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427B1 -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427B1
KR101022427B1 KR1020080098764A KR20080098764A KR101022427B1 KR 101022427 B1 KR101022427 B1 KR 101022427B1 KR 1020080098764 A KR1020080098764 A KR 1020080098764A KR 20080098764 A KR20080098764 A KR 20080098764A KR 101022427 B1 KR101022427 B1 KR 10102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unit
media
gi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695A (ko
Inventor
배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9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로수납기(10)에는 수납거래를 위해 투입되는 지로용지에 인쇄된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판독부(12)가 구비된다. 상기 판독과정을 거친 지로용지를 일시집적하는 일시집적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일시집적된 각 지로용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지로용지 사이에 분리판(P)을 제공하는 판제공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지로용지의 수납 또는 배출과정과, 상기 분리판(P)의 투입 또는 제거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지로용지의 일시집적된 순서대로 수납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작성하여 금융호스트(50)로 전송한다. 상기 금융호스트(50)의 승인 결과, 어느 하나 이상의 지로용지가 미승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미승인된 지로용지를 제외하고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만으로 거래전문을 재작성하여 상기 금융호스트로(50)부터 승인받는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를 적재부(16)로 수납하고, 미승인된 지로용지만을 고객에게 반환하기 위해 투입구(11)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로용지의 수납거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융자동화기기, 지로용지, 분리판, 일시집적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MEDIA RECEIPT THEREOF}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매체를 동시에 수납거래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지로용지,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매체는 소정장치에 수납되어 처리되는데, 여기서는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처리하는 지로수납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로용지를 수납하는 지로수납기에는 내부에 상기 지로용지의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판독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한 번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다수의 지로용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거래동작이 완료되는 동안 투입된 매체를 일시집적하는 일시집적부와, 상기 수납거래가 완료된 후 상기 지로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지로수납기는 상기 판독부를 통해 투입된 모든 지로용지의 일련번호를 판독하고, 판독이 완료된 지로용지를 순서대로 상기 일시집적부에 일시집적 한다. 그리고, 상기 지로수납기는 상기 판독된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수납거래 거래전문을 작성한 후, 작성된 거래전문을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처리하는 금융호스트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지로수납기는 상기 금융호스트로부터 상기 수납거래의 승인 결과를 수신하고,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를 상기 적재부로 적재하여 수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기 지로수납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거래전문을 수신한 금융호스트에서 상기 지로용지로부터 판독된 판독정보와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된 지로정보가 검색되지 않거나, 상기 판독된 정보에 의한 지로용지의 수납이 이미 수행된 경우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금융호스트는 오류메시지를 상기 지로수납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지로수납기는 상기 일시집적부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 전체를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지로수납기는 일시집적된 10매의 지로용지 중에서 한 장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지로용지 10매 전체를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지로수납기를 이용하는 고객은 배출된 지로용지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지로용지 1매를 제거한 후, 나머지 9매의 지로용지를 다시 투입해야만 한다. 이때, 지로용지 1매를 투입하기 위해 약 8초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종래의 지로수납기는 9매의 지로용지를 재투입하기 위한 약 72초와, 결제카드를 투입하여 수납거래를 처리하는 시간까지 총 2분 가량의 시간이 더 소요된다. 결국, 종래의 지로수납기는 지로용지 재투입으로 인한 고객의 번거로움과 지로용지의 수납거래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매체를 동시에 수납거래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매체를 수납거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입되는 매체의 매체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 완료된 매체를 일시집적하는 일시집적부; 상기 판독된 매체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전문을 작성하는 전문작성부; 그리고 상기 거래전문의 승인결과, 일부 매체가 미승인된 경우, 정상 승인된 매체로만 거래전문을 재작성하고, 이를 재승인 요청하여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를 수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 중에서 상기 미승인된 매체만을 반환하는 반환부;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의 수납거래가 승인되면, 이를 적재하여 수납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일시집적부에 일시집적된 매체 사이를 분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판을 제공하는 판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시집적부와 판제공부 사이에는 판이송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판이송경로에는, 상기 판제공부에 구비된 분리판 중 하나의 분리판을 분리하거나 상기 일시집적부에서 반환되는 분리판을 상기 판제공부 내로 이송하는 분리롤러와, 상기 분리된 분리판이 이송되어 상기 일시집적부로 투입되거나 상기 일시집적부에서 사익 판제공부로 반환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분기부가 설치된다.
