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421B1 -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21B1
KR100587421B1 KR1020040016268A KR20040016268A KR100587421B1 KR 100587421 B1 KR100587421 B1 KR 100587421B1 KR 1020040016268 A KR1020040016268 A KR 1020040016268A KR 20040016268 A KR20040016268 A KR 20040016268A KR 100587421 B1 KR100587421 B1 KR 10058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line
escrow
media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150A (ko
Inventor
서정용
Original Assignee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2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F19/2055Anti-skimming aspects at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16Handling flexible sheets, e.g. cheq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 등의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하기 위한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처리기의 트랙은 한장의 매체를 세워서 수용하는 제1 위치, 매체가 배출되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를 연결하는 불연속의 서킷라인과, 서킷라인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매체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매체를 적층하여 다수장의 매체들을 수용하는 에스크로라인을 갖는다. 또한, 서킷라인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제3 위치와 에스크로라인중 어느 하나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서킷라인과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피딩장치와, 에스크로라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이송할 수 있도록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에스크로피딩장치와,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획득장치와,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한장의 수표를 수직하게 세워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고, 수표로부터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출력하며, 수표로부터 그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한다. 수표의 데이터를 온라인처리하여 정상수표이면 에스크로라인으로 이송하여 수용하고, 오류수표이면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에스크로라인에 수용되어 있는 수표들을 한장씩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중 어느 하나로 이송한다.

Description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A}
도 1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 의하여 처리하는 매체의 일례로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로딩장치와 스탠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로딩장치와 스탠딩장치의 하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로딩장치와 스탠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로딩장치와 스탠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트랙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트랙, 메인피딩장치의 제1 내지 제12 롤피드, 에스크로피딩장치의 푸시휠, 제1 및 제2 롤피드, 제1 및 제2 셀렉터의 게이트, 프린터와 스탬퍼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메인피딩장치의 메인피딩모터, 벨트전동장 치와 에스크로피딩장치의 에스크로피딩모터, 벨트전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메인피딩장치의 제1 내지 제4 롤피드, 제12 롤피드, 제1 셀렉터, 자기잉크문자판독기, 프린터, 스탬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메인피딩장치의 제5 및 제6 롤피드, 제1 셀렉터,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메인피딩장치의 제7 내지 10 롤피드, 제2 셀렉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서 메인피딩장치의 제10 및 제11 롤피드, 에스크로피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 의하여 처리하는 매체의 예로 다수장의 수표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1-n: 수표 1-1′, 1-2′: 정상수표
1-3′, 1-n′: 오류수표 10: 현금자동입출금기
15: 중앙처리장치 17: 호스트컴퓨터
20: 매체처리기 30: 프레임
31: 베이스플레이트 32: 좌측플레이트
33: 우측플레이트 40: 투입가이더
50: 로딩장치 51: 수평트랙
52: 제1 롤피드 52a: 피드롤러
52b: 아이들롤러 53: 제2 롤피드
53a: 피드롤러 53b: 세퍼레이션롤러
54: 로딩모터 55: 벨트전동장치
60: 스탠딩장치 61: 수직트랙
62: 롤피드 63: 푸시휠
64: 스탠딩모터 65: 벨트전동장치
70: 트랙 71: 서킷라인
71a∼75d: 제1 내지 제5 직선구간 76: 에스크로라인
82: 아웃렛라인 90: 제1 셀렉터
92: 게이트 93: 액츄에이터
95: 제2 셀렉터 97: 게이트
98: 액츄에이터 100: 메인피딩장치
101∼112: 제1 내지 제12 롤피드 101a∼112a: 피드롤러
101b∼112b: 아이들롤러 113: 메인피딩모터
120: 벨트전동장치 130: 레버
135: 브래킷 140: 무빙유닛
141: 무빙바 141a, 141b: 캠그루브
142: 액츄에이터 150: 에스크로피딩장치
151: 푸시휠 152: 제1 피드롤
152a: 피드롤러 152b: 아이들롤러
153: 제2 피드롤 153a: 피드롤러
153b: 세퍼레이션롤러 154: 에스크로피딩모터
155: 벨트전동장치 160: 무빙유닛
161: 레버 163: 액츄에이터
170: 프린터 171: 플래튼
180: 스탬퍼 181: 스탬프
182: 액츄에이터 190: 데이터획득장치
200: 자기잉크문자판독기 201: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
210: 제1 이미지센서 220: 제2 이미지센서
230: 컨트롤러 240∼251: 제1 내지 제12 포토커플러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본 발명은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표 등의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하기 위한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표, 광학마크판독기카드(Optical Mark Reader, OMR card), 투표용지, 바코드시트(Bar code sheet) 등의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인식(Recognition), 마크, 바코드 등을 판독하여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매체처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매체의 일례로 우리나라의 은행에서 발행하는 수표의 앞면에는 금액, 지급지, 발행지, 발행 번호 및 연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정보는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의 규정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표의 앞면 하단에 자기잉크문자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수표의 뒷면에는 거래자가 배서할 수 있는 서명란이 표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수표는 동일한 크기로 발행하고 있으며, 수표의 크기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한편으로,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은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자기잉크문자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에 의하여 판독하고, 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판독되는 데이터는 온라인시스템을 통하여 은행의 호스트컴퓨터로 전송한다. 은행의 호스트컴퓨터는 현금자동입출금기로부터 전송되는 테이터에 의하여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전송하여 거래자가 요청한 수표의 은행거래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수표의 입금을 처리하기 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43207호의 수표입출금처리장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통하여 한장의 수표를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수표는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고, 이송되는 수표로부터 그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터와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수표의 뒷면에 배서를 실시한 후, 이미지데이터와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하여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여 수표의 입금을 처리하거나 거부한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43207호의 수표입출금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본체의 입구를 통하여 한장의 수표를 투입시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장의 수표를 입금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입금이 거부되어 사용자에게 반환되는 수표에도 프린터에 의하여 배서가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표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투입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익식과 자기잉크문자판독기 사이에 위치오차가 발생되며, 이 위치오차에 의하여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을 판독하는데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56395호의 수표입출금처리장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통하여 다수장의 수표들을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수표들 중 한장을 이송하면서 수표의 뒷면에 배서를 한 후,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을 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판독하여 수표의 진위를 판별한다. 그리고 수표가 정상수표이면 일시집적부에 이송하고, 오류수표이면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도록 접객부로 이송한다. 투입된 수표들이 모두 처리되면, 입금모드의 실행에 따라 정상수표에 대한 입금과 오류수표에 대한 반환을 실행한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56395호의 수표입출금처리장치는, 수표의 투입으로부터 입금에 이르는 수표의 이송거리가 상당히 길게 설계되어 현금자동입출금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에 지장을 초래하고, 설계자유도를 크게 제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금이 거부되어 사용자에게 반환되는 오류수표에도 프린터에 의하여 배서가 이루어지므로, 프린터가 불필요하게 동작되어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낭비시간(Dead time)의 발생으로 수표를 처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운전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표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이송에 따라 자기잉크문자익식과 자기잉크문자판독기 사이에 발생하는 위치오차에 의하여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하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입되는 다수장의 매체들의 진위를 판독하여 정상매체와 오류매체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입되는 다수장의 매체들중 오류가 있는 매체들을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이송하여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이송을 위한 트랙상에서 다수장의 매체들중 정상매체를 바이패스시켜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처리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상매체에 대해서만 프린팅과 스탬핑 등 요구되는 일련의 동작을 실시하므로, 불필요한 동작의 실시에 의한 수명의 단축과 낭비시간을 제거하여 운전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적층되어 투입되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로딩하는 로딩수단과; 로딩수단의 하류에 설치되며,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한장의 매체를 인수하여 수직하게 세워 로딩하는 스탠딩수단과;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스탠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한장의 매체를 수용하는 제1 위치, 한장의 매체를 배출하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연결하는 불연속의 서킷라인과, 서킷라인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한장의 매체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한장의 매체를 적층하여 수용하는 에스크로라인을 갖는 트랙과; 서킷라인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제3 위치와 에스크로라인중 어느 하나로 한장의 매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서킷라인과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12 롤피드를 갖는 메인피딩수단과; 에스크로라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이송할 수 있도록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롤피드와 제2 롤피드를 갖는 에스크로피딩수단과;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한장의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서킷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데이터획득수단과; 로딩수단, 스탠딩수단, 메인피딩수단, 에스크로피딩수단과 데이터획득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매체처리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수장의 수표들을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와; 다수장의 수표들중 최하층 수표를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하는 단계와;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첫번째 수표를 스탠딩수단에 의하여 수직하게 세워 서킷라인의 제1 위치에 로딩하는 단계와; 서킷라인을 따라 첫번째 수표를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첫번째 수표로부터 그 자기잉크문자인식을 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판독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첫번째 수표로부터 그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터를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획득하는 단계와; 자기잉크문자판독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 전송하여 온라인처리하는 단계와;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 의한 온라인처리의 결과 첫번째 수표가 정상수표이면 서킷라인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바이패스되어 있는 에스크로라인으로 첫번째 수표를 이송하여 수용하는 단계와; 첫번째 수표가 오류수표이면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로딩수단에 투입되어 있는 나머지 수표들에 대하여 마지막 수표까지 이미지데이터의 처리,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 출력과 온라인처리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도록 에스크로라인과 제2 위치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는 단계와; 에스크로라인에 수용되어 있는 다수장의 정상수표들을 에스크로로딩수단과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한장씩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매체처리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매체의 일례로 수표의 입금을 처리하기 위한 통상적인 현금자동입출금기(10)가 도시되어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10)는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 계좌 이체, 잔고 조회, 통장 기장 등 일련의 은행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은행, 우체국, 편의점 등의 여러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10)는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11)를 갖추고 있다. 