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54B1 -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454B1
KR101122454B1 KR1020040091316A KR20040091316A KR101122454B1 KR 101122454 B1 KR101122454 B1 KR 101122454B1 KR 1020040091316 A KR1020040091316 A KR 1020040091316A KR 20040091316 A KR20040091316 A KR 20040091316A KR 101122454 B1 KR101122454 B1 KR 10112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bracket
support bracket
roller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597A (ko
Inventor
선동훈
전형준
박창호
황진용
문창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4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일시스택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를 임시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폐를 이송 및 반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재, 제1 이송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일시 스태킹부, 및 지지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브라켓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입금부로 반송하는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지폐를 입금하는 과정에서 지지 브라켓은 지폐 이송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며, 지폐를 반송하는 과정에서 지지 브라켓은 이송로에 가깝게 이동하여 지폐의 반송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Figure R1020040091316
지지 브라켓, 회전, 솔레노이드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AND METHOD OF RETURNING THE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일시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탬핑부 및 일시 스태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탬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2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제2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금융자동화기기 10: 지폐 입출금 모듈
12:셔터 20:입금부
22:이송로 25:출금부
30:지폐저장고 100:일시스택장치
110:제1 이송부재 112:상부 이송브라켓
114:하부 이송브라켓 116:지폐 가이드판
120:일시 스태킹부 122:지지 브라켓
124:걸림턱 126:브라켓 솔레노이드
130:제2 이송부재 133:제2 이송롤러
134:밀착롤러 136:롤러밀착 브라켓
140:스탬핑부 142:스탬프 헤드
144:프레싱 레버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입금된 여러 장의 지폐를 지폐저장고에 지폐를 보관하기 전에 임시로 지폐를 적재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기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출금 기능만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정해진 종류의 지폐를 입력된 액수만큼 사용자 출금부로 이송하기 때문에, 지폐의 걸림(jam) 또는 2매 전송의 경우 외에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입금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하기 위해서 지폐의 걸림 및 2매 전송 외에도 더 많은 사항들이 체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지폐가 한번에 투입되었는지, 위조 지폐 등과 같은 비정상 금전이 투입되는지, 구겨지거나 손상된 지폐가 투입되는지, 입금되는 방향이 올바른지 등과 같이 중요한 사항들을 체크하여야 한다. 또한, 입금장치는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는 만큼 실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장이 더 자주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수표는 액면가가 크면서 위조의 가능성도 높고, 부도수표(dishonored check)와 같이 경제적 상황에 의해서 가치가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는 현금보다 주의 깊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실제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마다 수표의 일련 번호를 조회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표를 한장한장 입금할 때마다, 은행 전상망에 접속하고 입금된 수표의 상태를 조회하게 되면 매 수표마다 처리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시간적으로 낭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시스택장치(temporary stacking apparatus)가 이용되고 있으며, 일시스택장치에 의해서 복수개의 지폐를 신속하게 입금할 수 있다. 즉, 금융자동화기기는 검사 과정 없이 입금된 지폐들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입금을 받고 입금된 일시스택장치에 임시로 적재한다. 이와 동시에 금융자동화기기는 낱장으로 이 동하는 지폐를 검사하여 1차적으로 진위 여부 및 하자 여부를 검사하게 되고, 2차적으로 은행 전산망과 접속하여 입금된 지폐의 상태를 조회할 수가 있다. 일시스택장치에 적재된 지폐들은 아직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하지 않는 것들로서, 검사나 조회에 의해서 정상 거래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지폐저장고로 전송되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하지만, 정상 거래가 불가능하게 되면 일단 일시스택장치는 임시로 적재된 지폐를 다시 반송함으로써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
지폐를 검사하기 위해서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입금된 지폐는 지폐 이송로를 낱장으로 통과하게 되며, 일시스택장치 내에서 차례로 적층된다. 하지만, 입금되는 지폐의 보존 상태에 따라 구겨지거나 찢어진 지폐가 적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존 상태가 불량한 지폐들로 인해 지폐를 차례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적층된 지폐가 다음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다. 하나의 지폐 진입이 방해됨에 따라 연속되는 지폐들은 이송로 상에서 정체될 수 있으며, 지폐의 걸림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동화기기는 일정 시간 동안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시스택장치는 입금하는 과정에서 지폐들이 원활하게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되도록 하며, 반송하는 과정에서 지폐들을 낱장 단위 또는 묶음 단위로 용이하게 반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은 낱장으로 공급되는 지폐를 깔끔하게 정돈함으로써 지폐의 전송 및 반송을 원활하게 하며, 지폐의 전송 및 반송에 따라 지폐가 이동할 수 있는 상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지폐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시스택장치는 지폐를 이송 및 반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재, 제1 이송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일시 스태킹부(temporary stacking section) 및 지지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브라켓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금부를 통해 복수개의 지폐를 입금하면, 지폐들은 제1 이송부재를 경유하여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다. 일시 스태킹부의 지지 브라켓은 제1 이송부재의 이송로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지폐들은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낙하하면서 하나씩 적층된다.