상기 판이송경로의 분리롤러와 분기부 사이에 상기 분리판을 이송하는 판이송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매체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매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입되는 매체의 매체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완료된 매체를 일시집적하고, 상기 판독된 매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수납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거래전문을 승인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거래전문의 승인 결과, 미승인된 매체가 있는 경우 정상 승인된 매체로만 거래전문을 재작성하여 재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재승인 요청결과,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를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미승인된 매체를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일시집적된 매체에 상기 승인된 매체가 복수 개 있으면, 상기 일시집적된 순서대로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는 수납처리하고, 상기 미승인된 매체는 반환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판독 완료된 매체 사이에 상기 매체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분리판을 적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미승인된 매체가 없으면, 상기 일시집적된 모든 매체를 수납 처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입되는 매체의 매체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완료된 매체를 일시집적하는 단계; 상기 일시집적된 매체를 승인 및 미승인 매체로 구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구분된 승인 매체는 수납경로를 통해 수납하고, 상기 미승인된 매체는 반환경로를 통해 투입구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납거래를 위해 투입된 다수의 매체 중에서 미승인된 매체를 제외한 나머지 정상 승인된 매체를 수납하고 미승인된 매체만을 배출하므로, 일부 매체만 미승인되더라도 전체 매체를 배출한 후 정상 승인된 매체를 재투입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매체를 재투입하는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매체의 수납거래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로수납기의 구성이 블록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지로수납기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지로수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살펴보면, 지로수납기(10)에는 지로용지를 투입받는 투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1)는 한 장씩 투입받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수의 지로용지를 한번에 투입받을 수 있도록 고객접근모듈(Customer Access Module)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지로용지를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배출하는 배출구의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지로용지의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판독부(12)가 구비된다. 상기 판독부(12)에는 상기 지로용지에 일반 잉크로 인쇄된 일련번호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학문자판독부(Optical Character Reader)(13)와, 자기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일련번호를 판독하는 자기잉크문자판독부(Magnetic Ink Character Reader)(14)가 구비된다.
상기 판독부(12)의 판독결과, 상기 일련번호가 정상적으로 판독된 경우 지로이송경로(GL)를 통해 상기 지로용지를 전달받아 일시집적하는 일시집적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판독부(12)의 판독결과, 상기 일련번호가 정상적으로 판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로용지는 반환경로(RL)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배출되어 고객에게 반환된다. 그리고, 상기 지로용지의 수납거래가 미승인된 경우, 상기 일시집적부(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는 배출경로(OL)를 통해 배출되어 고객에게 반환된다.
상기 일시집적부(15)에 소정 규격의 분리판을 제공하고 다시 수납하는 판제공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일시집적부(15)와 판제공부(17) 사이에는 상기 분리판을 이송하는 판이송경로(PL)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지로용지를 서로 분 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지로용지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지로용지 사이에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지로용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지로용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판제공부(17) 및 판이송경로(PL)의 구성은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일시집적부(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 중에서 수납거래가 승인된 지로용지를 적재하여 수납하는 적재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일시집적부(15)와 적재부(16) 사이에는 수납경로(CL)가 형성된다. 상기 적재부(16)는 상기 지로수납기(10)에 탈착 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로수납기(10) 내부의 전반에는 상기 지로용지를 상기 지로이송경로(GL), 반환경로(RL), 수납경로(CL) 또는 배출경로(OL)로 이송하는 지로용지이송모듈(18)이 구비된다. 상기 지로용지이송모듈(18)은 미도시된 각종 모터와 롤러, 풀리, 밸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독부(12)의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작성하고, 상기 거래전문이 승인되면 상기 일시집적부(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를 상기 적재부(16)로 수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반면, 상기 거래전문의 수납거래를 승인하는 금융호스트(50)의 승인결과, 이미 수납되었거나 상기 판독정보에 대응되는 지로정보가 없어 일부 지로용지가 미승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미승인된 지로용지를 제외하고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만의 거래전문을 재작성한다. 그리고, 재작성된 거래전문이 승인되면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를 상기 적재부(16)로 수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미 승인된 지로용지를 고객에게 반환하기 위해 상기 반환경로(RL)를 따라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판독부(12)에서 정상 판독되지 않은 지로용지를 상기 반환경로(RL)를 통해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작성된 거래전문을 상기 금융호스트(50)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호스트(50)로부터 전송되는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21)이 구비된다.
