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902B1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902B1
KR100307902B1 KR1019980051319A KR19980051319A KR100307902B1 KR 100307902 B1 KR100307902 B1 KR 100307902B1 KR 1019980051319 A KR1019980051319 A KR 1019980051319A KR 19980051319 A KR19980051319 A KR 19980051319A KR 100307902 B1 KR100307902 B1 KR 10030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elt
banknote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119A (ko
Inventor
최영찬
Original Assignee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함현철
Priority to KR101998005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9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902B1/ko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에 대기시킨 다음, 거래발생시에 지폐 적재수단을 이용하여 지폐적재함에 적재함과 동시에, 반환요구시에는 지폐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일괄반환이 가능한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폐 처리장치는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 이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지폐 이송부(400)와,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 및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로 이루어진 메인 동력부(8O0)와,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500)과,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처리장치
본 발명은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에 대기시킨 다음, 거래발생시에 지폐 적재수단을 이용하여 지폐적재함에 적재함과 동시에, 반환요구시에는 지폐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일괄반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폐중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지폐는 금액별로 다양한 크기와 문양을 지니고 있으며, 지폐 인식이 가능한 자동판매기나 자동발권기 등에서는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지폐를 반출하거나 차례대로 적재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종래의 적재장치로서는 1988년 5월 28일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881호에는 지폐의 반입상태나 지폐의 축적상태를 알 수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지폐 수입장치가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부와, 지폐 식별부에서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를 보류하고, 또 보류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에스크로부와, 지폐 식별부에서 진짜 지폐로 수입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지폐 저장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부의 지폐 통로를 상기 에스크로부 또는 지폐 저장장치의 한쪽에 선택적으로 통하기 위한 통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지폐 수입장치는 지폐의 일시 보류 및 저장이 가능하고 지폐 축정량의 상한 검출과 매수의 카운트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지폐의 수입 및 반송을 위해서 다수의 모터를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특허의 지폐 수입장치는 지폐의 수입 및 반송을 위해 정역회전하는 제 1모터(M1)를 비롯하여, 에스크로부에 있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제 2모터(M2)와, 지폐 반송 보조용의 제 3모터(M3) 및 지폐 반송용 제 4모터(M4)를 구비하고 있어 제조 코스트가 상승되며 다수의 모터를 사용하는데 따라 전류의 소모가 많고 작동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지폐의 임시저장 및 일괄 적재와 반환이 가능한 지폐 처리장치에서, 하나의 메인 모터 및 클러치의 조작에 따라서 임시저장소로의 지폐의 수입 및 임시저장로부터의 지폐의 반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수를 줄여 코스트를 절감하고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일수 있는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제2a도와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제2c도는 제2b도의 C부분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가압수단을 보인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적재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 출입부 101 : 지폐 투입구
102 : 지폐반환구 200 : 지폐인식기
201 : 인식기 구동모터 300 : 지폐 가압수단
301, 302, 313, 401, 402, 408, 409, 412, 601, 602, 603, 610 : 아이들롤러
303, 304, 808, 809, 605, 606, 612 : 제 1~제 7구동기어
304', 403', 808', 809', 605', 410' : 제 1~제 6구동풀리
303", 304", 403", 410", 606", 612" : 구동롤러
306, 307, 406, 407, 413, 608, 609 : 제 1~제 7이송벨트
310, 505 : 제 1,2솔레노이드 314, 506, 622 : 인장 코일스프링
308, 309, 414, 415, 417, 615, 617, 618, 706, 901~903 : 센서
803, 806, 812, 607, 416 : 제 1~5구동벨트
400 : 지폐 이송부
500 : 지폐 분기수단 700 : 스태킹 수단
708, 709 : 제 1, 2승강링크 714 : 푸시 플레이트
800 : 메인 구동부 810 : 클러치
900 : 지폐 적재함 910 : 본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지폐 처리장치는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인식기와, 지폐 인식기에서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에 보류하고, 또 보류중인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에스크로부와, 거래선택시에 에스크로부로부터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적재함과, 상기 지폐 인식기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부는 다수의 아이들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제 3이송벨트와, 이 제 3이송벨트와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4이송벨트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지폐 인식기를 통해 유입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 1구동벨트, 제 2구동벨트를 통해 제 3구동기어로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 3구동벨트를 통해 제 1 및 제 2구동기어로 전달하여, 제 1 및 제 2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상기 임시 저장위치(A)에 보류중인 지폐를 상기 적재 대기위치(B) 및 지폐 반환구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와 제 4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 4구동기어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축상의 제 4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 및 제 5구동벨트로 전달하여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a~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동력계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가압수단, 지폐 분기수단 및 지폐 적재수단을 보인 구성도 및 그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 이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지폐 이송부(400)와,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와,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500)과,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과, 다수의 센서의 신호를 받아 인식기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910)의 일측 하부에는 지폐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폐적재함(900)옆에는 다수의 센서(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8, 706, 901~90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구동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13)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910)의 일측 상부에는 지폐가 유입되는 지폐투입구(101) 및 투입된 지폐를 반환하는 지폐반환구(102)가 형성된 지폐출입부(10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지폐투입구(101)는 지폐반환구(102)의 상부에 배치된다.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도 1의 우측상단에 배치된 지폐인식기(200)를 통해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여부 및 권종이 판별된다.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는 인식기 구동모터(201) 및 다수의 이송롤러(203)의 작동에 따라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위폐로 판명된 지폐는 배출롤러(204)의 작동에 의해서 다시, 지폐투입구(1O1)를 통해 배출된다.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에 의해서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사이로 공급하게 된다. 이들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는 지폐의 유입상태률 감지하기 위한 제 1지폐 감지센서(308) 와 제 2지폐 감지센서(309)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폐 감지센서의 대부분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채용하였다.
