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254A - 지로 일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로 일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254A
KR20020046254A KR1020020024095A KR20020024095A KR20020046254A KR 20020046254 A KR20020046254 A KR 20020046254A KR 1020020024095 A KR1020020024095 A KR 1020020024095A KR 20020024095 A KR20020024095 A KR 20020024095A KR 20020046254 A KR20020046254 A KR 2002004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giro
unit
pap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식
Original Assignee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함현철
Priority to KR102002002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254A/ko
Publication of KR2002004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16Handling flexible sheets, e.g. che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지로 표면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는 상위 시스템인 가령, 지로처리 겸용 현금 자동지급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판독을 마친 복수매의 지로는 지로 임시적재장소에 임시 보관하였다가 정상 거래시에는 복수매의 지로를 일괄하여 적재함에 저장할 수 있고, 반송시에는 복수매의 지로를 일괄하여 반환할 수 있는 복수매의 지로 일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로 일괄처리장치는 지로표면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지로 인식유닛(200)과; 판독 완료후에 유입된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안내하고, 이 지로를 지로 반환구(102)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지로 임시보관유닛과; 지로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지로선단 정렬유닛(501)과; 적재 대기위치에 있는 지로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지로 스태킹 유닛(700)과; 지로의 반환 요청시에 지로를 지로 반환구(102)로 이송하는 지로 배출유닛(601)과; 일련의 지로 처리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50)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지로 일괄처리장치{MECHANISM FOR PACKAGE PROCESSING OF MULTIPLE GIRO}
본 발명은 복수매의 지로 일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지로 표면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는 상위 시스템인 가령, 지로처리 겸용 현금 자동지급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판독을 마친 복수매의 지로는 지로 임시적재장소에 임시 보관하였다가 정상 거래시에는 복수매의 지로를 일괄하여 적재함에 저장할 수 있고, 반송시에는 복수매의 지로를 일괄하여 반환함으로써, 자동화기기에 의한 지로업무의 전산처리를 가능케 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복수매의 일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지로제도는 은행의 예금계좌를 이용하여 수취인과 지급인이 서로 만나지 않고 중앙집중처리센터를 통하여 자금을 주고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많은 국가에서 공공요금의 징수를 위해 채용하고 있다. 즉, 전기요금이나 전화요금, 각종 카드 사용료, 아파트관리비 등의 각종 공공요금을 수취인 측에서 발급한 지로용지를 이용하여 지급인이 자금을 송금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로 이외에도 온라인을 통해 상대방 예금계좌에 돈을 넣어 주는 방법도 있으나 온라인 방식이 같은 은행간에만 송금이 가능한데 비해 지로는 모든 금융 기관간에 통용이 되기 때문에 편리하며 보다 널리 이용한다.
현재, 대부분의 은행에서 취급하고 있는 지로용지의 처리과정을 보면, 각 은행창구마다 공공요금을 접수하거나 은행에 따라서는 전용 창구를 별도로 만들어 접수한 다음, 내용과 금액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수납하고 있다. 이같은 수작업에 의한 처리과정에 의해 은행창구의 혼잡이 가중되며, 특히 각종 공과금의 마감이 집중되는 월말이나, 카드 결재일에는 은행창구의 혼잡도가 더욱 높아져서 일반업무를 위해 방문한 다른 은행고객에게도 상당한 불편을 주는 게 사실이다. 또한, 여러장의 지로를 한꺼번에 수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이를 합산하고 정산하는 과정이 복잡하다. 또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고객의 경우에는 자신의 계좌에서 별도로 현금을 인출하여 납부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로의 표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복수매의 지로를 임시보관하였다가 거래 상태에 따라서 일괄적으로 적재함에 보관하거나 반송함으로써, 자동화장치에 의한 지로업무의 전산화를 통해 고객에게는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은행의 입장에서 보면 코스트 절감을 통한 경영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지로 일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 일괄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
도 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배출유닛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가압유닛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1지로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2지로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선단 일치유닛을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적재유닛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인식유닛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와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자동정렬유닛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자동 정렬유닛에서 채용한 솔레노이드를 보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자동 정렬유닛에서 채용한 자동정렬롤러를 보인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로 출입부101:지로 투입구