상기 판독부(12)로부터의 판독정보를 판독된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메모리(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2)는 상기 수신된 승인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지로용지의 수납을 위한 안내메시지와 수납거래 동작상태, 처리결과를 표시하고, 고객으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표시 및 입력부(23)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 및 입력부(23)에는 투입하고자 하는 모든 지로용지가 투입된 경우, 투입종료명령을 입력하는 투입종료버튼(23a)이 구비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지로수납기(1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일시집적부(15)의 상단에는 날개부(33)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33)는 상기 일시집적부(15)의 내부에 다수의 지로용지(G)를 일시집적하도록 형성되는 일시집적공간(15')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날개부(33)는 상기 일시집적부(15)의 양측면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판독부(12)로부터 판독된 지로용지를 상기 지로이송경로(GL)를 따라 상기 날개부(33)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상부밸트(32)가 한 쌍의 상부롤러(31)에 걸어져서 설치된다. 상기 상부롤러(31)가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상부밸트(32)는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G)를 상기 적재부(16)에 수납하도록 상기 수납경로(CL)를 통해 수납방향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경로(OL)의 배출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상부밸트(32)는 상기 판이송경로(PL)를 통해 이송되는 분리판(P)을 상기 날개부(33)의 상면으로 투입하거나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 일시집적된 분리판(P)을 상기 판이송경로(PL)로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는 집적판(34)이 구비된다. 상기 집적판(34)은 상기 일시집적공간(15')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도면 미도시)를 따라 상기 일시집적공간(15')의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로용지(G)를 일시집적하는 경우, 상기 집적판(34)은 상기 일시집적공간(15')을 최대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시집적공간(15)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지로용지(G)를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배출하거나, 상기 적재부(16)로 수납하는 경우, 상기 지로용지(G)가 상기 상부밸트(31)에 밀착되도록 상기 날개부(33)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적판(34)은 상기 날개부(33)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집적판(34)의 이동은 상기 일시접적공간(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G)의 매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집적판(34)에는 하단롤러(35)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롤러는 상기 집적판의 상면에 일시집적된 마지막 지로용지(G)를 상기 배출방향 또는 수납방향으로 보다 용 이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일시접적부(15)의 하부에는 판이송경로(PL)를 통해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 상기 분리판(P)을 제공하고 다시 수납하는 상기 판제공부(17)가 구비된다. 상기 판제공부(17)는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 일시집적할 수 있는 지로용지(G)의 최대 매수, 예컨대 10매 사이에 제공되는 9개의 분리판(P)이 적재된다. 상기 분리판(P)은 상기 지로용지(G)를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합성수지나 비닐과 같이 상기 지로용지(G)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P)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상기 판이송경로(PL)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지로용지(G)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판이송경로(PL)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일시집적부(15)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리판(P)은 상기 지로용지(G) 사이에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지로용지(G)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지로용지(G)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이송경로(PL)는 상기 판제공부(17)와 상기 상부밸트(3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판제공부(17)와 인접된 부분을 입구라 하고, 상기 상부밸트(31)와 인접된 부분을 출구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입구에는 분리롤러(36)가 설치된다. 상기 분리롤러(36)는 상기 판제공부(17)에 적재된 상기 분리판(P)을 한 장씩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구에는 분기블록(38)이 설치된다. 