본체(1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은행거래에 수반되는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12)과, 수표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3)에 의하여 여닫히는 투입/인출구(14)가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본체(11)에 내장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15)는 네트워크(16)를 통하여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7)와 온라인시스템으로 네트워킹되어 있고, 호스트컴퓨터(17)는 현금자동입출금기(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온라인처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은행거래를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명령을 중앙처리장치(15)에 전송한다.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중앙처리장치(15)는 호스트컴퓨터(17)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은행거래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현금자동입출금기(10)와 호스트컴퓨터(17)의 구성 및 작용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본체(11)에 내장되어 있으며, 매체처리기(20)의 전방은 투입/인출구 (14)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매체처리기(20)의 프레임(30)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3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31)의 전방에 양립되어 있는 좌우측플레이트(32, 33)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플레이트(32, 33)는 좌우측서포트브래킷(34, 35)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측플레이트(32, 33)의 전방에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투입/인출구(14)를 통하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투입가이더(Input guider: 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투입가이더(40)의 투입구(41)를 통해서 다수장의 수표(1; 1-1∼1-n)들을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할 수 있다. 투입가이더(40)는 좌우측에 수표(1)들의 양단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사이드월 (Side wall: 42)이 형성되어 있는 보텀플레이트(Bottom plate: 43)와, 보텀플레이트(43)의 상면 후방에는 투입구(41)의 상방을 차단하는 루프(Roof: 44)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가이더(40)의 하부에는 투입/인출구(1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수표(1)들을 반환할 수 있는 인출공간(4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수표(1)의 앞면에는 금액, 지급지, 발행지, 발행 번호 및 연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표(1)의 앞면 하단에 자기잉크문자인식이 길이방향을 따라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수표(1)의 뒷면에는 거래자가 서명할 수 있는 서명란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투입가이더(40)를 통하여 수평으로 투입되는 다 수장의 수표(1)들을 이송하는 로딩장치(Loading device: 50)를 구비한다. 로딩장치 (50)는 수표(1)들의 투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투입가이더(40)의 투입구(41)와 동일한 수평평면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는 수평트랙(Horizontal track: 51)과, 수평트랙(51)의 상류에 장착되어 있으며 다수장의 수표(1)들을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Feed roller: 52a)와 아이들롤러(Idle roller: 52b)를 갖는 제1 롤피드(Roll feed: 52)와, 제1 롤피드(52)의 하류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롤피드(52)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장의 수표(1)들중 한장의 수표(1)를 이송할 수 있는 피드롤러(53a)와 세퍼레이션롤러(Separation roller: 53b)를 갖는 제2 롤피드(5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는 좌우측플레이트(32, 3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축(52c)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이들롤러(52b)는 좌우측플레이트(32, 33)의 가이드슬롯(Guide slot: 32a, 33a)에 회전 및 승강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축(52d)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축(52c)과 제2 축(52d)은 평행하며, 제2 축(52d)의 양단은 통상적인 스프링수단으로 코일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제1 축(52c)을 향하도록 바이어스(Bias)되어 있다. 제2 축(52d)의 바이어스에 의하여 아이들롤러(52b)는 피드롤러(52a)에 항상 접촉하고,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 사이에 수표(1)들이 개재될 때 제2 축(52d)은 좌우측플레이트(32, 33)의 가이드슬롯(32a, 33a)을 따라 상승하여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 사이로 수표(1)들의 진입을 허용한다. 피드롤러(52a)와 제1 축(52c) 사이에는 피드롤러(52a)가 항상 수표(1)들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원웨이클러치베어링(52e)이 장착되어 있다.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와 제2 롤피드(53)의 피드롤러(53a)는 그 상단이 동일한 수평평면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있으며, 피드롤러(53a)는 좌우측플레이트(32, 3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3 축(53c)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롤피드(53)의 세퍼레이션롤러(53b)는 제3 축(53c)과 평행한 제4 축(53d)에 장착되어 있다. 제4 축(53d)의 양단은 브래킷(53e)에 고정되어 있으며, 브래킷(53e)은 제5 축(53f)에 의하여 좌우측플레이트(32, 33)에 고정되어 있다. 제5 축(53f)은 통상적인 스프링수단으로 코일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세퍼레이션롤러(53b)가 피드롤러(53a)에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제4 축(53d)은 수표(1)의 캠과 링케이지(Linkage)에 의하여 수표(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간헐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도 있다.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 (52b)의 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1)들중 최하층 수표(1-1)는 피드롤러(53a)와 세퍼레이션롤러(53b) 사이로 진입되고, 나머지 수표(1-2∼1-n)들의 선단은 고정 또는 수표(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간헐회전하는 세퍼레이션롤러(53b)에 걸려 이송이 저지된다. 도 3과 도 4에는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 아이들롤러 (52b)와 제2 롤피드(53)의 피드롤러(53a), 세퍼레이션롤러(53b) 모두는 수표(1)의 양측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두개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 아이들롤러(52b)와 제2 롤피드(53)의 피드롤러 (53a)와 세퍼레이션롤러(53b)의 갯수 및 위치는 매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와 제2 롤피드(52)의 피드롤러(53a)는 모터(5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로딩모터 (54)는 좌측플레이트(32)에 장착되어 있다. 로딩모터(5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 (55)에 의하여 제1 축(52c)과 제3 축(53c)에 각각 전달된다. 벨트전동장치(55)는 로딩모터(54)의 축(54a)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55a)와, 제1 축(52c)과 제3 축 (53c)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종동풀리(55b, 55c)와, 원동풀리(55a)와 제1 및 제2 종동풀리(55b, 55c)에 감아 걸리는 벨트(55d)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로딩장치(50)에 의하여 이송되는 한장의 수표(1)를 인수하여 수직하게 세워서 로딩하는 스탠딩장치(Standing device: 60)를 구비한다. 스탠딩장치(60)는 수평트랙(51)을 통과하는 수표(1)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수평트랙(51)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수직트랙(Vertical track: 61)과, 수직트랙(61)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으며 수표(1)를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62a)와 아이들롤러(62b)를 갖는 롤피드(62)와, 수직트랙(61)의 출구를 통과하는 수표(1)를 밀어 하강시키는 복수의 푸시휠(Push wheel: 63)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트랙(61)의 상류에는 수직트랙(61)의 입구와 수평트랙(51)의 출구를 연결하는 라운드구간(Round section: 61a)이 형성되어 있다. 피드롤러(62a)는 좌우측플레이트(32, 3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축(62c)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이들롤러(62b)는 제2 축(63d)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축(62d)의 양단은 레버(62e)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레버 (62e)는 제3 축(62f)에 장착되어 있다. 제3 축(62f)은 통상적인 스프링수단의 탄성 력에 의하여 아이들롤러(62b)가 피드롤러(62a)에 항상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도 4에는 네개의 피드롤러(62a)가 도시되어 있으며, 아이들롤러(62b)는 피드롤러(62a)와 동일한 갯수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롤러(62a)와 아이들롤러 (62b)의 갯수와 위치는 매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푸시휠(63)들의 보스(63a)는 좌우측서포트브래킷(34, 35)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4 축(63b)에 장착되어 있다. 푸시휠(63)들의 보스(63a)에는 수표(1)의 표면에 접촉하여 수표(1)를 탄성변형에 의하여 밀어주는 복수의 탄성플랩(Elasticity flap: 63c)들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플랩(63c)들은 수표(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푸시휠(63)들의 탄성플랩(63c)들에 의하여 밀려 하강하는 수표(1)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지지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피드(64)의 피드롤러(62a)와 푸시휠(63)은 스탠딩모터(6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스탠딩모터(64)는 우측플레이트(35)에 장착되어 있다. 스탠딩모터(6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65)에 의하여 제1 축(62c)과 제4 축(63b)에 각각 전달된다. 벨트전동장치(65)는 스탠딩모터(64)의 축(64a)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65a)와, 제1 축(62c)과 제4 축(63b)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종동풀리(65b, 65c)와, 원동풀리(65a)와 제1 및 제2 종동풀리(65b, 65c)에 감아 걸리는 벨트(65d)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스탠딩장치(60)에 의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표(1)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 (3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트랙(Track: 70)을 구비한다. 트랙(70)은 불연속의 서킷라인(Circuit line: 71)을 가지며, 서킷라인(71)은 수표(1)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는 인사이드월(Inside wall: 72)과 아웃사이드월(73)로 구성되어 있다. 인사이드월(72)과 아웃사이드월(73)은 세워져 있는 수표(1)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설계되어 있다. 서킷라인(71)은 제1 내지 제5 직선구간(71a∼71e)을 가지며, 제1 내지 제4 직선구간(71a∼71d)의 코너는 제1 내지 제4 라운드구간(74a∼74d)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킷라인(71)의 제1 직선구간(71a), 제3 직선구간(71c)과 제5 직선구간(71e)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며, 제2 직선구간(71b)과 제4 직선구간(71d)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다. 제1 직선구간(71a)은 스탠딩장치 (60)에 의하여 세워지는 수표(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트랙(61)의 출구와 정렬되어 있으며 트랙(70)의 서킷라인(71)에서 수표(1)의 이송이 개시되는 제1 위치 (P1)가 된다. 제5 직선구간(71e)의 끝에는 인출공간(45)과 연결되는 제1 출구(75)가 형성되어 있고, 인출공간(45)은 트랙(70)에서 수표(1)를 배출하기 위하여 서킷라인(71)에 연결되는 제2 위치(P2)가 된다.
