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225B1 -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225B1
KR101440225B1 KR1020130035883A KR20130035883A KR101440225B1 KR 101440225 B1 KR101440225 B1 KR 101440225B1 KR 1020130035883 A KR1020130035883 A KR 1020130035883A KR 20130035883 A KR20130035883 A KR 20130035883A KR 101440225 B1 KR101440225 B1 KR 10144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ening
check
guid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준
이상현
김기황
이명우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와 지폐가 함께 반송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프린터 헤드가 노출되도록 반송가이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수표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수표의 인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지폐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닫아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가이드(100,100a); 상기 반송가이드(100,100a) 상에 구비되어 반송되는 매체의 권종을 감별하는 매체 감지부(200); 상기 매체 감지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통하여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프린터부(300); 상기 프린터부(300)와 대면하는 반송가이드(100a)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표의 인자시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400);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셔터(500); 및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의 매체 감별 결과, 매체가 수표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하고, 매체가 지폐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셔터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Printing device on check of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표와 지폐가 함께 반송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프린터 헤드가 노출되도록 반송가이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수표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수표의 인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지폐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닫아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표 및 현금을 출금하거나, 입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지폐의 입출금을 처리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이외에도 지폐와 수표를 동시에 입출금 처리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수표의 반송 경로에는 수표의 배면에 날짜 및 고유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인자(印字)하는 수표 인자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는, 상하로 이격되어 반송가이드(1,2)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로 수표(C) 및/또는 지폐(P)와 같은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가 제공된다. 상기 반송가이드(1,2)에는 다수의 반송롤러(3,4)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매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킨다. 상기 반송 경로에는 반송되는 수표(C)의 배면에 날짜 및 고유번호와 같은 정보를 인자하기 위한 프린터부(6)가 구비된다. 상부에 위치한 반송가이드(2)에는 프린터부(6)의 프린터 헤드(6a)가 반송 경로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에 위치한 반송가이드(1)에는 수표(C)의 인자시 수표(C)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7)과, 플래튼(7)의 승하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부(6)와 플래튼(7)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반송 경로에는 반송되는 매체가 지폐인지 수표인지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센서(5)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5)에서의 감별 결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가 수표(C)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5)의 신호를 기준으로 제어부에서는 상기 플래튼(7) 상에 수표(C)가 위치하는 시점에 반송롤러(3,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구동부(8)는 플래튼(7)을 승강시켜 플래튼(7)의 상면에 안착된 수표(C)를 프린터 헤드(6a)를 향하여 승강시켜 수표의 배면에 인자를 수행하고, 인자가 완료되면 플래튼(7)이 하강된 후에 반송롤러(3,4)가 구동되어 수표(C)의 반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5)에서의 감별 결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가 지폐(P)인 경우에는, 플래튼(7)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폐(P)의 반송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표 인자 장치에서, 프린터 헤드(6a)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2)에는 프린터 헤드(6a)가 반송 경로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개구부(2a)가 항상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표의 반송 및 인자 동작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지폐의 반송시에는 상기 프린터 헤드(6a)와 플래튼(7) 사이로 지폐가 정지없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므로, 구겨진 지폐나 부풀려진 지폐의 반송시에는 상기 개구부(2a)와 프린터 헤드(6a) 사이에 걸려 기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표와 지폐가 함께 반송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프린터 헤드가 노출되도록 반송가이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수표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수표의 인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지폐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닫아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송가이드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셔터의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셔터의 지지구조 및 구동수단을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가이드(100,100a); 상기 반송가이드(100,100a) 상에 구비되어 반송되는 매체의 권종을 감별하는 매체 감지부(200); 상기 매체 감지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통하여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프린터부(300); 상기 프린터부(300)와 대면하는 반송가이드(100a)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표의 인자시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400);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셔터(500); 및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의 매체 감별 결과, 매체가 수표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하고, 매체가 지폐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셔터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101)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슬릿(102)이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셔터(5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슬릿(10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홈(103)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브(504)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01)가 닫힌 경우,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슬릿(102)과 상기 셔터(500)의 리브(504)는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터(500)는, 상기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몸체부(501)와, 