상기 분기블록(38)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블록(38)은 상기 분리판(P)이 상기 날개부(33) 상면으 로 투입되는 경로 및 상기 날개부(33)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시집적공간(15') 내에 위치한 상기 분리판(P)이 제거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분기블록(38)은 상기 지로용지(G)가 상기 일시집적부(15)에서 상기 적재부(16)로 수납되는 수납경로(CL)도 형성한다. 상기 판이송경로(PL) 상에는 판이송롤러(37)가 설치된다. 상기 판이송롤러(37)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즉, 상기 판제공부(17)에 적재된 상기 분리판(P)이 상기 판이송경로(PL)를 통해 상기 분기블록(38)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상기 날개부(33) 상면으로 투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는 경우, 상기 분리판(P)은 구비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이송경로(PL) 상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판이송롤러(37)가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P)이 상기 판이송경로(PL)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분리판(P)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상기 판이송롤러(37)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로수납기의 지로수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로수납기의 지로수납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4f에는 도 3에 도시된 지로수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제 10단계(S10)에서 표시 및 입력부(23)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지로용지의 수납거래가 요청된다. 그리고, 투입구(11)를 통해 다수의 지로용지(G)가 동시에 투입된다.
제 12단계(S12)에서 지로용지이송모듈(18)은 투입구(11)에 투입된 다수의 지로용지(G)를 한 장씩 분리하여 순서대로 이송하기 시작한다. 상기 지로용지(G)가 판독부(12)로 이송되면, 판독부(12)는 지로용지(G)의 일련번호를 판독한다. 이때, 제어부(22)는 판독된 판독정보가 정상적으로 판독되지 않은 지로용지(G)는 반환경로(RL)를 따라 투입구(11)를 통해 배출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지로용지이송모듈(18)을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20)는 정상적으로 판독된 지로용지(G)는 그 판독정보를 판독된 순서대로 메모리(2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지로이송경로(GL)를 따라 지로용지(G)를 일시집적부(15)로 이송하도록 지로용지이송모듈(18)을 제어한다.
제 14단계(S14)에서 이송되는 지로용지는 일시집적부에 일시집적된다.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되는 과정을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0)는 상부롤러(31)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밸트(32)가 판독부(12)로부터 이송되는 지로용지(G)를 지로이송경로(GL)를 따라 날개부(33)의 상면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날개부(33)가 일시집적공간(15')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이다. 이어서, 제어부(20)는 날개부(33)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시집적공간(15')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날개부(33)의 상면에 위치한 지로용지(G)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일시집적공간(15')에 일시집적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곧바로 상기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시집적공간(15') 상부가 폐쇄되도록 날개부(33)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일시집적공간(15')을 최대로 형성하기 위해 집적판(34)을 일시집적부(15)에 형성된 가이드부(도면 미도시)를 따라 일시집적공간(15')의 하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 상태이다.
일단 일시집적공간(15) 내에 지로용지(G)가 집적되면, 다음에 집적되는 지로용지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일시집적된 지로용지(G) 상에 분리판(P)이 적재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는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b를 보면, 제어부(20)는 지로용지(G)가 일시집적된 다음 분리판(P)을 투입하기 위해 분리롤러(36)와 판이송롤러(37)를 각각 화살표 C의 방향과 D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어부(20)는 분기블록(38)을 분리판(P)이 날개부(33)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되면, 판제공부(17)에 적재되어 있는 분리판(P) 중 하나의 분리판(P)이 분리롤러(36)에 의해 분리되어 판이송경로(PL)의 입구로 이송되고, 계속해서 판이송롤러(37)에 의해 출구인 분기블록(38)을 향해 투입방향으로 이송되어, 날개부(33) 상면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날개부(33)를 상기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시집적부(15)의 상부를 개방하여 분리판(P)이 일시집적공간(15') 내의 집적판(34) 상에 이미 집적되어 있는 지로용지(G) 상에 적재되도록 한다. 그와 같이 분리판(P)이 적재되면, 제어부(20)는 날개부(33)를 상기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시집적부(15)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지로용지와 분리판의 일시집적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에 따라 일시집적공간(15')에는 다수의 지로용지(G)와 그 사이에 분리판(P)이 일시집적된다.
