(342)에 의해 지폐 다발(B)이 반송로(305) 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억제하고 있다.
RSV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시킨 캐리어(341)는 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에, 각 스테이지(331, 332)는 순차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ESC 스테이지(332)의 상단 위치는 RSV 스테이지(331) 릴리스 위치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341)를 이동시켜, ESC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포크(342) 상으로 운반된다. 그 지폐 다발(B)이 운반된 후, 포크(342)는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312) 상에는 리저버부에 수납된 지폐 다발(B), 에스크로부에 수납된 지폐 다발(B)이 그 순서로 겹쳐 하나로 통합된다. 하나로 통합한 지폐 다발(B)은 스테이지(312)를 상단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어(341)로 억셉터(100)의 릴리스 위치까지 반송하고, 또한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에 반송한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반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저브부, 에스크로부에 각각 수납된 지폐를 하나로 통합하여 반환한다. 이것은, 이들에 수납된 지폐를 따로따로 반환함으로써 일어나는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린 지폐는 예컨대 리젝트 박스(353)에 수납한다.
고객이 거래(입금)를 요구한 경우에는,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다. 그 지폐는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에스크로부 또는 이들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지폐가 수납된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여 수납을 행한다.
이상권, 즉 정상권이라고 판별되지 않은 지폐는 리저버부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지폐가 리저버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폐는 반환한다. 그 때의 동작은 고객의 취소 요구에 의해 리저버부에만 수납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지폐가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는 반송로(305) 위로 후퇴시킨 상단 위치로 이동시키고, ESC 스테이지(332)는 반송로(305) 상의 릴리스 위치로 이동시켜, 그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반송한 지폐 다발(B)로부터 지폐를 1장씩 세퍼레이터부(310)에 조출하여, 반송로(301), 감별부(320) 및 반송로(302)를 통해 하부 유닛(200)으로 반송한다.
하부 유닛(200)에는 수납하는 지폐의 돈 종류별로 착탈 가능한 지폐 카세트(210)가 탑재된다. 탑재된 각 지폐 카세트(210) 내의 상부에는 지폐의 수납 및 수납된 지폐의 조출을 행할 수 있는 조출 기구(21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유닛(200)으로 반송된 지폐는 반송로(201)로 반송되어, 그 반송로(201)에 설치된 전환 갈고리에 의해 수납하여야 할 지폐 카세트(210)로 유도되어 조출 기구(211)에 의해 수납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삽입한 지폐는 그 돈 종류별로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된다.
지폐가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저버부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고객에게 반환하여, 에스크로부 에 수납된 지폐만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반송한 지폐는 1장씩 세퍼레이터부(310)로 조출하여,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반송로(301), 감별부(320) 및 반송로(302)를 통해 하부 유닛(200)에 반송시켜 돈 종류별로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시킨다.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반송로(301), 감별부(320), 반송로(302) 및 반송로(304)를 통해 리젝트 박스(351 또는 352)에 수납한다. 또는, 예컨대 일단 리저버부에 수납한 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이상권의 재차 감별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이 삽입한 종이류 다발(B)은 그 상태 그대로 세퍼레이터부(310)로 반송하여, 지폐 다발(B)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을 행하고, 조출하여 감별한 지폐는 일시 보류부(330)에 수납한 후, 지폐 다발(B)의 상태로 반송하여 반환하거나, 또는 그 세퍼레이터부(310)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별 후에 수납한 지폐를 1장씩 조출하여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폐를 1장씩 반송하는 반송 거리는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 중에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할 확률은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은 보다 향상되게 된다.
이어서, 출금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출금은 예컨대 고객이 ATM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지정한 출금액의 출금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요구를 고객이 하면,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출금 금액분의 지폐의 배출을 지시한다. 고객이 원하는 지폐를 지정한 경우에는, 그 지정 내용은 종이류 취급 장치(1)에 통지된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 그 지시를 받으면, 예컨대 돈 종류별로 조출하여야 하는 지폐의 매수를 결정하여, 그 결정에 따라 지폐를 조출하여야 하는 지폐 카세트(210)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 기구(211)에 의해 조출하게 한다. 조출된 지폐는 반송로(201) 및 상부 유닛(300)의 반송로(306)를 통해 감별부(320)로 반송되어 감별된다. 그 감별에 의해,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에스크로부에 반송되고,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리젝트 박스(351 또는 352)에 반송된다.