상기 몸체부(501)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랙기어부(503)가 형성된 플레이트부(502)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520)는, 모터(5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525)과, 상기 랙기어부(503)에 치합되면서 상기 회전축(525)에 결합되는 기어(5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500)의 상부에는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5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양측 단부에는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1셔터 가이드홈(511,512)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상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진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제2슬라이드부(507)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부(507)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2셔터 가이드홈(513)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좌우 측방향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진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상면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셔터 위치 감지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위치 감지부(550)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전후진되는 경로의 양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위치하는 일체형 센서로 구성된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 간의 이격된 간격 만큼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0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 중 어느 하나에서만 광이 검출되고,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 및 제2감지부(552)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며,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는 과정 또는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 및 제2감지부(552)에서 광이 검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에는 상기 셔터 가이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530)와 제2지지부재(540)가 결합되되,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지부재(530) 및 제2지지부재(54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결합되는 돌기(514,515,516,517)와 끼움홈(531,541,542,54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에 의하면, 반송되는 매체의 감별 결과에 따라 반송가이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수표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수표의 인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지폐의 반송시에는 개구부를 닫아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셔터의 전후진 이동시 셔터의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와 그 양단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셔터의 전후진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셔터의 전후진 상태를 감지하는 셔터 위치 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셔터의 전후진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의 양단이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에 끼움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셔터 가이드를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조립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인자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닫힌 상태에서 셔터와 셔터 가이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닫힌 상태에서 셔터 가이드와 셔터 위치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면도,
도 11은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셔터와 셔터 가이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좌측면도,
도 13은 반송가이드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셔터 가이드와 셔터 위치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는, 상하로 이격되어 반송가이드(100,100a)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로 수표(C) 및/또는 지폐(P)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가 제공된다. 반송가이드(100,100a)에는 다수의 반송롤러(11,12)가 반송 경로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모터(미도시됨)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수표(C) 및/또는 지폐(P)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킨다. 상기 반송가이드(100,100a)에는 반송되는 매체의 권종이 수표(C)인지 지폐(P)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매체 감지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 감지부(200)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분리형 센서로 구성되어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과 후단의 길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거나, 매체의 표면에 형성된 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체의 권종을 감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 감지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송가이드(100)에는 반송되는 수표(C)의 배면에 날짜 및 고유번호와 같은 정보를 인자하기 위한 프린터부(300)가 구비되고, 프린터부(300)의 하단부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터 헤드(3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린터 헤드(310)와 대면하는 하부 반송가이드(100a)에는 수표(C)의 인자시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400)과, 상기 플래튼(400)의 승하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플래튼 구동부(4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400)은 하강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a)와 그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반송가이드(100a)와 함께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부 반송가이드(100)에는 수표(C)의 인자시 프린터 헤드(310)가 반송 경로 측으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01, 도 9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송가이드(100)에는 개구부(101)의 개폐를 위한 셔터(5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셔터(500)는 수표(C)의 인자시에는 개구부(10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하고, 지폐(P)의 반송시에는 개구부(101)가 형성된 위치로 이동되어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함으로써 반송가이드(100)와 함께 지폐(P)의 반송을 안내하는 반송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의 매체 감별 결과, 반송 경로를 지나는 매체가 수표(C)인 것으로 감별된 경우에는 수표의 인자를 수행하고, 반송 경로를 지나는 매체가 지폐(P)인 것으로 감별된 경우에는 반송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매체의 권종이 수표(C)인 경우, 제어부(600)는 반송롤러(11,12)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됨)의 회전속도를 늦추어 플래튼(400)의 상면에 수표(C)가 위치된 시점에서 모터의 동력을 차단시켜 반송롤러(11,1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고, 플래튼 구동부(41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수표(C)가 안착된 플래튼(400)이 승하강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프린터 헤드(310)가 반송 경로 측으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01)의 후방으로 셔터(500)를 이동시켜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한다. 