제 16단계(S16)에서 제어부(20)는 투입된 지로용지(G)의 매수가 일시집적될 수 있는 최대 매수, 예컨대 10매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투입된 지로용지(G)의 매수 가 10매 미만인 경우, 제 18단계(S18)에서 표시 및 입력부(23)를 통하여 투입종료버튼(23a)이 조작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투입종료버튼(23a)이 미조작된 경우, 제어부(20)는 제 12단계(S12) 내지 제 18단계(S18)를 반복하여 지로용지(G) 및 분리판(P)를 계속해서 투입받는다.
반면, 제 16단계(S16)에서 투입된 지로용지(G)가 일시집적공간(15') 내에 일시집적할 수 있는 최대 매수인 10매이거나, 제 18단계(S18)에서 투입종료버튼(23a)이 조작된 경우, 제 20단계(S20)에서 제어부(20)는 메모리(22)에 투입된 순서대로 저장된 지로용지(G)의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상기 최대 매수, 즉 10번째로 투입된 지로용지와 투입종료버튼(23a)이 조작되기 직전에 투입된 지로용지의 상부에는 분리판(P)의 투입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제어부(20)는 작성된 거래전문을 통신모듈(21)을 통하여 금융호스트(50)로 전송한다. 그러면, 금융호스트(50)는 상기 거래전문에 포함된 지로용지(G)의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지로정보를 검색하여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승인한 후, 그 승인정보를 지로수납기(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거래전문에 포함된 각 지로용지(G)가 이미 수납거래처리되었거나, 판독된 판독정보에 해당하는 지로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금융호스트(50)는 해당 지로용지(G)를 미승인처리하고, 그 이유를 안내하는 메시지 또는 코드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승인정보를 전송한다.
제 22단계(S22)에서 제어부(20)는 통신모듈(21)을 통해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승인정보에서 일시집적된 모든 지로용지(G)가 승인되었는가를 검사 한다. 모든 지로용지(G)가 승인된 경우, 제 23단계(S23)에서 제어부(20)는 상기 일시집적된 모든 지로용지(G)를 적재부(16)로 수납하도록 제어한다. 지로용지(G)의 수납과정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6단계(S2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제 22단계(S22)의 검사결과, 미승인된 지로용지(G')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 제 24단계(S24)에서 제어부(20)는 미승인된 지로용지(G')의 판독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G)의 판독정보만을 이용하여 거래전문을 재작성하고, 미승인된 지로용지(G')의 순서정보를 메모리(22)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상기 재작성된 거래전문을 통신모듈(21)을 통하여 금융호스트(50)로 전송한다. 그러면, 금융호스트(50)는 재작성된 거래전문에 포함된 지로용지(G)의 수납거래를 승인하고, 그 승인정보를 상기 지로수납기(10)로 전송한다.
제 26단계(S26)에서 제어부(20)는 일시집적부(15)에 일시집적된 지로용지 중에서 승인된 지로용지(G)는 적재부(16)로 적재하여 수납하고, 미승인된 지로용지(G')는 배출경로(OL)를 통해 반환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집적부(15)에 총 10매의 지로용지(G1 내지 G10)가 일시집적되고, 그 중 6번째의 지로용지(G6)가 미승인된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일단 제어부(20)는 10번째 지로용지(G10)를 적재부(16)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는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d를 보면, 제어부(20)는 날개부(33)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시집적부(15)의 상부를 개방하고, 분기블록(38)을 10번째 지로용지(G10)에 수납경로(CL)를 제공하도록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20)는 집적판(34)을 상부밸트(33)를 향 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10번째 지로용지(G10)를 상부밸트(3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부밸트(31)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밸트(31)와 밀착된 10번째 지로용지(G10)는 수납경로(CL)를 따라 적재부(16)로 이송되어 적재부(16) 내에 수납된다.