에스크로부로의 지폐의 반송은 고객이 지정한 출금 금액분의 지폐를 수납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그 출금 금액분의 지폐의 수납이 종료된 후에는,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이와 같이, 출금시의 지폐도 지폐 다발(B)의 상태로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이류 취급 장치(1)는 투입 출구(101) 주변에 확보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작더라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억셉터(100)의 구성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억셉터(100)의 반송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셉터(100)는 반송로(102)의 위쪽에 설치된 클램프(103)와, 반송로(102)의 아래쪽에 설치된 트레이(104)와, 그 트레이(104)에 부착된 훅(105)과, 지폐 다발(B)을 반송로(102)를 따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106)와, 반송 벨 트(106)에 의한 지폐 다발(B)의 반송량을 확인하기 위한 인코더(107)와, 반송로(102) 상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109∼112)와, 반송로(102) 상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반송로(102) 상으로의 돌출 및 후퇴를 행할 수 있는 스토퍼(113, 1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훅(105), 스토퍼(113, 114)는 지폐 다발(B)의 반송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형태로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코더(107)는 반송 벨트(106)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107a)와, 그 디스크(107a)의 원주 상에 설치된 슬릿 검출용 센서(107b)를 구비하고 있다. 그 센서(107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이다. 그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디스크(107a)의 회전에 의해 단속적으로 차광된다. 이에 따라 수광 소자로부터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그 펄스 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실제의 반송량을 특정한다.
상기 트레이(104)는 투입 출구(101)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B)을 판형의 부재로 지지하는 것이다. 그것에 부착된 훅(105)은 반송로(102) 상으로의 돌출, 후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 다발(B)의 삽입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을 삽입하여야 할 길이의 가이드로 이용하고 있다.
트레이(104)의 반송로(102)에 따른 이동은 도 2의 시점에서는 반송 벨트(106)와 겹치도록 설치된 벨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그 이동량을 특정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코더(107)를 따로 준비하고 있다. 스토퍼(113, 114)에 대해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전면측에 설치된 스토퍼(113)를 A스토퍼, 후면측에 설치된 스토퍼(114)를 D스토퍼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클램프(103)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 클램프(103)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21, 12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샤프트에 의해 지폐 다발(B) 반송용의 4 라인의 반송 벨트(123)를 팽팽한 상태로 지지시킨 것이다. 가장 전면측에 위치하는 샤프트(121)에는 지폐 다발(B) 삽입용 가이드(124)가 복수 개 부착되어 있다. 반송 벨트(123)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동력은 1라인의 샤프트, 예컨대 샤프트(121)을 통해 전달된다. 그 동력은 하측에 배치된 반송 벨트(106)에도 전달된다.
클램프(103)는 삽입된 지폐 다발(B)을 트레이(104)와의 사이에서 끼운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반송로(102)에 따른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계는, 샤프트(121, 122)의 양단측에 각각 부착한 아암(131, 132)에 의해 그 이동을 실현시킨다. 동력은 아암(132)에 전달되고, 그 동력은 링크(133)를 통해 아암(131)에 또한 전달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31, 132)은 각각 축(131a, 13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단부에는 각각 오목부(131b, 132b)가 형성되고, 샤프트(121, 122)는 그 오목부(131b, 132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아암(132)의 다른 쪽의 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단부(132c)에는 이가 형성되고, 그 이와는 기어(135)의 이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어(135)는 샤프트(134)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134)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풀리(136)가 부착되어 있다. 그 풀 리(136) 및 샤프트(138)의 단부에 부착된 풀리(139) 사이에는 드라이브 벨트(137)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140)는 클램프(103)를 이동시키는 구동계의 동력원이다. 그것은 예컨대 스테핑 모터이다. 그 모터(140)의 동력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41-143) 및 클러치(144)를 통해 샤프트(138)에 전달된다. 샤프트(138)에 전달된 동력은 풀리(139), 드라이브 벨트(137), 풀리(136), 샤프트(134) 및 기어(135)를 통해 아암(132)에 전달된다. 그와 같이 동력이 전달되는 결과, 클램프(103)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상단 위치)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의 이행 및 그 반대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의 이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103)를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지폐 다발(B)은 하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에 끼워진다. 그 지폐 다발(B)에 대해서는 충분한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할 필요는 없다. 그 지폐 다발(B)의 높이는 겹쳐진 지폐에 따라 변화되는 경우도 있어, 충분한 압력을 가했을 때의 높이는 사전에 알 수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해진 이상의 저항이 생기면 공전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를 클러치(144)로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적절한 압력이 지폐 다발(B)에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
링크(133)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슬릿(133a∼133c)을 설치하여, 이들의 슬릿(133a∼133c)을 검출할 수 있는 2개의 센서(145, 146)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 센서(145, 146)는 모두 광학 센서로서,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차광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슬릿(133a∼133c)을 검출한다.
슬릿(133a∼133c) 및 센서(145, 146)는 클램프(103)의 위치,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지 여부의 판정을 할 수 있는 배치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103)가 도 2에 도시하는 상단 위치에 있으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센서(145, 146)는 투과, 즉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수광 소자에 입사하도록 하고 있다.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라면, 도 7b 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에서는 차광, 즉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수광 소자에 입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다른 쪽의 센서(146)는 차광, 투과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지폐 다발(B)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지폐 다발(B)이 얼마 되지 않는 높이라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에서는 투과, 센서(146)에서는 차광하도록 하게 하고 있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클램프(103)는 하단 위치에 있게 된다.