102:지로 반환구200:지로 인식유닛
201:인식유닛 구동모터202:이송롤러
204:이미지 센서205:자동정렬롤러
206:지로표리 검지센서206', 206":자동정렬 검지센서
207:지로 가압롤러208:솔레노이드
209:블로킹 플레이트210:러턴 스프링
211:플레이트 검지센서300:지로 가압유닛
301, 302, 313, 401, 402, 408, 409, 601, 602, 603, 608, 609, 615,:아이들롤러
303, 304, 604, 624, 634, 644, 807, 817, 827, 837:구동기어
306, 307, 406, 407, 413, 630, 640, 660, 670:제 1∼제 9이송벨트
310, 505, 623, 511:제 1,∼4솔레노이드
314, 506, 552, 622, 640:코일스프링
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7, 618, 706, 920:센서
803, 806, 840, 830, 416, 820:제 1∼6구동벨트
400:지로 이송부500, 600:제 1, 2지로 분기수단
501:지로선단 정렬유닛601:지로 배출유닛
700:스태킹 유닛708, 709:제 1, 2승강링크
800:메인 구동부810:클러치
900:지로 적재함910:본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는 지로가 투입되는 지로 투입구와, 투입된 다수의 지로가 적재되는 지로 적재함과, 반환요청시에 다수의 지로를 반송하는 지로 반환구가 구비되어 있고, 메인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기어 및 이송벨트의 회전에 따라 지로를 적재함으로 공급하거나 반환시에 지로 투입구를통해 반송시키는 메인 동력부를 갖는 지로 일괄처리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이송롤러 및 지로인식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지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로표면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지로 인식유닛과; 판독 완료후에 유입된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안내하는 제 1지로 분기수단 및 이 제 1지로 분기수단을 통과한 지로를 지로 반환구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2지로 분기수단으로 이루어진 지로 임시보관유닛과; 지로 임시보관유닛의 제 2지로 분기수단에 의해 안내된 지로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지로선단 정렬유닛과; 지로선단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되어 적재 대기위치에 있는 지로를 적재함 내부로 밀어넣는 지로 스태킹 유닛과; 지로의 반환 요청시에 지로선단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지로를 지로 반환구로 이송하는 지로 배출유닛과; 다수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메인 동력부 및 각종 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함과 동시에, 지로 인식유닛으로부터의 지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및 판독하여 일련의 지로 처리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일괄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로 일괄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 일괄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 배출유닛을 보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로 일괄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일측 하부에 지로용지(이하, 지로라 약칭함)가 적재되는 지로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로마크의 판독을 통해서 지로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의 표면과 이면을 인식하는 지로인식유닛(200)과, 이 지로인식유닛(200)을 통과한 지로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로 가압유닛(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시키는 지로 이송부(400)와,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40)를 통해서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제 4 내지 제 6구동벨트(830, 416, 820)를 회전시켜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와,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거나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안내하는 제 1지로 분기수단(500)과, 이 제 1지로 분기수단(500)에 의해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유입된 지로를 지로 반환구(102)쪽으로 보내거나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의 적재 대기위치(B)로 안내하는 제 2지로 분기수단(600)과,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어 적재 대기위치(B)에 있는 지로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유닛(700)과, 지로의 반환시에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유입된 지로의 선단을 가지런히 정렬시키는 지로선단 정렬유닛(501)과, 지로선단 정렬유닛(501)에 의해 선단이 정렬된 지로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타단이 지로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지로 배출유닛(601)과, 다수의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인식유닛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910)의 좌측 하부에는 지로가 수직상태로 적재되는 지로적재함(9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로적재함(900)옆에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유닛(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910)의 우측 하부에는 다수의 센서(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7, 618, 706, 92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구동모터 및 제 1 내지 제 4솔레노이드(310, 505, 623, 51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5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910)의 일측 상부에는 지로가 유입되는 지로투입구(101) 및 투입된 지로를 반환하는 지로반환구(102)가 형성된 지로출입부(10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지로투입구(101)는 지로반환구(102)의 상부에 배치된다.