플래튼(400)이 승강되어 프린터 헤드(310)에 수표(C)의 배면이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600)는 프린터부(30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2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프린터부(300)가 프린터 이동축(330)을 따라 왕복 이동됨과 동시에 프린터 헤드(310)에서 잉크가 분사되도록 하여 수표(C)의 배면에 정보를 인자하게 된다. 수표(C)의 인자가 완료되면, 플래튼(400)이 하강되도록 플래튼 구동부(410)를 제어한다. 플래튼(400)이 하강되어 그 상면과 하부 반송가이드(100a)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600)는 플래튼 구동부(4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반송롤러(11,12)가 회전되어 매체의 반송이 재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매체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매체의 권종이 지폐(P)인 경우, 플래튼(400)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셔터(500)의 위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반송롤러(11,12)의 회전에 의해 매체의 반송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개구부(101)가 셔터(500)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셔터(500)는 반송가이드(100)와 함께 지폐(P)의 원활한 반송을 위한 반송면을 형성하게 되어, 지폐(P)의 걸림 현상(jam)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셔터(500)의 구조적 특징과 함께 셔터(5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셔터(500)의 상부에는 셔터(500)가 안정된 상태에서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510)가 구비되고, 셔터(500)의 일측에는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셔터 구동부(520)가 구비되며, 셔터 가이드(510)의 일측에는 셔터 가이드(510)와 셔터 구동부(520)를 고정시키며 반송가이드(100)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530)가 구비되고, 셔터 가이드(510)의 타측에는 셔터 가이드(510)를 고정시키며 반송가이드(100)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540)가 구비된다.
상기 셔터(500)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개폐하도록 반송가이드(100) 상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와 같이 셔터(5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개구부(101)가 닫혀 지폐(P)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도 9와 같이 셔터(5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개구부(101)가 개방되어 수표(C)의 인자 동작이 수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개구부(101)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슬릿(102)이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셔터(5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슬릿(10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홈(103)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브(504)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01)가 닫힌 경우, 상기 셔터(500)의 리브(504)와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슬릿(102)은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6과 도 11을 참조하면, 셔터(500)는 상기 리브(504)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몸체부(501)와, 상기 몸체부(501)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부(102)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02)의 저면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랙기어부(103)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셔터 구동부(520)의 기어(526)에 기어결합된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셔터 가이드(510)는 셔터(50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하부에는 셔터(500)의 플레이트부(502)가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부(510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510a)가 형성된 셔터 가이드(510)의 내측면과 상기 플레이트부(502)는 플레이트부(502)의 전후진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부(502)의 양측 단부에는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플레이트부(502)의 일측부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부(507)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1셔터 가이드홈(511,512)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507)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2셔터 가이드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시, 셔터(500)의 플레이트부(502)는, 제1슬라이드부(505,506)와 제1셔터 가이드홈(511,51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제2슬라이드부(507)와 제2셔터 가이드홈(513)에 의해 좌우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이탈 및 흔들림이 방지되고, 전후방으로는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슬라이드부(507)와 제2셔터 가이드홈(513)이 플레이트부(502)와 셔터 가이드(510)의 일측에만 한 쌍으로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2슬라이드부(507)와 제2셔터 가이드홈(513)은 플레이트부(502)와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에 한 쌍씩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셔터 구동부(520)는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521), 모터(521)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522), 피니언(522)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순차로 기어결합되는 구동기어(523)와 종동기어(524), 종동기어(524)에 결합되는 회전축(525),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플레이트부(502)에 구비된 랙기어부(503)에 기어결합되면서 상기 회전축(525)에 결합되는 한 쌍의 기어(5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구동부(520)의 모터(521)와 피니언(522) 및 구동기어(523)는 제1지지부재(530)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축(525)은 셔터 가이드(5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모터(521)의 구동시, 그 회전력은 피니언(522), 구동기어(523), 종동기어(524)를 통하여 회전축(525)에 전달되고, 회전축(525)의 회전시 이에 결합된 기어(526)가 회전되면서 랙기어부(503)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게 되어 셔터(5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도 7은 셔터(500)가 전진되어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셔터(500)가 후진되어 개구부(10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셔터 위치 감지부(550)를 포함한다. 셔터 위치 감지부(55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600)로 송출되고, 제어부(600)는 셔터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셔터 구동부(52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도 8과 도 1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부(502)의 상면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셔터 위치 감지부(550)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전후진되는 경로의 양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위치하는 일체형 센서로 구성된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553은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 간의 이격된 간격 만큼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셔터(500)가 전진 이동되어 개구부(10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감지부(55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제2돌출부(509)가 위치되어 제1감지부(551)의 수광부에는 광이 검출되지 않고, 제2감지부(552)의 수광부에서는 광이 검출된다.
