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928A - 지로용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로용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928A
KR19990024928A KR1019970046318A KR19970046318A KR19990024928A KR 19990024928 A KR19990024928 A KR 19990024928A KR 1019970046318 A KR1019970046318 A KR 1019970046318A KR 19970046318 A KR19970046318 A KR 19970046318A KR 19990024928 A KR19990024928 A KR 1999002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elt
unit
processing apparatus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366B1 (ko
Inventor
윤기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36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은행카드를 이용하여 지로용지를 자동으로 수납할 수 있는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는, 지로용지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수납된 지로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지로용지를 소정수 집적하여 일괄 배출하는 집적부와, 상기 집적부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의 이송경로를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반환하기 위한 변환부, 그리고 상기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에 의한 지로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지로용지의 영수인자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는, 집적부와 반환부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류부재와 상기 분류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류부재는 집적부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를 보관부로 안내하는 보관부안내면을 구비하여 지로용지가 보관부안내면에 접촉하면 보관부로 안내되고, 상기 보관부안내면이 하측으로 회동하면 지로용지는 반환부로 안내된다.

Description

지로용지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전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수납부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제1이송부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집적부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분류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반환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보관부로 이송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 지로용지처리장치의 보관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부11 : 이송롤러
14 : 압착판12 : 취출롤러
20 : 제1이송부22a : 상부벨트
22b : 하부벨트23 : 프린터
30 : 집적부32 : 상부아이들벨트
34 : 하부이송벨트40 : 제2이송부
42 : 상부벨트44 : 하부벨트
50 : 보관부60 : 반환부
72 : 제1타이밍벨트74 : 제2타이밍벨트
80 : 분류부재82 : 보관부안내면
본 발명은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수작업에 의존하는 지로용지의 영수처리를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금융기관에서, 지로용지의 수납처리는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즉, 담당자가 일일이 용지를 수납하고, 확인, 영수하는 과정을 거치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처리시간의 지연 등으로 불편함을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월말에 집중되는 지로납부일에는 집중된 업무량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로용지의 수납처리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지로용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로용지를 신속하게 수납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개괄적인 구성 블럭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지로용지를 투입하는 수납부(10)와, 상기 수납부(10)에서 투입된 지로용지(이하에서는 단순히 용지라고도 칭함)를 1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20),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된 용지를 소정의 매수까지 보관하는 집적부(30), 상기 집적부에서 일시적으로 모아진 용지를 반환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제2이송부(40), 상기 제2이송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사용자에서 반환하는 반환부(60), 그리고 영수처리된 용지를 상기 집적부(30)에서 받아 보관하는 보관부(5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제2도를 같이 참조하면서 제3도 내지 제도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수납부(10)를 보인 것이다. 수납부는, 사용자가 영수처리를 하고자 하는 지로용지를 투입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에 투입되는 지로용지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반환되는 영수증용을 제외한 부분이고, 사용자에게 영수증으로 제시되는 것은, 별도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처리장치가 기존의 현금지급기 내부에 구현된 경우, 현금지급기에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별도의 영수증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납부(10)는, 투입되는 용지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이송롤러(11:11a, 11b, 11c)와, 상기 이송롤러(11)에 용지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14), 그리고 상기 압착판(1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용지가 투입되면 투입부의 상하에 부착된 한쌍의 감지센서(S1:S1a,S1b)에 의하여 용지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압착판(14)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용지를 이송롤러(11)에 밀착시킴으로써, 투입된 용지를 후술하는 제1이송부(20)으로 피딩시킨다. 상기 압착판(1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는, 모터(19)와, 상기 모터(19)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16a), 상기 구동기어(16a)와 맞물려 같이 회전하는 종동기어(16b),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16b)의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는 링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9)의 회전은, 구동기어(16a) 및 종동기어(16b)를 통하여 링크(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링크(15)는, 그것과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된 압착판(1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납부(10)의 내부로 이송된 용지는 한쌍의 취출롤러(12:12a,12b)를 통하여 후술하는 제1이송부(20)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0)는, 투입되는 용지를 제1이송부(20)로 안내하기 위한 부분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용지를 제1이송부(20)로 피딩시키는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부(10)의 내부에 용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서 접촉 슬라이딩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투입되는 지로용지를 제1이송부(20)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제4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수납부(10)에서 이송되어 온 용지를 처리하는 제1이송부(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0)의 취출롤러(12)를 통하여 제1이송부(20)으로 피딩된 용지는, 한쌍의 도입롤러(12:12a,12b)를 통하여 상부벨트(22a) 및 하부벨트(22b) 사이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벨트(22a,22b)로 들어가기 전에 용지의 투입방향(전후면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표리감지센서(S2:S2a,S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리감지센서(S2)는, 사용자가 투입한 용지의 표면과 이면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입된 용지를 반환부(6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하고, 일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거쳐 보관부(50)로 배출하게 될 것이다.