지로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는 도 1의 우측상단에 배치된 지로인식유닛(200)를 통해서 지로의 표리가 판별된다. 표면이 판독되어 지로인식유닛(200)를 통과한 지로는 인식유닛 구동모터(201) 및 다수의 이송롤러(202)의 작동에 따라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이면으로 판별된 지로는 배출롤러(204)의 작동에 의해서 다시, 지로투입구(101)를 통해 배출된다.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에 의해서 지로인식유닛(200)을 통과한 지로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사이로 공급하게 된다. 이들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는 지로의 유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지로 감지센서(308)와 제 2지로 감지센서(309)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로감지센서의 대부분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채용하였다.
지로 이송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로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에 의해서 대략, 180°회전되어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들 이송벨트(406, 407)에 의해 이송된 지로는 제 5이송벨트(413)에 의해서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로는 제 1지로 분기수단(500)에 의해서 임시 저장위치(A)와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중 어느 한 곳으로 안내되며, 임시 저장위치(A)로부터 나온 지로는 다시, 제 2지로 분기수단(600)에 의해서 지로 반환구(102)와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의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 곳으로 안내된다. 이 제 2지로 분기수단(6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로는 스태킹 유닛(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비롯하여, 다음에 설명하게 될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 동력부(800)를 구성하는 제 1동력계 및 제 2동력계를 다음의 도 2a, 2b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지로 배출유닛을 보인 확대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기어로, 구동벨트를 통해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풀리로 설명하고, 구동기어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로 전달된 동력을 각종 이송벨트를 통해 아이들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롤러로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는 메인 구동모터(80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구동모터(801)에서 발생된 동력은 차례대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40)를 거쳐 구동풀리(304')로 전달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항시 회전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구동부(800)의 메인 구동모터(801)축 상에는 메인 구동풀리(802)가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풀리(802)는 제 1구동벨트(803)에 의해서 중간풀리(805)와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풀리(805)는 다시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풀리(805')를 통해서 제 2구동벨트(806)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구동벨트(806)는 구동기어(807)에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풀리(808)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어(817)는 구동기어(807)와 치합되어 있어, 제 1 및 제 2구동벨트(806, 806)를 통해 전달되는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에 의해 제 3구동벨트(840)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817)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풀리(818)의 회전력은 제 3구동벨트(840)를 통해서 상부의 구동풀리(304')로 전달된다. 또한, 구동기어(304)는 구동기어(303)와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풀리(303')로 전달된 동력이 구동기어(304, 303)를 통해서 구동기어(303)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303")까지 전달된다. 대향으로 배치된 구동롤러(303", 304")에는 각각,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가 감겨져 있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40)를 통해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04", 303")를 통해 제 2및 제 1이송벨트(307, 306)로 차례대로 전달되어 이를 항시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의 다른 쪽은 아이들 롤러(301, 301')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는 텐션 롤러(302)에 의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다.
다음, 도 2b에는 클러치(8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807)와 치합되어 있는 중간기어(817)를 통해서 구동기어(827)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기어(827)의 회전에 따라 제 4구동벨트(830)가 회전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구동기어(837)가 회전되면서 제 6구동벨트(820)가 회전된다.