도 5는 투입 출구(101)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 근방에 설치된 센서(109∼111) 및 후면측에 설치된 센서(112)는 모두 광학 센서이다.
지폐 다발(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하여, 즉 그 길이 방향을 삽입 방향에 교차시켜 폭 좁힘 가이드(151) 사이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투입 출구(101)에 삽입된 지폐 다발(B)의 폭(길이 방향의 길이)이 정상권인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센서(109)로서 센서(109a∼109d)의 4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109a∼109d) 및 센서(110)를 이용하여, 지폐 다발(B)이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받아들여야 하는 지폐 다발(B)이 만족해야 하는 받아들이기 조건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10) 및 센서(109b, 109c)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또한 센서(109a, 109d)의 어느 한 쪽이 그것을 검출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폐 다발(B)은 받아들이기를 거절한다. 도 8a 및 도 8b에 각각 도시한 화살표는 지폐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지폐 다발(B)은 사행한 상태로 투입 출구(101)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 사행(斜行)의 검출은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한 지폐 다발(B)만을 대상으로 센서(109b, 109c)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도시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지폐 다발(B)이 사행하고 있으면, 그것을 안쪽으로 반송할 때에, 센서(109b, 109c)가 검출하지 않게 되는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긴다. 그 시간차를 ΔT, 반송 속도를 V라고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센서(109b, 109c) 사이의 어긋남량(X)은,
X=V·ΔT
가 된다. 이 때문에, 각도로 나타내는 사행량[θ(°)]은 센서(109b, 109c) 사이의 거리를 Y라고 하면,
θ=tan-1(X/Y)
로 구할 수 있다. 그 사행량(θ)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만, 지폐 다발(B)의 받아 들이기를 계속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지폐 다발(B)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센서(109a∼109d)를 이용하여 행한다.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지폐 다발(B)이 센서(111)를 차광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나서 그 차광이 해제될 때까지 반송한 길이가 허용 범위 내인지 확인함으로써 행한다. 지폐 다발(B)의 높이는, 클램프(103)를 가압한 후, 그것을 상단 위치로 되돌리는 데에 필요한 모터(140)의 회전량을 카운트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모터(140)로서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회전량으로서 모터(140)에 구동용으로 가한 펄스의 수(스텝 수)를 카운트하고 있다.
상단 위치에서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 146)가 모두 투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센서(145, 146)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지폐 다발(B)을 가압하고 있었던 위치에서부터 상단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모터(140)에 가해진 펄스의 스텝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폐 다발(B)의 높이는 상단 위치의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의 높이에서 그 스텝 수에 대응하는 높이를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지폐가 갖는 탄성력은 그 자중에 비하여 큰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지폐의 탄성력에 의한 변형은 자중에 의해 막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단순히 지폐를 겹치면, 지폐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전체의 높이가 변화된다. 지폐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통상, 즉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지폐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높아진 지폐 다발(B)을 누르더라도 그 압박을 해제하면 그 해제 후에 지폐 다발(B) 은 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지폐 다발(B)을 눌렀을 때의 높이를 구하고 있다. 그와 같이 구한 높이는 지폐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거시켜 지폐마다 그 두께를 가산한 정확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다발(B)의 사이즈 체크(긴 길이, 짧은 길이 양 방향의 길이 체크), 사행량(θ) 및 그 높이의 측정을 지폐 다발(B)이 억셉터(100)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정확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은 보다 빠른 단계에서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은 향상되고, 보다 높은 이용 효율이 실현된다. 그것을 실현시키는 동작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은 종이류 취급 장치(1)의 회로 구성도이다.
상기 억셉터(100)는 센서군(161), 모터군(162) 및 솔레노이드군(163)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센서군(161)은 상기 센서(109∼112, 145, 146)나 인코더(107)의 센서(107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군(162)은 클램프(103)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인 모터(140), 클램프(103)에 설치된 반송 벨트(123) 및 그 아래쪽에 설치된 반송 벨트(106)의 구동용 모터, 트레이(104)의 이동용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이들 모터는 전부 스테핑 모터이다. 훅(105), A스토퍼(113) 및 D스토퍼(114)의 돌출, 후퇴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솔레노이드군(163)은 이들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유닛(200)은 프린트 기판(PCB)(2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그 프린트 기판(260)에는 모터군(271, 272), 센서군(273) 및 솔레노이드군(274)이 접속되 어 있다.