상기 상부벨트(22a) 및 하부벨트(22b)는 그 사이로 용지를 피딩시키기 위하여 인접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경우,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성된다. 즉, 투입되는 용지의 좌우측을 파지한 상태로 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벨트(22a) 및 하부벨트(22b)는 각각 한쌍의 상부벨트풀리(22a1,22a2) 및 하부 벨트풀리(22b1,22b2)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풀리들의 구동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며, 이러한 구동모터의 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생략)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진행되며,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는 보드는 제1도에 도시한 보드(B)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각각의 신호연결라인은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벨트(22b) 및 상부벨트(22a)는,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경우, 용지의 양측을 각각 잡고 이송시키기 위하여 한쌍으로 구성되고 있고, 이러한 한쌍의 상부벨트(22a)의 사이에는 영수인자처리를 수행하는 프린터(2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의 표면과 이면의 정확하게 투입된 경우, 상기 상하부벨트(22a,22b)를 통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상기 프린터(23)에 의하여 영수처리가 수행되고, 계속하여 상하부벨트(22a,22b)를 나온 용지는 제1이송부(20)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송롤러(25a,25b)등에 의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이송부(20)에서의 용지의 이송 경로상에는 영상광학독취기(24:24a,24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영상광학독취기(24)는, 바코드 또는 OCR형태로 기재되어 있는 지로코드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필요한 전산처리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20)의 이송 경로상에는, 용지의 잼(jam)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3,S4)가 설치되어, 용지의 이송 도중 잼의 발생여부 및 이송 타이밍을 체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어, 제1이송부(20)의 이송롤러(25a,25b) 및 배출롤러(29)를 통과한 용지는, 제5도의 집적부(30)로 떨어지게 된다. 즉, 이송롤러(25a,25b)를 통과한 용지는, 배출롤러(29)에 의하여, 계속 진행되어 후술하는 집적부(30)으로 낙하된다. 집접부(30)로 낙하된 지로용지는, 처리된 용지 또는 처리되지 않은 용지를 종류별로 모아서 일괄적으로 보관부(50) 또는 반환부(60)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현금지급기와 같이 구성되거나, 지로용지 처리장치 자체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의 카드(신용카드 또는 현금 카드와 같이 자신의 계좌에서 이체 처리를 할 수 있는 카드)를 사용하여, 계좌에서 직접 지로용지의 수납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카드로 일괄하여 여러장의 지로용지를 처리할 때, 그중 한 장이라도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투입된 용지 전체를 반환부로 반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집적부(30)는, 한장의 카드를 사용하여 다수의 지로용지를 처리하는 경우, 이들 지로용지를 모아서, 일괄처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물론 하나의 카드로 한 장의 지로용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집적부(30)는 단순히 한장만을 처리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부(30)는, 상부아이들벨트(32)와 하부 이송벨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아이들벨트(32)는 동력의 전달없는 아이들러로서 동작하게 되며, 하부이송벨트(34)와는 접촉 및 이격되는 위치로 운동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아이들벨트(32)는 구동모터(39)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하부이송벨트(34)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아이들벨트(32)의 동작기구를 살펴보면, 구동모터(39)의 회전력은 구동기어(38)를 통하여 종동기어(37)으로 연결되고, 종동기어(37)의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는 링크(36)는, 그 단부에 형성된 장공(36a)에 삽입된 핀(P2)을 통하여 연결된 브라켓(32d)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브라켓(32d)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아이들밸브(32)를 구동하는 한쌍의 풀리(32a,32b)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부아이들벨트(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하부이송벨트(34) 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아이들벨트(32)는, 하부이송벨트(34)와 이격된 상태에서 이송된 지로용지가 상부아이들벨트(32)와 하부이송벨트(34) 사이에 모여지면, 하부이송벨트(34)에 접하도록 이동하는 범위내에서 구동기구에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이송벨트(34)는, 동력이 전달되는 풀리(34a) 및 풀리(34b)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력전달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아이들벨트(3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이송벨트(34)와 접하게 되면, 그 사이에 집적된 용지들은 하부어송벨트(34)의 회전력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하부이송벨트(34)의 풀리(34a))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제8도를 참조하면, 구동모터(70)에서의 동력은 모터풀리(71a)을 통하여 제1타이밍벨트(72)로 전달되고, 제1타이밍벨트(72)의 타측풀리축(71b)에는, 제2타이밍벨트(74)의 일측이 감겨 있다. 