지지 브라켓 상에 적층된 지폐들은 아직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하지 않은 것들로서, 검사나 조회에 의해서 정상 거래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지폐저장고로 전송(forwarding)되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할 수 있지만, 정상 거래가 불가능하게 되면 사용자 입금부로 반송(returning)됨으로써 금융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
지폐를 반송하기 위해서, 브라켓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지지 브라켓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된 지지 브라켓의 상면이 제1 이송부재의 이송로에 가깝게 근접함으로써 적층된 지폐를 원활하게 반송될 수가 있다. 입금 시 지지 브라켓은 이송로의 하부에서 수평하게 위치하여 지폐가 원활하게 적층되도록 하며, 반 송 시 상부로 회동하여 지폐가 원활하게 반송되도록 한다.
이송된 지폐를 눌러주기 위해 일시 스태킹부의 상부에는 스탬핑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에는 지폐의 폭만큼 이격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스탬핑부에 의해서 눌려진 지폐의 양단을 구속할 수가 있다. 또한, 지폐들은 일시 스태킹부의 후단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서 일정 영역에서만 적층될 수 있다. 스토퍼는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는 경우 외에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차단하며, 지폐가 일시 스태킹부로 전송될 때에는 빠르게 이송되는 지폐를 차단하여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폐라 함은 은행권(banknote), 수표(check), 상품권(gift certificate) 등은 물론, 이들과 같이 주로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일정 국가 또는 기관에 의해서 일정 가치가 부여된 가치 증서(valuable certificate)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의 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의 예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 또는 한정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일시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 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10)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중 지폐 입출금 모듈(10) 역시 모듈 하우징(11)을 포함하며, 모듈 하우징(11) 내에는 셔터(12), 사용자 입출금부(14), 입금부(20) 및 출금부(25)가 설치된다. 입금을 위해 셔터(12)가 개방되면서 사용자 입출금부(14)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노출된 사용자 입출금부(14)에 복수개의 지폐를 한 장 또는 한 묶음 단위로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지폐는 입금부(20)의 이송로(22)를 통해서 일시스택장치(100)로 이송된다.