모터군(271)은 예컨대 복수 개의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테핑 모터는 대응하는 지폐 카세트(210) 내에 설치된 스테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모터군(272)은 예컨대 복수 개의 DC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각 DC 모터는 대응하는 지폐 카세트(210) 내에 설치된 조출 기구(211)의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센서군(273)은 반송로(201) 상에 지폐 검출용으로 설치된 센서, 지폐 카세트(210)의 검출용의 센서(예컨대 스위치), 지폐 카세트(210)의 스테이지의 위치 검출용의 센서 및 그것에 수납된 지폐 검출용의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군(274)은 반송로(201) 상의 전환 갈고리마다 준비된 상태 전환용의 솔레노이드, 각 지폐 카세트(210) 내에 준비된 조출 기구(211)로의 동력 전달용의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60) 상에는 종이류 취급 장치(1)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261)와, 그 CPU(2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 ROM(262)와, CPU(261)가 워크에 이용하는 RAM(263)과, 센서군(273)을 구성하는 센서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264)와, 솔레노이드군(274)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65)와, 모터군(271)을 구성하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66)와, 모터군(272)을 구성하는 DC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67)와, 예컨대 상부 유닛(3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268)와, 예컨대 ATM 본체 등의 상위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269)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유닛(300)도 프린트 기판(PCB)(3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그 프린트 기판(360)에는 모터군(371, 162), DC 모터(372), 센서군(373, 161), 솔레노이드군(374, 163) 및 감별부(320)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억셉터(100)는 상부 유닛(300)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군(371)은 예컨대 복수 개의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캐리어(341), 각 스테이지(312, 331, 332) 및 푸셔(313)는 각각 스테핑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이동이 이루어진다. DC 모터(372)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지폐를 조출하여 반송하기 위한 동력원이다.
센서군(373)은 각 반송로(301∼305)에 지폐 또는 캐리어(341) 검출용으로 각각 복수 개 설치된 센서, 세퍼레이터부(3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일시 보류부(33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군(374)은 반송로(301) 상의 전환 갈고리(302a, 302b) 및 다른 반송로(303, 304) 상에 각각 설치된 전환 갈고리의 상태 전환용의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프린트 기판(360) 상에는 상부 유닛(3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361)와, 그 CPU(3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 ROM(362)과, CPU(361)가 워크에 이용하는 RAM(363)과, 센서군(373, 161)을 구성하는 센서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364)와, 모터군(371, 162)을 구성하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65)와, DC 모터(372)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366)와, 솔레노이드군(374, 163)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구 동부(367)와, 감별부(320)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I/F)(368) 및 하부 유닛(2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369)가 탑재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각 프린트 기판(260, 360) 상의 CPU(261, 361)는, 각각 ROM(262, 36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를 한다. CPU(261)는, 통신 I/F(269)를 통해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하여, 그 지시에 따라 하부 유닛(200)의 제어를 행하고, 상부 유닛(300)에의 지시를 행한다. 그 지시는 통신 I/F(268, 369)를 통해 상부 유닛(300)의 CPU(361)에 보내진다.
CPU(261)는, 센서 구동부(264)에 의해 센서군(273)을 구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각종 검출 결과는 그 구동부(264)로부터 수시로 수취하고, 상부 유닛(300) 또는 ATM 본체로부터 통신된 내용은 통신 I/F(268 또는 269)로부터 수시로 수취한다. 이들 검출 결과 및 통신 내용을 해석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부(265), 모터 구동부(266, 267)에 각각 상황에 따른 지시를 한다. 이에 따라, CPU(261)의 제어 하에서 하부 유닛(200)을 동작시킨다. 또한, 통신 I/F(268 또는 269)를 통해, 통지하여야 할 정보를 수시로 송신시킨다.
다른 쪽의 상부 유닛(300)의 CPU(261)는 하부 유닛(20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제어한다. 그 제어는, 센서 구동부(364)에 의해 센서군(373, 161)을 구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각종 검출 결과를 그 구동부(364)로부터 수시로 수취하여 해석하고, 솔레노이드 구동부(367), 모터 구동 부(365), 모터 구동 회로(366) 및 감별부(320)에 각각 상황에 따른 지시를 함으로써 행한다. 이에 따라, CPU(361)의 제어 하에서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동작시킨다. 감별부(320)에의 지시는 I/F(368)를 통해 행하고, 하부 유닛(200)에 통지하여야 할 정보는, 통신 I/F(369)를 통해 수시로 송신시킨다.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였을 때는 입금액, 지폐의 수납시에는 정상권이라고 판별한 지폐의 돈 종류 등이 그 정보로서 하부 유닛(200)에 송신된다.