즉,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서, 구동기어(827)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면서 중간기어(817) 및 구동기어(837)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면서 동력전달이 개시되면서 제 4구동벨트(830)와 제 6구동벨트(820)가 회전된다. 제 4구동벨트(830)의 회전으로, 구동기어(606)가 회전되어 제 7이송벨트(640)가 회전됨과 동시에, 2개의 아이들 롤러(609)에 의해서 구동롤러(605)가 회전되면서 제 6이송벨트(630)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즉, 구동기어(606)에는 아이들 롤러(609)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롤러(606') 및 제 7이송벨트(640)의 일단이 연결된 구동풀리(606")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의 일단은 구동기어(606, 605)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풀리(606", 605")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각각, 아이들 롤러(6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기어(606)에 연결되어 있는 제 4구동벨트(830)의 타단은 구동풀리(403")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풀리(403")의 회전력은 다시, 제 5구동벨트(416)로도 전달된다. 그에 따라서, 구동풀리(403")에 연결된 제 3이송벨트(406)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 구동풀리(410')로 전달된 동력은 이 구동풀리(410')와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롤러(410")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412)에 감겨져 있는 제 5이송벨트(413)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동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중간에 밀착되어 있는 제 5구동벨트(413)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 6구동벨트(820)를 통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644)에는 제 8이송벨트(660)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풀리(644')와 구동롤러(644")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644)의 회전력은 다시, 2개의 아이들 롤러(609)를 통해서 구동롤러(634)로 전달된다. 제 8이송벨트(660)의 타단은 구동풀리(654)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롤러(634)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풀리(634")에는 제 9이송벨트(67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 9이송벨트(670)의 타단은 종동롤러(664)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아이들 롤러(655)에 의해서 대략 90°의 이동궤적을 형성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지로 배출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코일 스프링(622)에 의해 힌지(61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라켓(613)과, 핀(615)에 의해 브라켓(61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606)의 동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롤러(608)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로를 파지하는 가압롤러(608)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아이들 기어(609)를 거쳐 구동기어(606)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05)가 회전하고, 가압롤러(608)는 스프링(622)의 탄성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06) 축상의 가압롤러(608)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어, 다음에 설명하게 될 지로 반환동작시에 지로의 후단을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로 일괄처리장치에서는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를 통과하는 지로가 정확히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지로 가압유닛(3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롤러(313)에 의해 제 1이송벨트(306)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지로를 가압하여 밀착 전송되도록 하는 지로 가압유닛(300)은 지로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 일단에는 핀(320)에 의해 연결된 로드(311)를 개재하여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코일스프링(314)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로인식유닛(200)에서 지로 입수가 허가되고 지로의 선단이 제 2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50)는 솔레노이드(31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플런저(310a)가 당겨지면서 로드(311)를 개재하여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링크(312)가 회동하게 되고, 링크(312)의 회동으로 가압롤러(313)는 화살표 방향(P2)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지로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롤러(313)의 적당한 가압력에 의해서 지로를 밀착시켜 확실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사이에 협지되어 유입된 지로는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하게 될 제 1지로 분배유닛의 분배체(531)에 의해서 제 4이송벨트와 제 5이송벨트 사이로 공급되어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로 분기수단(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다수의 지로 감지센서(414, 415, 41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05a)를 돌출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505)와; 플런저(50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503)와; 로드(503)에 의해 힌지(52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502)와; 이 링크(502)의 회동에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거나 제 2지로 분기수단(600)쪽으로 보내는 분배체(531)와; 로드(503)의 연장단(526)에 결합되어 있어 제 2솔레노이드(505)의 오프시에 로드(503)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506)으로 이루어져 있다.
링크(502)는 핀(520)에 의해서 힌지(524)를 중심으로 로드(5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분배체(531)의 선단(531a)에 의해서 지로의 이송방향이 가변된다. 즉, 지로 감지센서(4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바탕으로, 지로 임시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던 지로를 지로 적재함(900)쪽으로 반송하는 경우에, 컨트롤러(850)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화살표 방향(P1)을 플런저(505a)가 돌출되면서 로드(503)를 개재하여 링크(502)가 힌지(52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배체(531)를 당긴다. 그로 인해, 분배체(531)는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된 지로가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지로는 도 7에 도시한 스태킹 유닛(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제 2지로 분기수단(600)을 보인 구성도이다. 