트랙(70)의 에스크로라인(Escrow line: 76)은 서킷라인(71)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수표(1)를 바이패스(Bypass)시키며 서킷라인(71)의 하류로부터 바이패스되는 수표(1)를 차례로 적층하여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서킷라인(71)과 에스크로라인 (76)의 분기지점(76a)은 제4 직선구간(71d)의 대략 중앙이며 합류지점(76b)은 제2 직선구간(71b)의 상류로부터 대략 1/3 지점이다. 에스크로라인(76)은 상류의 분기지점(76a)으로부터 수표(1)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월(Guide wall: 77)과, 다수장의 수표(1)들이 적층되어 놓여지는 일시수용공간(76c)을 형성하도록 가이드월 (7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서포트월(Support wall: 78)과, 가이드월(77)과 서포트월(78)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일시수용공간(76c)으로 도입되는 수표(1)의 선단이 집속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펀넬월(79a, 79b)과, 제1 및 제2 펀넬월(79a, 79b)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에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평행월(80a, 80b)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월(77)의 상류에는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과 연결되는 라운드구간(7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행월(80a, 80b)의 하류에는 제2 직선구간(71b)과 에스크로라인(76)의 합류지점(76b)을 형성하는 경사월(81a, 81b)이 연장되어 있으며, 경사월(81a, 81b)은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을 경유하는 수표(1)가 에스크로라인(76)으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수표(1)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월(81a, 81b)은 평행월(80a, 80b)의 끝단으로부터 제2 직선구간(71b)에 합류되도록 연장되는 라운드월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트랙(70)의 아웃렛라인(Outlet line: 82)은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수표(1)들을 서킷라인(71)을 경유하여 한장씩 차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제2 직선구간(71b)과 아웃렛라인(82)의 분기지점(82a)은 제2 직선구간(71b)과 제2 라운드구간(74b)이 합류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아웃렛라인(82)의 끝에는 제2 출구(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출구(83)는 수표(1)들을 저장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통상적인 스토리지 (Storage)에 연결된다. 아웃렛라인(82)의 제2 출구(83)와 연결되는 스토리지는 트랙(70)에서 수표(1)를 배출하기 위하여 서킷라인(71)에 연결되는 제3 위치(P3)가 된다.
도 8,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서킷라인(71)과 에스크로라인(76)의 분기지점(76a)에 설치되는 제1 셀렉터(Selector: 90)를 구비하며, 제1 셀렉터(90)는 한장의 수표(1)가 서킷라인(71)의 제5 직선구간(71e)과 에스크로라인(76) 중 어느 하나로 이송되도록 수표(1)의 이송방향을 결정한다. 제1 셀렉터(90)는 베이스플레이트(31)에 피봇(9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게이트(Gate: 92)와, 베이스플레이트(31)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고 피봇 (92)을 중심으로 게이트(9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게이트(92)의 한쪽에 로드(93a)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Actuator: 93)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을 이루는 게이트(92)의 한 변은 평면(92a)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변은 곡면(92b)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92)의 평면(92a)이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에스크로라인(76)은 차단되며, 수표(1)는 제4 직선구간(71d)을 따라 제5 직선구간(71e)으로 가이드된다. 게이트(92)의 곡면(92b)이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을 차단하면, 제4 직선구간(71d)을 따라 이송되던 수표(1)는 곡면(92b)을 따라 에스크로라인(76)으로 가이드된다. 한편, 곡면 (92b, 97b) 각각의 곡률은 수표(1)의 이송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2 라운드구간(72b)과 라운드구간(77a)의 곡률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다.
도 8,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서킷라인(71)과 아웃렛라인(82)의 분기지점(82a)에 설치되는 제2 셀렉터(95)를 구비하며, 제2 셀렉터(95)는 한장의 수표(1)가 서킷라인(71)의 제3 직선구간(71c)와 아웃렛라인 (82) 중 어느 하나로 이송되도록 수표(1)의 이송방향을 결정한다. 제2 셀렉터(95)의 피봇(96), 게이트(97), 액츄에이터(98)는 제1 셀렉터(90)의 피봇(91), 게이트 (92), 액츄에이터(9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97)의 평면(97a)이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제3 직선구간(71c)은 차단되며, 수표(1)는 제2 직선구간(71b)을 따라 아웃렛라인(82)으로 가이드된다. 게이트 (97)의 곡면(97b)이 아웃렛라인(82)을 차단하면, 제2 직선구간(71b)을 따라 이송되던 수표(1)는 곡면(97b)을 따라 제3 직선구간(71c)으로 가이드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트랙(70)을 따라 수표(1)를 이송하는 메인피딩장치(Feeding device: 100)를 구비한다. 메인피딩장치 (100)는 수표(1)를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101a∼112a)와 아이들롤러 (101b∼112b)를 갖는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와, 제1 내지 제12 롤피드 (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피딩모터(113)와, 메인피딩모터(113)의 구동력을 제1 내지 제12 롤피드 (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1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롤피드(101)와 제2 롤피드(102)의 구성은 동일하며, 제3 롤피드(103)와 제6 롤피드(106)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4 롤피드(104), 제5 롤피드(105), 제6 내지 제10 롤피드(110)와 제12 롤피드(112)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 롤피드(101)와 제2 롤피드(102)는 서킷라인(71)의 제1 직선구간(71a)에 수표(1)의 길이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롤피드(103)와 제4 롤피드(104)는 제2 직선구간(71b) 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5 롤피드(105)와 제6 롤피드(106)는 제3 직선구간(71c)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7 롤피드(107)와 제8 롤피드(108)는 제4 직선구간(71d)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9 롤피드(109)는 제5 직선구간(71e)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0 롤피드(110)와 제11 롤피드(111)는 에스크로라인(76)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12 롤피드(112)는 아웃렛라인(8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는 베이스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축(101c∼112c)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아이들롤러(101b∼112b)는 축(101d∼112d)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피드롤러(101a∼112a)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이들롤러 (101b∼112d)의 운동을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첫번째 메커니즘을 도 10, 도 11과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제3 롤피드(103), 제6 롤피드 (106)와 제11 롤피드(111)에 의하여 살펴보면, 아이들롤러(103b, 106b, 111b)의 축(103d, 106d, 111d)은 레버(13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레버(130)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피봇(1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레버(130)는 코일스프링(1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이들롤러(103b, 106b, 111b)가 피드롤러(103a, 106a, 111a)에 접촉하도록 바이어스시킨다. 두번째 메커니즘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7 내지 제9 롤피드(107∼109)를 예로 들면, 제7 내지 제9 롤피드(107∼109) 각각의 아이들롤러(107b∼109b)의 축(107d∼109d)은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브래킷(135)의 가이드슬롯(136)에 운동할 수 있도록 끼우고, 축(107d∼109d)에 스프링수단으로 토션스프링(137)을 장착하여 아이들롤러(107b∼109b)가 피드롤러(112a)에 접촉하도록 바이어스시킨다. 브래킷 (135)의 가이드슬롯(136)은 베이스플레이트(31)에 동일하게 형성하고, 베이스플레이트(31)의 가이드슬롯에는 축(107d∼109d)의 하단을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번째 메커니즘의 브래킷(135), 가이드슬롯(136), 토션스프링(137)은 제1 롤피드 (101), 제2 롤피드(102), 제4 롤피드(104), 제5 롤피드(105), 제10 내지 제12 롤피드(110∼112)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인피딩모터(11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120)는 메인피딩모터(113)의 축(113a)에 장착되는 원동더블풀리(Driving double pulley: 121)와, 제11 롤피드(111)의 축(111c)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더블풀리(122)와, 제1 내지 제10 롤피드(101∼110)의 축(101c∼111c)과 제12 롤피드(112)의 축(112c)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11 종동풀리(123a∼123k)를 갖는다. 원동더블풀리(121)와 종동더블풀리(122)는 두개의 풀리가 메인피딩모터(113)의 축(113a)과 제11 롤피드(111)의 축(111c) 각각에 상하로 장착된 것이며, 이 원동더블풀리(121)와 종동더블풀리(122)에는 두개의 벨트를 서로 간섭 없이 감아 걸 수 있다.
