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023B1 - 지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023B1
KR100319023B1 KR1019990024141A KR19990024141A KR100319023B1 KR 100319023 B1 KR100319023 B1 KR 100319023B1 KR 1019990024141 A KR1019990024141 A KR 1019990024141A KR 19990024141 A KR19990024141 A KR 19990024141A KR 100319023 B1 KR100319023 B1 KR 100319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elts
banknotes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730A (ko
Inventor
최영찬
Original Assignee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함현철
Priority to KR101999002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0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04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ld tires for hydraulic engin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하는 지폐 임시적재장소와, 적재함 저장시 및 일괄 반환시에 양호한 지폐선단 정렬상태를 제공하고, 수평 작동식 스태킹장치를 제공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꾀한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폐 처리장치는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 이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시키는 지폐 이송부(400)와,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40)를 통해서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제 4 내지 제 6구동벨트(830, 416, 820)를 회전시켜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와,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거나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안내하는 제 1지폐 분기수단(500)과, 이 제 1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유입된 지폐를 지폐 반환구(102)쪽으로 보내거나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의 적재 대기위치(B)로 안내하는 제 2지폐 분기수단(600)과,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어 적재 대기위치(B)에 있는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수단(700)과, 지폐의 반환시에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유입된 지폐의 선단을 가지런히 정렬시키는 지폐선단 정렬수단(501)과, 지폐선단 정렬수단(501)에 의해 선단이 정렬된 지폐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타단이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지폐 배출수단(601)과, 다수의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인식기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지폐 처리장치{BILL ESCROW MECHANISM}
본 발명은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하는 지폐 임시적재장소와, 적재함 저장시 및 일괄 반환시에 양호한 지폐선단 정렬상태를 제공하고, 수평 작동식 스태킹장치를 제공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꾀한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폐중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지폐는 금액별로 다양한 크기와 문양을 지니고 있으며, 지폐 인식이 가능한 자동판매기나 자동발권기 등에서는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지폐를 반출하거나 차례대로 적재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판매기나 자동 발권기 등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판별하기 위해 지폐 인식기를 이용하며, 이러한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차례대로 지폐적재함에 스태킹할 수 있는 장치로는 본 출원인이 1998년 9월 2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36133호 및 제 98-36134호가 있다. 여기에는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수평상태로 가지런히 적재하는 수평형 스태킹장치 및 수직으로 세워 가지런히 적재하는 수직형 스태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폐적재함에 일괄 적재할 수 있으며, 반환요구시에는 일괄 반환할 수 있는 지폐 처리장치가 1998년 11월 27일자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513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지폐 처리장치는 임시저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일괄 적재 및 반환할 수 있으나, 임시저장소로부터 유입되는 지폐를 수직 작동식 지폐 적재수단에 의해서 적재함에 적재하므로, 기기 전체의 높이가 높으며, 적재 대기상태에서의 지폐선단이 일치되지 않아 원활한 적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하는 지폐 임시적재장소와, 적재함 저장시 및 일괄 반환시에 양호한 지폐선단 정렬상태를 제공하고, 수평 작동식 스태킹장치를 제공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꾀한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
도 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배출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가압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1지폐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2지폐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선단 일치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적재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폐 출입부 101:지폐 투입구
102:지폐반환구 200:지폐인식기
201:인식기 구동모터 300:지폐 가압수단
301, 302, 313, 401, 402, 408, 409, 601, 602, 603, 608, 609, 615,:아이들롤러
303, 304, 604, 624, 634, 644, 807, 817, 827, 837:구동기어
306, 307, 406, 407, 413, 630, 640, 660, 670:제 1∼제 9이송벨트
310, 505, 623, 511:제 1,∼4솔레노이드
314, 506, 552, 622, 640:코일스프링
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7, 618, 706, 920:센서
803, 806, 840, 830, 416, 820:제 1∼6구동벨트
400:지폐 이송부 500, 600:제 1, 2지폐 분기수단
501:지폐선단 정렬수단 601:지폐 배출수단
700:스태킹 수단 708, 709:제 1, 2승강링크
800:메인 구동부 810:클러치
900:지폐 적재함 910:본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이 내장된 본체와, 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와, 제 1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지폐인식기를 통과한 지폐의 양면을 가압하는 지폐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있어서, 제 1구동벨트, 제 2구동벨트를 통해 구동기어로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 3구동벨트를 통해 제 1 및 제 2구동기어로 전달하여, 제 1 및 제 2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클러치의 작동시에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로 전달하여 제 6이송벨트와 제 7이송벨트 및 구동롤러를 회전시키고, 이 구동롤러의 회전력을 제 5구동벨트로 전달하여 제 5이송벨트를 회전시키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 6구동벨트를 통해 제 8이송벨트와 제 9이송벨트로 전달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로 이루어진 메인 동력부와; 제 3 및 제 4이송벨트에 의해 이동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1지폐 분기수단과; 제 1지폐 분기수단을 통과한 지폐를 지폐 반환구와 적재 대기위치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2지폐 분기수단과; 제 2 지폐 분기수단에 의해 제 6 및 제 7이송벨트 사이로 안내된 지폐의 선단을 정렬시켜 지폐 반환구 쪽으로 보내는 지폐선단 정렬수단과; 가압롤러에 의해 지폐선단 정렬수단을 통과한 지폐를 구동롤러에 