지폐 이송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에 의해서 대략, 180°회전되어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들 이송벨트(406, 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는 제 5이송벨트(413)에 의해서 에스크로부의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되어 저장되거나,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서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에스크로부는 다수의 아이들롤러(408)에 권취되어 있는 제 3이송벨트(406)와, 이 제 3이송벨트(406)와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서 지폐 유입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임시 저장위치(A)에 저장중인 지폐를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경우에 지폐 유입경로을 따라 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반송용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전달되는 메인 구동모터(801)의 구동력에 의해서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가 회전되면서 대기중인 지폐를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 3이송벨트(406)와 상기 제 4이송벨트(407)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폐는 본 발명의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서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 곳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이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는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비롯하여, 다음에 설명하게 될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 동력부(800)를 구성하는 제 1동력계 및 제 2동력계를 다음의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C부분 확대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기어로, 구동벨트를 통해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풀리로 설명하고, 구동기어와 동축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로 전달된 동력을 각종 이송벨트를 통해 아이들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롤러로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는 메인 구동모터(80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구동모터(801)에서 발생된 동력은 차례대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거쳐 제 1구동풀리(304')로 전달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항시 회전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구동부(800)의 메인 구동모터(801)축 상에는 메인 구동풀리(802)가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풀리(802)는 제 1구동벨트(803)에 의해서 중간풀리(804)와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풀리(804)는 다시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풀리(804')를 통해서 제 2구동벨트(806)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구동벨트(806)는 제 3구동기어(808)에 동축으로 장착된 제 3구동풀리(808')와 연결되어 있다.
제 3구동풀리(808')는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제 2구동풀리(304')로 전달된다. 또한, 제 2구동기어(304)는 제 1구동기어(303)와 맞물려 있으므로, 제 1구동풀리(303')로 전달된 동력이 제 2구동기어(304)와 제 1구동기어(303)를 통해서 제 1구동기어(303)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303")까지 전달된다. 대향으로 배치된 구동롤러(303", 304")에는 각각,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가 감겨져 있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12)를 통해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04", 303")를 통해 제 2 및 제 1이송벨트(307, 306)로 차례대로 전달되어 이를 항시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의 다른 쪽은 아이들 롤러(301, 301')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다음, 도 2b에는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808)와 치합되는 제 4구동기어(809)에 의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607) 및 제 5구동벨트(416)로 전달하여 나머지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구동시키는 제 2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4구동기어(809)는 클러치(810)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어,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클러치(810)의 작동에 의해서 제 3구동기어(808)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력전달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컨트롤러(813)의 제어에 의해서 클러치(810)가 작동되어 제 3구동기어(808)의 동력이 제 4구동기어(809)로 전달 가능하게 되면,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제 1구동벨트(803)와 제 2구동벨트(806) 및 제 3구동기어(808)를 통해서 제 4구동기어(809)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제 4구동풀리(809')로 전달된다.