벨트전동장치(120)의 제1 벨트(124)는 원동더블풀리(121)로부터 제6 종동풀리(123f), 제7 종동풀리(123g), 제8 종동풀리(123h), 제10 종동풀리(123j), 제9 종동풀리(123i), 제1 종동풀리(123a), 제2 종동풀리(123b), 종동더블풀리(122)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감아 걸린다. 원동더블풀리(121)와 종동더블풀리(122) 사이에 배 치되어 있는 제1 가이드풀리(125a), 원동더블풀리(121)와 제6 종동풀리(123f)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가이드풀리(125b), 제1 종동풀리(123a)와 제9 종동풀리 (123i)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가이드풀리(125c), 그리고 제9 종동풀리(123i)와 제10 종동풀리(123j)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4 가이드풀리(125d)는 제1 벨트(124)의 주행을 원활하게 가이드한다.
벨트전동장치(120)의 제2 벨트(126)는 종동더블풀리(122), 제3 종동풀리 (123c), 제4 종동풀리(123d), 제11 종동풀리(123k), 제5 종동풀리(123e)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감아 걸린다. 제4 종동풀리(123d)와 제11 종동풀리(123k)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5 가이드롤러(127a), 제5 종동풀리(123e)와 제2 종동더블풀리(1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6 가이드롤러(127b)는 제2 벨트(126)의 주행을 원활하게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메인피딩모터(113)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120)에 의하여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에 전달되므로,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와 아이들롤러 (101b∼112b)에 의하여 트랙(70)을 따라 한장의 수표(1)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롤피드(101, 102) 각각의 피드롤러(101a, 102a)와 아이들롤러(101b, 102b)는 스탠딩장치(60)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1)가 개재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대기된다. 아이들롤러(101b, 102b)는 수표(1)의 이송시 무빙유닛(Moving unit: 140)의 작동에 의하여 피드롤러(101a, 102b)에 접촉한다. 무빙유닛(140)은 제1 직선구간(71a)과 평행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 (31)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이들롤러(101b, 102b)의 축(101d, 102d)이 끼워지는 캠그루브(Cam groove: 141a, 141b)를 갖는 무빙바(Moving bar: 141)와,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장착되며 무빙바(141)를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42)로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42)의 로드(142a)는 무빙바(141)의 좌측단에 연결되어 있다.
도 1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스크로라인(76)의 하류에 배치되어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수표(1)들을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 (71b)으로 한장씩 차례로 이송하는 에스크로피딩장치(150)를 구비한다. 에스크로피딩장치(150)는 에스크로라인(76)의 일시수용공간(76c)과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피딩장치(100)의 메인피딩모터(113)에 의하여 회전하는 푸시휠(151)과, 푸시휠(151)의 하류에 장착되어 있고 에스크로라인(76)의 일시수용공간(76a)에 수용되어 있는 다수장의 수표(1)들을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152a)와 아이들롤러 (152b)를 갖는 제1 롤피드(152)와, 제1 롤피드(152)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롤피드(152)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장의 수표(1)들중 한장의 수표(1)를 이송할 수 있는 피드롤러(153a)와 세퍼레이션롤러(153b)를 갖는 제2 롤피드(153)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9와 도 13을 참조하면, 푸시휠(151)의 보스(151a)는 베이스플레이트(31)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축(151b)에 장착되어 있다. 푸시휠(151)의 보스(151a)에는 수표(1)의 표면에 접촉하여 수표(1)를 탄성변형에 의하여 밀어주는 복수의 탄성플랩(151c)들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플랩(151c)들은 수표(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휠(151)의 축(151b)에는 벨트전 동장치(120)의 제1 벨트(124)에 감아 걸리는 종동풀리(151d)가 장착되어 있다. 푸시휠(151)의 탄성플랩(151c)들에 의하여 밀려나는 수표(1)는 제2 평행월(80b)에 지지된다.
제1 롤피드(152)의 피드롤러(152a)는 베이스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제1 축(152c)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이들롤러(152b)는 제2 축(152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롤피드(152)의 아이들롤러(152b)는 무빙유닛 (160)에 의하여 피드롤러(152a)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운동한다. 무빙유닛 (160)은 아이들롤러(152b)의 제2 축(152d)이 회전 및 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가이드슬롯(161a)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31)의 피봇(1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레버(161)와, 피봇(162)을 중심으로 레버(161)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163)로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6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63)의 로드(163a)는 레버(161)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롤피드(152)의 아이들롤러(152b)는 에스크로라인(76)의 일시수용공간 (76b)을 통과하는 수표(1)가 개재될 수 있도록 피드롤러(152a)로부터 이격되어 대기된다.
제2 롤피드(153)의 피드롤러(153b)는 베이스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제3 축(153c)에 장착되어 있고, 세퍼레이션롤러(153b)는 제4 축(153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4 축(153d)은 레버(153e)에 장착되어 있으며, 레버(153e)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피봇(153f)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레버(153e)는 코일스프링(153g)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세퍼레이션롤 러(153b)가 피드롤러(153b)에 항상 접촉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제1 롤피드 (152)의 피드롤러(152a)와 아이들롤러(152b)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1)들중 최하층 수표(1-1)는 제2 롤피드(153)의 피드롤러(153a)와 세퍼레이션롤러(153b) 사이로 진입되고, 나머지 수표(1)들의 선단은 세퍼레이션롤러(153b)에 걸려 이송이 저지된다.