이송로(22)에는 지폐의 매수 감지 센서, 진위 검사 센서, 손상 검사 센서 등이 장착된다. 특히, 수표를 입출금하는 모듈인 경우에는 수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잉크 문자 인식기(MICR), 배서용 프린터, 이미지 스캐너 등이 이송로(22)에 장착될 수가 있다. 이렇게 금융자동화기기(1)는 여러 센서 및 검사 장치를 통해서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은행 전산망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폐의 가치상태나 기타 제한 사항들을 조회할 수가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정상적인 거래에 대한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에만 입금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입금된 지폐를 전체 또는 일부 반송함으로써 거래를 중단할 수가 있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입금된 지폐들은 일시스택장치(100)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일시스택장치(100)는 이송로(22)의 단부에 장착되며, 이송로(22)와 지폐저장 고(30)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스택장치(100)는 지폐저장고(30)에 지폐를 저장하기 전에, 투입된 지폐들을 임시로 적재하는 기능을 한다. 투입된 지폐들 모두 정상적인 거래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지폐들을 지폐저장고(30)로 이송하여 입금 거래를 완료하지만, 투입된 지폐들 중 일부가 정상적인 거래에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지폐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입출금부(14)로 반송하여 입금 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시스택장치(100)는 제1 이송부재(110), 일시 스태킹부(120), 스탬핑부(140) 및 제2 이송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재(110)는 입금부(20)의 이송로(22)와 일시 스태킹부(120)를 연결하며, 일시스택장치(100)로 전달되는 지폐를 일시 스태킹부(120)로 이송하거나 일시 스태킹부(12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다시 이송로(22)로 전달한다. 또한, 일시 스태킹부(120)는 제1 이송부재(1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일시 스태킹부(120)의 상부에는 적층된 지폐를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140)가 배치된다. 일시 스태킹부(120)에는 제2 이송부재(130)가 장착되며, 제2 이송부재(130)는 지폐의 전송 또는 반송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폐에 밀착하여 이송할 수가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재(110)는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을 포함하며,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에 의해서 입금부(20)의 이송로(22)와 연결되는 이송로(118)가 제공된다.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에는 각각 제1 이송롤러(113, 115)가 장착되며, 제1 이송롤러(113, 115)의 회전에 의해서 지폐는 제1 이송부재(110)의 이송로(118)를 통과할 수 있다.
상부 이송브라켓(112)의 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지폐 가이드판(116)이 제공된다. 지폐 가이드판(116)은 제1 이송부재(110)에서 일시 스태킹부(120)로 이송되는 지폐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방으로 경사져서 지폐가 일시 스태킹부(120)이 밀착하도록 그 이송 방향을 굴곡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폐 가이드판(116)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편(117)은 다시 수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일시 스태킹부(120) 상에 적층되는 지폐의 상하 이동이 제한할 수 있으며, 지폐가 반송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반송될 수 있도록 지지 가이드판(116)에 대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하부 이송브라켓(114)에 의해서 정의되는 이송로(118)의 높이는 일시 스태킹부(120)의 지지면보다 높다. 따라서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 사이로부터 일시 스태킹부(120)로 진입한 지폐는 지폐 가이드판(116)에 의해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일시 스태킹부(120)의 지지 브라켓(122) 상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낙하한다.
도 4는 도 2의 스탬핑부 및 일시 스태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탬핑부(140)는 스탬프 헤드(142), 프레싱 레버(144), 및 스탬핑 솔레노이드(148)를 포함한다. 스탬핑부(140)는 일시 스태킹부(120) 상에 위치하며, 스탬프 헤드(142)를 상하로 왕복 운동을 시킬 수가 있다. 스탬핑 솔레노이드(148)의 왕복운동이 링크(146)를 통해 프레싱 레버(144)로 전달되며, 힌지로 연 결되어 있는 프레싱 레버(144)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한다. 프레싱 레버(144)의 단부에 스탬프 헤드(142)가 장착되며, 스탬프 헤드(142)의 일측에는 가이드 핀(143)이 형성된다. 가이드 핀(143)이 상부 이송브라켓(112)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9)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탬프 헤드(142)도 가이드 슬릿(119)에 의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스탬프 헤드(142)는 두 개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지지 로드가 지폐 가이드판(116)보다 넓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 가이드판(116)의 양측으로부터 지폐를 가압할 수가 있다.
스탬핑부(140)의 하부에는 일시 스태킹부(120)가 장착된다. 일시 스태킹부(120)는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22)을 포함하며, 지지 브라켓(122)는 판금 소재로서 하방에 형성된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22)의 하부에는 브라켓 솔레노이드(126)가 장착되며, 지지 브라켓(122)과 브라켓 솔레노이드(126)는 링크(125)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 솔레노이드(126)가 링크(125)를 통해 지지 브라켓(122)의 단부를 당기면, 지지 브라켓(122)의 반대 단부가 상승하여 제1 이송부재(110)의 이송로(118)를 향해 접근하게 된다.