그 다음에는 제일 상단에 위치한 9번째 분리판(P9)을 판제공부(17)로 제거하여 적재시켜야 한다. 이는 도 4e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e를 보면, 제어부(20)는 9번째 분리판(P9)을 제거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분기블록(38)을 화살표 E의 반대방향(E')으로 회동시키고, 판이송롤러(37) 및 분리롤러(36)는 각각 화살표 D의 반대방향(D')과 화살표 C의 반대방향(C')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20)는 집적판(34)을 상부밸트(31)를 향하여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9번째 분리판(P9) 상면을 상부밸트(3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부밸트(31)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밸트(31)와 밀착된 9번째 분리판(P9)은 판이송경로(PL)를 따라 이송되어 판제공부(17)에 적재된다.
그와 같이 승인된 지로용지(G10 내지 G7) 및 그 사이에 끼워진 분리판(P9 내지 P6)을 제거하면서, 미승인된 지로용지(G6) 차례가 오면, 이때는 제어부(20)는 미승인된 지로용지(G') 즉 6번째 지로용지(G6)를 배출경로(OL)를 통해 투입구(11)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는 도 4f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f를 보면, 제어부(20)는 집적판(34)을 상부밸트(33)를 향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6번째 지로용지(G6)를 상부밸트(3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부밸트(31)는 화살표 A의 반대방향(A')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밸트(31)와 밀착된 6번째 지로용지(G6)는 배출경로(OL)를 따라 투입구(11)로 이송되어 고객에게 반환된다.
이어서, 제어부(20)는 남아있는 승인된 지로용지(G5 내지 G1)와 그 사이에 끼워진 분리판(P5 내지 P1)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거한다.
모든 지로용지의 수납 또는 배출동작이 완료되면, 제 30단계(S30)에서 제어부(20)는 표시 및 입력부(23)에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G)의 지로용지의 수납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 후, 지로용지(G)의 수납거래를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미승인된 지로용지(G')의 미승인 이유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로용지(G')에 인쇄된 일련번호의 훼손이나 오염 등으로 인한 판독정보 오류로 인해 미승인된 지로용지(G')를 계원창구를 통해 처리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승인된 지로용지(G')는 계원창구를 통해 수납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미승인된 지로용지가 있더라도 정상 승인된 지로용지의 수납거래를 처리하고, 미승인된 지로용지만을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일시집적된 10매의 지로용지 중에서 6번째 지로용지 1매가 미승인된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미승인된 지로용지가 복수 매인 경우, 승인된 지로용지를 수납하고, 미승인된 지로용지 차례가 되면 배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모든 지로용지를 정확하게 수납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일시집적된 지로용지(G)를 상부밸트(31)에 의해 일시집적된 순서의 역순, 즉 후입선출(後入先出) 방식으로 수납 또는 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집적판(34)에 형성되는 하부롤러(35)를 이용하여 일시집적공간(15')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로용지의 수납경로(CL) 또는 배출경로(OL)를 통해 지로용지(G)를 일시집적된 순서에 따라 선입선출(先入先出) 방식으로 수납 또는 배출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로수납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로수납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로수납기의 지로수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에 도시된 지로수납기의 지로수납방법을 설명하기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로수납기 11: 투입구
12: 판독부 13: 광학문자판독부
14: 자기잉크문자판독부 15: 일시집적부
16: 적재부 17: 판제공부
18: 지로용지이송모듈 20: 제어부
21: 통신모듈 22: 메모리
23: 표시 및 입력부 31: 상부롤러
32: 상부밸트 33: 날개부
34: 집적판 35: 하부롤러
36: 분리롤러 37: 판이송롤러
38: 분기블록

Claims (12)

  1. 투입되는 매체의 매체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 완료된 복수의 매체를 일시집적하되, 일시 집적되는 매체들 사이에 분리판이 함께 적재되는 일시집적부;
    상기 매체가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될 때 상기 매체들 사이로 상기 분리판을 제공하는 판제공부;
    상기 일시집적부와 상기 판제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판이송경로;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들의 상기 매체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전문을 작성하는 전문작성부;
    상기 거래전문의 승인결과, 일부 매체가 미승인된 경우, 정상 승인된 매체로만 거래전문을 재작성하고 수납 처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 중에서 상기 미승인된 매체만을 반환하는 반환부; 그리고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의 수납거래가 승인되면, 이를 적재하여 수납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가 상기 반환부로 반환되거나 또는 상기 적재부로 수납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집적부에서 상기 분리판을 상기 판제공부로 이송시켜 적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상기 일시집적부와 판제공부 사이에는 판이송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송경로에는,
    상기 판제공부에 구비된 분리판 중 하나의 분리판을 분리하거나 상기 일시집적부에서 반환되는 분리판을 상기 판제공부 내로 이송하는 분리롤러와,