도 9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롤피드(152)의 피드롤러(152a)와 제2 롤피드 (153)의 피드롤러(153a)는 에스크로피딩모터(15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에스크로피딩모터(154)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에스크로피딩모터(15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155)에 의하여 제1 축(152c)과 제3 축(153c)에 각각 전달된다. 벨트전동장치(155)는 에스크로피딩모터(154)의 축(154a)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155a)와, 제1 축(152c)과 제4 축(153c)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종동풀리(155b, 155c)와, 원동풀리(155a)와 제1 및 제2 종동풀리(155b, 155c)에 감아 걸리는 벨트 (155d)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트랙(70)의 에스크로라인(76)을 경유하는 한장의 수표(1)의 뒷면에 은행, 입금일 등 일련의 데이터를 프린팅할 수 있도록 제2 직선구간(71b)과 근접하는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 (31)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170)와, 프린터(170)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31)에 설치되어 있으며 프린터(170)에 의한 프린팅을 마친 수표(1)의 앞면에 은행 담당자의 스탬프 등 일련의 데이터를 스탱핑을 하는 스탬퍼(Stamper: 180)를 구비한다. 프린터(170)는 잉크젯프린터나 도트프린터로 구성할 수 있다. 프린터 (170)의 반대방향에는 프린터(170)에 대하여 수표(1)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축(17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래튼(Platen: 171)이 장착되어 있으며, 플래튼 (171)의 축(171a)에는 벨트전동장치(120)의 제2 벨트(126)가 감아 걸리는 풀리 (172)가 장착되어 있다. 스탬퍼(180)는 수표(1)의 앞면을 실질적으로 날인하는 스탬프(181)와, 스탬프(18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탬프(181)의 후면에 로드(182a)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182)로 구성되어 있다. 스탬퍼(180)의 스탬프(181)는 1회의 잉크를 잉크패드에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수백 내지 수천 회의 날인을 실시할 수 있는 셀프잉킹스탬프(Self-inking stamp)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한장의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획득장치(190)를 구비한다. 데이터획득장치(190)는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으로 진입되는 수표(1)로부터 그 자기잉크문자인식을 판독하여 출력하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200)와, 서킷라인(71) 제3 직선구간(71c)을 경유하는 한장의 수표(1)로부터 그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터를 각각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 각각은 레버(211, 22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레버(211, 221) 각각은 베이스플레이트 (31)를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축(212, 2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레버(212, 22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축(212, 222)에는 수표(1)를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 각각에 밀착시키는 아이들롤러 (213, 2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레버(211, 221)는 코일스프링(214, 224)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 각각에 아이들롤러 (213, 223)가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222)은 메인피딩장치(100)의 메인피딩모터(113)와 벨트전동장치(12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벨트전동장치(120)의 제1 벨트(124)가 감아 걸리는 풀리 (222a)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축(222)의 회전력은 통상적인 기어트레인(Gear train)에 의하여 축(21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롤러(213, 223) 각각은 수표 (1)를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에 밀착시키며,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 (210, 220)에 의하여 수표(1)의 이미지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의 하류에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190)와 동일한 구성의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201)를 구비한다.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 (201)는 수표(1)에 규정에 맞도록 기록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인식을 벗어나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인식를 판독하며, 이 체크자기인자문자판독기 (201)에 의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이 판독되는 수표는 위조수표이다. 한편, 데이터획득장치(190)는 매체가 광학마크판독기카드나 투표용지인 경우에 통상적인 광학마크판독기, 이미지센서, 스캐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코드시트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바코드스캐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매체처리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230)는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처리하고, 자기잉크문자판독기(200, 20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7)와 연계하여 온라인처리한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로딩장치(50)의 로딩모터(54), 스탠딩장치(60)의 스탠딩모터(64), 제1 및 제2 셀렉터(90, 95)의 액츄에이터(92, 97), 메인피딩장치(100)의 메인피딩모터(113), 무빙유닛(140)의 액츄에이터(142), 에스크로피딩장치(150)의 에스크로피딩모터(154), 무빙유닛(160)의 액츄에이터(163), 프린터 (170), 스탬퍼(180)의 액츄에이터(182), 자기잉크문자판독기(200),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201)와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2 내지 도 6,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20)는 매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하는 감지수단으로 제1 내지 제12 포토커플러(Photocoupler: 240∼251)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11 포토커플러 (240∼250) 각각은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소자(251)와, 발광소자(251)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하는 수광소자(25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포토커플러(240∼242)는 수표(1)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두개가 사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포토커플러(240)는 투입가이더(40)와 로딩장치(50)의 제1 롤피드(52) 사이에 설치되어 수표(1)의 투입을 감지하며, 제2 포토커플러(241)는 스탠딩장치(60)의 롤피드(62)의 하류와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수표(1)의 로딩을 감지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포토커플러(242)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1 및 제2 롤피드 (101, 102)와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롤피드(101, 102)의 피드롤러 (101a, 102a)와 아이들롤러(101b, 102b) 사이에 로딩되는 수표(1)를 감지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포토커플러(243)는 메인피딩장치 (100)의 제3 롤피드(103)의 상류에 근접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5 포토커플러(244)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5 롤피드(105)를 지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6 포토커플러(245)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6 피드롤러(106)의 상류에 근접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7 포토커플러(246)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7 롤피드(107)의 하류와 제1 셀렉터(9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셀렉터(90)의 상류에 근접하는 수표(1)를 감지한다. 제8 포토커플러(247)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9 롤피드(109)의 상류에 근접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9 포토커플러(248)는 메인피딩장치 (100)의 제10 롤피드(110)의 상류에 근접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10 포토커플러(249)는 메인피딩장치(100)의 제11 롤피드(111)를 지나는 수표 (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1 포토커플러(150)는 메인피딩장치 (100)의 제12 롤피드 (112)를 지나는 수표(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매체처리기에 의하여 도 14a 내지 도 14c에 나타낸 매체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터치스크린(12)을 조작하여 수표입금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면(S100), 현금자동입출금기 (10)의 도어(13)는 투입/인출구(14)를 개방한다(S10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방되어 있는 투입/인출구(14)를 통하여 매체처리기(20)의 투입가이더(40)에 다수장의 수표(1; 1-1∼1-n)들을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한다(S102). 이때, 수표(1)들은 앞면이 위를 향하게 하고 자기잉크문자인식이 투입방향의 선단을 향하게 한다. 수표(1)들의 투입방법은 터치스크린(1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수표(1)들은 열장 정도를 투입할 수 있다. 수표(1)들의 투입이 완료되면,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도어(13)는 투입/인출구(14)를 닫는다.
다음으로, 투입가이더(40)의 투입구(41)를 통하여 투입되는 다수장의 수표들중 최하층 수표(1-1)를 로딩장치(50)에 의하여 로딩한다(S103). 투입가이더(40)의 투입구(41)에 투입되는 수표(1)들은 제1 포토커플러(240)에 의하여 감지되고, 제1 포토커플러(240)의 신호는 컨트롤러(230)에 입력된다. 컨트롤러(230)는 제1 포토커플러(240)의 신호에 따라 로딩장치(50)의 로딩모터(54)를 구동시킨다. 로딩모터 (5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55)에 의하여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와 제2 롤피드(53)의 피드롤러(53a)에 전달된다. 제1 롤피드(52)의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에 의하여 수표(1)들의 이송이 개시되며, 피드롤러(52a)와 아이들롤러(52b)의 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1)들중 최하층 수표(1-1)는 피드롤러 (53a)와 세퍼레이션롤러(53b) 사이로 진입되고, 나머지 수표(1-2∼1-n)들의 선단은 고정 또는 수표(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간헐회전하는 세퍼레이션롤러(53b)에 걸려 이송이 저지된다. 제2 롤피드(53)의 피드롤러(53a)와 세퍼레이션롤러(53b)에 의하여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는 수평트랙(61)을 따라 가이드되어 스탠딩장치(60)의 수직트랙(61)으로 인계된다.