그리고 제2타이밍벨트(74)의 타측은, 하부이송벨트(34)의 풀리(34a)에 걸려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구동모터(70)의 동력에 의하여 하부이송벨트(34)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집적부(30)에서 배출된 용지는 보관부(50) 또는 반환부(60)로 이송된다. 보관부(50)로 이송되는 용지는 전부 영수처리된 용지이고, 반환부(60)로 이송되는 용지는 표면 또는 이면을 잘못하여 투입한 용지 또는 처리도중에 잼이 발생하여 처리가 불가능해진 용지를 말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아이들벨트(32)와 하부이송벨트(34)를 나온 용지는, 분류부재(80)에 의하여, 보관부(50) 또는 반환부(60)으로의 이송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분류부재(80)는 집적부(30)에서 용지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부의 힌지축(P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부재(80)는, 솔레노이드(90)의 동작에 의하여 분류부재(80)를 회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연결부(86)과, 상부로 회동시 용지를 보관부(50)으로 안내하는 만곡된 보관부안내면(84)과, 하부로 회동시 용지를 반환부(60)으로 보내기 위한 평면 반환부안내면(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부(86)은 솔레노이드(90)의 동작에 의하여 솔레노이드(90)와 연동하면서, 분류부재(80)를 회동시키게 된다. 제6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솔레노이드(90)가 오프(off)된 상태로, 집적부(30)에서 집적이 완료되기 까지는 항상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90)가 오프상태에서 상기 분류부재(80)는 항상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보관부(50)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토션스프링등과 같은 탄성수단을 힌지축(P3)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류부재가 항상 반시계방향의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지지상태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충분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9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온(on)되면, 상기 솔레노이드(90)는 분류부재(80)의 하단 연결부(86)을 하방으로 끌어 당기게 되고, 따라서 상기 분류부재(80)는 힌지축(P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90)이 온되면, 상기 분류부재(8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는 제2이송부(40)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류부재(8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집적부(30)에 모인 용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용지라도 처리가 불가능한 것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판단은 센서(S2또는 S3)에서 감지한다], 상기 솔레노이드(90)는 온(on)되면서 작동하게 된다. 솔레노이드(90)와 연동하는 분류부재(8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집적된 용지는 평면형상의 반환부안내면(84)의 상부를 통하여 제2이송부(40)로 이송된다. 제6도에서 도면부호 G6는, 제2이송부(50)을 통하여 반환부(60)로 이송되는 용지를, 그리고 G5는 보관부(50)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집적부(30)에 모인 용지가 아무 이상없이 영수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90)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는 분류부재(80)의 보관부안내면(82)을 따라 안내되어, 후술하는 보관부(50)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류부재(80)는, 적어도 보관부(50)를 향하여 용지를 안내할 수 있는 보관부안내면(82)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상없이 영수처리된 지로용지가 집적부에서 배출되면 이를 보관부안내면(82)을 통하여 보관부(50)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반환부안내면(84)는, 분류부재(80)가 회동하여 보관부안내면(82)이 하부로(시계방향) 이동하지 않으면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자동적으로 제2이송부(40)으로 안내되어 반환될 수 있는 면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솔레노이드(90)의 오프상태에서 상기 보관부안내면(82)이, 상부로 돌출하여 용지를 보관부(50)로 