밀착시켜 지폐 반환구에 물려 있도록 하는 지폐 배출수단과; 제 2 지폐 분기수단에 의해 제 8 및 제 9이송벨트 사이로 안내되어 적재 대기위치에 있는 지폐를 적재함 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수단과; 다수의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인식기 구동모터, 메인 구동모터, 클러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배출수단을 보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 이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시키는 지폐 이송부(400)와,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40)를 통해서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제 4 내지 제 6구동벨트(830, 416, 820)를 회전시켜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와,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거나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안내하는 제 1지폐 분기수단(500)과, 이 제 1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유입된 지폐를 지폐 반환구(102)쪽으로 보내거나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의 적재 대기위치(B)로 안내하는 제 2지폐 분기수단(600)과,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어 적재 대기위치(B)에 있는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수단(700)과, 지폐의 반환시에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유입된 지폐의 선단을 가지런히 정렬시키는 지폐선단 정렬수단(501)과, 지폐선단 정렬수단(501)에 의해 선단이 정렬된 지폐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타단이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지폐 배출수단(601)과, 다수의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인식기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910)의 좌측 하부에는 지폐가 수직상태로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폐적재함(900)옆에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수단(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910)의 우측 하부에는 다수의 센서(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7, 618, 706, 92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구동모터 및 제 1 내지 제 4솔레노이드(310, 505, 623, 51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910)의 일측 상부에는 지폐가 유입되는 지폐투입구(101) 및 투입된 지폐를 반환하는 지폐반환구(102)가 형성된 지폐출입부(10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지폐투입구(101)는 지폐반환구(102)의 상부에 배치된다.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도 1의 우측상단에 배치된 지폐인식기(200)를 통해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여부 및 권종이 판별된다.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는 인식기 구동모터(201) 및 다수의 이송롤러(203)의 작동에 따라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위폐로 판명된 지폐는 배출롤러(204)의 작동에 의해서 다시,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배출된다.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에 의해서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사이로 공급하게 된다. 이들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는 지폐의 유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지폐 감지센서(308) 와 제 2지폐 감지센서(309)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폐 감지센서의 대부분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채용하였다.
지폐 이송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에 의해서 대략, 180°회전되어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들 이송벨트(406, 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는 제 5이송벨트(413)에 의해서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폐는 제 1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서 임시 저장위치(A)와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중 어느 한 곳으로 안내되며, 임시 저장위치(A)로부터 나온 지폐는 다시, 제 2지폐 분기수단(600)에 의해서 지폐 반환구(102)와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의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 곳으로 안내된다. 이 제 2지폐 분기수단(6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는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비롯하여, 다음에 설명하게 될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 동력부(800)를 구성하는 제 1동력계 및 제 2동력계를 다음의 도 2a, 2b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지폐 배출수단을 보인 확대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기어로, 구동벨트를 통해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풀리로 설명하고, 구동기어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로 전달된 동력을 각종 이송벨트를 통해 아이들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롤러로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는 메인 구동모터(80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구동모터(801)에서 발생된 동력은 차례대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40)를 거쳐 구동풀리(304')로 전달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항시 회전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구동부(800)의 메인 구동모터(801)축 상에는 메인 구동풀리(802)가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풀리(802)는 제 1구동벨트(803)에 의해서 중간풀리(805)와 연결되어있다. 이 중간풀리(805)는 다시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풀리(805')를 통해서 제 2구동벨트(806)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구동벨트(806)는 구동기어(807)에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풀리(808)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어(817)는 구동기어(807)와 치합되어 있어, 제 1 및 제 2구동벨트(806, 806)를 통해 전달되는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에 의해 제 3구동벨트(840)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817)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풀리(818)의 회전력은 제 3구동벨트(840)를 통해서 상부의 구동풀리(304')로 전달된다. 또한, 구동기어(304)는 구동기어(303)와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풀리(303')로 전달된 동력이 구동기어(304, 303)를 통해서 구동기어(303)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303')까지 전달된다. 대향으로 배치된 구동롤러(303', 304')에는 각각,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가 감겨져 있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40)를 통해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04', 303')를 통해 제 2 및 제 1이송벨트(307, 306)로 차례대로 전달되어 이를 항시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의 다른 쪽은 아이들 롤러(301, 301')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는 텐션 롤러(302)에 의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다.