이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각 흐름도를 참조하여 종이류 취급 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동작은 하부 유닛(200)의 CPU(261)가 그 하부 유닛(200)을 제어하고, 상부 유닛(300)의 CPU(361)가 그 CPU(261)의 제어 하에서 그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폐 다발(B)의 사이즈 체크(긴 길이, 짧은 길이의 양방향의 길이 체크), 사행량(θ) 및 그 높이의 측정은 그 지폐 다발(B)이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으로부터, 여기서는 지폐 다발(B)의 삽입이 행해지는 입금시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그 처리는 ATM 본체가 행하는 지시에 의해, 고객이 요구하는 입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실행된다. 처음에 도 10를 참조하여 입금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유닛(200)의 각 부는 CPU(261)의 제어로 동작하고,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의 각 부는 CPU(371)의 제어로 동작한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동작시키는 대상을 제어하는 CPU에 주목하는 형태로 설명을 행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101에서는, 트레이(104)가 도 2에 도시된 위치인 딜리버리(delivery)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그 딜리버리 위치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거기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 102에서는, 투입 출구(101)에 받아들이기 조건(도 8a)을 만족하는 지폐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투입 출구(101)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었던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04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3으로 이행한다. 그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허용 범위 내임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101, 102의 처리는, 하부 유닛(200)의 CPU(261)로부터 지폐 다발(B)의 받아들이기가 지시된 상부 유닛(300)의 CPU(361)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후술하는 단계 103∼118도 마찬가지이다. 투입 출구(101)의 근방에 설치되는 셔터는, 예컨대 단계 101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 열린다. 훅(105)은 통상 돌출한 상태로 하고 있다.
단계 103에서는, 지폐 다발(B)의 검출을 시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여기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상기 단계 102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지폐 다발(B)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 단계 103의 판정이 YES가 되기 전의 단계에서, 지폐 다발(B)이 삽입되지 않음이 CPU(361)로부터 CPU(261)에 통지되고, 또한 CPU(261)으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된다. 그와 같은 타이밍에 통지함으로써, ATM 본체가 셔터를 닫게 한 후, 단계 103의 판정이 YES가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단계 104에서는, 캐리어(341)는 세퍼레이터부(310)로 지폐 다발(B)을 운반할 때의 위치인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고, 푸셔(313), 스테이지(312)는 상단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 계속되는 단계 105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0)를 구동하여 클램프(103)에 의한 가압을 행하고, 센서(145, 146)에 의해 지폐 다발(B)의 높이를 검출한다(도 7a 내지 도 7d 참조). 스테핑 모터인 모터(140)의 구동은 CPU(361)가 모터 구동부(365)에, 회전 방향 및 펄스를 가하는 수(스텝 수)를 지정하여 그 구동을 지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다른 스테핑 모터라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이행하는 단계 105a에서는, 그 높이가 허용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 경우,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을 위해 클램프(10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센서(145)는 광을 투과하는 상태로부터 차광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그 이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지폐 다발(B)의 높이는 허용 범위 내가 아니라고 하여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8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06으로 이행한다.
단계 106에서는, 훅(105)을 후퇴시킨 후, 반송 벨트(106, 123) 및 트레이(104)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지폐 다발(B)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를 체크하기 위한 반송을 행한다. 그 반송은 센서(111)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나서 허 용 범위의 최대 길이만큼 행한다. 그 반송을 할 때, 사행 체크를 위해, 센서(109b, 109c)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지 않게 되는 시간차를 잰 사행량(θ)의 산출도 아울러 이루어진다(도 9). 훅(105)의 후퇴는 CPU(361)가 솔레노이드 구동부(367)에 지시하여, 그 후퇴용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다른 솔레노이드라도 마찬가지이다. 시간을 재는 것은 예컨대 탑재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한다. 실제의 반송량은 인코더(107)의 센서(107b)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확인한다.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102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단계 106에 계속되는 단계 107에서는, 지폐 다발(B)이 정상, 즉 지폐 다발(B)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사행량(θ)이 모두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들이 모두 허용 범위 내인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10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즉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사행량(θ)의 적어도 한 쪽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8로 이행한다.