안내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90)이 온되어 보관부안내면(82)이 하부로 이동하여,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바로 제2이송부(40)으로 이송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반환부안내면(84)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제7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집적부(30)에서 배출된 용지가 반환부(60)로 귀환하는 제2이송부(4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이송부(40)는, 투입된 용지의 이상으로 영수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집적부(30)에서의 용지를 반환부(60)으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부분을 말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부(40)는,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서 반환되는 용지를 반환부(60)로 이송하게 된다. 상부벨트(42) 및 하부벨트(44)는 각각 한쌍의 상부풀리(42a,42b) 및 하부풀리(44a,44b)에 걸려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풀리의 동력전달과 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부 벨트(42)의 풀리(42b)는, 집적부(30)의 하부이송벨트(34)와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집적부(30)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바로 피딩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벨트(42)의 풀리(42b)는, 코일스프링(47h)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집적부(30)의 하부이송벨트(34)의 상부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분류부재(80)은 상기 상부벨트(42)의 풀리(42b)의 바로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벨트(42) 및 하부벨트(44)는, 평면도상에서 보았을 때, 각각 좌우측에 한쌍으로 구성된다. 즉, 용지의 양측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류부재(80)는 한쌍의 하부벨트(44)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상부벨트(42)의 경로 상에는, 반환부(60)으로 벨트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롤러(42d,42e,42f)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42d,42e,42f)에 의하여 상부벨트(42)는 반환부(60)를 향한 소정의 경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벨트(44)의 경로 상에도 상기 상부벨트(42)와 연접되는 경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안내롤러(44c)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하부벨트(42,44)의 경로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롤러에 의하여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 서로 연접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용지를 반환부(6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의 밀착력 향상 및 다수장의 용지가 제2이송부(40)를 통과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47a,47b,47c)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벨트(42)의 안내롤러(42f)와 하부벨트(44)의 풀리(44b)를 서로 코일스프링(47a)로 연결하여 둠으로써,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를 서로 밀착시키고 있고, 상부벨트(42)의 안내롤러(42e)를 코일스프링(47b)를 이용하여 하부벨트(44) 측으로, 그리고 상부벨트(42)의 풀리(42a)를 코일스프링(47c)를 이용하여 하부벨트(44)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는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여러장의 용지가 통과하는 경우 충분한 탄성변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8도를 참조하면서 제2이송부(40)의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벨트(42) 및 하부벨트(44), 그리고 집적부(30)의 하부이송벨트(34)는 각각 다른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구동모터(70)에 의하여 상기 벨트들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원인 구동모터(70)의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는 모터풀리(71a)와 하부벨트(44)의 풀리축(71b)가 제1타이밍벨트(72)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타이밍벨트(72)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풀리축(71b)는 하부벨트(44)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축(71b)과, 집적부(30)의 하부이송벨트(34)의 풀리(34a)는 제2타이밍벨트(74)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타이밍벨트(74)에 의하여 집적부(30)의 하부이송벨트(34)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벨트(44)의 풀리축(71b)은 