다음, 도 2b에는 클러치(8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807)와 치합되어 있는 중간기어(817)를 통해서 구동기어(827)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하기시작한다. 구동기어(827)의 회전에 따라 제 4구동벨트(830)가 회전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구동기어(837)가 회전되면서 제 6구동벨트(820)가 회전된다.
즉,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서, 구동기어(827)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면서 중간기어(817) 및 구동기어(837)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면서 동력전달이 개시되면서 제 4구동벨트(830)와 제 6구동벨트(820)가 회전된다. 제 4구동벨트(830)의 회전으로, 구동기어(606)가 회전되어 제 7이송벨트(640)가 회전됨과 동시에, 2개의 아이들 롤러(609)에 의해서 구동롤러(605)가 회전되면서 제 6이송벨트(630)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즉, 구동기어(606)에는 아이들 롤러(609)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롤러(606') 및 제 7이송벨트(640)의 일단이 연결된 구동풀리(606')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의 일단은 구동기어(606, 605)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풀리(606', 605')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각각, 아이들 롤러(6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기어(606)에 연결되어 있는 제 4구동벨트(830)의 타단은 구동풀리(403')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풀리(403')의 회전력은 다시, 제 5구동벨트(416)로도 전달된다. 그에 따라서, 구동풀리(403')에 연결된 제 3이송벨트(406)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 구동풀리(410')로 전달된 동력은 이 구동풀리(410')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롤러(410')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412)에 감겨져 있는 제 5이송벨트(413)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동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중간에 밀착되어 있는 제5구동벨트(413)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 6구동벨트(820)를 통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644)에는 제 8이송벨트(660)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풀리(644')와 구동롤러(644')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644)의 회전력은 다시, 2개의 아이들 롤러(609)를 통해서 구동롤러(634)로 전달된다. 제 8이송벨트(660)의 타단은 구동풀리(654)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롤러(634)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풀리(634')에는 제 9이송벨트(67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 9이송벨트(670)의 타단은 종동롤러(664)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아이들 롤러(655)에 의해서 대략 90°의 이동궤적을 형성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지폐 배출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코일 스프링(622)에 의해 힌지(61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라켓(613)과, 핀(615)에 의해 브라켓(61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606)의 동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롤러(608)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폐를 파지하는 가압롤러(608)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아이들 기어(609)를 거쳐 구동기어(606)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05)가 회전하고, 가압롤러(608)는 스프링(622)의 탄성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06) 축상의 가압롤러(608)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어, 다음에 설명하게 될 지폐 반환동작시에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처리장치에서는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를 통과하는 지폐가 정확히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롤러(313)에 의해 제 1이송벨트(306)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지폐를 가압하여 밀착 전송되도록 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은 지폐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 일단에는 핀(320)에 의해 연결된 로드(311)를 개재하여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코일스프링(314)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50)는 솔레노이드(31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플런저(310a)가 당겨지면서 로드(311)를 개재하여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링크(312)가 회동하게 되고, 링크(312)의 회동으로 가압롤러(313)는 화살표 방향(P2)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지폐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롤러(313)의 적당한 가압력에 의해서 지폐를 밀착시켜 확실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사이에 협지되어 유입된 지폐는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하게 될 제 1지폐 분배수단의 분배체(531)에 의해서제 4이송벨트와 제 5이송벨트 사이로 공급되어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분기수단(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다수의 지폐 감지센서(414, 415, 41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05a)를 돌출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505)와; 플런저(50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503)와; 로드(503)에 의해 힌지(52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502)와; 이 링크(502)의 회동에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거나 제 2지폐 분기수단(600)쪽으로 보내는 분배체(531)와; 로드(503)의 연장단(526)에 결합되어 있어 제 2솔레노이드(505)의 오프시에 로드(503)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506)으로 이루어져 있다.