단계 108에서는, 클램프(103)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그 가압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해제 후에는 단계 109로 이행하여 지폐 다발(B)이 빼내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센서(109a∼109d) 모두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지폐 다발(B)은 빼내어졌다고 하여, 그 취지를 CPU(361)로부터 CPU(261), 또 CPU(261)으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한 후,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일정 시간 기다려도 지폐 다발(B)이 계속하여 검 출되고 있는 경우, 그 지폐 다발(B)은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렸다고 하여, 내부에 받아들이는 리젝트 박스(353)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림으로써 ATM을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단계 107의 판정이 YES가 되어 이행하는 단계 110에서는,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까지 반송하기 위한 받아들이기 처리를 실행한다. 그 받아들이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스테이지(312) 상으로 반송된다. 단계 110a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
여기서, 그 받아들이기 처리에 관해서 도 11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받아들이기 처리의 실행 시작시에, 지폐 다발(B)의 전면측의 끝은 센서(111)가 지폐를 검출하는 위치(도 2 참조)보다도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선, 단계 201에서는, A스토퍼(113)를 돌출시킨다. 다음 단계 202에서는, 클램프(103)를 도 2에 도시된 상단 위치로 이동시켜 후퇴시킨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145, 146)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하여 모터(140)에 펄스를 가한 스텝 수를 카운트한다. 그 후에는 단계 203으로 이행하여 카운트한 스텝 수로부터 클램프(103)의 후퇴량을 구하고, 그 구한 후퇴량을 상단 위치의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의 높이에서 감산함으로써, 삽입된 지폐 다발(B)의 높이를 산출한다. 단계 204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
단계 204에서는, 지폐 다발(B)이 추가 입금에 의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 정한다. 그 지폐 다발(B)이 추가 입금을 요구한 고객에 의해 삽입된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205로 이행하고, 현재의 거래 중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의 높이의 누산치를 산출한다. 그 산출은 단계 203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지폐 다발(B)마다 산출되는 높이를 합계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206으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207로 이행한다. 그 단계 207로 이행하는 것은 도 10의 단계 106에서 클램프(103)에 의해 지폐 다발(B)을 압박시켰을 때, 센서(145, 146)의 출력 신호에 의해 그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206에서는, 산출한 누산치가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누산치가 미리 정한 상한치를 넘었을 경우, 판정은 NO가 되고, 여기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207로 이행한다.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환하여야 할 지폐는 1회로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폐 다발(B)로 반송하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1회에 반송할 수 있는 지폐 다발(B)의 높이에는 상한이 있다. 추가 입금에서는, 추가 입금 후의 반환을 행할 수 있도록, 고객이 이미 삽입한 지폐 다발(B)을 고려하여 지폐 다발(B) 전체적으로 누산한 높이가 그 상한을 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폐 다발(B) 전체적으로 누산한 높이를 구하여, 그 높이가 상한을 넘으면 고객이 새롭게 삽입한 지폐 다발(B)은 내부에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그 높이를 원인으로 하는 잼 등의 장해의 발생은 미연에,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상한은 한번에 거래할 수 있는 금액을 제한한다는 다른 이유의 것이라도 좋다.
그런데, 세퍼레이터부(310) 내의 지폐를 전부 조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지폐를 조출할 수 없는 경우, 조출할 수 없는 지폐는 세퍼레이터부(310)에 잔류하게 된다. 그 잔류 지폐는 고객의 요구에 상관없이 반환하도록 하고 있다. 추가 입금의 요구시에는 리저버부 내에 지폐가 존재하고 있으면 그것과 함께 반환하고 있다.
그러한 반환을 행하면, 상부 유닛(300) 내에 받아들이고 있는 지폐의 수는 적어지고, 지폐 전체의 높이는 단계 203에서 산출한 높이, 또는 단계 205에서 산출한 누산치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잔류하는 지폐나 리저버부에 수납되는 지폐의 수는 모두 적다고 하여, 그러한 지폐에 의한 높이, 또는 누산치의 변화분은 무시하고 있다.
단계 207에서는,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 즉 지폐 다발(B)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이동 후에는 단계 208로 이행하여 훅(105)을 돌출시킨다. 훅(105)은 그 후퇴용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종료시킴으로써 돌출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A스토퍼(113)의 돌출은 CPU(361)가 솔레노이드 구동부(367)에 지시하여 그 돌출용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208에 계속되는 단계 209에서는, A스토퍼(113)를 후퇴시킨 후, 훅(105)이 돌출한 상태의 트레이(104)를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 릴리스 위치란 트레이(104)의 이동 가능 범위 안에서 가장 후면측의 위치이다. 그 릴리스 위치로의 이동은 센서(112)의 출력 신호를 감시하여 행한다.
단계 209에 계속되는 단계 210에서는, 모터(140)를 구동하여 클램프(103)에 의한 가압을 행한다. 그 가압 후에는 반송 벨트(106, 123)에 동력을 전달하여 지폐 다발(B)을 미리 정한 거리만큼 반송하고(S211), 그 반송 후에는 D 스토퍼(114)를 돌출시킨다(S212). 그와 같이 하여,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의 스테이지(312) 상으로 반송한 후,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의 단계 110a 이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110a에서는, 지폐 다발(B)의 세퍼레이터부(310)로의 받아들이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의 높이의 누산치가 상한을 넘지 않은 경우, 도 11의 단계 206의 판정이 YES가 되어 그 받아들이기가 행해진다. 이것으로부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11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22로 이행한다.
단계 122에서는, 클램프(103)에 의해 지폐 다발(B)을 가압한다. 다음 단계 123에서는, 반송 벨트(106, 123) 및 트레이(104)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킴으로써, 고객이 새롭게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반환한다. 그 반환 후에는 단계 119로 이행한다.