실제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회전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일부의 외주연에는 기어부(71bg)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벨트(42)의 풀리(42a)가 상기 풀리축의 기어부(71bg)와 맞물리는 외주연에 기어부(42ag)가 성형되어 있어서,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70)에 의하여 회전하는 풀리축(71b)와, 상부벨트(42)의 풀리(42a)는 서로 회전하게 되며, 이는 상부벨트(42)도 구동모터(7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다음에는 제9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분류부재(80)에 의하여 보관부(50)으로 용지를 배출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부(50)는, 케이싱(52)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용지베이스(54), 그리고 용지가 상기 베이스(54) 측으로 낙하되면 용지를 하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밀착부재(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52)는, 보관부(50)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함과 동시에, 내부의 용지베이스(5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지베이스(54)는, 한쌍의 탄성스프링(53)에 의하여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용지(G)가 베이스(54)상에 공급되면, 탄성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고, 케이싱(5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연장된 걸림부(52a)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영수처리된 용지(G)가 쌓이면 그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56)는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내부로 용지가 투입되면 하방으로(반시계방향) 이동하여 용지를 완전하게 케이싱(52)로 밀어넣는 역할을 한다. 즉, 모터(56c)의 회전력이 한쌍의 전달기어(56a,56b)에 전달되고, 전달기어(56a)의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밀착부재(56)는 전달기어(56a)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6c)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의 구간내에서 회동한다.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용지가 떨어지면 용지의 상면을 하방으로 밀어서 완전하게 베이스(54)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용지(G)의 상면이 걸림부(52a)에 걸리도록 하고, 원래의 위치인 상부로 회동한다. 이러한 밀착부재(56)의 동작은 용지(G)의 투입시 1회만을 수행하여도 무방하고, 용지(G)의 완전한 수납을 위하여 2, 3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제2도를 참조하면서 반환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환부(60)는 제2이송부(40)를 통하여 반환된 용지를 사용자가 꺼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반환부(60)는, 제2이송부(40)에서 반환되어온 용지가 떨여져 쌓이면, 사용자가 손으로 반환된 용지를 받아 꺼낼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여 두는 것으로 완성될수 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반환부(60)의 입구를 개폐하는 셔터(2)를 설치하여 반환부(6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2)는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납부(10) 및 반환부(60)의 입구를 개폐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 처리장치는 자체적인 하나의 처리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현재 보급되어 있는 현급지급기에 상기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지로용지의 처리를 선택하면, 수납부가 열리고 사용자는 처리하고자 하는 지로용지를 수납부(10)를 통하여 넣게 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10)에 용지가 투입되면 압착판(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투입되는 용지를 이송롤러(11)에 밀착시킨다. 이송롤러(11)의 회전에 의하여 피딩된 용지는 취출롤러(12)에 의하여 제1이송부(20)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롤러(21)에 의하여 제1이송부(20)로 들어간다. 상기 제1이송부(20)로 들어가지 전에 설치된 표리감지센서(S2)에 의하여 투입된 용지의 표면 및 이면이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는가를 감지하게 되고, 만일 정확하게 투입되지 않았다면, 후술하는 이송과정에 의해서 반환부(60)으로 반환된다. 예를 들어한 사용자가 한장의 카드를 사용하여 여러장의 지로용지를 처리하는 경우, 한장의 지로용지가 잘못투입된 경우, 그 이후에 투입되는 지로용지는 표리감지센서(S2)에서 인식하지 않고, 바로 집적부(30)로 이송되고, 이어서 전부 반환부(60)로 배출될 것이다. 그리고 표면이 정확하게 투입되었으면, 제1이송부(20)의 상부벨트(22a) 및 하부벨트(22b) 사이를 통하여 피딩되면서, 경로상에 설치되 있는 프린터(23)에 의하여 영수 인자를 하게 된다. 그리고 제1이송부(20)상에서 상기 상하부벨트(22a,22b)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25) 및 배출롤러(29)를 통하여 집적부(30)로 배출된다.