도 13과 같이 셔터(500)가 후진 이동되어 개구부(10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감지부(55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제1돌출부(508)가 위치되고, 제2감지부(55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제2돌출부(509)가 위치되므로, 제1감지부(551)의 수광부 및 제2감지부(552)의 수광부에서는 광이 검출되지 않는다.
개구부(101)가 완전히 닫히거나 개방된 상태가 아니고, 닫히는 과정 또는 개방되는 과정에 셔터(500)가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제1감지부(551) 및 제2감지부(55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1감지부(551)의 수광부 및 제2감지부(552)의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 위치 감지부(550)의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에서 검출되는 서로 다른 신호를 기준으로 제어부(600)에는 셔터(500)의 위치를 판단하여, 셔터 구동부(520)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에는 상기 셔터 가이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530)와 제2지지부재(54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530)와 제2지지부재(540)는 체결수단(532,544)에 의해 반송가이드(100)에 체결된다.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지부재(530) 및 제2지지부재(54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결합되는 돌기(514,515,516,517)와 끼움홈(531,541,542,5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셔터 가이드(510)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그 양측단이 제1지지부재(530)와 제2지지부재(540)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가이드(510)의 하단에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됨)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구(5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린터 헤더(310)가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셔터(500)를 구비함으로써, 수표(C)의 반송시에는 개구부(101)를 개방시켜 수표의 인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지폐(P)의 반송시에는 개구부(101)를 닫아 반송가이드(100)와 함께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반송이 가능해진다.
11,12 : 반송롤러 100,100a : 반송가이드
101 : 개구부 102 : 슬릿
103 : 홈 200 : 매체 감지부
300 : 프린터부 310 : 프린터 헤드
320 : 프린터 구동모터 330 : 프린터 이동축
400 : 플래튼 410 : 플래튼 구동부
500 : 셔터 501 : 몸체부
502 : 플레이트부 503 : 랙기어부
504 : 리브 505,506 : 제1슬라이드부
507 : 제2슬라이드부 508 : 제1돌출부
509 : 제2돌출부 510 : 셔터 가이드
510a : 공간부 511,512 : 제1셔터 가이드홈
513 : 제2셔터 가이드홈 514,515,516,517 : 돌기
520 : 셔터 구동부 521 : 모터
522 : 피니언 523 : 구동기어
524 : 종동기어 525 : 회전축
526 : 기어 530 : 제1지지부재
531 : 끼움홈 540 : 제2지지부재
541,542,543 : 끼움홈 550 : 셔터 위치 감지부
551 : 제1감지부 552 : 제2감지부
600 : 제어부

Claims (10)

  1.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가이드(100,100a);
    상기 반송가이드(100,100a) 상에 구비되어 반송되는 매체의 권종을 감별하는 매체 감지부(200);
    상기 매체 감지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통하여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프린터부(300);
    상기 프린터부(300)와 대면하는 반송가이드(100a)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표의 인자시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400);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셔터(500); 및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의 매체 감별 결과, 매체가 수표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하고, 매체가 지폐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셔터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101)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슬릿(102)이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셔터(500)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슬릿(102)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홈(103)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브(504)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01)가 닫힌 경우,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슬릿(102)과 상기 셔터(500)의 리브(504)는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지폐의 반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2. 삭제
  3.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가이드(100,100a);
    상기 반송가이드(100,100a) 상에 구비되어 반송되는 매체의 권종을 감별하는 매체 감지부(200);
    상기 매체 감지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가이드(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통하여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프린터부(300);
    상기 프린터부(300)와 대면하는 반송가이드(100a)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표의 인자시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400);
    상기 반송가이드(100)의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셔터(500); 및
    상기 매체 감지부(200)에서의 매체 감별 결과, 매체가 수표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되도록 하고, 매체가 지폐인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도록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셔터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셔터(500)는, 상기 개구부(101)를 개폐하는 몸체부(501)와, 상기 몸체부(501)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랙기어부(503)가 형성된 플레이트부(502)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520)는, 모터(5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525)과, 상기 랙기어부(503)에 치합되면서 상기 회전축(525)에 결합되는 기어(5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500)의 상부에는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양측 단부에는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505,506)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1셔터 