도 2,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스탠딩장치(60)는 로딩장치(50)에 의하여 로딩되는 첫번째 수표(1-1)를 수직하게 세워 서킷라인(71)의 제1 위치(P1)에 로딩한다(S104). 스탠딩장치(60)의 스탠딩모터(64)는 컨트롤러(230)의 제어에 의하여 로딩모터(54)와 동시에 구동되며, 스탠딩모터(6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65)에 의하여 롤피드(62)의 피드롤러(62a)와 푸시휠(63)들에 전달된다. 피드롤러(62a)와 아이들롤러(62b)의 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는 제2 포토커플러 (241)에 의하여 감지되고, 제2 포토커플러(241)의 신호는 컨트롤러(230)에 입력된다. 컨트롤러(230)는 제2 포토커플러(241)의 신호에 따라 무빙유닛(140)의 액츄에이터(142)를 작동시켜 로드(142a)를 후퇴시키며, 후퇴되는 로드(142a)에 의하여 무빙바(141)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운동한다. 무빙바(141)의 운동에 의하여 캠그루브 (141a, 141b)에 축(101d, 102d)이 끼워져 있던 제1 및 제2 롤피드(101, 102)의 아이들롤러(101b, 102b) 각각은 피드롤러(101a, 102a)로부터 이격되어 대기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푸시휠(63)들의 탄성플랩(63c)들은 탄성변형되면서 롤피드(62)의 피드롤러(62a)와 아이들롤러(62b)를 지나는 첫번째 수표(1)를 밀어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첫번째 수표(1-1)는 제1 및 제2 롤피드(101, 102)의 피드롤러(101a, 102a)와 아이들롤러(101b, 102b) 사이로 이송된 후, 서킷라인(71)의 제1 위치(P1)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서킷라인(71)의 제1 위치(P1)에 세워지는 첫번째 수표(1-1)는 제3 포토커플러(242)에 의하여 감지되고, 컨트롤러(230)는 제3 포토커플러(242)의 신호에 따라 로딩장치(50)의 로딩모터(54)와 스탠딩장치(60)의 스탠딩모터(64)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무빙유닛(140)의 액츄에이터(142)를 작동시켜 로드(142a)를 전진시키며, 전진되는 로드(142a)에 의하여 무빙바(141)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운동한다. 무빙바(141)의 운동에 의하여 캠그루브(141a, 141b)에 축 (101d, 102d)이 끼워져 있던 제1 및 제2 롤피드(101, 102)의 아이들롤러(101b, 102b) 각각은 피드롤러(101a, 102a)에 첫번째 수표(1-1)를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첫번째 수표(1-1)는 메인피딩장치(100)에 의하여 서킷라인(71)의 제1 직선구간(71a)으로부터 제4 직선구간(71d)의 상류로 이송한다(S105). 메인피딩장치(100)의 피딩모터(113)가 구동되며, 피딩모터(113)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 (120)에 의하여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와 에스크로피딩장치(150)의 푸시휠(151)에 전달된다. 한장의 수표(1)는 제1 내지 제12 롤피드(101∼112) 각각의 피드롤러(101a∼112a)와 아이들롤러(101b∼112b)의 협동에 의하여 트랙(70)의 서킷라인(71)을 따라 이송된다. 자기잉크문자판독기 (200)는 제3 롤피드(103)의 피드롤러(103a)와 아이들롤러(103b)에 의하여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문자인식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S106). 이때, 제4 포토커플러(243)는 제3 롤피드(103)의 피드롤러(103a)와 아이들롤러(103b)에 의하여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를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도 9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셀렉터(95)의 게이트(97)의 곡면(91b)은 첫번째 수표(1-1)의 이송이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으로부터 제3 직선구간(71c)으로 가이드되도록 아웃렛라인(82)을 차단하고 있다.
도 2,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첫번째 수표(1-1)는 제4 롤피드(104)의 피드롤러(104a)와 아이들롤러(104b), 제5 롤피드(105)의 피드롤러(105a)와 아이들롤러(105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로 이송되고,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는 첫번째 수표(1-1)의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 터를 획득하고, 그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S107). 이때, 제5 포토커플러(244)는 제5 롤피드(105)의 피드롤러(105a)와 아이들롤러(105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로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를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제1 이미지센서(210)의 아이들롤러(213)는 첫번째 수표(1-1)를 제2 이미지센서(220)에 밀착시키며, 제2 이미지센서(220)의 아이들롤러(223)는 첫번째 수표(1-1)를 제1 이미지센서(210)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에 의한 첫번째 수표(1-1)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210, 220)를 지난 첫번째 수표(1-1)는 제6 롤피드(106)의 피드롤러(106a)와 아이들롤러(106b)에 의하여 이송된다. 체크자기인식문자판독기(201)는 첫번째 수표(1-1)에 규정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을 벗어나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비정상의 자기잉크문자인식를 판독하고 비정상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S108). 제6 포토커플러(245)는 제6 롤피드(106)의 피드롤러(106a)와 아이들롤러(106b)에 의하여 이송되는 첫번째 수표(1-1)를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한편, 수표(1)의 하단은 서킷라인 (71)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이송되며, 수표(1)의 하단은 데이터획득장치 (190)의 자기잉크문자판독기(200),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201),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 (210, 220)에 의하여 일련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수표 (1)와 데이터획득장치(190) 간의 위치오차가 방지되므로, 수표(1)로부터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2와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30)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200)의 데이터와 체크자기인식문자판독기(201)의 데이터를 현금자동입출김(10)의 중앙처리장치 (15)에 입력하고, 중앙처리장치(15)는 컨트롤러(230)로부터의 데이터를 네크워크 (16)에 네트워킹되어 있는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7)에 전송한다.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7)는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온라인처리하고(S109), 첫번째 수표(1-1)가 정상수표(1-1′)인가를 판단한다(S110).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7)에 의한 온라인처리의 결과, 첫번째 수표(1-1)가 정상수표(1-1′)로 판단되면, 정상수표(1-1′)는 에스크로라인(76)의 수용공간(76c)으로 이송하여 일시적으로 수용한다(S111).
도 2와 도 1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30)는 첫번째 수표(1-1)가 정상수표(1-1′)로 판단되면, 제1 셀렉터(90)의 액츄에이터(93)를 작동시켜 게이트(92)의 곡면 (92b)이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을 차단하게 한다. 따라서, 메인피딩장치(100)의 제7 피드롤(107)의 피드롤러(107a)와 아이들롤러(107b)에 의하여 이송되는 정상수표(1-1′)는 게이트(92)의 곡면(92b)을 따라 에스크로라인(76)의 상류로 가이드되며, 제10 피드롤(110)의 피드롤러(110a)와 아이들롤러(110b)는 에스크로라인(76)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정상수표(1-1′)를 이송한다. 그리고 제7 포토커플러 (246)는 제7 피드롤(107)의 피드롤러(107a)와 아이들롤러(107b)를 지나 제1 셀렉터 (90)를 향하는 수표(1)의 이송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제9 포토커플러(248)는 제1 셀렉터(90)를 지나 제10 롤피드(110)를 향하는 정상수표(1-1′)의 이송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도 2와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제10 피드롤(110)의 피드롤러(110a)와 아이 들롤러(110b)에 의하여 이송되는 정상수표(1-1′)는 에스크로라인(76)의 가이드월 (77)과 서포트월(78), 제1 및 제2 펀넬월(79a, 79b)을 따라 가이드된다. 메인피딩장치(100)의 메인피딩모터(113)와 벨트전동장치(120)에 의하여 회전하는 푸시휠 (151)의 탄성플랩(151c)들은 탄성변형되면서 제1 및 제2 펀넬월(79a, 79b)을 지나는 정상수표(1-1′)를 밀어 평행월(80a, 80b)을 따라 이송한다. 에스크로피딩장치 (150)의 제1 롤피드(152)의 아이들롤러(152b)는 피드롤러(152a)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2 롤피드(153)의 세퍼레이션롤러(153b)는 피드롤러(153a)에 대하여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푸시휠(151)의 탄성플랩(151c)들에 의하여 밀려 이송하는 정상수표 (1-1′)의 선단은 제1 롤피드(152)의 피드롤러(152a)와 아이들롤러(152b) 사이를 지나 제2 롤피드(153)의 피드롤러(153a)와 세퍼레이션롤러(152b)에 걸려 정지된다.
위의 단계(S110)에서 첫번째 수표(1-1)가 정상수표(1-1′)가 아니면 첫번째 수표(1-1)는 오류수표로 판단하고(S112), 오류수표는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 (71d)과 제5 직선구간(71e)을 통하여 제2 위치(P3), 즉 인출공간(45)으로 이송한다 (S113). 첫번째 수표(1-1)가 에스크로라인(76) 또는 인출공간(45)에 이송된 후, 로딩장치(50)의 수평트랙(51)에 투입되어 있는 나머지 수표(1-2∼1-n)들에 대하여 한장씩 위의 단계(S103) 내지 단계(S110)를 차례로 반복하여 두번째 수표(1-2)로부터 마지막 수표(1-n)까지 에스크로라인(76) 또는 제2 위치(P3)로 이송한다(S114).