상기 이송롤러(25)를 통하여 이송되는 경로중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광학독취기(24)는, 지로용지 상의 지로코드를 읽어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부(30)로 투입된 용지(G)는, 상부아이들벨트(32)가 상부로 열린 상태에서, 하부이송벨트(34) 상에 쌓이게 된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한장의 카드를 사용하여 여러장의 지로용지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집적부(30)에 일괄적으로 수집되어 보관부(50) 또는 반환부(60)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한 사용자의 지로용지 투입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게 되면, 상부아이들벨브(32)는 구동모터(39)의 동작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이송벨트(34)에 밀착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이송벨트(34)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집적부(30)에 모인 지로용지는 전부 제2이송부(40)의 입구로 들어간다. 여기서 상기 하부이송벨트(34)의 구동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70)에서의 동력이 제1타이밍벨트(72) 및 제2타이밍벨트(74)를 통하여 풀리(34a)에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집적부(30)에 수집된 지로용지의 어느 하나라도 잘못 투입되어 영수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제어부는 제6도에 도시한 솔레노이드(90)를 온시켜서, 분류부재(80)를 시계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제6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류부재(80)의 보관부안내면(82)이 하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반환부안내면(84)의 상부를 지나 제2이송부(40)로 이송되어 반환부(60)으로 배출될 것이다. 이렇게 상기 분류부재(8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집적부(30)에 모인 용지가 제2이송부(40)으로 이송되는 상태는 제7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제2이송부(40)로 안내된 용지는, 상부벨트(42)와 하부벨트(44) 사이에서 이송되어, 보관부(60)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부(30)에 수집된 용지가 전부 정확하게 영수처리된 것이라면, 솔레노이드(90)가 원래의 오프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분류부재(80)는 보관부안내면(82)가 상부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되고(제6도의 실선 상태), 따라서 집접부(30)에서 배출되는 일련의 지로용지(G5)는 분류부재(80)의 보관부안내면(82)를 따라 보관부(50)으로 투하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집적부(30)에서 배출되는 용지가 보관부(50)으로 투하되는 상태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분류부재(80)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50)로 안내되는 용지(G)는, 밀착부재(56)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려진다. 물론 상기 밀착부재(56)의 구동은, 구동모터(56c)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낙하되는 용지를 하방으로 밀착시켜, 용지베이스(54)에 쌓이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56)는, 지로용지(G)를 하방으로 밀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걸림부(52a)의 하부로 용지를 밀어 내리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로용지(G)와의 접촉에 의하여, 지금까지의 이송과정에서 발생된 지로용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로용지처리기는, 현재 널리 보급된 현금지급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기존의 현금지급기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자신의 카드를 이용하여 지로용지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금융기관에 일일이 찾아가지 않고서도, 널이 설치되어 있는 현금지급기를 이용하여 지로용지의 영수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현금없이 단순히 자신의 카드를 사용하여 지로수납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과 무인코너와 같이 현금지급기가 설치되어 있는 편리한 곳에서 지로의 수납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특히 월말에 고객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인 시간 및 인력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지로용지처리기를 자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금융기관 내에서도 담당자가 이를 사용하여 지로용지를 처리함으로써 고속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금융기관 및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7)

  1. 지로용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수납된 지로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지로용지를 소정수 집적하여 일괄 배출하는 집적수단과;
    상기 집적수단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의 이송경로를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반환하기 위한 반환수단; 그리고
    상기 분류수단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다수개의 이송롤러와, 투입된 지로용지를 상기 구동롤러측으로 밀착시키도록 구동롤러에 밀착되는 압착판으로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그 사이에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상부벨트 및 하부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지로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지로용지의 영수인자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지로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지로용지의 지로코드를 독취하기 위하여 설치된 독취장치를 더 포함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수단은;
    하부이송벨트와, 상기 하부이송벨트와 밀착 및 이격되는 상부아이들벨트로 구성되고, 상부아이들벨트가 이격된 상태에서 용지가 하부이송벨트상에 집적되고, 상부아이들벨트가 밀착되어 용지를 일괄이송하게 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수단은;