제 4구동풀리(809')로 전달된 동력은 제 4구동벨트(607)를 통해서 제 5구동풀리(605')와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되며,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서 제 6구동풀리(4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된 동력은 이 제 2구동풀리(403')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403")를 통해서 다수의 아이들 롤러(401, 402)에 감겨져 있는 제 3이송벨트(406)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 제 6구동풀리(410')로 전달된 동력은 이 제 6구동풀리(410')와 동축으로 장착된 구동롤러(410")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412)에 감겨져 있는 제 5이송벨트(413)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동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중간에 밀착되어 있는 제 5구동벨트(413)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 4구동벨트(607)를 통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 5구동풀리(605')에는 제 5구동기어(605)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고 제 5구동기어(605)는 다시, 제 6구동기어(606)와 맞물려 있다. 제 6구동기어(606)는 2개의 아이들 기어(604)를 개재하여 제 7구동기어(612)와 치합되어 있으며, 이들 제 6구동기어(606)와 제 7구동기어(612)에는 각각, 구동롤러(606"), (612")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5구동풀리(605')로 전달된 동력은 이들 구동롤러(606"), (612")를 통해서 제 6이송벨트(608)와 제 7이송벨트(609)로 전달됨으로써, 이들 이송벨트(608, 609)는 각각, 다수의 아이들 롤러(601~603)에 감겨진 상태로 회전되면서 지폐를 이송하게 된다.
도 2c는 도 2b의 C부분 확대도로, 본 발명의 지폐 배출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일단이 상기 제 6구동롤러(606")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결되고 타단에는 종동롤러(61O)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613)과, 이 브라켓(613)의 연장단(613a)을 소정의 힘으로 당겨 종동롤러(610)를 제 7구동기어(612)와 동축으로 구동롤러(612")사이에서 종동되는 종동롤러(611)에에 밀착시켜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 3인장 코일스프링(6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아이들 기어(604)를 거쳐 제 6구동기어(606)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12")가 회전하고, 종동롤러(610)는 스프링(622)의 탄력성에 의해서 종동롤러(61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어, 다음에 설명하게 될 지폐 반환동작시에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처리장치에서는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를 통과하는 지폐가 정확히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롤러(313)에 의해 제 1이송벨트(306)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지폐를 가압하여 밀착 전송되도록 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은 지폐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 일단에는 핀(320)에 의해 연결된 로드(311)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상기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인장 코일스프링(314)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13)는 솔레노이드(31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플런저(310a)가 당겨지면서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가 당겨지게 되고, 링크(3l2)의 회동으로 가압롤러(313)는 실선의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하강하게 되어 지폐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롤러(313)의 적당한 가압력에 의해서 지폐를 밀착시켜 확실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사이에 협지되어 유입된 지폐는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하게 될 지폐 분배수단의 분배체(501)에 의해서 제 4이송벨트와 제 5이송벨트 사이로 공급되어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분기수단(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414, 415, 41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05a)를 당기는 제 2솔레노이드(505)와, 로드(504)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505a)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힌지(52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1링크(503) 및 이 제 1링크(503)를 통해 플런저(505a)로부터 전달되는 작동력에 의해 힌지(528)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링크(502)와, 일단은 핀(530)에 의해 상기 제 2링크(502)에 형성된 슬롯(502a)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타단(501a)은 상기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핀(532)에 의해 본체(91O)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체(501)와, 제 2솔레노이드(505)의 오프시에 상가 제 1링크(320)의 연장단(526)을 잡아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2인장 코일스프링(506)으로 이루어져 있다.
로드(504)는 핀(520)에 의해 제 1링크(503)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분배체(501)의 선단(501a)에 의해서 지폐의 이송방향이 가변된다. 즉, 지폐 감지센서(4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바탕으로, 지폐 임시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던.지폐를 지폐 적재함(900)쪽으로 반송하는 경우에, 컨트롤러(813)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플런저(505a)가 당겨지면서 로드(504)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링크(503, 502)는 각각, 힌지(522, 528)를 중심으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면서 분배체(501)를 당긴다. 