링크(502)는 핀(520)에 의해서 힌지(524)를 중심으로 로드(5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분배체(531)의 선단(531a)에 의해서 지폐의 이송방향이 가변된다. 즉, 지폐 감지센서(4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바탕으로, 지폐 임시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던 지폐를 지폐 적재함(900)쪽으로 반송하는 경우에, 컨트롤러(850)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화살표 방향(P1)을 플런저(505a)가 돌출되면서 로드(503)를 개재하여 링크(502)가 힌지(52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배체(531)를 당긴다. 그로 인해, 분배체(531)는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지폐는 도 7에 도시한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2지폐 분기수단(600)을 보인 구성도이다. 제 1지폐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폐를 지폐 반환구(102)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2지폐 분기수단(600)의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6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23a)를 돌출시키는 제 3솔레노이드(623)와; 플런저(50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622)와; 이 로드(622)의 이동에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1지폐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폐를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와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분배체(620)와; 로드(622)의 연장단(622a)에 결합되어 있어 제 3솔레노이드(623)의 오프시에 로드(622)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6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3솔레노이드(623)가 온되면,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돌출되는 플런저(623a)에 의해 로드(622)가 당겨지면서 로드(622)의 일단에 연결된 분배체(620)가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힌지(628)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배체(620)가 초기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에 제 1지폐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폐는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며, 회동된 상태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에 지폐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된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선단 일치수단을 보인 구성도이다. 제 2 지폐 분기수단(600)에 의해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된 지폐의 선단을 정렬시켜 지폐 반환구(102)쪽으로 보내는 지폐선단 정렬수단(501)의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61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11a)를 돌출시키는 제 4솔레노이드(511)와; 플런저(511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512)와; 이 로드(512)의 이동에 따라 힌지(55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되는 지폐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510)와; 스토퍼(510)의 연장단(513)에 결합되어 있어 제 4솔레노이드(511)의 오프시에 스토퍼(51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5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4솔레노이드(511)의 통전으로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플런저(511a)가 돌출되면서 로드(512)는 힌지(550)를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스토퍼(510)의 선단(510')이 올려지면서 지폐가 이송되도록 한다. 오프시에, 스토퍼(510)는 스프링(552)에 의해 당겨지면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유입된 지폐는 스토퍼(510)의 선단(510')에 의해 가지런히 정렬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수단(700)은 지폐 감지센서(617)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피니언(702)을 회전시키는 스태킹 모터(701)와; 피니언(702)에 의해 편심 회전되며, 핀(704')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70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기어(703)와; 일단에는 가이드 롤러(70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홀(707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본체(910)에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707)와; 레버(707)에 의해서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승강링크(708) 및 힌지(720)에 의해 제 1승강링크(708)와 대칭적으로 승강되는 제 2승강링크(709)와; 적재 대기위치(B)에 대기하고 있는 지폐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 넣는 것으로, 일단에는 핀(712)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713a)이 형성되고 타단은 핀(722)에 의해 제 2승강링크(709)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 플레이트(71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지폐가 이동된 상태를 센서(617)에 의해 감지하게 되며, 센서(617)는 이 신호를 컨트롤러(850)로 보낸다. 컨트롤러(850)는 지폐가 적재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702)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되어 있는 캠기어(703)를 회전시키게 되어, 캠기어(70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704)도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704)는 레버(707)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707a)에 끼워져 있으므로, 캠기어(703)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70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레버(707)의 회동에 따라 제 1승강링크(708)도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힌지(720)에 제 1승강링크(708)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승강링크(709)가 상대 운동하게 되어 푸시 플레이트(713)를 대기위치(P)에서 적재위치(Q)로 이동시킴으로써, 지폐를 적재함(900)내로 스태킹하고, 캠기어(703)의 회전에 따라, 레버(707)를 비롯한 제1 및 제 2승강링크(708, 709)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푸시 플레이트(713)를 상승시켜 적재 대기위치(P)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 푸시 플레이트(713)는 항상 적재 대기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캠기어(703)축 상에는 슬릿이 형성된 엔코더(705)를 설치하였다. 