    상기 집적수단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를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한쌍의 상하부벨트로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벨트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수단의 상부벨트의 선단은, 집적수단의 하부이송벨트의 후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은;
    집적수단과 반환수단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류부재와 상기 분류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류부재는 집적수단에서 배출되는 지로용지를 보관수단으로 안내하는 보관수단안내면을 구비하여 지로용지가 보관수단안내면에 접촉하면 보관수단으로 안내되고, 상기 보관수단안내면이 하측으로 회동하면 지로용지는 반환수단으로 안내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분류부재의 일단과 연결된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보관수단은,
    분류수단에서 이송되는 지로용지를 수납하는 케이싱과, 지로용지를 상기 케이싱 내부로 밀어주기 위하여 회동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지로용지가 상부에 쌓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지로용지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는, 베이스에 쌓이는 지로용지가 걸리는 걸림부가 성형된 지로용지 처리장치
  15. 제17항에 있어서, 반환수단의 상하부벨트와 집적부의 하부이송벨트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반환수단의 하부벨트와 집적부의 하부이송벨트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벨트로 동력이 전달되고, 반환수단의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의 풀리의 외주에 성형된 기어부가 서로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
  17. 지로용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수납된 지로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지로용지의 이송경로에서 지로용지를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반환하기 위한 반환수단; 그리고
    상기 분류수단에 의하여 분류된 지로용지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로용지 처리장치의 이송장치.
KR1019970046318A 1997-09-09 1997-09-09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0026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18A KR100266366B1 (ko) 1997-09-09 1997-09-09 지로용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18A KR100266366B1 (ko) 1997-09-09 1997-09-09 지로용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28A true KR19990024928A (ko) 1999-04-06
KR100266366B1 KR100266366B1 (ko) 2000-09-15

Family

ID=1952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318A KR100266366B1 (ko) 1997-09-09 1997-09-09 지로용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3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254A (ko) * 2002-05-02 2002-06-20 함현철 지로 일괄처리장치
KR20030089035A (ko) * 2002-05-15 2003-11-21 (주)선진비알티 이차원 바코드 스캔모듈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KR100468328B1 (ko) * 2002-06-05 2005-01-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373A (ko) * 2001-10-27 2001-12-13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KR101022427B1 (ko) 2008-10-08 2011-03-15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254A (ko) * 2002-05-02 2002-06-20 함현철 지로 일괄처리장치
KR20030089035A (ko) * 2002-05-15 2003-11-21 (주)선진비알티 이차원 바코드 스캔모듈
KR100468328B1 (ko) * 2002-06-05 2005-01-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6366B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6963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5188167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90073027A (ko) 지폐감별기능 및 자동결속기능을 갖는 다중포켓 지폐계수기및 그의 구동제어방법
KR100266366B1 (ko) 지로용지 처리장치
JP5024949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90112890A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EP2053567B1 (en) Paper sheet processsing apparatus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587421B1 (ko)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0132199B1 (ko) 지폐류 처리장치
JP4005674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239772B1 (ko) 지로(giro)용지 처리장치
KR950007839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정렬장치
KR20170098457A (ko) 지폐 처리장치
KR1011209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일시스택방법
KR1006035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장치
JP2003155158A (ja)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0196407B1 (ko)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92805B2 (ja) 紙葉保留装置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JP2703075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1273538A (ja) 紙幣処理装置
JPH07315612A (ja) 紙葉類の搬送装置
JP5119706B2 (ja) 紙葉類搬送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810

Effective date: 200604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601

Effective date: 200701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