그로 인해, 분배체(501)는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 3의 실선위치에서 가상선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지폐는 도 5에 도시한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614, 616)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피니언(702)을 회전시키는 스태킹 모터(701)와, 상기 피니언(702)에 의해 회전되며 핀(704')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70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기어(703)와,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70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홀(707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707)와, 상기 레버(707)에 의해서 상기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승강링크(708) 및 힌지(720)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와 대칭적으로 승강되는 제 2승강링크(709)와, 하부에는 상기 적재 대기위치(B)에 대기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 넣는 밀판(71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핀(712)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714a)이 형성되고 타단은 핀(722)에 의해 제 2승강링크(709)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 플레이트(71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로 지폐가 이동된 상태를 센서(614)에 의해 감지하게 되고, 지폐의 선단이 센서(616)에는 감지되지 않아 지폐의 길이가 대략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813)는 지폐가 적재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702)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되어 있는 캠기어(703)를 회전시키게 되어, 캠기어(70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704)도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704)는 레버(707)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707a)에 끼워져 있으므로, 캠기어(703)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70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레버(707)의 회동에 따라 제 1승강링크(708)도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힌지(720)에 제 1승강링크(708)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승강링크(709)가 상대 운동하게 되어 푸시 플레이트(713)를 대기위치(P)에서 적재위치(Q)로 이동시킴으로써, 지폐를 적재함(900)내로 스태킹하고, 캠기어(703)의 회전에 따라, 레버(707)를 비롯한 제 1 및 제 2승강링크(708, 709)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푸시 플레이트(714)를 상승시켜 적재 대기위치(P)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 푸시 플레이트(714)는 항상 적재 대기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캠기어(703)축 상에는 슬릿이 형성된 엔코더(705)를 설치하였다. 이 슬릿을 센서(706)가 감지하여 컨트롤러(813)에 전송하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이 신호에 따라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는 항상 푸시 플레이트(714)가 대기위치(P)에 유지되도록 하여 지폐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만일,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서 이송된 지폐 다발이, 지폐 적재함(900)에 정상적으로 적재할 수 없이 진행방향으로 늘어진 경우 감지센서(617)에 의해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13)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즉, 지폐 감지센서(615)에 의해서 지폐를 정지시키는 순간, 지폐의 선단이 센서(617)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도 2c에서 설명한 지폐 배출수단에 의해서 지폐 반환구(102)로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지폐다발이란 최대 15매까지를 말하며, 각 이송수단에서는 15매까지의 지폐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지폐 감지센서(617)에 지폐의 선단이 감지되거나 일괄 반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폐 감지센서(615)를 통과한 지폐는 그대로 센서(617)를 통과하여 그 후단이 센서(617)에 감지되는 순간에 정지되며, 제 5구동기어(605)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613)과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롤러(610) 및 브라켓(613)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3인장 코일 스프링(622)에 의해 아이들 롤러(610) 및 아이들 롤러(611)사이에 지폐의 후단이 물려있게 되고, 선단은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일괄"이란 임시저장소인 에스크로부에 저장된 복수의 지폐가 한꺼번에 같이 이동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에스크로부에 저장된 지폐는 임시저장소나 반환구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때,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지폐는 지폐 적재함으로 이송되며, 거래가 취소된 경우에,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지폐는 반환구로 이송된다.
이때, 지폐의 반환여부는 레버(619) 및 감지센서(618)에 의해서 검출된다. 즉, 사용자가 반환된 지폐를 뽑아내면 레버(619)의 움직임이 센서(618)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면, 컨트롤러(813)는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반환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지금까지 각 부별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동관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지폐 적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 인식기(200)의 판별작업을 거쳐 유입된 지폐는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컨트롤러(813)는 제 1지폐 감지센서(308)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메인 구동모터(801)를 통전시킨다.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으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구동롤러(303", 304")가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폐인식기(20)에서 지폐의 입수가 거부되면, 메인 구동모터(801)는 정지되며 지폐인식기(200)의 배출동작에 의해 지폐는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지폐가 이송되면서 지폐의 후단이 지폐 인식기(200)의 배출롤러(204)를 빠져 나오면, 지폐 인식기(200)가 정지되어 입수 거부상태로 된다.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의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지폐 감지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13)는 제 1솔레노이드(310) 및 클러치(810)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 1솔레노이드(310)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를 당기게 되어, 링크(31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를 가압하여 지폐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810)의 작동으로 제 4구동기어(809)가 회전되면서 제 4구동벨트(607)를 개재하여 제 6구동기어(404), 제 5구동기어(605) 및 이들 축과 연결된 제 3이송벨트(406), 제 4이송벨트(407), 제 5이송벨트(413),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가 차례대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를 통과한 지폐가 제 3 및 제 4지폐 감지센서(414, 415)를 통과하여 제 5지폐 감지센서(417)에 도달하면, 메인 구동모터(801)가 정지하게 되어 지폐의 이송이 중지됨과 동시에, 지폐인식기(200)는 지폐 입수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2번째 지폐가 입수되면 상기 동작이 최대 15회까지 반복(지폐 다발이 최대 15매까지이므로)되며, 제 2지폐 감지센서(309)의 동조에 의해 제 5지폐 감지센서(417)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첫 번째 지폐와 두 번째 지폐의 선단은 임시 저장위치(A)에서 만나게 된다.