또한, 지지 브라켓(122)의 상면 양단에는 지폐의 폭만큼 이격된 걸림턱(124)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24)은 지지 브라켓(122)의 양단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걸림턱(124)의 개방된 부분을 안쪽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스탬핑부(140)의 스탬프 헤드(142)가 지폐를 위에서 눌러 가압하며, 걸림턱 (124) 위에 있던 지폐가 걸림턱(124)의 개방된 부분 사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걸림턱(124) 안쪽으로 이동한 지폐는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스탬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투입한 지폐는 제1 이송부재(110)를 경유하여 일시 스태킹부(120)로 진입한다. 지폐가 진입하면서 지폐 가이드판(116)에 의해서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지폐는 이전에 이미 정돈된 지폐들(MS) 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바로 진입한 지폐는 걸림턱(124) 상에 놓여 있으며, 정돈된 지폐들(MS)과는 걸림턱(124)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
지폐가 진입하자 마자 스탬핑 솔레노이드(148)가 작동을 시작하고, 스탬핑 솔레노이드(148)에 의해서 스탬프 헤드(142)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핀(143)이 가이드 슬릿(119)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탬프 헤드(142)도 일정한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탬프 헤드(142)가 위에 놓인 지폐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가압함에 따라 지폐는 걸림턱(124)을 통과하여 아래에 위치한 지폐들(MS)과 함께 적층된다. 이때 스탬프 헤드(142)는 지폐를 타격하듯이 가압할 수 있으며, 상하 운동을 일회 또는 수회만큼 반복함으로써 지폐가 걸림턱(124)을 확실히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시 스태킹부(120)의 후단부에는 스토퍼(139)가 장착된다. 스토퍼(139)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막기 위한 것으로서,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블록편(139-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이송부 재(110)를 통해 일시 스태킹부(120)로 유입된 지폐는 스토퍼(139)에 의해서 더 이상의 진입이 차단되며, 지지 브라켓(122) 상의 일정한 지점에서 적층된다.
일시 스태킹부(120)에 적층되는 지폐들은 스탬핑부(140) 또는 걸림턱(124)에 의해서 지지 브라켓(122)에 밀착되며, 그와 동시에 스토퍼(139)에 의해서 상하로 정렬된다. 스토퍼(139)는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서 작동하며, 지폐를 지폐저장고(30)로 전송하는 경우 외에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차단하고, 제1 이송부재(110)들에 의해서 빠르게 유입되는 지폐를 막아 줌으로써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제2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재(130)는 일시 스태킹부(120)에 인접한 상부에 장착된 제2 이송롤러(132) 및 제2 이송롤러(132)에 대향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제2 이송롤러(132)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밀착롤러(134)를 포함한다. 밀착롤러(134)는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밀착롤러(134)는 적층된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는 경우 이외에는 아래에 위치하여 지폐의 이동이나 적층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만, 밀착롤러(134)는 적층된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기 위해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제2 이송롤러(132)와 함께 적층된 지폐에 밀착함으로써 지폐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의 단부에는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롤러밀착 브라켓(136)은 지지 브라켓(122)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1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롤러밀착 브라켓(136)에는 밀 착롤러(13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가 링크(137)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롤러밀착 브라켓(136)의 회전에 의해서 밀착롤러(134)가 지폐의 저면에 밀착할 수 있다.
밀착롤러(134)가 지폐에 밀착한 후, 지폐는 지폐저장고(30)로 전송되어 금융거래를 완료할 수 있으며, 다시 사용자 입출금부(14)로 전송되어 금융거래를 중단할 수가 있다.
이하 일시스택장치의 반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스택장치(100)에 적층된 지폐(MS)를 반송하기 위해서 브라켓 솔레노이드(126)가 작동을 한다. 브라켓 솔레노이드(126)가 지지 브라켓(122)을 당기면, 지지 브라켓(122)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지지 브라켓(122)이 제1 이송부재(110)의 이송로(118)를 향하도록 배향되며, 지지 브라켓(122)에 의해서 지지된 지폐들(MS)도 이송로(118)를 향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브라켓(122)의 이동과 거의 동시에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가 작동을 한다.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는 롤러밀착 브라켓(136)과 연결되어 있으며,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회전축(1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밀착 브라켓(136)의 단부에 장착된 밀착롤러(134)는 지폐의 저면에 밀착하게 된다. 즉,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가 링크(137)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밀착롤러(134)는 제2 이송롤러(132)와 함께 지폐의 상하면을 가압하게 된다.