가이드홈(511,512)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상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제2슬라이드부(507)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부(507)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지지하는 제2셔터 가이드홈(513)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502)가 좌우 측방향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502)의 상면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셔터 가이드(510)에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셔터(500)의 전후진 이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셔터 위치 감지부(5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위치 감지부(550)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가 전후진되는 경로의 양측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위치하는 일체형 센서로 구성된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는 상기 제1돌출부(508)와 제2돌출부(509) 간의 이격된 간격 만큼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와 제2감지부(552) 중 어느 하나에서만 광이 검출되고,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 및 제2감지부(552)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며,
    상기 개구부(101)가 닫히는 과정 또는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551) 및 제2감지부(552)에서 광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에는 상기 셔터 가이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530)와 제2지지부재(540)가 결합되되,
    상기 셔터 가이드(510)의 양측단과 상기 제1지지부재(530) 및 제2지지부재(54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결합되는 돌기(514,515,516,517)와 끼움홈(531,541,542,5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20130035883A 2013-04-02 2013-04-02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144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83A KR101440225B1 (ko) 2013-04-02 2013-04-02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83A KR101440225B1 (ko) 2013-04-02 2013-04-02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225B1 true KR101440225B1 (ko) 2014-09-17

Family

ID=517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883A KR101440225B1 (ko) 2013-04-02 2013-04-02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21B1 (ko) 2014-10-07 2016-02-1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투입되는 대상물의 폭에 따라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복합기
CN106530496A (zh) * 2016-11-08 2017-03-22 戴文彬 一种纸币纠偏靠边装置
KR20180033727A (ko) * 2016-09-26 2018-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프린트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941A (ja) * 1995-02-23 1996-09-03 Brother Ind Ltd 小切手印字装置
JPH09141955A (ja) * 1995-11-21 1997-06-03 Kofu Nippon Denki Kk 印字装置のプリンタシャッタ機構
KR100587421B1 (ko) 2004-03-10 2006-06-08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101183993B1 (ko) 2006-02-27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941A (ja) * 1995-02-23 1996-09-03 Brother Ind Ltd 小切手印字装置
JPH09141955A (ja) * 1995-11-21 1997-06-03 Kofu Nippon Denki Kk 印字装置のプリンタシャッタ機構
KR100587421B1 (ko) 2004-03-10 2006-06-08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101183993B1 (ko) 2006-02-27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21B1 (ko) 2014-10-07 2016-02-1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투입되는 대상물의 폭에 따라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복합기
KR20180033727A (ko) * 2016-09-26 2018-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프린트 모듈
KR101881027B1 (ko) * 2016-09-26 2018-07-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의 프린트 모듈
CN106530496A (zh) * 2016-11-08 2017-03-22 戴文彬 一种纸币纠偏靠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214072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US9240107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JP2006143383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収納ユニット
KR10144022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1165517B1 (ko) 지엽 취급 장치
KR101342898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US8814041B2 (en) Automatic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8399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WO2016103927A1 (ja) 紙幣処理装置
JP5511109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2323433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KR102008574B1 (ko) 지폐집적장치
KR102322633B1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KR101652182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262190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JP4321513B2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KR10060034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KR100773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KR101917089B1 (ko) 펀치 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표 입출금 장치
KR2014008900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인자 장치
KR101637698B1 (ko) 매체 저장부
KR1010763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인식장치 및 수표인식방법
KR101853024B1 (ko) 금융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