제 1지로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로를 지로 반환구(102)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2지로 분기수단(600)의 구성을 보면, 지로 감지센서(6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23a)를 돌출시키는 제 3솔레노이드(623)와; 플런저(505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622)와; 이 로드(622)의 이동에 따라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1지로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로를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와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분배체(620)와; 로드(622)의 연장단(622a)에 결합되어 있어 제 3솔레노이드(623)의 오프시에 로드(622)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6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3솔레노이드(623)가 온되면,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돌출되는 플런저(623a)에 의해 로드(622)가 당겨지면서 로드(622)의 일단에 연결된 분배체(620)가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힌지(628)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배체(620)가 초기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에 제 1지로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로는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사이로 안내되며, 회동된 상태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에 지로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된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로선단 일치유닛을 보인 구성도이다. 제 2지로 분기수단(600)에 의해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된 지로의 선단을 정렬시켜 지로 반환구(102)쪽으로 보내는 지로선단 정렬유닛(501)의 구성을 보면, 지로 감지센서(61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11a)를 돌출시키는 제 4솔레노이드(511)와; 플런저(511a)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로드(512)와; 이 로드(512)의 이동에 따라 힌지(55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되는 지로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510)와; 스토퍼(510)의 연장단(513)에 결합되어 있어 제 4솔레노이드(511)의 오프시에 스토퍼(51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일스프링(5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4솔레노이드(511)의 통전으로 화살표 방향(P1)을 따라 플런저(511a)가 돌출되면서 로드(512)는 힌지(550)를 화살표 방향(P2)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스토퍼(510)의 선단(510')이 올려지면서 지로가 이송되도록 한다. 오프시에, 스토퍼(510)는 스프링(552)에 의해 당겨지면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유입된 지로는 스토퍼(510)의 선단(510')에 의해 가지런히 정렬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로 분기수단(5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로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수평 작동식 스태킹 유닛(700)은 지로 감지센서(617)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5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피니언(702)을 회전시키는 스태킹 모터(701)와; 피니언(702)에 의해 편심 회전되며, 핀(704')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70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기어(703)와; 일단에는 가이드 롤러(70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홀(707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707)와; 레버(707)에 의해서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승강링크(708) 및 힌지(720)에 의해 제 1승강링크(708)와 대칭적으로 승강되는 제 2승강링크(709)와; 적재 대기위치(B)에 대기하고 있는 지로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 넣는 것으로, 일단에는 핀(712)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713a)이 형성되고 타단은 핀(722)에 의해 제 2승강링크(709)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 플레이트(71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8 및 제 9이송벨트(660, 67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지로가 이동된 상태를 센서(617)에 의해 감지하게 되며, 센서(617)는 이 신호를 컨트롤러(850)로 보낸다. 컨트롤러(850)는 지로가 적재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702)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되어 있는 캠기어(703)를 회전시키게 되어,캠기어(70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704)도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704)는 레버(707)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707a)에 끼워져 있으므로, 캠기어(703)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70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레버(707)의 회동에 따라 제 1승강링크(708)도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힌지(720)에 제 1승강링크(708)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승강링크(709)가 상대 운동하게 되어 푸시 플레이트(713)를 대기위치(P)에서 적재위치(Q)로 이동시킴으로써, 지로를 적재함(900)내로 스태킹하고, 캠기어(703)의 회전에 따라, 레버(707)를 비롯한 제 1 및 제 2승강링크(708, 709)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푸시 플레이트(713)를 상승시켜 적재 대기위치(P)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 푸시 플레이트(713)는 항상 적재 대기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캠기어(703)축 상에는 슬릿이 형성된 엔코더(705)를 설치하였다. 이 슬릿을 센서(706)가 감지하여 컨트롤러(850)에 전송하게 되며, 컨트롤러(850)는 이 신호에 따라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는 항상 푸시 플레이트(713)가 대기위치(P)에 유지되도록 하여 지로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 각 부별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동관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지로 적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지로가 투입되면, 지로 인식유닛(200)의 판별작업을 거쳐 유입된 지로는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컨트롤러(850)는 지로 감지센서(308)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메인 구동모터(801)를 통전시킨다.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으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구동롤러(303", 304")가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로인식유닛(20)에서 지로의 입수가 거부되면, 메인 구동모터(801)는 정지되며 지로인식유닛(200)의 배출동작에 의해 지로는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지로가 이송되면서 지로의 후단이 지로 인식유닛(200)의 배출롤러(204)를 빠져 나오면, 지로 인식유닛(200)가 정지되어 입수 거부상태로 된다.