구동모터의 회전이 제2 이송롤러(132) 또는 밀착롤러(134)로 전달되며, 제2 이송롤러(132) 및 밀착롤러(134)의 회전과 함께 그 사이에 개재된 지폐들(MS)이 지폐 저장고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입금부로 반송될 수 있다. 특히, 지폐를 반송하는 과정에서 지지 브라켓(122)이 지폐들(MS)의 단부를 들어 올려 이송로(123)를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반송 과정에서 지폐의 걸림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시스택장치는 입금하는 과정에서는 지폐들이 원활하게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되도록 하며, 반송하는 과정에서는 지지 브라켓 및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지폐들이 낱장 단위 또는 묶음 단위로 용이하게 반송되도록 할 수 있도록 이송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낱장으로 공급되는 지폐를 깔끔하게 정돈함으로써 지폐의 전송 및 반송을 원활하게 하며, 지폐의 전송 및 반송에 따라 지폐가 이동할 수 있는 상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지폐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지폐를 이송 및 반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재;
    상기 제1 이송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일시 스태킹부; 및
    상기 지지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브라켓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입금부로 반송하는 제2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재는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인접한 상부에 장착된 제2 이송롤러, 상기 제2 이송롤러에 대향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를 상하로 움직이는 롤러밀착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밀착 솔레노이드의 단부에는 롤러밀착 브라켓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롤러밀착 브라켓에는 상기 밀착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지폐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밀착 브라켓은 상기 지지 브라켓과 동일 축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 브라켓과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브라켓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폐를 반송할 때 상기 브라켓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면이 상기 제1 이송부재의 이송로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스태킹부의 후단에는 스토퍼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스태킹부로 이송된 상기 지폐의 상면을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지폐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탬핑부에 의해서 눌려진 상기 지폐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재는 지폐의 이송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부 이송브라켓 및 하부 이송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브라켓에는 상기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기 위한 제1 이송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이송브라켓의 단부 상단에는 지폐 가이드판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9. 제1 이송부재의 이송로를 이용하여 지폐를 이송하는 단계;
    일시 스태킹부의 지지 브라켓 상에 상기 지폐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면이 상기 이송로를 향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을 움직이는 단계;
    상기 지폐와 결속된 제2 이송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지폐를 상기 이송로를 통해 반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 구동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지폐의 전송 및 반송 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브라켓 솔레노이드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 솔레노이드가 상기 지폐의 전송 및 반송 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기 지폐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 상으로 이송된 상기 지폐의 상면을 소정의 시간 동안 눌러주어 상기 지폐를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를 상기 이송로로 반송하는 단계는,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인접한 상부에 장착된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에 대향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밀착롤러를 제공하고,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지폐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방법.
KR1020040091316A 2004-11-10 2004-11-10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KR10112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16A KR101122454B1 (ko) 2004-11-10 2004-11-10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16A KR101122454B1 (ko) 2004-11-10 2004-11-10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97A KR20060042597A (ko) 2006-05-15
KR101122454B1 true KR101122454B1 (ko) 2012-03-02

Family

ID=371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16A KR101122454B1 (ko) 2004-11-10 2004-11-10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81B1 (ko) * 2006-11-27 2013-07-1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적재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자동수납기
KR101016506B1 (ko) * 2008-10-20 2011-02-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이송장치
KR101034952B1 (ko) * 2008-12-31 2011-05-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11A (ja) 2000-01-11 2001-09-28 Fuji Electric Co Ltd 金銭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11A (ja) 2000-01-11 2001-09-28 Fuji Electric Co Ltd 金銭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97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10097097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KR10112245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KR900009173Y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1209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일시스택방법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37427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JP4276588B2 (ja) 媒体取扱装置
KR2006004259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JP6589689B2 (ja) 小束処理装置
KR20037427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291446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9198544A (ja) 紙幣取扱装置
JP5190321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101123340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H0322201Y2 (ko)
JP2521714B2 (ja) 紙葉類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JP2624677B2 (ja) 自動取引装置
JPH089819Y2 (ja) 紙幣処理装置
JP2763192B2 (ja) 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集積方法
KR10101649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