단계 111에서는, 스테이지(312)를 하단까지 하강시킨 후, 지폐 다발(B)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가압 위치)까지 푸셔(313)를 하강시킨다. 다음 단계 112에서는, 캐리어(341)를 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조출한 지폐의 수납을 위해, 일시 보류부(330)의 각 스테이지(331, 332)를 이동시켜(S113), DC 모터(372)를 회전시킨다(S114). 푸셔(313)에 의한 가압은 예컨대 지폐 다발(B)에 적절한 압력을 가했을 때에 위치하는 픽 롤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을 감시하여, 그 센서가 픽 롤러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량 더 하강시킴으로써 행하고 있다.
모터(372)의 회전을 시작하게 한 후에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이 완료될 때까지,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지폐를 1장씩 순차 조출하여 일시 보류부(330)에 반송한다(S115, S116). 이에 따라, 고객이 삽입한 지폐는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
지폐의 조출은 조출 기구(311)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행하고, 지폐의 수납처는 조출된 지폐를 감별부(320)에서 감별함으로써 결정한다. 정상권이라고 판별한 지폐는 돈 종별마다 그 수를 카운트한다. 지폐의 조출 중에도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푸셔(313)는 간헐적으로 하강시키고 있다.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 지폐의 조출의 완료, 즉 조출 가능한 지폐를 전부 조출하여 일시 보류부에 수납하면, 단계 116의 판정이 YES가 되어 단계 117로 이행하여, DC 모터(372)를 정지시킨다. 이어지는 단계 118에서는, 푸셔(313), 스테이지(312)를 각각 상단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키고, 하부 유닛(200)의 CPU(261)에는 조출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나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의 금액(입금액)을 통지한다. 이들 정보는 CPU(261)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된다. 통지하는 입금액은 거래 내용에 상당한다.
그 통지에 의해, ATM 본체는 고객에 대하여, 거래(입금 거래)를 행할지의 여부, 추가 입금의 유무 등의 조회를 행한다. 하부 유닛(200)에는 그 조회 결과에 따른 지시를 한다.
단계 118에 이어지는 단계 119에서는, CPU(261)는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려, 그 지시 내용을 판정한다. 고객이 추가 입금을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그 추가 입금을 지시한 경우, 그 취지가 판정되어 상기 단계 101로 되돌아가 새롭게 삽입되는 지폐 다발(B)에 대비한다. 거래의 취소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지폐의 반환을 지시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판정되어 단계 120으로 이행한다. 거래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판정되어 단계 121로 이행한다.
단계 120에서는, 받아들인 지폐를 반환하기 위한 반환 처리를 실행한다. 거래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 경우에 이행하는 단계 121에서는, 받아들인 지폐를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 후에 일련의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출구(101)에 삽입되는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 상의 위치를 가이드(151)에 의해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가이드(151)를 설치하더라도 길이 방향 상의 사이즈가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이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 즉, 가이드(151) 사이에 들어가도록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을 투입 출구(101)에 고객이 무리하게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지폐 다발(B)의 삽입은 장해 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와 같은 장해의 발생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의 삽입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가이드(171)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위치에 존재하는 센서(109e, 109f)를 더 배치함으로써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가이드(171)는 레일(172)을 따라 그 간격을 좁히는 방향, 멀리 떼어놓는 방향의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이동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풀리(173, 174) 사이에 설치된 벨트(175)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원으로서는 예컨대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각 센서(109e, 109f)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이 삽입되기 전에 가이드(151)가 존재하는 장소로 하게 한다. 이 때문에,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지폐 다발(B)(도 8a 참조)이 삽입된 것을 검출하여 각 가이드(171)를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가이드(171) 사이에 들어가도록 길이 방향이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에서는, 그 안의 지폐 중 어느 하나가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게 된다. 이것에 따라, 센서(109e, 109f)의 어느 한쪽이 지폐 다발(B)을 검출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중지의 조건으로 하면, 길이 방향이 적절히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가압하여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2.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져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의 받아들이기를 중지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마다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 다발의 상기 높이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조건 판정 수단은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5.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동 수단이 상기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종이류 다발로부터 멀리 떼어놓은 후, 상기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斜行量)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8.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과,
    상기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
KR1020067021193A 2004-03-15 2004-10-20 종이류 취급 장치 KR100838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3609A JP2005259086A (ja) 2004-03-15 2004-03-15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4-00073609 2004-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980A true KR20060131980A (ko) 2006-12-20