도 13에는 두번째 수표(1-2)가 위의 단계(S110)에서 정상수표(1-2′)로 판단되어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첫번째 정상수표(1-1′)의 위로 이송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두번째 정상수표(1-2′)는 첫번째 정상수표(1-1′)와 마찬가지로 제1 롤피드(152)의 피드롤러(152a)와 아이들롤러(152b) 사이를 지나 제2 롤피드(153)의 세퍼레이션롤러(152b)에 걸려 정지되며, 두번째 정상수표(1-2′)는 첫번째 정상수표(1-1′) 위에 적층된다. 도 12에는 세번째 수표(1-3)와 마지막 수표(1-n) 각각이 위의 단계(S110)에서 오류수표(1-3′, 1-n′)로 판단되어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과 제5 직선구간(71e)을 통하여 제2 위치(P2)로 이송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류수표(1-3′, 1-n′) 각각의 이송에 있어서는, 제1 셀렉터(90)의 액츄에이터(93)가 작동되어 게이트(92)의 평면(92a)이 서킷라인(71)의 제4 직선구간(71d)과 평행하도록 피봇(91)을 중심으로 게이트(92)를 회전시킨다. 메인피딩장치(100)의 제7 롤피드(107)의 피드롤러(107a)와 아이들롤러(107b)에 의하여 이송되는 오류수표(1-3′, 1-n′) 각각은 게이트(92)의 평면(9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제8 롤피드(108)의 피드롤러(108a)와 아이들롤러(108b), 제9 롤피드(109)의 피드롤러(109a)와 아이들롤러(109b)에 의하여 제2 위치(P3)로 이송된다. 제8 포토커플러(247)는 제9 롤피드(109)의 피드롤러(109a)와 아이들롤러(109b)를 지나는 수표(1)의 이송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230)는 로딩장치(50)의 수평트랙(51)에 투입되어 있는 마지막 수표(1-n)까지 온라인처리의 결과에 대응하여 이송이 완료되어 처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5). 로딩장치(50)의 수평트랙(51)에 투입되어 있는 마지막 수표(1-n)까지 처리되었으면, 컨트롤러(230)는 입금확인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6). 사용자는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터치스크린(12)을 조작하여 입금 확인모드를 선택하며, 입금확인모드는 중앙처리장치(15)를 통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된다. 이때, 터치스크린(12)에는 다수장의 수표(1)들중 정상수표와 오류수표의 숫자를 디스플레이하고, 정상수표에 대한 입금 또는 반환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위의 단계(S115)에서 로딩장치(50)의 수평트랙(51)에 수표(1)들이 잔류되어 있으면, 위의 단계(S114)로 복귀한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입금확인모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정상수표(1-1′, 1-2′)들중 최하층 정상수표(1-1′)를 메인피딩장치(100)와 에스크로피딩장치(150)의 협동에 의하여 서킷라인(71)과 연결되어 있는 아웃렛라인(82)을 통하여 제3 위치(P3)로 이송한다(S117). 위의 단계 (S116)에서 입금취소모드가 입력되면, 메인피딩장치(100)와 에스크로피딩장치 (150)의 협동에 의하여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정상수표(1-1′, 1-2′)들을 한장씩 서킷라인(71)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P2)로 이송한다(S118).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30)는 무빙유닛(160)의 액츄에이터(163)를 작동시켜 로드(163a)를 후퇴시키고, 후퇴되는 로드(163a)에 의하여 레버(161)는 피봇 (16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레버(16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피드롤(152)의 아이들롤러(152b)는 정상수표(1-1′, 1-2′)들을 피드롤러(152a)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피드롤러(152a)와 아이들롤러(152b)의 협동에 의하여 아웃렛라인(82)에 수용되어 있던 정상수표(1-1′, 1-2′)들의 이송이 개시된다. 최하층 정상수표(1-1′)는 제2 롤피드(153)의 피드롤러(153a)와 세퍼레이션롤러(153b) 사이에 개재되고, 두번째의 정상수표(1-2′)의 선단은 세퍼레인션롤러(153b)에 걸려 정지된다. 첫번째 정상수 표(1-1′)는 제2 롤피드(153)의 피드롤러(153a)와 세퍼레이션롤러(153b), 제11 피드롤(111)의 피드롤러(111a)와 아이들롤러(111b)에 의하여 에스크로라인(76)의 경사월(81a, 81b)을 따라 서킷라인(71)의 직선구간(71b)으로 이송된다. 제10 포토커플러(149)는 제11 피드롤(111)을 지나 경사월(81a, 81b)을 향하는 첫번째 정상수표 (1-1′)의 이송을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상수표(1-1′, 1-2′)들 각각을 제3 위치(P3)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제2 셀렉터(95)의 액츄에이터(98)는 피봇(96)을 중심으로 게이트(97)를 회전시켜 게이트(97)의 평면(97a)이 서킷라인(71)의 직선구간(71b)에 대하여 평행하게 한다. 따라서, 정상수표(1-1′, 1-2′) 각각은 제4 롤피드(104)의 피드롤러 (104a)와 아이들롤러(104b)에 의하여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 게이트 (97)의 평면(97a)을 따라 아웃렛라인(82)으로 이송되며, 아웃렛라인(82)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위치(P3), 즉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스토리지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제11 포토커플러(250)는 제12 롤피드(112)의 피드롤러(112a)와 아이들롤러(112b)에 의하여 제3 위치(P3)를 향하는 정상수표(1-1′, 1-2′) 각각의 이송을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30)에 입력한다.
한편, 에스크로라인(76)의 정상수표(1-1′, 1-2′)들을 한장씩 제3 위치(P3)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1 셀렉터(90)의 게이트(92)에 의하여 에스크로라인(76)을 차단하고, 제2 셀렉터(95)의 게이트(97)에 의하여 아웃렛라인(82)을 차단한다. 제1 및 제2 셀렉터(90, 95) 각각의 게이트(92, 97)에 의하여 에스크로라인(76)과 아웃렛라인(82)이 차단되면, 메인피딩장치(100)와 에스크로피딩장치(150)의 협동에 의 하여 에스크로라인(76)으로부터 서킷라인(71)의 제2 내지 제5 직선구간(71b∼71d)을 따라 제2 위치(P2)로 이송된다.
도 1, 도 2,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에스크로라인(76)의 경사월(82a, 82b)을 통하여 서킷라인(71)의 제2 직선구간(71b)을 지나는 첫번째 정상수표(1-1′)의 뒷면에는 프린터(170)에 의하여 은행, 입금일 등의 데이터를 프린팅하고 (S119), 첫번째 정상수표(1-1′)의 앞면에는 스탬퍼(180)의 스탬프(181)에 의하여 은행 담당자의 스탬프 등 일련의 데이터를 스탬핑한다(S120). 그리고 데이터의 프린팅과 스탬핑이 완료되어 제3 위치(P3)로 이송된 첫번째 정상수표(1-1′)의 데이터는 은행의 호스트컴퓨터(1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S121).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나머지 정상수표(1-2′)까지 위의 단계(S119) 내지 단계(S121)를 차례로 반복하여 나머지 정상수표(1-2′)를 제3 위치(P3)로 이송한다(S122).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30)는 에스크로라인(76)에 수용되어 있는 나머지의 마지막 정상수표(1-2′)까지 모두 처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3). 에스크로라인(76)에 수표가 잔류되어 있으며, 위의 단계(S122)로 복귀하여 나머지의 마지막 정상수표(1-2′)까지 제3 위치(P3)로 이송한다. 마지막 정상수표(1-2′)까지 처리되었으면 서킷라인(71)의 제2 위치(P2)에 수표(1)들, 예를 들어 오류수표 (1-3′, 1-n′)가 수용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124). 서킷라인(71)의 제2 위치 (P2)에 수표(1)들이 수용되어 있으면,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도어(13)에 의하여 투입/인출구를 개방한다(S125). 현금자동입출금기(10)의 도어(13)가 열리면, 사용자는 투입/인출구(14)를 통하여 제2 위치(P2), 즉 인출공간(45)에 수용되어 있는 수표(1)들을 인출한다(S126). 수표(1)들이 인출공간(45)을 통하여 인출되면, 도어 (13)는 투입/인출구(14)를 닫고(S127),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하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정확하게 처리하고, 매체들의 진위를 판독하여 정상매체와 오류매체로 분류하며, 매체들중 오류가 있는 매체들을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또한, 매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이송하여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매체의 이송을 위한 트랙상에서 다수장의 매체들중 정상매체를 바이패스시켜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처리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매체에 대해서만 프린팅과 스탬핑 등 요구되는 일련의 동작을 실시하므로, 불필요한 동작의 실시에 의한 수명의 단축과 낭비시간을 제거하여 운전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적층되어 투입되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로딩하는 로딩수단과;
    상기 로딩수단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한장의 매체를 인수하여 수직하게 세워 로딩하는 스탠딩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탠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상기 한장의 매체를 수용하는 제1 위치, 상기 한장의 매체를 배출하는 제2 위치 및 제3 위치를 연결하는 불연속의 서킷라인과, 상기 서킷라인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상기 한장의 매체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장의 매체를 적층하여 수용하는 에스크로라인을 갖는 트랙과;
    상기 서킷라인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제3 위치와 상기 에스크로라인중 어느 하나로 상기 한장의 매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서킷라인과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12 롤피드를 갖는 메인피딩수단과;
    상기 에스크로라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장의 매체들을 한장씩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에스크로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롤피드와 제2 롤피드를 갖는 에스크로피딩수단과;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한장의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데이터획득수단과;
    상기 로딩수단, 스탠딩수단, 메인피딩수단, 에스크로피딩수단과 데이터획득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매체처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수단은,
    상류에 수용되는 상기 다수장의 매체들중 한장의 매체를 하류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평트랙과;
    상기 수평트랙의 상류에 장착되고, 수평으로 적층되어 투입되는 상기 다수장의 매체들을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갖는 제1 롤피드와;
    상기 제1 롤피드의 하류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롤피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다수장의 매체들중 최하층 매체만을 이송하고 나머지 매체들의 이송은 저지하는 피드롤러와 세퍼레이션롤러를 갖는 제2 롤피드와;
    상기 제1 롤피드의 피드롤러와 상기 제2 롤피드의 피드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딩모터와;
    상기 스탠딩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롤피드의 피드롤러와 상기 제2 롤피드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트랙의 상류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투입하는 상기 다수장의 매체들을 상기 수평트랙으로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더를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수단은,
    상기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상기 한장의 매체를 상기 트랙의 제1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랙의 제1 위치의 상방에 정렬되어 설치되는 수직트랙과;
    상기 수직트랙에 장착되며, 상기 한장의 매체를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갖는 롤피드와;
    상기 수직트랙의 하방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트랙을 통과하는 상기 한장의 매체를 상기 트랙의 제1 위치로 밀어 하강시키는 복수의 탄성플랩들을 갖는 복수의 푸시휠들과;
    상기 롤피드의 피드롤러와 상기 푸시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탠딩모터와;