이 슬릿을 센서(706)가 감지하여 컨트롤러(850)에 전송하게 되며, 컨트롤러(850)는 이 신호에 따라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는 항상 푸시 플레이트(713)가 대기위치(P)에 유지되도록 하여 지폐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 각 부별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동관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지폐 적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 인식기(200)의 판별작업을 거쳐 유입된 지폐는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컨트롤러(850)는 지폐 감지센서(308)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메인 구동모터(801)를 통전시킨다.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으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구동롤러(303', 304')가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폐인식기(20)에서 지폐의 입수가 거부되면, 메인 구동모터(801)는 정지되며 지폐인식기(200)의 배출동작에 의해 지폐는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지폐가 이송되면서 지폐의 후단이 지폐 인식기(200)의 배출롤러(204)를 빠져 나오면, 지폐 인식기(200)가 정지되어 입수 거부상태로 된다.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의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지폐 감지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1솔레노이드(310) 및 클러치(810)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 1솔레노이드(310)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를 당기게 되어, 링크(31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를 가압하여 지폐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810)의 작동으로 구동기어(809)가 회전되면서 제 4구동벨트(607)를 개재하여 구동기어(404), 구동기어(605) 및 이들 축과 연결된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가 차례대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를 통과한 지폐가 2개의 지폐 감지센서(414, 415)를 통과하여 또 다른 지폐 감지센서(417)에 도달하면, 메인 구동모터(801)가 정지하게 되어 지폐의 이송이 중지됨과 동시에, 지폐인식기(200)는 지폐 입수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2번째 지폐가 입수되면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제 2지폐 감지센서(309)의 동조에 의해 제 5지폐 감지센서(417)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첫 번째 지폐와 두 번째 지폐의 선단은 임시 저장위치(A)에서 만나게 된다.
이후, 거래 또는 반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제 2솔레노이드(505)의 통전으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배체(531)가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 3 및 제 4지폐 감지센서(414,415)를 지난 지폐는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진행된다.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진행된 지폐가 센서(617)에 의해서 감지된 순간, 컨트롤러(850)는 지폐가 적재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메인 구동모터(801)를 정지시켜 지폐 이송을 중지하고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통전에 따라 푸시 플레이트(713)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B)로부터 적재위치(Q)로 이동되면서 지폐를 적재함(900)내에 밀어넣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적재함(900)내에 스태킹된 지폐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최대 적재매수에 근접하게 되면, 이 상태는 센서 레버(910)를 통해서 센서(920)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50)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50)는 센서(920)의 신호에 따라 경고등이나 경보기 등을 작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컨트롤러(850)는 센서(902)를 통해 지폐의 충만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전체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지폐의 입수가 중단되도록 한다.
만일, 지폐 반환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컨트롤러(850)는 제 3솔레노이드(623)를 통전시킨다. 제 3솔레노이드(623)의 통전으로 플런저(623a)에 의해 로드(622)가 당겨지면서 로드(622)의 일단에 연결된 분배체(620)가 힌지(628)를 중심으로 실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제 1지폐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폐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되면서 스토퍼(510)의 선단(510')에 걸려 가지런히 정렬된다.
지폐의 선단 정렬상태가 감지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4솔레노이드(511)에신호를 보낸다. 제 4솔레노이드(511)의 통전으로 플런저(511a)가 당겨지면서 로드(512)가 힌지(550)를 중심으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면, 스토퍼(510)의 선단(510')이 올려지면서 지폐가 이송하게 되며, 도 2c에서 설명한 지폐 배출수단의 가압롤러(608)에 의해서 지폐는 이 가압롤러(608)와 구동롤러(606)사이에 파지된 상태에서 타단이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충분히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반환된 지폐를 쉽게 뽑아낼 수 있다. 이때 센서(618)에 의해 지폐의 배출동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되면 컨트롤러(850)는 반환동작을 완료하고 다음 거래를 위한 입수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지폐 처리장치에는 적재함(900)의 장착, 잠김 및 이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적재함(900)상의 셔터(장착/잠김시 셔터가 열려 적재함으로 지폐가 들어갈 수 있고, 지폐 처리장치로부터 지폐 적재함 제거시에 셔터가 닫혀 임의로 지폐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따라서, 지폐 적재가 가능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하며, 센서(920)에 의해 적재함(900)내의 지폐 용량만큼 지폐가 적재되면 적재함(900)의 감지 레버(910) 및 센서(920)에 의해서 충만상태가 감지되어 기기의 동작을 멈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폐적재함에 일괄 적재할 수 있으며, 반환 요구시에는 일괄 반환할 수 있다. 