지로인식유닛(200)에서 지로의 입수가 허가되고, 지로의 선단이 제 2지로 감지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1솔레노이드(310) 및 클러치(810)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 1솔레노이드(310)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를 당기게 되어, 링크(31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를 가압하여 지로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810)의 작동으로 구동기어(809)가 회전되면서 제 4구동벨트(607)를 개재하여 구동기어(404), 구동기어(605) 및 이들 축과 연결된 제 3 내지 제 9이송벨트(406, 407, 413, 630, 640, 660, 670)가 차례대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를 통과한 지로가 2개의 지로 감지센서(414,415)를 통과하여 또 다른 지로 감지센서(417)에 도달하면, 메인 구동모터(801)가 정지하게 되어 지로의 이송이 중지됨과 동시에, 지로인식유닛(200)는 지로 입수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2번째 지로가 입수되면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제 2지로 감지센서(309)의 동조에 의해 제 5지로 감지센서(417)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첫 번째 지로와 두 번째 지로의 선단은 임시 저장위치(A)에서 만나게 된다.
이후, 거래 또는 반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제 2솔레노이드(505)의 통전으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배체(531)가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 3 및 제 4지로 감지센서(414, 415)를 지난 지로는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진행된다.
제 6 및 제 9이송벨트(630, 670)사이로 진행된 지로가 센서(617)에 의해서 감지된 순간, 컨트롤러(850)는 지로가 적재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메인 구동모터(801)를 정지시켜 지로 이송을 중지하고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통전에 따라 푸시 플레이트(713)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B)로부터 적재위치(Q)로 이동되면서 지로를 적재함(900)내에 밀어넣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적재함(900)내에 스태킹된 지로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최대 적재매수에 근접하게 되면, 이 상태는 센서 레버(910)를 통해서 센서(920)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50)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50)는 센서(920)의신호에 따라 경고등이나 경보기 등을 작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컨트롤러(850)는 센서(902)를 통해 지로의 충만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전체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지로의 입수가 중단되도록 한다.
만일, 지로 반환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컨트롤러(850)는 제 3솔레노이드(623)를 통전시킨다. 제 3솔레노이드(623)의 통전으로 플런저(623a)에 의해 로드(622)가 당겨지면서 로드(622)의 일단에 연결된 분배체(620)가 힌지(628)를 중심으로 실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제 1지로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로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30, 640)사이로 안내되면서 스토퍼(510)의 선단(510')에 걸려 가지런히 정렬된다.
지로의 선단 정렬상태가 감지되면 컨트롤러(850)는 제 4솔레노이드(511)에 신호를 보낸다. 제 4솔레노이드(511)의 통전으로 플런저(511a)가 당겨지면서 로드(512)가 힌지(550)를 중심으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면, 스토퍼(510)의 선단(510')이 올려지면서 지로가 이송하게 되며, 도 2c에서 설명한 지로 배출유닛의 가압롤러(608)에 의해서 지로는 이 가압롤러(608)와 구동롤러(606)사이에 파지된 상태에서 타단이 지로 반환구(102)를 통해 충분히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반환된 지로를 쉽게 뽑아낼 수 있다. 이때 센서(618)에 의해 지로의 배출동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되면 컨트롤러(850)는 반환동작을 완료하고 다음 거래를 위한 입수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지로 일괄처리장치에는 적재함(900)의 장착, 잠김 및 이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적재함(900)상의 셔터(장착/잠김시 셔터가 열려적재함으로 지로가 들어갈 수 있고, 지로 일괄처리장치로부터 지로 적재함 제거시에 셔터가 닫혀 임의로 지로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따라서, 지로 적재가 가능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하며, 센서(920)에 의해 적재함(900)내의 지로 용량만큼 지로가 적재되면 적재함(900)의 감지 레버(910) 및 센서(920)에 의해서 충만상태가 감지되어 기기의 동작을 멈춘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지로 인식유닛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8에는 지로 표면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지로 인식유닛의 평면도 및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지로 인식유닛(200)은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투입된 지로의 표면으로부터 지로마크를 읽어들여 지로의 표면 및 이면을 검지하는 지로표리 검지센서(206)와, 지로표리 검지센서(206)에 의해 확인된 지로의 표면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204)와, 정확한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을 위해서 통과하는 지로를 이미지 센서(204)에 밀착시키도록 이미지 센서(204)와 대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롤러(207)와,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가 가이드를 따라 밀착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자동정렬롤러(205)를 구비한다.
또한, 지로 인식유닛(200)에는 폭이 다른 지로를 일정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X"면에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측 면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는 "X"면에 밀착되어 투입되도록 한다. 만일 밀착되지 않고 경사진 상태로 투입되면, 주행방향과 경사지게 위치한 상기 자동정렬롤러(205)에 의해서 이송중인 지로는 "X"면으로 밀착되어 이송하게 된다.