    상기 스탠딩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롤피드의 피드롤러와 상기 푸시휠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서킷라인은 사각형을 이루는 제1 내지 제4 직선구간과 상기 제4 직선구간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1 직선구간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제5 직선구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직선구간에는 제1 위치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5 직선구간의 끝은 제2 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직선구간의 끝은 제3 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에스크로라인은 상기 제4 직선구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 직선구간에 합류되며, 상기 트랙의 제3 위치는 상기 제2 직선구간으로부 터 분기되는 아웃렛라인에 의하여 연결되는 매체처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라인의 제4 직선구간과 상기 에스크로라인의 분기지점에 상기 매체의 이송을 상기 제5 직선구간과 에스크로라인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하는 제1 셀렉터가 장착되고, 상기 서킷라인의 제2 직선구간과 아웃렛라인의 분기지점에 상기 매체의 이송을 상기 제3 직선구간과 아웃렛라인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하는 제2 셀렉터가 장착되는 매체처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렉터와 제2 셀렉터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매체가 직선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과,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 선단을 차단하여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이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곡면을 갖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에 로드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피딩수단의 제1 내지 제12 롤피드 각각은 상기 한장의 매체를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12 롤피드 각각의 피드롤러는 단일의 메인피딩모터와 이 메인피딩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피딩수단의 제1 및 제2 롤피드는 상기 트랙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매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롤피드의 피드롤러 각각에 대하여 그 아이들롤러 각각을 동시에 운동시키는 무빙유닛을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피드 각각의 아이들롤러의 축이 끼워지는 캠그루브를 갖는 무빙바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무빙바를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무빙바에 로드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롤피드의 피드롤러 각각에 대하여 그 아이들롤러 각각을 바이어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으로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피딩수단의 제1 롤피드는 상기 에스크로라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장의 매체들 협동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가지며, 상기 에스크로피딩수단의 제2 롤피드는 상기 에스크로라인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장의 매체들중 최하층 매체만을 협동하여 이송하고 나머지 매체들의 이송은 저지하는 피드롤러와 세퍼레이션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롤피드 각각의 피드롤러는 단일의 에스크로피딩모터와 이 에스크로피딩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매체처리기.
  23. 제 12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피딩수단의 제1 롤피드의 상류에는 상기 한장의 매체를 상기 에스크로라인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밀어주는 복수의 탄성플랩들을 갖는 푸시휠이 더 장착되고, 상기 푸시휠은 상기 메인피딩수단을 구성하는 메인피딩모터와 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매체처리기.
  2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획득수단은,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잉크문자인식을 판독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자기잉크문자판독기와;
    상기 매체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제1 이미지센서 및 제2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는 매체처리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획득수단은 상기 자기잉크문자판독기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매체에 규정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을 벗어나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비정상의 자기잉크문자인식를 판독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체크자기인자문자판독기를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기.
  2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라인과 에스크로라인의 합류지점을 지나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한장의 매체에 데이터를 프린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와, 상기 프린터를 지나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한장의 매체에 데이터를 스탬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스탬퍼를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기.
  2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수단, 스탠딩수단, 메인피딩수단과 에스크로피딩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매체들을 감지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다수의 포토커플러들을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기.
  28. 다수장의 수표들을 수평으로 적층하여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장의 수표들중 최하층 수표를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수단에 의하여 로딩되는 첫번째 수표를 스탠딩수단에 의하여 수직하게 세워 서킷라인의 제1 위치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상기 첫번째 수표를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수표로부터 그 자기잉크문자인식을 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판독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서킷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첫번째 수표로부터 그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데이터를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자기잉크문자판독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은행의 호스트컴퓨 터에 전송하여 온라인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 의한 온라인처리의 결과 첫번째 수표가 정상수표이면 상기 서킷라인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바이패스되어 있는 에스크로라인으로 상기 첫번째 수표를 이송하여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수표가 오류수표이면 상기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상기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수단에 투입되어 있는 나머지 수표들에 대하여 마지막 수표까지 이미지데이터의 처리,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 출력과 온라인처리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도록 상기 에스크로라인과 제2 위치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에스크로라인에 수용되어 있는 다수장의 정상수표들을 에스크로로딩수단과 상기 메인피딩수단에 의하여 한장씩 상기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매체처리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라인과 서킷라인을 통하여 상기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정상수표에 데이터를 프린터에 의하여 프린팅하고, 상기 정상수표에 데이터를 스탬퍼에 의하여 스탬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처리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잉크문자판독기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상기 수표에 규정의 자기잉크문자인식을 벗어나는 부 분에 기록되어 있는 비정상의 자기잉크문자인식를 판독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처리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정상수표들 각각의 이미지데이터와 자기잉크문자인식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처리방법.
KR1020040016268A 2004-03-10 2004-03-10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10058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268A KR100587421B1 (ko) 2004-03-10 2004-03-10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268A KR100587421B1 (ko) 2004-03-10 2004-03-10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150A KR20050091150A (ko) 2005-09-15
KR100587421B1 true KR100587421B1 (ko) 2006-06-08

Family

ID=3727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268A KR100587421B1 (ko) 2004-03-10 2004-03-10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25B1 (ko) 2013-04-02 2014-09-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1918781B1 (ko) * 2012-12-31 2018-11-1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28B1 (ko) * 2008-01-03 2010-04-21 최명화 지폐의 양면 살균이 가능한 지폐 방출기
CN114180281A (zh) * 2021-12-13 2022-03-15 筑友智造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输料循环轨道的调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81B1 (ko) * 2012-12-31 2018-11-1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1440225B1 (ko) 2013-04-02 2014-09-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150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98179B1 (pl) Urządzenie do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operacji bankowych i sposób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operacji bankowych
US6273413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sheet directing apparatus
JP4132303B2 (ja) 書類移送ルート指定装置
US6516998B2 (en) Self-service terminal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101342898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0587421B1 (ko)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101140491B1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EP2350990B1 (en) Handling of different classes of currency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1165097B1 (ko)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KR100610535B1 (ko) 매체처리기의 에스크로장치
KR10112245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KR101628478B1 (ko) 수표 및 지폐 입출금장치와 수표 및 지폐 입출금방법
JP2008134747A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KR1011209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일시스택방법
KR900001975B1 (ko) 자동지폐 입출금장치
EP3484714B1 (en) Dual side printing with one print head
KR20037427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JP4997458B2 (ja) 還流式紙幣収納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S58161077A (ja) カ−ド取引方式
KR100354549B1 (ko) 지폐 수납기의 복수 지폐 순환 체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