    상기 분리된 분리판이 이송되어 상기 일시집적부로 투입되거나 상기 일시집적부에서 상기 판제공부로 반환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분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송경로의 분리롤러와 분기부 사이에 상기 분리판을 이송하는 판이송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매체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매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금융자동화기기가,
    투입되는 매체의 매체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 완료된 매체를 일시집적부에 순서대로 일시집적하되, 집적되는 매체들 사이에 상기 매체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분리판을 함께 적재하는 단계;
    상기 판독 완료후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모든 매체의 매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수납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거래전문을 승인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거래전문의 승인결과, 미승인된 매체가 있는 경우 정상 승인된 매체로만 거래전문을 재작성하여 재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재승인 요청결과, 상기 정상 승인된 매체를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승인된 매체를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를 반환하거나 적재부로 수납할 경우 상기 일시집적부에 집적된 매체 사이에 적재된 분리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납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승인된 매체가 없으면, 상기 일시집적된 모든 매체를 수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수납방법.
  12. 삭제
KR1020080098764A 2008-10-08 2008-10-08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KR10102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4A KR101022427B1 (ko) 2008-10-08 2008-10-08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4A KR101022427B1 (ko) 2008-10-08 2008-10-08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95A KR20100039695A (ko) 2010-04-16
KR101022427B1 true KR101022427B1 (ko) 2011-03-15

Family

ID=4221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64A KR101022427B1 (ko) 2008-10-08 2008-10-08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4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026A (ko) * 1997-09-10 1999-04-06 구자홍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방법
KR100266366B1 (ko) 1997-09-09 2000-09-15 구자홍 지로용지 처리장치
KR200261830Y1 (ko) 2001-10-27 2002-01-24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KR20040033148A (ko) * 2002-10-11 2004-04-21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및 그 수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366B1 (ko) 1997-09-09 2000-09-15 구자홍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9990025026A (ko) * 1997-09-10 1999-04-06 구자홍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방법
KR200261830Y1 (ko) 2001-10-27 2002-01-24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KR20040033148A (ko) * 2002-10-11 2004-04-21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및 그 수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95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112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390604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처리 방법
WO2011065050A1 (ja) 紙幣入出金機
JP2009205252A (ja) 紙葉搬送機構及び紙葉取り扱い装置
JP6052059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US20130015036A1 (en) Money handling system and money handling method
JP6165652B2 (ja) 紙葉類入出装置
JP2012068794A (ja) 自動取引装置
RU2682578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KR100834460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처리방법
JP2015022615A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395632B2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取扱方法
KR101022427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매체수납방법
KR101011914B1 (ko) 리라이터블 카드의 선입선출 관리가 가능한 게임용 카드 처리장치
US20220012973A1 (en) Transaction device
KR10072287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의 현금회수방법
JP7052470B2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媒体取引装置
KR101880453B1 (ko) 금융 기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326545B1 (ko) 통장 발행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2367011A (ja) 紙幣取扱装置
WO2023288337A1 (en) Dual use of a recycling drum for recycling banknotes in regular operation and storing banknotes during feeding operation
WO2020059254A1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システム
KR101932189B1 (ko)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