KR100838605B1 KR100838605B1 (ko) 2008-06-16

Family

ID=3497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193A KR100838605B1 (ko) 2004-03-15 2004-10-20 종이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07707A1 (ko)
EP (1) EP1732044A4 (ko)
JP (1) JP2005259086A (ko)
KR (1) KR100838605B1 (ko)
CN (1) CN1926586A (ko)
WO (1) WO2005088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442B2 (ja) * 2004-03-15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束高さ検出方法、及び紙葉類取扱装置
US7681707B2 (en) * 2006-04-14 2010-03-23 Tabachnik Bruce M Drawerless point of sal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146804B2 (en) *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JP5286984B2 (ja) * 2008-07-03 2013-09-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窓口取引システム
JP5329259B2 (ja) * 2009-02-25 2013-10-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KR101095407B1 (ko) 2009-02-25 2011-12-16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JP5308216B2 (ja) * 2009-04-06 2013-10-0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555055B2 (ja) * 2010-06-01 2014-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DE102011000791B4 (de) * 2011-02-17 2022-1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einer Stapelzusammenführungseinheit
EP2680238A4 (en) * 2011-02-22 2015-04-08 Glory Kogyo Kk LIQUID SILVER PROCESSING DEVICE, LIQUID MONEY PROCESSING SYSTEM, LIQUID SILVER TRANSPORTING CASSETTE, TICKET PROCESSING DEVICE, AND TICKET PROCESSING METHOD
KR101183980B1 (ko) 2011-08-3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풀링 장치
JP5795990B2 (ja) 2012-05-14 2015-10-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WO2014155645A1 (ja) * 2013-03-29 2014-10-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10504315B2 (en) * 2013-08-05 2019-12-10 Ncr Corporation Clamping of media items
CN105118143A (zh) * 2015-08-04 2015-12-02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判别纸币冠字号的纸张类处理装置及自动交易装置
JP2019061294A (ja) * 2016-02-04 2019-04-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N107016776A (zh) * 2016-08-22 2017-08-04 苏州少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清分自动扎把机压钞机构
CN110310410A (zh) * 2018-03-20 2019-10-08 光荣株式会社 纸币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272A (en) * 1974-04-02 1976-01-13 Pitney-Bowes, Inc. Scan system
US4414730A (en) * 1980-09-22 1983-11-1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f banded paper sheet bundles and a processing machine therefor
US4478400A (en) * 1982-05-19 1984-10-23 Suburban Duplicator Repair, Inc. Envelope feeder for a duplicating press
JP2559389B2 (ja) * 1987-01-23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1177188A (ja) * 1988-01-06 1989-07-13 Hitachi Ltd 入出金口の異常紙幣検知装置
JPH0821106B2 (ja) * 1988-02-26 1996-03-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金機における追加投入可能枚数表示装置
JP2771984B2 (ja) * 1988-03-29 1998-07-02 株式会社東芝 物品処理装置
JP2595069B2 (ja) * 1988-10-21 1997-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り扱い装置の異物検知機構
JP2746996B2 (ja) * 1989-03-31 1998-05-0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束処理装置
US5467406A (en) * 1990-02-05 1995-11-14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cy discrimination
JPH07294205A (ja) * 1994-04-27 1995-11-10 Kawashima Textile Manuf Ltd シート類の幅測定装置
US5917930A (en) * 1996-07-31 1999-06-29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US6502052B1 (en) * 1998-02-19 2002-12-31 Kabushiki Kaisha Toshiba Note bundle managing apparatus to store and count note bundles
JP4301610B2 (ja) * 1998-11-30 2009-07-22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機
JP4728477B2 (ja) * 2000-12-27 2011-07-2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とその排除要因表示方法
JP3846695B2 (ja) * 2001-07-30 2006-11-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88564A1 (ja) 2005-09-22
JP2005259086A (ja) 2005-09-22
US20070007707A1 (en) 2007-01-11
KR100838605B1 (ko) 2008-06-16
EP1732044A4 (en) 2010-05-19
CN1926586A (zh) 2007-03-07
EP1732044A1 (en)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605B1 (ko) 종이류 취급 장치
EP2706028B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and paper sheet conveying apparatus
US9508231B2 (en) Banknote pay-in/pay-out device and banknote transaction device
US7537214B2 (en) Method for detecting height of paper bundle and paper handling device
JP2011243082A (ja) 紙葉類管理装置及び紙葉類管理方法
JP5547702B2 (ja) 紙幣表裏整列装置および紙幣表裏整列方法
JP2016218965A (ja) 紙幣取扱装置
JP2007210718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保守システム
KR100832050B1 (ko) 종이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및 종이류 반송 장치
KR102361651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JP2532668B2 (ja) 入出金装置
JP5190633B2 (ja) 還流式紙幣処理装置
KR100319023B1 (ko) 지폐 처리장치
JP5101153B2 (ja) 紙幣払い出し装置
JP4608814B2 (ja) 媒体処理装置
KR100307902B1 (ko) 지폐처리장치
JP2000251117A (ja) 貨幣処理装置
JP4571813B2 (ja) 紙葉類取扱装置の構築方法
JPH0319009Y2 (ko)
JP2001331842A (ja) 紙幣取引装置およびその紙幣の抜取り方法
JPS6382241A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