이후, 거래 또는 반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13)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제 2솔레노이드(505)의 통전으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배체(501)가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 3 및 제 4지폐 감지센서(414, 415)를 지난 지폐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진행된다.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진행된 지폐가 센서(615)에 의해서 감지된 순간, 지폐의 선단이 센서(617)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컨트롤러(813)는 지폐가 적재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메인 구동모터(801)를 정지시켜 지폐 이송을 중지하고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통전에 따라 푸시로드(714)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P)로부터 적재위치(Q)로 이동되면서 밀판(713)으로 지폐를 적재함(900)내에 밀어넣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적재함(900)내에 스태킹된 지폐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최대 적재매수에 근접하게 되면, 이 상태는 센서(902)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센서(902)의 신호에 따라 경고등이나 경보기 등을 작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적재함(900)내에 지폐가 충만되면, 이 상태는 센서(903)에 의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지폐의 입수가 중단되도록 한다. 이후, 센서(903)에 의해 적재함(900)내의 지폐량이 줄어들어 비어있는 상태가 감지되면, 지폐입수 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지폐를 적재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폐적재함에 일괄 적재할 수 있으며, 반환요구시에는 일괄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지폐 홀딩수단을 이용하여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적재장소에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지폐 적재수단을 지폐 적재함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하여 지폐가 수직하방으로 스태킹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모터 및 클러치의 조작에 따라서 임시저장소로의 지폐의 수입 및 임시저장로부터의 지폐의 반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수를 줄여 코스트를 절감하고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인식기(200)와, 지폐 인식기(200)에서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에 보류하고, 또 보류중인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에스크로부와, 거래선택시에 에스크로부로부터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적재함(900)과, 상기 지폐 인식기(200) 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500)을 포함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부는 다수의 아이들롤러(408)에 권취되어 있는 제 3이송벨트(406)와, 이 제 3이송벨트(406)와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지폐 인식기(200)를 통해 유입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를 통해 제 3구동기어(808)로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을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 제 1 및 제 2구동기어(303, 304)로 전달하여,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상기 임시 저장위치(A)에 보류중인 지폐를 상기 적재 대기위치(B) 및 지폐 반환구(102)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808)와 제 4구동풀리(809')를 구동시키는 제 4구동기어(809)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축상의 제 4구동기어(809)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607) 및 제 5구동벨트(416)로 전달하여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가압수단(300)은 지폐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 일단에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상기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인장 코일스프링(314)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구동롤러(606")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되고 타단에는 종동롤러(6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613)과, 상기 브라켓(613)의 연장단(613a)을 소정의 힘으로 당겨 종동롤러(610)를 제 7구동기어(612)와 동축으로 장착된 구동롤러(612")에 밀착시켜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 3인장 코일스프링(622)으로 이루어진 지폐 홀딩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
KR1019980051319A 1998-11-27 1998-11-27 지폐처리장치 KR10030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ko) 1998-11-27 1998-11-27 지폐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ko) 1998-11-27 1998-11-27 지폐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19A KR20000034119A (ko) 2000-06-15
KR100307902B1 true KR100307902B1 (ko) 2001-11-30

Family

ID=1956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ko) 1998-11-27 1998-11-27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35B1 (ko) * 2004-04-19 2006-08-09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매체처리기의 에스크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594A (ko) * 1982-05-28 1984-10-22 오가다마지하루 지폐 수입장치(祗幣受入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594A (ko) * 1982-05-28 1984-10-22 오가다마지하루 지폐 수입장치(祗幣受入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19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2303B2 (ja) 書類移送ルート指定装置
JP3086167B2 (ja) 紙幣処理機
WO2005088566A1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US450141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H09235046A (ja) 紙幣処理機
KR20060131980A (ko) 종이류 취급 장치
RU2474880C1 (ru) Обработчик документов
JP3710301B2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方法
KR100307902B1 (ko) 지폐처리장치
US7900900B2 (en) Sheet handling device and sheet handling method
JPS6210788A (ja) 紙幣振り分け放出機
JPH11283074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KR100319023B1 (ko) 지폐 처리장치
KR20020046254A (ko) 지로 일괄처리장치
JP3755803B2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方法
KR20160011763A (ko)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JP5101153B2 (ja) 紙幣払い出し装置
JP3393624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1143128A (ja) 紙幣入出金機における入出金装置
JPH03276281A (ja) 紙幣出金機のリジェクト機構
JPH11238162A (ja) 紙幣入出金処理装置
GB2358509A (en) Apparatus for handling banknotes
JPH08147530A (ja) 紙幣一括払出装置
KR20150124715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장치의 지폐의 감김 및 정렬장치
JP2001014511A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