이송된 지로는 지로표리 검지센서(206)에 의하여 지로마크가 검지됨으로써 표리가 확인되며, 표면임이 확인된 후에 이지지 센서(204)에 의해 지로의 표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정확한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서, 이미지 센서(204)에는 스폰지 등으로 만들어진 가압롤러(20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롤러(207)의 작용으로 이미지 센서(204)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지로의 이미지 데이터는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1에는 지폐 인식유닛으로 유입되는 지로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자동정렬수단 및 지로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로인식 구동모터(201)의 작동시에 통전되는 솔레노이드(208)의 일단에는 블로킹 플레이트(209)가 결합되어 있고, 솔레노이드(208)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블로킹 플레이트(209)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블로킹 플레이트(209)는 지로 투입구(101)를 통과하는 지로의 유입을 제지하는 제 1위치와, 지로의 유입을 가능케 하는 제 2위치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지된다.
솔레노이드(208)와 블로킹 플레이트(209)사이에는 리턴 스프링(210)이 끼워져 있어, 블로킹 플레이트(209)를 제 2위치로부터 제 1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블로킹 플레이트(209)의 근방에는, 이 플레이트(209)가 제 2위치로부터 제 1위치로 복귀되었는지를 검지하여 컨트롤러(850)로 신호를 보내는 플레이트 검지센서(21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구(101)를 통해서 지로가 유입되면, 모터 기동센서의 검지에 의해 인식유닛 구동모터(201)가 작동되면서 솔레노이드(208)에도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통전상태로 한다. 솔레노이드(208)의 통전에 따라 제 1위치에서 지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던 블로킹 플레이트(209)는 리턴 스프링(210)의 힘을 이기고 압축시키면서 제 2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지로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지로가 도 9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경사각으로 구성된 상기 자동정렬롤러(205)에 의해 "X"면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어 "B"의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2개의 지로정렬검지센서에 의해 동시에 "B"상태로 놓인 지로가 검지되면 지로는 "X"면에 밀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의 이미지 센서(204)에 의한 표면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과정이 진행된다.
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가 솔레노이드의 상방위치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솔레노이드(208)가 오프됨과 동시에, 블로킹 플레이트(209)는 리턴 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복귀위치는 플레이트 검지센서(211)에 의해 검지됨과 동시에,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입된 지로는 정확히 "X"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이송 잼(jam)을 방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정확한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이미지 센서(204)로부터 획득한 개별의 지로 이미지의 데이터는 복수개가 이송될 때마다 저장하였다가 거래가 성립하면 일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를 하고, 지로는 지로임시 적재장소에 임시 보관된다. 이후, 거래가 성립되면 지로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적재함(900)내에 가지런히 스태킹됨과 동시에,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실행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 스캔장치를 통과하여 유이된 복수매의 지로를 임시 저장소에 보관하여 놓았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로 적재함에 일괄적으로 적재함과 동시에, 반환시에도 일괄 반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복수매의 지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자동화기기에서의 지로 처리를 할 수 있는 솔루션의 확보가 가능해져, 은행창구의 지로 업무를 자동화기기에서 대행할 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해져 실시간으로 업무가 처리된다. 따라서,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현금을 찾는 과정이 생략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창구 대기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은행의 입장에서 보면 코스트 절감을 통한 경영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910)의 내부에는 지로가 투입되는 지로 투입구(101)와, 투입된 다수의 지로가 적재되는 지로 적재함(900)과, 반환요청시에 다수의 지로를 반송하는 지로 반환구(102)가 구비되어 있고, 메인 구동모터(801)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기어 및 이송벨트의 회전에 따라 지로를 상기 적재함(900)으로 공급하거나 반환시에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반송시키는 메인 동력부(800)를 갖는 지로 일괄처리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이송롤러(202) 및 지로인식 구동모터(201)의 작동으로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표면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지로 인식유닛(200)과;
    판독 완료후에 유입된 지로를 임시 저장위치(A)로 안내하는 제 1지로 분기수단(500) 및 이 제 1지로 분기수단(500)을 통과한 지로를 지로 반환구(102)와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 2지로 분기수단(600)으로 이루어진 지로 임시보관유닛과;
    상기 지로 임시보관유닛의 제 2지로 분기수단(600)에 의해 안내된 지로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지로선단 정렬유닛(501)과;
    상기 지로선단 정렬유닛(501)에 의해 정렬되어 적재 대기위치에 있는 지로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지로 스태킹 유닛(700)과;
    지로의 반환 요청시에 상기 지로선단 정렬유닛(501)에 의해 정렬된 지로를지로 반환구(102)로 이송하는 지로 배출유닛(601)과;
    다수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동력부 및 각종 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지로 인식유닛(200)으로부터의 지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및 판독하여 일련의 지로 처리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일괄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로 인식유닛(200)은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투입된 지로의 표면으로부터 지로마크를 읽어들여 지로의 표면 및 이면을 검지하는 지로표리 검지센서(206)와,