이때,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하는 지폐 임시적재장소와, 적재함 저장시 및 일괄 반환시에 양호한 지폐선단 정렬상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평 작동식 스태킹장치를 이용하여 지폐가 수평으로 가지런히 스태킹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인식기(20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에 따라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의 양면을 가압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상기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안내하기 위한 제 1지폐 분기수단(500) 및 이 제 1지폐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폐를 지폐 반환구(102)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제 2지폐 분기수단(600)과, 가압롤러(608)에 의해 지폐를 지폐 반환구(102)에 물려 있도록 하는 지폐 배출수단(601)과, 상기 제 2지폐 분기수단(600)에 의해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어 적재 대기위치에 있는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과, 다수의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용 모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지폐 분기수단(600)에 의해 2개의 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된 지폐의 선단을 정렬시켜 상기 지폐 반환구(102)쪽으로 보내는 것으로, 지폐 감지센서(61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11a)를 돌출시키는 제 4솔레노이드(511)와, 플런저(511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512)와, 이 로드(512)의 이동에 따라 힌지(55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되는 지폐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510)와, 이 스토퍼(510)의 연장단(513)에 결합되어 있어 제 4솔레노이드(511)의 오프시에 스토퍼(51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552)으로 이루어진 지폐선단 정렬수단(501)과;
    상기 스태킹 수단(700)은 수평으로 작동하면서 수직상태의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적재하며, 상기 적재함(900)의 내부에는 수직 상태로 적재되는 지폐와 접촉되는 지폐 감지레버(910)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이 감지레버(910)에 의해 작동되어 지폐의 충만상태를 상기 컨트롤러(850)로 전달하는 지폐 감지센서(9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
KR1019990024141A 1999-06-25 1999-06-25 지폐 처리장치 KR100319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41A KR100319023B1 (ko) 1999-06-25 1999-06-25 지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41A KR100319023B1 (ko) 1999-06-25 1999-06-25 지폐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30A KR20010003730A (ko) 2001-01-15
KR100319023B1 true KR100319023B1 (ko) 2002-01-05

Family

ID=1959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41A KR100319023B1 (ko) 1999-06-25 1999-06-25 지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35B1 (ko) * 2004-04-19 2006-08-09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매체처리기의 에스크로장치
KR102015322B1 (ko) * 2019-03-14 2019-08-28 주식회사 히타치터미널솔루션즈코리아 페이퍼시트 방향전환유닛을 갖는 페이퍼시트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280A (ja) * 1993-06-25 1995-03-20 Kiwa Ishiwatari 紙幣の搬送、収納装置
JPH0896214A (ja) * 1994-09-29 1996-04-12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H08249519A (ja) * 1995-03-14 1996-09-27 Sayama Precision Ind Co 紙幣収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51319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환 도난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280A (ja) * 1993-06-25 1995-03-20 Kiwa Ishiwatari 紙幣の搬送、収納装置
JPH0896214A (ja) * 1994-09-29 1996-04-12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H08249519A (ja) * 1995-03-14 1996-09-27 Sayama Precision Ind Co 紙幣収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51319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환 도난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30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6167B2 (ja) 紙幣処理機
EP0793199A2 (en) Bill handling machine
US450141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838605B1 (ko) 종이류 취급 장치
JPH09235046A (ja) 紙幣処理機
EP2400469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US20210019974A1 (en) Drive transmission switching mechanism, paper sheet storage unit,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319023B1 (ko) 지폐 처리장치
JPH09237366A (ja) 紙幣処理機
JPH11283074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KR100307902B1 (ko) 지폐처리장치
KR20020046254A (ko) 지로 일괄처리장치
JP3755803B2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方法
JP2587519B2 (ja) 紙幣出金機のリジェクト機構
JP3323334B2 (ja) 紙幣出金装置
JP3488005B2 (ja) 紙幣処理機
KR100307363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 및 그 방법
JP2001143128A (ja) 紙幣入出金機における入出金装置
JP2002540028A (ja) シート状材料、特に紙幣の格納送出装置並びに該装置の案内装置及び搬送装置
JP3392558B2 (ja) 紙幣処理装置
JP3411794B2 (ja) 紙幣処理機
JP34545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JPH08147530A (ja) 紙幣一括払出装置
JP5123564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