    상기 지로표리 검지센서(206)에 의해 확인된 지로의 표면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204)와,
    정확한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을 위해서 통과하는 지로를 상기 이미지 센서(204)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204)와 대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롤러(207)와,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로가 가이드를 따라 밀착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자동정렬롤러(2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일괄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로인식 구동모터(201)의 작동시에 통전되어 일단의 블로킹 플레이트(209)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지로 투입구(101)를 통과하는 지로의 유입을 제지하는 제 1위치와, 지로의 유입을 가능케 하는 제 2위치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솔레노이드(208)와,
    상기 솔레노이드(208)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09)를 제 2위치로부터 제 1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210)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209)가 제 1위치로 복귀되었는지를 검지하여 컨트롤러(850)로 신호를 보내는 플레이트 검지센서(21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일괄처리장치.
KR1020020024095A 2002-05-02 2002-05-02 지로 일괄처리장치 KR20020046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95A KR20020046254A (ko) 2002-05-02 2002-05-02 지로 일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95A KR20020046254A (ko) 2002-05-02 2002-05-02 지로 일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254A true KR20020046254A (ko) 2002-06-20

Family

ID=277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095A KR20020046254A (ko) 2002-05-02 2002-05-02 지로 일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2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035A (ko) * 2002-05-15 2003-11-21 (주)선진비알티 이차원 바코드 스캔모듈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KR100898499B1 (ko) *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01436043B1 (ko) * 2007-12-28 2014-09-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용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로용지 임시 저장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368A (ja) * 1986-08-12 1987-12-1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KR19980021160A (ko) * 1996-09-13 1998-06-25 구자홍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24928A (ko) * 1997-09-09 1999-04-06 구자홍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9990050467A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261830Y1 (ko) * 2001-10-27 2002-01-24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KR20020025122A (ko) * 2002-02-05 2002-04-03 김경곤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368A (ja) * 1986-08-12 1987-12-1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KR19980021160A (ko) * 1996-09-13 1998-06-25 구자홍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24928A (ko) * 1997-09-09 1999-04-06 구자홍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9990050467A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261830Y1 (ko) * 2001-10-27 2002-01-24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KR20020025122A (ko) * 2002-02-05 2002-04-03 김경곤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035A (ko) * 2002-05-15 2003-11-21 (주)선진비알티 이차원 바코드 스캔모듈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KR100898499B1 (ko) *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01436043B1 (ko) * 2007-12-28 2014-09-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용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로용지 임시 저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9235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US7487874B2 (en)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JP2762336B2 (ja) 紙幣の収納繰り出し装置
KR10100169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용방법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0172903A (ja) 紙幣入出金機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20046254A (ko) 지로 일괄처리장치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771093B2 (ja) 紙幣出金装置
JPH11283074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2000177935A (ja) 紙幣処理機
KR100319023B1 (ko) 지폐 처리장치
KR10112245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KR20160011763A (ko)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0307902B1 (ko) 지폐처리장치
JP4992002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3392558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3155158A (ja)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624677B2 (ja) 自動取引装置
JP3443194B2 (ja) 紙幣一括払出装置
KR20000009771A (ko)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848483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および硬貨入出金機
JP4997458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